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555A -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555A
KR20160143555A KR1020160069264A KR20160069264A KR20160143555A KR 20160143555 A KR20160143555 A KR 20160143555A KR 1020160069264 A KR1020160069264 A KR 1020160069264A KR 20160069264 A KR20160069264 A KR 20160069264A KR 20160143555 A KR20160143555 A KR 20160143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tate
display uni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741B1 (ko
Inventor
루이 나베시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142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0053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14266A external-priority patent/JP6532306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3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e.g. controlling the readout of an image memory
    • H04N5/23212
    • H04N5/23216
    • H04N5/23267
    • H04N5/232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촬상 장치는,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의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변경하는 표시부와,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기간이 역치를 초과한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는 절전부와,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일 때의 역치는,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일 때의 역치보다도 길어지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국면은, 일반적으로 절전 상태와 비절전 상태의 전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치의 전력소비를 억제하기 위해서, 장치에의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이상 계속되면 오토 파워 오프(power-off) 동작을 행해서 그 상태를 절전 상태로 이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2-354335호 공보에서는 음성입력에 의해 촬영을 행할 때에, 무조작 상태가 소정시간이상 계속되는 동안의 오토 파워 오프 동작을 막기 위해서, 음성 트리거 촬영 기능에 의거한 촬영을 행하는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오토 파워 오프 동작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3-131760호 공보에서는, 유저가 의도한 적합한 시간에 오토 파워 오프 동작이 행해지도록, 전원을 온시키는 방법에 따라, 오토 파워 오프 동작이 행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최근, 피사체 자신이 촬영자가 되어서 촬영을 행하는 셀프 촬영(self-shooting)이라고 부르는 촬영방법이 확산되고 있다. 셀프 촬영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반전시켜, 표시부의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각도나 표정 등을 확인한 뒤에 촬영을 행한다. 이 때문에, 촬영 지시를 내릴 때까지 조작을 행하지 않는 촬영 준비의 시간이 길어지고, 일부의 경우에는 아직 유저가 촬영 준비를 행할 때에도 오토 파워 오프 동작 등 때문에 절전 상태로 이행된다. 일본 특허공개 2002-35433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음성 트리거 촬영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셀프 촬영에서는, 상술한 대로 셀프 촬영의 촬영 준비중에, 오토 파워 오프 동작이 행해질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일본 특허공개 2003-13176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셀프 촬영은 전원을 온 시키는 방법에 상관없이 셀프 촬영이 행해지므로, 상술한 대로 촬영 준비중일 때에도 오토 파워 오프 동작을 실행할 가능성이 있다.
종래, 소정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상태에 이행하고, 유저로부터 조작을 접수했을 경우에 절전 상태로부터 복귀하는 전자기기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8-199107호 공보에는, 전원 오프 상태가 센서 동작 전환부재에 의해 동작 상태로 전환될 때, 터치패널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온이 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13-254007호 공보에는, 표시부를 촬상 방향측으로 반전시킨 상태로,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으로 촬영 조작을 행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최근, 배면에 터치 조작 접수 가능한 터치패널이 구비된 카메라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유저가 카메라를 목등에 착용하면서 다녔을 경우에, 터치패널에 유저의 몸이 접촉하여, 의도하지 않는 기능이 실행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8-199107호 공보에 기술된 것처럼, 터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오프 상태로부터 온으로 되면, 유저가 카메라를 목등에 착용하면서 다닐 때에, 터치패널에 유저의 몸이 접촉하여 전원이 온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터치 조작에 따라서 전원이 온이 될 때, 유저의 몸 등이 터치패널에 접촉하면, 의도하지 않는 동작이 행해져 원하지 않는 결과가 생길 경우가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13-254007호 공보에 기술된 것처럼, 표시부를 반전시켜서 촬영을 행할 때에, 유저가 카메라의 촬상측(전방면측)에 있을 가능성이 높고,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은 행하기 쉬워지지만, 카메라의 배면측의 조작 부재를 조작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셀프 촬영 등의 촬영 장치의 사용 상태 등에 따라서 절전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을 적절하게 설정 가능한 촬상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터치패널 등의 표시부의 온과 오프 등을 만족스러운 조작성으로 전환 가능한 촬상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표시부; 상기 접수부가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기간이 역치를 초과한 것에 따라,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는 절전부; 및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일 경우의 역치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반대 방향일 경우의 역치보다도 길어지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내지 1d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적용 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적용 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3a 내지 3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절전 처리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표시 예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례일 뿐이고, 본 발명의 국면이 적용되는 장치의 개개의 구성과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국면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제어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100)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100)는 본체부(21)와 모니터부(20)로 구성되고, 모니터부(20)는 본체부(21)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위치의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유저는 표시부(28)의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a는, 모니터부(20)가 본체부(21)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회전 각도θ=0로 한다. 도 1b는, 모니터부(20)가 본체부(21)에 대하여 회전 각도θ=θh만큼 회전하고 있지만, 표시부(28)와 촬상부(22)는 반대 방향으로 서로 향하여, 촬상부(22)측에 있는 유저로부터는 표시부(28)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c는, 모니터부(20)가 본체부(21)에 대하여 회전 각도θ=θs(> θh)만큼 회전하고, 표시부(28)와 촬상부(22)가 같은 방향으로 향하여, 촬상부(22)측에 있는 유저로부터는 표시부(28)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d는, 유저가 셀프 촬영(셀프 포토그래핑)을 행하는 상황의 일례를 나타내고, 표시부(28)에는 촬영자(피사체)가 표시(라이브 뷰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8)를 반전하면, 촬영자 자신(피사체 자신)이 표시부(28)의 표시를 보면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표시부(28)는 화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이며, 터치패널(70a)은 표시부(28)에 중첩되면서 설치된다. 