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170A -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170A
KR20160132170A KR1020150063230A KR20150063230A KR20160132170A KR 20160132170 A KR20160132170 A KR 20160132170A KR 1020150063230 A KR1020150063230 A KR 1020150063230A KR 20150063230 A KR20150063230 A KR 20150063230A KR 20160132170 A KR20160132170 A KR 2016013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image data
movemen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207B1 (ko
Inventor
전병기
노진우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207B1/ko
Priority to US15/097,149 priority patent/US10163380B2/en
Priority to TW105114169A priority patent/TWI700932B/zh
Priority to EP16168624.1A priority patent/EP3091530B1/en
Priority to CN201610295083.0A priority patent/CN106128346A/zh
Priority to JP2016093118A priority patent/JP6827711B2/ja
Publication of KR2016013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14Vertic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영상 보정부는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영역 결정부와,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확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제1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IMAGE CORRECT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 다양한 종류의 표시 장치들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 장치들은 구동 시간이 오래됨에 따라 특정 영상 또는 글자를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출력하므로 특정 화소(Pixel)가 열화되어 성능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술(이른바 픽셀 시프트(Pixel Shift)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면, 특정 픽셀에 동일한 데이터가 오랜 시간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정 픽셀이 열화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술은 이동 전 영상 데이터와 이동 후 영상 데이터를 보간하여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이동 전 영상 데이터와 이동 후 영상 데이터를 별도로 메모리에 저장해야한다.
또한, 새로운 영상 데이터는 이동 전 영상 데이터와 이동 후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잔상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별도의 메모리 없이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함으로써 특정 화소의 열화를 최소화하고, 잔상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픽셀 시프트 기술을 제공하는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는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영역 결정부와,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보정부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 횟수를 계산하는 프레임 데이터 계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입력 횟수에 따라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영상의 X축 이동 방향과 X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X축 이동량 결정부와, 상기 영상의 Y축 이동 방향과 Y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Y축 이동량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미세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X축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Y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미세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Y축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X축 이동 방향과 상기 X축 이동량을 결정한 후, 상기 Y축 이동 방향과 상기 Y축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Y축 이동 방향과 상기 Y축 이동량을 결정한 후, 상기 X축 이동 방향과 상기 X축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영상의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확장 영역에서 상기 축소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의 일부와,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확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상기 확장 영역에서 상기 축소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크기는 이동 전과 후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보정부는,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영역 결정부와,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보정부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 횟수를 계산하는 프레임 데이터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입력 횟수에 따라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미세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상기 확장 영역에서 상기 축소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영상의 크기는 이동 전과 후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의 일부와,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가,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보정부가,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 횟수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보정부가, 상기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영상의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보정부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제1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메모리 없이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함으로써 특정 화소의 열화를 최소화하고, 잔상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X축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확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Y축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확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룩 업 테이블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룩 업 테이블에 따라 표시 장치가 영상을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프로세서(100), 표시 구동부(200), 및 표시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표시 구동부(200)로 제1 영상 데이터(DI1)와 제어 신호(CS)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0)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IC)),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모바일(mobile) AP, 또는 표시 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신호는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클럭 신호(Clock Signa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200)는 영상 보정부(210), 타이밍 제어부(220), 주사 구동부(240), 및 데이터 구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21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공급되는 제1 영상 데이터(DI1)와 제어신호(CS)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I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보정부(210)는 제1 영상 데이터(DI1), 제2 영상 데이터(DI2), 및 제어신호(CS)를 타이밍 제어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상 데이터(DI2)는 픽셀 시프트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영상 데이터(DI1)를 이동한 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보정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2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제1 