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450A -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 Google Patents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450A
KR20160127450A KR1020150058872A KR20150058872A KR20160127450A KR 20160127450 A KR20160127450 A KR 20160127450A KR 1020150058872 A KR1020150058872 A KR 1020150058872A KR 20150058872 A KR20150058872 A KR 20150058872A KR 20160127450 A KR20160127450 A KR 2016012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glass
tilt
sli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136B1 (ko
Inventor
박재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8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sliding with final closing motion having vertical component to attain closed and sealed condition, e.g. sliding under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 상에 설치되는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프런트글래스,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리어글래스,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 리어글래스의 후방을 틸트업(tilt-up)시키는 리어틸트레버 및 리어슬레드와 리어틸트슬레드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타이밍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는 모두 루프패널의 외부를 향해 틸트업된 후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의 헤드룸 공간을 증대시키고 생산원가 및 중량이 감소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STRUCTURE OF DUAL OPEN PANORAMA-SUNROOF}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 상에 설치되는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가 모두 루프패널의 외부를 향해 틸트업된 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와 리어타이밍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가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루프패널 상에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부는 통상적으로 선루프글래스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최근에는 시원한 개방감과 우수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위해 차량의 루프패널의 대부분을 글래스로 제작하고 그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방식의 파노라마 선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운전자는 차량 주행시 파노라마 선루프의 선루프글래스를 개방하여 시원한 주행감을 느끼거나 차량 정차시 일반적인 선루프에 비해 더욱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파노라마 선루프는, 루프패널의 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런트글래스 및 루프패널의 후방에 고정 장착되는 리어글래스로 구성되고, 상기 프런트글래스는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나 종래 파노라마 선루프는 프런트글래스만 개방되고 리어글래스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반 선루프와 별다른 차이가 없고, 2열에 탑승한 탑승자는 거의 개방감을 느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가 모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듀얼 오픈 방식의 파노라마 선루프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 역시 차량 내부의 헤드룸 공간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는 프런트글래스가 루프패널의 외부를 향해 슬라이딩되고 리어글래스가 루프패널의 내부를 향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헤드룸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는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가 각각 개별적인 메커니즘, 레일 및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므로 차량의 중량 및 생산원가가 증대되고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여 차량의 헤드룸 공간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가 모두 루프패널의 외부를 향해 틸트업된 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차량의 헤드룸 공간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와 리어타이밍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가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생산원가 및 중량 등이 감소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루프패널 상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설치된 메커니즘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프런트슬레드와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프런트글래스; 상기 메커니즘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리어슬레드와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리어글래스; 후단이 상기 리어슬레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프런트슬레드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프런트홈이 형성되어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 상기 메커니즘레일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리어틸트슬레드에 일측이 수용되어 회동 가능하며, 리어글래스의 후방을 틸트업(tilt-up)시키는 리어틸트레버; 및 전단이 상기 리어슬레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단에 리어틸트슬레드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리어홈이 형성되어 리어슬레드와 리어틸트슬레드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타이밍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는 모두 루프패널의 외부를 향해 틸트업된 후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에서 상기 리어틸트슬레드의 측면에는 리어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리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홈의 전방면에는 둔각으로 이루어진 제 1 리어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홈의 후방면에는 예각으로 이루어진 제 2 리어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에서 상기 메커니즘레일에는 레일홈부가 관통 형성되며, 리어글래스의 후방 틸트업시 리어돌기는 레일홈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에서 상기 리어틸트레버에는 굴곡진 형태로 제 1 리어틸트슬릿 및 제 2 리어틸트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리어틸트슬레드에는 제 1 리어틸트슬릿 및 제 2 리어틸트슬릿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제 1 리어틸트돌출부 및 제 2 리어틸트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리어틸트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 1 리어틸트돌출부 및 제 2 리어틸트돌출부가 제 1 리어틸트슬릿 및 제 2 리어틸트슬릿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리어틸트레버가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는, 상기 프런트글래스의 하부에 결합된 프런트캐리지플레이트와 프런트슬레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프런트글래스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키는 