KR20160145187A - 실린더 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187A
KR20160145187A KR1020167032706A KR20167032706A KR20160145187A KR 20160145187 A KR20160145187 A KR 20160145187A KR 1020167032706 A KR1020167032706 A KR 1020167032706A KR 20167032706 A KR20167032706 A KR 20167032706A KR 20160145187 A KR20160145187 A KR 2016014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assage
side chamber
pist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28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33End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9Fluid interconnections, e.g. fluid connectors,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18Combined units comprising both motor and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185Bitubular units
    • F16F9/187Bitubular units with uni-directional flow of damping fluid through th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57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in twin-tube typ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tuator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장기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린더 장치를 제공한다. 실린더 장치는, 실린더(1), 피스톤(7), 외통(11), 탱크(25) 및 제1 배관(30)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에 활주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를 로드측 실(8)과 피스톤측 실(9)로 구획하고 있다. 외통(11)은, 실린더(1)의 외측에 배치되고 실린더(1)를 덮고 있다. 탱크(25)는, 실린더(1)와 외통(11)의 간극에 형성되고 작동 유체를 저류한다. 제1 배관(30)은, 로드측 실(8) 또는 피스톤측 실(9)에 급배되는 작동 유체가 통과하는 제1 통로(T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제1 배관(30)은 일방의 단부 외경을 타방의 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제1 배관(30)은 탱크(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실린더 장치{CYLINDER DEVICE}
본 발명은 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종래의 실린더 장치인 완충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완충기는, 실린더(cylinder), 피스톤(piston), 피스톤 로드(piston rod), 외통, 덮개 부재, 로드 가이드(rod guide), 탱크(tank) 및 연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 활주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이 피스톤은 실린더 내를 로드측 실(rod side chamber)과 피스톤측 실(piston side chamber)로 구획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는 피스톤에 연결하고 있다. 이 완충기는, 복통식(複筒式)이고 외통이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덮개 부재는 실린더 및 외통의 일방의 단부를 폐색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는 피스톤 로드를 삽통하는 관통구멍을 관설하고 있다. 이 로드 가이드는 실린더 및 외통의 타방의 단부를 폐색하고 있다. 탱크는 실린더와 외통의 간극에 형성되어 있다. 이 탱크는 작동유를 저류하고 있다. 연통로는 피스톤측 실과 로드측 실을 연통하고 있다. 이 연통로는, 제1 통로, 제2 통로 및 연결로를 갖고 있다. 제1 통로는 덮개 부재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통로는, 일단이 피스톤측 실에 연통하고 타단이 탱크에 임하는 제1 연통구를 형성하고 있다. 제2 통로는 로드 가이드에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통로는, 일단이 로드측 실에 연통하고 타단이 탱크에 임하는 제2 연통구를 형성하고 있다. 연결로는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관은 제1 연통구와 제2 연통구에 양단을 삽입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배관은 탱크(tank)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완충기는, 배관의 양단과 제1 연통구 및 제2 연통구의 각각의 사이에 패킹(packing)을 개재시켜서 수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완충기는, 작동유가 유통되는 배관이 실린더와 외통의 간극에 형성된 탱크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철도 차량의 차체와 대차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된 경우 등에 튀어오른 돌 등에 의해 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도 4에 종래의 실린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린더 장치는, 복통식의 완충기, 공급 통로, 펌프(pump), 제1 통로, 제1 개폐 밸브, 제2 통로 및 제2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린더 장치의 탱크는 작동유 등의 유체와 기체가 충전되어 있다. 공급 통로는 탱크와 로드측 실을 연통하고 있다. 펌프는 공급 통로의 도중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통로는 로드측 실과 피스톤측 실을 연통하고 있다. 제1 개폐 밸브는 제1 통로의 도중에 마련되어 있다. 제2 통로는 피스톤측 실과 탱크를 연통하고 있다. 제2 개폐 밸브는 제2 통로의 도중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린더 장치는, 펌프를 구동하면서 제1 개폐 밸브 및 제2 개폐 밸브를 개폐 제어하여 로드측 실의 압력을 조정하고 추력을 소망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8-2569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10-6579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완충기는, 철도 차량의 차체와 대차의 사이에 배치하여 제진 장치로서 사용된 경우 등, 진동에 의해 탱크 내에 배치한 배관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배관의 양단과 제1 연통구 및 제2 연통구의 각각의 사이에 개재시킨 패킹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마모되어 수밀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실린더 장치에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완충기를 적용하였다고 하여도, 마찬가지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배관의 양단과 제1 연통구 및 제2 연통구의 각각의 사이의 수밀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기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린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린더 장치는, 실린더, 피스톤, 외통, 탱크 및 배관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내에 활주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은 실린더 내를 로드측 실과 피스톤측 실로 구획하고 있다. 외통은,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고 실린더를 덮고 있다. 탱크는, 실린더와 외통의 간극에 형성되고 작동 유체를 저류한다. 배관은, 로드측 실(室) 또는 피스톤측 실에 급배되는 작동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배관은 일방의 단부 외경을 타방의 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배관은 탱크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 장치는 일방의 단부 외경을 타방의 단부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한 배관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배관은 타방의 단부 외경보다도 외경이 큰 일방의 단부의 쪽이 통로 내의 작동 유체로부터 받는 압력의 수압(受壓) 면적이 크다. 이 때문에, 이 배관은, 통로 내의 작동 유체의 압력을 받으면, 일방의 단부로부터 타방의 단부를 향한 힘이 우세하여 타방의 단부측으로 이동하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진동되어도 배관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지 않고 타방의 단부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배관의 양단부의 연결 부분이 마모에 의해 수밀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린더 장치는, 장기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실린더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실시예 1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실린더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X-X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2의 실린더 장치의 회로도.
도 6은 실시예 3의 완충기의 회로도.