영상 데이터(DI1), 제2 영상 데이터(DI2), 및 제어신호(CS)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보정부(210)는 표시 구동부(200)와 별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보정부(210)는 타이밍 제어부(220)에 통합될 수 있고, 타이밍 제어부(220)는 제1 영상 데이터(DI1)를 제2 영상 데이터(DI2)로 변환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영상 보정부(21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I1), 제2 영상 데이터(DI2), 및 제어신호(CS)를 수신받을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주사 구동부(240)와 데이터 구동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신호는 주사 구동부(240)를 제어하기 위한 주사 타이밍 제어신호(SCS)와, 데이터 구동부(2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주사 타이밍 제어신호(SCS)를 주사 구동부(240)로 공급하고,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20)는 제1 기간 동안에 제1 영상 데이터(DI1)를 데이터 구동부(230)에 공급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제2 기간 동안에 제2 영상 데이터(DI2)를 데이터 구동부(230)로 공급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타이밍 제어부(220)로부터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CS),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DI1 및 DI2)를 입력받아,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30)는 생성된 데이터 신호(DS)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별도의 구성 요소를 통해 표시 패널(300)에 위치한 데이터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30)는 표시 패널(300)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240)는 주사 타이밍 제어신호(SCS)에 응답하여 주사 라인들에 주사신호들(SS)을 공급한다. 주사 구동부(240)는 표시 패널(300)에 위치한 주사 라인들(SS)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사 구동부(240)는 표시 패널(300)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DS)를 공급받은 표시 패널(300)의 화소들은 주사신호(SS)가 공급될 때, 데이터 신호(DS)에 대응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밍 제어부(220) 또는 영상 보정부(210)가 제1 영상 데이터(DI1)를 공급하는 경우,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1 영상 데이터(DI1)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DS)를 화소들로 공급함으로써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20) 또는 영상 보정부(210)가 제2 영상 데이터(DI2)를 공급하는 경우,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2 영상 데이터(DI2)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DS)를 화소들로 공급함으로써 제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주사 구동부(240)와 별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표시 구동부(20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30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보정부(210)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2), 이동량 결정부(214), 영역 결정부(216), 및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2)는 프레임 정보(CI)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2)는 프로세서(10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현재 공급되는 제1 영상 데이터(DI1)가 몇 번째 프레임에 해당되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2)는 프레임 정보(CI)를 이동량 결정부(21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동량 결정부(214)는 영상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량 결정부(214)는 X축 이동 방향, X축 이동 방향, Y축 이동량, 및 Y축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동량 결정부(214)는 결정된 영상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를 생성할 수 있고, 결정된 영상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량 결정부(214)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2)로부터 전달되는 프레임 정보(CI)를 참조하여, 프레임 정보(CI)에 대응되는 X축 이동 방향과 Y축 이동 방향 및, X축 이동량과 Y축 이동량을 결정하고,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와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량 결정부(214)는 룩 업 테이블(LUT)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동량 결정부(214)는 영상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생성하고, 생성된 룩 업 테이블(LUT)을 이용하여 영상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량 결정부(214)는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미리 저장된 룩 업 테이블(LUT)을 이용하여 영상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룩 업 테이블(LUT)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영역 결정부(216)는 X축 영역 결정부(216-1) 및 Y축 영역 결정부(216-2)를 포함할 수 있다.
X축 영역 결정부(216-1)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와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X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X축 영역에 대한 X축 영역 정보(XAI)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X축 영역은 X축 축소 영역, X축 확대 영역, 및 X축 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Y축 영역 결정부(216-2)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와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Y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Y축 영역에 대한 Y축 영역 정보(YAI)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Y축 영역은 Y축 축소 영역, Y축 확대 영역, 및 Y축 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X축 영역 정보(XAI)와 Y축 영역 정보(YAI)를 이용하여 각 영역에 제공될 제2 영상 데이터(DI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영상 표시 영역(DA)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사용자는 영상 표시 영역(DA)에 표시된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0)는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웨어러블 컴퓨터,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및 양자점 표시 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제n 기간(n은 1 이상의 자연수) 동안 영상 표시 영역(DA)에 영상(Im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Im1)의 크기는 영상 표시 영역(DA)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영상(Im1)은 다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Im1)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A1)은 제3 영역(A3)의 좌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의 우측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에서는, 영상(Im1)이 이동되며 표시될 수 있고, 또한 영상(Im1)에 포함된 일부 영역들이 축소 및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기간 동안 영상(Im1)은 영상 표시 영역(DA)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고, 제n+m 기간(m은 1 이상의 자연수) 동안 영상(Im1)은 특정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영상(Im1)은 -X축 방향(좌측) 또는 +X축 방향(우측)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제n+m 기간 동안 영상 표시 영역(DA)에 영상(Im1')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는 제2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Im1')을 영상 표시 영역(DA)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210)는 제1 영역(A1)을 X축 축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A2)을 X축 확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Im1')은 픽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영상(Im1)이 이동되어 표시된 것이다.
