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19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197A
KR20160053197A KR1020140150321A KR20140150321A KR20160053197A KR 20160053197 A KR20160053197 A KR 20160053197A KR 1020140150321 A KR1020140150321 A KR 1020140150321A KR 20140150321 A KR20140150321 A KR 20140150321A KR 20160053197 A KR20160053197 A KR 20160053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iewing angle
display panel
driving circuit
low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2249B1 (ko
Inventor
신형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249B1/ko
Priority to US14/735,032 priority patent/US9754530B2/en
Publication of KR2016005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와,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시야각 정보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및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에 새로운 제1 및 제2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표시 장치들 중에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색 제현성의 뛰어남과 얇은 두께, 빠른 응답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점으로 인해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핸드폰, 스마트 워치, 테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사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새로운 명령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여 저전력 구동, 저휘도 디스플레이 동작으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저전력 모드 상태에서도 시간, 날짜와 같은 일부 정보들을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소재 특성상 잔상 문제 및 수명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표시 장치가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시야각 정보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및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장치의 기울기를 센싱하여 사용자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시야각 정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야각 센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시야각 센싱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이 그린 컬러 또는 8가지 색상으로만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장치의 기울기를 센싱하여 사용자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야각 정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야각 센싱부, 및 시야각 정보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및 다수의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시야각 센싱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가변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은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은 증가시킨다.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그린 컬러 또는 8가지 색상으로만 발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설정된 최적 기울기 범위와 장치의 기울기 변화를 센싱하여 사용자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야각 정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야각 센싱부, 및 시야각 정보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및 다수의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되,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난 값이 클수록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시야각 센싱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회로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난 값이 클수록 상기 새로운 제1 보조 전압을 상승시킨다.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감소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 패널을 보는 메인 시야각에서는 표시 장치를 일반 모드로 활성화시키고, 메인 시야각을 제외한 나머지 각도에서는 표시 장치를 저전력 모드로 동작시켜 표시 장치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메인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시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저전력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시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시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전원 공급부(120), 구동 회로(130) 및 시야각 센싱부(14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를 포함하는 화소들로 구성된 표시부가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하여 동작한다.
표시 패널(110)은 일반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표시 패널(110)은 전체 표시 영역 중 외부에서 입력되는 주사 신호에 대응하는 발광 위치에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하여 동작한다.
표시 패널(110)은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을 벗어난 범위에 있다고 판단될 때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한다. 표시 패널(110)은 저전력 모드에서 구동 회로(130)로부터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10)은 구동 회로(13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SC_CS)에 응답하여 전체 표시 영역 중 화소들이 발광하는 영역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대신 그린 컬러 또는 8가지 색상으로만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며, 일반 모드에서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을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20)는 DC-DC 컨버터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저전력 모드에서 비활성화되어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의 출력 동작을 정지한다.
구동 회로(130)는 차지 펌프(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회로(130)는 시야각 센싱부(140)에서 출력되는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일반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를 판단한다.
구동 회로(130)는 일반 모드에서는 전원 공급부(120)를 인에이블 시키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하고, 저전력 모드에서는 차지 펌프(131)를 활성화시켜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을 출력한다. 이때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은 전원 공급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전원 전압(ELVDD)보다 전위가 낮으며,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은 전원 공급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전원 전압(ELVSS)보다 전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 회로(130)는 저전력 모드에서 제어 신호(SC_CS)를 표시 패널(110)로 출력하여 표시 패널(110)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일반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도록 제어한다.
시야각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또는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 낫는지를 판단하여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를 출력한다.
시야각 센싱부(140)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시야각 센싱부(140)는 설정된 메인 시야각 범위와 수직을 이루는 표시 장치(100)의 최적 기울기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표시 장치(10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아니면 벗어 낫는지를 판단하여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메인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시야각(Main Angle) 범위는 사용자의 시각과 표시 장치(100)가 수직을 이루는 설정 각도에서 -10° 내지 45°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메인 시야각(Main Angle) 범위는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의 시각과 표시 장치가 수직을 이루는 설정 각도에서 -45° 내지 10°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시야각 범위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사용할 때 용이하게 표시 장치(100)의 표시 패널(110)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시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일반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저전력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야각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Main Angle) 범위에 포함되는지 벗어 낫는지를 판단하여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를 출력한다. 메인 시야각(Main Angle) 범위는 A로 설정한다.
