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756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756A
KR20120064756A KR1020100125925A KR20100125925A KR20120064756A KR 20120064756 A KR20120064756 A KR 20120064756A KR 1020100125925 A KR1020100125925 A KR 1020100125925A KR 20100125925 A KR20100125925 A KR 20100125925A KR 20120064756 A KR20120064756 A KR 20120064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screen
size
edit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756A/ko
Priority to US13/312,239 priority patent/US8670003B2/en
Priority to PCT/KR2011/009452 priority patent/WO2012077986A2/en
Priority to BR112013016565A priority patent/BR112013016565A2/pt
Priority to AU2011339168A priority patent/AU2011339168B2/en
Priority to MYPI2013700761A priority patent/MY165362A/en
Priority to CN2011800593482A priority patent/CN103262018A/zh
Priority to RU2013126474/08A priority patent/RU2595521C2/ru
Priority to JP2013543100A priority patent/JP6174491B2/ja
Priority to EP11192552.5A priority patent/EP2463767A3/en
Priority to CA2818554A priority patent/CA2818554A1/en
Publication of KR20120064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면 표시 방법은 대기 모드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대기 화면에 표시하는 대기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아이템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단; 및 편집 모드에서, 상기 아이템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들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편집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COMPRI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편집 모드 진입 시 아이템(item)의 배치 위치 및 이동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화면을 구성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전자수첩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기본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각종 위젯, 폴더 등(이하, 아이템)을 대기 화면에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대기 화면은 메인 화면 또는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화면은 휴대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화면이며, 홈 화면은 상기 메인 화면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편집한 화면이다.
한편,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 표시된 각종 아이템의 위치 변경, 삭제, 추가 등의 편집을 위해 편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편집 모드는 휴대 단말기가 편집 모드로 진입한 상태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충분히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편집 모드 진입 시 아이템(item)의 배치 위치 및 이동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화면을 구성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편집 화면 표시 방법은 대기 모드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대기 화면에 표시하는 대기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아이템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편집 모드에서, 상기 아이템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들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편집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편집 화면 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설정된 크기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편집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아이템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대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아이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편집 모드 진입 시 아이템(item)간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편집 화면을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편집 모드로 진입하였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이동 시,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템의 크기가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심미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 모드 표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도 2의 S240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2의 S260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a는 대기 화면에 아이템이 표시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편집 화면에 아이템들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현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아이템 이동 시 아이템 크기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아이템(Item)이란 어플리케이션, 폴더, 위젯 등을 식별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단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객체 아이템은 임의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터치스크린부(130), 키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20)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터치스크린부(130)는 터치센서부(131) 및 표시부(13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3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3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3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3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특히, 터치 센서부(13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에는 터치(멀티 터치 포함), 드래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표시부(13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100)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터치스크린부(130)는 표시부(132)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키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 입력부(140)는 숫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3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 입력부(14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이미지, 동영상, 폰 북, 오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가 편집 모드 진입 시 아이템(item)의 배치 위치 및 이동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16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161)는 휴대 단말기(100)의 편집 모드 진입 시, 대기 화면에 표시된 각 아이템들을, 상기 아이템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161)는 편집 모드 진입 시 동일한 행(row)에 배치된 아이템들을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161)는 편집 모드 진입 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행(row)들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단에 위치한 행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크기가 하단에 위치한 행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이템들의 배치 위치에 따라 크기를 상이하게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161)는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이동 명령 입력 수신 시, 이동된 아이템의 크기를 이동 후 배치된 위치의 행에 대해 설정된 아이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에서는 제어부(160),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161)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는 기술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와 같이 각 기능이 구분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161)가 수행하는 특정 기능을 제어부(16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 모드 표시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160)는 S210 단계에서 대기 화면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한다. 상기 대기 화면은 메인 화면 또는 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화면은 휴대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화면이며, 홈 화면은 상기 메인 화면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편집한 화면이다. 상기 대기 화면에는 기본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 각종 위젯, 폴더 등(이하,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대기 화면 진입 후, 제어부(160)는 S220 단계에서, 각 아이템들의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상기 대기 화면에 표시한다.
대기 화면에 아이템이 표시되는 예시가 도 5(a)에서 도시된다.
도 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대기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행(row)과 적어도 하나의 열(column)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510)은 (제1행, 제1열) 에 위치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도 5(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대기 화면에서, 행과 열에 구분 없이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표시된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는 S230 단계에서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은 편집 모드 진입을 위한 소프트 키 입력, 임의의 아이템 또는 임의의 영역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S250 단계로 진행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반면,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이 수신된 경우라면, 제어부(160)는 S240 단계로 진행하여 아이템들이 배치된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들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각 아이템들의 하측에 상기 아이템과 겹치지 않는 영역에서, 각 아이템들에 대응하는 반사광 또는 음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편집 화면을 입체감 있게 구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S240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방법이 도 3에서 도시된다.