셀프 촬영 모드(셀프 포토그래핑 모드, 셀프 포토레이트 모도, 셀피(selfie) 모드 등)는, 인물 피사체를 보다 아름답게 촬영하는데 알맞은 촬영 모드다. 상기 셀프 촬영 모드에서는, 검출한 주 얼굴에 대하여, 촬영자(피사체) 자신의 얼굴에, 피부를 아름답게 하는 효과(아름다운 피부 효과)를 적용하거나, 휘도를 조정하거나, 인물의 얼굴이 돋보이도록 배경을 흐리게 할 수 있다. 인물의 얼굴을 작게 하는 효과인 작은 얼굴 효과, 눈을 크게 하는 효과, 날씬하게 보여주는 효과 등을 얼굴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셀프 촬영 모드에서는, 인물의 얼굴영역에 합초하도록 하는 얼굴 오토포커스(AF)를 행할 수 있고, 얼굴AF와 동시에 얼굴AE, 얼굴FE, 얼굴WB도 행할 수 있다. 얼굴AE는, 검출된 얼굴의 휘도에 따라 화면전체의 노출을 최적화하는 처리다. 얼굴FE는, 검출된 얼굴을 중심으로 플래쉬 광을 제어하는 처리다. 얼굴WB는, 검출된 얼굴의 색에 따라 화면전체의 화이트 밸런스를 최적화하는 처리다. 아름다운 피부효과는, 아름다운 피부의 강도에 따라, 피부를 매끈하게 해서 아름답게 하는 효과다. 그 아름다운 피부효과를 채택하는 아름다운 피부처리에서는, 얼굴을 검출하면, 눈, 코, 입이 포함되는 범위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범위내의 YUV의 값을 취득한다. 산출된 Y를 억제하여 피부영역이 평활화되어, 주름살 등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주름살 등의 요철을 흐리게 한다). 또한, UV의 값을 평균화하고, 평균화한 색으로 피부 부분을 입혀서 피부의 색 음영이 감소된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내리기 위한 조작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는 각종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다. 커넥터(112)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나 프린터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 케이블(111)과 디지털 카메라(100)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다. 전원 스위치(72)는, 전원 온과 전원 오프를 전환하기 위한 푸시 버튼이다. 기록 매체(200)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다.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을 접수하는 각종 스위치, 버튼, 터치패널 등의 조작 부재로 이루어진 조작부다. 조작부(70)의 각 조작 부재에는, 예를 들면, 표시부(28)에 표시되는 여러 가지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 조작할 때 장면마다 적절하게 기능이 할당되고, 그 조작부(70)의 각 조작 부재는 각종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기능 버튼은, 예를 들면 세트 버튼(65), 십자 키(66), 메뉴 버튼(67), 라이브 뷰 버튼(68), 다이얼(69)등이 있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67)이 눌리면, 각종의 설정이 가능한 메뉴 화면이 표시부(28)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28)에 표시된 메뉴 화면과, 십자 키(66)의 상, 하, 좌, 우의 4방향 버튼이나 세트 버튼(65)을 사용해서 직관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이얼(69)에의 회전 조작에 의한 조작량에 따라서, 선택된 항목의 변경 등도 행할 수 있다(접수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120)는, 촬영 지시 등의 지시(조작 지시)를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통신 장치로부터 접수하는 통신부다. 촬영 지시 등의 조작 지시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지시(리모트 컨트롤 모드)와, 리모트 컨트롤러이외의 부재에 의한 지시(비리모트 컨트롤 모드)의 양쪽 또는 그 지시 중 어느 한쪽을 접수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에 있어서, 촬영 렌즈(103)는, 줌렌즈와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군이다. 셔터(101)는 조리개 기능을 갖춘 셔터다. 촬상부(2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하결합소자(CCD)나 상보적 금속산화물 반도체(CMOS) 등으로 구성된 촬상 소자다. 아날로그 대 디지털(A/D) 변환기(23)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변환기(23)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화상처리부(24)는, A/D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축소라고 한 리사이즈 처리나,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A/D변환기(2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하여, 혹은, 메모리 제어부(15)를 통해 메모리(32)에 직접 기록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의해 얻어지고 A/D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서 변환된 화상 데이터나, 표시부(28)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32)는, 소정매수의 정지 화상이나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기억하기 위한 충분한 기록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비디오 메모리)로서도 기능한다. 디지털 대 아날로그(D/A) 변환기(13)는, 메모리(32)에 기억된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28)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변환기(13)를 통해 표시부(28)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부(28)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등의 디스플레이 위에, D/A변환기(13)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표시를 행한다. A/D변환기(23)에 의해 일단 A/D변환되어 메모리(32)에 축적된 디지털 신호를, D/A변환기(13)에서 아날로그 변환하고, 표시부(28)에 순차로 전송해서 표시함으로써, 표시부(28)는 전자 뷰파인더로서 기능하고, 라이브 뷰 화상표시(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질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의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EEPROM등이 불휘발성 메모리(56)로서 사용된다.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언급된 프로그램이란, 본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한다. 상술한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실시예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52)로서 RAM을 사용한다. 시스템 메모리(52)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을 전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변환기(13), 표시부(28) 등을 제어함에 의해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모니터부(20)의 본체부(21)에 대한 위치도 검지 가능하다. 모니터부(20)의 위치의 검지 방법으로서는, 모니터부(20)의 이동에 따라서 물리적으로 전환되는 스위치의 입력 상태를 검지하고, 모니터부(20)가 소정의 위치(각도)로부터 연 상태에 있는지를 검지하는 방법이 있다. 위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기적으로 모니터부(20)의 위치를 산출해도 좋다. 이렇게 모니터부(20)의 위치를 검지함으로써, 모니터부(20)가 본체부(21)에 대하여 반전하고 있는지(표시 방향이 촬상부(22)와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사용된 시간이나,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부다.
모드 전환 스위치(60), 셔터 버튼(61) 등의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다. 제1셔터 스위치(62)는,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의 조작 도중, 소위 반가압(촬영 준비 지시)으로 ON이 되어,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의해, 오토포커스(AF)처리, 자동 노출(AE)처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 처리, 플래시 사전 발광(EF) 처리 등의 동작을 시작한다.
제2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 완료시, 소위 완전 가압(촬영 지시)으로 ON이 되어,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를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의해,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 처리로부터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의 기록 처리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의 동작을 시작한다.
전원제어부(80)는, 전지검출 회로, DC-DC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전지잔량을 검출한다. 아울러, 전원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근거해서 DC-DC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에 기록 매체(200)를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부(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 등의 일차전지나, NiCd전지나 NiMH전지, Li전지등의 이차전지, AC어댑터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 스위치(72)는, 유저로부터의 전원의 온(ON)과 오프(OFF)의 조작을 받아 시스템 제어부(50)에 전송한다.