구동 회로(130)는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일반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며, 인에이블 신호(En) 및 제어 신호(SC_CS)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일반 모드로 판단될 경우 구동 회로(13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하여 전원 공급부(120)를 활성화시킨다. 전원 공급부(12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을 출력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에 따라 구동되어 화소들을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시켜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판단될 경우, 구동 회로(13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120)를 비활성화시키고, 차지 펌프(131)를 이용하여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을 출력한다. 표시 패널(110)은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에 의해 구동되며, 이때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은 전원 공급부(120)에서 출력되는 제1 전원 전압(ELVDD)보다 낮으며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은 전원 공급부(120)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 전압(ELVSS)보다 높아 표시 패널(110)에서 발광되는 화소들의 휘도는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구동 회로(130)는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제어 신호(SC_CS)를 출력하여 표시 패널(110)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일반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도록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대신 그린 컬러 또는 8가지 색상으로만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시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야각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시각이 제1 메인 시야각 범위(A')에 포함되는지, 제2 메인 시야각 범위(B)에 포함되는지 또는 제1 및 제2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 낫는지(C)를 판단하여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메인 시야각 범위를 설정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시야각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구동 회로(130)는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일반 모드, 제1 저전력 모드, 또는 제2 저전력 모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각이 제1 메인 시야각 범위(A')에 포함될 경우 이를 일반 모드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각이 제2 메인 시야각 범위(B)에 포함될 경우 제1 저전력 모드, 사용자의 시각이 제1 메인 시야각 범위(A') 및 제2 시야각 범위(B)를 벗어날 경우(C) 이를 제2 저전력 모드로 판단한다.
구동 회로는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일반 모드로 판단될 경우 구동 회로(13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하여 전원 공급부(120)를 활성화시킨다. 전원 공급부(12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을 출력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에 따라 구동되어 화소들을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시켜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제1 저전력 모드로 판단될 경우, 구동 회로(13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120)를 비활성화시키고, 차지 펌프(131)를 이용하여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을 출력하여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이때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은 전원 공급부(120)에서 출력되는 제1 전원 전압(ELVDD)보다 낮으며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은 전원 공급부(120)에서 출력되는 제2 전원 전압(ELVSS)보다 높다.
또한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제2 저전력 모드로 판단될 경우, 구동 회로(13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120)를 비활성화시키고, 차지 펌프(131)를 이용하여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을 출력하여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제1 저전력 모드시 보다 더욱 감소시킨다. 이때 제2 저전력 모드시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은 제1 저전력 모드시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보다 낮고, 제2 저전력 모드시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은 제1 저전력 모드시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보다 높다.
또한 구동 회로(130)는 제1 및 제2 저전력 모드에서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제어 신호(SC_CS)를 출력하여 표시 패널(110)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일반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도록 제어하되, 제1 저전력 모드보다 제2 저전력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더 작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 회로(130)는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A')를 벗어난 값이 클수록 디스플레이 영역이 점차 작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시 사용자의 시각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시야각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A")에 포함되는지, 메인 시야각 범위(A")를 벗어날 경우 사용자의 시각을 측정하여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를 출력한다.
구동 회로(130)는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일반 모드, 저전력 모드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A")에 포함될 경우 이를 일반 모드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A")를 벗어날 경우 이를 저전력 모드로 판단한다.
구동 회로는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일반 모드로 판단될 경우 구동 회로(13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출력하여 전원 공급부(120)를 활성화시킨다. 전원 공급부(120)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을 출력한다. 표시 패널(110)은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에 따라 구동되어 화소들을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시켜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판단될 경우, 구동 회로(130)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부(120)를 비활성화시키고, 차지 펌프(131)를 이용하여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을 출력하여 표시 패널(110)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A")에서 점차 멀어질수록 휘도가 점차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A")에서 멀어질수록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1 보조 전원 전압(ELVDD_1)은 점차 하강하고, 차지 펌프(131)에서 출력되는 제2 보조 전원 전압(ELVSS_1)은 점차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 회로(130)는 저전력 모드에서 시야각 정보 신호(Angle_signal)에 따라 제어 신호(SC_CS)를 출력하여 표시 패널(110)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일반 모드에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도록 제어하되, 사용자의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A")를 벗어난 값이 클수록 디스플레이 영역이 점차 작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시각에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발광 화소들의 휘도를 조절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 및 발광 색상을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표시 장치
110 : 표시 패널
120 : 전원 공급부
130 : 구동 회로
140 : 시야각 센싱부

