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316A -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8316A KR20160128316A KR1020167023254A KR20167023254A KR20160128316A KR 20160128316 A KR20160128316 A KR 20160128316A KR 1020167023254 A KR1020167023254 A KR 1020167023254A KR 20167023254 A KR20167023254 A KR 20167023254A KR 20160128316 A KR20160128316 A KR 201601283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handle
- carrier
- fixing
- stationary
- connect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100)의 가동 부분(101), 특히 도어 또는 해치백(hatchback) 등을 작동하기 위한 도어 핸들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 핸들 시스템은 가동 부분(101)의 내부면(101.1)에 배치될 수 있는 캐리어(11)와; 이 캐리어(11)에 의해 가동 부분(101)의 외부면(101.2)에 배치될 수 있는 도어 핸들(12)로서, 그 종방향 연장부(18)에 걸쳐 2개의 단부(12.2)를 가지고, 이들 단부에 각각 캐리어(11)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수단(12.3)이 제공되는 도어 핸들(12)과;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12.3)에 의해 도어 핸들(12)을 캐리어(11)에 고정하는 데 이용되고 하나 이상의 릴리스 위치(Ⅰ) 및 고정 위치(Ⅱ)를 갖는 고정 요소(15)와, 상기 릴리스 위치(Ⅰ)와 고정 위치(Ⅱ) 사이에서 고정 요소(15)를 조정하는 데 이용되는 조정 요소(16);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요소(15)는 자신의 고정 위치(Ⅱ)에서 2개의 연결 수단(12.3)에 의해 도어 핸들(12)이 캐리어(11)에 보유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가동 부분, 특히 도어 또는 해치백(hatchback) 등을 작동하기 위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어 핸들 시스템에는, 가동 부분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는 캐리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 핸들 시스템은, 캐리어에 의해 가동 부분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 있는 도어 핸들을 구비하며, 도어 핸들은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에 걸쳐 2개의 단부를 갖고, 이들 단부에 각각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어 핸들 시스템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에 의해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고정하는 데 이용되며 하나 이상의 릴리스 위치 및 고정 위치를 갖는 고정 요소와, 상기 고정 요소를 릴리스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조정하는 데 이용되는 조정 요소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가동 부분을 작동하기 위한 도어 핸들 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한, 청구항 20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DE 10 2007 027 845 A1호에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가동 부분, 특히 도어 또는 해치백을 작동하기 위한 도어 핸들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부분의 내부면에는 캐리어가 배치되고, 이 캐리어는 가동 부분의 외부면에 도어 핸들을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이때, 도어 핸들은 제1 핸들 단부 및 제2 핸들 단부를 가지며, 이들 단부는 복잡한 구조를 통해 도어 핸들 시스템의 캐리어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복잡한 장착 단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선행 기술에 따른 단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 및 도어 핸들 시스템의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캐리어에 도어 핸들을 고정하기 위한 도어 핸들 시스템의 기계공학적 구조 및 가동 부분에의 장착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히 그 특징부의 특징들을 갖는 도어 핸들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20의, 특히 특징부의 특징들을 갖는 도어 핸들 시스템 장착 방법도 제안된다. 종속 장치 청구항들 및 방법 청구항들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에도 적용되며, 그 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 밖에도, 청구항 20의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차량의 가동 부분, 특히 도어 또는 해치백 등을 작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에는, 가동 부분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는 캐리어가 제공된다. 추가로, 상기 도어 핸들 시스템은, 캐리어에 의해 가동 부분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 있는 도어 핸들을 갖는다. 도어 핸들은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에 걸쳐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이들 단부에는 각각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 핸들은 예를 들어 풀 핸들(pull handle)로서 형성된다. 연결 수단들이 고정을 위해 캐리어와 기계공학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동 부분에 상응하는 개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연결 수단이 이 개구를 통과하여 돌출한다. 또한, 도어 핸들 시스템에는 고정 요소가 부착되며, 이 고정 요소는 특히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에 의해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이 경우, 고정 요소는 적어도 릴리스 위치 및 고정 위치를 갖는다. 릴리스 위치에서는 도어 핸들이 릴리스됨으로써 캐리어에 의해 직접적으로도 간접적으로도 고정되지 않는다. 그와 달리, 고정 위치에서는 도어 핸들이 고정 요소에 의해 캐리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어 핸들 시스템은, 릴리스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고정 요소를 조정하는 데 이용되는 조정 요소를 구비한다. 이로써, 고정 요소는 조정 요소에 의해 릴리스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를 왕복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요소는 자신의 고정 위치에서 양측 연결 수단 또는 도어 핸들에 존재하는 연결 수단에 의해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보유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요소는 동시에 도어 핸들의 기존의 연결 수단을 캐리어에 고정한다. 이로써, 도어 핸들은 전술한 도어 핸들 시스템의 형상에 의해 가동 부분에 매우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거나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도어 핸들은 가동 부분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요소는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고정 배치하는 데 이용된다. 따라서, 도어 핸들 자체가 캐리어 및 이와 더불어 가동 부분에도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다. 바로 이와 같이 도어 핸들이 고정되도록 형성될 때, 전체 도어 핸들 시스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도어 핸들을 가동 부분에 움직일 수 있게, 다시 말해 회전 혹은 선회 가능하거나 인출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 핸들은 베어링 브래킷을 통해 캐리어에 고정 요소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가동식 도어 핸들을 고정하기 위해, 도어 핸들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모든 연결 수단이 베어링 브래킷을 통해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식 도어 핸들을 갖는 도어 핸들 시스템의 구조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 브래킷의 추가 사용에 의해, 도어 핸들이 고정식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약간 더 복잡하게 구성된다. 추가로, 가동식 도어 핸들을 갖는 도어 핸들 시스템에서는, 특히 충돌 시 안전 증대를 위해, 보상 질량 및 충돌 제동 장치 및 멈춤쇠(pawl)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동식 도어 핸들은 바람직하게, 가동 부분의 잠금을 위해 자물쇠를 기계식으로 작동하는 데에도 이용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의 경우에는, 고정 요소가 특히 릴리스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도록 캐리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고정 요소를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도어 핸들이 캐리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가 가이드 수단을 통해 캐리어에 보유될 수 있다. 이를 목적으로, 가이드 수단은 캐리어에서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 요소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 요소에 있는 장공들(elongated holes)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고정 요소를 T자 형상 가이드 수단의 헤드 위로 삽입할 수 있기 위해, 고정 요소 내 장공에 확장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장공의 확장부들의 간격이 캐리어에 있는 T자 형상 가이드 수단의 간격에 매칭되며, 이는 상기 간격의 길이가 각각 동일함을 의미한다. 고정 요소의 확장부들이 장공으로부터 캐리어에 있는 가이드 수단의 T자 형상 헤드 위로 가이드된 후, 고정 요소를 종방향으로 약간만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요소와 캐리어 사이에 형상 결합 방식의 가이드가 구현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적어도 캐리어 또는 도어 핸들을 고정하기 위해 가동 부분에 개구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연결 수단을 캐리어와 고정하기 위해, 연결 수단이 도어 핸들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해 돌출한다. 캐리어 자체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보유 수단에 의해 가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보유 수단은 가동 부분에 있는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 뒤로 적어도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상적으로는, 도어 핸들의 관통부를 위해서도 제공되는, 가동 부분에 있는 개구가 이용된다. 가급적 가동 부분의 높은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도어 핸들용 개구는 도어 핸들의 돌출하는 연결 수단에 대해 기하학적으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전술한 캐리어의 보유 수단은 개구를 통과해서 가동 부분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개구 가장자리의 외부면 뒤에 결합된다.
