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558A -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558A
KR20120106558A KR1020120021034A KR20120021034A KR20120106558A KR 20120106558 A KR20120106558 A KR 20120106558A KR 1020120021034 A KR1020120021034 A KR 1020120021034A KR 20120021034 A KR20120021034 A KR 20120021034A KR 20120106558 A KR20120106558 A KR 20120106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display unit
display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135B1 (ko
Inventor
엄상용
김동섭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355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JP6081381B2/ja
Priority to RU2013142351A priority patent/RU2611024C2/ru
Priority to CA2830179A priority patent/CA2830179C/en
Priority to BR112013023993-0A priority patent/BR112013023993B1/pt
Priority to AU2012232018A priority patent/AU2012232018B2/en
Priority to PCT/KR2012/001569 priority patent/WO2012128485A2/en
Publication of KR2012010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558A/ko
Priority to ZA2013/07064A priority patent/ZA201307064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6Dealing with screen burn-in prevention or compensation of the effec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표시부로 사용하는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GUI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은 기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오프(off)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TO DECREASE IMAGE STICKING}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표시부로 사용하는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GUI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에서 고정된 이미지가 오랜 시간 지속되어 표시되는 경우, 특정 고정된 이미지가 그대로 남게 되는 잔상(Image stick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TFT-LCD(Thin Film Transistor-LCD)의 경우, 특정 이미지에 대한 액정의 고착으로 인해 잔상 현상이 발생하지만,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의 경우,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는 픽셀(pixel)의 발광 효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하되고, 상대적으로 주위 픽셀보다 낮은 밝기로 발광하게 됨으로써, 잔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AM OLED 자발광 소자는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3가지 색으로 구성되며, 휘도의 감소는 표시 누적 시간에 따라 진행된다.
도 1a는 표시 누적 시간에 따른 적색, 녹색, 청색의 휘도 감소 정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a에서 적색, 녹색, 청색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휘도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청색이 적색 및 녹색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다.
특히, 명도가 높은 그레이(gray)의 이미지의 경우 적색, 녹색, 청색이 모두 발광하게 되는데, 발광 시간이 지속되는 경우 적색, 녹색, 청색의 휘도가 모두 감소하게 되어 이미지 전환이 이루어질 때 잔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b는 잔상 현상이 발생한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b의 [a]와 같이 제1영역(11)에 명도가 높은 그레이의 이미지가 표시되고 제2영역(12)에 상대적으로 명도가 낮은 그레이의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시킨 후, 제2영역(12)에 제1영역(11)과 동일한 그레이의 이미지를 표시하면, 도 1b의 [b]와 같이 제1영역(11)에 잔상이 남게 된다. 이는 제2영역(12)에 비해 제1영역(11)에서 휘도 감소가 더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잔상이 남게 되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잔상으로 남은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된 이미지가 지속적으로 표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잔상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GUI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은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오프(off)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은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이이템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잔상 감소를 위한 GUI를 제공하는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온(on)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일정 조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온(on)/오프(off)하고,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부가 온(on)될 때마다 특정 이미지의 위치 변경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특정 이미지가 고정된 위치에서 계속적으로 표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잔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는 특정 이미지의 위치 조정을 통해 잔상 윤곽을 흐리게 하며, 종래보다 사용자가 잔상 현상을 인지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약 1~2 픽셀(pixel) 단위의 미세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 육안으로 이미지의 위치 변경을 인지하기 어려우며, 최소 거리 이동으로 잔상 현상 감소에 있어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다.
