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074A - 스포이트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074A
KR20160138074A KR1020167026863A KR20167026863A KR20160138074A KR 20160138074 A KR20160138074 A KR 20160138074A KR 1020167026863 A KR1020167026863 A KR 1020167026863A KR 20167026863 A KR20167026863 A KR 20167026863A KR 20160138074 A KR20160138074 A KR 20160138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all
stopper
wall
outer peripheral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851B1 (ko
Inventor
히로유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6013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01L3/0272Droppe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2Burettes; Pipettes mounted within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4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pierceable, e.g. films,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01L2300/0835Ampo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78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pis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구경부(6)를 기립하는 용기(2)와, 구경부(6) 위에 놓인 마개 기부(18), 마개 기부에 대해 상방 가압 상태로 승강 자유자재로 부착된 가동 마개부(38), 가동 마개부(38)의 상면을 덮는 탄성 변형 부재(72), 및 관 벽의 상부에 형성한 맞물림 오목부(32a)의 하측에서 마개 기부와 연계시켜 용기 하부로 아래로 연장된 스포이트 관(30)을 포함하는 마개(16)를 구비한다. 마개 기부(18)는 스포이트 관(30)과의 연계 개소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기판부(22)를 구경부(6)에 맞물리고, 가동 마개부(38)는 구경부(6)의 외면에 하반부(40a)를 끼워 맞춘 외주벽(40)과 외주벽(40)의 상반부(40b) 사이에 간극(G)을 두고 상반부에 연결한 내주벽(50)을 가지며, 내주벽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하는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를 통하여 아래로 연장된 걸림 통부(58)의 맞물림 돌기(engaging claw)(58a)를 맞물림 오목부(32a) 내에 끼워 맞추고, 또한 탄성 변형 부재(72)의 하단부(72a)를 간극(G)의 상부에 끼워 넣는다.

Description

스포이트 용기{DROPPER CONTAINER}
본 발명은 스포이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4년 3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7196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이 종류의 스포이트 용기로서, 구경부를 가지는 용기체와, 이 구경부에 장착된 마개로 이루어지고, 마개의 기부에 개구된 관통 구멍에 부착된 스포이트 관을, 이 구경부를 통해 용기체 내로 아래로 연장함과 동시에, 스포이트 관 주위의 마개 부분에 형성된 끼워 맞춤 홈에 탄성 돔의 하단부를 끼워 맞추고, 또한 탄성 돔을 누르기 위한 누름 버튼을 구비하는 스포이트 용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의 도 2를 참조).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10258호
특허문헌 1의 스포이트 용기에서는 탄성 돔의 하단부가 마개의 끼워 맞춤 홈에 삽입되지만, 세팅 용이성을 더 높이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 변형 부재를 마개에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는, 세트성이 양호한 스포이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구경부를 기립하는 용기와, 구경부 위에 놓인 마개 기부, 마개 기부에 대해 상방 가압 상태로 승강이 자유자재로 부착된 가동 마개부, 가동 마개부의 상면을 덮는 탄성 변형 부재, 및 관 벽 상부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의 하측에서 마개 기부와 연계되도록 하여 용기 하부에 아래로 연장된 스포이트 관을 포함하는 마개를 구비하는 스포이트 용기로서, 마개 기부는 스포이트 관과의 연계 개소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기판부를 가지며, 이 기판부를 구경부 상측에 맞물리게 하고, 가동 마개부는 구경부 외면에 하반부를 끼워 맞춘 외주벽과, 외주벽의 상반부 내면 사이에 간극을 두어 상반부에 연결한 내주벽과, 이 내주벽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있는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를 통해 아래로 연장된 걸림 통부를 구비한다. 