영상 이동에 따라 제1 영역(A1)의 면적은 제1 면적(Ex1)만큼 축소될 수 있고, 제2 영역(A2)의 면적은 제2 면적(Ex2)만큼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n 기간 동안 영상(Im1)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일정한 면적을 유지하고, 제n+m 기간 동안 영상(Im1')의 제1 영역(A1)은 제1 면적(Ex1)만큼 축소되고 제2 영역(A2)은 제2 면적(Ex2)만큼 확대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이 축소되는 만큼 확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면적(Ex1)은 제2 면적(Ex2)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는 전체 크기를 유지한 상태로 영상(Im1')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Im1')의 크기는 이동 전의 영상(Im1)의 크기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영상(Im1)은 제1 영역(A1)이 축소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210)는 제3 영역을 X축 이동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A3)은 제1 영역(A1)이 축소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A3)은 축소되거나 확대되지 않고, 그 크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a와 4b에서는 영상(Im1 및 Im1')의 좌측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A1)으로 지칭하고, 영상(Im1 및 Im1')의 우측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A2)으로 지칭하였으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Im1 및 Im1')의 우측에 위치한 영역이 제1 영역(A1)으로 설정되고, 영상(Im1 및 Im1')의 좌측에 위치한 영역이 제2 영역(A2)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Im1)을 이동시킴으로써 잔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영상(Im1)의 내부 영역들(A1, A2)에 대한 축소 및 확대를 병행함으로써 잔상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X축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격자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 중에서 한 행의 화소에 입력될 X축 영상 데이터를 도시하였고, 영상 데이터(Pd1 또는 Pd2)는 화소에 영상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DI1)는 영상 데이터(Pd1)를 포함하고, 제2 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Pd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X축 영역 결정부(216-1)는 X축 방향에 따라 영상을 서브 영역들(SAx1, SAx2, 및 SAx3)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전 X축 영역(XA1)은 영상이 이동하기 전 서브 영역들(SAx1, SAx2, 및 SAx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후 X축 영역(XA2)은 영상이 이동한 후 서브 영역들(SBx1, SBx2, 및 SBx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X축 영역 결정부(216-1)는 제일 좌측에 위치한 화소로부터 우측방향으로 5번째 위치한 화소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이동 전 제1 영역(SAx1)으로 결정하고, 제일 우측에 위치한 화소로부터 좌측방향으로 3번째 위치한 화소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2 영역(SAx3)으로 결정하고, 이동 전 제1 영역(SAx1)과 이동 전 제2 영역(SAx3) 사이에 위치한 이동 전 제3 영역(SAx2)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서브 영역들(SAx1, SAx2, 및 SAx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1)가 서브 구역들(SBx1, SBx2, 및 SBx3)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x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1)를 이동 후 제1 영역(SBx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2)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x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1)를 이동 후 제2 영역(SBx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2)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3 영역(SAx2)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1)를 이동 후 제3 영역(SBx2)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2)로 변환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량 결정부(214)에서 생성된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X축 영역 결정부(216-1)는 이동 전 제1 영역(SAx1)보다 축소된 이동 후 제1 영역(SBx1)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가 -X축 이동 방향으로 설정되고, 이동 영상 이동량 정보(SAI)가 n개(n은 양수)의 화소 이동으로 설정된 경우, X축 영역 결정부(216-1)는 이동 전 제1 영역(SAx1)보다 -X축 이동 방향으로 n개의 화소 이동만큼 축소된 이동 후 제1 영역(SBx1)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을 축소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x1)의 p 개(p는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이동 후 제1 영역(SBx1)의 q 개(q는 p보다 작은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p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를 q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p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던 영상이 q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이동 후 제1 영역(SBx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제1 영역(SAx1)에서 표시되는 영상보다 k 비율로 축소되어 표시된다.(여기서, k = q/p)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x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1_1a, Pd1_2a, Pd1_3a, Pd1_4a, 및 Pd1_5a)를 재조합하여, 이동 후 제1 영역(SBx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2_1a, Pd2_2a, 및 Pd2_3a)로 변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섯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 전 제1 영역(SAx1)과,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1_1a, Pd1_2a, Pd1_3a, Pd1_4a, 및 Pd1_5a)가 존재하고,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은 이동 전 제1 영역(SAx1)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동 후 제1 영역(SBx1)은 세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화소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1_1a, Pd1_2a, Pd1_3a, Pd1_4a, 및 Pd1_5a)를 이용하여, 상기 세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2_1a, Pd2_2a, 및 Pd2_3a)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x1)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와 두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1_1a 및 Pd1_2a)를 이용하여, 이동 후 제1 영역(SBx1)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2_1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1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1a)와 영역 R2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a)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1a)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3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a), 영역 R4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3a), 및 영역 R5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4a)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2a)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R2 = R3 + R5).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6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4a)와 영역 R7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5a)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3a)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R2 = R6).
이로써,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Pd2_1a, Pd2_2a, 및 Pd2_3a)를 이용하여 이동 전 제1 영역(SAx1)에서 표시된 영상보다 축소된 영상을 이동 후 제1 영역(SBx1)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전 제1 영역(SAx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3/5 비율로 축소되어 이동 후 제1 영역(SBx1)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이동 후 제1 영역(SBx1)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R2만큼 -X축 방향으로 축소되어 이동된다.
