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819A -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819A
KR20130109819A KR1020120031868A KR20120031868A KR20130109819A KR 20130109819 A KR20130109819 A KR 20130109819A KR 1020120031868 A KR1020120031868 A KR 1020120031868A KR 20120031868 A KR20120031868 A KR 20120031868A KR 20130109819 A KR20130109819 A KR 2013010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unit
mode
display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식
박진호
백윤기
김기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9819A/ko
Priority to US13/604,226 priority patent/US20130257710A1/en
Publication of KR2013010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은, 센서부, 카메라부, 및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센싱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사용자의 응시 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센싱신호 및 상기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모드로 갈수록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IMAGE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존재 및 응시 여부에 따라 복수의 모드로 동작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모니터, 휴대폰, 텔레비전 등과 같이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들을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들을 절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표시장치들이 상기 절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동작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표시장치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표시장치들은 일정 시간 동안 입력이 없는 경우 절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존재 유무 및 응시 여부에 따라 복수의 모드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영상 표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은 센서부, 카메라부, 및 영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센서부의 검출 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사용자의 응시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센서부의 상기 검출 값 및 상기 카메라부의 검출 값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부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모드로 갈수록 소비전력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를 응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표시부는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를 응시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는 온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제2 모드로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는 온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표시부는 오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응시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영상 표시부를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존재 유무 및 응시 여부에 따라 복수의 모드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이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센서부(100), 카메라부(200), 및 영상 표시부(300)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표시패널(310), 백라이트 유닛(320), 상부 커버(330), 및 하부 커버(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310)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패널(310)은 표시영역(DA)와 상기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31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패널(310)은 액정표시패널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패널(310)은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대향하는 상부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에는 게이트라인들, 상기 게이트라인들과 교차하는 데이터라인들,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 영역들이 정의되고, 상기 다수의 화소 영역들에는 다수의 화소들이 각각 구비된다. 각 화소는 박막트랜지스터, 액정 커패시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에 연결되고, 게이트 온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을 상기 화소 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상부기판에는 공통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공통전극에는 기준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제공된 액정층은 유전체 역할을 한다. 상기 액정 커패시터에는 상기 데이터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전압이 충진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310)의 일측에는 구동회로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로부(350)는 외부에서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310)을 구동시킨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320)은 상기 표시패널(310)에 광을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320)은 광학부재(321) 및 광원(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재(321)는 도광판, 확산 시트, 및 반사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322)은 상기 광을 상기 광학부재(321)로 출사한다. 도 1 에서 상기 광원(322)는 상기 광학부재(321)의 일측면에 배치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광원(322)은 상기 광학부재(3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322)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ourscent Lamp, CCFL), 등을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310)이 액정표시패널이 아닌 자발광형인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플라즈마 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백라이트 유닛(32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330) 및 상기 하부 커버(340)은 상기 표시패널(310)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320)을 수납한다. 상기 상부 커버(330) 및 상기 하부 커버(340)은 적어도 상기 표시패널(310)의 상기 비표시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에는 상기 상부 커버(330) 및 상기 하부 커버(340)이 각각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상부 커버(330) 및 상기 하부 커버(340)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부재가 결합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330) 및 상기 하부 커버(340)은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를 더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330)은 제1 개구(OP1) 및 제2 개구(OP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OP1) 및 상기 제2 개구(OP2)는 상기 비표시영역(NA)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OP1)에 의해 상기 센서부(100)가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2 개구(OP2)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20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제1 개구(OP1)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0)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센서부(10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발생부(미도시)와 적외선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발생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 내부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의 정면 방향으로 적외선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수신부는 상기 적외선 발생부에서 출사된 적외선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의 일부를 수신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적외선 수신부에 수신되는 적외선의 양에 따라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제2 개구(OP2)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센서부(100)의 검출 값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100)에서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카메라부(20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응시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의 상기 정면을 응시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와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오프된 경우에도, 온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가 상기 상부 커버(330) 및 상기 하부 커버(340)에 수납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와 독립된 구성으로 상기 영상 표시부(3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 외부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00)는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센싱신호(S1) 및 제2 센싱신호(S2)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사용자가 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의 정면에서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센싱신호(S1)를 출력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제2 센싱신호(S2)를 출력한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검출신호(C1)를 출력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제2 검출신호(C2)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제1 전원부(410) 및 제2 전원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부(410)는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원부(410)는 상기 센서부(100)에 센서 온 전압(VSon)을 인가하여 상기 센서부(100)를 턴온 시키거나 센서 오프 전압(VSoff)을 인가하여 상기 센서부(100)를 턴오프 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전원부(410)는 상기 카메라부(200)에 카메라 온 전압(VCon)을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부(200)를 턴온 시키거나 카메라 오프 전압(VCoff)을 인가하여 상기 카메라부(200)를 오프 시킨다. 상기 제1 전원부(410)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상기 제2 전원부(420)와 분리된 별도의 전원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부(42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 전원부(42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에 구동 온 전압(VDon)을 인가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구동시키거나 구동 오프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오프시킨다.
