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475A -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475A
KR20180091475A KR1020170016721A KR20170016721A KR20180091475A KR 20180091475 A KR20180091475 A KR 20180091475A KR 1020170016721 A KR1020170016721 A KR 1020170016721A KR 20170016721 A KR20170016721 A KR 20170016721A KR 20180091475 A KR20180091475 A KR 2018009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functional
functional food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746B1 (ko
Inventor
김응석
오세종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7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Y10S514/90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약효, 건강기능성을 갖는 천연물 유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HYPERLIPIDEMIA}
본 발명은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지방은 인체에 필수적인 구성성분으로 중요 에너지원이며, 체내 중요 물질의 전구체이기도 하다. 신체 내의 지방은 주로 음식물 섭취를 통해 얻어지며, 필요 시 간, 지방조직 등에서 합성된다.
유전적 요인과 함께 식이 습관 변화로 인한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한 체내의 필요 이상의 지방의 축적에 따른 비만은 지질 및 당대사 이상을 유발하여 혈액 내 자유지방산, 콜레스테롤, 포도당 등의 증가가 일어나며 성인병 사망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인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을 유도한다.
최근 장내 미생물 균총의 변화가 숙주의 에너지 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비정상적인 균총이 비만 유발의 주된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다.
정상 식이에 비해 고지방 식이는 장내 균총의 불균형을 유발하고 장 투과성 증가로 인한 LPS의 혈액 내 유입에 따른 LPS의 증가를 초래하여 만성적인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른 낮은 수준의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비만을 비롯한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장내 세균의 변화는 정상적으로 소화흡수 할 수 없는 다당류 등으로부터의 에너지원 회수 증가를 통해 비만 및 대사이상을 유발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2002년 세계보건기구에서“유효한 수준을 투여 하였을 때 숙주의 건강 증진을 가져오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하였으며, 현재까지 프로바이오틱스로 이용되는 종류로는 Lactobacillus 속 및 Enterococcus 속과 같은 유산균들과 Bifidobacterium 속, Clostridium 속, Bacillus 속, 그리고 Saccharomyses 속과 같은 미생물들을 포함하며 Lactobacillus나 Bifidobacterium으로 대변되는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정장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는 우수한 건강기능성 등을 가지나, 종래 비만, 고지혈증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131641호
본 발명은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2.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위 2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4.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5. 위 4에 있어서, 상기 고지혈증인 비만으로 유도된 것인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위 6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체중 감소, 지방 감소, 혈중 지질 감소 등의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의약 조성물로서 부작용 등의 문제가 적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체중 감소, 지방 감소, 혈중 지질 감소 등의 효과가 우수하며, 천연 프로바이오틱스 유래 건강기능식품으로서 부작용 등의 문제가 적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의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의 식이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의 지방 조직 무게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P< 0.0005 (HFD vs HFD+KU4))
도 4는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의 혈중 지질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A: 콜레스테롤, B: 유리지방산, C: 중성지방, *P< 0.05, **P< 0.005, ***P< 0.0005 (HFD vs HFD+KU4))
도 5는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의 지방 조직 내 중성 지방 함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P< 0.05 (HFD vs HFD+KU4))