프런트레버; 및 상기 리어글래스의 하부에 결합된 리어레일과 리어슬레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리어글래스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키는 리어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가 모두 개방 가능하여 파노라마 선루프의 환기성능 및 탑승자의 개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런트레버 및 프런트틸트레버에 의해 프런트글래스가 틸트업된 후 이동하고 리어레버 및 리어틸트레버에 의해 리어글래스가 틸트업된 후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차량의 헤드룸 공간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에서 프런트글래스가 루프패널의 외부로 슬라이딩되고 리어글래스가 루프패널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은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가 모두 루프패널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헤드룸 공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 및 리어타이밍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 및 리어틸트레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구동모터 및 메커니즘레일을 통해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를 작동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원가 및 중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기계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 및 리어타이밍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잔고장이 적으며 정비, 수리 및 교체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생산원가 및 중량이 감소되면서 차량 내부의 공간이 증대되며 탑승자의 개방감이 향상되어 차량의 고급화가 용이하고 차량의 상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의 각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가 폐쇄된 상태의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의 후방이 틸트업된 상태의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가 개방된 상태의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가 개방된 상태의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를 도시한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가 이격되었을 때,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차량 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가 접촉되었을 때,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차량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기 전, 리어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리어틸트레버가 회전되었을 때, 리어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리어글래스가 개방될 때, 리어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레버의 회전운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레버의 회전운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틸트레버의 회전운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의 개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의 폐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가 틸트업된 후 다시 폐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의 각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각 상태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패널(14) 상에 형성된 개구부(14a)의 양측에는 메커니즘레일(20)이 설치되며, 상기 메커니즘레일(20)을 따라 프런트슬레드(30) 및 리어슬레드(4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개구부(14a)의 일측에 설치된 메커니즘레일(20)만 도시되어 있지만, 개구부의 타측에도 동일한 형태로 메커니즘레일이 설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는 각각 프런트글래스(10)와 리어글래스(12)에 연결되어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런트슬레드(30)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프런트글래스(10)와 리어글래스(12)는 통상적인 선루프글래스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및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소재의 유리로 이루어지며, 투명유리, 불투명유리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즘레일(20)의 후방에는 리어틸트슬레드(5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리어틸트슬레드(50)는 리어틸트레버(52)의 일측을 수용하여 리어틸트레버가 회전 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틸트슬레드(50)는 리어슬레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어슬레드에 밀려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리어틸트레버(52)가 회전하여 리어글래스(12)의 후방을 틸트업(tilt-up) 시킨다.
상기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는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60)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어슬레드(40)와 리어틸트슬레드(50)는 리어타이밍플레이트(70)에 의해 연결되며, 이에 따라 프런트슬레드(30)만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프런트글래스(10) 및 리어글래스(12)가 유기적으로 개방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글래스(10)와 리어글래스(12)가 폐쇄 상태일 때, 프런트슬레드(30)는 메커니즘레일의 전방에 배치되고 리어슬레드(40)는 메커니즘레일의 중앙에 배치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슬레드(30)가 후방으로 조금 이동하면 프런트글래스(10)의 후방에 배치된 프런트틸트레버(1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런트글래스(10)의 후방을 틸트업 시키게 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슬레드(30)가 더 후방으로 이동하면 프런트글래스(10)의 하부에 결합된 프런트캐리지플레이트(10a)와 프런트슬레드(30)의 사이를 연결하는 프런트레버(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런트글래스(10)의 전방을 틸트업 시킴과 동시에 프런트글래스(10)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가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6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프런트슬레드(30)가 더 후방으로 이동되면, 리어슬레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리어슬레드와 리어타이밍플레이트(70)로 연결된 리어틸트슬레드(50)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리어틸트레버(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리어글래스(12)의 후방을 틸트업 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글래스(12)의 하부에 결합된 리어레일(12a)과 리어슬레드(40)의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레버(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리어글래스(12)의 전방을 틸트업 시킴과 동시에 리어글래스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프런트글래스(10)와 리어글래스(12)의 폐쇄는 전술한 과정의 반대 과정을 따라 리어글래스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폐쇄되고 프런트글래스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폐쇄되는 과정을 따른다.