캐리어를 가동 부분에 위치상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캐리어를 가동 부분에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요소가 나사로서 형성되고, 가동 부분의 장착 위치에서 캐리어 상의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리어는 자신의 보유 수단을 통해 먼저 가동 부분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배치된 후에, 고정 요소에 의해 가동 부분 상의 자신의 위치에 고정된다. 그럼으로써, 캐리어가 가동 부분에서 자신의 원하는 위치를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하는 점이 보장된다. 이상적으로, 고정 요소는, 도어 핸들에 의해 고정 요소의 외부면이 덮이도록 도어 핸들 시스템에 배치된다. 고정 요소 자체는 일반적으로 외부면으로부터 가동 부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캐리어 내부로 삽입되고, 예컨대 전술한 나사산에 의해 캐리어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요소에 하나 이상의 예비 응력 수단이 배치되고, 이 예비 응력 수단이 고정 위치에서 도어 핸들과 기계공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비 응력 수단에 의해, 고정 요소가 자신의 고정 위치를 취할 때 도어 핸들이 가동 부분의 외부면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고정 요소는,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혹은 가동 부분에 보유 및 고정하는 요건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동시에 충분한 경사 안정성까지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도어 핸들이 간극 없이 그리고 이로써 흔들거림 없이 캐리어를 통해 가동 부분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예비 응력 수단은 고정 요소에 가요성 설형부(flexible tongue)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가요성 설형부는 특히 고정 요소로부터 동일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예비 응력 수단은 고정 요소로부터 만곡부 또는 테이퍼부를 가진 융기부(bulge)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상적으로는, 도어 핸들의 특히 확실한 파지를 보장하기 위해, 도어 핸들의 각각의 연결 수단을 위해 예비 응력 수단이 고정 요소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차량의 안전 시스템의 임의의 기능의 기계공학적 트리거를 위해 이용되는 잠금 실린더가 제공될 수 있다. 차량 안전 시스템은 예컨대 중앙 로킹 장치(central locking device)와 같은 액세스 시스템(access system)일 수 있다. 또한, 기계공학적 잠금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거나 조작될 수 있는 경보 장치 또는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일 수도 있다. 이때, 잠금 실린더는 캐리어에 의해 가동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요소는 잠금 실린더를 캐리어에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요소는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뿐만 아니라, 그와 동시에 잠금 실린더를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가동 부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 부분의 외부면과 도어 핸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밀봉 요소의 존재에 의해, 도어 핸들을 장착할 때 가동 부분에 있는 개구들이 폐쇄되는데, 그 이유는 가동부에 있는 개구의 둘레 영역을 밀봉하기 위해, 도어 핸들이 외부로부터 밀봉부로 가압되고, 이 밀봉부가 다시 가동 부분의 외부면을 향해 가압되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상기 밀봉부는, 도어 핸들이 가동 부분의 외부면의 코팅된 표면을 손상시키는 상황을 야기한다.
가동 부분에 장착된 도어 핸들의 경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캐리어 내부로 돌출하는 연결 수단이 캐리어 내부에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가이드 면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를 위해서는, 연결 수단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로써 캐리어에 상호 보완적으로 형성된 가이드 면과 연결 수단 사이의 접촉면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요소가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섹션은 도어 핸들을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제1 섹션은 잠금 실린더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섹션에 각각 고정 요소의 특별한 기능이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적어도 고정 요소의 제2 섹션에, 캐리어에 있는 가이드 수단과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대응 가이드 수단도 제공된다. 이로써, 고정 요소는 적어도 캐리어에 있는 제2 섹션에서도 파지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된다. 추가로, 상기 제2 섹션은 캐리어에 도어 핸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본 발명의 특히 고급 실시예에서는, 고정 요소가 적어도 일체형으로, 동일 재료로, 또는 모놀리식으로(monolithically)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구성 요소들로 구성되지 않은 일체형 부품이 고정 요소로서 사용된다. 고정 요소는 예컨대, 안내의 범주에서 캐리어의 윤곽과 상호 작용할 수 있기 위해, 이상적으로는 캐리어의 윤곽에 기하학적으로 상보적이도록 형성된, 그러나 높이가 오프셋된 윤곽을 가질 수 있는 슬라이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요소의 재료 두께가 변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더 큰 재료 두께를 갖는 고정 요소의 매우 임계적인 지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임계 지점은 예컨대 고정 요소의 고정 수단 둘레에 있는 영역들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요소가 적어도 두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분은 고정 요소의 제1 섹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2 부분은 고정 요소의 제2 섹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개별 섹션들을 위해서도 고정 요소의 상이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예컨대 고정 요소의 제1 부분은 주조 부품, 특히 금속 주조 부품 또는 경금속 주조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와 달리, 고정 요소의 제2 부분은 단조 부품 또는 압연강판부(rolling sheet part)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요소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간의 기계공학적 연결은 연결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이 경우 고정 수단의 두 부분이 연결 수단에 의해 적어도 형상 결합 방식으로 서로 고정된다. 또한, 고정 요소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간의 재료 결합 방식의 연결도 고려할 수 있다.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고정 요소의 장착은, 상기 두 부분이 먼저 캐리어에 배치된 후에 비로소 서로 연결됨으로써 간단해질 수 있다. 하지만, 고정 요소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요소를 캐리어에 고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개선하는 또 다른 한 조치로서, 조정 요소가 특히 직접 캐리어 상의 수용부 내에 지지되고, 고정 요소가 릴리스 위치와 고정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정 요소는 거의 고정 요소를 위한 구동부로서 이용된다. 조정 요소는 심지어 나사로서 또는 특히 파지 수단을 구비한 스프링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로서 형성된 조정 요소는 나사 헤드에 의해 캐리어의 수용부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그러나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된다. 그와 달리, 나사의 나사산은 고정 요소의 나사산 내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캐리어 수용부 내부에 지지된 나사의 회전은, 고정 요소가 나사의 나사산을 따라 종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한다. 조정 요소가 스프링 요소로서 형성되는 한, 이 스프링은 캐리어 상의 수용부 내부에 지지될 수 있고, 이로써 고정 요소를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옮기기 위해 이동 가능한 고정 요소를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스프링 요소로서 형성된 조정 요소가 파지 수단을 구비하며, 이 파지 수단에 의해 스프링 요소는 고정 요소가 릴리스 위치에 있게 되는 출발 위치에 파지될 수 있다. 파지 수단이 캐리어에 있는 수용부 내에서 스프링 요소로부터 느슨하게 풀어짐으로써,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이 고정 요소를 자동으로 고정 위치로 가압한다.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이 고정 요소에 영구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 요소는 고정 위치에 확실하게 파지된다.