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641A -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641A
KR20160131641A KR1020150064512A KR20150064512A KR20160131641A KR 20160131641 A KR20160131641 A KR 20160131641A KR 1020150064512 A KR1020150064512 A KR 1020150064512A KR 20150064512 A KR20150064512 A KR 20150064512A KR 20160131641 A KR20160131641 A KR 20160131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besity
parts
extract
hyperlipid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126B1 (ko
Inventor
정재영
김성수
정석희
정원석
류봉하
김남재
최혁재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12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길경 80 내지 85 중량부 및 차전자피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최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한의학적으로 임상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한약들에 비해 비만과 고지혈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하여 각종 대사 질환의 진전 저해와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길경 80 내지 85 중량부 및 차전자피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최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한의학적으로 임상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한약들에 비해 비만과 고지혈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가 우수하여 각종 대사 질환의 진전 저해와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고지혈증은 관상동맥질환, 죽상동맥경화증의 중요한 독립인자로 혈중 콜레스테롤(cholesterol)이나 중성지방(triglyceride)이 정상 이상으로 높아진 현상을 말한다. 고지혈증의 경우 특별한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심혈관질환의 예방에 소홀할 수 있다. 고지혈증의 위험요인으로는 생활습관의 서구화, 영양 섭취량의 증가, 동물성 지방 섭취량의 증가, 평균체중의 증가, 운동량 감소, 스트레스 증가, 평균 수명의 연장 및 노년층 인구의 증가 등이 있다. 이 요인들은 주로 식이 및 체중 조절과 관련되어 있는데 특히 비만은 콜레스테롤과 지단백(lipoprotein) 대사에 이상을 초래하여 고지혈증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은 혈장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정상인보다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잘 나타내주는 비만관련 지표에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체지방량(%, Percent Body Fat: %BF), 허리둘레(WC), 허리엉덩이 둘레비율(waist/hip ratio: WHR) 등이 있는데 외래에서 간편하게 신체 계측을 통해 측정할 수 있는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좀 더 정확한 비만평가를 위해 대한민곡 등록특허 제10-0760297호(“신체비만지수와 연관된 전환성장인자 베타-유도 유전자 내의 유전적 다형성”)는 체질량지수와 관련된 유전적 다형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남자노인은 허리둘레, 여자노인은 체질량지수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선별하는데 좋은 지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체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비만에 속한다 하더라도 지방축적 부위에 따라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복부비만은 전체비만보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낮은 HDL(고밀도 지단백질)콜레스테롤, 높은 LDL(저 밀도 지단백질)콜레스테롤과 관련이 있으며 Suh(2004) 등에 의하면, 복부비만의 증가는 혈중지질 조성의 변화를 가져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유의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Plasma LDL particle size affect the blood lipid profile and dietary intakes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9(1):58-65.)
그 동안 고지혈증 및 비만을 치료하는 약물들은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나, 현재까지의 약물들은 각각의 질병을 대상으로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실정이다. 현재 고지혈증 치료제로 스타틴(Statins) 계열의 약물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HMG-CoA reductase의 역할을 차단하는 작용(HMG-CoA reductase inhibitors)을 한다. 스타틴계열의 약물들은 고지혈증과 관련된 콜레스테롤의 지수를 떨어뜨릴 수는 있으나, 궁극적인 목표인 고지혈증 및 억제하는 효과가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약물들은 근육통과 같은 근육질환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간세포의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비롯하여 당뇨나 암의 발병을 어느 정도 높여줄 수 있다고 의심받고 있다.
