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719A -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719A
KR20160128719A KR1020150060505A KR20150060505A KR20160128719A KR 20160128719 A KR20160128719 A KR 20160128719A KR 1020150060505 A KR1020150060505 A KR 1020150060505A KR 20150060505 A KR20150060505 A KR 20150060505A KR 20160128719 A KR20160128719 A KR 2016012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melanin
whitening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환열
강민서
오연호
Original Assignee
강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환열 filed Critical 강환열
Priority to KR102015006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719A/ko
Publication of KR2016012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조류인 청각, 잎파래를 서로 다른 용매인 에탄올-메탄올-정제수-1,3 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1,2 헥산디올 등과 잘 혼합하여 추출하고,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크잔토필, 아미노산, 프로테인, 비타밑, 미네랄 등이 들어 있는 녹조류(청각, 잎파래)의 추출물과 미백효과가 있는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부틴 등을 잘 조합해서 만들어진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 The cosmetic composition has a whitening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physiologically algae }
본 발명은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조류인 청각, 잎 파래를 서로 다른 용매인 에탄올-메탄올-정제수-1,3 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1,2 헥산디올 등과 잘 혼합하여 추출하고,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크잔토필, 아미노산, 프로테인, 비타민, 미네랄 등이 들어 있는 녹조류(청각, 잎 파래)의 추출물과 미백효과가 있는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부틴 등을 잘 조합해서 만들어진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라 불리는 피부 세포에서 만들어져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한다. 여기서 멜라닌은 핵 주변에 모자와 같은 구조를 형성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고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보호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고, 다만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에서 떨어져 나갈 때 같이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 제거된다.
멜라닌 합성 과정을 살펴보면,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리노좀에서 먼저 티로신을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가 도파(DOPA)를 거쳐 도파퀴논 (DOPAquinone)을 생성시키고, 도피퀴논으로부터 자동 산화 반응과 효소 반응으로 도파크롬 (DOPAchrome)을 거쳐 공중합체인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소포체를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고 여기에서 약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 표면으로 나와 각질과 함께 소실된다.
피부미용을 위한 미백제의 개발에 있어서, 종래의 피부 미백효과를 갖는 조성물의 특징은 착색의 주원인인 멜라닌을 타깃으로 하여, 생성된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켜 탈색하는 방법과 멜라닌 합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색소 침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피부 미백 성분으로는,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C(L-Ascorb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피부 미백 성분들은 처방계 중에서 안정성이 나빠 분해되어 착색되거나, 이취의 발생, 생체 레벨에서의 효능, 효과의 불분명 및 안전성 문제 등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멜라닌 색소를 환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토코페롤이나 비타민류 등을 사용한 피부 미백제는 멜라닌 색소의 탈색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저해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최근 사용하는 식물유래 소재는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오랫동안 이용되어 오던 화장품 원료 중의 하나이며, 특히 광우병 파동 이후 천연 식물유래 소재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민간에서 이용되어 오거나 혹은 한방에서 이용되어 오던 식물 및 생약성분을 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업화에 성공을 거둔 예가 다수 있다.
이러한 식물유래 화장품 소재로는 올리브유, 야자유와 사포닌, 소맥 배아유, [0004] 미강유, 인지질 등이 계면활성성분으로 이용되고, 아미노산, 단백질, 당류 등을 함유한 수용성 성분 등이 보습제, 피막보호제, 피부보호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외 기능성 소재로서 최근에는 MMP-1 (Metrix Metalloproteinase-1)활성 및 생산을 억제하는 소재, 엘라스티나제 (Elast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소재,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하는 소재, 활성산소의 제거능력을 가진 소재, 각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소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소재 등이 연구 개발중이거나 이미 보습, 항노화 및 미백화장품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식물 이외의 천연 유래 화장품 소재로서 최근에는 해양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찾아내고, 이를 화장품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현재 해양에서 얻어진 생리활성물질들은 7,000여 종이 넘었고, 스파(SPa)나 해양심층수, 철갑상어의 알인 캐비아 등을 활용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해양요법(Thalasso-therapy)제품들이 명성을 얻고 있으며, 해조, 바닷물, 바다 진흙을 기본으로 하는 다양한 해양요법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프랑스의 CODIF사에서는 홍조류, 녹조류, 갈조류로부터 피부의 노화, 민감피부, 주름방지 등의 기능을 가진 20여 종 이상의 해조 추출물을 상품화하고 있다.