기록 매체I/F(18)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록 매체(200)와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나 광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54)는, 무선 또는 유선 케이블에 의해 외부기기나 네트워크와 접속하고, 영상신호나 음성신호 등의 송수신을 행한다. 통신부(54)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이나 인터넷과도 접속 가능하다. 통신부(54)는, 촬상부(22)로 촬상한 화상(라이브 뷰 화상)이나, 기록 매체(200)에 기록된 화상을 송신할 수 있고, 또한, 외부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나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120)는,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리모트 컨트롤 키를 수신한다.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120)는,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원격으로 촬영 시작의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리모트 컨트롤 모드). 리모트 컨트롤 수신부(120)는, 커넥터(112)가 외부통신 기기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도, 외부통신 기기로부터의 촬영 지시 등의 지시를 수신한다.
이때, 조작부(70)의 일 부재로서, 표시부(28)에 대한 접촉을 검출 가능(터치 검출)한 터치패널(70a)을 제공한다. 터치패널과 표시부(28)는 서로 일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을 빛의 투과율이 표시부(28)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표시부(28)의 표시면의 상층에 부착한다. 터치패널 위의 입력 좌표를, 표시부(28) 위의 표시 좌표와 대응시킨다. 이에 따라, 마치 유저가 표시부(28) 위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 가능한 것처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의 이하의 조작 혹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 터치패널에 터치하지 않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이 새롭게 터치패널에 터치한 상태. 즉, 이 상태는 터치의 시작(이하, 터치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을 의미한다.
· 터치패널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터치한 채 이동하는 상태(이하, 터치 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 터치패널에 터치하고 있었던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 놓은 상태. 즉, 이 상태는 터치의 종료 (이하, 터치업(Touch-Up)이라고 칭한다)를 의미한다.
· 터치패널에 아무 것도 터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인 것도 검출된다. 터치다운 후, 터치업이 검출되지 않으면, 통상은 터치 온의 검출이 계속된다. 터치패널을 터치하고 있었던 모든 손가락이나 펜의 터치업이 검출된 후, 터치 오프의 상태가 확립된다.
이것들의 조작과 상태와, 터치패널에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통지된 정보에 근거해서 터치패널 위에 어떤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용량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방식, 전자 유도방식, 화상인식 방식, 광 센서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에 근거한 터치패널 중의 터치 패널에는, 임의의 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방식 중에서, 터치패널에 대한 접촉이 있을 때 터치를 검출하는 방식과, 터치패널에 대하여 손가락이나 펜이 접근하는 경우 접촉하지 않을 때도 터치를 검출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양쪽의 방식이 채택되어도 좋다.
다음에, 디지털 카메라(100)에 설정가능한 표시부(28)의 절전과, 오터치 방지를 위한 소등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전 설정이 ON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소정의 조작(절전 상태 또는 오터치 방지 상태로 변이하지 않도록 하는 조작)이 소정시간 행해지지 않는 것에 따라서 표시부(28)의 휘도를 감소하거나, 소등하는(표시 오프) 절전 상태(절전 기능의 실행)가 확립된다. 마찬가지로, 소정시간 유저로부터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주로 터치 조작에 의한 오동작을 막기 위해서, 터치 조작 등을 접수하지 않는 오류 조작방지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의 조작부(70)의 조작이 소정시간동안 행해지지 않으면, 유저가 조작을 행하려고 하지 않는 상태라고 판정하고, 표시부(28)의 휘도를 통상의 시인성이 높은 휘도로서 설정하는 표시 대신에, 휘도를 감소하거나, 표시를 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표시부(28)에 절전 기능을 실행하면,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지 않고, 절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70a)에의 유저로부터의 터치가 소정시간이상 행해지지 않으면, 유저가 터치 화면을 터치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판정해서, 표시부(28)를 소등한다. 이때, 터치패널에 행해진 터치에 따라서 대응한 기능을 실행하지 않으므로,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터치에 의해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유저로부터의 터치패널(70a)에의 터치가 소정시간이상 행해지지 않으면, 예를 들면 유저가 목이나 어깨에 디지털 카메라(100)를 착용하여 터치하려고 하지 않는 상태라고 상정된다. 따라서, 표시부(28)를 소등하고 터치 조작에 따라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터치에 의해 항목의 변경 등의 기능이 실행될 가능성이 없다.
그 절전 상태나 오터치 방지 상태를 중지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또는 절전 상태나 오터치 방지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버튼의 누름이나 터치 조작 등의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도 된다.
한편, 상술한 것처럼, 일반적으로 셀프 촬영에서 촬영자 자신의 촬영 각도나, 표정 등을 확인한 후에 촬영을 한다. 촬영 지시의 조작을 행하는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이 있고, 촬영 지시를 내릴 때까지 조작을 행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셀프 촬영의 촬영 준비의 도중에, 절전 상태나 오류 조작방지 상태에 들어가지 않도록(또는, 절전 상태에 들어간 후에 통상 상태에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촬영자(조작자)가 여러 번 조작을 행하면, 촬영 준비가 중단되어 원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절전 상태에 들어가지 않도록, 촬영 준비중일 때에도 여러 번 촬영 지시를 내리면, 촬영 지시를 내릴 때마다 촬영이 행해지고, 유저가 원하지 않는 화상이 기록된다.
셀프 촬영 등의 촬영에서는, 디지털 카메라(100)를 잡고서 표시부(28)를 반전하는 상태로 촬영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상술한 경우에는, 특히 유저가 있는 측(촬상부측)과는 반대측의 부재(십자 키66등이 배치된 측의 조작 부재)에의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 촬영자(조작자)가 여러 번 절전 상태나 오류 조작방지 상태로부터 통상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자세를 바꾸어서 조작을 행하면, 마지막으로 결정한 각도나 표정 등이 바뀌어버릴 가능성이 있어, 원하지 않는 상황이 된다. 또한, 최근, 긴 막대 등의 끝에 촬상 장치를 붙여서 통신을 통해 촬영 지시를 내려서 셀프 촬영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유저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디지털 카메라(100)가 있을 경우에,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부(70)등을 직접 조작하기 위해서는, 한번 촬영 준비를 중단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표시부(28)와 터치패널(70a)을 반전했을 경우의 절전 상태와 오터치 방지 상태에 이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3a 내지 3c,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 동작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소정시간이상 유저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에, 표시부(28)의 휘도를 낮게 하거나, 표시부(28)를 소등하거나, 전원을 끄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때, 이 처리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켜지고, 표시부(28)의 표시가 행해졌을 때 시작된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50)가 실행하는 동안 실현된다.
