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034A -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034A
KR20160144034A KR1020150080283A KR20150080283A KR20160144034A KR 20160144034 A KR20160144034 A KR 20160144034A KR 1020150080283 A KR1020150080283 A KR 1020150080283A KR 20150080283 A KR20150080283 A KR 20150080283A KR 20160144034 A KR20160144034 A KR 20160144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functional
functional hub
hub
b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중
Original Assignee
이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중 filed Critical 이상중
Priority to KR102015008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034A/ko
Publication of KR20160144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0)와; 기능성 허브를 준비하는 단계(S200); 비트와 기능성 허브를 혼합하는 단계(S300); 비트와 기능성 허브로 배합된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S400); 비트와 기능성 허브로 배합된 혼합물을 가열건조하는 단계(S500); 비트와 기능성 허브로 배합된 혼합물을 덖음하는 제1 덖음 단계(S600);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단계(S700); 및 비트를 덖음하는 제2 덖음 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BEET TE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A USING BEET}
본 발명은 비트 차(茶)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인관계가 다양해지고 빈번해지면서 타인과의 만남 시 기호식품인 차(tea)가 필수적 요소로 대두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차를 즐겨 이용하게 된다. 이에 참살이(well-being)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은 음용수에 있어서도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는 차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는 없다.
허브차는 신선한 잎을 그대로 우려내어 마시기도 하고 장기간 보관하면서 허브의 풍미를 즐기기 위해 허브를 말려서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허브차는 특허문헌 1에 제안된 바와 같이 치료를 겸한 예방의 효용이 있고 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음료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 뿌리채소가 현대인들에게 부족한 식이섬유와 비타민이 풍부한 웰빙 식재료로 주목을 받고 있는데, 땅속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뿌리채소들은 그 영양분을 뿌리에 저장하게 되어 미네랄, 비타민 등의 영영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뿌리채소 중 하나인 비트(beet)는 수분이 88% 내외이고, 식이섬유, 칼슘(Ca), 인(P), 철(Fe) 등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비트를 차 형태로 음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슬라이이스한 비트를 단순 건조하거나 덖어서 차(茶)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조된 비트 차는 풍미가 부족하여 폭넓은 이용자층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36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뿌리채소 중 하나인 비트를 주원료로 하여, 풍미가 풍부한 비트차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비트 차의 제조방법은, 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0); 기능성 허브를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준비된 비트와 상기 준비된 기능성 허브를 혼합하는 단계(S300); 상기 혼합에 의한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S400); 상기 숙성의 이후 상기 혼합물을 건조기로써 가열건조하는 단계(S500); 상기 가열건조의 이후 상기 혼합물을 덖음하는 제1 덖음 단계(S600); 및 상기한 제1 덖음 단계(S600)의 이후에 상기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한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0)는, 상기 비트를 세척하는 단계(S120); 상기 비트의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비트를 슬라이스 형태로 편썰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한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편썰기하는 단계(S140)의 이후에, 슬라이스 형태의 상기 비트는 모양틀을 통해 성형하는 단계(S1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한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허브는 로즈마리, 라벤더, 페파민트, 캐모마일, 재스민, 세이지, 오레가노, 타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S300)에서, 상기 비트와 상기 기능성 허브는 켜켜이 적층배치된다.
상기한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숙성하는 단계(S400)에서는 2~3일 동안 저온숙성한다.