종래의 해조류를 이용한 미백 효능을 가진 화장품의 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084939호에는 미역포자엽을 다당분해효소로 분해하는 단계; 상기 분해물을 가압추출 후 여과하여 저점도효소 분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저 점도 효소 분해액에서 단백질 및 알긴산을 제거하여 다당분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당분해액 중의 다당류를 산성용액에 의해 분해하고 탈염하여 조 푸코이단액을 제조하는 단계; 조 푸코이단액을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을 통해 푸코이단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물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역포자엽으로부터 분리한 항혈액 응고 활성을 가진 황산화푸코스 다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084939호에는 동해산의 다시마(Laminaria japoni ca) 또는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 건조물을 세절 및 분쇄하는 제 1단계 분쇄물 각각에 50 내지 200배(v/w)의 물을 가하여 균질화한 다음, 상온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진공동결 건조하여 상온수 추출물(RWF-1)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상등액을 제거한 잔사에 증류수를 각각 가하여 50 내지 150℃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진공동결 건조하는 단계로 수득 되는 열수 추출물(HWF-1)이 포함되어 있는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879283호에는 다시마 추출물 100 중량부, 미역귀 추출물 5 내지 300중량부 및 알송이 모자반 추출물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시마 추출물, 미역귀 추출물 또는 모자반 추출물이 각각 다시마, 미역귀 또는 모자반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물에 침지한 후 10 내지 50℃의 온도에서 5 내지 100시간 동안 저온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소포체를 통해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지고 여기에서 약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서 피부 표면으로 나와 각질과 함께 소실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에 의해 멜라닌이 과다 생성되고 각화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멜라닌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 색소 침착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따라서, 이러한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또한, 다수의 식물 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제에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나, 안정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아직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조류인 청각, 잎 파래를 서로 다른 용매인 에탄올-메탄올-정제수-1,3 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1,2 헥산디올 등과 잘 혼합하여 추출하고,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크잔토필, 아미노산, 프로테인, 비타민, 미네랄 등이 들어 있는 녹조류(청각,잎 파래)의 추출물과 미백효과가 있는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부틴 등을 잘 조합해서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은 청각, 잎파래인 녹조류로부터의 추출물을 피부에 대한 다양한 작용을 검색하여, 기능성 미백소재의 화장품 신소재를 개발하고 고부가가치의 제품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녹조류의 효용 가치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잎 파래 추출물을 B16F10 마우스 흑색 종 세포 생존율 그래프
도 2는 잎 파래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의 차이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A) 및 티로시나 아제 활성(B)에 잎 파래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잎 파래 추출물을 Western blot 분석으로 B16F10 흑색 종 세포에 MITF, TRP1, TRP2, 티로시나제. β - 액틴의 발현을 나타내는 사진
도 5은 청각 메탄올 추출물이 B16F10 마우스 흑색 종 세포 생존율 그래프
도 6는 청각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의 차이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A) 및 티로시나 아제 활성(B)에 청각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는 청각 메탄올 추출물을 Western blot 분석으로 B16F10 흑색 종 세포에 MITF, TRP1, TRP2, 티로시나제. β-액틴의 발현을 나타내는 사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은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녹조류인 청각, 잎 파래를 서로 다른 용매인 에탄올-메탄올-정제수-1,3 부틸렌글리콜-글리세린-1,2 헥산디올 등과 잘 혼합하여 추출하고,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크잔토필, 아미노산, 프로테인, 비타민, 미네랄 등이 들어 있는 녹조류(청각,잎 파래)의 추출물과 미백 효과가 있는 비타민 B3(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알부틴 등을 잘 조합해서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하였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인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인 잎 파래 메탄올 추출물과 청각 메탄올 추출물을 피부의 미백 증상의 정도에 따라 그것이 피부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각각 0.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보습탄력 원료로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글리세린.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포스포리피드. 당근 추출물. 미네랄워터. 부틸렌글라이콜. 해바라기씨 오일을 각각 0.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미백 기능 보조제 성분으로 알로에베라 추출물. 흑진주추출물. 디메칠설폰. 판테놀(비타민 B5). 유청단백질을 각각 0.1~5 중량%의 양으로 혼합하여 구성된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시험 방법 >