이 걸림 통부의 내면에 맞물림 오목부 내를 승강 가능한 맞물림 돌기(engaging claw)가 부설됨과 동시에, 마개 기부와 가동 마개부의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 사이에 내주벽의 내면에 액밀하게 접하는 피스톤 부재가 설치되고,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가 외주벽 및 내주벽의 간극 상부 내에 끼워 넣어진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서는, 스포이트 용기의 마개를 마개 기부에 대해 가동 마개부가 승강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가동 마개부가 가지는 외주벽 및 내주벽의 간극 상부 내에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를 끼워 넣는 구성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간극 내의 공기는 하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간극 내로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를 세팅할 때에, 탄성 변형 부재가 들뜨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 부재는 도시된 탄성 돔일 수도 있고, 또한 자바라를 이용한 탄성 압착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제1 관점에서, 간극은 배기용 통로로서, 기판부와 외주벽과의 공극을 통해서 마개 기부의 하측에 연통해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서는 간극을 배기용 통로로서 마개 기부의 하측에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세트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은 제2 관점에서, 외주벽의 하반부를 구경부의 외면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내주벽 및 외주벽의 각 일부를 연결편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기판부의 외주에서 내주벽 및 외주벽의 간극에 걸림 벽부를 기립하고, 걸림 벽부가 가동 마개부에 대한 마개 기부의 회전 멈춤 부재로서 연결편에 맞물려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내주벽 및 외주벽의 각 일부를 연결편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기판부의 외주에서 내주벽 및 외주벽의 간극에 걸림 벽부를 기립하고 있다. 그리하여 걸림 벽부를 가동 마개부에 대한 마개 기부의 회전 멈춤 부재로서 연결편에 맞물린다. 간극 내에 회전 멈춤 부재를 수납했으므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은 제1 내지 제3의 어느 관점에서, 마개는 가동 마개부의 외주벽 하부와 끼워 맞춤과 동시에,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를 상측에서 누르는 압압부를 상측에 가지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이 커버 부재의 상부 외면 및 탄성 변형 부재의 상면에서 마개 상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서는 커버 부재의 상부 외면 및 탄성 변형 부재의 상면에서 마개 상면을 형성한다. 탄성 변형 부재의 상측에 탄성 변형 부재 압착용 누름 버튼을 설치하는 선행 기술에 비해 용기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은 제1 내지 제3의 어느 관점에서, 피스톤 부재는 내주벽의 내면에 액밀하게 접하는 피스톤부가 형성된 외통부와, 걸림 통부가 내측에 삽입된 내통부를 구비하고, 내통부의 내면에는 걸림 통부의 외면에 부설된 걸림 돌출부에 대해 상방에서 걸리는 임시 멈춤 돌기가 부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서는 내통부의 내면에, 걸림 통부의 걸림 돌출부에 대해 상방에서 걸리는 임시 멈춤 돌기가 부설되어 있으므로, 이 스포이트 용기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피스톤 부재에서의 내통부 내에, 가동 마개부의 걸림 통부를 삽입하고, 내통부의 임시 멈춤 돌기를 걸림 통부의 걸림 돌기 상방으로 넘게 하여, 피스톤 부재 단체를 가동벽부에 임시 고정한 상태로, 마개 기부 및 스포이트 관을 가동벽부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피스톤 부재와 마개 기부가 조립된 조립체를 가동 마개부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스포이트 용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외주벽 및 내주벽의 각 상단부 내에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를 끼워 넣기 때문에, 탄성 변형 부재를 끼워 맞춤 홈에 끼워 넣을 경우에 비해 공기의 반발이 작아져, 끼워 넣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세트성이 양호하다.
또한, 간극이 배기용 통로로서 기판부와 외주벽과의 공극을 통해 마개 기부의 하방으로 연통해 있기 때문에, 세트성이 양호하다.
또한, 외주벽 및 내주벽의 간극을 가동 마개부에 대한 마개 기부의 회전 멈춤 부재인 걸림 벽부의 설치 장소, 및 배기 통로로서 겸용한다. 그로 인해,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 상부의 외면과 탄성 변형 부재의 상면에서 마개 상면을 형성하고 있고, 탄성 변형 부재를 압압하는 압착 부재를 설치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스포이트 용기의 높이가 높아지는 일이 없다.
또한, 내통부의 내면에, 걸림 통부의 걸림 돌출부에 대해 상방에서 걸리는 임시 멈춤 돌기가 부설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부재와 마개 기부가 조립된 조립체를 가동 마개부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스포이트 용기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에 대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가동 마개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패킹을 아래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에 대한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용기의 가동 마개부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스포이트 용기는 용기(2)와 마개(16)로 구성된다. 이들 각 부재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 금속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용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체(4)와 러빙(rubbing) 부재(8)로 구성된다.