상기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60) 및 리어슬레드와 리어틸트슬레드의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타이밍플레이트(7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가 이격되었을 때의 모습을 차량 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가 접촉되었을 때의 모습을 차량 외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슬레드가 리어슬레드에 접촉될 때,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60)는 후단이 리어슬레드(4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프런트슬레드(30)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프런트홈(62)이 형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가 이격되어 있을 때, 즉 프런트글래스(10)와 리어글래스(12)의 폐쇄시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 사이의 연결은 끊어져 있으며, 리어슬레드(4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커니즘레일(20)의 하부에는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60)의 위치에 대응하여 레일트림부(22)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의 프런트홈(62) 하단은 이러한 레일트림부(22)에 삽입되어 구속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슬레드(30)의 일측에는 프런트홈(62)에 수용될 수 있도록 프런트돌기(30a)가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프런트돌기(30a)가 프런트홈(62)에 수용된 상태에서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60)를 후방으로 밀어냄에 따라 레일트림부(22)에 의한 구속은 해제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홈(62)의 전방면에는 둔각으로 이루어진 제 1 프런트경사면(62a)이 형성되고 프런트홈(62)의 후방면에는 예각으로 이루어진 제 2 프런트경사면(62b)이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돌기(30a)의 전방면과 후방면은 제 1 프런트경사면(62a)과 제 2 프런트경사면(62b)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런트돌기(30a)는 일정한 힘 이상(일정한 힘 이하에서는 제 1 프런트경사면에 의해 구속)이 가해지면 제 1 프런트경사면(62a)을 타고 넘어갈 수는 있지만 제 2 프런트경사면(62b)을 타고는 넘어갈 수 없으며, 제 2 프런트경사면(62b)은 프런트슬레드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리어슬레드(40)로 전달하는 지지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프런트글래스(10)와 리어글래스(12)의 개방시, 프런트돌기(30a)가 프런트홈(62)에 수용됨에 따라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 사이의 연결이 유지되어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는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프런트글래스(10)와 리어글래스(12)의 폐쇄시, 일정한 힘 이하(리어글래스의 완전 폐쇄 전까지)에서는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 사이의 연결이 유지되지만 일정한 힘 이상(리어글래스의 완전 폐쇄 후)에서는 프런트슬레드(30)와 리어슬레드(40)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기 전, 리어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리어틸트레버가 회전되었을 때, 리어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리어글래스가 개방될 때, 리어타이밍플레이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타이밍플레이트(70)는 전단이 리어슬레드(4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단에 리어틸트슬레드(50)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도록 리어홈(72)이 형성되어 리어슬레드(40)와 리어틸트슬레드(50)의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리어틸트슬레드(50)의 일측에는 리어홈(72)에 수용될 수 있도록 리어돌기(50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홈(72)의 전방면에는 둔각으로 이루어진 제 1 리어경사면(72a)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홈(72)의 후방면에는 예각으로 이루어진 제 2 리어경사면(72b)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돌기(50a)의 전방면과 후방면은 리어홈의 제 1 리어경사면(72a)과 제 2 리어경사면(72b)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슬레드(40)가 이동되기 전, 즉 리어글래스(12)의 완전 폐쇄시 리어돌기(50a)는 리어홈(72)에 수용되어 있으며 리어슬레드(40)와 리어틸트슬레드(50)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슬레드(40)가 후방으로 조금 이동하여 리어돌기(50a)가 제 1 리어경사면(72a)을 넘어서지 못할 정도의 힘만 가해지면, 리어타이밍플레이트(70)에 의해 연결된 리어틸트슬레드(50)는 리어슬레드(40)와 함께 후방으로 조금 이동하여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리어틸트레버(5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리어글래스(12)의 후방이 틸트업된다.
