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190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190A
KR20130063190A KR1020110129580A KR20110129580A KR20130063190A KR 20130063190 A KR20130063190 A KR 20130063190A KR 1020110129580 A KR1020110129580 A KR 1020110129580A KR 20110129580 A KR20110129580 A KR 20110129580A KR 20130063190 A KR20130063190 A KR 20130063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pplication
execution history
item
job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강민구
안지현
양창모
이은혜
전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3190A/ko
Priority to US13/705,785 priority patent/US20130145301A1/en
Priority to CN2012105186883A priority patent/CN103197826A/zh
Publication of KR2013006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는 작업 관리 맵 구성 단계; 및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시,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와 실행 히스토리를 동시에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관리 화면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작업 전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TERMINAL COMPRI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 단말기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갖추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멀티태스킹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효과적으로 복수의 작업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 작업 관리자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휴대 단말기의 성능이 더욱 발전하여 멀티태스킹이 일반화되었고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편리하게 복수의 작업들을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종래 단순한 텍스트 또는 아이콘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현재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충분히 직관적이고 신속한 접근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작업 관리 맵을 이용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며, 표시된 작업 관리 화면을 이용해 이동 화면 및 전환 화면을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는 작업 관리 맵 구성 단계; 및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작업 관리 명령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부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시,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와 실행 히스토리를 동시에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관리 화면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작업 전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의 이동 및 전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아이템(Item)이란 어플리케이션, 폴더 등을 식별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아이템은 임의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행 화면, 썸네일 이미지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 히스토리(task history)란, 어플리케이션의 과거 실행 내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과거 실행한 컨텐츠가 실행 히스토리가 되고, 계층 구조로 된 메뉴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상위 또는 하위 메뉴가 실행 히스토리가 된다.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과거 브라우징한 웹페이지가 실행 히스토리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터치스크린부(130), 키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센서부(131) 및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특히, 터치센서부(1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작업 관리 화면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는 터치(멀티 터치 포함), 드래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32)는 작업 관리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130)는 표시부(132)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작업 관리 맵을 이용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16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161)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시, 상기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모두 수평 방향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161)는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후, 이동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은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이동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161)는 상기 이동 화면 표시 후, 선택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상기 작업 관리 화면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선택한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과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로 작업 전환하여 전환 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히스토리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어부(160),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161)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161)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16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160)는 210단계에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작업 관리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기(100)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별도로 수신하여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는 키입력부(140) 또는 표시부(132)에 표시되는 작업 관리 프로그램과 관련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터치센서부(141)를 통해 작업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가 작업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220단계로 진행하여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작업 관리 맵은, 표시부(132)에 작업 관리 화면을 도시하기 위하여 현재 실행 중이거나 과거에 실행되었던 어플리케이션과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그룹(group)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는 방법이 도 3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들이 제1 축으로 배열되어 있고(01, 02, 03...),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들이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하여 제2 축으로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02-1, 02-2). 어플리케이션들과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히스토리들은 실행 시간 순대로 배열될 수 있다. 계층 구조로 된 메뉴를 갖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상위 또는 하위 메뉴가 각 어플리케이션의 위 또는 아래에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과 실행히스토리의 축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어플리케이션이 세로로 배열되고, 거기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들이 인접하여 가로로 배열될 수도 있다.
다만, 도 3의 작업 관리 맵은, 그 자체가 표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부(132)에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데 이용될 뿐이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가 작업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280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상태를 유지 한다.
제어부(160)는 230단계에서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2)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작업 관리 화면은 작업 관리 맵과 달리 직접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관리 화면이 도 4, 도 5에 도시된다.
우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 관리 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히스토리 아이템이 십자 형태로 표시된다. 도 4에서,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이다. 작업 관리 화면의 중앙에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표시되고, 제1 방향으로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이 표시된다. 또한, 제2 방향으로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표시된다. 도 4에 도시되는 작업 관리 화면은 도 3의 작업 관리 맵을 그대로 이용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 관리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에서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모두 수평 방향으로 도시된다. 도 5(a)에는 제1 방향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작업 관리 화면 상단에 위치하고 제2 방향으로 표시되는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이 하단에 위치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은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 보다 크게 표시된다.
이에 비해 도 5(b)에는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이지만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제1 방향으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표시부(132) 좌측에 세로로 위치하고, 제2 방향으로 표시되는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이 표시부(132) 하단에 가로로 위치한다.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히스토리 아이템의 배치와 크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와 실행 히스토리를 동시에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후, 240단계로 진행하여 이동 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가 240단계에서 작업 관리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2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은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이동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 사용자는 작업 관리 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동 명령이란, 키 입력부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과 터치센서부(131)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부(131)에 터치 슬라이드(flicking) 입력 수신 시, 제어부(160)는 이를 감지하여 표시된 아이템을 배열된 방향에 따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표시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가 240단계에서 이동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230단계로 돌아가 작업 관리 화면 표시를 유지한다.
제어부(160)는 260단계에서 선택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가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270단계로 진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상기 작업 관리 화면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선택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과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로 작업 전환하여 전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히스토리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3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이 도 6에 도시된다.
도 6(c)에서 사용자가 제2 영역에 표시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 06-2 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터치센서부(131)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04를 어플리케이션 06으로 전환하고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 06-2 와 관련된 컨텐츠, 메뉴 또는 웹페이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전환 과정이 도 7에 도시된다. 도 7(a)에서 키 입력부(140)를 통해 작업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표시부(132)에 작업 관리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제1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04 를 선택하면 그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히스토리 아이템이 제2 영역에 표시되고, 히스토리 아이템 04-4를 선택하면, 어플리케이션 03을 어플리케이션 04로 전환하고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 04-4 와 관련된 컨텐츠, 메뉴 또는 웹페이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60)가 260단계에서 선택 명령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 230단계로 돌아가 작업 관리 화면 표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 관리 화면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터치스크린부
131 : 터치센서부
132 : 표시부
140 : 키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61 :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제어부