용기체(4)는 몸통부에서 어깨부를 통해 상단 개구의 구경부(6)를 기립하고 있다. 구경부(6)의 외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러빙 부재(8)는 구경부(6) 상면에 걸림 가능한 차양부(10a)를 가지는 주통부(10)와, 주통부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러빙부(12)로 구성된다. 이 러빙부(12)는 후술하는 스포이트 관(30)의 외면에 맞닿아 있다.
마개(16)는 마개 기부(18), 스포이트 관(30), 가동 마개부(38), 피스톤 부재(60), 탄성 변형 부재인 탄성 돔(72) 및 커버 부재(76)를 구비한다.
마개 기부(18)는 도시 예에서, 수직의 기통부(20) 상단에 내부를 향하는 환 형상 판부(21)가 부설됨과 동시에, 기통부(20)의 하단에서 측외로 기판부(22)가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기판부(22)의 하면에는 패킹(28)이 부설되어 있고, 러빙 부재(8)의 차양부(10a) 위에 놓여 있다. 기판부(22)의 외단에서는 통 형태의 걸림 벽부(24)가 기립해 있다. 이 걸림 벽부(24)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슬릿(26)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마개 기부(18)의 구조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스포이트 관(30)에는 관 벽 상부에 맞물림 오목부(32a)가 형성되고, 맞물림 오목부의 하측에 마개 기부(18)가 연계되고, 스포이트 관(30)은 이 연계 개소에서 용기체(4)의 바닥부 내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맞물림 오목부(32a)는 후술하는 맞물림 돌기(engaging claw)(58a)가 승강 가능한 정도로 상하로 넓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도시 예에서는 패킹(28) 상방의 관 벽 부분이 상측에서 아래로 소경 통부(32), 중경 통부(34), 대경 통부(36)로 차례로 대경화되도록 형성되고, 소경 통부에 맞물림 오목부(32a)를, 중경 통부(34)에 끼워 맞춤 홈(34a)을, 또한 대경 통부(36)에 링 유지 홈(36a)을 주위에 각각 형성한다. 끼워 맞춤 홈(34a) 내에는 환 형상 판부(21)가 끼워 장착되고, 링 유지 홈(36a) 내에는 O링(37)이 삽입된다. 이들 부재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가동 마개부(38)는 외주벽(40), 내주벽(50),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 및 걸림 통부(58)로 구성된다.
구경부(6)의 외면에 외주벽(40)의 하반부(40a)가 나사 결합되고, 기판부(22)의 상방으로 외주벽(40)의 상반부(40b)가 기립해 있다. 도시된 상반부(40b)는 하반부보다도 외경이 작다. 외주벽(40) 내면의 상단부에는 상향의 외측 끼워 맞춤용 단부(S1)가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40)과 기판부(22) 사이에는 후술하는 간극(G)을 마개 기부(18)의 하방으로 연통하는 공극(A)이 형성된다.
내주벽(50)은 외주벽(40)의 상반부(40b)에 대해 일정한 간극(G)을 두고 위치하도록 적절한 수의 연결편(48)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내주벽(50) 외면의 상단부에는 외측 끼워 맞춤용 단부(S1)와 마주보게 하여, 내측 끼워 맞춤용 단부(S2)가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48)은 내측 끼워 맞춤용 단부(S2)보다 하방의 내주벽(50)의 적소(도시 예에서는 하단부)와 외주벽(40)의 상반부를 연결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연결편(48)에는 걸림 벽부(24)의 슬릿(26)이 삽입되어 있고, 가동 마개에 대한 마개 기부의 회전 멈춤 부재로서 기능한다.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는 내주벽(50)의 상부에서 안쪽으로 연장 설치된다.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의 내주부에는 적절한 수의 통기 구멍(54)이 개구해 있다. 또한, 도시 예에서는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의 외주부가 환 형태로 함몰되고, 이 함몰 벽부(56)의 내측은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70)이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다.