제어부(160)는 S310 단계에서, 편집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복수 개가 아닌 경우 즉, 편집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이 한 개인 경우, 제어부(160)는 S320 단계로 진행하여 하나의 아이템을 임의의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크기는 대기 화면에서 설정된 아이템 크기와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반면, 아이템이 복수 개인 경우, 제어부(160)는 S330 단계로 진행하여, 편집 화면에서 동일한 행(row)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S340 단계로 진행하여, 복수 개의 아이템이 복수 개의 행(row)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아이템이 표시된 행의 개수가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아이템이 표시된 행의 개수가 복수 개라면, 제어부(160)는 S350 단계로 진행하여, 상(上)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가 하(下)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더 작도록 설정한다. 반면, 아이템이 표시된 행의 개수가 한 개라면, 제어부(160)는 S360 단계로 진행하여, 하나의 행(row)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한다.
아이템들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표시하는 S240 단계 및 도 3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5(b)에서 도시된다.
도 5(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편집 화면 역시 적어도 하나의 행(row)과 적어도 하나의 열(column)로 구분된다. 그리고 동일한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1행에 위치한 4 개의 아이템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또한,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1행에 위치한 아이템들과, 제2행에 위치한 아이템들의 크기는 각각 다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上)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가 하(下)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순차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는 제2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제2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는 제3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된다.
도 5(b)에서 각 아이템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 'x'는 해당 아이템을 삭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만약, 해당 아이템이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embeded application)과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할 수 없는 아이템이라면, 해당 아이템에는 'x'가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집 모드에서의 각 아이템들은 배치된 위치에 따라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며 특히, 상측 행에 배치될수록 아이템 크기가 작게 설정되므로, 사용자에게 원근감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현 예시를 도시한다.
우선,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현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배경 레이어(610)와 아이템 레이어(620)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배경 레이어(610)는 배경 화면이 표시되는 레이어이며, 아이템 레이어(620)는 아이템이 표시되는 레이어를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대기 모드에서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배경 레이어(610)와 아이템 레이어(620)는 서로 평행을 유지한다. 즉, 배경 레이어(610)와 아이템 레이어(620)가 이루는 각은 0 이다. 반면, 휴대 단말기(100)가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아이템 레이어(620)가 배경 레이어(61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θ1)만큼 기울어진다. 여기서, 제1 방향이란 아이템 레이어(620)가 배경 레이어(610)로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이와 동시에, 편집 화면에 표시된 각 아이템들은 배치된 행(row)에 따라 아이템 크기가 설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上)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가 하(下)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이템(630)의 크기는 아이템(640)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되며, 아이템(640)의 크기는 아이템(650)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아이템들은 아이템 레이어(620)가 기울어진 제1 각도만큼, 상기 아이템 레이어(620)가 기울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로써, 각 아이템들은 배경 레이어(610)와 평행을 유지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현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6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는 배경 레이어(610)와 아이템 레이어(62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대기 모드에서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배경 레이어(610)와 아이템 레이어(620)는 서로 평행을 유지한다. 즉, 배경 레이어(610)와 아이템 레이어(620)가 이루는 각은 0 이다. 반면, 휴대 단말기(100)가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아이템 레이어(620)가 배경 레이어(610)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제2 각도(θ2)만큼 기울어진다.
그러면, 상측 행에 위치한 아이템들은 하측 행에 위치한 아이템들보다 사용자의 시각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측 행에 위치한 아이템들이 하측 행에 위치한 아이템들보다 그 크기가 작다고 인지하게 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인터페이스 구현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320)가 배경 레이어(610)만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대기 모드에서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들(660, 670, 680)이 배경 레이어(610)에, 모두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어 표시된다.
반면, 휴대 단말기(100)가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 편집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 아이템들(660, 670, 680)이 배경 레이어(610)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다. 이 경우, 동일한 행에 포함된 아이템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각도로 기울어진다. 예를 들어, 제1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은 제3 각도(θ3) 만큼 기울어지며, 제2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은 제4 각도(θ4) 만큼 기울어진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상(上)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이 기울어지는 각도가 하(下)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이 기울어지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각도는 제4 각도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上)측 행에 배치될수록 아이템들이 기울어지는 각도가 더 커지므로, 상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은 하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보다 사용자의 시각으로부터 멀리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上)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이 하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보다 그 크기가 작다고 인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아이템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걸쳐 예시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복귀하면, 제어부(160)는 S250 단계에서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이동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명령이 수신된 경우라면, 제어부(160)는 S260 단계로 진행하여, 아이템이 이동하여 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템의 크기를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S260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방법이 도 4에서 도시된다.