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은 예컨대 나사로서 형성된 조정 요소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거나, 스프링 요소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고정 요소에 가해지는 역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된 도어 핸들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조정 요소는 가동 부분 내에 있는 관통구를 통해 접근 및 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가동 부분의 외부면으로부터는 조정 요소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권장된다. 오히려, 가동 부분에 있는 가동식 관통구는, 가동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야만 접근할 수 있도록 노출되는 단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핸들 시스템을 가동 부분에 장착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조정 요소가 고정 요소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조정 요소가 고정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조정 요소의 동작이 고정 요소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상황에 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조정 요소가 직접 나사산을 통해 고정 요소와 연결될 수 있거나, 조정 요소가 고정 요소와 재료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조정 요소가 예컨대 고정 요소에 리벳 결합, 용접, 납땜 또는 접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도어 핸들의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이 도어 핸들과 적어도 일체형으로, 동일 재료로, 또는 모놀리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연결 수단은 거의 도어 핸들 자체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수단은 도어 핸들에 일체로 용접 또는 사출되거나, 도어 핸들과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수단은 도어 핸들의 단부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돌출할 수 있고, 특히 도어 핸들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된다. 연결 수단이 도어 핸들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됨으로써, 도어 핸들이 실질적으로 수직 가이드에 의해 가동 부분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도어 핸들의 양측 연결 수단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들 연결 수단이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어 핸들의 외부 윤곽이 비대칭인 경우에는, 가동 부분 또는 이 가동 부분에 배치된 캐리어로의 연결 수단의 길이를 기하학적 구조에 매칭시키는 점이 권장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요소에 특히 제2 섹션에 제공된 고정 수단들이 배치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수단은 고정 요소가 고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 핸들의 연결 수단에 있는 대응 고정 수단과 기계공학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이와 같은 기계공학적인 상호 작용이 일반적으로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거의 고정 요소의 고정 수단은 연결 수단에 있는 대응 고정 수단의 도움으로 연결 수단과 체결된다. 이를 위해, 연결 수단에 있는 대응 고정 수단이 그루브(groove)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그루브 내로 고정 요소의 고정 수단이 고정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삽입된다. 이와 같은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활주 경사면이 적어도 고정 수단 또는 대응 고정 수단에 제공될 수 있다.
대응 고정 수단이 도어 핸들의 연결 수단에 그루브로서 형성되어 있는 한, 이로 인해 대응 고정 수단에는 삽입 경사면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그와 동시에, 도어 핸들에 있는 기계공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삽입 경사면에 기하학적으로 매칭된 삽입 경사면이 고정 요소의 고정 수단에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 수단에 있는 대응 고정 수단이 반드시 그루브 또는 리세스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고정 요소의 고정 수단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돌출부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고정 요소의 고정 수단이 도어 핸들의 연결 수단에 있는 대응 고정 수단을 양 측면에서 둘러쌈으로써, 도어 핸들을 가동 부분에 파지하기 위한 매우 안정적인 형상 결합부가 생성된다. 추가로, 고정 수단에는 또한 앞에서 이미 언급된 예비 응력 수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예비 응력 수단에 의해 도어 핸들의 고정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에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 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전자 유닛은 케이블을 통해 또는 무선으로 차량 데이터의 안전 시스템과 기술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부분 또는 전체 전자 장치가 또한 도어 핸들 내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핸들 내부에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근접 센서, 외부 이동식 ID 송신기와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또는 스위칭 요소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부품들에 의해 도어 핸들 시스템의 안락감이 개선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예컨대 패시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Passive-Keyless-Entry-System) 또는 액티브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Active-Keyless-Entry-System) 및 패시브 키리스 고 시스템(Passive-Keyless-Go-System)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유닛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수용하는 공동(cavity)이 도어 핸들 내부에 제공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전자 유닛의 한 부분을 도어 핸들 내부에 배치하는 것은, 조작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동작과 도어 핸들 및 가동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핸들 리세스(handle recess) 내부로 조작자가 침입하는 동작이 상호 구별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그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에 의해, 차량에 액세스 시 편안함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또한, 전방 조명을 구현하기 위해, 전술한 전자 유닛이 바람직하게 도어 핸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광 모듈(light module)을 구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밖에, 도어 핸들 내부에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 형태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도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에 의해서는, 차량에 액세스하지 않고서도, 외부 장치와 안전 시스템 또는 차량 전자 장치 간의 외부 데이터 교환이 간단한 유형 및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데이터 라인을 통해 도어 핸들을 안전 시스템 또는 차량 측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기 위해, 도어 핸들의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에 전기 플러그 접속부가 배치되고, 이 전기 플러그 접속부가 캐리어에 있는 대응 플러그 접속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도어 핸들의 연결 수단에 있는 플러그 접속부는, 도어 핸들이 가동 부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캐리어 내부로 삽입될 때, 캐리어에 있는 대응 플러그 접속부와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고정 요소의 이동에 의한 도어 핸들의 체결 또는 고정은 동시에 대응 플러그 접속부와 플러그 접속부의 체결을 유도한다. 이와 같은 유형 및 방식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의 장착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기 플러그 접속부를 연결 수단에 형성하는 방식은, 플러그가 더 이상 가동 부분의 내부면에 의해 대응 플러그 접속부와 수동으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연결 수단과 전기 플러그 접속부 사이에 또 하나의 라인이 제공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 추가 라인에 의해서는 도어 핸들의 플러그 접속이 캐리어에서 또는 가동 부분의 내부면에서 기하학적으로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부분에서 언급할 사실은, 적어도 도어 핸들 또는 캐리어가 특히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도어 핸들은, 전자 유닛이 추가 비용 없이 도어 핸들 내부에 부분적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 전자기장을 차폐하지 않는다. 도어 핸들 시스템의 특히 안정적인 형상을 얻기 위해, 캐리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주조부품, 특히 경금속 주조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리어가 자체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중량을 감소시키는 벌집 형상의 보강 리브(reinforcing rib)를 구비하는 경우도 장점이 된다. 이상적으로는, 캐리어에 있는 고정 수단을 위한 가이드 수단이 동일하게 함께 분사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을 위한 안전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의 가동 부분, 특히 도어 또는 해치백 등을 작동하기 위한 도어 핸들 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한, 청구항 20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와 같은 장착 방법에서는, 도어 핸들 시스템을 차량의 가동 부분에 장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수행한다:
a) 가동 부분의 내부면에 캐리어를 고정하는 단계,
b) 도어 핸들의 연결 수단을 외부면으로부터 가동 부분에 있는 개구를 통해 캐리어 내부로 선형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c) 고정 요소를 릴리스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조정함으로써, 도어 핸들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단계 a), b) 및 c)와 관련하여 언급할 사실은, 이들 단계가 시간상으로 a), b), c)의 순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단계들의 세분도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계 c)에서는, 고정 요소를 고정 위치로 조정함으로써 양측 연결 수단이 고정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요소는 오로지 선형으로만 변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조정 요소가 필요한 조정력을 제공해주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조정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a)에서 캐리어가 먼저 가동 부분에 끼워지고, 이어서 고정 요소에 의해 가동 부분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리어가 가동 부분에 끼워지는 동작은 앞에서 이미 언급된 캐리어에 있는 보유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캐리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잠금 실린더가 가동 부분의 내부면으로부터 캐리어 내부로 변위되는 단계 b1)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를 캐리어 상의 고정 위치로 조정함으로써, 동시에 고정 요소에 의해 잠금 실린더가 고정되는 단계 c)가 이용될 수 있다. 이로써, 잠금 실린더 및 도어 핸들은 동시에 단계 c)에서 고정 요소에 의해 고정 위치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보유된다.
그밖에,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에서는, 앞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모든 특징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들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으로부터 개시된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방법에도 적용되며, 그 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도면에는 본 발명이 상이한 실시예들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부에 언급된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도 또는 조합된 형태로도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
도 1은 가동 부분의 내부면에 장착된, 자체 캐리어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배면도를 도시하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의 조정 요소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도 2a와 대등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조정 요소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에 있는 도어 핸들의 우측 고정 영역을 예시적인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을 고정 요소의 릴리스 위치에서 부분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핸들의 우측 고정 영역을 확대 도시하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와 대등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의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고정 요소의 고정 위치에서 도시하고,
도 6은 도 4와 대등하게 도 5에 도시된, 우측 고정 영역을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을 갖춘 차량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의 조정 요소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2b는 도 2a와 대등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조정 요소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에 있는 도어 핸들의 우측 고정 영역을 예시적인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을 고정 요소의 릴리스 위치에서 부분적인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핸들의 우측 고정 영역을 확대 도시하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단면도와 대등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의 단면도를 도시하지만, 고정 요소의 고정 위치에서 도시하고,
도 6은 도 4와 대등하게 도 5에 도시된, 우측 고정 영역을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을 갖춘 차량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상이한 실시예들의 동일한 기술적인 특징부를 위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사용된다.
도 1은, 차량(100)의 가동 부분(101)에서 내부면(101.1)에 장착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10)의 배면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장착된 도어 핸들(12) 중에 다만 도어 핸들(12)을 캐리어(11)에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연결 수단(12.3)만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11)에는 슬라이드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 요소(15)가 제공되어 있다. 고정 요소(15) 자체는 가이드 수단(11.1)을 통해 캐리어(11)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유지되며, 이를 위해 확장부를 갖는 장공 형상의 대응 가이드 수단(8)이 고정 요소(15)에 제공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정 요소(15)는 제1 섹션(15.3) 및 제2 섹션(15.4)을 구비하며, 이 경우 제1 섹션(15.3)은 고정 요소(15)의 제1 부분(15.5)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고, 제2 섹션(15.4)은 고정 요소(15)의 제2 부분(15.6)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이때, 제1 섹션(15.3)은 필요에 따라 존재하는 잠금 실린더(17)를 캐리어(11)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1에서는 다만, 잠금 실린더의 기계공학적인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레버와 연결된 잠금 실린더(17)의 후면만을 볼 수 있다. 제2 섹션(15.4)은 특히 도어 핸들의 연결 수단(12.3)에 의해 도어 핸들(12)을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정확한 기능 방식은 도 3, 도 4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해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요소(15)는 본 경우에 2개의 부분(15.5 및 15.6)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2개 부분은 도면에 도시된 2개의 연결 수단(15.7)에 의해 서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들 연결 수단(15.7)은, 고정 요소(15)의 제1 부분(15.5)으로부터 돌출하고, 고정 요소(15)의 제2 부분(15.6)에 있는 홀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정 요소(16)는 또한 리벳 또는 나사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개 부분(15.5와 15.6)이 서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 고정 요소(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에서 캐리어(11)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나사(16.1) 형상으로 도시된 조정 요소(16)를 위한 수용부가(11.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자체 보강 리브(11.4)를 갖춘 캐리어(11)의 벌집 형상 구조도 잘 알 수 있다.
