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305A -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305A
KR20160135305A KR1020167028842A KR20167028842A KR20160135305A KR 20160135305 A KR20160135305 A KR 20160135305A KR 1020167028842 A KR1020167028842 A KR 1020167028842A KR 20167028842 A KR20167028842 A KR 20167028842A KR 20160135305 A KR20160135305 A KR 20160135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jacket portion
sleeve
jacke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379B1 (ko
Inventor
베나엘 레뉘에르
Original Assignee
쏘시에떼 당발라쥬 에 드 꽁디씨온느망 에스.으.엠.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시에떼 당발라쥬 에 드 꽁디씨온느망 에스.으.엠.쎄.오. filed Critical 쏘시에떼 당발라쥬 에 드 꽁디씨온느망 에스.으.엠.쎄.오.
Publication of KR2016013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6Cutt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0Body construction made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물을 수용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우치(200)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로서,
- 손으로 변형가능한 재킷부(201)로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절두체를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폐쇄되는 제 1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절두체의 단면은 제 1 단부에 근접할 수록 좁아지는, 상기 재킷부(201);
- 제 2 필름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단부를 폐쇄하도록 절두체의 제 2 단부에서 실링되는 베이스(202)로서, 상기 베이스(202) 및 재킷부(201)가 함께 손으로 변형가능한 파우치(200)를 형성하도록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wrong-side to wrong-side) 방식으로 실링되는, 상기 베이스(202);
- 상기 절두체의 제 1 단부에 실링된 슬리브(102)를 포함하며, 내용물의 배출 중 내용물이 관통하는 개폐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Description

포장용기{PACKAGING}
본 발명은 포장용기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포장용기 상에 손으로 가해지는 압력 및/또는 중력에 의해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용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포장용기는 일반적으로 식품, 산업용, 화장품, 가정용 및 약제용 분야들 및 건강분야에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케이크 분야에서, 케이크 크림을 넣거나 붓기 위해서, 슬리브 파우치(sleeve pouch)가 통상 사용된다. 슬리브 파우치는 상이한 단면들을 갖는 2 개의 단부들을 갖는 원뿔형 파우치로 구성된다. 큰 단부는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그들의 불량한 배출, 스토퍼의 부재, 및 따라서 많이 버릴 위험에도 내용물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필요와 관련된 단점들을 갖는다. 또한, 일단 개방되면, 슬리브 파우치는 자체적으로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며 따라서 내용물이 부어 버리지 않고서 작업 표면상에서 유지될 수 없다. 그러나, 슬리브 파우치는 다루기가 매우 용이하며 정밀한 느낌을 주며, 따라서 "내용물"을 잘 느끼게 하며, 전달된 투여량을 매우 양호하게 제어 가능하게 하며, 내용물의 배출이 매우 용이하다.
배출비(release)는 슬리브 파우치 내에 초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정량과 사용 종료 시에 필연적으로 남게 되는 내용물의 정량 간의 비를 의미한다. 양호한 배출비는 용기의 전체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는 큰 능력을 의미한다.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포장용기 분야는 또한 플라스틱 타입의 재료로 이루어진 연속형 외부 인클로저 및 또는 튜브에 의해서 형성된 플라스크들 또는 병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용기들은 슬리브 파우치보다 수직으로 잘 유지되는 능력을 갖는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용기를 폐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토퍼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내용물을 용이하게 넣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포장용기는 내용물의 배출비가 불량하다. 이는 사용 종료 시에, 추출할 수 없는 내용물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만지는데 좋은 느낌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하고 내용물을 배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파우치를 포함하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포장용기는,
- 손으로 변형가능한 재킷부(jacket)로서, 자신의 무게의 작용 하에서 자신을 변형시키도록 충분하게 유연성이 있는 제 1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름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절두체(frustum)를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폐쇄되며, 상기 절두체의 단면은 상기 제 1 단부에 근접할 수록 좁아지는, 상기 손으로 변형가능한 재킷부;
- 자신의 무게의 작용 하에서 자신을 변형시키도록 충분하게 유연성이 있는 제 2 필름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제 2 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절두체의 상기 제 2 단부에서 실링되는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재킷부는 함께 상기 손으로 변형가능한 파우치를 형성하도록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wrong-side to wrong-side) 방식으로 실링되는, 상기 베이스;
- 내용물의 배출 동안에 내용물이 자신을 통해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절두체의 제 1 단부에 실링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장치는 다루기가 매우 용이하며, 그 속에 든 "내용물"을 실질적으로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는 본 장치가 한 손 또는 두손으로 사용자가 가한 간단한 압력에 의해서 변형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바디인 슬리브 파우치의 이점을 갖기 때문이다. 파우치의 유연성은 내용물을 배출을 양호하게 하며 가해진 압력의 제어를 개선한다. 이러한 제어 수준은 투여량을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파우치는 유연성이 있는 베이스와 유연성이 있는 재킷부의 협동을 통해서, 슬리브가 위로 향하여 있을 때에 수직으로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재킷부-베이스 실링부가 파우치에 기계적 강화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링부는 재킷부 및 베이스의 두께들의 합인 두께를 갖는다. 또한, 슬리브에서 사용되는 보조부품의 타입에 따라서, 본 장치는 슬리브가 위로 향하여 있을 때에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한 위치는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 내측에서의 내용물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필름에서 재킷부의 패턴을 절취하는 단계;
- 상기 재킷부의 패턴을 조작하여서 절두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절두체를 형성하는 재킷부의 내측 면 및 외측 면과 접촉할 수 있는 가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재킷부의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을 수행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비한정적으로 갖는 다양한 옵션들이 이하에서 기술되며, 이러한 옵션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임의로 조합하여서 구현될 수 있다.
* 상기 절두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재킷부를 실링한 이후에, 상기 재킷부를 슬리브 또는 베이스 중 어느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재킷부를 슬리브 또는 베이스 중 어느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 이후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 상기 절두체의 일 단부를 통해서 상기 포장용기를 내용물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채움 단계 이후에, 상기 재킷부를 상기 슬리브 또는 베이스 중 다른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달리, 상기 재킷부를 슬리브 또는 베이스 중 어느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재킷부를 상기 슬리브 또는 베이스 중 다른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 및 이후에, 상기 슬리브를 통해서 상기 포장용기를 내용물로 채우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 목표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첨부 도면들에 의해서 예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리드 및 보조부품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례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슬리브가 하향으로 존재할 시에 본 발명의 장치를 수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부품 및 리드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리콘 립들을 갖는 보조부품을 가지며 커버가 제거된 도 1a에서 예시된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동 채널들이 형성된 위치들이 예시된, 도 1a에서 예시된 장치를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에서 예시된 장치의 전방도이다.
도 5는 도 1a에서 예시된 장치의 프로파일도이다.
도 6은 변형된 상황에서 도 1a에서 예시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된 상황에서 도 1a에서 예시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에서 예시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라인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면들은 예시적으로 주어지며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의도된 개략적인 표현사항들로 구성되며 반드시 실제 이용 시의 크기대로 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재킷부는 자신의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는 필름에 의해서 형성된 때에 "유연하거나" 또는 "유연성이 있다"고 말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재킷부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때에 자체적으로 자신을 유지하지 못하고 그의 단부들 중 하나에 의해서만 유지되는 필름에 의해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폭은 2 cm(10-2 m)보다 크고, 그의 길이는 5 cm보다 크고, 그의 두께는 0.01 cm보다 크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그의 두께는 0.001 cm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다음과 같은 치수들을 갖는다: 3 cm 길이, 10 cm 폭 및 0.013 cm 두께. 유리하게는,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라서, 필름은 적어도 0.001 cm의 두께를 갖는다.
용어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flexible pouch)" 또는 그의 균등체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사용자의 한 손 또는 두손으로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 하에서 적어도 1/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만큼 감소될 수 있는 체적체로서 규정된다고 본 발명의 맥락에서, 또한 진술된다. 이러한 힘은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손바닥 상에 자신의 손가락을 접는 동안의 압축력이다. 이러한 체적부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유출구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손에 의해서 가해질 수 있는 용어 "표준 힘(standard force)"은 성인이 자신의 손으로 가할 수 있는 힘으로서 규정된다고 본 발명의 맥락에서, 진술된다.
용어 "롱-사이드(wrong-side)"는 수용될 내용물과 접촉하게 될 필름의 면으로서 규정된다고 본 발명의 맥락에서, 또한 진술된다.