본 발명의 실린더 장치를 구체화한 실시예 1∼3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실린더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 피스톤(7), 피스톤 로드(10), 외통(11), 덮개 부재(12), 로드 가이드(20), 유로 형성 부재(22)(도 2 참조), 탱크(25), 펌프(17), 제1 역지 밸브(C1), 개폐 밸브인 제1 개폐 밸브(V1) 및 제1 배관(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장치는, 제2 개폐 밸브(V2), 제2 역지 밸브(C2), 오리피스(orifice)(24), 제3 역지 밸브(C3) 및 릴리프 밸브(relief valve)(V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린더 장치는, 작동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로서 제1 통로(T1), 제2 통로(T2), 제3 통로(T3), 제4 통로(T4), 제5 통로(T5), 제6 통로(T6) 및 배출 통로(T7)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1)는 원통형상이다. 실린더(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단부에 선단 부재(2)가 부착되어 있다(이하,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실린더(1)의 단부를 「(실린더(1)의) 일방의 단부」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실린더(1)의 단부를 「(실린더(1)의) 타방의 단부」라고 한다). 선단 부재(2)는, 삽입부(3), 차양부(4) 및 돌기부(5)를 갖고 있다. 삽입부(3)는, 원반형상이고 실린더(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차양부(4)는, 삽입부(3)에 연속하여 형성된 원반형상이고 실린더(1)의 외경과 같은 외경을 갖고 있다. 차양부(4)는 삽입부(3)가 실린더(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린더(1)의 단부에 계지하고 있다. 돌기부(5)는 원통형상이고 차양부(4)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선단 부재(2)는, 삽입부(3), 차양부(4) 및 돌기부(5)의 중심을 관통하는 유로(6)를 갖고 있다. 삽입부(3)는 동일 외주면에 1조의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패킹(P1)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단 부재(2)는 실린더(1)의 단부에 수밀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7)은, 개략 원주 형상이고 실린더(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피스톤(7)은, 동일 외주면에 1조의 홈(7A)이 형성되고 이 홈(7A)에 패킹(P2)이 감입되어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에 활주 자재로 삽입되고 실린더(1) 내를 로드측 실(8)과 피스톤측 실(9)로 구획하고 있다. 로드측 실(8) 및 피스톤측 실(9)은 작동 유체인 작동유가 충전되어 있다. 피스톤(7)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측 실(9)과 로드측 실(8)을 연통하는 제4 통로(T4)가 형성되어 있다. 제4 통로(T4)는 도중에 제2 역지 밸브(C2)를 마련하고 있다. 제2 역지 밸브(C2)는, 작동유가 피스톤측 실(9)로부터 로드측 실(8)로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고 로드측 실(8)로부터 피스톤측 실(9)로 유통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주 형상이고 일방의 단부가 피스톤(7)의 중심을 관통하여 피스톤(7)에 연결하고 있다(이하,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피스톤 로드(10)의 단부를 「(피스톤 로드(10)의) 일방의 단부」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피스톤 로드(10)의 단부를 「(피스톤 로드(10)의) 타방의 단부」라고 한다). 피스톤 로드(10)는 타방의 단부에 철도 차량 등에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bracket)(B1)이 마련되어 있다.
외통(1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외통(11A)과 제1 외통(11A)에 연결한 제2 외통(11B)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외통(11A)은, 원통형상이고 내경 및 외경이 일정하다. 제2 외통(11B)은, 제1 외통(11A)의 내경보다 약간의 작은 외경으로 축경(縮徑)된 일방의 단부가, 제1 외통(11A)의 내측에 삽입되고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이하,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외통(11B)의 단부를 「(제2 외통(11B)의) 일방의 단부」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외통(11B)의 단부를 「(제2 외통(11B)의) 타방의 단부」라고 한다). 제2 외통(11B)은 축경된 부분을 제외하고 제1 외통(11A)과 동일한 내경 및 외경이다. 외통(11)은, 실린더(1)의 외측에 위치하고 실린더(1)와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12)는, 덮개 본체(13), 연결부(14) 및 브래킷(B2)을 갖고 있다. 덮개 본체(13)는 실린더(1)의 일방의 단부를 삽입하는 패임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패임부(15)는, 깊이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에 직교한 단면이 원형상이고 내경이 실린더(1)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패임부(15)는 저면의 중심부에 제5 통로(T5)가 개구하고 있다. 실린더(1)에 부착된 선단 부재의 돌기부(5)가 패임부(15)의 저면에 개구하고 있는 제5 통로(T5)에 감입되어 있다. 제5 통로(T5)는 후술하는 탱크(25)에 연통하고 있다. 즉, 제5 통로(T5)는 피스톤측 실(9)과 탱크(25)를 연통하고 있다. 제5 통로(T5)는 도중에 제3 역지 밸브(C3)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역지 밸브(C3)는, 작동유가 탱크(25)로부터 피스톤측 실(9)로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고 피스톤측 실(9)로부터 탱크(25)로 유통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덮개 본체(13)의 패임부(15)를 형성하는 외주부(16)는 개략 원통형상이다. 외주부(16)는 선단부가 외통(11)의 일방의 단부와 실린더(1)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덮개 본체(13)와 외통(11)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즉, 덮개 본체(13)는 실린더(1) 및 외통(11)의 일방의 단부를 폐색하고 있다. 덮개 본체(13)는 후술하는 제1 배관(30)의 일방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연통구(R1)를 형성하고 있다(이하,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배관(30)의 단부를 「(제1 배관(30)의) 일방의 단부」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배관(30)의 단부를 「(제1 배관(30)의) 타방의 단부」라고 한다). 