Claims (12)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는 작업 관리 맵 구성 단계; 및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 후,
    이동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한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이동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화면 표시 단계 후,
    선택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상기 작업 관리 화면에서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선택한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과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로 작업 전환하여 전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히스토리를 표시하는 전환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이 모두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실행 화면, 썸네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7.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작업 관리 프로그램 실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제1 축으로 배열하고, 상기 배열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히스토리를 각각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인접한 제2 축으로 배열하는 작업 관리 맵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축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제1 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2 축의 실행 히스토리와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제2 방향으로 표시하는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후,
    이동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한 작업 관리 화면을 표시하는 이동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화면 표시 후,
    선택 명령 입력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을 상기 작업 관리 화면에서 선택하고, 선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선택한 상기 실행 히스토리 아이템과 관련된 실행 히스토리로 작업 전환하여 전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실행 히스토리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시,
    상기 제1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이 모두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은,
    실행 화면, 썸네일 이미지 또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화면 표시 장치.


















KR1020110129580A 2011-12-06 2011-12-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063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80A KR20130063190A (ko) 2011-12-06 2011-12-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705,785 US20130145301A1 (en) 2011-12-06 2012-12-05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CN2012105186883A CN103197826A (zh) 2011-12-06 2012-12-06 显示具有触摸屏的移动装置的任务管理屏幕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80A KR20130063190A (ko) 2011-12-06 2011-12-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90A true KR20130063190A (ko) 2013-06-14

Family

ID=4852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580A KR20130063190A (ko) 2011-12-06 2011-12-06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45301A1 (ko)
KR (1) KR20130063190A (ko)
CN (1) CN103197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630A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6743B2 (en) * 2012-12-06 2015-06-02 Kadir Koymen Slider support member
TWI616803B (zh) * 2013-12-27 2018-03-01 宏碁股份有限公司 螢幕畫面的縮放及操作方法、裝置與電腦程式產品
US10073603B2 (en) * 2014-03-07 2018-09-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a communication event via a chronologically-ordered task history
CN114116098B (zh) * 2021-11-23 2024-03-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图标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1321A1 (en) * 2006-09-29 2010-01-14 Junya Nakayama Portable terminal with multitask function and task icon display method therefor
KR100869950B1 (ko) * 2006-12-01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확장형 대기화면 배치 구조 및 표시 방법
KR101523979B1 (ko) * 2008-10-02 2015-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TWI472149B (zh) * 2010-03-02 2015-02-01 Marvell World Trade Ltd 雙載波放大器電路和方法
KR20110113844A (ko) * 2010-04-12 2011-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184255A (zh) * 2011-05-30 2011-09-14 昆山富泰科电脑有限公司 在便携式多功能设备上进行多网页浏览切换的方法与用户图形界面
US20130139113A1 (en) * 2011-11-30 2013-05-30 Microsoft Corporation Quick action for performing frequent tasks on a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630A (ko) * 2014-01-22 2015-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5301A1 (en) 2013-06-06
CN103197826A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927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KR102133410B1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25305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tasking interface
JP5976632B2 (ja)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CN108549513B (zh) 应用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003742B1 (ko) 휴대단말기의 스크린 관리 방법 및 장치
EP3136214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KR20110041915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KR2010013494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JP2012505567A (ja) 開いているウインドウのライブプレビュー
KR20110040110A (ko)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KR20100124440A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30052743A (ko) 항목 선택 방법
AU2011358860A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002688B2 (ja)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KR20140035038A (ko) 휴대단말기에서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6475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11072A (ko) 다양한 제스처를 이용하여 키패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30063190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업 관리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