용어 "스킨(skin)"은 수용될 내용물의 외측을 향해서 돌려진 필름의 면으로서 규정된다고 본 발명의 맥락에서, 또한 진술된다.
용어 "배출비(release)"는 포장용기 내에 초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과 사용 종료 시 남아 있으면서 추출될 수 없거나 오직 매우 어렵게만 추출될 수 있는 함량 간의 비로서 규정된다고 본 발명의 맥락에서, 또한 진술된다.
"길이" 방향은 절두체가 그의 최대 치수를 갖는 축을 따라서 취해진다고 또한 진술된다. 이로써, 이 축은 제 1 단부에서 제 2 단부로, 말하자면, 베이스로부터 개폐 장치로 연장된다. 도면들에서, 이 축은 수직이다.
용어들 "슬리브(슬리브)" 및 "엔드 피스(end piece)"는 본 문헌에서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고 또한 진술된다.
특히 도면을 참조하여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세부사항들로 들어가기 이전에,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비한정적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들이 이하에서 진술되며, 이러한 옵션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하여서 구현될 수 있다.
* 유리하게는, 제 1 필름은 자체적으로 폐쇄되며, 절두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skin against wrong-side)" 실링에 의해서 실링된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며, 이로써 형성된 원뿔 형태는 자연적으로 유출구 지점에 대응하는 가장 작은 단면을 갖는 단부를 향해서 내용물을 가이드한다.
* 유리하게는, 제 1 필름은 초기에는 "스킨 대 스킨" 실링에 의해서 실링되며 다음에는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wrong-side to wrong-side)" 실링에 의해서 실링된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를 구성하는 필름은 1 내지 20 mm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 및 유리하게는 5 mm인 재킷부의 폭에 걸쳐서 절두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에 의해서 실링된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의 제 2 단부는 베이스의 윤곽의 형태를 따르며, 베이스의 윤곽은 제 1 단부의 방향으로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유동 채널들을 재킷부 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 기하구조 형태를 갖는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 및 베이스는 사용자의 손의 작용의 영향 하에서 베이스 및 슬리브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가 트위스트되도록 구성된다.
* 유리하게는, 파우치는 두 손 중 하나에 의해서 가해진 하나 이상의 압력들 하에서 1/4, 바람직하게는 1/3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만큼 감소하는 체적을 갖는다. 이로써, 파우치는 사용자의 한손 또는 두손에 의해서 가해진 압력의 영향 하에서, 그의 체적이 1/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 만큼 감소된다.
이러한 특징은 내용물의 매우 양호한 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비어 있을 때에 매우 컴팩트하게 한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 및 베이스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 유리하게는, 제 1 단부에서의 재킷부의 단면의 둘레와 베이스에서의 재킷부의 단면의 둘레 간의 비는 0.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5이다 .
* 유리하게는, 장치(1)의 메인 바디를 구성하는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는 베이스 및 재킷부로 구성된다.
* 유리하게는, 제 1 필름 및 제 2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중층 필림들로 구성된다.
* 유리하게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장점들을 제공하는 다중층 필름들이다:
- 두께가 유연성이 있거나 보다 강성의 느낌이 들게 구성될 수 있음;
- 내용물을 터치하는 느낌을 줌;
- 포장용기를 기밀하게 함으로써 비한정적으로 말하자면 자외선과 같은 특정 타입의 방사선 및 주변 공기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장벽 역할을 함;
- 팩킹 용기의 외부 클래딩 상에 인쇄할 수 있음;
- 사용된 재료들이 재활용될 수 있음.
* 유리하게는, 재킷을 구성하는 재질은 유연성이 있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를 구성하는 재질은 유연성이 있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다각형상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길이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면에서 다각형상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이 다각 형상의 모서리들은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이 다각 형상의 모서리들은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에서 라운드된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며, 이 다이아몬드 형상의 모서리들은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재킷부(201)가 유동 채널들을 형성하도록 재킷부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의 제 2 단부는 베이스의 윤곽의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베이스의 윤곽은 제 1 단부의 방향으로 베이스로부터 연장하는 유동 채널들을 상기 재킷부 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파우치는 유동 채널들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징은 포장용기의 사용 동안에 포장용기에 주어진 중력 또는 움직임의 영향 하에서 이러한 채널들 내측에서 내용물을 모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이는 파우치 내측에서의 내용물의 보다 양호한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가지며, 이 모서리는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되며, 여기서 파우치는 베이스의 윤곽에 의해서 형성된 각 모서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유동 채널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각 유동 채널은 재킷부의 적어도 1/2 높이에 걸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에 걸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재킷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슬리브의 방향으로 베이스로부터 연장된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다각 형상을 가지며, 파우치는 파우치의 적어도 1/2 높이에 걸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에 걸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파우치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슬리브의 방향으로 베이스의 각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들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며, 파우치는 재킷부의 적어도 1/2 높이에 걸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에 걸쳐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재킷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슬리브의 방향으로 베이스의 다이아몬드의 각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들을 갖는다.
* 유리하게는, 파우치는 베이스가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손의 압력의 영향 하에서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압력 부재 시에, 베이스는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무게에 따라서, 실링 구역들을 제외하고, 편평한 또는 만곡진 형태를 갖는다. 일단 파우치가 손에 의해서 압축되면, 베이스는 수축되고 자체적으로 접어진다. 베이스의 변형은 내용물의 보다 양호한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 및 베이스는 재킷부 상에 가해진 손의 압력의 영향 하에서, 포장용기의 길이 축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재킷부의 2 지점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도록 충분하게 유연성이 있다. 이러한 바는 파우치(200)의 배출을 개선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재킷부 및 베이스는 압력의 부재 시에 서로 떨어져 있는, 재킷부의 두 지점들이 재킷부 상에 가해진 손의 압력의 영향 하에서, 서로 접촉하게 되도록 충분하게 유연성이 있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 및 베이스는 사용자의 손의 작용의 영향 하에서, 베이스 및 슬리브를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파우치가 트위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길이 축이며, 예를 들어서, 도면을 참조하면 수직 축이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 및 베이스는 사용자의 손의 작용의 영향 하에서, 베이스 및 슬리브를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가 적어도 180o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60o 트위스트(twist)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재킷부를 찢을 위험 없이, 보다 용이하고 보다 완전한 배출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비어 있을 때에 공간 요건은 파우치의 압축에 의해서 감소될 수 있다.
이 특징은 장치에 장치의 사용의 종료 시에, 어떠한 내용물도 존재하지 않을 때에, 그의 체적이 감소하도록 장치를 압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유리하게는, 제 1 필름은 1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 및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지며, 제 2 필름은 1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지며, 제 2 필름은 1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 및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 유리하게는, 제 1 필름은 적어도 4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 유리하게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동일하다.
베이스 및 재킷부에 대해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면, 파우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동일한 기계적 거동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 유리하게는, 각기 재킷부 및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유연성이 있는 필름을 포함한다.
* 유리하게는, 각기 재킷부 및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단일-층 및/또는 다중층 필름을 포함한다.
* 유리하게는, 각기 재킷부 및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단일-층 필름을 포함한다.
* 유리하게는, 각기 재킷부 및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다중층 필름을 포함한다.
* 유리하게는, 각기 재킷부 및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OPP(polypropylene), OPA(biaxially oriented polyamide), 알루미늄(Alu) 및 PE(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다중층 필름을 포함한다.
* 유리하게는, 각기 재킷부 및 베이스를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OPP(polypropylene), OPA(biaxially oriented polyamide), 알루미늄(Alu), PE(polyethylene), AlOx PET(aluminium oxi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EVOH(ethylene vinyl alcohol)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필름을 포함한다.
* 유리하게는, 슬리브, 또는 개폐 장치 전체는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및/또는 LDPE(low-density polyethylene)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는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타입 실링에 의해서 재킷부에 실링된다.
이러한 특징은 베이스의 주변부를 강화시키며, 이로써, 장치가 비거나 완전히 차거나 부분적으로 차거나 어떠한 상태에서도, 베이스는 장치를 완전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 유리하게는, 베이스와 재킷부의 실링부는 높이 h1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포장용기는 높이 h2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비 h1/h2은 0.001 내지 0.1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5이다.
* 유리하게는, 슬리브는 재킷부에 실링된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와 슬리브의 실링부는 높이 h3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포장용기는 높이 h2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비 h3/h2은 0.001 내지 0.2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5이다.
* 유리하게는, 재킷부/슬리브 실링부는 그의 높이 h3 및 슬리브의 단면 간의 비가 0.001 내지 1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6이다.