도 6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의 에너지 대사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의 유산균 조건배지에 의한 3T3-L1 지방세포의 지방축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한다.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는 한국 미생물보존센터에 2008년 12월 17일자로 수탁번호 KCCM 10975P로서 기탁되어 있는 균주이다.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는 종래 대장균 O157:H7 감염증에 대한 약효만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동물에 식이시에 체중이 감소되어 상기 균주가 체중 감소 효과가 있음을 발견한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은 체중 감소 효과가 있어,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만은 예를 들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지혈증은 예를 들면 비만 또는 그 지방 식이에 따른 당 대사 이상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즈(lactose), 덱스트로즈, 수크로스(sucrose),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한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 (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 (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 (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액제 제형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도 있다. 이들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술한 제형 내 기능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사용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외에도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은 사료 첨가제, 식품 첨가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로 사용시 대상 동물의 기초 사료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료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0.003 내지 7 중량%, 0.005 내지 5 중량%, 0.007 내지 3 중량% 또는 0.008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 동물은 사육될 수 있는 모든 동물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기초 사료는 대상 동물의 필수 영양 공급을 위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사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마찬가지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식품 첨가제로 활용시 예를 들면 식품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0.003 내지 7 중량%, 0.005 내지 5 중량%, 0.007 내지 3 중량% 또는 0.008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실험 조건 및 방법
(1) 식이 조건에 따른 쥐의 몸무게 변화와 식이량 측정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수컷 C57BL/6 마우스로서 다물 사이언스에서 구입하였으며 생후 7주 내외, 몸무게 22±2g을 사용하였고, 온도 25±1℃, 낮과 밤주기가 12시간씩 조절되는 동물 실험실에서 사육하였다. 대조군은 14주 동안 표준사료 (standard rodent chow; 16% 칼로리 지방)와 고지방사료(high fat diet, HFD; 45% 칼로리 지방)를 식이하여 사육하였고, 실험군 각각에 Lactobacillus acidophilus KU4을 108cfu/ml수준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1주차부터 주에 한 번씩 쥐의 몸무게와 주에 3번 식이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2) 혈중 지질 함량 측정
실험군의 혈액에서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등을 측정하기 위해 쥐의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혈액과 지방조직에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지방산 함량은 각각 Triglyceride assay kit (Biovision), Cholesterol assay kit (Biovision), Fatty acid assay kit (Biovisi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주요 조절자 및 표적유전자의 발현 변화
에너지 대사 조절에 참여하는 주요 조절자 및 이들의 표적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KU4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쥐의 서혜부 지방 조직에서 RT-PCR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RT-PCR은 RiboEX (GeneAll) 시약을 사용하여 homogenizer로 조직을 분쇄한 후 RNA를 회수하였고, 회수한 RNA는 Oligo-dT primer (Promega) 와 MMLV Reverse Transcriptase enzyme (Promega) 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AN는 eTaq polymerase (Solgent) 와 각 유전자의 프라이머(표 1)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시킨 후 전기 영동을 통하여 각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서열 서열번호
UCP1 센스 GGAGGTGTGGCAGTGTTC 1
안티센스 TCTGTGGTGGCTATAACTCTG 2
PPAR γ 센스 TGCTGTTATGGGTGAAACTCTGGG 3
안티센스 CGCTTGATGTCAAAGGAATGCG 4
SREBP-1c 센스 GATCAAAGAGGAGCCAGTGC 5
안티센스 TAGATGGTGGCTGCTGAGTG 6
FAS 센스 AGATCCTGGAACGAGAACACGAT 7
안티센스 GAGACGTGTCACTCCTGGACTTG 8
ACC 센스 CGGACCTTTGAAGATTTTGTC 9
안티센스 GCTTTATTCTGCTGGGTGAAC 10
CPT1 센스 ACTCCTGGAAGAAGAAGTTC 11
안티센스 TAGGGTCCGATTGATCTTTG 12
ACOX 센스 TGTTAAGAAGAGTGCCACCA 13
안티센스 CCGGCATGAAGAAACGCTCC 14
(4) 3T3-L1 지방 세포의 분화에 따른 지방 축적에 대한 KU4 조건배지의 영향
지방 세포의 분화와 이에 따른 지방 축적에 대한 KU4-CM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MEM (BCS) 배지에서 배양된 지방 전구세포인 3T3-L1 세포를 6 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세포가 가득 찰 상태까지 배지를 교체해주며 배양시킨 후, 100% 가득 찬 상태에서 2일 후 분화 유도물질 (insulin, dexamethasone, 1-methyl-3methylxanthine)을 처리하고 배양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 2일째부터 KU4-CM을 혼합 처리하고 2일에 한번씩 배지를 교환해주었으며 분화 8일째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세포 내 축적된 지방적에 대한 염색을 실시 하였다.