도 1a는 표시 누적 시간에 따른 적색, 녹색, 청색의 휘도 감소 정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잔상 현상이 발생한 형태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들이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인디케이터 영역(41) 내의 아이템들(42, 43, 44, 45)이 이동되는 경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들이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들이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item)'은 표시 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image object),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icon)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는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와이파이(wifi) 수신 감도 표시, 현재 시각 표시, 배터리 정보 표시, 알람 설정 표시, 블루투스(Bluetooth) 활성화 여부 표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활성화 여부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TV, 모니터 등의 비 휴대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는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도이다. 표시 장치(100)는 저장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표시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표시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및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10)는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알고리즘(algorithm)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표시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버튼 식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성될 수 있으며, 3*4 패드 또는 Qwerty 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20)는 일정 개수의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에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120)는 표시부(130)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표시부(130)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30)는 표시 장치(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30)는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며, 아이템 이동부(142)의 제어에 따라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40)는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 및 아이템 이동부(142)를 포함한다.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표시부(130)의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입력부(120)로부터 표시부(130)의 온 또는 오프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부(130)를 온 또는 오프한다. 또한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표시부(130)의 온 이후 타이머를 구동하여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오프한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표시부(130)가 온 된 이후 입력부(120)를 통한 입력이 없는 경우 표시부(130)를 오프하기 위한 시간으로써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0초에서 10분 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는 아이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item)은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image object),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icon)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는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와이파이(wifi) 수신 감도 표시, 현재 시각 표시, 배터리 정보 표시, 알람 설정 표시, 블루투스(Bluetooth) 활성화 여부 표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활성화 여부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는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일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객체들은 표시부(130)의 상단 영역에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의 오프 상태에서 표시부(130)의 온 명령이 입력됨을 인식하면, 아이템들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 후, 타이머를 구동하여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주기(T)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T에 도달하면, 현재 표시부(130)가 온 상태인지 판단하여, 온 상태인 경우,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일정 간격 이동시켜 표시한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경과 시간이 T에 도달했을 때, 표시부(13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온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온 명령이 입력되면,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아이템들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 이동시켜서 표시한다. 상기 기 설정된 주기(T)의 경우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T 값이 커질 경우 단 시간 내에 표시부(130)의 온/오프가 있을 경우에도 상기 아이템이 온/오프가 있을 때마다 이동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이 이동하는 것을 인지하기 어려워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의 오프 상태에서 표시부(130)의 온 명령이 입력됨을 인식하면,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아이템들 중 일부를 일정 간격 이동시켜서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아이템들을 그룹핑하고 그룹을 하나씩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아이템들은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며, 이 때,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의 오프 상태에서 표시부(130)의 온 명령이 입력됨을 인식하면, 제1영역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 이동시켜서 표시하고, 표시부(130)의 오프 및 온 동작의 누적 횟수를 체크할 수 있다. 표시부(130)의 오프 및 온 동작의 누적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K)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제2영역에 포함되는 아이템들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 이동시켜서 표시하고, 표시부(130)의 오프 및 온 동작의 누적 횟수를 0으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K는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K값이 커질수록 많은 수의 온/오프를 한 뒤에 아이콘이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K값은 2회 이상의 값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 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30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100)에 구비된 표시부(130) 온/오프 버튼 키를 눌러 표시부(130)의 온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표시부(130)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패널에 터치를 입력함으로써 표시부(130)의 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로부터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302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부(13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아이템은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들 중 상대적으로 표시 변경의 빈도가 적은 이미지 객체로서,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 등이 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로는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와이파이(wifi) 수신 감도 표시, 현재 시각 표시, 배터리 충전 표시, 알람 설정 표시, 블루투스(Bluetooth) 활성화 여부 표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활성화 여부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30)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표시 시, 표시부(130)의 일정 영역에 일 열로 배열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표시부(13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두께의 영역에 아이템들을 수평방향으로 배열시켜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에는 아이템 최초 표시 시의 아이템 위치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40)는 302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아이템 위치 정보에 따라 아이템을 표시한다.
303단계에서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는 표시 장치(100)에 구비된 표시부(130) 온/오프 버튼 키를 눌러 표시부(130)의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304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오프한다.
이후, 305단계에서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온 명령이 입력되면, 표시부(130)를 온(on)하면서, 아이템 이동부(142)에 표시부(130)의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306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아이템 이동 시, 아이템 배열 전체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템들이 좌우방향으로 일 열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아이템들 전체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 간격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템들이 상하방향으로 일 열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아이템들 전체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일정 간격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정 간격은 1픽셀(pixel) 또는 2픽셀이 될 수 있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아이템들을 1픽셀 또는 2픽셀씩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아이템 이동에 대해 인지하기 어렵게 한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일정 경로를 따라 아이템들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아이템들이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가 오프 상태에서 온 될 때마다, 좌측으로 2픽셀 및 우측으로 2픽셀 범위 내에서 1픽셀 단위로 아이템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최초 아이템들이 표시될 때의 기준점을 (0,0)이라고 할 때, 아이템 이동부(142)는 (-1,0), (-2,0), (-1,0), (0,0), (+1,0), (+2,0), (+1,0), (0,0) 순으로 아이템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점은 표시되는 아이템의 좌측 최상단의 위치에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점은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아이템의 중심, 좌측 최하단, 우측 최상단 또는 우측 최하단 등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가 오프 상태에서 온 될 때마다, 좌측으로 1픽셀, 우측으로 1픽셀, 상측으로 1픽셀, 하측으로 1픽셀의 범위 내에서 1픽셀 단위로 아이템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최초 아이템들이 표시될 때의 기준점을 (0,0)이라고 할 때, 아이템 이동부(142)는 (-1,0), (-1,-1), (0,-1), (0,0) 순으로 아이템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템을 좌우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아이템 배열방향 및 배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303단계에서 표시부(130)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302단계에서의 아이템 표시 단계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30)를 오프하고,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 및 아이템 이동부(142)는 305단계 및 306단계를 수행한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들이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4의 [a]는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들(42, 43, 44, 45)을 표시부(130)의 상단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영역(41)에 표시하고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41)에는 좌측부터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2), 와이파이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3), 현재 시각 표시 아이템(44) 및 배터리 정보 표시 아이템(45)이 배열되어 있다.