상기 리어타이밍플레이트(70)가 조금 더 후방으로 이동되면, 메커니즘레일(20)에 관통 형성된 레일홈부(24)에 리어틸트슬레드의 리어돌기(50a)가 삽입되어 구속되며, 이때 제 리어돌기(50a)는 제 1 리어경사면(72a)을 넘어서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돌기(50a)가 레일홈부(24)에 삽입되어 리어타이밍플레이트(70)의 좌우 유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리어슬레드(40)가 더욱 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와 연결된 리어글래스(12)는 개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레버의 회전운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레버의 회전운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어틸트레버의 회전운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d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글래스(10)의 하부에 결합된 프런트캐리지플레이트(10a)와 프런트슬레드(30)의 사이에는 프런트레버(3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프런트글래스(10)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키고, 상기 리어글래스(12)의 하부에 결합된 리어레일(12a)과 리어슬레드(40)의 사이에는 리어레버(42)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리어글래스(12)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킨다.
또한, 상기 메커니즘레일(20)의 전방부에는 프런트가이드(34)가 장착되고 메커니즘레일(20)의 중앙부에는 리어가이드(44)가 장착되는데, 상기 프런트가이드(34)와 리어가이드(44)는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이 이동할 때 케이블의 안내 역할을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레버(32)의 측면에는 제 1 프런트돌출부(32a) 및 제 2 프런트돌출부(32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런트돌출부(32a)는 프런트가이드(34)에 굴곡 형성된 프런트가이드슬릿(34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 2 프런트돌출부(32b)는 프런트슬레드(30)에 형성된 프런트슬릿(30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10)의 폐쇄시, 상기 제 1 프런트돌출부(32a)는 프런트가이드슬릿(34a)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제 2 프런트돌출부(32b)는 프런트슬릿(30b)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프런트슬릿(30b)은 직선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자 형태로 연결된 형상을 취하는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10)의 후방부 틸트업시 상기 프런트슬레드(30)가 후방(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 2 프런트돌출부(32b)는 프런트슬릿(30b)의 직선부를 따라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10)의 개방시, 상기 프런트슬레드(30)가 더욱 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2 프런트돌출부(32b)는 프런트슬릿(30b)의 곡선부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 1 프런트돌출부(32a)는 프런트가이드슬릿(34a)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프런트레버(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런트글래스(10)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키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레버(42)의 측면에는 제 1 리어돌출부(42a) 및 제 2 리어돌출부(42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 리어돌출부(42a)는 리어가이드(44)에 굴곡 형성된 리어가이드슬릿(44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 2 리어돌출부(42b)는 리어슬레드에 굴곡 형성된 리어슬릿(40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글래스(12)의 폐쇄시, 상기 제 1 리어돌출부(42a)는 리어가이드슬릿(44a)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제 2 리어돌출부(42b)는 리어슬릿(40a)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글래스(12)의 개방시, 상기 리어슬레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2 리어돌출부(42b)는 리어슬릿(40a)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 1 리어돌출부(42a)는 리어가이드슬릿(44a)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리어레버(4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리어글래스(12)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키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커니즘레일(20)의 후방부에는 리어틸트슬레드(50) 및 리어틸트레버(52)가 장착되며, 상기 리어틸트슬레드(50)의 측면에는 제 1 리어틸트돌출부(50b) 및 제 2 리어틸트돌출부(50c)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틸트레버(52)에는 굴곡진 형태로 제 1 리어틸트슬릿(52a) 및 제 2 리어틸트슬릿(52b)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 1 리어틸트돌출부(50b) 및 제 2 리어틸트돌출부(50c)는 각각 제 1 리어틸트슬릿(52a) 및 제 2 리어틸트슬릿(52b)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되며, 리어틸트레버(52)의 하단은 메커니즘레일(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글래스(12)의 폐쇄시, 상기 제 1 리어틸트돌출부(50b)는 제 1 리어틸트슬릿(52a)의 좌측 상단부에 배치되며 제 2 리어틸트돌출부(50c)는 제 2 리어틸트슬릿(52b)의 좌측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글래스(12)의 개방시, 상기 리어틸트슬레드(5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 1 리어틸트돌출부(50b) 및 제 2 리어틸트돌출부(50c)는 각각 제 1 리어틸트슬릿(52a) 및 제 2 리어틸트슬릿(52b)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제 1 리어틸트돌출부(50b)는 제 1 리어틸트슬릿(52a)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제 2 리어틸트돌출부(50c)는 제 2 리어틸트슬릿(52b)의 우측으로 이동되며, 리어틸트레버(5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리어글래스(12)의 후방부를 틸트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스틸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리어틸트레버(52)에 제 1 리어틸트슬릿(52a) 및 제 2 리어틸트슬릿(52b)를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리어틸트슬레드(50)에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선루프의 내구성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의 작동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의 개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의 폐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런트글래스가 틸트업된 후 다시 폐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10), 리어글래스(12) 및 상기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의 하부에 배치된 블라인드(미도시)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오픈신호를 입력하면 프런트글래스(10), 리어글래스(12) 및 블라인드는 단계별로 개방된다.