상기 [실시예 1] 녹조류인 잎 파래와 청각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에 대하여 시험을 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1. 잎 파래의 미백효과
1) 잎 파래 메탄올 추출물이 B16F10 melanoma cell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도 1은 잎 파래 추출물을 B16F10 마우스 흑색 종 세포 생존율 그래프에 관한 것으로, 잎 파래 메탄올 추출물이 B16F10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100μg/ml, 200μg/ml, 300μg/ml로 처리한 결과 생존율은 각각 94%, 83%, 71%로 나타났고 따라서 생존율 및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200μg/ml 농도까지를 실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2) 멜라닌 색소 침착의 육안적 관찰
도 2는 잎 파래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의 차이를 나타낸 사진으로 1; control, 2; α-MSH, 3~6; α-MSH+Enteromorpha linza (50, 100, 150 and 200μg/ml)을 나타내며, 잎 파래와 α-MSH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지 육안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 현상을 관찰하였다.(도 2)
α-MSH를 처리하였을 때 검은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잎 파래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색이 옅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잎 파래 추출물의 α-MSH 자극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을 잎파래 에탄올 추출물이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잎 파래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합성된 멜라닌의 양과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MTT 결과를 참고하여 멜라닌 생성량 측정 실험과 동일한 농도 범위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멜라닌 생성은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α-MSH만 처리한 경우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잎 파래를 50, 100, 150, 200μ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결과 α-MSH만을 처리한 것에 비해 64%, 49%, 43%, 39%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며 감소 정도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완만하게 나타났다. tyrosinase 활성도 마찬가지로 잎 파래를 50, 100, 150, 200 μ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결과 α-MSH만을 처리한 것에 비해 83%, 73%, 51%, 48%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 따라서 잎 파래 메탄올 추출물은 α-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성과 tyrosinase 활성에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도 3은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A) 및 티로시나 아제 활성(B)에 잎 파래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세포는 72 시간의 표시 농도 % 또는 잎 파래의 부재에서 200 ㎚ α-MSH 처리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은 475nm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고, 멜라닌 함량은 405 ㎚에서의 흡광도에 의해 정량하였다..
4)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조사
도 4는 잎 파래 추출물을 Western blot 분석으로 B16F10 흑색 종 세포에 MITF, TRP1, TRP2, 티로시나제. β - 액틴의 발현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잎파래 추출물이 α-MSH 자극에 의해 유도된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 으로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조사하였다. Fig.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α-MSH을 단독 처리한 경우에 각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 잎 파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0μg/ml의 농도에서는 매우 뚜렷하게 억제되어 앞의 실험들과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잎 파래는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및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향후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되며 향후 다른 해양소재의 기능성도 검토할 예정이다
<청각의 미백효과>
청각을 활용하여 미백 소재로서의 기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각 메탄올 추출물이 B16F10 melanoma cell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도 5은 청각 메탄올 추출물이 B16F10 마우스 흑색 종 세포 생존율 그래프를 나타내는 것으로, 청각 메탄올 추출물이 B16F10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청각 메탄올 추출물을 각각 300 μg/ml, 400μg/ml, 500 μg/ml로 처리한 결과 생존율은 각각 100%, 85%, 48%로 나타났고 따라서 생존율 및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400 μg/ml 농도까지를 실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도 5).