도 2a에는, 조정 요소(16)를 구비하는 캐리어(11)의 좌측 영역의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조정 요소(16)가 조정 나사(16.1)로서 형성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그러나 이때, 나사 헤드는 캐리어(11)의 수용부(11.3) 내부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조정 요소(16)가 캐리어(11)에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이 야기된다. 나사(16.1)의 나사산은 고정 수단(15) 내에서 특히 제1 섹션(15.3)에 있는 나사산과 상호 작용한다. 이 경우, 캐리어(11) 내에 존재하는 관통구를 통과하는 나사의 회전은, 전체 고정 요소(15)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25)의 방향으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유도한다. 이로써, 고정 요소(15)는 조정 나사(16.1)의 회전에 의해 릴리스 위치(Ⅰ)로부터 고정 위치(Ⅱ)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도어 핸들(12)이 다만 조정 요소(16)의 작동에 의해서만 릴리스 위치(Ⅰ)와 고정 위치(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또한, 도 2b에는, 도 2a의 확대 단면도와 대등한 조정 요소(16)의 선택적인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조정 요소(16)가 바람직하게 결합 수단(16.3)을 구비하는 스프링(16.2)으로서 형성된다. 도면을 통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차 조정 요소(16)가 캐리어(11)의 수용부(11.3)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조정 요소(16)가 기존의 결합 수단(16.3)에 의해 수용부(11.3) 내에 있는 홈 내부에서 지지된다. 이때 나사 형상의 조정 요소(16)가 헤드 영역에 있는 차량 키 삽입부에 의해 회전되면, 결합 수단(16.3)이 홈으로부터 빠져나가고, 스프링(16.2)이 전체 조정 요소(16)를 지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 요소(15)는 릴리스 위치(Ⅰ)로부터 고정 위치(Ⅱ)로 넘어가게 된다. 이를 위해, 조정 요소(16)는 고정 요소(15)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의 장착은 특히 간단한데, 그 이유는 도어 핸들(12)의 제동이 다만 조정 요소(16)를 약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성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c에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핸들(12)의 우측 연결 수단(12.3)의 확대도가 예시적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연결 수단(12.3)의 전면은 플러그 접속부(19)의 콘택을 구비하며, 이 콘택은 캐리어(11)에 있는 대응 플러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 핸들(12)이 캐리어(11) 내부에 고정되는 것은, 도어 핸들 내에 배치된 전자 유닛(13)의 부분이 캐리어(11) 또는 자동차 측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황을 동시에 유도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12.3)으로부터는, 도 1에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접속부(19)를 갖춘 케이블이 외부로 유도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10)이 종방향 연장부(18)에 걸쳐 부분적인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고정 요소(15)는 릴리스 위치(Ⅰ)에 있으며, 이 경우 캐리어(11)는 이미 가동 부분(101)에서의 장착 위치(Ⅲ)를 취하고 있다. 도면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요소(15)는 2개의 부분(15.5 및 1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부분(15.5)은, 잠금 실린더(17)를 캐리어(11)에 특히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주조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실린더(17)도 마찬가지로 고정 요소(15)가 릴리스 위치(Ⅰ)로부터 고정 위치(Ⅱ)로 이동함으로써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15)의 제1 섹션(15.3)이 잠금 실린더(17)의 힐(heel) 뒤로 이동함으로써, 형상 결합부가 형성된다. 고정 요소(15)의 제2 부분(15.6)은 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도어 핸들(12)의 연결 수단(12.3)을 위한 2개의 관통구를 구비한다. 캐리어(11)의 장착 위치(Ⅲ) 그리고 고정 요소(15)의 릴리스 위치(Ⅰ)에서는, 도어 핸들(12)이 가동 부분(100)에 있는 개구(101.3)를 관통하며, 이와 동시에 연결 수단(12.3)은 또한 부분적으로도 캐리어(11)를 통과하게 된다. 도 3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핸들(12)은 종방향 연장부(18)를 구비하며, 이 경우 도어 핸들은 2개의 단부(12.2)를 구비한다. 2개의 단부(12.2)에서는, 도어 핸들(12)의 종방향 연장부(18)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된 바아(bar) 형상의 연결 수단(12.3)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바아 형상의 연결 수단(12.3)에 의 전술한 밀봉부가 밀릴 수 있다.
도 4를 참조해서는, 캐리어(11)가 후크 형상의 보유 수단(11.2)에 의해 가동 부분(101)에서의 장착 위치(Ⅲ)에 어떻게 유지되는가를 가장 먼저 잘 알 수 있다. 추가로, 캐리어(11)를 가동 부분(101)에서 정확하게 정렬하고 유지하기 위해, 나사 형상의 고정 요소(14)가 제공되어 있다. 고정 요소(14)는 나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면(101.2)에서 가동 부분(101)을 관통하며, 도 4에 상응하게 지시되어 있는 캐리어(11)에 있는 나사산과 상호 작용한다. 또한, 도어 핸들(12)과 개구(101.3) 둘레의 가동 부분(101) 사이에는 밀봉부(2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이제 도 5 및 도 6으로부터는, 캐리어(11)에서의 도어 핸들(12)의 로킹 상태가 드러난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15)는 조정 요소(16)의 작동에 의해 릴리스 위치(Ⅰ)로부터 고정 위치(Ⅱ)로 넘어간다. 본 경우에, 이와 같은 변환은 순전히 고정 요소(15)의 선형 운동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전체 고정 요소(15)가 캐리어(11)에 있는 가이드 수단(11.1)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15) 내에는 상응하는 장공(15.9)이 제공되어 있다.