또한, 이동 후 제1 영역(SBx1)에서 좌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R2만큼 -X축 방향으로 축소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제1 영역(SBx1)에서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R2만큼 -X축 방향으로 축소되어 이동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확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량 결정부(214)에서 생성된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X축 영역 결정부(216-1)는 이동 전 제2 영역(SAx3)보다 확대된 이동 후 제2 영역(SBx3)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가 -X축 이동 방향으로 설정되고, 이동 영상 이동량 정보(SAI)가 n개(n은 양수)의 화소 이동으로 설정된 경우, X축 영역 결정부(216-1)는 이동 전 제2 영역(SAx3)보다 -X축 이동 방향으로 n개의 화소 이동만큼 확대된 이동 후 제2 영역(SBx3)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을 확대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x3)의 j 개(j는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이동 후 제2 영역(SBx3)의 i 개(i는 j보다 큰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j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를 i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j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던 영상이 i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제2 영역(SAx3)에서 표시되는 영상보다 k' 비율로 확대되어 표시된다.(여기서, k' = i/j)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x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1_1b, Pd1_2b, 및 Pd1_3b)를 재조합하여, 이동 후 제2 영역(SBx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2_1b, Pd2_2b, Pd2_3b, Pd2_4b, 및 Pd2_5b)로 변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 전 제2 영역(SAx3)과, 상기 세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1_1b, Pd1_2b, 및 Pd1_3b)가 존재하고, 상기 세 개의 화소들은 이동 전 제2 영역(SAx3)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동 후 제2 영역(SBx3)은 다섯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상기 세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1_1b, Pd1_2b, 및 Pd1_3b)를 이용하여,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2_1b, Pd2_2b, Pd2_3b, Pd2_4b, 및 Pd2_5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x3)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Pd1_1b)를 이용하여,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2_1b)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1'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1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1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2'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1b)와 영역 R3'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2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R1' = R2' + R3').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4'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3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R1' = R4').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5'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b)와 영역 R6'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3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4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R1' = R5' + R6').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R7'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3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5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R1' = R7').
이로써,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Pd2_1b, Pd2_2b, Pd2_3b, Pd2_4b, 및 Pd2_5b)를 이용하여 이동 전 제2 영역(SAx3)에서 표시된 영상보다 확대된 영상을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전 제2 영역(SAx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5/3 비율로 확대되어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R2'만큼 -X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된다.
또한,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좌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R2'만큼 -X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R2'만큼 -X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된다.
또한,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좌측으로부터 네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R2'만큼 -X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제2 영역(SBx3)에서 좌측으로부터 다섯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R2'만큼 -X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영상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술한 도 4a 및 도 4b와 관련된 실시 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영상(Im2)은 다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Im2)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A1)은 제3 영역(A3)의 상측에 위치한 영역이고,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의 하측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에서는, 영상(Im2)이 이동되며 표시될 수 있고, 또한 영상(Im2)에 포함된 일부 영역들이 축소 및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 기간 동안 영상(Im2)은 영상 표시 영역(DA)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고, 제n+m 기간(m은 1 이상의 자연수) 동안 영상(Im2)은 특정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영상(Im2)은 -Y축 방향(하측) 또는 +Y축 방향(상측)으로 특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제n+m 기간 동안 영상 표시 영역(DA)에 영상(Im2')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210)는 제1 영역(A1)을 Y축 축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A2)을 Y축 확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Im2')은 픽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영상(Im2)이 이동되어 표시된 것이다.