* 유리하게는, 슬리브는 파우치보다 강성이다.
이 특징은 장치의 사용 동안에 내용물을 채우는 것을 양호하게 가이드한다.
* 유리하게는, 슬리브는 타원형 베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타원 형태의 슬리브는 본 장치의 실링과 관련하여서 슬리브의 재킷부와의 보다 양호한 협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타원형 형상은 제조를 더 용이하게 한다.
* 유리하게는, 개폐 장치는 슬리브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보조부품(accessory)을 포함한다.
* 바람직하게는, 보조부품은 분리가능한 슬리브에 고정된다.
* 바람직하게는, 슬리브는 다양한 보조부품들을 수용하게 구성된다.
* 유리하게는, 본 장치는 슬리브에 고정된 보조부품을 가지며, 상기 보조부품은 슬리브가 하향으로 존재할 시에 장치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개폐 장치가 포장용기와 작동 표면 간의 접촉 계면을 형성한다.
* 유리하게는, 보조부품에는 실리콘 립들(lips)이 제공되며, 이 립들은 힘의 작용에 의해서, 유리하게는,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서 서로 분리되게 구성되고, 사용자 측에서 힘을 주지 않을 시에 파우치 내측으로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서로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 유리하게는, 보조부품은 스토퍼이며, 이 스토퍼는 슬리브 상으로 나사결합되거나 슬리브 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절연결되게(rotationally articulated) 구성되거나, 슬리브 상으로 스냅핑되게 구성된다.
* 유리하게는, 파우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손의 압력의 작용 하에서 압축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손의 압력의 해제 시에 자신의 초기 형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장치의 초기 형태가 장치의 사용 후에 다시 복구된다. 이러한 특징은 각 사용 후에 슬리브가 상향으로 존재할 시에 장치를 수직으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는 포장용기가 압축된 후에도 포장용기의 우수한 안정성을 가능하게 한다.
* 유리하게는, 파우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손의 압력의 작용 하에서 압축되고 압축된 채로 유지되게 구성된다.
이로써, 산소에 대한 차단벽을 요구하는 내용물의 경우에, 파우치는 파우치 내측의 내용물과 주변의 공기와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압축된 형태를 유지한다.
* 유리하게는, 본 장치는 예를 들어서, 비한정적 실례를 들자면, 초콜릿 스프레드와 같은 식품을 수용할 수 있다.
* 유리하게는, 본 장치는 예를 들어서, 비한정적 실례를 들자면, 크림, 파우더, 액체 또는 젤과 같은 화장품들; 예를 들어서, 비한정적 실례를 들자면, 그리스, 실리콘, 도료 또는 분말과 같은 산업용 내용물들; 예를 들어서, 비한정적 실례를 들자면, 젤과 같은 영양제들; 예를 들어서, 비한정적 실례를 들자면, 젤, 크림, 또는 액체와 같은 의약용 또는 안과용 내용물들을 수용할 수 있다.
* 유리하게는, 본 장치는 본 발명의 장치 상에 적어도 하나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보관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변형 능력을 통해서 보다 양호한 폐기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 유리하게는, 본 장치는 생태학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설계로부터 기인되는데, 그 이유는 재료의 소모량이 줄어들고(동일한 체적을 갖는 종래 기술의 병에 비해서 무게가 3배까지 감소됨), 다중층 필름이 작아지며(동일한 체적을 갖는 종래 기술에 비해서 40%까지 표면적이 감소됨), 종래 기술의 포장용기에 비해서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위에서 진술된 상대적인 특징들, 특히, 포장용기의 유연성, 그의 변형 능력, 실링 타입들, 유동 채널들 및 베이스의 형태와 관련된 특징들이, 유리하게는 조합될 때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지만,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특정한 기술적 이점들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 중 오직 하나 또는 이들 중 일부들만의 조합을 갖는 포장용기들을 기술한다.
도 1, 2, 3, 4, 5, 6 및 7에 의해서 제공된 비한정적 실례 역할을 하는 일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 1 은 유연성이 있는 재킷부(2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킷부(201)는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름은 자체적으로 폐쇄된다. 이러한 필름을 일단 자체적으로 폐쇄되면, 절두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발명의 맥락에서, 절두체는 원형 단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두체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다. 이로써, 이러한 절두체의 단면은 제 1 단부에 접근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절두체는 1 내지 20 mm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 및 유리하게는 5 mm인 재킷부의 폭에 걸쳐서 필름의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타입의 실링은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보다 양호한 파지 및 보다 균일한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다중층 필름이다.
베이스(202)는 재킷부(201)에 실링된다.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타입의 실링부(400)에 의해서 실링된다. 이러한 실링부(400)은 제 2 단부에서 이루어진다. 이로써,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파우치(200)를 형성한다. 베이스(202)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연성이 있는 재료는 예를 들어서, 재킷부(201)의 재료와 동일한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의 유연성이 있는 필름이며, 유리하게는 OPP/OPA/ALU/EP 또는 OPP/금속화된 폴리에스테르/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는 개폐 장치(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폐 장치(100)는 재킷부(201)의 제 1 단부에서 실링되며, 가장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개폐 장치(100)는, 예를 들어서, 슬리브(10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슬리브(102)는 재킷부(201)보다 강성이다. 이러한 슬리브(102)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파우치(200) 내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지 않는 그의 외측 면 상에 나사산(105)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105)은 개폐 장치(100)의 보조부품(101)을 피팅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부품(101)은 예를 들어서, 리드(106)을 갖는 실리콘 립들(104)을 갖는 스토퍼(캡, 펌프, 등) 또는 지지부일 수 있다.
이로써 생성된 본 장치(1)는 슬리브(102)가 상향으로 있고, 이로써 재킷부/베이스 실링부(400) 상에서 유지되면서, 수직 위치에서의 매우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이러한 실링부(400)는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타입의 실링부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링부는 보다 큰 강성을 갖는데, 그 이유는 그의 두께가 재킷부(201)의 두께와 베이스(202)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정성은 장치(1)가 가득 채워져 있든지 비어 있든지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있든지 가능하다.
이 장치(1)는 또한 일단 내용물이 비워지면 체적이 감소된다는 이점을 가지며, 그의 파우치가 유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스토퍼를 개방한 상태에서 파우치(200)를 압축하고, 파우치(200)에 가해진 압력들이 정지되기 이전에 스토퍼가 다시 폐쇄되면 이러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스토퍼가 압력이 정지된 이후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면, 장치(1)는 그의 초기 형상으로 돌아가며, 이로써 슬리브(102)가 상향으로 있으면서 장치가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압력이 정지된 후에 그리고 스토퍼의 상태와 독립적으로, 장치(1)는 그의 변형된 형상을 유지한다. 이러한 바는 예를 들어서,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 내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주변 공기로부터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이점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압력이 정지된 이후에 스토퍼가 개방 상태로 유지되면, 장치(1)는 부분적으로 그의 초기 형상로 돌아간다.
본 발명이 변경가능한 파우치(200)를 갖기 때문에 그 내측에 수용된 내용물의 배출이 양호하게 된다. 이러한 배출 및 이러한 장치(1)의 사용의 정밀성 및 다루기 양호함을 실현하기 위해서,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200)는 그 변형 용량이 개선되며, 이로써 표준 힘을 가지고 사용자가 한 손으로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베이스(202)는 임의의 기하구조, 유리하게는, 다각형상, 바람직하게는는,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다각형상, 및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다각형상을 갖는다. 베이스(202)의 기하구조는 재킷부(201)가 베이스(202)의 윤곽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재킷부(201)와 협동할 수 있다. 베이스(202)에 의해서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 각 모서리에서, 재킷부(201)는 유동 채널(500)로서 지칭되는 채널을 형성하며, 이 유동 채널(500)은 슬리브(102)의 방향으로 베이스(202)로부터 연장된다. 유동 채널들(500)은, 이로써, 표준 힘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압력이 존재하고/하거나 부재할 때에 파우치(200) 내측에서 형성된다.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다각 기하구조, 및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유리하게는 다이아몬드 기하구조는, 외부 힘이 존재하고/하거나 부재할 때에 라운드된 모서리들에서 파우치(2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모이는 것을 보조하는 유동 채널들(500)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재료를 국부적으로 모이게 하면 재킷부(200)의 내벽과 추출된 재료 간의 접촉 표면으로 추출된 재료의 질량비가 증가된다. 이는 파우치(200) 외측으로 재료의 하강을 증가시킨다. 가해지는 압력이 존재하지 않을 시에, 그리고 해당 내용물의 점성에 따라서, 중력은 이렇게 재료가 모이도록 하는데 충분하며 이로써 이러한 유동 채널들(500)을 따르는 유동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은 0.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및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5의, 슬리브(102)의 둘레 및 베이스(202)의 둘레 간의 비를 갖는다. 본 발명은 0.001 내지 0.1,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5의, 재킷부/베이스 실링부의 높이(401) 및 장치의 높이(2) 간의 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0.001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15의, 재킷부/슬리브 실링부의 높이(301) 및 장치의 높이(2) 간의 비를 갖는다.