한편, 항비만 효과와 관련하여, 항비만 효과를 음식조절이나 운동보다 더 확실하게 보여주는 약물은 현재로서는 없는 실정으로, 일부가 처방되고 있으나 (Orlistat 또는 Lorcaserin), 항비만 효과가 매우 미비하고 위장관 질환이나 신장기능에 부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식욕억제제 계열의 약물들은 장기간 사용될 경우, 체중감량 효과는 정체되고 오히려 약물의존성의 발현으로 인해 사용중단 자체가 어렵거나 또는 사용중단 시, 보상적으로 식욕이 증가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상 제한점이 많다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와 같은 부작용이 적으며, 반대로 약효가 뛰어난 자연소재 비만 치료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자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약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약물들의 단점들과 부작용을 극복하고자 여러 성분들이 한꺼번에 들어있는 복합약물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이유들 때문에 오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되어온 한의학적 원리에 따른 처방을 현대 과학적인 실험을 통해서 보다 세련되게 개발된다면 보다 좋은 효능의 약물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이점을 가진 약물의 개발을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생약재인 길경과 차전자피가 비만 관련 질병을 가진 마우스 실험 모델에서 비만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길경과 차전자피의 배합을 조절하고 추출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배합 및 추출방법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길경 80 내지 85 중량부 및 차전자피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길경은 알코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차전자피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지혈증은 비만, 당뇨병, 신장질환 또는 대사 질환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단순 비만 및 증후성 비만을 포함하는 비만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길경은 알코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차전자피는 분말 상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식품첨가제, 기능성식품,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음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길경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단계;
B) 차전자피 극세말의 제조 단계; 및
C) 길경 알코올 추출물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극세말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기는 길경 알코올 추출물 80 내지 85 중량부 및 차전자피 극세말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길경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단계는:
a-1) 길경을 에탄올에 환류 추출하는 단계;
a-2)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a-3) 상기 농축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10% 이상의 체중 및 장기 중량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험예 1 참고).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10% 이상의 간조직내 TC 감소 효과 및 30% 이상의 간조직내 TG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험예 3 참고).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40% 이상의 혈중 GPT 저하 효과, 60% 이상의 혈중 렙틴 감소 효과 및 40% 이상의 혈중 인슐린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험예 4 참고).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중량 변화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실험예 1에 따른 체중,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험예 2에 따른 장기 중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험예 3에 따른 간 조직의 지질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실험예 4에 따른 혈중 간 손상 지표, 인슐린 함량 및 지질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달리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용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과학적 사건이 잘 알려져 있고, 당업계에서 이용 가능하다. 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 또는 등가인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원의 실행 또는 시험에 사용되는 것으로 발견되나, 몇몇 방법 및 물질이 설명되어 있다. 당업자가 사용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방법, 프로토콜 및 시약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은 "및/또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는"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가지는", "이루어지는" 및 "구성되는"은 제한적이지 않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제목은 다양한 면 또는 전체적으로 명세서의 참조로서, 하기의 구현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고지혈증"은 혈액 중에 지방성분, 특히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triglyceride)의 농도가 높은 경우로 일반적으로 공복시 콜레스테롤이 220mg/㎗ 이상이거나 중성지방이 150mg/㎗ 이상일 때를 고지혈증 이라고 한다. 고지혈증은 유전적 소인, 비만, 식이습관, 당뇨병, 신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효과를 나타내는 고지혈증은 비만, 대사 질환, 당뇨, 식이습관, 갑상선기능저하증, 신증후군으로 인한 고지혈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지혈증은 비만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고지혈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고지혈증은 대사 질환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비만"은 에너지 불균형에 의하여 체내에 축적된 지방이 정상수치보다 높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condition) 또는 질환(disease)을 의미한다.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하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비만의 진단에 이용되는 것은 키(meter 단위)의 제곱으로 자신의 체중을 나눈 값이 되며, 이 값이 25.0 이상인 경우는 비만이라고 정의하고, 23 이상 25 미만은 과체중(위험체중)으로 정의하고 있다. 비만은 분류에 따라 내분비성 비만(내분비 이상 또는 뇌질환으로부터 기인), 단순성 비만(과다한 영양 섭취로부터 기인); 증식성 비만(지방세포수의 증가로 인한 비만), 비대형 비만(지방세포의 크기 증대로 인한 비만); 상반신 비만, 하반신비만; 및 내장형 비만, 피하지방형 비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만은 단순 비만 및 증후성 비만을 포함하는 비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증후성 비만은 대사 질환과 관련된 비만일 수도 있다. 