도 4의 [b]는 도 4의 [a]의 화면에서 표시부(130)가 오프되고 다시 온 될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4의 [b]에서 인디케이션 영역(41)에 표시되는 아이템들(42, 43, 44, 45)은 도 4의 [a]와 비교하여 좌측으로 일정 간격(46)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4의 [b]에서 일정 간격(46)은 1픽셀 또는 2픽셀이 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인디케이터 영역(41) 내의 아이템들(42, 43, 44, 45)이 이동되는 경로의 예시도이다.
도 5에서 아이템들(42, 43, 44, 45)은 표시부(130)의 오프 후 온 동작이 발생할 때마다 일정 간격(46) 만큼 이동되며, 좌측으로 2번, 우측으로 4번, 좌측으로 2번 이동된다. 일정 간격(46)이 1픽셀이라고 가정한다면, 아이템들(42, 43, 44, 45)은 좌측으로 2픽셀, 우측으로 4픽셀, 좌측으로 2픽셀을 1픽셀 단위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2)의 좌측 하단 지점을 (0,0)이라고 했을 때, 상기 지점은 표시부(130)의 오프 후 온 동작이 발생할 때마다 (-1,0), (-2,0), (-1,0), (0,0), (+1,0), (+2,0), (+1,0), (0,0) 순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우측으로 2픽셀, 좌측으로 4픽셀, 우측으로 2픽셀을 1픽셀 단위로 이동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측으로 2픽셀, 하측으로 4픽셀, 상측으로 2픽셀을 1픽셀 단위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측으로 2픽셀, 상측으로 4픽셀, 하측으로 2픽셀을 1픽셀 단위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이템의 이동하는 최대 거리는 상기 아이템의 최대 직경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의 최대 직경은 상기 아이템의 직경중 가장 길이가 긴 길이를 가지는 직경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상기 아이템이 이동하는 최대 거리를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의 이동거리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는 범위 하에서 조절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위치에 상기 아이템을 표시함으로써 상기 아이템이 장기간 동일 위치에서 표시될 때 발생하는 잔상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이템의 이동하는 최대 거리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아이템의 이동하는 최대 거리는 1픽셀 이상의 값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템의 중심점에서 상기 아이템의 최대 직경을 지름으로 하는 특정영역을 정의 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을 이동하는 범위는 상기 특정 영역 내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템의 형상에 따라 주변에 일정 영역을 정의하고 그에 맞추어 이동영역을 조절함으로써 아이템의 형상에 따른 잔상 감소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템의 크기에 따라 최대 이동 거리 및 이동 영역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아이템이 최대 이동거리 혹은 이동 영역 내에서 위치할 때 항상 일정 부분이 겹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아이템의 이동을 인지하지 못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키며 잔상감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3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할 때, 상대적으로 이동 빈도가 적은 아이템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아이템들이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아이템들이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시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잔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표시 장치(100)는 1픽셀 등의 최소 거리 단위로 아이템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아이템 이동을 인지하기 어렵게 하며, 최소 거리 이동으로 잔상에 대해 최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100)가 일정 주기에 따라 아이템들을 이동시키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60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부(13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표시 장치(100)에는 아이템 최초 표시 시의 아이템 위치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40)는 601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아이템 위치 정보에 따라 아이템을 표시한다. 아이템이 표시 후, 아이템 이동부(142)는 타이머를 구동시켜 경과 시간을 측정한다.