상기한 비트 차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단계(S700)의 이후에, 상기 비트를 덖음하는 제2 덖음 단계(S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덖음 단계(S600)는 덖음 온도를 점차적으로 낮춰주면서 덖으며, 상기 제2 덖음 단계(S800)의 덖음 온도는 상기 제1 덖음 단계(S700)의 덖음 온도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비트 차는, 비트에 기능성 허브의 취미(臭味)를 침투시키는 과정과, 상기 침투가 이루어진 후 상기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과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상기한 비트 차에 있어서, 상기한 기능성 허브의 취미(臭味)를 침투시키는 과정은, 상기 비트와 상기 기능성 허브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덖음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한 비트 차에 있어서, 상기 비트 차는, 슬라이스 형태의 비트를 모양틀에 의해 성형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허브의 향을 침투시킨 비트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트 차는 물에 담가 지면 비트의 진홍색으로 우려지면서 기능성 허브의 향을 발산하여, 음용자에게 음용시 심미성과 풍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다양한 허브를 제조 과정 중에서 혼합할 수 있어 음용자의 기호성을 맞춰 즐겁게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 단계에 앞서 얇게 저미어진 비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하는데, 이는 음용시 비트 고유의 색을 우러나오게 하면서도 다양한 모양의 비트를 감상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트 차를 제조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비트 차의 제조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트 차의 제조 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건조 방식 및/또는 덖음 방식을 통해 비트 고유의 취미(臭味)에 더불어, 음용자의 기호에 맞는 맛과 향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허브(herb)의 취미(臭味)를 비트에 침투시켜, 항산화성, 기호성, 기능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트 차를 제조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트 차는 뿌리채소인 레드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비트 준비 단계(S100)는 뿌리채소 중 하나인 비트를 음용가능하도록 껍질과 이 껍질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이용된다.
단계(S100)에서, 비트는 다음과 같은 세분화된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준비될 수 있다.
단계(S110)는 뿌리채소인 비트를 공급하는 단계로, 비트 차에 사용될 비트의 크기 등의 외관을 확인 및 검수한다.
단계(S120)는 물을 이용하여 비트를 세척하는 것으로, 비트의 껍질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단계(S130)는 세척처리된 껍질을 제거하는데, 필요에 따라 비트의 결점 부위도 칼로 도려내어 제거하도록 한다. 껍질 제거 단계(S130)는 비트를 냉수 혹은 온수에 넣고 잘 우려낼 수 있도록 돕는 한편 세척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흙 등의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하여 청결한 음용을 가능하게 한다.
단계(S140)는 껍질이 벗겨진 비트를 편썰기하는 단계로서, 비트를 슬라이스(slice) 형태로 얇게 하여 음용시 물에 잘 우려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절취(切取)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예를 들면 5mm 정도)로 편썰기한다. 편썰기 단계(S140)는 다음의 성형 단계(S150), 건조 단계, 덖음 단계 시 비트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두께로 비트를 편썰기하도록 한다.
추가로, 단계(S150)는 편썰기를 통해 슬라이스 형태의 비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비트 성형 단계(S150)는 십자가, 별, 하트 등의 다양한 형상의 모양틀을 수단으로 하여 슬라이스 형태의 비트를 가압하여 모양틀 형상에 맞춰 성형할 수 있다.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된 비트는 후술될 건조단계 및/또는 덖음단계를 통해 비트 내부에 물기가 말라 건조해져 수축상태로 유지되는데, 건조상태의 비트를 냉수 혹은 온수에 침지(浸漬)시켜 우려낼 때 비트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팽창되어 단계(S150)를 통해 모양틀로 성형된 최초 형상으로 복원된다. 즉, 비트가 냉수 혹은 온수에서 우려지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복원되어, 음용자가 비트 차를 음용할 때 컵 속에 담겨진 다양한 형상의 비트를 통해 심미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트 차는 뿌리채소인 비트와 함께 다양한 기능성 허브를 혼합하는데, 이를 위해 기능성 허브를 준비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허브는 허브 고유의 향을 통해 긴장완화 및 기분전환의 효과, 다량 함유된 미네랄을 통한 신진대사의 기능 유지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기능성 허브는 로즈마라(rosemary), 라벤더(lavender), 페파민트(mint), 캐모마일(chamomile), 재스민(jasmine), 세이지(sage), 오레가노(oregano), 타임(thyme)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허브가 본 발명의 비트 차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기능성 허브의 준비 단계(S200)를 통해 공급되는 기능성 허브는 기 건조 상태의 허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건조 상태의 기능성 허브는 후속 공정인 건조와 덖음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 허브를 통해 비트 고유의 향미를 저감하거나 허브향을 증대시켜 풍미감을 더할 수 있다.
