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162A -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162A
KR20160054162A KR1020140153155A KR20140153155A KR20160054162A KR 20160054162 A KR20160054162 A KR 20160054162A KR 1020140153155 A KR1020140153155 A KR 1020140153155A KR 20140153155 A KR20140153155 A KR 20140153155A KR 20160054162 A KR20160054162 A KR 2016005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glass
timing plate
row
mechanism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2396B1 (ko
Inventor
하지훈
전병윤
곽성민
박창민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15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396B1/ko
Priority to PCT/KR2015/011696 priority patent/WO2016072695A1/ko
Publication of KR2016005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movable to overlapping or nested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1개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프론트 슬레드와, 상기 리어 캐리지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 슬레드를 따라 메커니즘 레일을 왕복 슬라이딩 구동하는 리어 슬레드와, 일단은 메커니즘 레일에 일정 시점까지 구속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슬레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일단이 메커니즘 레일에서 구속이 해제된 후 상기 리어 슬레드와 함께 왕복 슬라이딩하는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슬레드의 돌기가 구속가능한 구속홈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에 힌지결합되는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가 함께 개방되는 작동방식으로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를 모두 개방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Glass Interlocking Apparatus of Sunroof}
본 발명은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가 함께 개방되는 작동방식으로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를 모두 개방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선루프는 내부 환기 및 개방감을 주기 위하여 루프패널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서, 최근에는 외부와의 큰 개방감을 주는 동시에 자외선과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열처리된 글라스 재질을 이용한 파노라마 선루프가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파노라마 선루프는 차량의 앞쪽 실내 공간뿐만 아니라 뒤쪽 실내공간까지 개방시킬 수 있는 대면적 선루프로서, 개방감을 극대화시켜 마치 컨버터블 차량의 기분을 낼 수 있도록 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파노라마 선루프는 글라스를 1열 또는 3열 타입으로 구성하여, 개폐 메커니즘 구조에 따라 틸트 또는 슬라이딩되며 오픈 또는 클로즈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 2열 이상의 글라스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방의 1열 글라스는 오픈 및 틸팅 되지만, 후방의 2열 글라스는 틸팅 밖에는 되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1열 오픈 가능구조로 오픈량이 한정적인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1열의 개방감은 보장하나, 2열 이상의 개방감은 한정적이라 실내의 탑승자는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20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1열 글라스가 오픈 및 틸팅되면서 동시에 2열 글라스를 오픈시키는 작동 방식으로 인해,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 모든 오픈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선루프의 전방에 설치되는 1열 글라스와, 상기 1열 글라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2열 글라스와, 상기 1열 글라스가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1열 글라스를 개폐하도록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프론트 캐리지와, 상기 2열 글라스가 상면에 결합되는 리어 캐리지와, 상기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1개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프론트 슬레드와, 상기 리어 캐리지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 슬레드를 따라 메커니즘 레일을 왕복 슬라이딩 구동하는 리어 슬레드와, 일단은 메커니즘 레일에 일정 시점까지 구속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슬레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일단이 메커니즘 레일에서 구속이 해제된 후 상기 리어 슬레드와 함께 왕복 슬라이딩하는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슬레드의 돌기가 구속가능한 구속홈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에 힌지결합되는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슬레드가 슬라이딩되면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프론트 슬레드와 리어 슬레드가 동시에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의 선단부는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삽입이 용이하도록 라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은 메커니즘 레일의 트림부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리어 슬레드와 함께 슬라이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속홈이 형성된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리어 슬레드의 슬라이딩 시 일정 시점이 지나면 메커니즘 레일의 트림부에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이 메커니즘 레일의 트림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면 상기 리어 슬레드가 상기 구속홈에서 해제되어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에는 상기 리어 슬레드의 이동에 따라 회동하여 2열 글라스를 오픈하기 위한 리어 틸트 레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틸트 레버는 상기 리어 캐리지의 플렌지가 끼워지는 가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를 모두 오픈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가 아우터 오픈 타입으로 인너 오픈 타입에 대비하여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가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가 구비된 선루프에서, 1열 및 2열 글라스가 작동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에서 메커니즘 레일을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에서 캐리지를 생략한 사시도로서, 도 3의 반대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글라스의 클로즈 상태에서의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와 메커니즘 레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프론트 슬레드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론트 슬레드와 리어 슬레드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가 메커니즘 레일에서 이탈되어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가 메커니즘 레일에 구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를 타고 리어 슬레드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1열 및 2열 글라스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가 구비된 선루프에서, 1열 및 2열 글라스가 작동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에서 메커니즘 레일을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에서 캐리지를 생략한 사시도로서, 도 3의 반대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는 1열 글라스(10)와 2열 글라스(20)가 함께 개방되는 작동방식으로 1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1열 글라스(10)와 2열 글라스(20)를 모두 개방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계별로 진행되어 1열 및 2열 글라스가 모두 오픈된다.