이러한 오픈신호의 인식 및 제어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며, 블라인드는 공지의 블라인드와 같이 모터 등을 통해 작동된다.
먼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버튼(미도시) 등을 작동시켜 운전자가 오픈신호를 주면 차량의 ECU에서 이러한 오픈신호가 1단 오픈신호인지 2단 오픈신호인지를 판별하게 된다(S10).
상기 오픈신호가 1단 오픈신호이면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는 처음과 같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블라인드만 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하게 된다(S15).
다시 운전자가 오픈신호를 입력하면 차량의 ECU에서 1단 오픈신호인지 2단 오픈신호인지를 판별한 다음(S20), 1단 오픈신호이면 프런트글래스까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된다(S25).
또 한번 운전자가 오픈신호를 입력하면 차량의 ECU는 1단 오픈신호인지 2단 오픈신호인지를 판별하고(S30), 1단 오픈신호이면 리어글래스도 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며 프런트글래스, 리어글래스 및 블라인드는 모두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S35).
만약, 블라인드가 개방되는 단계 전 오픈신호 판별에서 2단 오픈신호가 인식되면(S10), 블라인드,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는 단계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모두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S35).
또한, 상기 블라인드가 개방되는 단계 후 오픈신호 판별에서 2단 오픈신호가 인식되면(S20),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는 단계적으로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모두 개방된다(S35).
나아가, 상기 프런트글래스가 개방되는 단계 후 오픈신호 판별에서 2단 오픈신호가 인식되면(S30), 리어글래스가 개방된다(S35).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10), 리어글래스(12) 및 블라인드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클로즈신호를 입력하면 프런트글래스(10), 리어글래스(12) 및 블라인드는 단계적으로 폐쇄된다.
먼저, 운전자가 클로즈신호를 입력하면 차량의 ECU에서 이러한 클로즈신호가 1단 클로즈신호인지 2단 클로즈신호인지를 판별하고(S40), 상기 클로즈신호가 1단 클로즈신호이면 프런트글래스 및 블라인드는 처음과 같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리어글래스만 전방으로 이동하여 폐쇄된다(S45).
다시 운전자가 클로즈신호를 입력하면 차량의 ECU에서 1단 클로즈신호인지 2단 클로즈신호인지를 판별한 다음(S50), 1단 클로즈신호이면 프런트글래스까지 전방으로 이동하여 폐쇄된다(S55).
또 한번 운전자가 클로즈신호를 입력하면 차량의 ECU는 1단 클로즈신호인지 2단 클로즈신호인지를 판별하고(S60), 1단 클로즈신호이면 블라인드도 전방으로 이동하여 폐쇄되며, 최종적으로 프런트글래스, 리어글래스 및 블라인드는 모두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S65).
만약, 리어글래스가 폐쇄되는 단계 전 클로즈신호 판별에서 2단 클로즈신호가 인식되면(S40), 블라인드, 프런트글래스 및 리어글래스는 단계적으로 폐쇄되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모두 폐쇄된다(S65).