우선, 제어부(160)는 S410 단계에서,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이동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 명령은 임의의 아이템 터치 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S420 단계에서 상기 임의의 아이템이 터치된 후, 드래그 앤 드롭되는 것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S430 단계에서, 상기 아이템이 이동되어 배치된 위치의 행(row)이, 이동전 배치된 위치의 행(row)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동일한 행이라면, 제어부(160)는 S4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된 아이템의 크기를 이동전 아이템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한다.
반면, 동일한 행이 아니라면, 제어부(160)는 S45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아이템의 크기를, 이동된 위치의 행에 대해 설정된 아이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한다.
아이템 이동 시 아이템 크기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가 도 7에서 도시된다.
우선, 도 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아이템 이동 명령이 수신된다. 상기 아이템 이동 명령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아이템(710)에 대한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이동 명령 수신 시, 해당 아이템(710)은 아이템이 배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터치된 지점으로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다.
도 7(b)는 터치된 아이템(710)이 드래그 입력에 따라 드래그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c)는 터치된 아이템(710)이 드래그되어 임의의 위치에 드롭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드롭 시, 상기 아이템(710)의 크기는 이동된 위치의 행에 대해 설정된 아이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즉, 아이템(710)의 크기는 아이템(72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한편, 아이템(720)이 표시된 위치(제2행, 제3열)에 아이템(710)이 이동하여 배치되면, 아이템(720)은 임의의 방향으로(도면에서는 우측) 한 열(column) 이동되어 배치(제2행, 제4열)된다. 그러면 종래 아이템(730)이 배치된 위치(제2행, 제4열)에 아이템(720)이 이동하여 배치되므로, 아이템(730)은 임의의 방향으로 (도면에서는 우측) 한 열(column) 이동하여 배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 아이템(730)이 표시된 위치는 표시부(132)의 마지막 열(column)이었으므로, 아이템(730)은 다음 행, 첫 번째 열(column)로 이동(제3행, 제1열)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아이템(730)이 종래 배치된 행은 제2행이었으나, 이동된 후 배치된 행은 제3행이므로, 아이템(730)의 크기는 이동 후 배치된 위치의 행인 제3행에 대해 설정된 아이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편집 모드 진입 시 아이템(item)간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므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가 편집 모드로 진입하였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이동 시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템의 크기가 변경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심미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오디오 처리부
130 : 터치스크린부 131 : 터치 센서부
132 : 표시부 140 : 키 입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61 : 편집 모드 표시 제어부

Claims (18)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대기 화면에 표시하는 대기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아이템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편집 모드에서, 상기 아이템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각 아이템들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편집 화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 또는 편집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행(row)과 적어도 하나의 열(column)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 표시 단계는,
    동일한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은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화면 표시 단계는,
    서로 다른 행에 위치한 아이템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화면 표시 단계는,
    상(上)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가 상기 상측 행과 인접한 하(下)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과,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반사광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화면 표시 단계는,
    상기 편집 화면이 서로 평행한 배경 레이어와 아이템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 모드 진입 입력 수신 시, 상기 배경 레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템 레이어를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이는 기울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 단계는,
    상기 아이템 레이어에 포함된 각 아이템들을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기울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켜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된 아이템의 크기를 상기 배치된 행에 대해 설정된 아이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방법.
  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설정된 크기에 따라 대기 화면 또는 편집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아이템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대기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대기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아이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화면 또는 편집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행(row)과 적어도 하나의 열(column)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은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에서, 서로 다른 행에 위치한 아이템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에서, 상(上)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를 상기 상측 행에 인접한 하(下)측 행에 배치된 아이템들의 크기보다 작게 설정하여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에서,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템과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반사광을 동시에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화면은 서로 평행한 배경 레이어와 아이템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 진입 입력 수신 시 상기 배경 레이어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템 레이어를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템 레이어에 포함된 각 아이템들을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기울여 표시하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아이템에 대한 이동 입력 수신 시 상기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이동시켜 배치하고, 상기 이동된 아이템의 크기를 상기 배치된 행에 대해 설정된 아이템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하여 상기 편집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집 화면 표시 장치.


