도 6에서는, 고정 요소(15)와 도어 핸들(12) 사이에서 발생하는 형상 결합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요소(15)에는 돌출부로서 형성된 고정 수단(15.1)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고정 수단은 연결 수단(12.3) 내부에 있는 리세스 또는 그루브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리세스 또는 그루브는 고정 수단(15.1)을 위한 대응 고정 수단(12.4)을 형성한다. 고정 수단(15.1)이 대응 고정 수단(12.4)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응 고정 수단(12.4) 및 고정 수단(15.1)에 삽입 경사면(12.5)이 제공되어 있다. 추가로, 고정 수단(15.1)은 가요성 설형부로서의 예비 응력 수단(15.2)을 구비하며, 이 예비 응력 수단에 의해서는 도어 핸들(12)의 증가된 압착력이 가동 부분(100)의 외부면(101.2)에 작용하게 된다. 상기 예비 응력 수단(15.2)은 고정 수단(15.1)의 사다리꼴 형상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경사면은 동시에 또한 도어 핸들(12)의 대응 고정 수단(12.4)을 위한 삽입 경사면도 형성한다. 고정 수단(15.1)은 양 측면에서 연결 수단(12.3)의 대응 고정 수단(12.4) 내부로 돌출한다. 이로써, 도어 핸들(12)의 점 형태의 로킹이 피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는 또한 고정의 안정성도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도 7에는, 안전 시스템(103)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100)이 지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차량 도어를 나타내는 가동 부분(101)에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10: 도어 핸들 시스템
11: 캐리어
11.1: 15를 위한 가이드 수단
11.2: 101을 위한 보유 수단
11.3: 16을 위한 수용부
11.4: 보강 리브
12: 도어 핸들, 특히 고정됨
12.1: 손잡이
12.2: 단부
12.3: 연결 수단
12.4: 15를 위한 대응 고정 수단
12.5: 삽입 경사면
13: 10/12의 전자 유닛
13.1: 12 내에 있는 전자 유닛의 부분
14: 11을 위한 고정 요소, 특히 나사
15: 고정 요소
15.1: 12를 위한 고정 수단
15.2: 예비 응력 수단
15.3: 제1 섹션
15.4: 제2 섹션
15.5: 제1 부분
15.6: 제2 부분
15.7: 연결 수단
15.8: 대응 가이드 수단
15.9: 11.1을 위한 장공
16: 조정 요소
16.1: 나사
16.2: 스프링
16.3: 결합 수단
17: 잠금 실린더
18: 12의 종방향 연장부
19: 플러그 접속부
20: 12를 위한 밀봉부
100: 차량, 특히 자동차
101: 가동 부분
101.1: 내부면
101.2: 외부면
101.3: 개구
102: 자물쇠, 특히 전자 기계식
103: 안전 시스템
Ⅰ: 15의 릴리스 위치
Ⅱ: 15의 고정 위치
Ⅲ: 11의 장착 위치
11: 캐리어
11.1: 15를 위한 가이드 수단
11.2: 101을 위한 보유 수단
11.3: 16을 위한 수용부
11.4: 보강 리브
12: 도어 핸들, 특히 고정됨
12.1: 손잡이
12.2: 단부
12.3: 연결 수단
12.4: 15를 위한 대응 고정 수단
12.5: 삽입 경사면
13: 10/12의 전자 유닛
13.1: 12 내에 있는 전자 유닛의 부분
14: 11을 위한 고정 요소, 특히 나사
15: 고정 요소
15.1: 12를 위한 고정 수단
15.2: 예비 응력 수단
15.3: 제1 섹션
15.4: 제2 섹션
15.5: 제1 부분
15.6: 제2 부분
15.7: 연결 수단
15.8: 대응 가이드 수단
15.9: 11.1을 위한 장공
16: 조정 요소
16.1: 나사
16.2: 스프링
16.3: 결합 수단
17: 잠금 실린더
18: 12의 종방향 연장부
19: 플러그 접속부
20: 12를 위한 밀봉부
100: 차량, 특히 자동차
101: 가동 부분
101.1: 내부면
101.2: 외부면
101.3: 개구
102: 자물쇠, 특히 전자 기계식
103: 안전 시스템
Ⅰ: 15의 릴리스 위치
Ⅱ: 15의 고정 위치
Ⅲ: 11의 장착 위치
Claims (24)
- 차량(100)의 가동 부분(101), 특히 도어 또는 해치백 등을 작동하기 위한 도어 핸들 시스템(10)으로서,
가동 부분(101)의 내부면(101.1)에 배치될 수 있는 캐리어(11)와,
상기 캐리어(11)에 의해 가동 부분(101)의 외부면(101.2)에 배치될 수 있는 도어 핸들(12)로서, 상기 도어 핸들(12)은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18)에 걸쳐 2개의 단부(12.2)를 가지며, 이들 단부에 각각 캐리어(11)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수단(12.3)이 제공되는, 도어 핸들(12)과,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12.3)에 의해 도어 핸들(12)을 캐리어(11)에 고정하는 데 이용되고 하나 이상의 릴리스 위치(Ⅰ) 및 고정 위치(Ⅱ)를 갖는 고정 요소(15)와,
상기 릴리스 위치(Ⅰ)와 상기 고정 위치(Ⅱ) 사이에서 고정 요소(15)를 조정하는 데 이용되는 조정 요소(16)를 구비한, 도어 핸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15)는 자신의 고정 위치(Ⅱ)에서 2개의 연결 수단(12.3)에 의해 도어 핸들(12)을 캐리어(11)에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에 있어서,
도어 핸들(12)은, 특히 고정 요소(15)에 의해 가동 부분(101)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15)는 캐리어(11)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특히 상기 고정 요소(15)는 가이드 수단(11.1)을 통해 캐리어(11)에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캐리어(11) 또는 도어 핸들(12)을 고정하기 위해 가동 부분(101)에 개구들(101.3)이 제공되며,
캐리어(11)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보유 수단(11.2)에 의해 가동 부분(10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보유 수단(11.2)은 가동 부분(101)에 있는 개구들(101.3)의 개구 가장자리 뒤로 적어도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11)는 하나 이상의 고정 요소(14)에 의해 가동 부분(101)에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고정 요소(14)는 나사(14.1)로서 형성되고, 가동 부분(101) 상의 장착 위치(Ⅲ)에서 캐리어(11) 상의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15)에 하나 이상의 예비 응력 수단(15.2)이 배치되고, 상기 예비 응력 수단이 고정 위치(Ⅱ)에서 도어 핸들(12)과 기계공학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도어 핸들(12)이 가동 부분(101)의 외부면(101.2)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예비 응력 수단(15.2)은, 고정 요소(15)로부터 특히 동일 재료로 형성된 가요성 설형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100)의 안전 시스템(103)의 임의의 기능의 기계공학적 트리거를 위해 이용되는 잠금 실린더(17)가 제공되며,
상기 잠금 실린더(17)는 캐리어(11)에 의해 가동 부분(101)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 요소(15)가 상기 잠금 실린더(17)를 캐리어(11)에,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15)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섹션(15.3, 15.4)을 가지며,
특히 제2 섹션(15.4)은 도어 핸들(12)을 캐리어(11)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며,
특히 제1 섹션(15.3)은 잠금 실린더(17)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고정 요소(15)의 제2 섹션(15.4)에는, 캐리어(11)에 있는 가이드 수단(11.1)과, 특히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대응 가이드 수단(15.8)도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15)는 적어도 일체형으로, 동일 재료로, 또는 모놀리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15)는 적어도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이때 제1 부분(15.5)은 제1 섹션(15.3)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부분(15.6)은 제2 섹션(15.4)에 의해 형성되며,