제1 연통구(R1)는 덮개 본체(13) 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하여 외부에 마련된 펌프(17)에 연통하고 있다(도 1 참조). 연결부(14)는 실린더(1)와는 반대측의 덮개 본체(13)의 측면의 중심부로부터 늘어나 있다. 브래킷(B2)은, 연결부(14)의 선단에 마련되고 철도 차량 등에 부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로드 가이드(20)는, 제1 환부(環部)(20A)와 제1 환부(20A)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2 환부(20B)를 갖고 있다. 제1 환부(20A)와 제2 환부(20B)는, 개략 원통형상이고 중심을 관통구멍(21)이 관설하고 있다. 제1 환부(20A)는 제2 환부(20B)보다도 외경이 작다. 관통구멍(21)은 피스톤 로드(10)가 삽통하고 있다. 제1 환부(20A)는, 선단부가 실린더(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이고 실린더(1)의 타방의 단부에 삽입되어 있다. 제2 환부(20B)는, 외경이 외통(11)의 내경보다도 약간 작고 제2 외통(11B)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드 가이드(20)는 실린더(1) 및 외통(11)의 타방의 단부를 폐색하고 있다. 제2 환부(20B)는, 관통구멍(21)의 동일 내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패킹(P3)이 감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 로드(10)는 로드 가이드(20)의 관통구멍(21)에 수밀 상태로 활주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유로 형성 부재(22)는 개략 원통형상이다. 이 유로 형성 부재(22)는, 로드 가이드(20)의 제1 환부(20A)의 외주면 및 실린더(1)의 타방의 단부 외주면에 당접하는 내주면과 외통(11)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외주면을 갖고 있다. 유로 형성 부재(22)는, 로드 가이드(20)의 제1 환부(20A) 및 실린더(1)의 타방의 단부에 외감(外嵌)하고 외통(11) 내에 수납되어 있다. 즉, 유로 형성 부재(22)는 실린더(1)와 외통(1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20)는, 제1 환부(20A)의 외주면의 동일 주면상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패킹(P4)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로 형성 부재(22)와 로드 가이드(20)는 수밀상으로 감합하여 있다. 또한, 유로 형성 부재(22)는, 실린더(1)의 외주면에 당접하는 부분의 내주면의 동일 주면상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패킹(P5)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로 형성 부재(22)와 실린더(1)는 수밀상으로 감합하여 있다.
유로 형성 부재(22)는 후술하는 제1 배관(30)의 타방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연통구(R2)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연통구(R2)는, 유로 형성 부재(22) 내에 형성된 통로(23)를 통하여 로드측 실(8)에 연통하고 있다. 유로 형성 부재(2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연통구(R2)와 로드측 실(8)을 연통하는 통로(23)로부터 분기한 제6 통로(T6)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제6 통로(T6)는 도중에 오리피스(24)를 마련하고 있다. 제6 통로(T6)는 로드측 실(8)과 탱크(25)를 연통하고 있다.
탱크(2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와 외통(11)과 덮개 부재(12)와 유로 형성 부재(22)에 둘러싸여서 형성되어 있고 작동유를 저류하고 있다. 즉, 탱크(25)는 실린더(1)와 외통(11)의 간극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25)는 작동유 외에 기체가 충전되어 있다.
제1 배관(30)은, 배관 본체(31), 제1 삽입부재(32) 및 제2 삽입부재(33)를 갖고 있다. 배관 본체(31)는, 일직선상에 늘어나고 내경 및 외경이 일정하다. 제1 삽입부재(32)는 일방의 단부를 제1 연통구(R1)에 삽입하고 있다(이하,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삽입부재(32)의 단부를 「(제1 삽입부재(32)의) 일방의 단부」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삽입부재(32)의 단부를 「(제1 삽입부재(32)의) 타방의 단부」라고 한다). 또한, 제1 삽입부재(32)는 타방의 단부에 배관 본체(31)의 일방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있다(이하,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배관 본체(31)의 단부를 「(배관 본체(31)의) 일방의 단부」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배관 본체(31)의 단부를 「(배관 본체(31)의) 타방의 단부」라고 한다). 제1 삽입부재(32)는, 외형이 배관 본체(31)의 외경보다도 큰 원환형상이고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외경을 갖고 있다. 제1 삽입부재(32)는, 일방의 단부 외주면의 동일 원주상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패킹(P6)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삽입부재(32)는 제1 연통구(R1)와 수밀상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1 삽입부재(32)는, 타방의 단부의 내주면의 동일 주면상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패킹(P7)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삽입부재(32)와 배관 본체(31)는 수밀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삽입부재(33)는 일방의 단부에 배관 본체(31)의 타방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있다(이하, 도 2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재(33)의 단부를 「(제2 삽입부재(33)의) 일방의 단부」라고 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삽입부재(33)의 단부를 「(제2 삽입부재(33)의) 타방의 단부」라고 한다). 또한, 제2 삽입부재(33)는 타방의 단부를 제2 연통구(R2)에 삽입하고 있다. 제2 삽입부재(33)는, 일방의 단부 외경이 제1 삽입부재(32)의 외경과 개략 동등하고 타방의 단부 외경이 제1 삽입부재(32)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배관(30)은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삽입부재(33)는, 일방의 단부 외경이 타방의 단부 외경보다도 크게, 단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33A)는, 제2 삽입부재(33)를 제2 연통구(R2)에 삽입한 때, 제2 연통구(R2)의 개구단부(22A)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부재(22)의 단면(端面)에 당접하는 당접부이다.