또한, 상기 리어글래스가 폐쇄되는 단계 후 클로즈신호 판별에서 2단 클로즈신호가 인식되면(S50), 프런트글래스 및 블라인드는 한꺼번에 모두 폐쇄되고(S65), 상기 프런트글래스가 폐쇄되는 단계 후 2단 클로즈신호가 인식되면(S60), 블라인드가 폐쇄된다(S65).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10) 및 블라인드가 폐쇄된 상태에서 틸트신호가 인식되면 블라인드는 프런트글래스의 후단위치까지 개방(이하, '1차 개방'이라고 한다.)되고, 프런트글래스(10)는 그 후방에 배치된 프런트틸트레버(10b)의 회전에 의해 후방이 틸트업된다(S70).
상기 블라인드의 1차 개방은, 블라인드가 프런트글래스의 위치까지만 개방되고 리어글래스의 위치까지는 개방되지 않은 상태 즉, 루프패널의 중간위치까지 개방된 상태를 말하고, 상기 프런트틸트레버(10b)는 도 2b 등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런트글래스가 틸트업되고 블라인드가 1차 개방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클로즈신호를 입력하면 차량의 ECU에서 1단 클로즈신호인지 2단 클로즈신호인지를 판별한 다음(S80), 1단 클로즈신호이면 프런트글래스를 틸트다운시켜 폐쇄하게 된다(S85).
다시 운전자가 클로즈신호를 입력하면 1단 클로즈신호인지 2단 클로즈신호인지를 판별한 다음(S90), 1단 클로즈신호이면 블라인드까지 전방으로 이동하여 폐쇄된다(S95).
만약, 프런트글래스가 폐쇄되는 단계 전 2단 클로즈신호가 인식되면(S80), 프런트글래스 및 블라인드는 한꺼번에 모두 폐쇄되고, 상기 프런트글래스가 폐쇄되는 단계 후 2단 클로즈신호가 인식되면(S90), 블라인드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폐쇄된다(S9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프런트글래스 10a : 프런트캐리지플레이트
10b : 프런트틸트레버 12 : 리어글래스
12a : 리어레일 14 : 루프패널
14a : 루프패널의 개구부 20 : 메커니즘레일
22 : 레일트림부 24 : 레일홈부
30 : 프런트슬레드 30a : 프런트돌기
30b: 프런트슬릿 32 : 프런트레버
32a : 제 1 프런트돌출부 32b : 제 2 프런트돌출부
34 : 프런트가이드 34a : 프런트가이드슬릿
40 : 리어슬레드 40a : 리어슬릿
42 : 리어레버 42a : 제 1 리어돌출부
42b : 제 2 리어돌출부 44 : 리어가이드
44a : 리어가이드슬릿 50 : 리어틸트슬레드
50a : 리어돌기 50b : 제 1 리어틸트돌출부
50c : 제 2 리어틸트돌출부 52 : 리어틸트레버
52a : 제 1 리어틸트슬릿 52b : 제 2 리어틸트슬릿
60 :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 62 : 프런트홈
62a : 제 1 프런트경사면 62b : 제 2 프런트경사면
70 : 리어타이밍플레이트 72 : 리어홈
72a : 제 1 리어경사면 72b : 제 2 리어경사면

Claims (5)

  1. 차량의 루프패널 상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에 설치된 메커니즘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프런트슬레드와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프런트글래스;
    상기 메커니즘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리어슬레드와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리어글래스;
    후단이 상기 리어슬레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단에 프런트슬레드의 일측이 수용될 수 있도록 프런트홈이 형성되어 프런트슬레드와 리어슬레드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프런트타이밍플레이트;
    상기 메커니즘레일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리어틸트슬레드에 일측이 수용되어 회동 가능하며, 리어글래스의 후방을 틸트업(tilt-up)시키는 리어틸트레버; 및
    전단이 상기 리어슬레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단에 리어틸트슬레드의 일측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리어홈이 형성되어 리어슬레드와 리어틸트슬레드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타이밍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글래스와 리어글래스는 모두 루프패널의 외부를 향해 틸트업된 후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틸트슬레드의 측면에는 리어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리어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리어홈의 전방면에는 둔각으로 이루어진 제 1 리어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리어홈의 후방면에는 예각으로 이루어진 제 2 리어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즘레일에는 레일홈부가 관통 형성되며, 리어글래스의 후방 틸트업시 리어돌기는 레일홈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틸트레버에는 굴곡진 형태로 제 1 리어틸트슬릿 및 제 2 리어틸트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리어틸트슬레드에는 제 1 리어틸트슬릿 및 제 2 리어틸트슬릿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제 1 리어틸트돌출부 및 제 2 리어틸트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리어틸트슬레드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 1 리어틸트돌출부 및 제 2 리어틸트돌출부가 제 1 리어틸트슬릿 및 제 2 리어틸트슬릿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리어틸트레버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글래스의 하부에 결합된 프런트캐리지플레이트와 프런트슬레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프런트글래스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키는 프런트레버; 및