이러한 치수들은 장치(1)의 안전성을 개선하면서 양호한 용량을 제공한다. 또한, 이로써,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200)에 의해서 형성된 입체각은 유연성이 있는 파우치(2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호한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례가 도면들을 참조하여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장치(1)의 사시도이다. 보조부품(101)을 폐쇄하는 리드(106)는 장치(1)의 슬리브(102) 상에 위치한다. 파우치(200)는 재킷부/베이스 실링부(400)에 의해서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실링부(400)는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실링부이다. 이러한 실링부(400)는 재킷부(201)보다 강성인데, 그 이유는 이러한 실링부(400)의 두께는 재킷부(201)의 두께 및 베이스(202)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다 큰 두께는 보다 큰 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보다 큰 강성은 베이스의 윤곽(202)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보다 큰 강성의 윤곽은 본 장치(1)를 수직으로 보다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b는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보조부품(101)을 폐쇄하는 리드(106)는 장치(1)의 슬리브(102) 상에 위치한다. 파우치(200)는 슬리브(102)가 하향으로 존재할 시에 보조부품(101)에 의해서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장치(1)는 간단한 중력에 의해서, 장치가 수용한 내용물이 슬리브(102)를 향해서 하강하도록 하게 하며, 이로써 내용물의 배출이 다음 사용 동안에 용이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재킷부가 자체적으로 접어질 때에 그의 절두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재킷부의 스킨 대 롱-사이드 실링 구역(205)을 도시한다. 파선(206)은 절두체 내측에 위치한 재킷부의 단부를 예시하며, 이의 외측 면이 절두체 외측에 위치한 단부의 내측 면과 접촉한다.
도 2는 커버(206)의 부재 시의 장치(1)의 사시도이다.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서, 실리콘 립들(104)이 장치(1)의 슬리브(102) 상에 위치한 보조부품(101)의 일부를 형성한다. 파우치(200)는 재킷부보다 강성인 재킷부/베이스 실링부(400)에 의해서 수직으로 유지된다.
도 3은 위에서 본 장치(1)의 도면이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서, 파우치(200)의 베이스(202)는 라운드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4 개의 유동 채널들(500)의 상대적 위치가 또한 비한정적으로 표시되었다. 이러한 유동 채널들(500)은 베이스(202)의 기하학적 형태의 라운드된 모서리들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슬리브(102)가 상향으로 존재하면서 장치의 수직 위치에서, 내용물 또는 제품 전체가 파우치(200)의 베이스(202)를 향해서 하강한다. 그러나, 파우치(200)를 형성하기 위한 재킷부(201)와 연관된 베이스(202)의 기하구조는 장치(1) 내측의 유동 채널들(500)의 생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202)의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다이아몬드 기하구조가, 파우치(200)에 가해지는 표준 힘으로 사용자 가하는 압력이 존재하고/하거나 부재할 때에, 슬리브(102)가 하향으로 존재하고 리드(106)가 제거된 상태에서, 파우치(2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강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파우치(200)의 기하구조는 바람직한 유동 채널들(500)을 필요하게 만들며, 이로써 유동이 보다 용이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바람직한 유동 채널들(500)은 파우치(200)로부터 내용물을 비우기 위해서 필요한 압력의 강도를 줄인다. 이로써, 내용물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힘의 감소와 함께, 사용자는 장치를 다루기가 용이하며 전달된 투여량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리드(106)의 부재 시에 장치(1)의 2 개의 단면도: 각기 전방 단면도 및 프로파일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리콘 립들(104)은 나사산 시스템 105을 통해서 장치(1)의 슬리브(102) 상에 위치한 보조부품(101)의 일부를 형성한다. 슬리브(102)는 재킷부 상에 실링된다. 파우치(200)는 라운드된 다이아몬드로 형태로 된 재킷부/베이스 실링부(400)에 의해서 수직으로 유지된다. 장치(1)의 베이스(202)는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타입의 실링에 의해서 재킷부(201) 상에 실링된다. 베이스(202) 및 재킷부(201)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동일한 재료 및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조의 용이성, 심미적 이유 및 다루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202)와 재킷부(201) 간의 실링은 실링 강성 강화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202)는 재킷부(202)의 벽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따라서 연장하며, 이는 요구된 재킷부의 형상을 유지하며 전체적으로 강성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강성 강화는 장치(1)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과 상관없이, 슬리브(102)가 상향으로 있는 상태에서 장치(1)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치수들(401 및 301)은 각기 길이 방향에서 재킷부/베이스 실링부의 높이 및 길이 방향에서 재킷부/슬리브 실링부의 높이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에서 장치(1)의 높이 2 는 이러한 두 도면들에서 표시된다.
도 6은 리드(106)가 존재한 상태에서 변형된 장치(1)의 프로파일 단면도이다. 파우치(200)가 변형된다. 이 때문에,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타입의 재킷부/베이스 실링부(400) 및 베이스(202)도 변형된다. 특히, 파우치는 베이스(202)가 주름이 잡히거나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재킷부(201)의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부(205)도 변형된다. 도 6은 파우치(200) 전체가 변형될 수 있는 능력을 예시하는 본 장치의 변형을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한손으로 또는 두손으로 가한 압축력에 의해서 발생한다. 개폐 장치의 강성, 특히 슬리브의 강성은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손의 힘의 영향 하에서 이러한 변형 및 체적 감소를 허용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개폐 장치 및 특히, 슬리브는 폴리프로필렌,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PVC(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강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변형된 장치(1)의 사시도이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서, 리드(106)는 장치(1)의 슬리브(102) 상에 위치한 보조부품(101)을 폐쇄한다. 파우치(200)가 변형된다. 이 변형은 베이스(202)에서 볼 수 있다. 이 변형은 재킷부/베이스 실링부(400)에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변형은 재킷부/재킷부 실링부(205)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은 실링부들(205, 400) 및 베이스(202)를 포함하는, 파우치(200) 전체가 변형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파우치(200)의 변형을 예시한다. 이러한 변형 능력은 파우치(200)가 용이하게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파우치(200)는 증가된 변형 용량을 가지며, 이는 장치(1)가 변형되지 않을 때에 파우치(200) 체적을 적어도 1/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및 유리하게는 그의 체적의 절반보다 큰 체적만큼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압력을 가함으로써 파우치(200)의 체적을 줄이기 위한 이러한 적합성은 파우치(20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의 매우 양호한 배출비를 보장한다. 파우치(200)는 이러한 체적 감소가 사용자가 자신의 두손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한손으로만 사용하여서 가해진 손의 압력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재킷부(201) 상에 가해진 손의 압력의 작용 하에서, 포장용기의 길이 축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위치한 2 개의 지점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충분하게 유연성이 있다. 이러한 바는 예를 들어서, 재킷부의 내측 표면에 걸쳐서 분포한 내용물들을 효과적으로 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표면들이 서로 접촉할 때에, 이 표면들에 분포된 내용물은 서로 모이고 되고 이어서 개폐 장치를 향해서 이들을 떨어뜨리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파우치(200)가 슬리브(102)는 움직이지 않은 채로 유지되면서, 사용자의 손의 작용의 영향 하에서, 베이스 및 슬리브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트위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그의 한손으로 슬리브(102)를 잡고 다른 손으로 베이스(202)를 트위스트한다. 유리하게는,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재킷부(201) 및/또는 베이스(202)가 사용자의 손의 작용의 영향 하에서, 베이스(202) 및 슬리브(102)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360°만큼 트위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적 구성은 내용물의 배출을 보다 양호하게 하며, 보다 양호하게 장치를 다룰 수 있게 하며 따라서 내용물을 넣을 시에 그 정밀성이 증가된다.