걸림 통부(58)는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 내부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해 있고, 걸림 통부(58)의 하단부 내면에 부설된 환 형태의 맞물림 돌기(58a)가 스포이트 관(30)의 맞물림 오목부(32a) 내에 승강 자유자재로 삽입된다.
피스톤 부재(60)에서는 내통부(62A) 및 외통부(62B)의 하단부가 바닥벽부(64)에서 연결됨과 동시에, 이 바닥벽부(64)에서 다리통부(68)가 아래로 연장되고, 또한 외통부(62B)의 상단부 외면에 피스톤부(66)가 형성된다. 그래서 내통부(62A)는 걸림 통부(58)의 외면에, 또한 피스톤부(66)는 내주벽(50)의 내면에 각각 슬라이딩 자유자재로 끼워 맞춰져 있다. 다리통부(68)는 기통부(20)의 외면에 끼워 맞춰져 있다. 바닥벽부(64)의 상면과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0)이 장착된다.
탄성 돔(72)은 그 하단부(72a)를 두꺼운 끼워 맞춤 링으로서 간극(G)의 상부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탄성 돔(72)의 하단부(72a)의 하면 외연부 및 내연부는 외측 끼워 맞춤용 단부(S1) 및 내측 끼워 맞춤용 단부(S2)에 맞물려 있다. 또한, 탄성 돔(72)의 하단부(72a)는 하단부에 연속되는 돔 부분에 비해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72a)의 상면을 피압압면(74)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 돔 대신에, 종래부터 공지된 압착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양측에서 손가락으로 잡아 압착할 수 있는 하단 개구에서 정상이 있는 자바라식 통, 또는 하단 개구에서 정상이 있는 탄성 통 등이다.
커버 부재(76)는 외주벽(40)의 외면을 덮는 통 벽의 하단부(맞물림 단부(78))를 외주벽(40)의 하단부에 회전 멈춤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또한, 상기 통 벽의 상단부를 아래 안쪽으로 꺽어 압압부(80)로 형성되어 있고, 이 압압부(80)가 피압압면(74)을 압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마개(16)의 조립 공정에서는 스포이트 관(30)에 마개 기부(18)를 부착하고, 또한 피스톤 부재(60) 및 가동 마개부(38)를 차례로 조립한 후에, 가동 마개부(38)의 간극(G) 상부 내에 탄성 돔(72)의 하단부(72a)가 끼워 장착된다. 간극(G)은 마개 기부(18)의 하방으로 연통해 있으므로, 간극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고, 탄성 돔(72)의 하단부를 부상하게 하는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외주벽(40)의 외측에 커버 부재(76)를 더 끼워 맞추고, 커버 부재(76)의 압압부(80)에서 하단부(72a)의 피압압면(74)을 압압한다.
상기 스포이트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커버 부재(76)와 함께 외주벽(40)을 회전시켜(도 3을 참조), 구경부(6)로부터 나사 이탈시킨다. 그러면, 코일 스프링(70)의 탄성력으로 가동 마개부(38)가 상승하고, 탄성 돔(72) 내의 공기가 가동 마개부(38)와 마개 기부(18)와의 공간 내로 흡인되고, 용기체(4) 내의 액체가 스포이트 관(30) 내로 빨아 올려진다. 그런 후, 마개(16)를 용기(2)측에서 들어올리고, 탄성 돔(72)을 압착 조작하여 스포이트 관(30)으로부터 액체를 적하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스포이트 용기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패킹을 아래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마개(16)의 조립 공정에서, 바닥벽부(64)와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 사이에 코일 스프링(70)을 장착한 상태로, 피스톤부(66)를 내주벽(50)의 내면(50A)에 상방을 향해 슬라이딩하게 하면서, 피스톤 부재(60)에서의 내통부(62A) 내에, 가동 마개부(38)의 걸림 통부(58)가 삽입된다. 걸림 통부(58)의 걸림 돌출부(58b)가 내통부(62A)의 내면(62AA)에 설치된 임시 멈춤 돌기(62C)에 의해 상방으로 넘어 감으로써, 피스톤 부재(60) 단체가 가동 마개부(38)에 임시 고정된다.