2. 결과 및 고찰
(1) 고지방 식이(HFD)로 유도된 비만 쥐에서 KU4에 의한 식이 섭취량과 체중 변화
KU4에 의한 체중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생후 7주된 C57BL/6J 쥐에 대조군에는 표준사료 (standard rodent chow; ND; 16% 칼로리지방)를 섭취시키고, 실험군에는 표준사료와 KU4, 고지방사료 (high fat diet, HFD; 45 % 칼로리지방), 그리고 고지방 사료와 함께 14주 동안 식이하면서 매일 KU4를 108cfu/ml 경구투여 하여 사육하였다.
체중 변화는 매주 1회씩 측정하였으며, ND+KU4 실험군과 대조군(ND)와 차이는 거의 없었고,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HFD) 의 체중은 24% 증가하였으나, HFD에 비해 HFD+KU4은 17% 감소하였다(도 1).
식이기간 동안 총 식이 섭취량은 매주 3회씩 측정하였으며 대조군(ND)과 실험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2).
(2) KU4에 의한 지방 조직 변화
각 조건에 따른 14주 간의 식이 후, 쥐의 서혜부 (inguinal), 부고환 (epididymal) 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 하였다.
대조군(ND)과 ND+KU4의 서혜부와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 차이는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ND에 비해 HFD군에서는 두 조직의 무게가 모두 뚜렷하게 증가되었으며, HFD+KU4군에서는 서혜부 지방 조직 무게는 HFD에 비해 48 %, 부고환 지방조직은 47% 감소 하였다(도 3).
(3) KU4에 의한 혈중과 지방 조직 내 지질 함량 변화
혈중 지질 함량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질; HDL, 저밀도지질단백질; LDL)과 지방산 (Free fatty acid) 및 중성지방 (Triglyceride)을 각각의 assay kit를 이용하여 혈장에서 측정 하였다(도 4).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ND)과 ND+KU4군에서 큰 변화가 없었고, 대조군(ND)에 비해 HFD 군은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HFD+KU4군은 HFD군에 비해 27% 감소하였다.
HDL는 대조군과 ND+KU4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HFD군과 HFD+KU4군 모두 대조군보다 증가되었으나 두 그룹 사이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LDL 콜레스테롤은 ND+KU4군은 대조군에 비해 약 22% 감소되었고, HFD군과 HFD+KU4군 모두 대조군 보다 증가되었으나, HFD+KU4군은 HFD군에 비교해 약 17% 감소되었다. 혈중 지방산과 중성지방은 ND+KU4군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약 25%, 12% 감소되었고, 고지방 식이 섭취(HFD)에 의해 뚜렷하게 증가되었다.
HFD와 KU4을 같이 식이한 실험군(HFD+KU4)의 경우 HFD군에 비해 지방산은 약 23% 감소하였고, 중성지방은 약 19% 가 감소되었다.
지방 조직 내 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HFD군에 비해 HFD+KU4군에서 중성 지방이 약 50% 정도 감소되었다(도 5).
(4) KU4에 의한 에너지대사 조절자 및 표적유전자의 발현 변화
에너지 대사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에서 KU4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쥐의 서혜부 지방 조직에서 RNA를 회수하여 RT-PCR을 수행한 뒤, 결과를 분석하였다(도 6).
지질대사 중 지방산 합성의 핵심 조절자로 작용하는 SREBP-1c의 발현은 HFD군에 비해 HFD+KU4군에서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이의 표적 유전자로 알려진 지방산 합성에 중요한 유전자인 Fatty acid synthase (FAS), Acetyl Coa carboxylase (ACC) 또한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방산화에 중요한 유전자로 알려진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 (CPT1), Acyl-coenzyme A oxidase (ACOX)는 HFD군에 비해 HFD+KU4군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세포 생리의 주요 조절자로 알려진 PPARγ 는 HFD군에 비해 HFD+KU4에서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열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최근 백색 지방 조직에서 PPARγ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진 에너지 대사의 주요 유전자인 UCP1의 발현도 함께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지방산 산화를 촉진하고,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지방세포 분비 호르몬인 adiponectin의 발현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 KU4 조건배지에 의한 3T3-L1 지방 세포의 지방 축적 변화
3T3-L1 지방 세포의 분화와 이에 따른 지방 축적에 대한 KU4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에 분화 유도 물질을 처리한 후 2일째부터 KU4-CM을 처리하여 지방 세포로 분화를 유도시켰다. 분화 8일째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KU4-CM에 의한 지방 세포의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유산균 배지(KU4-CM)를 1/100과 1/50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세포 내 축적된 지방 함량이 감소된 것이 확인 되었다(도 7).