602단계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주기(T)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경과 시간이 T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603단계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현재 표시부(130)가 온(on) 상태인지 판단하고,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604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한다.
603단계에서 현재 표시부(130)가 오프(off)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아이템 이동부(142)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 온 명령을 입력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표시부(130)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아이템 이동부(142)로 알린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604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 때, 아이템 이동부(142)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부(130)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도 4 및 도 5의 아이템 이동 표시에 관한 설명은 도 6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100)가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시키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70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며,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702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N개의 아이템들을 표시부(13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N개의 아이템들은 1번부터 N번까지 순서가 설정되어 있다.
703단계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n에 1을 설정한다. n은 이동될 아이템의 번호를 의미하며, 아이템 이동부(142)는 703단계에서 제1 아이템 내지 제N 아이템 중 제1아이템을 이동될 아이템으로 설정한다.
704단계에서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표시부(130)의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705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오프한다.
이후, 706단계에서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온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온(on)하면서, 아이템 이동부(142)에 표시부(130)의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707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제n아이템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만약 n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제1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하게 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아이템 이동 시,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아이템들이 좌우방향으로 일 열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아이템부터 하나씩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일정 경로를 따라 아이템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들이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가 오프 상태에서 온 될 때마다,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아이템부터 차례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아이템부터 우측 방향으로 차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아이템과 아이템 간격은 아이템 이동 후에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708단계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n이 N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n이 N에 해당하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n을 1로 설정하고, 이후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 및 아이템 이동부(142)는 704단계 내지 707단계를 수행한다.
708단계에서 n이 N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아이템 이동부(142)는 709단계에서 n을 n+1로 설정하며, 이후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 및 아이템 이동부(142)는 704단계 내지 707단계를 수행한다.
704단계에서 표시부(130)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710단계로 진행하여 702단계에서의 아이템 표시 단계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30)를 오프하고,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 및 아이템 이동부(142)는 706단계 및 707단계를 수행한다.
도 7은 표시 장치(100)가 제1 아이템부터 제N 아이템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제1아이템부터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0)는 제1 아이템부터 제N 아이템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킨 후, 역순으로 제N아이템부터 제1아이템 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은 표시 장치(100)가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아이템들을 그룹핑하고, 그룹을 하나씩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들이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8의 [a]는 도 4의 [a]와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들(42, 43, 44, 45)을 표시부(130)의 상단에 위치하는 인디케이터 영역(41)에 표시하고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41)에는 좌측부터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2), 와이파이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3), 현재 시각 표시 아이템(44) 및 배터리 정보 표시 아이템(45)이 배열되어 있다.
도 8의 [b]는 도 8의 [a]의 화면에서 표시부(130)가 오프되고 다시 온 될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의 [b]에서 인디케이션 영역(41)에 표시되는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2)은 도 8의 [a]와 비교하여 좌측으로 일정 간격(46) 만큼 이동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아이템들(43, 44, 45)은 도 8의 [a]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도 8의 [c]는 도 8의 [b]의 화면에서 표시부(130)가 오프되고 다시 온 될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의 [c]에서 인디케이션 영역(41)에 표시되는 와이파이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3)은 도 8의 [b]와 비교하여 좌측으로 일정 간격(46) 만큼 이동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아이템들(42, 44, 45)은 도 8의 [b]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아이템들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 또는 일부의 아이템만 이동시키기 때문에 표시 변경을 최소화 하면서도 최대 잔상 감소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복수의 영역들에 아이템들이 표시되는 경우, 영역 별로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901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며,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902단계에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각각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제1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들 중 상대적으로 표시 변경의 빈도가 가장 적은 이미지 객체로서,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가 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객체로는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와이파이(wifi) 수신 감도 표시, 현재 시각 표시, 배터리 충전 표시, 알람 설정 표시, 블루투스(Bluetooth) 활성화 여부 표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활성화 여부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제2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은 제1영역의 아이템보다는 표시 변경의 빈도가 많으나,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보다는 표시 변경의 빈도가 적은 아이템으로서, 전화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인터넷 브라우저 아이콘 등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많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될 수 있다.
903단계에서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오프(off)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표시부(130)의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904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오프한다.
이후, 905단계에서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입력부(120)를 통해 표시부(130)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고, 온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30)를 온(on)하면서, 아이템 이동부(142)에 표시부(130)의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906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제1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도 3의 아이템 이동 형태에 관한 설명은 도 9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후, 907단계에서 아이템 이동부(142)는 표시부(130)의 오프 및 온 동작의 누적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K)에 도달하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K는 제2영역의 아이템들을 이동시키는 주기에 해당한다.