특정하게 유리한 특징은 베이스(202)의 기하구조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서 포장용기 1 내측에 유동 채널들(500)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사용자가 포장용기 1 에 힘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 말하자면, 슬리브(102)가 상향으로 존재한 상태로 포장용기 1 가 위치하면, 오직 중력만이 포장용기 1의 내용물에 작용하게 된다. 베이스(202)의 기하학적 형상은 유동 채널들(500)을 형성하도록 재킷부(201)와 협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포장용기 1의 하단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며, 포장용기 1 의 내측 벽들과 재료의 접촉 표면이 동일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재료의 질량이 증가하며, 이로써, 내용물의 점성에 의존하는 유동의 국부적 증가가 발생한다.
유연성이 있는 포장용기 1의 파우치(200)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힘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파우치(200)에 압력을 가하여서 실링된 슬리브(102)에서의 개방이 자유로로면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한 압력은 파우치(200)의 인접하는 표면들을 함께 모은다. 이렇게 인접하는 표면들을 서로 연결되게 하면, 내용물이 국부적으로 모아진다. 이러한 바는 변형의 영향 하에서 보다 두드러지는 채널들(500)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국부적으로, 재료가 모이는 정도가 증가하며, 이는 내용물의 보다 양호한 유동을 가능하며, 이는 유동 채널들(500)의 작용을 두드러지게 한다. 이러한 방식은 특히 점성 유체에 대해서 보다 양호한 배출비를 보장한다.
유리하게는 그리고 비한정적 예를 들자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다이아몬드 타입의 베이스(202)의 기하구조는 라운드된 모서리들에서 자연적으로 위치한 유동 채널들(500)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동 채널들(500)의 위치들은 본 발명의 포장용기 1 가 받는 힘 및 그의 베이스(202) 및/또는 그의 재킷부(201)의 기하구조와 관련된다는 것이 진술되어야 한다.
또한, 대체적인 다이아몬드 형상은 사용자가 2 개의 반대편의 모서리들을 누리고 이들을 서로 합침으로써, 예를 들어서 2 개의 반대되는 힘들을 동일한 손의 손가락을 사용하여서 2 개의 반대편의 모서리들에 가함으로써, 다이아몬드의 다른 2 개의 모서리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이러한 다른 2 개의 모서리들에 인접하는 표면들은 쌍들로 해서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거나, 이들이 서로 접촉할 때까지 서로 근접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바는 이 표면들 상에 분포한 내용물들을 효과적으로 모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이러한 실시예는 내용물의 배출비를 개선한다. 원형 단면을 갖는 재킷부는 이렇게 표면들을 서로 합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 못할 것이다.
제 2 특정하게 유리한 특징은 재킷부(201)에서 실시되는 실링의 타입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재킷부(201)를 형성하기 위한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타입의 실링 (205)은 기능적인 이저 및 심미적 이점을 포함하는 다수의 이점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타입의 실링은, "스킨 대 스킨" 또는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실링 타입들에 비해서, 장치의 내측 면 또는 외측 면 상에 핀(fin)을 남기지 않는다. 핀들은 다수의 장점들을 갖는데, 예를 들어서,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실링으로부터 기인되는 외측 핀들은 포장용기의 나머지 부분보다 강성인 포장용기의 표면 상에 투입하는 재료 띠를 남기게 된다. 이러한 재료 띠는 손으로 장치를 유지할 시에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내용물의 배출을 저감시키는데, 그 이유는 재킷부의 변형에 반대하는 리브(rib)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변형이 감소된다. "스킨 대 스킨" 실링의 경우에, 핀은 포장용기 내측에 위치하며, 따라서, 손으로 장치를 유지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지만, 이러한 내측 핀에 의해서 형성된 모서리들은 포장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해하며 내용물의 양호한 배출비를 제공한다.
반대로,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은 이러한 내측 또는 외측 핀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러한 타입의 실링에 있어서, 포장용기(1)는 터치하고 보기에 보다 매우 균일하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포장용기를 취급할 수 있는 능력 및 그 변형과 관련하여서,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은, 핀들의 존재로 인해서 리브들을 필연적으로 형성하며 변형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다른 타입들의 실링에 비해서 재킷부(201)의 전체 변형 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로써,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은 보다 큰 변형 정도를 제공하며, 이로써 압축 정도를 제공하며, 내용물의 배출비를 개선시키고, 포장용기를 다루기 용이하게 하며,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고, 따라서 내용물을 넣는데 있어서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서, 수용될 물질로서 초콜릿 스프레드를 사용하는 식품 분야에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산업용, 화장품, 및 가정용 및 건강 분야에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항들에 의해서 커버되는 모든 실시예들까지 확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 및 본 포장용기가 생산되게 하는 산업용 장비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필름 내에 재킷부의 패턴을 절취하는 제 1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다중층이며, 롤로부터 온다. 이러한 롤은 절취 머신(1000)으로부터 풀어진다. 다음에, 장치(2000)가 재킷부의 패턴을 조작하여서 이를 자체적으로 폐쇄하여서 절두체 형상을 만든다. 이러한 조작기는 실링 장치(3000)와 협동할 수 있다.
상기 실링 장치(3000)는 재킷부의 내측 면 및 외측 면과 접촉할 수 있는 가열 장치를 포함한다. 방법의 이 단계에서, 재킷부는 그 자체적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유지되며 이로써 절두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열 장치는 재킷부의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링은 재킷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실링은 재킷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재킷부의 길이 방향으로 수행된다. 이로써, 이러한 실링은 이전 도면들에서 예시된 구역(205)을 형성한다. 이러한 실링은 1 내지 20 mm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mm 및 유리하게는 5 mm인, 재킷부의 폭에 걸쳐서 수행된다.
다음에, 절두체-로딩 조작기(frustum-loading manipulator)(4000)가 상기 절두체를 실링 스테이션(6000) 상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실링 스테이션은 먼저 절두체들 및 슬리브들을 수용한다. 슬리브들은 장치(5000)에 의해서 공급된다. 실링 스테이션(6000)에서, 슬리브들은 가장 작은 단면을 갖는 절두체의 부분에서 실링된다. 이어서, 스테이션(7000)이 슬리브와 함께 실링된 재킷부들을 베이스 및 재킷부를 포맷팅하여서 실링하기 위한 스테이션(10000)으로 전달한다. 스테이션(8000)은 베이스와 재킷부의 실링을 위하여 재킷부를 형성한다. 베이스들은 필름으로부터 절취되며, 이 필름의 재료는 재킷부의 필름의 재료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 스테이션(9000)은 필름의 롤로부터 베이스들을 절취한다. 일단 스테이션(10000)에서, 베이스들은 가장 큰 단면을 갖는 절두체의 부분 상에 실링된다. 이러한 실링부는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실링이다. 이러한 실링은 1 내지 20 mm 및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및 유리하게는 10 mm의, 재킷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높이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및 선택사양적으로, 장치(11000)는 새롭게 형성된 파우치 상에 실링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어서, 조작기(12000)가 완성품들을 위해서 어큐뮬레이터 벨트(accumulator belt)(13000) 상에 파우치들을 배치한다.
본 장치를 내용물로 채우는 것과 관련하여서, 다음과 같은 복수의 실시예들이 존재한다:
-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는 슬리브(102)의 실링 이후에 그리고 베이스(202)의 실링 이전에 수용될 내용물로 채워질 수 있다. 이어서, 채움이 이후에 베이스(202)를 수용하기도 의도된 제 2 단부를 통해서 발생한다.
-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는 슬리브(102)의 실링 이전에 그리고 베이스(202)의 실링 이후에 수용될 내용물로 채워질 수 있다. 이어서, 채움이 이후에 슬리브(102)를 수용하기도 의도된 제 1 단부를 통해서 발생한다.