<110>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AND HYPERLIPIDEMIA <130> 17P01014 <160> 1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CP1 sense primer <400> 1 ggaggtgtgg cagtgttc 18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CP1 antisense primer <400> 2 tctgtggtgg ctataactct g 21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 gamma sense primer <400> 3 tgctgttatg ggtgaaactc tggg 24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 gamma antisense primer <400> 4 cgcttgatgt caaaggaatg cg 22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REBP1c sense primer <400> 5 gatcaaagag gagccagtg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REBP1c antisense primer <400> 6 tagatggtgg ctgctgagtg 20 <210> 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sense primer <400> 7 agatcctgga acgagaacac gat 23 <210> 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AS antisense primer <400> 8 gagacgtgtc actcctggac ttg 23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C sense primer <400> 9 cggacctttg aagattttgt c 21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C antisense primer <400> 10 gctttattct gctgggtgaa c 21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T1 sense primer <400> 11 actcctggaa gaagaagttc 20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PT1 antisense primer <400> 12 tagggtccga ttgatctttg 20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OX sense primer <400> 13 tgttaagaag agtgccacca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OX antisense primer <400> 14 ccggcatgaa gaaacgctcc 20

Claims (7)

  1.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2.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4.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지혈증인 비만으로 유도된 것인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6. 락토바실러스 스피시스 KU4(Lactobacillus sp . KU4) KCCM 10975P 균주 또는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70016721A 2017-02-07 2017-02-07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937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21A KR101937746B1 (ko) 2017-02-07 2017-02-07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21A KR101937746B1 (ko) 2017-02-07 2017-02-07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75A true KR20180091475A (ko) 2018-08-16
KR101937746B1 KR101937746B1 (ko) 2019-01-11

Family

ID=6344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721A KR101937746B1 (ko) 2017-02-07 2017-02-07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7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641A (ko) 2015-05-08 2016-11-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641A (ko) 2015-05-08 2016-11-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지혈증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746B1 (ko)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033B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AU2017337936B2 (en) Novel Lactobacillus Sakei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173547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20130046896A (ko) 대사질환 또는 염증질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920 및 이의 용도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EP4253526A1 (en) Novel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hem20-01 strain,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depression comprising same or culture thereof
KR102091757B1 (ko) 혈당저하와 스트레스 완화에 유효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14 균주 및 이의 용도
JP6762855B2 (ja) 筋肉の分解抑制剤
KR102039229B1 (ko) 비만, 당뇨와 지방간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갖는 바실러스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20210244777A1 (en) Novel bifidobacterium bacteria and composition including novel bifidobacterium bacteria
US11484557B2 (en) Human-derived Lactobacillus fermentum MG4231 or Lactobacillus fermentum MG4244 strain having anti-obesity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2149185B1 (ko) 면역기능 조절 및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효과를 갖는 엔테로코쿠스 락티스 WiKim01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58667B1 (ko) 면역기능 조절 및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효과를 갖는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 WiKim010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37746B1 (ko)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445903B1 (ko) 혈당 상승 저해 및 스트레스 조절 효과가 우수한 열처리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314 균주 및 용도
KR101834379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와이셀라 컨퓨사 WIKIM51(Weissella confusa WIKIM51)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90078320A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 및 포도씨 분말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0474A (ko) 알코올성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U2015297348B2 (en) Adiponectin secretion regulator
KR102434006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Apalowo et al. Exploring the functional roles of sustainable dietary patterns on gut microbiota composition and optimal health
KR10250636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u15120 균주 또는 이의 용도
KR102154124B1 (ko) 프로피오니박테리움 프레우덴레키 mj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및 비만 관련 대사 이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71732B1 (ko)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kid7 균주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kin et al. Kvass: A Fermented Traditional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