상기 용어 "대사 질환"은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신병증, 간병증과 같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Pershadsingh HA, Dual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gamma Agonists: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the Metabolic Syndrome. Treat Endocrinol. 2006;5(2):89-99).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고지혈증 또는 비만 또는 이로 인한 다른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고지혈증 또는 비만 또는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고지혈증 또는 비만 또는 이로 인한 다른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고지혈증 또는 비만에 치료효과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초기 증상, 또는 나타나기 전에 복용할 경우 이러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길경 80 내지 85 중량부 및 차전자피 1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길경"은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e Candolle)의 뿌리 또는 뿌리에서 주피를 제거한 것을 의미한다. 도라지는 길경근으로도 불리며, 한방에서는 구등탕, 시호함흉탕, 은교산, 총시길경탕 등에 재료로 쓰이고, 플래티코딘(Platycodin) 성분이 진해, 거담, 배농, 진정, 진통, 항염, 항궤양, 말초혈관 운동 능력 강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외에도 폴리갈라신(Polygalacin), 베튤린(Betulin), 이뉼린(Inulin)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길경에 대해 한방에서는 "性은 平하고 味는 苦하고 辛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의보감에서는 "폐기로 숨이 찬 것을 치료하고 모든 기를 내리며 목구멍이 아픈 것과 가슴, 옆구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하고 고독을 없앤다."고 효능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길경 추출물"은 길경을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경 추출물은 길경을 물, C1-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고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길경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뿌리, 지상부, 줄기, 잎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길경 분쇄물을 에탄올에 넣고 침적한 후, 환류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2시간씩 2회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차전자피"는 질경이(Plantago asiaticaLinne) 씨앗(차전자)의 껍질을 의미한다. 한방에서는 만병무우산, 규자탕, 결명원등에 재료로 쓰이고, 플랜타산(Plantasan), 오큐빈(Aucubin), 콜린(Choline), 아데닌(Adenine)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차전자에 대해 한방에서는 "性은 寒하고 味는 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의보감에서는 "성분이 차고 맛이 달고 짜며 독이 없고 기륭(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주로 치료하고 오림(五淋)을 통하게 하며 수도(水道)를 이롭게 하고 소변의 임삽(淋澁)을 통하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간(肝)속의 풍열(風熱)과 독풍(毒風)이 위로 치밀어서 눈이 붉어지고 아프며 장예(안구의 수정체를 가려 시야를 막는 병)한 것을 치료한다."고 효능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조된 차전자피를 분쇄하여 분말로 사용하였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액제, 에멀젼, 현탄액, 시럽제, 엘릭서,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형은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슈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과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보존제 등이 포함할 수 있다.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나, 길경 및 차전자피의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성인(60kg)의 경우, 약 1 내지 100 g/일, 특히 약 10 내지 50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g/일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에 가감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횟수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대로 경구투여 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물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경 및 차전자피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지혈증 또는 비만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길경 및 차전자피는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예에 따르면,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길경 80 내지 85 중량부 및 차전자피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식품"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 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보조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서,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은 상기 식품을 섭취하기 전과 비교하여 고지혈증 또는 비만 및 이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이의 경감 또는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식품을 의미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이러한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경 및 차전자피를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를 들면,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를 들면,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를 들면,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를 들면, 스넥류), 유가공품(예를 들면, 발효유, 치즈 등), 기타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예를 들면, 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를 들면,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 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를 들면,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음료"는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길경 및 차전자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면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들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 음료"는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 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대사 질환 증상, 예를 들면 고지혈증 또는 비만 개선을 위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길경 및 차전자피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포도당, 과당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예를 들면,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향미제(예를 들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A) 길경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단계;