상기 제1 전원부(410) 및 상기 제2 전원부(42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1 센싱신호(S1), 제2 센싱신호(S2), 제1 검출신호(C1), 및 제2 검출신호(C2)에 근거하여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두로 동작한다.
이하,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모드는 사용자가 존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실제로 응시할 때 동작하는 모드이다.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센서 온 전압(VSon)을 수신하여 턴온되고,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센싱신호(S1)를 상기 카메라부(20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센싱신호(S1)가 출력되면, 상기 제1 전원부(410)는 상기 카메라 온 전압(VCon)을 상기 카메라부(200)로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부(200)를 턴온시킨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검출신호(C1)를 상기 영상 표시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검출신호(C1)가 출력되면, 상기 제2 전원부(420)는 구동 온 전압(VDon)을 상기 영상 표시부(300)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구동된다. 이때,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사용자에게 시인되기에 적합한 휘도로 상기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100), 상기 카메라부(200), 및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모두 온 상태로 동작하여 전력을 소비한다.
이하,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지 않을 때 동작하는 모드이다.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센서 온 전압(VSon)을 수신하여 턴온되고,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센싱신호(S1)를 상기 카메라부(200)로 출력한다. 상기 제1 센싱신호(S1)가 출력되면, 상기 제1 전원부(410)는 상기 카메라 온 전압(VCon)을 상기 카메라부(200)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부(200)는 턴온된다.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검출신호(C2)를 상기 영상 표시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검출신호(C2)가 출력되면, 상기 제2 전원부(420)는 구동 오프 전압(VDoff)을 상기 영상 표시부(300)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오프된다. 상기 제2 검출신호(C2)가 출력되면,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즉시 오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2 검출신호(C2)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온 상태로 동작하여 전력을 소비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오프되어,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3 모드는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및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2 모드로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한 경우에 동작하는 모드이다.
먼저,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센서 온 전압(VSon)을 수신하여 턴온된다. 이후, 상기 센서부(100)는 상기 수신되는 적외선 양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300)의 상기 정면에서 소정 거리 내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 센싱신호(S2)를 상기 영상 표시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제2 센싱신호(S2)가 출력되면, 상기 제1 전원부(410)는 상기 카메라 오프 전압(VCoff)을 상기 카메라부(200)로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부(200)는 오프된다. 또한, 상기 제2 센싱신호(S2)가 출력될 때, 상기 제2 전원부(420)는 상기 구동 오프 전압(VDoff)을 상기 영상 표시부(300)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오프된다. 상기 제2 센싱신호(S2)가 출력되면,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즉시 오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센싱신호(S2)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100)는 온 상태로 동작하여 전력을 소비하고, 상기 카메라부(200) 및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오프되어,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2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동작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상기 영상 표시부(300) 내부에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도 3은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이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먼저, 센서부(100)에 상기 센서 온 전원(VSon)이 인가되어 상기 센서부(100)가 턴온된다.(S0)
다음, 상기 센서부(100)는 영상 표시부(300)의 정면에서 소정 거리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이때,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3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오프되고, 상기 센서부(100)에서만 전력이 소비된다.(M3)
반면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200)에 상기 카메라 온 전원(VCon)이 인가되어 상기 카메라부(200)가 턴온된다.(S2)
다음,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오프되고,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에서만 전력이 소비된다.(M2) 다음,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2 모드로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2 모드로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한다.(M3) 반면,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2 모드로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하지 않은 경우,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3)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를 응시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한다.(M1)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100), 상기 카메라부(200), 및 상기 영상 표시부(300) 모두에서 전력이 소비된다.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존재 유무 및 응시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 상호간의 전환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입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영상 표시부(300)와 별도로 전원을 공급 받으므로, 상기 영상 표시 시스템은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센서부(100), 상기 카메라부(200), 및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동일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경우 21 와트의 전력이 소비되었고, 상기 영상 표시부(300)만 구동하는 경우 11 와트의 전력이 소비되었다. 하지만,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가 상기 영상 표시부(300)와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동일한 시간 동안 상기 센서부(100) 및 상기 카메라부(200)는 0.5 와트의 전력이 소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100), 상기 카메라부(200), 및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동일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 비해 상기 동일한 시간 당 9.5 와트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오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제2 검출신호(C2)가 출력되면, 상기 제2 전원부(420)는 상기 구동 온 전압(VDon)을 상기 영상 표시부(300)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표시부(30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표시되는 상기 영상의 휘도 보다 낮은 휘도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영상의 휘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영상의 휘도 보다 30%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2 모드 또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300)가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낮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센서부 200: 카메라부