제2 삽입부재(33)는, 타방의 단부 외주면의 동일 원주상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패킹(P8)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삽입부재(33)와 제2 연통구(R2)는 수밀상으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 삽입부재(33)는, 일방의 단부의 내주면의 동일 주면상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패킹(P9)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삽입부재(33)와 배관 본체(31)는 수밀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배관(30)은, 각 부품의 공차 및 조립 오차를 고려하여 제1 연통구(R1)의 속측(奧側) 단면(端面)(13B)과 제2 연통구(R2)의 속측 단면(22B)의 간격보다도 짧고 또한 제1 연통구(R1)의 개구단부(13A)와 제2 연통구(R2)의 개구단부(22A)의 간격보다도 길게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배관(30)은, 제1 삽입부재(32)를 제1 연통구(R1)에 삽입하고 제2 삽입부재(33)를 제2 연통구(R2)에 삽입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관(30)은, 일방의 단부를 덮개 부재(12)의 덮개 본체(13)에 형성된 제1 연통구(R1)에 삽입하고 타방의 단부를 유로 형성 부재(22)에 형성된 제2 연통구(R2)에 삽입하여 탱크(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통로(T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25)와 로드측 실(8)을 연통하고 있다. 제1 통로(T1)는, 그 일부를 제1 배관(30)이 구성하고 있다. 제1 통로(T1)는 통로(26)와 외부 통로(27)를 갖고 있다. 통로(26)는, 덮개 부재(12)의 덮개 본체(13) 내에 형성되고 제1 연통구(R1)에 연통하고 외부에 개구하고 있다. 외부 통로(27)는 탱크(25)와 통로(26)를 연통하고 있다. 펌프(17)는, 제1 통로(T1)의 외부 통로(27)에 마련되고 덮개 부재(1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도 1, 도 3 참조). 펌프(17)는, 모터(motor)(18)에 의해 구동되고 탱크(25)로부터 로드측 실(8)에 작동유를 보낼 수 있다. 제1 역지 밸브(C1)는 펌프(17)보다 하류측의 외부 통로(27)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역지 밸브(C1)는, 제1 통로(T1)를 작동유가 탱크(25)로부터 로드측 실(8)을 향하여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로드측 실(8)로부터 탱크(25)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제2 통로(T2)는 피스톤측 실(9)과 탱크(25)를 연통하고 있다. 제2 통로(T2)는 통로(28)와 외부 통로(29)를 갖고 있다. 통로(28)는, 덮개 부재(12)의 덮개 본체(13) 내에 형성되고 피스톤측 실(9)에 연통하여 외부에 개구하고 있다. 외부 통로(29)는 탱크(25)와 통로(28)를 연통하고 있다. 제1 개폐 밸브(V1)는, 제2 통로(T2)의 외부 통로(29)에 마련되고 덮개 부재(1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도 1, 도 3 참조). 제1 개폐 밸브(V1)는, 전자식 개폐 밸브이고 제2 통로(T2)를 개폐하는 밸브(valve)(41)와 밸브(41)를 개변(open)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2)과 밸브(41)를 폐변(close)하는 방향으로 추력을 부여하는 솔레노이드(solenoid)(43)를 갖고 있다.
제3 통로(T3)는, 제1 통로(T1)의 외부 통로(27)에 마련된 제1 역지 밸브(C1)보다 하류측에서 외부 통로(27)를 분기하고 제2 통로(T2)의 외부 통로(29)에 마련된 제1 개폐 밸브(V1)보다 상류측의 외부 통로(29)에 합류하고 있다. 제2 개폐 밸브(V2)는, 제3 통로(T3)의 도중에 마련되고 덮개 부재(1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도 1, 도 3 참조). 제2 개폐 밸브(V2)는, 전자식 개폐 밸브이고 제3 통로(T3)를 개폐하는 밸브(44)와 밸브(44)를 개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5)과 밸브(44)를 폐변하는 방향으로 추력을 부여하는 솔레노이드(46)를 갖고 있다.
배출 통로(T7)는, 제3 통로(T3)에 마련된 제2 개폐 밸브(V2)보다 상류측에서 제3 통로(T3)를 분기하고 제1 통로(T1)의 외부 통로(27)에 마련된 펌프(17)보다 상류측에서 외부 통로(27)에 합류하고 있다. 즉, 배출 통로(T7)는 제1 통로(T1)의 외부 통로(27)에 마련된 펌프(17) 및 제1 역지 밸브(C1)를 우회하도록 외부 통로(27)에 연결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V3)는 배출 통로(T7)에 마련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V3)는, 비례 전자식 릴리프 밸브이고 배출 통로(T7)를 개폐하는 밸브(47)와 밸브(47)를 폐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8)과 밸브(47)를 개변하는 방향으로 추력을 부여하는 비례 솔레노이드(49)를 갖고 있다. 이 릴리프 밸브(V3)는 비례 솔레노이드(49)에 흐르는 전류량을 조정함으로써 개변압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릴리프 밸브(V3)는 로드측 실(8)의 압력이 개변압을 넘으면, 이 압력에 기인하는 추력과 비례 솔레노이드(49)에 의한 추력의 합력이, 밸브(47)를 폐변하는 방향으로 부여된 스프링(48)의 탄성력에 극복하여 배출 통로(T7)를 개방한다. 이 릴리프 밸브(V3)는, 비례 솔레노이드(49)에 공급하는 전류량을 최대로 하면 개변압이 최소가 되고 비례 솔레노이드(49)에 전혀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다면 개변압이 최대가 된다.
이 실린더 장치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 내의 공기 빠짐을 행할 수가 있다.