B) 차전자피 극세말의 제조 단계; 및
C) 길경 알코올 추출물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극세말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계 C)에서 길경 알코올 추출물 80 내지 85 중량부 및 차전자피 극세말 1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길경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단계는:
a-1) 길경을 에탄올에 환류 추출하는 단계;
a-2)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a-3) 상기 농축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하는 단계는 길경 1kg당 에탄올 3 내지 10L를 이용하여 50 내지 95℃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1 내지 5회 환류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농축하는 단계는 감압농축 또는 원심분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50℃에서 급속 동결 후 진공도 0.1 내지 0.5 Torr, 온도 40 내지 90℃에서 건조시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10% 이상의 체중 및 장기 중량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40% 이상의 혈중 GPT 저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어 "GPT"는 글루탐 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제(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를 의미한다. GPT는 간에 존재하는 효소로 장기간의 약물 치료 및 간의 질환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수치가 올라갈 수 있으며, 정상 수치 범위는 0~40 IU/L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60% 이상의 혈중 렙틴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어 "렙틴"(leptin)은 아디포카인(adipokaine)으로 불리는 호르몬을 의미한다. 16kD의 obese 유전자(ob)에 의해 주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은 식이 조절과 에너지 소비를 통해 체질량의 항상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세포증식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40% 이상의 혈중 인슐린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어 "인슐린"은 이자 랑겔한스섬의 β-세포가 합성-분비하는 호르몬 단백질을 의미한다. 인슐린은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바꾸는 호르몬 단백질로, 분자량은 5,807이다. 혈중의 당농도 상승으로 인하여 분비가 촉진된다. 근육-지방조직-간 등 표적세포의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여 정보를 세포내로 전달함으로써 혈액 중에서 당, 지질, 아미노산 대사를 조절한다. 당을 조직에 받아들이는 것을 촉진하여 혈당을 저하시킨다. 생성-분비량 저하, 조직세포의 수용체 부족은 고혈당의 원인이 된다. 또한 아미노산의 흡수와 단백질, 지방의 합성을 촉진하며 지방분해는 억제한다. 인슐린은 이자활성성분의 약품으로서 당뇨병 및 기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포도당으로부터 글리코겐의 생성 외에도 포도당의 산화 및 지방으로의 전화 등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인슐린의 정상수치 범위는 2 내지 25 μU/mL 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10% 이상의 간조직내 TC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어 "TC"는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을 의미한다. 혈중 콜레스테롤은 주로 HDL, LDL, 일부는 VLDL등으로 존재하며, 총콜레스테롤의 2/3은 에스테르형으로, 1/3은 유리형이다. 생체내의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세포의 미세입자막의 중요한 구성성분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위시하여 호르몬 생산의 원료나 담즙산의 전구체로 중요한 지질이다. 간은 콜레스테롤대사의 중요한 장기로,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담즙산으로의 변화 및 담즙 중으로의 배설을 담당하며, 장관내로 배설되는 담즙중의 콜레스테롤 및 담즙산은 대부분 흡수되어 간으로 되돌아오고, 일부는 변 중으로 배설된다. 콜레스테롤의 측정은 간의 합성, 분비 상태, 담도폐색, 장관의 흡수 및 영양상태, 지질대사의 이상, 동맥경화의 위험성 등을 진단하는 데에 이용되며, 정상 수치 범위는 200 mg/dL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30% 이상의 간조직내 TG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어 "TG"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를 의미한다. TG는 3분자의 지방산과 글리세롤의 에스테르로 트리글리세롤(triacylglycerol) 또는 중성 지방이라고도 한다. 지방 조직의 지방 성분에 주로 저장되며, 혈액중에도 10 내지 150 mg/dl씩 존재한다. TG의 상승은 동맥경화, 심장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정상 수치 범위는 250 mg/dL 미만이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길경은 1kg을 80% 에탄올 5L에 2시간씩 2회 환류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였으며, 차전자피 1kg을 극세말하여 분말을 얻은 후 상기 길경 추출물 81 중량부와 상기 차전자피 극세말 19 중량부를 혼합해 0.5% CMC 용액에 1g/kg의 용량으로 현탁하였다.
실시예 2. 시료의 준비
·Normal: 총 칼로리의 10%가 지방인 식이 + 0.5% CMC 용액
·Control: 비만유도를 위하여 총 칼로리의 60%가 지방인 고지방식이 + 0.5% CMC 용액
·Sample 1: Control + 차전자피 (100 중량부) 극세말을 0.5% CMC 용액에 0.5g/kg 현탁한 조성물
·Sample 2: Control + 길경 알코올 추출물 및 차전자피 극세말을 각각 73 중량부, 27 중량부씩 혼합하여 0.5% CMC 용액에 1g/kg 현탁한 조성물
·Sample 3: Control + 길경 알코올 추출물 및 차전자피 극세말을 각각 81 중량부, 19 중량부씩 혼합하여 0.5% CMC 용액에 1g/kg 현탁한 조성물
·Simvastatin: Control + Simvastatin(40mg/kg)
실시예 3. 실험동물의 준비
7주령 된 C57BL/6 male mouse(중앙실험동물, 서울)을 사용하였으며, 온도 22±2℃, 습도 60±100%, 12시간 light-dark cycle의 통제된 사육실에서 식이와 식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반입 후 7일 동안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의 관리와 유지 및 모든 실험은 경희의료원 실험동물 윤리위원회의 승인 하에 실시되었다.