S3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표시부(28)의 휘도의 지표에 해당한 휘도를 휘도A=α로서 설정한다. 그 휘도A=α는, 절전 상태가 아닌 상태에 해당한 통상 상태의 휘도로서 설정된다. 도 4a 내지 4c는, 통상 상태, 절전 상태 및 소등 상태일 경우의 표시부(28)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4a는 라이브 뷰 화상(401)의 시인성이 높아지도록 높은 휘도로 표시된 통상 상태에 해당한다.
S3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무조작 시간Ts=0에 설정한다.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를 초과했을 경우에는, 통상 상태로부터, 표시부(28)가 소등하고, 절전 상태 혹은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터치 접수 OFF) 상태에 이행한다. 보통, 무조작 시간Ts는, 유저에 의해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있는 무조작 상태의 시간과, 최후에 조작이 검출되고 나서 경과된 시간을 나타낸다.
S3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무조작 시간Ts의 계측을 시작하여, 카운트 업 한다.
S3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 및 터치패널(70a)(모니터부20)의 방향이 대면(face-to-face) 위치에 해당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대면 위치는, 도 1c에 나타낸 모니터부(20)의 회전 각도θ=θs와 같이, 표시부(28)의 표시면이 촬상부(22)와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유저가 그 대면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셀프 촬영 모드 등으로 촬상부(22)측에 있는 피사체가, 촬상부(22)에 의해 피사체가 촬상되어 있는 상황을, 표시부(28)를 보아서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려고 하고 있다고 상정된다. 그 대면 위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305에 흐름이 진행되고, 그 대면 위치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S306에 흐름이 진행된다.
S3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가 촬영 대기 상태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대기 상태란, 재생 화상이나 메뉴 화면 대신에, 표시부(28)에 촬상부(22)에 의해 촬상되어 있는 라이브 뷰 화상(라이브 뷰)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표시 상태)다. 촬영 대기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307에 흐름이 진행되고, 촬영 대기 상태라고 판정되지 않았을 경우는, S306에 흐름이 진행된다.
S3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가 대면 위치가 아닐 경우, 혹은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이지만 촬영 대기 상태(라이브 뷰 화상 표시 중)가 아닐 경우의, 표시부(28)의 휘도를 하강시킬 때까지의 시간 역치, 표시부(28)를 소등할 때까지의 시간 역치, 전원을 끌 때까지의 시간 역치를 설정한다. 그 설정된 시간 역치이상 유저가 조작을 행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유저가 더 이상 조작을 행하지 않는다고 가정해서, 표시부(28)의 휘도를 하강시키거나, 소등하지만, 표시부(28)의 전원이 OFF가 안 되면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서 복귀한다(휘도를 상승시거나 점등한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OFF가 되었을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72)를 눌러서 전원을 ON으로 하지 않으면, 표시부(28)에의 표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휘도가 하강할 때까지의 시간 역치T1은 t1, 표시부(28)가 소등될 때까지의 시간 역치T2는 t2,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OFF가 될 때까지의 시간 역치T3은 t3으로서 설정된다. 시간 역치T1∼T3으로서 설정된 값은, t1 <t2 <t3의 관계가 되도록 설정된다. (t1, t2, t3)의 설정의 예들로서는, (10초, 20초, 30초)나, (15초, 30초, 60초)가 있다. 이렇게 설정하면, 표시부(28)의 전원이 꺼지기 전에, 표시부(28)의 휘도가 하강하고, 다음에 표시부(28)가 소등한다. 그러므로, 갑자기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이 OFF가 안 되어, 유저가 왜 전원이 OFF가 되었는지에 관해 거의 혼동되지 않는다.
S3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이며 촬영 대기 상태일 경우에, 표시부(28)의 휘도를 하강시킬 때까지의 시간 역치, 소등할 때까지의 시간 역치, 및 전원을 끌 때까지의 시간 역치를 설정한다. 시간 역치T1은 t4(>t1), 시간 역치T2는 t5(>t2), 시간 역치T3은 t6(>t3)로서 설정된다. 시간 역치T1∼T3으로서 설정된 값은, t4 <t5 <t6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설정된다. 대면 위치의 경우에는 어느 쪽의 시간 역치도, S306에서 설정된 시간 역치보다도 길게 설정된다. 즉, 촬영 대기중에, 상기 시간 역치는,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의 경우는 표시부(28)가 수납되어 있을 경우와 비교하여, 절전 상태를 확립하는데 보다 오래 걸리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시간 역치를 설정하면, 유저가 셀프 촬영 모드 등으로 표시부(28)를 대면 위치로 했을 경우에, 표시부(28)의 표시를 오프하지 않도록 여러 번 조작을 해서 조작성이 감소되는 상황이 없다.
S3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무조작 시간Ts가 S306 또는 S307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역치T3을 초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T3(일정한 기간, 또는, 소정기간)을 초과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09에 흐름이 진행된다.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T3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0에 흐름이 진행된다.
S3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을 꺼서 표시부 동작 처리를 종료한다.
S3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무조작 시간Ts가 S306 또는 S307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역치T2를 초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T2를 초과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1에 흐름이 진행된다.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T2를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9에 흐름이 진행된다.
S3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의 전원이 ON이며, 또 소등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부(28)가 소등중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13에 흐름이 진행된다. 표시부(28)가 소등중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12에 흐름이 진행된다.
S3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를 소등한다. 이때, S303에서 시작한 무조작 시간Ts의 계측은 정지(리셋트)하지 않고, 계속해서 계측한다. 도 4c는 소등한 표시부(28)를 나타내고, 라이브 뷰 화상은 표시되지 않는다. 단, 표시부(28)가 소등된 것이며, 디지털 카메라(100)의 전원은 ON인채로 있다.
S3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 및 터치패널(70a)의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터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14에 흐름이 진행된다. 터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18에 흐름이 진행된다.
S3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일 경우에는, S315에 흐름이 진행된다. 표시부(28)가 대면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S317에 흐름이 진행된다.
S3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가 소등된 상태이며, 절전 상태, 터치 조작에 따른 동작을 행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때의 조작(S313에서 판정한 터치, 또는 S318에서 판정한 버튼 조작)은, 복귀처리에만 사용되고, 통상 상태일 때 할당된 기능은 실행되지 않는다.