이 실린더 장치의 제1 개폐 밸브(V1), 제2 개폐 밸브(V2) 및 릴리프 밸브(V3)를 폐변시킨다. 이 상태에서 실린더 장치를 신축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이 실린더 장치는, 로드측 실(8), 제6 통로(T6), 탱크(25), 제5 통로(T5), 피스톤측 실(9), 제4 통로(T4), 로드측 실(8)의 순서로 작동유가 순환한다. 이에 의해, 이 실린더 장치는, 기체가 혼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작동유를 탱크(25)에 배출하고 기체가 혼입되어 있을 우려가 없는 작동유를 실린더(1)에 흡입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실린더 장치는 실린더(1) 내의 공기 빠짐을 행할 수가 있다. 제6 통로(T6)는, 상측이 되도록 설치된 오리피스(24)에 의해, 로드측 실(8)의 에어가 탱크(25)에 유도된다. 이 때문에, 이 실린더 장치는, 액추에이터 또는 댐퍼로서 기능시키는 경우, 오리피스(24)가 저항이 되어 제6 통로(T6)를 통과한 유량이 크게 제한되고 제6 통로(T6)를 작동유가 통과하는 로스를 최소한으로 멈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린더 장치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댐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 실린더 장치의 제1 개폐 밸브(V1) 및 제2 개폐 밸브(V2)를 폐변시킨다. 그러면, 이 실린더 장치는, 제4 통로(T4), 배출 통로(T7)를 경유한 제1 통로(T1) 및 제5 통로(T5)에 의해, 로드측 실(8), 탱크(25) 및 피스톤측 실(9)이 열로 이어져 연통한다.
이 실린더 장치의 제4 통로(T4), 배출 통로(T7) 및 제5 통로(T5)는, 작동유가 일방향으로 유통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실린더 장치는, 외력에 의해 신장하면, 실린더(1) 내의 작동유가, 제4 통로(T4) 및 배출 통로(T7)를 경유한 제1 통로(T1)를 통하여 탱크(25)에 되돌아온다. 또한, 이 실린더 장치는, 실린더(1) 내에서 부족해지는 작동유가 제5 통로(T5)를 통하여 탱크(25)로부터 실린더(1) 내에 공급된다. 또한, 이 실린더 장치는, 외력에 의해 수축하면, 피스톤 로드(10)가 진입한 분의 작동유가, 배출 통로(T7)를 경유한 제1 통로(T1)를 통하여 탱크(25)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외력에 의해 신축할 때, 배출 통로(T7) 내를 유통하는 작동유에 대해 릴리프 밸브(V3)가 저항이 되어 실린더(1) 내의 압력을 개변압으로 조정하는 압력 제어 밸브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실린더 장치는 댐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실린더 장치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장 방향으로 소망하는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실린더 장치의 제1 개폐 밸브(V1)를 폐변하고 제2 개폐 밸브(V2)를 개변한다. 그리고 실린더 장치의 신축 상황에 응하여 모터(18)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켜서 펌프(17)를 구동하고 탱크(25)로부터 실린더(1) 내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로드측 실(8)과 피스톤측 실(9)이 연통한 상태에서 작동유가 공급되면, 피스톤(7)이 로드측 실(8) 방향(도 1에서의 좌방향)으로 눌려져서 신장 방향의 추력을 발휘한다. 이 실린더 장치는, 로드측 실(8) 및 피스톤측 실(9)의 압력이 릴리프 밸브(V3)의 개변압을 상회하면, 릴리프 밸브(V3)가 개변하여 작동유가 배출 통로(T7) 및 외부 통로(27)를 통하여 탱크(25)에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로드측 실(8) 및 피스톤측 실(9)의 압력이 릴리프 밸브(V3)의 개변압에 대응한다. 즉, 이 실린더 장치는 로드측 실(8) 및 피스톤측 실(9)의 압력을 릴리프 밸브(V3)에 주는 전류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실린더 장치는, 피스톤(7)에서 피스톤측 실(9)측과 로드측 실(8)측의 수압 면적의 차에, 릴리프 밸브(V3)에 주는 전류량으로 제어된 로드측 실(8) 및 피스톤측 실(9)의 압력을 곱한 값의 추력을 신장 방향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린더 장치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축 방향으로 소망하는 추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 실린더 장치의 제1 개폐 밸브(V1)를 개변하고 제2 개폐 밸브(V2)를 폐변한다. 그리고 실린더 장치의 신축 상황에 응하여 모터(18)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켜서 펌프(17)를 구동하고 탱크(25)로부터 로드측 실(8) 내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제2 통로(T2)를 통하여 피스톤측 실(9)과 탱크(25)가 연통한 상태에서 로드측 실(8)에 탱크(25)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면, 피스톤(7)이 피스톤측 실(9) 방향(도 1에서 우방향)으로 눌려져서 수축 방향의 추력을 발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로드측 실(8)의 압력을 릴리프 밸브(V3)에 주는 전류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 장치는, 피스톤(7)에서의 로드측 실(8)측의 수압 면적에, 릴리프 밸브(V3)에 주는 전류량으로 제어된 로드측 실(8)의 압력을 곱한 값의 추력을 수축 방향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 실린더 장치는, 실린더(1), 피스톤(7), 외통(11), 탱크(25) 및 제1 배관(30)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에 활주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를 로드측 실(8)과 피스톤측 실(9)로 구획하고 있다. 외통(11)은, 실린더(1)의 외측에 배치되고 실린더(1)를 덮고 있다. 탱크(25)는, 실린더(1)와 외통(11)의 간극에 형성되고 작동유를 저류하고 있다. 제1 배관(30)은, 로드측 실(8)에 급배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제1 통로(T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배관(30)은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보다도 크다. 제1 배관(30)은 탱크(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 장치는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보다도 큰 제1 배관(30)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제1 배관(30)은, 제1 배관(30)이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1 통로(T1)에 충전된 작동유로부터 받는 압력의 수압 면적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보다도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쪽이 크다. 이 때문에, 이 제1 배관(30)은, 제1 통로(T1) 내의 작동유의 압력을 받으면, 제1 삽입부재(32)로부터 제2 삽입부재(33)를 향하는 힘이 우세하여 제2 삽입부재(33)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제1 배관(30)은, 제2 삽입부재(33)의 단부(당접부(33A))가 제2 연통구(R2)의 개구단부(22A)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 부재(22)의 단면에 당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진동하여도 제1 배관(30)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1 배관(30)의 양단부와 제1 연통구(R1), 제2 연통구(R2)의 연결 부분이 마모에 의해 수밀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실린더 장치는 장기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관(30)은, 배관 본체(31)와 제1 삽입부재(32)와 제2 삽입부재(33)를 갖고 있다. 