-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는 슬리브(102)의 실링 이후에 그리고 베이스(202)의 실링 이후에 수용될 내용물로 채워질 수 있다. 이어서, 실링이 슬리브(102)를 통해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2 개의 구별된 방식들로 포장용기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한다. 제 1 방식은 사용 현장에서, 비한정적 예들을 들자면, 자외선과 같은 특정 방사선으로부터, 재료들을 보호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중 하나는 그의 크기 조절에 있다. 이는 다양한 치수들을 따라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포장용기가 비한정적 예들을 들자면, 의료용, 식품용 및 산업용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리하게는, 사용된 재료의 두께는 본 발명의 적용 분야의 요건들 및 제약사항들을 만족하기 위해서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매우 실질적으로 느끼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점은 부분적으로는 세밀한 필름들 및 전술한 바와 같은 특정 필름들의 사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내용물을 매우 실질적으로 느끼게 되면 사용자가 내용물을 배출할 시에 이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유체가 점성이거나 비균질할 때에 유용하다. 또한, 사용자는 내용물을 만지는 느낌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용기 사용 시에 용기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포장용기를 개인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포장용기의 외측 표면이 광고 및/또는 알림을 위해서 임의의 타입의 패턴 또는 텍스트로 인쇄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비한정적 예를 들자면, 로고, 이미지, 사진, 텍스트, 타이틀, 또는 사용 지침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데,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재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재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하게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용기 전체가 재활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포장용기를 위해서 사용될 재료의 양을 크게 절약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조 비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포장용기의 생산의 생태학적 영향을 줄일 수도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서 동일한 체적에 대해서 포장용기를 위해서 사용된 재료의 양을 적어도 2 배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재료량 감소는 종래 기술에 비해서 동일한 체적에 대해서 포장용기의 중량에 있어서 적어도 3 배 정도로 중량이 감소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태학적으로 책임성이 있는 측면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 설계 및 재료는 본 발명의 용기가 다루기 용이하며 유연성이 있으며 그리고 그의 기하학적 설계로 인해서 종래 기술에 비해서 적어도 10% 추가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그의 설계 및 기하구조를 통해서, 본 발명은 보관 공간 감소를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보다 낮은 비용으로 동일한 양의 내용물을 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포장용기
2: 포장용기의 길이방향 높이
100: 개폐 장치
101: 보조부품
102: 슬리브
103: 슬리브의 단면
104: 실리콘 립
105: 나사산
106: 리드
200: 파우치
201: 재킷부/절두체
202: 베이스
203: 베이스의 작은 단면
204: 베이스의 큰 단면
205: 재킷부/재킷부 실링부
300: 재킷부/슬리브 실링부
301: 재킷부/슬리브 실링부의 길이방향 높이
400: 재킷부/베이스 실링부
401: 재킷부/베이스 실링부의 길이방향 높이
500: 유동 채널
1000: 재킷부(201)의 절취 머신
2000: 재킷부(201)의 조작기
3000: 재킷부(201)의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 실링부(205)를 위한 스테이션
4000: 절두체 조작기
5000: 슬리브(102) 공급 스테이션
6000: 재킷부/슬리브 실링부(300)를 위한 스테이션
7000: 전달 스테이션
8000: 재킷부(201)를 포맷팅하는 스테이션
9000: 베이스(202)의 절취 머신
10000: 베이스(202) 및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 재킷부/베이스 실링부(400)를 포맷팅하는 스테이션
11000: 실링 테스트 스테이션
12000: 조작기
13000: 완성품들을 위한 어큐뮬레이터 벨트

Claims (31)

  1. 내용물을 수용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파우치(200)를 포함하는 포장용기로서,
    - 손으로 변형가능한 재킷부(201)로서, 자체 무게의 작용 하에 변형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제 1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름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절두체를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폐쇄되며, 상기 절두체의 단면은 제 1 단부에 근접할 수록 좁아지는, 상기 재킷부(201);
    - 자체 무게의 작용 하에 변형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제 2 필름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단부를 폐쇄하도록 절두체의 제 2 단부에서 실링되는 베이스(202)로서, 상기 베이스(202) 및 재킷부(201)가 함께 손으로 변형가능한 파우치(200)를 형성하도록 "롱-사이드 대 롱-사이드(wrong-side to wrong-side) 방식으로 실링되는, 상기 베이스(202);
    - 상기 절두체의 제 1 단부에 실링된 슬리브(102)를 포함하며, 내용물의 배출 중 내용물이 관통하는 개폐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은, 상기 절두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스킨 대 롱(skin against wrong)" 사이드 실링(205)에 의해 실링되는 동안에 자체적으로 폐쇄되는, 포장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의 제 2 단부는 상기 베이스(202)의 윤곽의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베이스(202)의 윤곽은 상기 제 1 단부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202)로부터 연장되는 유동 채널들(500)을 재킷부(201) 내에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재킷부 및 베이스는, 사용자의 손의 작용 하에서, 상기 베이스(202) 및 슬리브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202)가 트위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필름 및 제 2 필름은 동일한, 포장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2)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포장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2)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다이아몬드 형상의 모서리들은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 포장용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의 제 2 단부는 상기 베이스(202)의 윤곽의 형상과 일치하며, 상기 베이스(202)의 윤곽은 상기 제 1 단부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202)로부터 연장되는 유동 채널들(500)을 재킷부(201) 내에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포장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2)의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파우치(200)는 상기 베이스(202)의 윤곽에 의해서 형성된 각 모서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유동 채널(500)을 갖는, 포장용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각 유동 채널(500)은, 상기 재킷부(201)의 높이의 적어도 1/2에 걸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킷부(201)의 높이의 적어도 2/3에 걸쳐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킷부(20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베이스(202)로부터 상기 슬리브(102)의 방향으로 뻗어있는, 포장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2)는, 바람직하게는 라운드된 모서리들을 갖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우치(200)는, 상기 재킷부(201)의 높이의 적어도 1/2에 걸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킷부(201)의 높이의 적어도 2/3에 걸쳐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킷부(20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기 베이스(202)의 다이아몬드 형상의 각 모서리로부터 상기 슬리브(102)의 방향으로 뻗어있는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500)을 갖는, 포장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200)는, 사용자의 한 손 또는 두 손에 의해 가해진 압력의 작용 하에서, 상기 파우치의 체적이 1/3 만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만큼,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 만큼 감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지는 손의 압력의 작용 하에서 상기 베이스(202)가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포장용기.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상기 재킷부(201)에 가해진 손의 압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포장용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배치된 재킷부(201) 상의 2 개의 지점들이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는, 포장용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사용자의 손의 작용 하에서, 상기 베이스(202) 및 슬리브(102)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파우치(200)가 트위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용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는, 사용자의 손의 작용 하에서, 상기 베이스(202) 및 슬리브(102)를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180°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60°만큼 상기 베이스(202)가 트위스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용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에서 상기 재킷부(201)의 단면의 둘레와 상기 베이스(203)에서 상기 재킷부(201)의 단면의 둘레 간의 비는 0.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7,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5인, 포장용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 및 제 2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층 필름인, 포장용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은 1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지며, 제 2 필름은 10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 포장용기.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2) 및 재킷부(201)는 동일한 필름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포장용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를 각각 형성하는 제 1 필름 및 제 2 필름은 단일-층 및/또는 다중층의 유연성이 있는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용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 및 베이스(202)를 각각 형성하는 제 1 필름 및 제 2 필름은 OPP(polypropylene), OPA(biaxially orientated polyamide), 알루미늄 및 PE(polyethylene)의 다중층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용기.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201)와 베이스(202) 간의 실링부(400)는 높이(401) h1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포장용기(1)는 높이(2) h2에 걸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h1/h2 비는 0.001 내지 0.1,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5인, 포장용기.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2)는 상기 재킷부(201) 상에 실링되는, 포장용기.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2)는 상기 파우치(200)보다 강성인, 포장용기.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슬리브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보조부품(101)을 포함하는, 포장용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품(101)에는 실리콘 립들(104)이 제공되며, 상기 실리콘 립들(104)은 힘의 작용 하에서, 유리하게는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압력의 작용 하에서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고, 사용자의 힘의 부재 시에는 상기 파우치(200)의 내측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 포장용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품(101)은 상기 슬리브(102) 상에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슬리브(102) 상에 회전가능하게 관절연결되게(rotationally articulated) 구성되는 스토퍼인, 포장용기.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장용기(1) 및 상기 포장용기(1) 내에 수용된 초콜릿 스프레드를 포함하는 식품 제품.
  28.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필름에서 재킷부(201)의 패턴을 절취하는 단계;
    - 상기 재킷부(201)의 패턴을 조작하여서 절두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절두체를 형성하는 재킷부의 내측 면 및 외측 면과 접촉할 수 있는 가열 장치에 의해서 상기 재킷부(201)의 "롱-사이드에 대한 스킨(skin against wrong-side)" 실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제조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절두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재킷부를 실링한 이후에, 상기 재킷부를 슬리브(102) 또는 베이스(202) 중 어느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제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를 슬리브(102) 또는 베이스(202) 중 어느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 이후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 상기 절두체의 일 단부를 통해서 상기 포장용기를 내용물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채움 단계 이후에, 상기 재킷부를 상기 슬리브(102) 또는 베이스(202) 중 나머지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제조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부를 슬리브(102) 또는 베이스(202) 중 어느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재킷부를 상기 슬리브(102) 또는 베이스(202) 중 나머지 하나와 실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리브(102)를 통해 상기 포장용기를 내용물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용기 제조 방법.