S3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를 점등한다. 이때, 도 4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표시부(28)가 소등한 상태로부터,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점등한 상태로 바뀌고,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도 실행되게 된다. 이렇게 상태가 복귀한다고 판정되면, 표시부(28)가 점등하고, 휘도도 통상 상태의 휘도에 해당한 휘도A=α가 되어, 절전 상태나 터치 조작에 따른 동작을 행하지 않는(터치 접수 OFF) 상태는 없어진다.
S3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가 소등된 상태이며, 절전 상태나, 터치 조작에 따른 동작을 행하지 않는 상태인채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S308에 흐름이 진행되고, 무조작 시간의 계측을 계속한다. 이렇게, S314∼S3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8)가 소등한 경우에 터치 조작이 행해지면,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일 경우에는, 조작부(70) 등에서의 부재의 조작을 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상태는 터치 조작으로 간단히 복귀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8)가 대면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100)를 목 등에 착용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상태는 터치 조작에 의해 복귀되지 않아, 오동작이 행해질 가능성이 높지 않다.
S3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조작부(70)에 포함된 십자 키(66)나 세트 버튼(65), 셔터 버튼(61)등과 같이 터치패널(70a)을 포함하지 않는 조작부인 버튼이나 다이얼의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버튼이나 다이얼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15에 흐름이 진행된다. 버튼이나 다이얼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08에 흐름이 진행되고, 무조작 시간의 계측을 계속한다.
S3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무조작 시간Ts가 S306 또는 S307에 있어서 설정된 시간 역치T1을 초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T1을 초과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20에 흐름이 진행된다.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T1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21에 흐름이 진행된다.
S3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의 휘도를 휘도A=α로부터 휘도A=β로 하강시킨다. 도 4b는 휘도A=β의 경우의 표시부(28)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라이브 뷰 화상(401)이 표시되어 있지만, 휘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화면이 어둡고, 라이브 뷰 화상의 시인성이 낮아진다. 단, 이때 휘도A=α의 경우보다도 소비 전력은 낮아진다. 추가로, 이때 터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그 행해진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이 실행된다.
S3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22에 흐름이 진행된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08에 흐름이 진행되고, 무조작 시간의 계측을 계속한다.
S3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의 휘도가 휘도A=β이며, 휘도를 하강시키고 있도록 상태가 확립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휘도가 하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S324에 흐름이 진행된다. 휘도가 하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S325에 흐름이 진행된다.
S3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의 휘도를 휘도A=β로부터 휘도A=α로 상승시킨다(원래의 휘도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조작이 행해지면, 절전 상태에서 하강되어 있었던 휘도가 통상 상태의 휘도로 되돌아간다.
S3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321에서 판정된 조작이 표시부(28) 및 터치패널(70a)에의 터치 조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조작이 터치 조작이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25에 흐름이 진행된다. 그 조작이 터치 조작이 아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S328에 흐름이 진행된다.
S3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324에서 터치된 영역이 기능 대응영역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능 대응영역이란, 도 4a, 4b에 나타낸 표시 아이템(402)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등의 영역과, 그 터치에 따라서 그 표시 아이템(402)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영역이다. 기능 대응영역은, 반드시 표시 아이템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이 아니고,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 대응한 기능이 실행되는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영역에의 소정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이 있을 경우에는, 그 행해진 터치 조작이 그 기능에 대응한 조작인가 아닌가도 판정한다. 그 영역이 기능 대응영역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326에 흐름이 진행된다. 그 영역이 기능 대응영역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327에 흐름이 진행된다.
S3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321 및 S324에서 검출된 터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표시 아이템(402)은, 씬(scene) 모드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표시 아이템(402)을 터치하면, ISO감도의 값을 선택하는 화면으로 변이하고, ISO감도의 설정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표시부(28)에 표시된 라이브 뷰 화상의 일부에 해당한 피사체를 터치하면, 터치된 피사체에 대한 오토포커스(AF)나, 터치된 피사체에 포커스를 맞추면서 촬영을 행해도 좋다.
S32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일 경우에는, S302에 흐름이 진행되어서, 무조작 시간Ts의 계측을 리셋트한다(Ts=0). 표시부(28)가 대면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S308에 흐름이 진행되어, 무조작 시간의 계측을 계속한다.
S32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321에서 판정된 조작이 버튼이나 다이얼 등의 조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버튼 조작이란 조작부(70)에 포함되는 십자 키(66)나 메뉴 버튼(67), 또는 셔터 버튼(61)의 누름이고, 다이얼 조작은 다이얼(69)의 회전 조작이다. 버튼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29에 흐름이 진행된다. 버튼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S308에 흐름이 진행되어, 무조작 시간의 계측을 계속한다.
S32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S321 및 S328에서 검출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상,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28)를 반전해서 대면 위치에 있는 동안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나, 셀프 촬영 모드와 같이 조작을 행하지 않는 시간이 긴 경우이여도, 절전 상태로 이행할 가능성이 더 적다. 또한, 절전 상태에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이 보다 길기 때문에, 표시부가 대면 위치에 있고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도, 절전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이나, 절전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조작을 여러 번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유저가, 절전 상태로 이행하지 않기 위해서, 혹은 통상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조작을 행하는 동안에, 촬영 준비 등의 원하는 조작이 거의 중단되지 않아,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표시부(28)가 대면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절전 상태로 이행하기 위한 시간 역치가 통상의 시간인 채로 있으므로, 보다 짧은 시간에 절전 상태로 이행하여, 절전을 실현할 수 있다.
표시부(28)가 촬영 대기 상태에서 대면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시간 역치를 크게 하지만, 촬영 대기 상태가 아닌 동안 재생 화면의 표시중이나 메뉴 화면의 표시 중에는 시간 역치는 크게 하지 않는다.
이때, 표시부(28)의 위치가 대면 위치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지 않을 때에도, 셀프 촬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절전 상태로 이행할 가능성이 더 적도록 절전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해도 된다.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표시부(28)의 위치에 관계없이 촬영 준비를 행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할 때, 절전 상태로 이행할 가능성이 더 적어, 촬영이 용이해진다.