배관 본체(31)는, 일직선상에 늘어나고 내경 및 외경이 일정하다. 제1 삽입부재(32)는 배관 본체(31)의 일방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삽입부재(33)는 배관 본체(31)의 타방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삽입부재(32)와 제2 삽입부재(33)는, 배관 본체(31)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이다. 또한, 제1 삽입부재(32)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의 외경보다도 크다. 이와 같이, 제1 배관(30)을 구성함에 의해, 실린더 장치는, 배관 본체(31)를 가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린더 장치는, 외통(11)과 실린더(1)의 간극을 작게 하고 외통(11)을 가늘게 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장치는 철도 차량의 차체의 제진(制振) 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 실린더(1)의 중심축이 수평 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실린더 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배관(30)이 탱크(25) 내의 작동유의 유면 높이 부근에 따라 배치된다. 이 때문에, 이 실린더 장치는 제1 배관(30)이 실린더 장치의 진동에 의해 탱크(25) 내의 작동유에 생기는 파(波)의 소파(消波) 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제1 배관(30)이 연통하는 제1 연통구(R1)는 제1 통로(T1)의 탱크(25)에 마련된 유입구(19)를 피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실린더 장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25)와 로드측 실(8)을 연통하는 제1 통로(T1)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배관(30)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피스톤측 실(9)과 탱크(25)를 연통하는 제2 통로(T2)의 일부를 탱크(25) 내에 배치한 제2 배관(40)이 구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예 1과 상위하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배관(40)은, 실시예 1의 제1 배관(30)과 동일한 구조이고 배관 본체(31), 제1 삽입부재(32) 및 제2 삽입부재(33)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배관(40)도, 제1 삽입부재(32)의 일방의 단부를 덮개 부재(12)의 덮개 본체(113)에 형성된 제1 연통구(R1)에 삽입하고 제2 삽입부재(33)의 타방의 단부를 유로 형성 부재(22)에 형성된 제2 연통구(R2)에 삽입하고 탱크(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배관(40)은 제2 통로(T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통로(T1)는 탱크(25)와 로드측 실(8)을 연통하고 있다. 제1 통로(T1)는, 탱크(25)에 연통하고 덮개 부재(12)의 덮개 본체(113) 내에 형성되고 일단이 탱크(25)에 연통한 통로(126)와 로드측 실(8)에 연통하고 로드 가이드(120)측에서 외부에 개구한 통로(123)를 연통하는 외부 통로(127)를 갖고 있다. 제2 통로(T2)는, 피스톤측 실(9)과 탱크(25)를 연통하고 있다. 제2 통로(T2)는, 그 일부를 제2 배관(40)이 구성하고 있다. 제2 통로(T2)는, 제2 연통구(R2)에 연통하여 로드 가이드(120)측에서 외부에 개구한 통로(81)과 탱크(25)를 연통하는 외부 통로(82)를 갖고 있다. 배출 통로(T7)는 제1 통로(T1)의 펌프(17) 및 제1 역지 밸브(C1)를 우회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실린더 장치는, 실린더(1), 피스톤(7), 외통(11), 탱크(25) 및 제2 배관(40)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에 활주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를 로드측 실(8)과 피스톤측 실(9)로 구획하고 있다. 외통(11)은, 실린더(1)의 외측에 배치되고 실린더(1)를 덮고 있다. 탱크(25)는, 실린더(1)와 외통(11)의 간극에 형성되고 작동유를 저류하고 있다. 제2 배관(40)은, 피스톤측 실(9)에 급배되는 작동유가 통과하는 제2 통로(T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배관(40)은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보다도 크다. 제2 배관(40)은 탱크(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린더 장치는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보다도 큰 제2 배관(40)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제2 배관(40)은, 제2 배관(40)이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2 통로(T2)에 충전된 작동유로부터 받는 압력의 수압 면적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보다도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쪽이 크다. 이 때문에, 이 제2 배관(40)은, 제2 통로(T2) 내의 작동유의 압력을 받으면, 제1 삽입부재(32)로부터 제2 삽입부재(33)를 향하는 힘이 우세하여 제2 삽입부재(33)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제2 배관(40)은, 제2 삽입부재(33)의 단부(당접부(33A))가 제2 연통구(R2)의 개구단부(22A)를 형성한 유로 형성 부재(22)의 단면에 당접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진동하여도 제2 배관(40)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배관(40)의 양단부와 제1 연통구(R1), 제2 연통구(R2)의 연결 부분이 마모에 의해 수밀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실린더 장치도, 장기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실린더 장치인 완충기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 피스톤(7), 피스톤 로드(10), 외통(11), 덮개 부재(212), 로드 가이드(220), 탱크(25), 연통로(T8) 및 제3 배관(50)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1), 피스톤(7), 피스톤 로드(10), 외통(11) 및 탱크(25)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 부재(212) 및 로드 가이드(220)는, 작동유가 유통되는 각 통로를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제3 배관(50)은 실시예 1의 제1 배관(30)과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통로(T8)는 로드측 실(8)과 피스톤측 실(9)을 연통하고 있다. 즉, 연통로(T8)는, 로드측 실(8)과 제2 연통구(R2)의 사이를 연통하는 제1 내부 통로(51), 제3 배관(50), 제1 연통구(R1)에 연통하고 외부에 개구한 제2 내부 통로(52), 외부 통로(53) 및 외부 통로(53)에 연통하여 덮개 부재(212) 내에 마련되고 역지 밸브(C4)를 통하여 피스톤측 실(9)에 연통하는 제3 내부 통로(54)를 갖고 있다. 역지 밸브(C4)는, 작동유가 로드측 실(8)로부터 피스톤측 실(9)를 향하여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피스톤측 실(9)로부터 로드측 실(8)을 향하여 흐르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제3 내부 통로(54)는 분기하여 탱크(25)에 연통하고 있다.