    상기 리어글래스의 하부에 결합된 리어레일과 리어슬레드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리어글래스의 전방부를 틸트업시키는 리어레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KR1020150058872A 2015-04-27 2015-04-27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KR10218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872A KR102186136B1 (ko) 2015-04-27 2015-04-27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872A KR102186136B1 (ko) 2015-04-27 2015-04-27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450A true KR20160127450A (ko) 2016-11-04
KR102186136B1 KR102186136B1 (ko) 2020-12-03

Family

ID=5753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872A KR102186136B1 (ko) 2015-04-27 2015-04-27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1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949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틸트 선루프 구조
CN111152637A (zh) * 2020-02-27 2020-05-15 江苏铁锚明信交通科技有限公司 汽车全景天窗及其玻璃移动装置
KR20200077629A (ko) * 2018-12-20 2020-07-01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선 루프 메커니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1358A (ja) * 2010-12-06 2012-06-28 Webasto Japan Kk サンルーフ装置
JP2012121359A (ja) * 2010-12-06 2012-06-28 Webasto Japan Kk サンルーフ装置
KR20160054162A (ko) * 2014-11-05 2016-05-16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1358A (ja) * 2010-12-06 2012-06-28 Webasto Japan Kk サンルーフ装置
JP2012121359A (ja) * 2010-12-06 2012-06-28 Webasto Japan Kk サンルーフ装置
KR20160054162A (ko) * 2014-11-05 2016-05-16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949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틸트 선루프 구조
US10427507B2 (en) 2017-08-24 2019-10-01 Hyundai Motor Company Dual tilt sunroof structure
KR20200077629A (ko) * 2018-12-20 2020-07-01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선 루프 메커니즘
CN111152637A (zh) * 2020-02-27 2020-05-15 江苏铁锚明信交通科技有限公司 汽车全景天窗及其玻璃移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136B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547B1 (ko)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JP6622647B2 (ja) 電動サンシェードサンルーフ構造
JP4652957B2 (ja) 車両用スイッチ制御装置
US8814257B2 (en) Vehicle roof device
JP2011011735A (ja) サンルーフ装置
US6296302B1 (en)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an open roof construction of a vehicle having an opening in the fixed roof; as well as such open roof construction
KR10234769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KR20160127450A (ko)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EP0382187A2 (en) A slidable roof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4394368B2 (ja) 車両用開放屋根構造体及びその閉鎖部材を動かす方法
JP2002103977A (ja) 車両のサンルーフ装置
KR101622396B1 (ko)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US7950732B2 (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H0930264A (ja) 傾斜スライド屋根、及び該傾斜スライド屋根を備える車両
KR10229895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US10953732B2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JP2005515112A (ja) 自動車リアパネルの制御装置
KR102621543B1 (ko) 양방향 오픈 선루프 구조
JP2005212614A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2166727A (ja) サンルーフ装置
JP6081203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581840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4923433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KR101585462B1 (ko)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JP2002160532A (ja) サン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