영상 이동에 따라 제1 영역(A1)의 면적은 제3 면적(Ex3)만큼 축소될 수 있고, 제2 영역(A2)의 면적은 제4 면적(Ex4)만큼 확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n 기간 동안 영상(Im2)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일정한 면적을 유지하고, 제n+m 기간 동안 영상(Im2')의 제1 영역(A1)은 제3 면적(Ex3)만큼 축소되고 제2 영역(A2)은 제4 면적(Ex4)만큼 확대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이 축소되는 만큼 확대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면적(Ex3)은 제4 면적(Ex4)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는 전체 크기를 유지한 상태로 영상(Im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Im2')의 크기는 이동 전의 영상(Im2)의 크기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영상(Im2)은 제1 영역(A1)이 축소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210)는 제3 영역(A3)을 Y축 이동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A3)은 제1 영역(A1)이 축소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A3)은 축소되거나 확대되지 않고, 그 크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8a와 8b에서는 영상(Im2 및 Im2')의 상측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A1)으로 지칭하고, 영상(Im2 및 Im2')의 하측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A2)으로 지칭하였으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Im2 및 Im2')의 상측에 위치한 영역이 제1 영역(A1)으로 설정되고, 영상(Im2 및 Im2')의 하측에 위치한 영역이 제2 영역(A2)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Im2)을 이동시킴으로써 잔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영상(Im2)의 내부 영역들(A1 및 A2)에 대한 축소 및 확대를 병행함으로써 잔상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Y축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격자 형태로 배치된 화소들 중에서 한 열의 화소에 입력될 Y축 영상 데이터를 도시하였고, 영상 데이터(Pd3 또는 Pd4)는 화소에 영상을 표시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DI1)는 영상 데이터(Pd3)를 포함하고, 제2 영상 데이터(DI2)는 영상 데이터(Pd4)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Y축 영역 결정부(216-2)는 Y축 방향에 따라 영상을 서브 영역들(SAy1, SAy2, 및 SAy3)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전 Y축 영역(YA1)은 영상이 이동하기 전 서브 영역들(SAy1, SAy2, 및 SAy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후 Y축 영역(YA2)은 영상이 이동한 후 서브 영역들(SBy1, SBy2, 및 SBy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Y축 영역 결정부(216-2)는 제일 상측에 위치한 화소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5번째 위치한 화소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이동 전 제1 영역(SAy1)으로 결정하고, 제일 하측에 위치한 화소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3번째 위치한 화소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제2 영역(SAy3)으로 결정하고, 이동 전 제1 영역(SAy1)과 이동 전 제2 영역(SAy3) 사이에 위치한 이동 전 제3 영역(SAy2)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서브 영역들(SAy1, SAy2, 및 SAy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3)가 서브 구역들(SBy1, SBy2, 및 SBy3)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데이터(Pd4)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y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3)를 이동 후 제1 영역(SBy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4)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y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3)를 이동 후 제2 영역(SBy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4)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3 영역(SAy2)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3)를 이동 후 제3 영역(SBy2)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4)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량 결정부(214)에서 생성된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Y축 영역 결정부(216-2)는 이동 전 제1 영역(SAy1)보다 축소된 이동 후 제1 영역(SBy1)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가 -Y축 이동 방향으로 설정되고, 이동 영상 이동량 정보(SAI)가 n개(n은 양수)의 화소 이동으로 설정된 경우, Y축 영역 결정부(216-2)는 이동 전 제1 영역(SAy1)보다 -Y축 이동 방향으로 n개의 화소 이동만큼 축소된 이동 후 제1 영역(SBy1)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을 축소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y1)의 p 개(p는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이동 후 제1 영역(SBy1)의 q 개(q는 p보다 작은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p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를 q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p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던 영상이 q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이동 후 제1 영역(SBy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제1 영역(SAy1)에서 표시되는 영상보다 k 비율로 축소되어 표시된다.(여기서, k = q/p)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y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3_1a, Pd3_2a, Pd3_3a, Pd3_4a, 및 Pd3_5a)를 재조합하여, 이동 후 제1 영역(SBy1)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4_1a, Pd4_2a, 및 Pd4_3a)로 변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섯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 전 제1 영역(SAy1)과,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3_1a, Pd3_2a, Pd3_3a, Pd3_4a, 및 Pd3_5a)가 존재하고,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은 이동 전 제1 영역(SAy1)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동 후 제1 영역(SBy1)은 세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화소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3_1a, Pd3_2a, Pd3_3a, Pd3_4a, 및 Pd3_5a)를 이용하여, 상기 세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4_1a, Pd4_2a, 및 Pd4_3a)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1 영역(SAy1)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와 두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3_1a 및 Pd3_2a)를 이용하여, 이동 후 제1 영역(SBy1)에서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4_1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1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1a)와 영역 S2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2a)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1a)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3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2a), 영역 S4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3a), 및 영역 S5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4a)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2a)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S2 = S3 + S5).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6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4a)와 영역 S7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5a)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3a)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S2 = S6).
이로써,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Pd4_1a, Pd4_2a, 및 Pd4_3a)를 이용하여 이동 전 제1 영역(SAy1)에서 표시된 영상보다 축소된 영상을 이동 후 제1 영역(SBy1)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전 제1 영역(SAy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3/5 비율로 축소되어 이동 후 제1 영역(SBy1)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이동 후 제1 영역(SBy1)에서 상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S2만큼 +Y축 방향으로 축소되어 이동된다.