단계(S150)를 통해 기 성형된 비트와 준비된 허브를 혼합하는데, 본 발명은 비트와 기능성 허브의 각 영양성분과 맛 그리고 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정량의 비트와 기능성 허브를 혼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건조시 기준으로 기능성 허브와 비트를 0.8:5~1:5 중량비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비트와 기능성 허브의 혼합물을 준비한 다음에, 숙성 단계(S400)를 시행한다. 숙성 단계(S400)는 기 성형된 비트에 기능성 허브의 향이 충분히 스며들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게 된다. 숙성 단계를 통해, 비트가 기능성 허브의 효능과 향미를 획득한다.
숙성 단계(S400)는 뿌리채소인 비트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온숙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며, 예를 들면 0~5℃에서 2~3일 숙성하도록 한다. 기능성 허브의 향이 비트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비트와 기능성 허브는 혼합 단계(S300)에서 켜켜이 적층배치된다.
기능성 허브 및 비트의 혼합비율과 숙성기간은 비트차에서 얻을 허브향의 농도에 따라 0.8:5~1:5 중량비 및 2~3일의 범위이외에서도 선택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보다 진한 향을 원할 때는 허브의 혼합비율을 보다 높이고 숙성기간을 늘릴수도 있다.
숙성 단계(S400)를 통하여 기능성 허브의 향을 비트에 1차 침투시키며, 후술하겠으나, 추후 혼합물에서 기능성 허브는 제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열건조 단계(S500)를 포함하는 바, 숙성 단계를 위해 켜켜이 쌓여 있던 혼합물을 건조틀 상에 골고루 펼치며, 예를 들면, 건조기를 이용해 70℃ 내외의 온도에서 7~10시간 동안 건조하는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비트와 기능성 허브의 수분함량, 비트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비트와 기능성 허브의 혼합물은 가열건조 단계(S500)를 거치면서 수분함유량이 매우 낮은 건조 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연건조 방식을 채용하지 않는 대신에 열풍 등을 통한 가열건조 방식을 적용하는 데, 태양광과 자연 통풍을 이용하는 자연건조는 계절 및 날씨 등에 따라 건조 정도에 차이가 있고 건조 시간의 정량화가 어렵기도 하지만, 특히, 장시간 대기중에 혼합물을 노출하게 될 경우 기능성 허브의 향이 옅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비트와 기능성 허브의 혼합물을 덖어주는 제1 덖음 단계(S600)를 포함하는데, 제1 덖음 단계(S600)는 복수 회 반복 실행될 수 있다. 제1 덖음 단계에서는 혼합물을 용기(가마솥)에 넣고 대략 110℃에서 덖고 서냉한다. 특히, 제1 덖음 단계는 비트와 기능성 허브를 동시에 덖어서 기능성 허브의 향을 비트에 2차 침투시키는 바, 비트차에서 허브향이 더욱 진해지고 뒷맛이 깔끔해지는 효과가 있다.
만약 가열건조 단계(S500)에서 비트가 제대로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해서 제 1 덖음 단계(S600)가 실행되면, 제1 덖음 단계(S600)의 도중에 비트로부터 비트의 유효 성분과 색이 포함된 비트즙(비트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비트즙은 열에 의해서 수분이 증발된 후 타기도 하지만, 비트즙의 배출은 완성된 비트차에서 색과 풍미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덖음 단계(S600)는 덖는 동안에 용기의 가열 온도, 즉 덖음 온도를 서서히 낮출 수 있다. 단계(S600)에서는 덖으면서 덖음 온도를 점차 낮춰줌으로써, 비트에서 소량 배출될 수 있는 수분이 기화되는 시간을 제공한다.