제3 배관(50)은, 실시예 1의 제1 배관(30)과 동일한 구조이고 배관 본체(31), 제1 삽입부재(32) 및 제2 삽입부재(33)를 갖고 있다. 또한, 제3 배관(50)도, 제1 삽입부재(32)의 일방의 단부를 덮개 부재(212)의 덮개 본체(13)에 형성된 제1 연통구(R1)에 삽입하고 제2 삽입부재(33)의 타방의 단부를 유로 형성 부재(22)에 형성된 제2 연통구(R2)에 삽입하고 탱크(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배관(50)은 연통로(T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외부 통로(53)는, 로드측 실(8)로부터 피스톤측 실(9)을 향하여 제1 개폐 밸브(V4)와 제1 감쇠 밸브(V5)를 이 순서로 마련하고 있다. 제1 개폐 밸브(V4)는, 전자식 개폐 밸브이고 외부 통로(53)를 개폐하는 밸브(61)와 밸브(61)를 개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62)과 밸브(61)를 폐변하는 방향으로 추력을 부여하는 솔레노이드(63)를 갖고 있다. 이 완충기는, 제1 개폐 밸브(V4)와 제1 감쇠 밸브(V5)를 우회하여 외부 통로(53)에 연통하는 우회 통로(55)를 갖고 있다. 우회 통로(55)는 제2 감쇠 밸브(V6)를 마련하고 있다.
이 완충기는, 통상, 제1 개폐 밸브(V4)를 폐변하여 두고 외력에 의해 신장하면, 로드측 실(8) 내의 작동유가 연통로(T8), 우회 통로(55) 및 제2 감쇠 밸브(V6)를 경유하여 실린더(1) 내에 공급된다. 이 완충기는, 외력에 의해 신장할 때, 제1 개폐 밸브(V4)를 개변하면, 제1 감쇠 밸브(V5) 및 제2 감쇠 밸브(V6)에 작동유가 통과한다. 이와 같이 하여 완충기는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완충기는, 실린더(1), 피스톤(7), 외통(11), 탱크(25) 및 제3 배관(50)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에 활주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7)은 실린더(1) 내를 로드측 실(8)과 피스톤측 실(9)로 구획하고 있다. 외통(11)은, 실린더(1)의 외측에 배치되고 실린더(1)를 덮고 있다. 탱크(25)는, 실린더(1)와 외통(11)의 간극에 형성되고 작동유를 저류하고 있다. 제3 배관(50)은, 로드측 실(8) 및 피스톤측 실(9)에 급배된 작동유가 통과하는 연통로(T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3 배관(50)은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보다도 크다. 제3 배관(50)은 탱크(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완충기는,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의 외경보다도 큰 제3 배관(50)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제3 배관(50)은, 제3 배관(50)이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연통로(T8)에 충전된 작동유로부터 받는 압력의 수압 면적이, 제2 삽입부재(33)를 연결한 단부보다도 제1 삽입부재(32)를 연결한 단부의 쪽이 크다. 이 때문에, 이 제3 배관(50)은, 연통로(T8) 내의 작동유의 압력을 받으면, 제1 삽입부재(32)로부터 제2 삽입부재(33)를 향하는 힘이 우세하여 제2 삽입부재(33)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제3 배관(50)은, 제2 삽입부재(33)의 단부(접합부(33A))가 제2 연통구(R2)의 개구단부(22A)를 형성한 유로 형성 부재(22)의 단면에 당접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 실린더 장치는, 진동하여도 제3 배관(50)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3 배관(50)의 양단부와 제1 연통구(R1), 제2 연통구(R2)의 연결 부분이 마모에 의해 수밀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3의 완충기도, 장기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 1∼3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예 1∼3에서는, 제1∼3 배관을 배관 본체, 제1 삽입부재 및 제2 삽입부재로 형성하였지만, 양단의 외경이 상위하는 관부재(管部材)만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배관 본체의 일방의 단부에만 삽입부재를 마련하고 양단의 외경을 상위시켜도 좋다.
(2) 실시예 1∼3에서는, 실린더 장치 및 완충기에 작동유를 충전하였지만, 다른 액체를 충전하여도 좋다.
(3) 실시예 1∼3의 실린더 장치 또는 완충기는 철도 차량의 차체 이외의 제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4) 실시예 3에서 제1 개폐 밸브를 없애고 제2 감쇠변을 개폐 밸브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완충기는, 통상, 개폐 밸브를 폐변하여 두고 외력에 의해 신장하면, 제1 감쇠변을 작동유가 통과하고 개폐 밸브를 개변하면, 우회 통로를 작동유가 자유롭게 통과하게 된다.