특히 제1 부분(15.5)은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15.7)에 의해 상기 제2 부분(15.6)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요소(16)는 특히 직접 캐리어(11) 상의 수용부(11.3) 내에 지지되고, 고정 요소(15)는 릴리스 위치(Ⅰ)와 고정 위치(Ⅱ)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되며,
특히 조정 요소(16)는 나사(16.1)로서 형성되거나, 특히 결합 수단(16.3)을 구비한 스프링 요소(16.2)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요소(16)는 가동 부분(101) 내에 있는 관통구를 통해 접근 및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요소(16)는 고정 요소(15)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 핸들(12)의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12.3)이 상기 도어 핸들(12)과 적어도 일체형으로, 동일 재료로, 또는 모놀리식으로 형성되며,
특히 연결 수단(12.3)은 도어 핸들(12)의 단부들(12.2)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돌출하고, 특히 도어 핸들(12)의 종방향 연장부(18)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 핸들(12)의 양측 연결 수단(12.3)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며, 특히 이들 연결 수단(12.3)은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15)에는 특히 제2 섹션(15.4)에 제공된 고정 수단들(15.1)이 배치되고,
이들 고정 수단(15.1)은 기계공학적으로, 고정 요소(15)가 고정 위치(Ⅱ)에 있을 때 도어 핸들(12)의 연결 수단들(12.3)에 있는 대응 고정 수단들(12.4)과 상호 작용하며,
특히 하나 이상의 삽입 경사면(12.5)이 적어도 고정 수단(15.1) 또는 대응 고정 수단(12.4)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100)의 안전 시스템(103)과 데이터 기술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유닛(13)이 제공되며,
특히 상기 전자 유닛(13)의 한 부분(13.1)이 도어 핸들(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 핸들(12)에, 특히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12.3)에 전기 플러그 접속부(19)가 배치되어, 캐리어(11)에 있는 대응 플러그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 차량(100)의 가동 부분(101), 특히 도어 또는 해치백 등을 작동하기 위한 도어 핸들 시스템(10)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동 부분(101)의 내부면(101.1)에 고정될 수 있는 캐리어(11)와,
상기 캐리어(11)에 의해 가동 부분(101)의 외부면(101.2)에 배치될 수 있는 도어 핸들(12)로서, 상기 도어 핸들(12)은 자신의 종방향 연장부(18)에 걸쳐 2개의 단부를 가지며, 이들 단부에 각각 캐리어(11)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수단(12.3)이 제공되는, 도어 핸들(12)과,
하나 이상의 연결 수단(12.3)에 의해 도어 핸들(12)을 캐리어(11)에 고정하는 데 이용되고, 하나 이상의 릴리스 위치(Ⅰ) 및 고정 위치(Ⅱ)를 갖는 고정 요소(15)를 구비한 도어 핸들 시스템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도어 핸들 시스템(10)을 차량(100)의 가동 부분(101)에 장착하기 위해,
a) 가동 부분(101)의 내부면(101.1)에 캐리어를 고정하는 단계와,
b) 도어 핸들(12)의 연결 수단(12.3)을 외부면(101.2)으로부터 가동 부분(101)에 있는 개구들(101.3)을 통해 캐리어 내부로 선형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c) 고정 요소(15)를 릴리스 위치(Ⅰ)로부터 고정 위치(Ⅱ)로 조정함으로써, 도어 핸들(12)을 형상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장착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고정 요소(15)를 고정 위치(Ⅱ)로 조정함으로써 양측 연결 수단(12.3)이 고정되며, 특히 상기 고정 요소(15)는 오직 선형으로만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장착 방법. -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캐리어(11)가 먼저 가동 부분(101)에 끼워지고, 이어서 고정 요소(14)에 의해 상기 가동 부분(10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장착 방법. -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1)에서 잠금 실린더(17)가 가동 부분(101)의 내부면(101.1)으로부터 캐리어(11) 내부로 변위되고,
단계 c)에 의해 동시에, 고정 요소(15)를 캐리어(11) 상의 고정 위치(Ⅱ)로 조정함으로써, 고정 요소(15)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장착 방법. -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핸들 시스템(10)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시스템(10) 장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4102682.9 | 2014-02-28 | ||
DE102014102682 | 2014-02-28 | ||
PCT/EP2015/053856 WO2015128332A1 (de) | 2014-02-28 | 2015-02-24 | Türgriffsystem für fahrzeu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8316A true KR20160128316A (ko) | 2016-11-07 |
Family
ID=5257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3254A KR20160128316A (ko) | 2014-02-28 | 2015-02-24 |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280117B2 (ko) |
EP (1) | EP3111029B1 (ko) |
KR (1) | KR20160128316A (ko) |
CN (1) | CN105960498B (ko) |
DE (1) | DE102015102638A1 (ko) |
WO (1) | WO201512833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28316A (ko) | 2014-02-28 | 2016-11-07 |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
DE102015104870A1 (de) * | 2015-03-30 | 2016-10-06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Türgriff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
DE102015110531A1 (de) | 2015-06-30 | 2017-01-05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Türgriffsystem für Fahrzeuge |
EP3192954B1 (en) * | 2016-01-12 | 2018-10-17 | U-Shin Italia S.p.A. | Handle for a vehicle door |
DE102016110345A1 (de) | 2016-06-03 | 2017-12-07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Zusätzliches Türgriffmodul für eine Türgriffeinheit |
DE102018107503A1 (de) * | 2018-03-28 | 2019-10-0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Griffvorrichtung für eine Tür oder eine Klappe |
CN113216768B (zh) * | 2021-05-12 | 2023-07-21 |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 一种汽车隐藏式门把手安装结构以及安装方法 |
DE102022212966A1 (de) * | 2022-12-01 | 2024-06-06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Türgriffeinheit für eine Fahrzeugtür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19917A (en) | 1994-08-05 | 1996-05-28 | Cambridge Industries, Inc. | Mounting device for a front mounted removable handle and the like |