제1 덖음 단계(S600)가 완료되면, 비트와 기능성 허브로 구성된 혼합물에서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단계(S700)를 실시한다. 따라서 완성된 비트차에서는 기능성 허브의 취미가 비트에 침투어되어 있는 반면, 기능성 허브를 구성했던 입자 등은 제거된다.
완성된 비트차는 가공된 비트의 성형물만을 포함하게 되며, 비트의 성형물은 어느 정도의 크기와 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물에 가라앉는 바, 티백 형태로 제공되거나 거름망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음용자로서는 손쉽게 비트차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녹차 또는 허브차는 입자가 작은 편이고 물에 뜨기 때문에 티백 형태로 제공되거나 거름망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반면, 본 발명의 비트차는 허브의 풍미를 가미하면서도 이와 같은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덖음 단계(S800)를 포함한다. 제2 덖음 단계(S800)는 제거 단계(S700)에 의해 기능성 허브가 제거된 후이므로, 비트만을 덖는 것이며 복수 회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제2 덖음 단계에서는 비트를 용기에 넣고 중간 불(제1 덖음 단계 보다 낮은 온도) 하에서 덖고 서냉시킨다. 제2 덖음 단계는 전술되었듯이 비트만을 덖는 것으로서, 비트의 무맛을 저감시키고 고소한 맛을 증대시킨다.
전술된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 비트 차는 포장재로써 포장될 수 있고 침출차로서 음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허브의 향을 침투시킨 비트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트 차는 물에 담가지면 비트의 진홍색으로 우려지면서 기능성 허브의 향을 발산하여, 음용시 심미성과 풍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다양한 허브를 제조 과정 중에서 혼합할 수 있어 음용자의 기호에 맞춰 즐겁게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 단계에 앞서 얇게 저미어진 비트를 다양한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는 데, 이는 음용시 비트 고유의 색을 우러나오게 하면서도 다양한 모양의 비트를 감상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비트는 수분함량이 88% 내외인데, 수분함량이 떨어지면 비트는 상품성이 떨어져 시중에서 판매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통 과정중 말라서 상품성이 떨어진 비트도 비트 차의 재료로서 활용할 수도 있게 되므로, 비트의 재활용 차원에서도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성된 비트차가 가공된 비트의 성형물만을 포함하게 되므로, 기능성 허브의 풍미를 가미하면서도 티백 또는 거름망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트 차 및 그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0)

  1. 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0);
    기능성 허브를 준비하는 단계(S200);
    상기 준비된 비트와 상기 준비된 기능성 허브를 혼합하는 단계(S300);
    상기 혼합에 의한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S400);
    상기 숙성의 이후 상기 혼합물을 건조기로써 가열건조하는 단계(S500);
    상기 가열건조의 이후 상기 혼합물을 덖음하는 제1 덖음 단계(S600); 및
    상기한 제1 덖음 단계(S600)의 이후에 상기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비트 차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비트를 준비하는 단계(S100)는,
    상기 비트를 세척하는 단계(S120);
    상기 비트의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130); 및
    상기 비트를 슬라이스 형태로 편썰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비트 차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편썰기하는 단계(S140)의 이후에, 슬라이스 형태의 상기 비트는 모양틀을 통해 성형하는 단계(S150)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트 차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허브는 로즈마리, 라벤더, 페파민트, 캐모마일, 재스민, 세이지, 오레가노, 타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비트 차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S300)에서, 상기 비트와 상기 기능성 허브는 켜켜이 적층배치되는 비트 차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숙성하는 단계(S400)에서는 2~3일 동안 저온숙성하는 비트 차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단계(S700)의 이후에, 상기 비트를 덖음하는 제2 덖음 단계(S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덖음 단계(S600)는 덖음 온도를 점차적으로 낮춰주면서 덖으며, 상기 제2 덖음 단계(S800)의 덖음 온도는 상기 제1 덖음 단계(S700)의 덖음 온도 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비트 차의 제조 방법.