그 후, 마개 기부(18)와 스포이트 관(30)이 조립된 조립체를 가동 마개부(38)에 조립한다. 이때, 피스톤 부재(60)의 다리통부(68) 중 하부 내에, 마개 기부(18)의 기통부(20) 중 상부를 끼워 맞춘 상태로, 피스톤 부재(60)를, 코일 스프링(70)을 상하 방향으로 압축 변형시키면서, 가동 마개부(38)에 대해 소정량 상승하게 한다. 이어서, 걸림 통부(58)의 맞물림 돌기(58a)를 스포이트 관(30)의 맞물림 오목부(32a) 내에 진입시킨다. 이때, 또는 그 후, 코일 스프링(70)의 가압력에 따라, 피스톤 부재(60)가 가동 마개부(38)에 대해 눌러지고, 다리통부(68) 내에 기통부(20)가 상하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끼워 맞춰진다.
내주벽(50)과,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52)와, 함몰 벽부(56)와, 걸림 통부(58)로 구성되는 부재를 실린더부(100)라 부른다.
실린더부(100)의 내주벽에 상당하는 걸림 통부(58) 내에, 스포이트 관(30)의 상단 개구를 개폐 자유자재로 폐색하는 밸브체(27)가 설치된다. 밸브체(27)는 용기체(4)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고, 걸림 통부(58)의 상단부에 브릿지부(29)를 통해 연결된다. 브릿지부(29)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스포이트 관(30) 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마개부(38)가 스포이트 관(30)에 대해 상승하고, 밸브체(27)에 의해 스포이트 관(30)의 상단 개구가 개방되었을 때에, 탄성 돔(72) 내의 공간에 연통한다. 즉, 스포이트 관(30) 내는 탄성 돔(72) 내의 공간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스포이트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커버 부재(76)와 함께 외주벽(40)을 회전시켜(도 3을 참조), 가동 마개부(38)를 구경부(6)에서 나사 이탈시킨다. 그러면, 코일 스프링(70)의 탄성력으로 가동 마개부(38)가 상승하고, 탄성 돔(72) 내의 공기가 가동 마개부(38)와 마개 기부(18)와의 공간 내로 흡인되고, 밸브체(27)가 스포이트 관(30)의 상단 개구를 개방하기 때문에, 용기체(4) 내의 액체가 스포이트 관(30) 내로 빨아 올려진다. 그런 후에, 마개(16)를 용기(2)측에서 들어올리고, 탄성 돔(72)을 압착 조작하여 스포이트 관(30)에서 액체를 적하시킬 수 있다.
이 스포이트 용기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마개부(38)를 용기체(4)로부터 이탈시켜, 스포이트 관(30)에서 내용물을 빼낸다. 그 후, 가동 마개부(38)를 용기체(4)에 장착할 때에, 가동 마개부(38)를 마개 기부(18)에 대해 하강시키면, 마개 기부(18)의 피스톤부(66)가 가동 마개부(38)의 실린더부(100) 내를 상대적으로 상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실린더부(100)의 내용적을 감소시킨다.
이때, 마개 기부(18)와, 용기체(4)의 구경부(6)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된 패킹(28)의 하면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압착 돌출부(28b)가 형성된다(도 5, 도 6을 참조). 그 때문에, 마개 기부(18)와 용기체(4)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 용기체(4)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연통 간극(28c)이 형성된다(도 6을 참조). 따라서, 상술한 실린더부(100)의 내용적 감소분은 통기 구멍(54), 탄성 돔(72) 내의 공간, 스포이트 관(30) 내, 용기체(4) 내, 및 연통 간극(28c)을 통해 용기체(4)에 배기되고, 용기체(4)의 내압 상승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용기체(4) 내에서의 내용물의 잔량에 상관없이, 스포이트 관에의 내용물 흡입량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가동 마개부(38)를 더 하강시킴으로써, 패킹(28)은 마개 기부(18)와 용기체(4)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 사이에서 압압되고, 특히 압착 돌출부(28b)가 용기체(4)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압착된다(도 4를 참조). 그때, 압착 돌출부(28b)의 바로 위에 피돌출 오목부(28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돌출 오목부(28d)에 의해 압착 돌출부(28b)의 상면측으로의 변형이 허용된다(도 5, 도 6을 참조). 따라서, 압착 돌출부(28b)의 상측으로의 압착이 커다란 저항 없이 원활하게 일어난다. 이로 인해, 패킹(28)에 의한 마개 기부(18)와 용기체(4)의 상기 상단 개구 가장자리 간의 시일성이 양호하게 확보된다.