표시부(130)의 오프 및 온 동작의 누적 횟수가 K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아이콘 이동부(142)는 908단계에서 표시부(130)를 제어하여 제2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부(130)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후, 아이콘 이동부(142)는 909단계에서 표시부(130)의 오프 및 온 동작의 누적 횟수를 0으로 갱신한다.
903단계에서 표시부(130) 오프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910단계로 진행하여 902단계에서의 아이템 표시 단계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판단한다.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는 904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30)를 오프하고,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141) 및 아이템 이동부(142)는 905단계 내지 909단계를 수행한다.
도 9는 두 개의 영역에 아이콘들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이상의 영역에 아이콘들이 표시되는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들이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해당한다.
도 10의 [a]는 표시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들(42, 43, 44, 45)을 표시부(13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영역(41)에 표시하고 있으며, 전화 아이템(52), 연락처 아이템(53), 메시지 아이템(54) 및 메뉴 아이템(55)을 제2영역(51)에 표시하고 있다. 제1영역(41)에는 좌측부터 이동통신망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2), 와이파이 수신 감도 표시 아이템(43), 현재 시각 표시 아이템(44) 및 배터리 정보 표시 아이템(45)이 배열되어 있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화면에서 표시부(130)가 오프되고 다시 온 될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의 [b]에서 제1영역(41)에 표시되는 아이템들(42, 43, 44, 45)은 도 10의 [a]와 비교하여 좌측으로 일정 간격(46) 이동되어 표시되며, 제2영역(51)에 표시되는 아이템들(52, 53, 54, 55)은 도 10의 [a]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된다.
도 10의 [c]는 도 10의 [b]의 화면에서 표시부(130)가 오프되고 다시 온 될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의 [c]에서 제1영역(41)에 표시되는 아이템들(42, 43, 44, 45)은 도 10의 [b]와 비교하여 좌측으로 일정 간격(46) 이동되어 표시되며, 제2영역(51)에 표시되는 아이템들(52, 53, 54, 55)은 도 10의 [b]와 비교하여 좌측으로 일정 간격(56) 이동되어 표시된다.
도 10에서는 표시부 오프 및 온 동작이 발생할 때마다 제1영역(41) 내의 아이템들이 이동되며, 표시부 오프 및 온 동작이 두 번 발생할 때마다 제2영역(51) 내의 아이템들이 이동된다.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아이템의 표시 변경 빈도를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아이템 이동을 수행함으로써, 최소한의 표시 변경으로 잔상 현상 감소에 있어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저장부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제어부
141 : 표시부 온/오프 제어부
142 : 아이템 이동부

Claims (23)

  1. 단말 장치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기 결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부를 오프(off)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을 기 설정된 간격만큼 상기 아이템 배열 방향 및 상기 아이템 배열 방향의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간격은
    1 픽셀(pixel)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을 상기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이템이 표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아이템 배열 방향으로 2 픽셀 범위 내에서 1 픽셀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을 상기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이템이 표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아이템 배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2 픽셀 범위 내에서 1 픽셀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 오프 명령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경과 중 하나인 경우에 상기 표시부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온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기 설정된 순서대로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온 명령이 입력되는 누적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온 명령이 입력되는 누적 횟수를 0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AM O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의 최대 직경 이하의 범위 내에서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템의 최대 직경을 직경으로 하는 특정 영역 안에서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13. 표시 장치의 잔상 감소를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면, 상기 표시부의 온(on)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온(on)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방법.