또한, 이동 후 제1 영역(SBy1)에서 상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S2만큼 +Y축 방향으로 축소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제1 영역(SBy1)에서 상측으로부터 세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S2만큼 +Y축 방향으로 축소되어 이동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확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과 도 9을 참조하면, 이동량 결정부(214)에서 생성된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Y축 영역 결정부(216-2)는 이동 전 제2 영역(SAy3)보다 확대된 이동 후 제2 영역(SBy3)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가 +Y축 이동 방향으로 설정되고, 이동 영상 이동량 정보(SAI)가 n개(n은 양수)의 화소 이동으로 설정된 경우, Y축 영역 결정부(216-2)는 이동 전 제2 영역(SAy3)보다 +Y축 이동 방향으로 n개의 화소 이동만큼 확대된 이동 후 제2 영역(SBy3)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영상을 확대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y3)의 j 개(j는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이동 후 제2 영역(SBy3)의 i 개(i는 j보다 큰 양수)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j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를 i 개의 화소들로 제공될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j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던 영상이 i 개의 화소들 상에서 표시되기 때문에,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제2 영역(SAy3)에서 표시되는 영상보다 k' 비율로 확대되어 표시된다.(여기서, k' = i/j)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y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3_1b, Pd3_2b, 및 Pd3_3b)를 재조합하여, 이동 후 제2 영역(SBy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4_1b, Pd4_2b, Pd4_3b, Pd4_4b, 및 Pd4_5b)로 변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 전 제2 영역(SAy3)과, 상기 세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3_1b, Pd3_2b, 및 Pd3_3b)가 존재하고, 상기 세 개의 화소들은 이동 전 제2 영역(SAy3)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이동 후 제2 영역(SBy3)은 다섯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상기 세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3_1b, Pd3_2b, 및 Pd3_3b)를 이용하여, 상기 다섯 개의 화소들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4_1b, Pd4_2b, Pd4_3b, Pd4_4b, 및 Pd4_5b)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이동 전 제2 영역(SAy3)에서 상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Pd3_1b)를 이용하여,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상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Pd4_1b)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1'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1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1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2'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1b)와 영역 S3'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2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2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S1' = S2' + S3').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4'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2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3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S1' = S4').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5'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2b)와 영역 S6'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3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4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S1' = S5' + S6').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는 영역 S7'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3_3b)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5b)를 생성할 수 있다(여기서, S1' = S7').
이로써, 표시 장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218)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Pd4_1b, Pd4_2b, Pd4_3b, Pd4_4b, 및 Pd4_5b)를 이용하여 이동 전 제2 영역(SAy3)에서 표시된 영상보다 확대된 영상을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이동 전 제2 영역(SAy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5/3 비율로 확대되어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표시된다.
따라서,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상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S2'만큼 +Y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된다.
또한,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상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S2'만큼 +Y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상측으로부터 세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S2'만큼 +Y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된다.
또한,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상측으로부터 네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영역 S2'만큼 +Y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되고, 이동 후 제2 영역(SBy3)에서 상측으로부터 다섯 번째에 위치한 화소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동 전 영상보다 S2'만큼 +Y축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룩 업 테이블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룩 업 테이블에 따라 표시 장치가 영상을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량 결정부(214)는 X축 이동 방향(SDx) 및 X축 이동량(SQx)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량 결정부(214)는 Y축 이동 방향(SDy) 및 Y축 이동량(SQy)도 함께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량 결정부(214)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212)로부터 전달되는 프레임 정보(CI)를 이용하여, 프레임 정보(CI)에 대응되는 X축 및 Y축 이동 방향(SDx 및 SDy)과, X축 및 Y축 이동량(SQx 및 SQy)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X축 및 Y축 이동 방향(SDx 및 SDy)과, X축 및 Y축 이동량(SQx 및 SQy)에 따라 영상을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 정보(CI)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데이터가 10번째 입력된 프레임 데이터로 판단되면, 표시 장치는 룩 업 테이블에 저장된 X축 이동 방향(SDx) 및 X축 이동량(SQx)에 따라 -X축 방향으로 '-1'만큼 영상을 이동한다.
예컨대, 프레임 정보(CI)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데이터가 20번째 입력된 프레임 데이터로 판단되면, 표시 장치는 룩 업 테이블에 저장된 X축 이동 방향(SDx) 및 X축 이동량(SQx)에 따라 -X축 방향으로 '-1'만큼 영상을 이동하고, Y축 이동 방향(SDy) 및 Y축 이동량(SQy)에 따라 +Y축 방향으로 '+1'만큼 영상을 이동한다.
도 13에서는 X축 이동 방향(SDx)이 양의 방향(우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고, X축 이동 방향(SDx)이 음의 방향(좌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또한, Y축 이동 방향(SDy)이 양의 방향(상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고, Y축 이동 방향(SDy)이 음의 방향(하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뿐 이동 방향(SDx, SDy)에 대한 표현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로세서
200: 표시 구동부
210: 영상 보정부
212: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214: 이동량 결정부
216: 영역 결정부
218: 영상 데이터 생성부
220: 타이밍 제어부
230: 데이터 구동부
240: 주사 구동부
300: 표시 패널

Claims (20)

  1.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영역 결정부;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영상 보정부.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 횟수를 계산하는 프레임 데이터 계산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보정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입력 횟수에 따라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영상 보정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영상의 X축 이동 방향과 X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X축 이동량 결정부; 및
    상기 영상의 Y축 이동 방향과 Y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Y축 이동량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보정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미세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X축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영상 보정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미세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Y축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영상 보정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X축 이동 방향과 상기 X축 이동량을 결정한 후, 상기 Y축 이동 방향과 상기 Y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영상 보정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Y축 이동 방향과 상기 Y축 이동량을 결정한 후, 상기 X축 이동 방향과 상기 X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영상 보정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결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영상의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확장 영역에서 상기 축소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영상 보정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의 일부와,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확장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보정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확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영역에 입력될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영상 보정부.