KR1020167028842A 2014-03-18 2015-03-17 포장용기 KR102406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2203A FR3018779B1 (fr) 2014-03-18 2014-03-18 Conditionnement
FR1452203 2014-03-18
PCT/EP2015/055586 WO2015140185A1 (fr) 2014-03-18 2015-03-17 Conditionn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305A true KR20160135305A (ko) 2016-11-25
KR102406379B1 KR102406379B1 (ko) 2022-06-08

Family

ID=5106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842A KR102406379B1 (ko) 2014-03-18 2015-03-17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427860B2 (ko)
EP (1) EP3119693B1 (ko)
JP (1) JP6518758B2 (ko)
KR (1) KR102406379B1 (ko)
CN (1) CN106458408B (ko)
BR (1) BR112016021451B1 (ko)
CA (1) CA2942961C (ko)
ES (1) ES2681498T3 (ko)
FR (1) FR3018779B1 (ko)
MX (1) MX2016012035A (ko)
PL (1) PL3119693T3 (ko)
PT (1) PT3119693T (ko)
RU (1) RU2666679C2 (ko)
TR (1) TR201810505T4 (ko)
WO (1) WO2015140185A1 (ko)
ZA (1) ZA2016085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4691B2 (ja) * 2018-06-29 2022-10-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容器
US11122940B1 (en) * 2020-07-17 2021-09-21 George Joseph Winn Wrist-worn sanitizer dispenser
USD1011922S1 (en) 2020-12-07 2024-01-23 Conopco, Inc. Container with pump
USD1000280S1 (en) * 2020-12-07 2023-10-03 Conopco, Inc. Container
USD1001642S1 (en) * 2020-12-07 2023-10-17 Conopco, Inc. Container
USD986743S1 (en) 2020-12-07 2023-05-23 Conopeo, Inc. Container
USD1012717S1 (en) 2020-12-18 2024-01-30 Conopco, Inc. Bottle
USD1026655S1 (en) 2020-12-18 2024-05-14 Conopco, Inc. Bottle shoulder
USD1012724S1 (en) 2020-12-18 2024-01-30 Conopco, Inc. Bottle with pump
RU204585U1 (ru) * 2021-01-15 2021-06-01 Арутюн Тигранович ШАРОЯН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их ил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продуктов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74U (ja) * 1991-10-31 1995-01-24 東洋製酪株式会社 冷蔵可塑性食品包装体及び容器
KR200250931Y1 (ko) * 2001-08-03 2001-11-22 주용부 케익 장식 성형기
WO2012017938A1 (ja) * 2010-08-05 2012-02-09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93740A (ja) * 2012-03-15 2013-09-30 Kikkoman Corp 逆止弁

Family Cites Families (9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84A (en) * 1896-05-26 Elastic bottle
US666443A (en) * 1898-12-05 1901-01-22 Darius Smith Compressible tube.
US1100448A (en) * 1913-11-12 1914-06-16 Andrew J Selz Paper bottle.
US1293860A (en) * 1916-09-09 1919-02-11 Hugo Mock Collapsible container.
US1481339A (en) * 1920-04-03 1924-01-22 Barron Frank William Package
US1536443A (en) * 1923-02-24 1925-05-05 Hygienic Tube Company Collapsible tube
US1658233A (en) * 1925-08-21 1928-02-07 Bay State Collapsible Tube Com Discharge nipple for collapsible tubes
US1720497A (en) * 1927-02-16 1929-07-09 Vierengel Machine Co Inc M Drinking cup
CH144442A (de) * 1928-05-04 1930-12-31 Stephan Dr Boruss Tube.
US1853028A (en) * 1929-09-13 1932-04-12 Art Metal Works Inc Casing nozzle
US1967931A (en) * 1932-05-11 1934-07-24 Austen P Fox Container closure
US2110928A (en) * 1936-12-10 1938-03-15 Buys Laurence R De Nursing bottle
US2129839A (en) * 1937-08-14 1938-09-13 Henderson Douglas Container
US2268993A (en) * 1939-06-28 1942-01-06 Rudolph M Sanders Collapsible tube
US2274258A (en) * 1939-10-30 1942-02-24 Walter A Roselle Container
US2274173A (en) * 1940-05-28 1942-02-24 Victor Metal Products Corp Collapsible tube
US2383230A (en) * 1941-04-16 1945-08-21 Voke Carl Edward Manufacture of collapsible tubes and the like
US2430046A (en) * 1942-11-18 1947-11-04 Dreyfus Camille Collapsible tube
US2584095A (en) * 1946-06-13 1952-01-29 Extruded Plastics Inc Tubular container
US2441649A (en) * 1947-04-17 1948-05-18 Philip G Sprague Collapsible tube with sealing plug and decorative flow nozzle
US2524021A (en) * 1948-04-13 1950-09-26 Shellmar Products Corp Nursing container
US2682974A (en) * 1948-07-09 1954-07-06 Harry A Smith Plastic tube for pastes and other viscous materials
US2671579A (en) * 1948-08-30 1954-03-09 Fyr Fyter Co Collapsible tube and protective jacket therefor
DE909305C (de) * 1949-04-30 1954-04-15 Injection Molding Company Gefaes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718983A (en) * 1949-12-03 1955-09-27 Procter & Gamble Collapsible tube
US2686616A (en) * 1950-03-04 1954-08-17 Sidney D Barlow Collapsible tube
US2741402A (en) * 1950-03-10 1956-04-10 Boonton Molding Company Plastic container with welded seam
US2723779A (en) * 1951-12-19 1955-11-15 Parker Flexible container and dispenser
US2792149A (en) * 1954-10-28 1957-05-14 Joseph M Lutz Collapsible capless tube for toothpaste or the like
US3144964A (en) * 1961-03-17 1964-08-18 American Can Co Outsert for a collapsible tube
US3290422A (en) * 1962-12-28 1966-12-06 American Can Co Method of producing a dispensing container
FR1366792A (fr) * 1963-04-22 1964-07-17 Emballages pour produits liquides, pâteux ou solides
US3211342A (en) * 1963-10-09 1965-10-12 Colgate Palmolive Co Collapsible plastic tubes
US3307738A (en) * 1964-05-22 1967-03-07 American Can Co Laminated collapsible tube
US3431829A (en) * 1964-09-22 1969-03-11 Bemis Co Inc Methods of making bags
US3317110A (en) * 1965-05-10 1967-05-02 Monsanto Co Container with folded body of curvilinear cross section
US3288334A (en) * 1965-05-28 1966-11-29 Calmar Inc Disppenser with collapsible container and pump
US3353714A (en) * 1965-11-10 1967-11-21 Rexall Drug Chemical Collapsible flexible plastic container tube
US3434906A (en) * 1966-06-20 1969-03-25 Ways & Means Inc Plastic dispens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434644A (en) * 1966-09-01 1969-03-25 Phillips Petroleum Co Container
JPS4721196Y1 (ko) * 1967-12-13 1972-07-13
GB1251668A (ko) * 1968-10-31 1971-10-27
US3604491A (en) * 1968-12-09 1971-09-14 Thimonnier & Cie Flexible drinking container or bag
US3648895A (en) * 1969-03-28 1972-03-14 Atis Strazdins Collapsible tube containers
US3817427A (en) * 1971-12-27 1974-06-18 Milprint Inc Toothpaste tubes and similar tubular container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3976224A (en) * 1972-01-10 1976-08-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llapsible dispensing tubes
US4060179A (en) * 1972-05-02 1977-11-29 Colgate-Palmolive Company Collapsible tube structure
US3874558A (en) * 1972-11-24 1975-04-01 Colgate Palmolive Co Dispens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US3832964A (en) * 1972-11-24 1974-09-03 Colgate Palmolive Co Dispensing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US4126249A (en) * 1976-02-17 1978-11-21 Lever Brothers Company Collapsible tubes
US4265948A (en) * 1977-11-07 1981-05-05 Ethyl Corporation Collapsible dispensing tube
US4337104A (en) * 1978-10-10 1982-06-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ller bottle
SE7811432L (sv) * 1978-11-06 1980-05-07 Tetra Pak Int Aterforslutbar forpackningsbehallare
US4295582A (en) * 1979-08-09 1981-10-20 Acres Alexander D Dispensing container with improved air valve
US4355756A (en) * 1979-10-25 1982-10-26 Mitsubis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ontainers adapted to contain foodstuffs
US4406607A (en) * 1982-03-29 1983-09-27 John Mueller Tube shaping device
US4527699A (en) * 1982-09-16 1985-07-09 Nippon Light Metal Co., Ltd. Vessel for storing liquid
US4471882A (en) * 1982-11-19 1984-09-18 Shikoku Kakooki Co., Ltd. Container
JPH0678101B2 (ja) * 1984-11-20 1994-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易開封性の複合包装体
US4678092A (en) 1984-12-03 1987-07-07 Rane Melody A Disposable baby bottle
JPS6322341A (ja) * 1986-07-11 1988-01-29 井上 秀樹 絞り出し口付き食品包装容器
AU1801388A (en) * 1987-06-01 1989-01-04 Lutz Kroeber Tube for adhesive material
US5263606A (en) * 1992-01-17 1993-11-23 Continental Plastics, Inc. Squeeze container with sonically welded flexible tubular body and bottom cover
JPH074374A (ja) 1993-06-21 1995-01-10 Nippon Soken Inc 電動圧縮機
ATE151030T1 (de) * 1993-09-28 1997-04-15 Hagleitner Betriebshygien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FR2715133B1 (fr) * 1994-01-18 1996-03-08 Oreal Récipient à paroi souple déformable, du type flacon, poche ou tub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récipient.