2) 멜라닌 색소 침착의 육안적 관찰
도 6는 청각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의 차이를 나타낸 사진을 타나내며, 1 ; control, 2 ; α-MSH, 3~6 ; α-MSH+Codium fragile (100, 200, 300 and 400μg/ml)을 나타내며, 청각과 α-MSH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지 육안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 현상을 관찰하였다.(도 2)
청각과 α-MSH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지 육안적으로 멜라닌 생성 억제 현상을 관찰하였다.(도. 6). α-MSH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α-MSH를 처리하였을 때 짙은 검은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청각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색이 옅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청각 메탄올 추출물의 α-MSH 자극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을 청각 메탄올 추출물이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청각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합성된 멜라닌의 양과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은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α-MSH만 처리한 경우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청각을 100, 200, 300, 400μ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결과 α-MSH만을 처리한 것에 비해 99%, 94%, 76%, 56%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yrosinase 활성도 마찬가지로 청각을 100, 200, 300, 400 μ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결과 α-MSH만을 처리한 것에 비해 94%, 92%, 84%, 74%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멜라닌 생성량과 tyrosinase 활성 모두 200 μg/ml 농도까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뚜렷한 감소는 300 μg/ml 농도 이상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 메탄올 추출물은 α-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성과 tyrosinase 활성에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도 7은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세포(A) 및 티로시나 아제 활성(B)에 청각 메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나타내며, 세포는 72 시간의 표시 농도 % 또는 청각의 부재에서 200 ㎚ α-MSH 처리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은 475nm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고, 멜라닌 함량은 405 ㎚에서의 흡광도에 의해 정량하였다.
4)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 변화 조사
청각 메탄올 추출물이 α-MSH 자극에 의해 유도된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여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 으로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조사하였다.
도 8는 청각 메탄올 추출물을 Western blot 분석으로 B16F10 흑색 종 세포에 MITF, TRP1, TRP2, 티로시나제. β - 액틴의 발현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청각 메탄올 추출물이 α-MSH을 단독 처리한 경우에 각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반면 청각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00 μg/ml의 농도에서는 매우 뚜렷하게 억제되어 앞의 실험들과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각은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및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앞으로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되며 향후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은 바위수염이나 미역쇠 등을 소재로 선택하여 미백 기능성을 평가해 보고자한다.

Claims (1)

  1.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청각 메탄올추출물과 잎파래 메탄올 추출물의 첨가량은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고,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보습탄력제인 글리세린 1~5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 1~5 중량%. 포스포리피드 1~5 중량%. 당근 추출물 1~5 중량%. 미네랄워터 20~4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5 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1~5 중량%이 사용되고,
    미백 기능 보조제로 알로에베라 추출물1~5 중량%. 흑진주추출물1~5 중량%. 디메칠설폰1~5 중량%. 판테놀(비타민 B5)1~5 중량%. 유청단백질 1~5 중량%로 혼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50060505A 2015-04-29 2015-04-29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KR20160128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505A KR20160128719A (ko) 2015-04-29 2015-04-29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505A KR20160128719A (ko) 2015-04-29 2015-04-29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719A true KR20160128719A (ko) 2016-11-08

Family

ID=5752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505A KR20160128719A (ko) 2015-04-29 2015-04-29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459A (ko) * 2018-01-10 2019-07-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1289B1 (ko) * 2018-05-24 2019-10-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459A (ko) * 2018-01-10 2019-07-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1289B1 (ko) * 2018-05-24 2019-10-11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58B1 (ko) 광독성이 낮은 모자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8629A (ko)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731919A (zh) 一种紫茉莉提取物的应用及含其的皮肤外用剂
KR102667277B1 (ko) 모링가 페레그리나 종자 케이크의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화장품 또는 뉴트리코스메틱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KR101356535B1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갈파래과 해조류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11002B1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4568A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128719A (ko) 녹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CN110731918B (zh) 一种白刺提取物的应用及含其的皮肤外用剂
KR20090130743A (ko) 천선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또는 피부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40052127A (ko) 효소분해 사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7427453A (zh) 五味子果实的肽和糖苷提取物及其对皮肤神经系统反应的改善作用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6634B1 (ko) 온주 밀감 과피 추출물의 분획물 및 그것의 용도
KR100566857B1 (ko)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