<실험예>
실험동물은 8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2와 같이 식이 및 조성물의 공급을 12주간 시행하였다.
실험예 1.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의 측정
매주 2회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총 12주간의 체중증가량(g)을 실험일수(day)로 나누어 1일 평균체중 증가량을 산출하였으며,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은 체중 증가량으로 하기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Food efficiency ratio (%) = [체중증가량(g) / 총 식이섭취량(g)] x 100
Normal Control Sample I Sample II Sample III Simvastatin
실험전 중량 (g) 22.9±0.3 22.6±0.2 22.9±0.2 22.7±0.2 22.8±0.3 22.7±0.3
최종중량 (g) 27.4±0.5 37.9±1.2 34.1±1.5 33.0±1.3 31.8±1.6 34.0±0.9
체중증가량 (g) 4.5±0.3 15.3±1.3 11.2±1.5 12.4±1.0 8.9±1.6 11.4±1.1
식이섭취량(g/day) 2.4±0.9 2.1±0.1 2.1±0.1 2.0±0.1 2.0±0.1 2.4±0.1
식이효율 (%) 2.3±0.17 8.7±0.77 6.4±0.89 6.4±0.6 5.5±0.98 5.8±0.54
도 1을 참고하면, 길경 73 중량부 및 차전자피 27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II는 종래 고지혈증 치료제인 심바스타틴의 효과와 대등한 체중 증가율을 낮추었으나, 길경 81 중량부 및 차전자피 19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3은 삼바스타틴에 비하여 체중 증가율을 더욱 낮추었으며, 식이섭취량의 변화는 없으나 식이효율이 감소되어 체중증가가 억제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장기 중량 측정
12주째에 실험동물을 16시간 절식시킨 후 데시케이터(desiccator) 안에 diethyl ether를 적당히 취하여 마취시킨 뒤 멸균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채혈하였다. 간, 신장, 비장, 흉선을 적출하여 생리식염수로 혈액을 제거한 후 흡수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Normal Control Sample I Sample II Sample III Simvastatin
Liver (g) 0.74±0.03 0.96±0.03 0.89±0.04 0.85±0.02 0.83±0.02 0.93±0.03
Kidney (g) 0.26±0.008 0.28±0.008 0.27±0.005 0.27±0.01 0.26±0.005 0.29±0.009
Spleen (mg) 59.6±2.1 69.2±2.2 65.0±1.8 65.0±2.0 60.0±3.8 66.9±2.9
Thymus (mg) 33.7±2.4 36.6±1.8 31.1±1.4 30.9±1.8 30.5±2.3 32.5±2.1
도 3을 참고하면, 길경 81 중량부 및 차전자피 19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III은 길경만 이용한 Sample I, 길경 73. 중량부 및 차전자피 27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2 및 종래 고지혈증 치료제인 심바스타틴에 비해 간, 신장, 비장 및 흉선에서 현저히 우수한 중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간 조직의 지질함량 측정
간 조직의 지질함량은 Folch 등의 방법에 따라 간 조직 0.2g을 0.1ml의 PBS와 함께 homogenize하였다. 여기에 chloroform: methanol (2: 1, v/v) 혼합용매 3ml을 첨가하여 1시간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였다. 하층액을 조심스럽게 취하여 건조시켜 TG 및 TC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및 도 4에 나타내었다
Normal Control Sample I Sample II Sample III Simvastatin
TC (mg/dl) 53.3±1.7 60.6±1.8 51.7±2.1 61.4±2.4 50.8±2.0 49.2±2.4
TG (mg/dl) 385.6±21.2 577.8±17.3 359.6±59.5 437.4±33.9 355.1±46.2 375.4±38.4
도 4를 참고하면, 길경 81 중량부 및 차전자피 19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III은 길경만 이용한 Sample I, 길경 73. 중량부 및 차전자피 27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2 및 종래 고지혈증 치료제인 심바스타틴에 비해 우수한 간의 TC 및 TG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혈청 중 간 손상 지표 및 인슐린 함량, 지질 함량 측정
실험예 2에서 채취한 혈액을 실온에서 30분간 incubation한 뒤,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수집하였다. 수집된 상층액에 대해 GOT, GPT, TG, TC, HDL은 각각 측정용 키트 (Asan, Korea)를 사용하여 혈액자동분석기로 (Prime, BPC biosed, Italy) 측정하였고 leptin과 insulin은 ELISA kit (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Normal Control Sample I Sample II Sample III Simvastatin
GOT (U/L) 43.7±6.2 42.9±4.3 40.5±5.9 42.4±7.4 42.1±9.0 40.5±3.0
GPT (U/L) 19.7±1.8 41.4±3.5 30.1±3.6 23.0±1.1 21.7±1.5 23.0±1.9
TG (mg/dl) 123.1±7.3 176.7±23.6 127.4±12.5 123.3±11.4 120.1±9.3 108.8±7.8
TC (mg/dl) 94.9±3.8 129.7±6.7 103.0±7.9 121.3±9.4 100.7±7.6 106.4±4.6
HDL (mg/dl) 91.5±8.0 116.3±6.6 101.4±7.0 106.3±3.6 100.3±3.1 106.6±9.9