  14.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온(on)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기 결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오프(off)하고,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온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아이템 배열 방향으로 및 상기 아이템 배열 방향의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개수의 픽셀 범위 내에서 1픽셀 이상의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복수의 아이템들에 해당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온 명령이 입력될 때마다 기 설정된 순서대로 아이템을 하나씩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표시부의 온 명령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온 명령이 입력되는 누적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표시부의 오프 직전에 표시된 위치보다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오프 상태에서 온 명령이 입력되는 누적 횟수를 0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된 상태에서,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고,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가 온(on) 상태인지 판단하고, 온 상태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을 표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아이템 배열 방향 및 상기 아이템 배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 중 한 방향 이상으로 2픽셀 범위 내에서 1픽셀 단위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 오프 명령 입력 및 기 설정된 시간 경과 중 하나인 경우 상기 표시부를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AM O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의 최대 직경 이하의 범위 내에서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템의 최대 직경을 직경으로 하는 특정 영역 안에서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20021034A 2011-03-18 2012-02-29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189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58780A JP6081381B2 (ja) 2011-03-18 2012-03-02 残像減少のためのgui提供方法及び表示装置
RU2013142351A RU2611024C2 (ru) 2011-03-18 2012-03-02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CA2830179A CA2830179C (en) 2011-03-18 2012-03-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BR112013023993-0A BR112013023993B1 (pt) 2011-03-18 2012-03-02 Método e aparelho para fornecer interface gráfica de usuário
AU2012232018A AU2012232018B2 (en) 2011-03-18 2012-03-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PCT/KR2012/001569 WO2012128485A2 (en) 2011-03-18 2012-03-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ZA2013/07064A ZA201307064B (en) 2011-03-18 2013-09-1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480 2011-03-18
KR20110024480 2011-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558A true KR20120106558A (ko) 2012-09-26
KR101890135B1 KR101890135B1 (ko) 2018-08-23

Family

ID=4584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034A KR101890135B1 (ko) 2011-03-18 2012-02-29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99264B2 (ko)
EP (1) EP2500896B1 (ko)
JP (1) JP6081381B2 (ko)
KR (1) KR101890135B1 (ko)
CN (1) CN102723062B (ko)
AU (1) AU2012232018B2 (ko)
BR (1) BR112013023993B1 (ko)
CA (1) CA2830179C (ko)
RU (1) RU2611024C2 (ko)
ZA (1) ZA201307064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748A (ko) * 2013-10-21 201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4440A (ko) * 2014-09-19 2016-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보정 방법
KR20160132170A (ko) * 2015-05-06 2016-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20160137867A (ko) * 2015-05-22 2016-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US10140684B2 (en) 2015-11-03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291908B2 (en) 2017-04-11 2019-05-14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determining residual imag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idual image of display device
KR20190096859A (ko) 2019-07-30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9164045A1 (ko) * 2018-02-26 2019-08-29 엘지전자(주) 표시장치와 그 영상 처리 방법
US10564822B2 (en) 2016-08-29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burn-i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164285B2 (en) 2016-07-25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n a display to prevent burn-in of th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0987A (ja) * 2013-08-22 2015-03-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KR102214194B1 (ko) * 2014-08-19 2021-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Rf센서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감지방법
KR102187134B1 (ko) * 2014-10-21 2020-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6067287B (zh) * 2015-04-21 2021-08-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以及用于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KR102355516B1 (ko) * 2015-04-30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37608B1 (ko) * 2016-01-28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영상 표시 방법
CN105808306B (zh) * 2016-03-31 2018-06-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标的显示方法、显示装置以及终端
CN105654903A (zh) * 2016-03-31 2016-06-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的显示控制方法、装置及智能终端
KR102548658B1 (ko) * 2016-08-08 2023-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20190061053A (ko) * 2016-10-10 2019-06-04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와 조작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516371B1 (ko) * 2016-10-25 2023-04-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90019676A (ko) 2017-08-18 201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광을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1949B1 (ko) * 2018-08-31 2023-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0928992B2 (en) * 2019-03-11 2021-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TML editing operations
US10997893B1 (en) 2019-10-24 2021-05-04 Dell Products L.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ensation tool
US11011110B1 (en) 2019-10-24 2021-05-18 Dell Products L.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ermal management
US11011109B1 (en) 2019-10-24 2021-05-18 Dell Products L.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ower management based on usage scaling
CN110738969A (zh) 2019-10-31 2020-01-3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设备
CN112435633B (zh) * 2020-11-27 2022-07-29 福州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计算机存储介质和显示装置