1 : 실린더 7 : 피스톤
8 : 로드측 실 9 : 피스톤측 실
10 : 피스톤 로드 11 : 외통
12, 112, 212 : 덮개 부재 17 : 펌프
20, 120, 220 : 로드 가이드 21 : (로드 가이드의) 관통구멍
22 : 유로 형성 부재 25 : 탱크
30 : 제1 배관(배관) 31 : 배관 본체
32, 33 : 삽입부재(32 : 제1 삽입부재, 33 : 제2 삽입부재)
33A : (제2 삽입부재의) 단부(당접부)
40 : 제2 배관(배관) 50 : 제3 배관(배관)
R1 : 제1 연통구 R2 : 제2 연통구
T1, T2, T8 : 통로(T1 : 제1 통로, T2 : 제2 통로, T8 : 연통로)
V1 : 제1 개폐 밸브(개폐 밸브)

Claims (9)

  1. 실린더 장치로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자재(自在)로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 내를 로드측 실과 피스톤측 실로 구획한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를 덮는 외통과,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의 간극에 형성되고 작동 유체를 저류하는 탱크와,
    상기 로드측 실 또는 상기 피스톤측 실에 급배되는 상기 작동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일방의 단부 외경을 타방의 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탱크 내에 배치한 배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배관 본체와,
    상기 배관 본체의 적어도 일단에 연결하고 상기 배관 본체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인 삽입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일방의 단부와 상기 외통의 일방의 단부를 폐색하고 상기 탱크 내에 개구하여 상기 배관의 일방의 단부를 삽입한 제1 연통구가 형성된 덮개 부재와,
    일방의 단부가 상기 피스톤에 연결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외통의 타방의 단부 및 상기 실린더의 타방의 단부를 폐색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를 이동 자재(自在)로 삽통하는 로드 가이드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외통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로드 가이드에 연결하고 상기 탱크 내에 개구하여 상기 배관의 타방의 단부를 삽입한 제2 연통구가 형성된 유로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길이가 상기 제1 연통구의 속측 단면과 상기 제2 연통구의 속측 단면의 간격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은 외경이 작은 쪽의 단부에 상기 덮개 부재 또는 상기 유로 형성 부재에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로드측 실과 상기 탱크를 연통하는 제1 통로를 가지며,
    상기 배관은 상기 제1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피스톤측 실과 상기 탱크를 연통하는 제2 통로를 가지며,
    상기 배관은 상기 제2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로드측 실과 상기 피스톤측 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가지며,
    상기 배관은 상기 연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로드측 실과 상기 탱크를 연통하는 제1 통로와 상기 피스톤측 실과 상기 탱크를 연통하는 제2 통로와 상기 로드측 실과 상기 피스톤측 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통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에 상기 작동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제2 통로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KR1020167032706A 2014-05-23 2015-03-20 실린더 장치 KR20160145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6892 2014-05-23
JP2014106892A JP6306940B2 (ja) 2014-05-23 2014-05-23 シリンダ装置
PCT/JP2015/058423 WO2015178089A1 (ja) 2014-05-23 2015-03-20 シリン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187A true KR20160145187A (ko) 2016-12-19

Family

ID=5455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706A KR20160145187A (ko) 2014-05-23 2015-03-20 실린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18984A1 (ko)
JP (1) JP6306940B2 (ko)
KR (1) KR20160145187A (ko)
CN (1) CN106460885B (ko)
CA (1) CA2948789A1 (ko)
WO (1) WO20151780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83A (ko) * 2020-08-11 2022-02-18 용정현 속도 조절용 댐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7220B2 (ja) * 2014-05-12 2018-09-26 Kyb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CN107407214A (zh) * 2015-02-27 2017-11-28 斗山英维高株式会社 工程机械的启动辅助装置
CN108591168B (zh) * 2018-05-29 2020-09-29 海达门控有限公司 一种闭门器用双向恒压撑杆
DE102019206455A1 (de) * 2019-05-06 2020-11-12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zwei verstellbaren Dämpfventileinrichtung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694A (ja) 2006-07-20 2008-02-07 Kayaba Ind Co Ltd 緩衝器
JP2010065797A (ja) 2008-09-12 2010-03-25 Kayaba Ind Co Ltd シリン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81050A (fr) * 1960-06-09 1962-01-08 Armstrong Patents Co Ltd Perfectionnements aux amortisseurs de chocs
US3815361A (en) * 1971-03-22 1974-06-11 G Manini Device for operating hinged closures
JPH0754899A (ja) * 1993-08-16 1995-02-28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10169695A (ja) * 1996-12-12 1998-06-23 Yamah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制御式緩衝器
JP5188882B2 (ja) * 2008-05-29 2013-04-24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横置きシリンダ装置
JP5481287B2 (ja) * 2010-06-30 2014-04-23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減衰バルブ
JP5793346B2 (ja) * 2011-05-31 2015-10-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CN202348825U (zh) * 2011-11-28 2012-07-25 宁波佳尔灵气动机械有限公司 一种双行程气缸
CN202790286U (zh) * 2012-09-21 2013-03-13 邵阳市通达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拉伸气弹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694A (ja) 2006-07-20 2008-02-07 Kayaba Ind Co Ltd 緩衝器
JP2010065797A (ja) 2008-09-12 2010-03-25 Kayaba Ind Co Ltd シリン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83A (ko) * 2020-08-11 2022-02-18 용정현 속도 조절용 댐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089A1 (ja) 2015-11-26
JP6306940B2 (ja) 2018-04-04
CN106460885B (zh) 2019-09-06
CA2948789A1 (en) 2015-11-26
CN106460885A (zh) 2017-02-22
US20170218984A1 (en) 2017-08-03
JP2015222108A (ja)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581B1 (ko) 실린더 장치
KR20160145187A (ko) 실린더 장치
JP6336822B2 (ja) シリンダ装置
US9863494B2 (en) Suspension damper
KR101885527B1 (ko) 셔틀 밸브
US20150275999A1 (en)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CN108027006B (zh) 缓冲器
JP2018505361A (ja) 圧力制限弁
JP4895974B2 (ja) 複筒型緩衝器
JP4244346B2 (ja) 油圧制御弁
JP6853637B2 (ja) 減衰弁およびシリンダ装置
JP6714422B2 (ja) 緩衝器
CN103228945B (zh) 阻尼筒
JP2016038071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EP3115620A1 (en) Cylinder device
JP5369058B2 (ja) 減衰バルブ
US11009093B2 (en) Electronically adjustable shock absorber
JP6630186B2 (ja) 緩衝器
WO2016190353A1 (ja) 緩衝器
CN113775687A (zh) 气缸装置
JP4226569B2 (ja) 油圧制御弁のダンパ装置
JP2019183978A (ja) 鉄道車両用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