  1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보정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확장 영역에서 상기 축소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영상 보정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크기는 이동 전과 후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영상 보정부.
  15.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보정부는,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영역 결정부; 및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 횟수를 계산하는 프레임 데이터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입력 횟수에 따라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미세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확장 영역에서 상기 축소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영상의 크기는 이동 전과 후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의 일부와,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20.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가,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정부가,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입력 횟수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정부가, 상기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값을 이용하여 영상의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영상 보정부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도록 축소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영역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0150063230A 2015-05-06 2015-05-06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2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30A KR102320207B1 (ko) 2015-05-06 2015-05-06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US15/097,149 US10163380B2 (en) 2015-05-06 2016-04-12 Image correct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display device
TW105114169A TWI700932B (zh) 2015-05-06 2016-05-06 影像校正器、包含影像校正器之顯示裝置及用於使用顯示裝置顯示影像之方法
EP16168624.1A EP3091530B1 (en) 2015-05-06 2016-05-06 Image correct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display device
CN201610295083.0A CN106128346A (zh) 2015-05-06 2016-05-06 图像校正器、显示设备和使用显示设备显示图像的方法
JP2016093118A JP6827711B2 (ja) 2015-05-06 2016-05-06 映像補正部、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映像表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30A KR102320207B1 (ko) 2015-05-06 2015-05-06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170A true KR20160132170A (ko) 2016-11-17
KR102320207B1 KR102320207B1 (ko) 2021-11-03

Family

ID=5613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230A KR102320207B1 (ko) 2015-05-06 2015-05-06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63380B2 (ko)
EP (1) EP3091530B1 (ko)
JP (1) JP6827711B2 (ko)
KR (1) KR102320207B1 (ko)
CN (1) CN106128346A (ko)
TW (1) TWI700932B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4801B2 (en) 2015-05-22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US10088953B2 (en) 2015-10-22 2018-10-0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correcting touch position based on image shifting
KR20190032709A (ko) * 2017-09-19 2019-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US10417999B2 (en) 2016-08-08 2019-09-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using display device
KR20190126676A (ko) * 2018-05-02 2019-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US10559241B2 (en) 2016-09-06 2020-0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WO2020091491A1 (ko) * 2018-11-01 2020-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의 컨텐츠의 변경에 기반하여 이미지의 표시 위치 또는 면적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7979A (ko) * 2019-01-14 202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US10923009B2 (en) 2018-08-31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0984759B2 (en) 2018-09-12 2021-04-20 Samsung Display Co., Ltd. After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1183107B2 (en) 2019-07-26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289047B2 (en) 2019-07-29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image corr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5417B2 (en) * 2017-03-29 2019-11-12 Intel Corporation History-aware selective pixel shifting
KR20210109114A (ko) * 2020-02-26 2021-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1369A (ja) * 2003-07-11 2005-02-03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2007286496A (ja) * 2006-04-19 2007-11-01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状態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状態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0283528A (ja) * 2009-06-03 2010-12-16 Canon Inc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20106558A (ko) * 2011-03-18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775A (ja) * 1999-02-08 2000-08-15 Nec Corp 表示装置の焼付防止方法及び表示装置の焼付防止装置
JP2002099249A (ja) * 2000-09-21 2002-04-05 Advanced Display Inc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EP1387340A1 (en) * 2002-07-30 2004-02-04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data for a display
KR100451745B1 (ko) 2002-09-17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잔상 방지방법
KR100551052B1 (ko) 2003-11-19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패널의 잔상 방지 방법과 장치, 그 장치를 갖는플라즈마 표시 패널
KR100642359B1 (ko) * 2003-12-30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화면잔상 방지방법
JP2005257725A (ja) * 2004-03-09 2005-09-22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画面の焼付防止方法
JP4063800B2 (ja) * 2004-08-02 2008-03-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表示パネル駆動装置
EP1679683A1 (en) * 2005-01-06 2006-07-1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display from burn-in effect
US20090122207A1 (en) * 2005-03-18 2009-05-14 Akihiko Inoue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onitor,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254032B1 (ko) * 2005-05-20 2013-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메타머 필터링에 의한 다수 컬러 서브픽셀 렌더링
JP2007034222A (ja) * 2005-07-29 2007-02-08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表示制御装置、映像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959779A (zh) * 2005-11-04 2007-05-09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避免显示面板产生烙痕的方法