US5706554A (en) * | 1994-12-02 | 1998-01-13 | Ewald Witte Gmbh & Co. Kg | Handle fitting,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 opening in a door, particularly a motor-vehicle door |
DE19950172B4 (de) * | 1999-10-19 | 2009-02-1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Griffbeschlag,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tür |
DE10033309B4 (de) | 2000-07-04 | 2004-05-06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 Kraftfahrzeugtürverschluss |
US6363577B1 (en) * | 2000-08-25 | 2002-04-02 | Adac Plastics, Inc. |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with maximized bearing interface |
DE10123826A1 (de) | 2001-05-16 | 2002-11-21 |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 Türaußengriff für die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es |
DE10151862A1 (de) * | 2001-10-24 | 2003-05-15 | Huf Huelsbeck & Fuerst Gmbh |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an Fahrzeugen |
DE10151870B4 (de) * | 2001-10-24 | 2005-06-16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oder Klappen, insbesondere an Fahrzeugen |
DE10217488B4 (de) | 2002-04-19 | 2005-06-23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von Türen, Klappen od.dgl., insbesondere an Fahrzeugen |
US7971913B2 (en) * | 2004-07-23 | 2011-07-05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
JP4469241B2 (ja) * | 2004-07-23 | 2010-05-2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
JP4196899B2 (ja) * | 2004-08-05 | 2008-12-1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ドアハンドル装置 |
US7344168B2 (en) * | 2004-10-14 | 2008-03-18 | U-Shin Ltd. |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s |
DE102007052777A1 (de) * | 2006-11-09 | 2008-05-15 |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 Betätigungsmechanismus für einen Türverschluss einer Kraftfahrzeugtür sowie Verfahren zu dessen Montage und Kraftfahrzeugtür |
DE102007027845A1 (de) | 2007-06-13 | 2008-12-18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Verschlusses eines beweglichen Teils |
IT1392399B1 (it) * | 2008-12-22 | 2012-03-02 | Valeo Spa | Maniglia per porta di autoveicolo |
JP5162617B2 (ja) * | 2010-04-15 | 2013-03-13 |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
JP5556620B2 (ja) * | 2010-11-26 | 2014-07-23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ドアハンドル装置 |
KR20160128316A (ko) | 2014-02-28 | 2016-11-07 |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
DE102018107503A1 (de) * | 2018-03-28 | 2019-10-0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Griffvorrichtung für eine Tür oder eine Klappe |
DE102018107504A1 (de) * | 2018-03-28 | 2019-10-02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Griffvorrichtung |
-
2015
- 2015-02-24 KR KR1020167023254A patent/KR201601283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2-24 US US15/122,228 patent/US11280117B2/en active Active
- 2015-02-24 WO PCT/EP2015/053856 patent/WO2015128332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2-24 DE DE102015102638.4A patent/DE102015102638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5-02-24 EP EP15706238.1A patent/EP3111029B1/de active Active
- 2015-02-24 CN CN201580006880.6A patent/CN10596049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280117B2 (en) | 2022-03-22 |
US20160369532A1 (en) | 2016-12-22 |
CN105960498B (zh) | 2019-05-10 |
EP3111029A1 (de) | 2017-01-04 |
WO2015128332A1 (de) | 2015-09-03 |
CN105960498A (zh) | 2016-09-21 |
EP3111029B1 (de) | 2019-12-11 |
DE102015102638A1 (de) | 2015-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28316A (ko) |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 |
CN107771236B (zh) | 用于车辆的门把手系统 | |
US9879451B2 (en) | Handle device having a mechanical return mechanism | |
CN109312584B (zh) | 具有表面平齐的把手的把手装置 | |
US9341005B2 (en) | Handle device | |
US10563437B2 (en) | Flush comfort handle | |
KR102342076B1 (ko) | 자동차의 도어 또는 플랩을 열기 위한 장치 | |
US8864193B2 (en) | Vehicle door inner handle cable connection | |
US8833813B2 (en) | Handle device | |
CN107152207B (zh) | 改进的门锁致动器,尤其是内门锁致动器 | |
US8950225B2 (en) | Handle device comprising a shell-shaped bearing | |
US20210172218A1 (en) |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 |
CN112204217B (zh) | 门扇把手装置,特别是用于机动车辆的 | |
US6910303B1 (en) | Device for actuating an electronic locking system and/or a lock integrated in a door, a flap or the like,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 |
BR0103221A (pt) | Fechadura para porta de automóvel | |
US11555339B2 (en) | Lock device | |
KR101479916B1 (ko) | 도어 장치 및 도어 장치를 위한 조립 방법 | |
US10661754B2 (en) | Inside door handle system for a door of a vehicle | |
CN111971441B (zh) | 用于门或罩盖的把手装置 | |
US20210293057A1 (en) |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Actuating a Locking System | |
US11866963B2 (en) | Remotely actuable release device for a vehicle door lock | |
US20190352944A1 (en) | Handle comprising a movable lock cylinder unit | |
CN111344468B (zh) | 机动车锁 | |
CN116368280A (zh) | 用于车辆可运动部分的模块式组件和用于操作车辆可运动部分的方法 | |
EP3446923B1 (en) | Bike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