Claims (20)

  1.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시야각 정보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및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치의 기울기를 센싱하여 사용자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시야각 정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야각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센싱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회로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이 그린 컬러 또는 8가지 색상으로만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7.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장치의 기울기를 센싱하여 사용자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야각 정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야각 센싱부; 및
    시야각 정보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및 다수의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센싱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회로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가변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은 감소시키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은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그린 컬러 또는 8가지 색상으로만 발광하는 표시 장치.
  15.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설정된 최적 기울기 범위와 장치의 기울기 변화를 센싱하여 사용자 시각이 메인 시야각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시야각 정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야각 센싱부; 및
    시야각 정보 신호에 따라 일반 모드 및 다수의 저전력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제1 및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공급하되,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난 값이 클수록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센싱부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회로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전원 전압보다 낮고, 상기 제2 보조 전원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높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난 값이 클수록 상기 새로운 제1 보조 전압을 상승시키는 표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의 시각이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를 벗어나 상기 사용자 시각과 상기 메인 시야각 범위의 차이가 클수록 상기 표시 패널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장치.






KR1020140150321A 2014-10-31 2014-10-31 표시 장치 KR10223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21A KR102232249B1 (ko) 2014-10-31 2014-10-31 표시 장치
US14/735,032 US9754530B2 (en) 2014-10-31 2015-06-09 Display device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321A KR102232249B1 (ko) 2014-10-31 2014-10-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197A true KR20160053197A (ko) 2016-05-13
KR102232249B1 KR102232249B1 (ko) 2021-03-29

Family

ID=5585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321A KR102232249B1 (ko) 2014-10-31 2014-10-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54530B2 (ko)
KR (1) KR102232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7494B1 (en) * 2020-03-19 2021-06-15 Google Llc Dynamic power converter switching for displays
KR20220151075A (ko) * 2021-05-04 2022-1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256A (ko) * 2010-08-20 2012-03-0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JP2012203768A (ja) * 2011-03-28 2012-10-22 Kyocera Corp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30109819A (ko) * 2012-03-28 2013-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90B1 (ko) 2001-02-19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야각에 적응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7036025B2 (en) * 2002-02-07 2006-04-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computer system display screen
US7091471B2 (en) * 2004-03-15 2006-08-15 Agilent Technologies, Inc. Using eye detection for providing control and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KR20060018096A (ko) 2004-08-23 2006-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기의 밝기 자동 조절방법
KR100689458B1 (ko) 2005-07-08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의 밝기조절 방법
KR100828361B1 (ko) 2005-09-28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야각에 적응적인 밝기-보정 전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화상 형성 장치
JP5087959B2 (ja) 2007-03-15 2012-1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電子腕時計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073182B1 (ko) 2009-08-03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1176527A (ja) * 2010-02-24 2011-09-08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US8976110B2 (en) * 2011-10-27 2015-03-10 Tobii Technology Ab Power management in an eye-track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256A (ko) * 2010-08-20 2012-03-0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JP2012203768A (ja) * 2011-03-28 2012-10-22 Kyocera Corp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30109819A (ko) * 2012-03-28 2013-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54530B2 (en) 2017-09-05
US20160125799A1 (en) 2016-05-05
KR102232249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917B1 (ko) 평판 표시 장치
US9478166B2 (en) Driving method for dimm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US93555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22312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EP281911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0590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5551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44809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604362B1 (ko) 센서 패키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4269142A (zh) 触摸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
US2014029283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00234667A1 (en) Gamma voltage divider circuit, voltage adjust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70079998A (ko) 표시장치, 광학보상 시스템 및 광학보상 방법
KR100707635B1 (ko)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64157B1 (ko) 표시장치
KR2012013343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604472B1 (ko) 표시장치
KR102232249B1 (ko) 표시 장치
KR102350692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171466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10082702A (ko) 디스플레이 장치,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KR102601644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07393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2048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7034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