CN219382939U (zh) 2023-03-09 2023-07-21 广州信如塑料薄膜有限公司 一种贴膜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64A (ko) * 2001-10-18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현상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05037843A (ja) * 2003-07-18 2005-02-10 Kodak Kk カメラ及び表示制御装置
KR20060070230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30079A (ja) * 2008-03-25 2009-10-08 Toshiba Corp 携帯電話機
US20100245339A1 (en) * 2009-03-30 2010-09-30 Associated Industries China, Inc. Method of preventing image sticking on a tft-lc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775A (ja) * 1999-02-08 2000-08-15 Nec Corp 表示装置の焼付防止方法及び表示装置の焼付防止装置
JP2003150140A (ja) * 2001-11-16 2003-05-2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画面の焼付き防止器
JP4471258B2 (ja) 2003-05-29 2010-06-02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551052B1 (ko) 2003-11-19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패널의 잔상 방지 방법과 장치, 그 장치를 갖는플라즈마 표시 패널
US20060102910A1 (en) * 2004-10-29 2006-05-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JP4851720B2 (ja) 2005-02-24 2012-01-11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大型表示装置
JP5577023B2 (ja) 2008-02-22 2014-08-20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4636141B2 (ja) * 2008-08-28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00050823A (ko) 2008-11-06 2010-05-14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의 화면 보호 방법
US8453057B2 (en) * 2008-12-22 2013-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CN101777315A (zh) 2009-01-13 2010-07-14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避免液晶显示器图像残留的方法
US8872836B2 (en) * 2011-01-25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ng static images and reducing resource usage on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64A (ko) * 2001-10-18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현상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05037843A (ja) * 2003-07-18 2005-02-10 Kodak Kk カメラ及び表示制御装置
KR20060070230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30079A (ja) * 2008-03-25 2009-10-08 Toshiba Corp 携帯電話機
US20100245339A1 (en) * 2009-03-30 2010-09-30 Associated Industries China, Inc. Method of preventing image sticking on a tft-lcd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0501A1 (ko) * 2013-10-21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062363B2 (en) 2013-10-21 2018-08-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image sticking in a mobile terminal
KR20150045748A (ko) * 2013-10-21 201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810926B2 (en) 2014-09-19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of display device
KR20160034440A (ko) * 2014-09-19 2016-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보정 방법
KR20160132170A (ko) * 2015-05-06 2016-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20160137867A (ko) * 2015-05-22 2016-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US10140684B2 (en) 2015-11-03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164285B2 (en) 2016-07-25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on a display to prevent burn-in of the display
US10564822B2 (en) 2016-08-29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burn-i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291908B2 (en) 2017-04-11 2019-05-14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determining residual imag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idual image of display device
WO2019164045A1 (ko) * 2018-02-26 2019-08-29 엘지전자(주) 표시장치와 그 영상 처리 방법
US11430370B2 (en) 2018-02-26 2022-08-30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thereof
KR20190096859A (ko) 2019-07-30 2019-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1127372B2 (en) 2019-07-30 2021-09-2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15119A (ja) 2014-06-26
AU2012232018B2 (en) 2016-10-06
CN102723062A (zh) 2012-10-10
RU2013142351A (ru) 2015-03-27
AU2012232018A1 (en) 2013-08-29
BR112013023993A2 (pt) 2016-12-13
CA2830179C (en) 2020-03-24
KR101890135B1 (ko) 2018-08-23
EP2500896B1 (en) 2016-11-23
BR112013023993B1 (pt) 2021-03-30
JP6081381B2 (ja) 2017-02-15
CA2830179A1 (en) 2012-09-27
CN102723062B (zh) 2017-08-29
US20120236040A1 (en) 2012-09-20
US9799264B2 (en) 2017-10-24
RU2611024C2 (ru) 2017-02-17
ZA201307064B (en) 2014-11-26
EP2500896A1 (en)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135B1 (ko) 잔상 감소를 위한 gui 제공 방법 및 표시 장치
US9348502B2 (en) Dimm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50116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in electronic device
US201401764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m state
US20140101598A1 (en) Idle screen arrangement structure and idle screen display method for mobile terminal
CN103425321A (zh) 双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US20100007620A1 (e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35851B2 (en) Portab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luminance control method and luminance control program
KR20100081152A (ko)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019526835A (ja) インフレーム感知及び適応感知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2505568A (ja) 移動通信装置のためのマルチメディアモジュール
CN106293479B (zh) 一种屏幕背光亮度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10070046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차등 절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US9898982B2 (en) Display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14203119A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8743092B2 (en) Display apparatus that determines a pointing position of a poi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10103089A (ko) 절전형 상시 정보 표시창을 갖는 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20130063190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073172B1 (ko)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947278B2 (en)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20053655A (ko) 자발광형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단말기에서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99411A (ko) 전자 기기에서 소비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60053197A (ko) 표시 장치
CN114822389B (zh) 图像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6168644A (zh) 一种显示调节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