게다가, 촬영 모드의 설정이나 표시부(28)의 위치뿐만 아니라, 촬상 장치가 라이브 뷰 화상(촬상 화상)을 표시하고 있는 촬영 대기 상태인가 아닌가에 의거하여, 절전 상태에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 역치를 설정해도 좋다. 즉, 표시부(28)에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되지 않고 있을 경우보다도 시간 역치가 길어지게 설정된다. 이렇게, 촬영 대기 중에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하는 경우, 촬영 준비에 시간이 걸리는 촬영에 있어서, 촬영 준비중에 절전 상태로 이행할 가능성이 더 적다. 상술한 셀프 촬영 모드일 경우나, 표시부(28)의 위치가 반전하는 경우 등의, 다른 경우보다도 시간 역치가 길어지게 설정될 때에도, 한층 더, 촬영 대기 중에는 촬영 대기 기간이외의 기간중보다도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28)가 소등하여, 터치 접수 OFF로 전환하면, 표시부(28)(터치패널(70a)을 포함한다)가 대면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터치 조작에서 표시부(28)가 점등하고, 터치 접수ON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에 없을 경우에는 터치 조작에서는, 표시부(28)가 점등하지 않고, 터치 접수ON의 상태가 확립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부(28)를 반전해서 셀프 촬영 등으로, 유저가 터치 조작으로 간단히 설정의 변경이나 촬영 지시를 행할 경우에, 오류 조작방지를 위한 터치 접수OFF상태가 확립된 후에도 용이하게 터치를 접수하는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조작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표시부(28)가 점등하므로, 셀프 촬영 등의 촬영중에 조작부(70)를 누르지 않고 간단히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유저가 표시부(28)를 반전하지 않고 목등에 그 카메라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터치 조작으로는 표시부(28)가 소등 상태로부터 점등하지 않으므로(터치 접수OFF의 상태로부터 ON의 상태로 전환되지 않으므로),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터치 조작에 의해 기능이 거의 실행되지 않는다. 이렇게,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인가 아닌가에 따라, 터치 조작으로 소등한 상태로부터 복귀하는지에 관한 구성이 바뀌고, 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기능 실행의 지시를 행하기 쉬워진다. 한편,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터치 조작이 일어나기 쉬울 경우에는, 오동작이 방지될 가능성이 더 적다. 따라서, 터치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하면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터치 조작에 따라서 기능이 실행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절전 상태에의 전환을 행할지 행하지 않을지를 유저가 설정할 수 있고, 게다가 유저는 절전 상태로 들어갈 때까지 시간 역치를 설정할 수 있게, 구성을 채택해도 좋다. 유저가 절전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 역치(t1, t2, t3)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t4, t5, t6의 값도 각각 t1, t2, t3보다 길어져도 된다. 혹은, 유저가 t4, t5, t6을 각각 t1, t2, t3보다도 길어지게 구성을 채택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절전 기능이 실행될 때까지 시간 역치가 길어지게 설정되거나, 그 상태가 터치 조작으로 복귀되지만, 상기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서브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원격조작을 접수하는 등의 경우에 상술한 설정을 채택해도 좋다.
서브 카메라(혹은 인 카메라(in-camera)라고도 함)에서의 촬상이 가능할 경우에, 서브 카메라의 촬상 방향은 표시부(28)의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또한, 표시부(28)과 다른 방향이 촬상 방향인 메인의 촬상부(도 1c, 1d에 나타낸 촬상부(22)에 상당)와, 다른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상부 중에서 선택된 촬상부의 촬상 화상을 표시부(28)에 표시할 수 있고, 촬영을 행하는 촬상부를 선택(촬상부 설정) 가능하다. 표시부(28)의 표시 방향과 촬상 방향이 같은 방향인 서브 카메라가 있을 경우에는, 서브 카메라가 메인 카메라와는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표시부(28)가 촬상부에 대하여 대면 위치로 이동가능하지 않을 때에도, 서브 카메라와 메인 카메라를 전환하여서 대면 위치가 확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인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절전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메인 카메라(혹은 다른 촬상부)가 사용되는 경우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게다가, 그 인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터치 조작으로 표시부(28)가 소등된 상태를 통상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인 카메라가 사용되는 경우에 절전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 역치를, 인 카메라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 절전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 역치보다도 길게 설정하지만, 절전 상태가 되기 어려우므로, 셀프 촬영 등의 촬영이 행하기 쉬워진다.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원격조작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조작부(70)등의 조작은 행해지지 않지만, 유저는 디지털 카메라(100)의 조작을 행하여 된다. 그러므로, 절전 상태로 전환이 행해질 때까지의 역치를 길게 설정해도 좋다.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지시의 접수상태(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촬영 지시 등을 행하는 리모트 컨트롤 지시 모드)가 확립되었는가 아닌가는, 리모트 컨트롤 케이블 등의 원격조작을 행하기 위한 케이블이 디지털 카메라(100)에 삽입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여서 판정된다. 또는, 원격조작을 접수하는 설정이 행해졌는지 또는 삼각대 구멍에 삽입되었는지를 검출하여서 판정해도 좋거나, 셀프 촬영 모드의 설정에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 지시를 접수해도 좋다. 삼각대 구멍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유저는 삼각대를 사용해서 흐리게 하지 않고 사진을 촬영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유저는 디지털 카메라(100) 자체를 조작하는 것보다도 상기 원격조작을 행할 가능성이 더 높다. 따라서, 삼각대를 사용한 촬영에서는 원격조작으로 촬영 지시나 설정 등이 행해질 가능성이 높고, 절전 모드로 전환하기 어렵도록 절전 상태로 전환이 행해질 때까지의 역치를 길게 설정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이며, 게다가 촬영 대기 상태가 확립될 경우에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반드시 촬영 대기 상태일 필요는 없고,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이면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하여도 좋다.