US5871119A (en) 1996-07-19 1999-02-16 Blackinton, Jr.; Richard E. Ink dispensing container
US5860565A (en) * 1997-05-13 1999-01-19 Enamelon, Inc. Plural chambered squeezable dispensing tube
ITMI991328A1 (it) 1999-06-15 2000-12-15 Egidio Renna Tappo erogatore e dosatore spalmatore per contenitori spremibili
DE20000424U1 (de) 2000-01-12 2000-08-24 Rittmeyer Walter Behältnis für Tierfutter oder Tierfutter-Feuchtzusätze
US6981614B2 (en) 2000-06-06 2006-01-03 Decko Products Inc. Dispensing pouch
JP3636052B2 (ja) 2000-09-25 2005-04-0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軟質容器の製造方法及び高粘調液充填体
US20030053723A1 (en) * 2001-09-19 2003-03-20 Lanham Larry L. Stand up 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40052987A1 (en) * 2002-09-12 2004-03-18 Shetty Shankara R. Paper based retortable can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40124210A1 (en) 2002-10-08 2004-07-01 Bartlein James L. Sealed bag pre-filled with a decorating food product and having a decorating tip removably attached thereto and method for same
DE10257145A1 (de) * 2002-12-06 2004-06-24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Schlauchförmiger, insbesondere dosenförmiger, Behälter zur Aufnahme von Fluid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2005119665A (ja) * 2003-09-03 2005-05-12 Tilement Corp 粘性流体封入袋
DE102004012814A1 (de) * 2004-03-16 2005-10-06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lauchbeutels mit einem einstückig damit ausgebildeten Standboden und Schlauchbeutel
DE102004022374B4 (de) 2004-03-31 2007-05-03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Schlauchbeutel mit einem Schlauchbeutelkörper und einem eingesiegelten Boden
US7543990B2 (en) * 2004-05-27 2009-06-09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Tubular bag
US7364047B2 (en) 2004-05-27 2008-04-29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aland, Gmbh & Co. Kg Tubular, especially can-shaped, receptacle for the accommodation of fluids, a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US9751661B2 (en) * 2004-08-03 2017-09-0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and method of forming flexible pouch
DE102005006827A1 (de) * 2004-11-04 2006-05-24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aschen- oder schlauchartigen Behälters, insbesondere Schlauchbeutels, mit einem eingesiegelten Boden sowie entsprechend hergestellter Schlauchbeutel
EP1679265A1 (fr) * 2005-01-06 2006-07-12 Aisapack Holding SA Tube à section non-circulaire,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USD582790S1 (en) * 2005-04-19 2008-12-16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Foil package
US7478736B2 (en) 2005-06-29 2009-01-20 Fletcher Morgan Ergonomic frosting applicator
EP1762370A1 (fr) 2005-09-09 2007-03-14 Aisapack Holding SA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la fabrication de récipients tubulaires
JP2007269398A (ja) 2006-03-31 2007-10-18 Sunstar Engineering Inc 軟質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内容物収容軟質容器
EP2022363A3 (de) * 2007-08-08 2013-08-28 GEKA GmbH Behälter zur Aufnahme eines Kosmetikums
US20090120931A1 (en) * 2007-11-08 2009-05-14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Tube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USD607744S1 (en) * 2008-05-29 2010-01-12 Gabrielle Studio, Inc. Fragrance bottle
USD609112S1 (en) * 2008-10-30 2010-02-02 Hosokawa Yoko Co., Ltd. Pouch
US20110068119A1 (en) 2009-09-04 2011-03-24 Wurster Jr Howard W Tip-Less Pastry Bag
US20130075393A1 (en) * 2011-08-16 2013-03-28 David B. Haynie Collapsible bottle
TW201345804A (zh) * 2012-02-01 2013-11-16 Toppan Printing Co Ltd 漏斗零件及使用漏斗零件之包裝容器的製造方法
JP6031771B2 (ja) 2012-02-01 2016-11-24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ップ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の製造方法
US8783515B2 (en) * 2012-10-25 2014-07-22 Sonoco Development, Inc. Dispenser with fitment
US20150203256A1 (en) * 2014-01-17 2015-07-23 Carlton Solle Compressible Ecologically Friendly Containers
USD769130S1 (en) * 2015-10-14 2016-10-18 Prime Resources Corp. Dispen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74U (ja) * 1991-10-31 1995-01-24 東洋製酪株式会社 冷蔵可塑性食品包装体及び容器
KR200250931Y1 (ko) * 2001-08-03 2001-11-22 주용부 케익 장식 성형기
WO2012017938A1 (ja) * 2010-08-05 2012-02-09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93740A (ja) * 2012-03-15 2013-09-30 Kikkoman Corp 逆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27860B2 (en) 2019-10-01
FR3018779A1 (fr) 2015-09-25
WO2015140185A1 (fr) 2015-09-24
PT3119693T (pt) 2018-07-30
CN106458408B (zh) 2019-01-15
CA2942961C (fr) 2023-02-21
EP3119693A1 (fr) 2017-01-25
MX2016012035A (es) 2017-04-13
ES2681498T3 (es) 2018-09-13
EP3119693B1 (fr) 2018-04-25
FR3018779B1 (fr) 2016-03-25
JP6518758B2 (ja) 2019-05-22
CN106458408A (zh) 2017-02-22
ZA201608596B (en) 2018-05-30
PL3119693T3 (pl) 2018-12-31
RU2666679C2 (ru) 2018-09-11
TR201810505T4 (tr) 2018-08-27
CA2942961A1 (fr) 2015-09-24
RU2016140632A (ru) 2018-04-19
JP2017508685A (ja) 2017-03-30
KR102406379B1 (ko) 2022-06-08
BR112016021451B1 (pt) 2021-10-05
US20170088338A1 (en) 2017-03-30
RU2016140632A3 (ko) 2018-04-26
BR112016021451A2 (pt)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379B1 (ko) 포장용기
EP0558538B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pasty products
US11447301B2 (en) Integrated squeezable dispensing container
AU7732994A (en) Self-closing liquid dispensing package
JP6241720B2 (ja) 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壜体
JP6547242B2 (ja) 容器
JPH07165245A (ja) チューブ形ディスペンサー
CN104903205A (zh) 具有分配器的单次使用式容器
RU2641746C2 (ru) Туба, полученная экструзионно-раздувным формованием
US11286096B2 (en) Opening mechanism for plastic vial
AU2004247328B2 (en) Improved container
CN201260473Y (zh) 化妆品容器
CN204038079U (zh) 一种瓶子
WO2021085362A1 (ja) スクイズ容器
WO2021085363A1 (ja) スクイズ容器
JPH07291303A (ja) 自立性包装体
JP2020070102A (ja) チューブ容器
JP7416602B2 (ja) スクイズ容器
EP2704788A1 (en) Stick pack with applicator
JP2014055027A (ja) 押し出しチューブ容器
JP2024008163A (ja) 詰替え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JP2021070505A (ja) スクイズ容器の製造方法
IT201900011115A1 (it) Flacone di plastica ispezionabile
JP2021070498A (ja) スクイズ容器
JP2021070504A (ja) スクイ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