KR20070048852A (ko) 2005-11-07 200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널 손상 방지 기능이 구비된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화소 이동 표시 방법
US7887200B2 (en) * 2005-11-09 2011-02-15 Tte Technology, Inc. Bit weighting alignment in a display device
EP1847978A3 (en) * 2006-04-19 2008-07-23 Pioneer Corporation Display state controller, display device, display state control method, progra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the program
JP5299741B2 (ja) * 2007-10-24 2013-09-25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制御装置、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1515441B (zh) * 2008-02-19 2012-11-28 奇菱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改善画面闪烁及画面残影的液晶显示装置与方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261002A1 (en) * 2010-04-27 2011-10-2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images on solid surfaces
CN102467865A (zh) * 2010-11-18 2012-05-2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平板显示器烧屏的方法
JP5748464B2 (ja) * 2010-12-06 2015-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画像処理方法
US8963857B2 (en) * 2012-02-21 2015-02-2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20101B1 (ko) 2013-04-03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40987A (ja) * 2013-08-22 2015-03-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US9430180B2 (en) *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92791A (ko) * 2014-02-05 2015-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15196122A1 (en) * 2014-06-19 2015-12-23 Contentguard Holdings, Inc. Rendering content using obscuration techniques
KR102187134B1 (ko) * 2014-10-21 2020-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49284B1 (ko) * 2014-12-12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308202B1 (ko) * 2014-12-23 2021-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355516B1 (ko) 2015-04-30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350097B1 (ko) * 2015-04-30 2022-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87390B1 (ko) * 2015-05-22 2022-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460375B1 (ko) * 2015-10-22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1369A (ja) * 2003-07-11 2005-02-03 Toshiba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JP2007286496A (ja) * 2006-04-19 2007-11-01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状態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状態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0283528A (ja) * 2009-06-03 2010-12-16 Canon Inc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20106558A (ko) * 2011-03-18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4801B2 (en) 2015-05-22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US10088953B2 (en) 2015-10-22 2018-10-0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correcting touch position based on image shifting
US10417999B2 (en) 2016-08-08 2019-09-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using display device
US10559241B2 (en) 2016-09-06 2020-02-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KR20190032709A (ko) * 2017-09-19 2019-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KR20190126676A (ko) * 2018-05-02 2019-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US10923009B2 (en) 2018-08-31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0984759B2 (en) 2018-09-12 2021-04-20 Samsung Display Co., Ltd. Afterimage compensator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CN112970054A (zh) * 2018-11-01 2021-06-15 三星电子株式会社 根据图像的内容的变化控制图像的显示位置或区域的电子设备
WO2020091491A1 (ko) * 2018-11-01 2020-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의 컨텐츠의 변경에 기반하여 이미지의 표시 위치 또는 면적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US11631382B2 (en) 2018-11-01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position or area of image on basis of change of content of image
WO2020149619A1 (ko) * 2019-01-14 2020-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US11468823B2 (en) 2019-01-14 2022-10-11 Lg Electronics Inc. Video wall including multiple displays with reduced afterimage
KR20200087979A (ko) * 2019-01-14 202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월
US11183107B2 (en) 2019-07-26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289047B2 (en) 2019-07-29 2022-03-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image corr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1530B1 (en) 2020-07-15
JP2016212419A (ja) 2016-12-15
US10163380B2 (en) 2018-12-25
EP3091530A2 (en) 2016-11-09
JP6827711B2 (ja) 2021-02-10
EP3091530A3 (en) 2017-01-04
TWI700932B (zh) 2020-08-01
TW201640889A (zh) 2016-11-16
US20160329008A1 (en) 2016-11-10
CN106128346A (zh) 2016-11-16
KR102320207B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2170A (ko)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4991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50097B1 (ko)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JP201403822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875006B (zh) 图像补偿器
KR100896386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JP4349363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3841104B2 (ja) 動画ボケ改善のための信号処理
KR10255540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CN112309302A (zh) 包括图像校正器的显示装置
US10088953B2 (en) Touch scre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correcting touch position based on image shifting
KR2016013786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US7839453B2 (en) Movement compensation
KR102492213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TWI437553B (zh) 影像處理裝置及影像處理方法
JP2010160373A (ja)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90032709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KR20210109114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11090210A (ja)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画像表示方法
KR101070628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5186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表示コントローラ及び電子機器
JP2006309252A (ja) 動画ボケ改善のための信号処理
JP2015141275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22453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