설정 가능한 복수의 촬영 모드 중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표시부(28)의 위치에 상관없이 유저는 촬영 준비를 행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절전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하여도 좋다. 혹은, 셀프 촬영 모드로 설정되고, 더욱이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에 위치된 것에 따라, 절전 상태로 전환할 때까지의 역치를 길게 설정하는 상술한 조건을 서로 조합해도 좋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무조작 시간Ts가 시간 역치T2를 경과한 것에 따라서 표시부(28)가 소등(터치 접수OFF)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표시부(28)가 대면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터치 접수OFF의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지 않은 구성을 채택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8)가 소등하는 경우에는, 터치패널(70a)에의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소정의 터치 면적 사이즈 이상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여도 좋다. 즉, 소등하지 않은 경우에 행해진 터치 조작의 터치 면적 사이에 상관없이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소등한 경우에는 큰 값의 터치 면적 사이즈가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터치 조작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이 실행되지 않고, 역치 터치 면적 사이즈보다 작은 터치 면적 사이즈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기능이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8)를 반전하는 예로서 셀프 촬영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의 발(로우 앵글)이나, 두상(하이 앵글) 위부터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도, 표시부(28)의 표시 방향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발부터 촬영을 행하면, 보다 넓은 범위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8)의 표시 방향은 유저의 방향을 향하고, 촬상부(22)의 촬상 방향은 유저이외의 피사체를 향한다. 상술한 경우에도, 절전 상태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 역치를 길게 설정하면, 유저는, 조작부(70)를 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여러 번 절전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경우에도, 터치 조작으로 표시가 소등한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면, 조작부(70)를 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표시부(28)의 표시를 소등한 상태로부터 점등시킬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100)의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로 행해져도 좋거나, 장치전체의 제어는, 복수의 하드웨어로 공유방식으로 처리를 행하는 동안 행해져도 좋다.
본 발명의 국면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국면은 이것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국면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도 포함된다. 상술한 각 실시예를 서로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국면을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국면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표시부가 있는 촬상 장치와 이하의 촬상 장치에 본 발명의 국면을 적용할 수 있다. 셀프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로부터 셀프 촬영 모드에 설정가능한 촬상 장치, 촬상 방향이 표시부의 표시 방향과 같은 방향의 촬상부와 다른 방향의 촬상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촬상부 중 하나에서 촬영을 행하도록 설정 가능한 촬상 장치에, 본 발명의 국면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촬상부와의 위치 관계를 변경가능한 터치패널, 또는 본체부에 대하여 반전 가능한 터치패널을 가지는 장치 등에 본 발명의 국면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국면은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전화단말, 휴대형의 화상뷰어, 터치 패드,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의 국면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여서 실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록 매체를 통해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등)가 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한다. 이 경우, 그 프로그램, 및 해당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국면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절전 상태와 비절전 상태를 만족스러운 조작성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국면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의 국면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37)

  1.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표시부;
    상기 접수부가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기간이 역치를 초과한 것에 따라,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는 절전부; 및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일 경우의 역치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반대 방향일 경우의 역치보다도 길어지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일 경우에, 상기 촬상부를 구비하는 본체부에 대하여 반전되지 않은 위치에 있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일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반전된 위치에 있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제1 표시 상태와, 상기 표시부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된 제2 표시 상태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이며, 상기 제1 표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접수부가 소정의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제2 표시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소정의 기간보다도 긴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4.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접수부가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5.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촬영 지시를 하는 촬영자가 피사체인 셀프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 중에서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설정부로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가, 상기 셀프 촬영 모드가 아닌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접수부가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설정부로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가, 상기 셀프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로 촬영 모드가 상기 셀프 촬영 모드로서 설정되었을 경우에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으로의 촬영 지시에 따라서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촬영 모드에 있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촬영 지시를 접수하는, 촬상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촬영 모드에 있어서는, 인물의 얼굴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효과를 적용하는, 촬상 장치.
  9.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 지시를 접수하는 리모트 컨트롤 모드와, 리모트 컨트롤러이외에 의한 조작 지시를 접수하는 비리모트 컨트롤 모드를 포함하는 지시부; 및
    상기 비리모트 컨트롤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지시부가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지시부가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 모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리모트 컨트롤 케이블이 상기 촬상 장치에 연결될 때에, 상기 리모트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조작 지시를 접수하는 모드인, 촬상 장치.
  11.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접수부;
    조작자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상부와,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촬상 방향을 갖는 제2 촬상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촬상부 중에서 촬영을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상부를 설정 가능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부에 의해,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을 행하도록 설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접수부가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설정부에 의해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을 행하도록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접수부가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을 행하도록 설정되었을 경우에,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으로의 촬영 지시에 따라서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3.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기능은, 적어도 표시부의 휘도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기 촬상 장치의 전원을 끄지 않고 상기 표시부를 소등하는 기능인, 촬상 장치.
  14.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기능으로서 표시부의 휘도를 하강시킨 후, 소정의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표시부를 소등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5.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9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재에의 조작을 접수한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이 실행된 상태로부터, 상기 절전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촬상부의 촬상 방향과는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되는, 촬상 장치.
  17.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기간이 역치를 초과한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일 경우의 역치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일 경우의 역치보다도 길어지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의 경우에는,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
    촬영 지시를 하는 촬영자가 피사체인 셀프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 중에서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가, 상기 셀프 촬영 모드가 아닌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가, 상기 셀프 촬영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20.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조작 지시를 리모트 컨트롤 모드에서 접수하고, 리모트 컨트롤러이외에 의한 조작 지시를 비리모트 컨트롤 모드에서 접수하는 단계; 및
    상기 비리모트 컨트롤 모드의 경우에는,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21.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단계;
    조작자를 촬영하기 위한 제1 촬상부와, 상기 제1 촬상부의 촬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촬상 방향을 갖는 제2 촬상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촬상부 중에서 촬영을 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상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단계에서,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을 행하게 하는 경우에,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절전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촬상부가 촬영을 행하게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절전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22.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23.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 가능한 터치 검출부;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가능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소정의 아이템이 표시되는 제1 상태나, 또는 상기 소정의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제2 상태로, 상기 표시부의 상태를 전환 가능한 전환부;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터치 조작이 행해질 때에도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지 않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행해진 터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반전하지 않고 있는 위치에 있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일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반전하고 있는 위치에 있는, 촬상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행해진 터치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이고 상기 제2 상태에서 행해진 터치 조작에 따를 때, 상기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소정의 기간 동안에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는, 촬상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가 소등되는, 촬상 장치.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으로의 촬영 지시에 따라서 촬영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30. 제 23 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이얼 또는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상태일 때에, 상기 조작부재에 행해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 또는 다른 조작부에의 조작을 검출하고 나서 경과된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계측부로 계측한 상기 경과된 시간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의 상태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 중 터치 조작에 따라서 기능을 실행하는 아이템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경과된 시간을 리셋트하고, 터치 조작에 따라서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소정의 영역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는 상기 경과된 시간을 리셋트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의 경우에는, 터치 조작이 행해진 영역에 상관없이 상기 경과된 시간을 리셋트하도록, 상기 계측부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의 경우에는, 제1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제2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제1 휘도일 경우와,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상기 제1 휘도보다도 어두운 제2 휘도일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소정기간보다도 짧은 기간 동안에,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것에 따라서 제1 휘도로부터 제2 휘도로 전환하고,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휘도를 가질 때에, 상기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 휘도로부터 상기 제1 휘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34. 제 23 항에 있어서,
    촬영 지시를 하는 촬영자가 피사체인 셀프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 중에서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프 촬영 모드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촬영 모드로서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상태일 때에, 상기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전환부를 제어하는, 촬상 장치.