  8. 비트에 기능성 허브의 취미(臭味)를 침투시키는 과정과, 상기 침투가 이루어진 후 상기 기능성 허브를 제거하는 과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비트 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한 기능성 허브의 취미(臭味)를 침투시키는 과정은,
    상기 비트와 상기 기능성 허브를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덖음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비트 차.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트 차는,
    슬라이스 형태의 비트를 모양틀에 의해 성형한 것인,
    비트 차.
KR1020150080283A 2015-06-08 2015-06-08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KR20160144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283A KR20160144034A (ko) 2015-06-08 2015-06-08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283A KR20160144034A (ko) 2015-06-08 2015-06-08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034A true KR20160144034A (ko) 2016-12-16

Family

ID=5773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283A KR20160144034A (ko) 2015-06-08 2015-06-08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03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11A (ko) 2018-07-02 2020-01-10 농업회사법인 (주)배려 장내 흡수율을 높인 비트주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220002018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슬로우앤로 과채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58927A (ko) 2022-05-13 2023-11-21 초록 에프앤비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과채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685B1 (ko) 2005-06-28 2007-05-02 (주)상수허브랜드 관능미가 뛰어난 항암 기능성 허브녹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685B1 (ko) 2005-06-28 2007-05-02 (주)상수허브랜드 관능미가 뛰어난 항암 기능성 허브녹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711A (ko) 2018-07-02 2020-01-10 농업회사법인 (주)배려 장내 흡수율을 높인 비트주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11324245B2 (en) 2018-07-02 2022-05-10 Baeryeo Co., Ltd. Beet juice with increased intestinal absorption,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use
KR20220002018A (ko)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슬로우앤로 과채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58927A (ko) 2022-05-13 2023-11-21 초록 에프앤비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과채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12732A (zh) 一种麻辣红油及其制备方法
KR102119694B1 (ko) 유자쌍화차 및 이를 이용한 유자쌍화차 추출액
JP2006520607A (ja) アロマエキスを含有したインスタントコーヒーの調製法
KR101448436B1 (ko) 한방약재가 배합된 맛국물용 조성물 티백 및 그 제조방법
CN103181444A (zh) 一种苦水玫瑰干花瓣茶及其制备方法
KR20160144034A (ko) 비트 차 및 비트 차의 제조 방법
KR101509236B1 (ko) 연근, 우엉, 도라지, 마를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KR101269954B1 (ko) 수세미 열매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수세미 열매 음료
KR101793473B1 (ko) 시래기 제조방법
KR101788449B1 (ko) 모링가 송이버섯 발효차와 이의 제조방법
CN106306139A (zh) 一种蜜制桂花茶的窖制制备方法
CN106690260A (zh) 辣椒酱的加工方法
KR101521017B1 (ko) 곤드레 나물이 함유된 떡의 제조방법
CN105192660A (zh) 用于制备盖浇于烤鱼上配菜的调味料及其制备方法
KR101168145B1 (ko) 감귤이나 녹차 또는 백련초를 이용한 식혜 및 그 제조방법
KR100885376B1 (ko) 송이버섯차 제조방법
CN106962540A (zh) 一种山苍子窨制茶叶工艺及其应用
KR102372075B1 (ko)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KR101122050B1 (ko) 감귤나무 꽃 향을 보유한 차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3318B1 (ko) 돼지감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혼합음료
CN106070893A (zh) 一种凉茶的制作方法
KR20010110044A (ko) 민속청주의 독특한 맛 애주가 기호인식 개선
KR102425532B1 (ko) 홍삼 발효액을 함유한 하몽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함유한 하몽
KR102415019B1 (ko) 도라지 뿌리 발효숙성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92558B1 (ko) 녹차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