300: 영상 표시부 310: 표시패널
320: 백라이트 유닛 330: 상부 커버
340: 하부 커버 410: 제1 전원부
420: 제2 전원부

Claims (18)

  1.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검출 값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사용자의 응시 여부를 검출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센서부의 상기 검출 값 및 상기 카메라부의 검출 값에 의해 제어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와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는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모드로 갈수록 소비전력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를 응시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표시부는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고,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를 응시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는 온 상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센서부는 온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 및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제2 모드로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동작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부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
  14.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응시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영상 표시부를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3 모드로 갈수록 소비전력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를 응시하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영상 표시부를 응시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제2 모드로 일정 시간 이상 동작한 경우,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제3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120031868A 2012-03-28 2012-03-28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30109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868A KR20130109819A (ko) 2012-03-28 2012-03-28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US13/604,226 US20130257710A1 (en) 2012-03-28 2012-09-05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868A KR20130109819A (ko) 2012-03-28 2012-03-28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819A true KR20130109819A (ko) 2013-10-08

Family

ID=4923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868A KR20130109819A (ko) 2012-03-28 2012-03-28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57710A1 (ko)
KR (1) KR20130109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197A (ko) * 2014-10-31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6157B (zh) * 2012-02-23 2016-06-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電腦可讀取媒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6527A (ja) * 2010-02-24 2011-09-08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US8976110B2 (en) * 2011-10-27 2015-03-10 Tobii Technology Ab Power management in an eye-track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197A (ko) * 2014-10-31 2016-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57710A1 (en)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6575B2 (en) Light pen
EP3493193B1 (en) Displaying device, terminal of display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1205535B1 (ko) 광원 구동 장치,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광원 구동 방법
US20110001728A1 (en) Poin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63419A (ko) 표시장치
JP2005148735A (ja) 表示装置
JP2001142409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における照明制御方法
US8976322B2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TW200513746A (en) Double-sid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28658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7197672A1 (zh) 背光控制架构及盖窗显示设备
US20130027355A1 (en) Input display device,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nput device
WO2002099781A1 (fr) Dispositif d'affichage a cristaux liquides
US201203069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ignal-Processing of the Backlight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KR1018720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9819A (ko)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US10629137B2 (en) Display device
JP2008064828A (ja)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601644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28349B1 (ko) 양면 디스플레이용 액정표시장치
US20120268438A1 (en) Display with a reflective lc panel, and the display method
JP2018181637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バックライト
KR102483842B1 (ko) 투명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11065411A (ja) 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20160109438A (ko)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