  3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의 경우에는, 소정의 터치 면적 사이즈 이상의 터치 조작이 행해질 때에도, 상기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터치 면적 사이즈보다 작은 터치 면적 사이즈를 갖는 터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이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1 상태일 경우에는, 터치 면적 사이즈에 상관없이 상기 행해진 터치 조작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36. 촬상부의 촬상 방향 또는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표시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터치 조작을 접수하는 소정의 아이템이 표시되는 제1 상태나, 또는 상기 소정의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제2 상태로, 상기 표시부의 상태를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반대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 터치 조작이 행해질 때에도,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고 상기 표시부의 표시 방향이 상기 촬상 방향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37. 청구항 36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60069264A 2015-06-04 2016-06-03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25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4266 2015-06-04
JP2015114265A JP2017005312A (ja) 2015-06-04 2015-06-04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5-114265 2015-06-04
JP2015114266A JP6532306B2 (ja) 2015-06-04 2015-06-04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555A true KR20160143555A (ko) 2016-12-14
KR102125741B1 KR102125741B1 (ko) 2020-06-23

Family

ID=57352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264A KR102125741B1 (ko) 2015-06-04 2016-06-03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432858B2 (ko)
KR (1) KR102125741B1 (ko)
CN (1) CN106254759B (ko)
DE (2) DE102016015839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89A (ko) *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0896B2 (en) * 2015-04-03 2019-03-12 Canon Kabushiki Kaisha Accessory for camera and storage medium storing display control program
JP6949500B2 (ja) * 2017-01-30 2021-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7231470B (zh) * 2017-05-15 2020-06-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62336B2 (en) * 2018-05-01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Face recognition in low light conditions for unlocking an electronic device
WO2020186506A1 (zh) * 2019-03-21 2020-09-2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装置的控制方法和拍摄装置
CN112596598A (zh) * 2020-12-18 2021-04-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装置和电子设备
JP2022110719A (ja) * 2021-01-19 2022-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7265829B (zh) * 2023-11-22 2024-0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智能控制方法、装置、洗衣机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079A (ko) * 2005-04-26 2006-10-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회전형 표시장치를 장착한 촬영장치
JP2006325145A (ja) * 2005-05-20 2006-11-3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JP2009117975A (ja) * 2007-11-02 2009-05-28 Oki Electric Ind Co Ltd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KR20100066968A (ko) * 2008-12-10 201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370B2 (ja) 1987-10-29 1996-01-2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遠隔レリーズ機能を有するカメラ
JPH07219019A (ja) * 1994-02-04 1995-08-18 Nikon Corp 情報の選択的入力が可能なカメラ
JP4359743B2 (ja) 2001-05-25 2009-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カメラ
JP2003131760A (ja) * 2001-10-25 2003-05-09 Casio Comput Co Ltd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
JP4182864B2 (ja) 2003-01-09 2008-11-19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KR20050072304A (ko) * 2004-0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계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복합장치 및 시계표시방법
US20050222801A1 (en) * 2004-04-06 2005-10-06 Thomas Wulff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mobile computing product/arrangement
JP4505740B2 (ja) * 2005-05-1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US7379664B2 (en) * 2005-07-26 2008-05-27 Tinkers & Chance Remote view and controller for a camera
JP4785536B2 (ja) * 2006-01-06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228049A (ja) * 2006-02-21 2007-09-06 Pentax Corp 撮像装置制御ユニット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4709782B2 (ja) 2007-02-08 2011-06-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
CN101982967B (zh) * 2007-11-02 2013-04-24 佳能株式会社 摄像设备
US7855737B2 (en) * 2008-03-26 2010-12-21 Fotonation Ireland Limited Method of making a digital camera image of a scene including the camera user
JP2010282136A (ja) * 2009-06-08 2010-12-16 Toshiba Corp 映像表示制御装置、映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この制御方法を用いる映像機器
CN101610300B (zh) 2009-06-16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背光的控制方法及装置
CN101697563A (zh) 2009-10-26 2010-04-2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节电方法及移动终端
JP5388806B2 (ja) 2009-11-10 201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976109A (zh) 2010-06-30 2011-02-16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智能显示器及其显示控制装置和方法
JP5648844B2 (ja) 2010-12-21 2015-01-0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像表示制御方法
US8665214B2 (en) * 2010-12-29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battery lif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123537B (zh) * 2011-11-21 2016-04-2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显示设备及其省电方法
JP5970937B2 (ja)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6331244B2 (ja) 2012-06-05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20020B1 (ko) * 2012-08-07 2019-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6229720B2 (ja) 2013-08-22 2017-11-15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撮影部起動方法及び撮影部起動プログラム
EP3142348B1 (en) * 2014-05-08 2020-01-15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079A (ko) * 2005-04-26 2006-10-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회전형 표시장치를 장착한 촬영장치
JP2006325145A (ja) * 2005-05-20 2006-11-30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JP2009117975A (ja) * 2007-11-02 2009-05-28 Oki Electric Ind Co Ltd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KR20100066968A (ko) * 2008-12-10 201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89A (ko) * 2019-01-31 2020-08-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제어 가능한 트라이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015839B3 (de) 2022-10-27
CN106254759B (zh) 2020-03-31
KR102125741B1 (ko) 2020-06-23
US20160360107A1 (en) 2016-12-08
US10432858B2 (en) 2019-10-01
DE102016110297B4 (de) 2018-09-13
DE102016110297A1 (de) 2016-12-08
US10965869B2 (en) 2021-03-30
US20190297273A1 (en) 2019-09-26
CN106254759A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741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677051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995607B2 (ja) 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078063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590666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32590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431908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7301615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465129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0389945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971696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602524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653230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125233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7387493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7051344B2 (ja) 電子機器
JP201700531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08876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431567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167169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450408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217284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6648668A (zh) 电子设备、其控制方法、程序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