KR1020100125925A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20064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25A KR20120064756A (ko)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312,239 US8670003B2 (en) 2010-12-10 2011-12-0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PCT/KR2011/009452 WO2012077986A2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BR112013016565A BR112013016565A2 (pt) 2010-12-10 2011-12-08 método e aparelho para exibir tela de um terminal móvel com tela sensível ao toque
AU2011339168A AU2011339168B2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MYPI2013700761A MY165362A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CN2011800593482A CN103262018A (zh) 2010-12-10 2011-12-08 显示具有触摸屏幕的移动终端的屏幕的方法和装置
RU2013126474/08A RU2595521C2 (ru) 2010-12-10 2011-12-08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экрана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с чувствительным к касанию экраном
JP2013543100A JP6174491B2 (ja) 2010-12-10 2011-12-08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携帯端末機の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EP11192552.5A EP2463767A3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CA2818554A CA2818554A1 (en) 2010-12-10 2011-12-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925A KR20120064756A (ko)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756A true KR20120064756A (ko) 2012-06-20

Family

ID=4544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925A KR20120064756A (ko) 2010-12-10 2010-12-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70003B2 (ko)
EP (1) EP2463767A3 (ko)
JP (1) JP6174491B2 (ko)
KR (1) KR20120064756A (ko)
CN (1) CN103262018A (ko)
AU (1) AU2011339168B2 (ko)
BR (1) BR112013016565A2 (ko)
CA (1) CA2818554A1 (ko)
MY (1) MY165362A (ko)
RU (1) RU2595521C2 (ko)
WO (1) WO201207798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935A (ko) 2021-11-30 2023-06-07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패널 위치에 따른 터치의 편리함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6349B2 (en) * 2012-05-09 2016-02-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resizable icons
WO2014028074A1 (en) 2012-08-17 2014-02-20 Flextronics Ap, Llc Intelligent television
US20160119675A1 (en) 2012-09-06 2016-04-28 Flextronics Ap, Llc Programming user behavior reporting
US11368760B2 (en) 2012-08-17 2022-06-21 Flextronics Ap, Llc Applications generating statistics for user behavior
KR102020345B1 (ko) 2012-08-22 2019-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JP6084021B2 (ja) * 2012-12-04 2017-02-2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44826B1 (ko) 2013-01-02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JP2015022567A (ja) 2013-07-19 2015-0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959572B2 (ja) * 2014-05-27 2016-08-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4571852B (zh) * 2014-12-12 2018-09-0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图标的移动方法及装置
CN106528013B (zh) * 2015-09-11 2019-11-22 艾默生电气公司 在控制器显示器上动态显示信息性内容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3728B2 (ja) * 1993-11-01 199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ズーム/パン機能付パーソナル通信機
JPH1165796A (ja) * 1997-08-22 1999-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部品表示方式および監視制御用多色表示装置
SE525614C2 (sv) * 2003-10-13 2005-03-22 Anders Swedin Beröringskänslig bildskärmsenhet, samt metod för avkänning av en beröring på bildskärmsenheten
US7317449B2 (en) * 2004-03-02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Key-based advanced navigation techniques
US7561157B2 (en) * 2004-10-06 2009-07-14 Apple Inc. Compare mode for variable number of images
KR100703690B1 (ko) 2004-11-19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킨 이미지를 사용하여 아이콘을 그룹별로 관리하는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US7383503B2 (en) * 2005-02-23 2008-06-03 Microsoft Corporation Filtering a collection of items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JP2007272468A (ja) * 2006-03-30 2007-10-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13458B2 (en) * 2007-02-15 2014-04-29 Nokia Corporation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s
US8619038B2 (en) *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8477139B2 (en) 2008-06-09 2013-07-0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s
KR101503835B1 (ko) * 2008-10-13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터치를 이용한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41006A (ko) 2008-10-13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US8487885B2 (en) 2008-12-23 2013-07-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lectable options for graphic objects displayed on a touch-screen interface
JP5329276B2 (ja) * 2009-03-27 2013-10-30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79449B2 (en) * 2009-05-20 2012-05-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ontent based on movement of the display and user position
KR101566353B1 (ko) * 2009-06-02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0984817B1 (ko) 2009-08-19 2010-10-01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US8416205B2 (en) * 2009-09-25 2013-04-0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on of user interface objects with activation regions
KR101783961B1 (ko) * 2010-11-17 201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관적인 폴더 편집 및 열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935A (ko) 2021-11-30 2023-06-07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패널 위치에 따른 터치의 편리함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26474A (ru) 2014-12-20
EP2463767A3 (en) 2017-03-29
CA2818554A1 (en) 2012-06-14
WO2012077986A2 (en) 2012-06-14
JP2014504405A (ja) 2014-02-20
EP2463767A2 (en) 2012-06-13
WO2012077986A3 (en) 2012-10-11
CN103262018A (zh) 2013-08-21
JP6174491B2 (ja) 2017-08-02
AU2011339168B2 (en) 2016-08-04
MY165362A (en) 2018-03-21
RU2595521C2 (ru) 2016-08-27
BR112013016565A2 (pt) 2016-09-20
AU2011339168A1 (en) 2013-05-30
US20120147049A1 (en) 2012-06-14
US8670003B2 (en)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449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携帯端末機の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US93958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94054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creens on the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US9395914B2 (en) Method for providing touch screen-based user interface and portable terminal adapted to the method
US1142927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US100829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portable terminal
AU2011243470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KR101726607B1 (ko)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690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EP237253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list in portable terminal
US93234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f item
US201300975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cons on mobile terminal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CA28269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301453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ask management screen of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20120094728A (ko)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7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02

Effective date: 201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