또한, 상기 스포이트 용기에서는 초기 상태에서 밸브체(27)가 스포이트 관(30)의 상부 개구를 폐색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 마개(16)를 의도하지 않고 조작해버렸다고 해도, 용기체(4) 내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30) 내에 잘못 유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포이트 관(30)으로부터 내용물이 나오는 양을 정밀도 좋게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초기 상태에서 스포이트 용기의 전도에 의해, 용기체(4)의 내용물이 스포이트 관(30) 내로 유입했다고 해도, 내용물을 밸브체(27)에 의해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탄성 돔(72) 내의 공간으로 유입하는 것을 규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외주벽 및 내주벽의 각 상단부 내에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를 끼워 넣기 때문에, 탄성 변형 부재를 끼워 맞춤 홈에 끼워 넣을 경우에 비해 공기의 반발이 작아져, 끼워 넣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세트성이 좋은 스포이트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2 용기
4 용기체
6 구경부
8 러빙 부재
10a 차양부
10 주통부
12 러빙부
16 마개
18 마개 기부
20 기통부
21 환 형상 판부
22 기판부
24 걸림 벽부
26 슬릿
28 패킹
30 스포이트 관
32 소경 통부
32a 맞물림 오목부
34 중경 통부
34a 끼워 맞춤 홈
36 대경 통부
36a 링 유지 홈
37 O링
38 가동 마개부
40 외주벽
40a 하반부
40b 상반부
48 연결편
50 내주벽
52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
54 통기 구멍
56 함몰 벽부
58 걸림 통부
58a 맞물림 돌기(engaging claw)
60 피스톤 부재
62A 내통부
62B 외통부
64 바닥벽부
66 피스톤부
68 다리통부
70 코일 스프링
72 탄성 변형 부재(탄성 돔)
72a 하단부
74 피압압면
76 커버 부재
78 맞물림 단부
80 압압부
S1 외측 끼워 맞춤용 단부
S2 내측 끼워 맞춤용 단부
A 공극
G 간극

Claims (5)

  1. 구경부를 기립하는 용기와,
    상기 구경부 위에 놓인 마개 기부, 상기 마개 기부에 대해 상방 가압 상태로 승강 자유자재로 설치된 가동 마개부, 상기 가동 마개부의 상면을 덮는 탄성 변형 부재 및 관 벽 상부에 형성된 맞물림 오목부 하측에서 상기 마개 기부와 연계하여 상기 용기 하부에 아래로 연장되는 스포이트 관을 포함하는 마개
    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 기부는 상기 스포이트 관과의 연계 개소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기판부를 가지며, 상기 기판부를 상기 구경부의 상측에 맞물리고,
    상기 가동 마개부는 상기 구경부의 외면에 하반부를 끼워 맞춘 외주벽과, 상기 외주벽의 상반부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상기 상반부에 연결한 내주벽을 가지며, 상기 내주벽의 상부에서 안쪽을 향하는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를 통해 걸림 통부를 아래로 연장하고, 상기 걸림 통부의 내면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 내를 승강 가능한 맞물림 돌기(engaging claw)를 부설함과 동시에, 상기 마개 기부와 상기 가동 마개부의 플랜지 형상의 정상벽부 사이에 상기 내주벽의 내면에 액밀하게 접하는 피스톤 부재를 설치하고,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외주벽 및 내주벽의 상기 간극의 상부 내에 끼워 넣은 스포이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배기용 통로로서 상기 기판부와 상기 외주벽과의 공극을 통해 상기 마개 기부의 하방으로 연통해 있는 스포이트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의 상기 하반부를 상기 구경부의 외면에 나사 결합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상기 내주벽 및 외주벽의 각 일부를 연결편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기판부의 외주에서 상기 내주벽 및 외주벽의 상기 간극에 걸림 벽부를 기립하고, 상기 걸림 벽부를 상기 가동 마개부에 대한 상기 마개 기부의 회전 멈춤 부재로서 연결편에 맞물린 스포이트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가동 마개부의 상기 외주벽의 하부와 끼워 맞춤과 동시에,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하단부를 상측에서 압압하는 압압부를 상측에 가지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이 커버 부재의 상부 외면 및 상기 탄성 변형 부재의 상면에서 상기 마개의 상면을 형성한 스포이트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내주벽의 내면에 액밀하게 접하는 피스톤부가 형성된 외통부와, 상기 걸림 통부가 내측에 삽입된 내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부의 내면에는 걸림 통부의 외면에 부설된 걸림 돌출부에 대해 상방에서 맞물리는 임시 멈춤 돌기가 부설된 스포이트 용기.