Leptin (pg/dl) 11.3±2.2 366.1±15.5 143.8±47.3 120.0±12.5 113.0±32.2 152.5±42.1
Insulin (pg/ml) 0.56±0.13 1.09±0.11 0.69±0.18 0.66±0.09 0.62±0.11 0.53±0.15
도 5를 참고하면, 길경 81 중량부 및 차전자피 19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III은 길경만 이용한 Sample I, 길경 73. 중량부 및 차전자피 27 중량부를 포함하는 Sample 2 및 종래 고지혈증 치료제인 심바스타틴에 비해 우수한 혈청중 GPT, TG, TC, Leptin 및 Insulin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경은 알코올 추출물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전자피는 분말 상태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혈증은 비만, 당뇨병, 신장질환 또는 대사성 질환을 포함하는 질환에 의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단순 비만 및 증후성 비만을 포함하는 비만인, 약제학적 조성물.
  6. A) 길경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단계;
    B) 차전자피 극세말의 제조 단계; 및
    C) 길경 알코올 추출물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극세말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길경 알코올 추출물의 제조 단계는:
    a-1) 길경을 에탄올에 환류 추출하는 단계;
    a-2)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 및
    a-3) 상기 농축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길경 70 내지 90 중량부 및 차전자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길경은 알코올 추출물인 것인, 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전자피는 분말 상태인 것인, 식품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식품첨가제, 기능성식품,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음료를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150064512A 2015-05-08 2015-05-08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8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512A KR101688126B1 (ko) 2015-05-08 2015-05-08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512A KR101688126B1 (ko) 2015-05-08 2015-05-08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641A true KR20160131641A (ko) 2016-11-16
KR101688126B1 KR101688126B1 (ko) 2016-12-20

Family

ID=5754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512A KR101688126B1 (ko) 2015-05-08 2015-05-08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1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475A (ko) 2017-02-07 2018-08-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165A (ko) * 2001-05-18 2002-11-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165A (ko) * 2001-05-18 2002-11-2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비만억제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475A (ko) 2017-02-07 2018-08-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126B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60B1 (ko) 발효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174539A (ja) 紫色の馬鈴薯を使用した肥満患者用の健康機能食品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00122333A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070570A (ja) クロモジ抽出物
KR101277266B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369123A1 (en) A health-care product comprising lotus rhizom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1688126B1 (ko)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3107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6068B1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CN109316565B (zh) 一种降血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91647B1 (ko) 항비만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824217B1 (ko) 모로오렌지주스 및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1693573B1 (ko)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1045A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01310B1 (ko)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