KR1020167026863A 2014-03-31 2015-03-31 스포이트 용기 KR102277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1967 2014-03-31
JPJP-P-2014-071967 2014-03-31
PCT/JP2015/060169 WO2015152259A1 (ja) 2014-03-31 2015-03-31 スポイト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074A true KR20160138074A (ko) 2016-12-02
KR102277851B1 KR102277851B1 (ko) 2021-07-16

Family

ID=5424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863A KR102277851B1 (ko) 2014-03-31 2015-03-31 스포이트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07150B2 (ko)
KR (1) KR102277851B1 (ko)
CN (1) CN106163940B (ko)
WO (1) WO2015152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0074A1 (fr) * 2022-09-23 2024-03-29 L'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comportant un essoreur pist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258A (ja) 1991-07-04 1993-01-19 Toshiba Corp コンプレツサ
JP2549350Y2 (ja) * 1993-10-15 1997-09-30 鐘紡株式会社 スポイト容器
JP2000095261A (ja) * 1998-09-25 2000-04-04 Shiseido Co Ltd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1063A (en) * 1955-08-17 1957-02-12 Harold W Williams Dropper bottle cap
JPS5411244Y2 (ko) * 1974-06-14 1979-05-22
CN1071599C (zh) * 1994-10-26 2001-09-26 株式会社吉野工业所 触发式液体排出器
BR112012031132B1 (pt) * 2010-06-07 2019-08-06 L'oreal Dispositivo para embalar e distribu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258A (ja) 1991-07-04 1993-01-19 Toshiba Corp コンプレツサ
JP2549350Y2 (ja) * 1993-10-15 1997-09-30 鐘紡株式会社 スポイト容器
JP2000095261A (ja) * 1998-09-25 2000-04-04 Shiseido Co Ltd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3940B (zh) 2018-01-02
WO2015152259A1 (ja) 2015-10-08
CN106163940A (zh) 2016-11-23
JPWO2015152259A1 (ja) 2017-04-13
JP6507150B2 (ja) 2019-04-24
KR102277851B1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711B2 (en) Liquid cosmetic case
US20140183229A1 (en) Pumping device for a fluid container
JP5477865B2 (ja) 噴出ポンプ
CA2629328A1 (en) Closure assembly
KR20170078588A (ko) 스포이트 용기
KR102659177B1 (ko) 분배 부재 및 그 부재를 포함하는 분배기
JP6103596B2 (ja) スポイト容器
CN110944917B (zh) 排出泵
US7497356B2 (en) Fluid dispenser device
KR20160138074A (ko) 스포이트 용기
JP2020083327A (ja) 吐出器
JP2014213917A (ja) 液体吐出器
JP5918888B1 (ja) 詰替用ボトル
JP2007008550A (ja) 定量塗布容器
JP5311475B2 (ja) 液体吐出ポンプ
JP2016069052A (ja) ポンプ操作及び圧搾操作可能な液体吐出容器
JP5201675B2 (ja) 液体吐出器
JP4827091B2 (ja) 蓋付き高気密容器
JP6429265B2 (ja) 液体容器用吐出ポンプ
JP6676472B2 (ja) 計量スポイト容器
JP7190807B2 (ja) 吐出器
JP2015182800A (ja) ポンプ
JP6007019B2 (ja) 吐出容器
JP2013028372A (ja) スプレー容器
JP6087260B2 (ja) 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