먼저, 1열 글라스(10)와 2열 글라스(20)가 클로즈된 단계(a)에서, 1열 글라스(10)가 틸트 업(b)되고 난 후, 1열 글라스(10)가 먼저 오픈된다(c). 이후, 1열 글라스(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면서 2열 글라스(20)와 함께 오픈되는 단계(d)로 진행되어 1열 글라스(10)와 2열 글라스(20)를 모두 개방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열 글라스(10)가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1열 글라스(10)를 개폐하도록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프론트 캐리지(30)와, 상기 2열 글라스(20)가 상면에 결합되는 리어 캐리지(40)와, 상기 1열 글라스(10)와 2열 글라스(20)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1개의 구동모터(도시안함)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레일(50)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프론트 슬레드(60)와, 상기 리어 캐리지(40)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 슬레드(60)를 따라 메커니즘 레일(50)을 왕복 슬라이딩 구동하는 리어 슬레드(70)와, 상기 메커니즘 레일(50)의 후방에 설치되는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8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캐리지(30)의 전후방에는 1열 글라스(10)의 오픈 시 지지점이 될 수 있는 2개의 레버(32)(34)가 설치되어, 상기 1열 글라스(10)를 전방과 후방에서 받쳐줄 수 있기 때문에 글라스의 오픈 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1열 글라스(1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1열 글라스(10)와 2열 글라스(20)를 연동하여 동시에 오픈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2개의 타이밍 플레이트(110)(12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밍 플레이트(110)(120)는 상기 리어 슬레드(70)에 힌지 결합되는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와, 상기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80)에 힌지결합되는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는 일단이 메커니즘 레일(50)에 일정 시점까지 구속되었다가 해제된 후 상기 리어 슬레드(70)와 함께 이동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일단(112)에는 상기 프론트 슬레드(60)의 돌기(62)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4)은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4)의 선단부(114a)는 상기 프론트 슬레드(60)의 돌기(62)가 삽입이 용이하도록 라운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14)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타단은 리어 슬레드(70)에 힌지결합되어 메커니즘 레일(50) 내에서 소정만큼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5는 글라스의 클로즈 상태에서의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와 메커니즘 레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메커니즘 레일(50)에는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일단(112)이 삽입될 수 있는 트림부(5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프론트 슬레드(60)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돌기(62)가 상기 결합홈(114)에 삽입되면서 상기 힌지(116)를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트림부(52)에서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일단(112)이 이탈하게 되면서 메커니즘 레일(50)에서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리어 슬레드(70)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는 상기 리어 슬레드(70)의 돌기(72)가 구속가능한 구속홈(122)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80)에 힌지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속홈(122)이 형성된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의 일단은 상기 리어 슬레드(70)의 슬라이딩 시 일정 시점이 지나면 메커니즘 레일(50)의 트림부(54)에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커니즘 레일(50)에는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일단(112)이 삽입될 수 있는 트림부(52)와는 별도로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의 일단이 삽입가능한 트림부(54)가 형성되며, 상기 트림부(52)(54)는 각각 높이가 다른 메커니즘 레일(50) 상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의 일단이 메커니즘 레일(50)의 트림부(54)에 삽입되어 구속되면 상기 리어 슬레드(70)가 상기 구속홈(122)에서 해제되어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80)에는 상기 리어 슬레드(70)의 이동에 따라 회동하여 2열 글라스(20)를 오픈하기 위한 리어 틸트 레버(90)가 설치된다.
상기 리어 틸트 레버(9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캐리지(40)의 플렌지(42)가 끼워지는 가이드(92)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틸트 레버(90)가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80)의 이동에 따라 소정량 회동하면 상기 가이드(92)에 안내되어 상기 리어 캐리지(40)가 이동되면서 2열 글라스(20)가 오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프론트 슬레드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프론트 슬레드와 리어 슬레드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가 메커니즘 레일에서 이탈되어 구속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가 메커니즘 레일에 구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를 타고 리어 슬레드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1열 및 2열 글라스가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레일(50)을 따라 프론트 슬레드(60)가 슬라이딩한다.
이때,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일단(112)은 메커니즘 레일(50)의 트림부(52)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 프론트 슬레드(60)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돌기(62)가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일단의 결합홈(114)에 삽입되면서 상기 힌지(116)를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림부(52)에서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110)의 일단(112)이 이탈하게 되면서 메커니즘 레일(50)에서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슬레드(60)와 함께 상기 리어 슬레드(70)가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프론트 슬레드(60)와 리어 슬레드(70)가 일정 시점까지 동시에 슬라이딩하다가 메커니즘 레일(50)의 트림부(54)에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가 구속된다(도 9).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가 구속된 이후에도 상기 프론트 슬레드(60)와 리어 슬레드(70)의 슬라이딩은 계속되므로, 상기 리어 슬레드(70)의 돌기(72)가 상기 구속홈(122)에서 해제되어 상기 프론트 슬레드(60)와 리어 슬레드(70)가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12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어 틸트 레버(9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캐리지(40)의 플렌지(42)가 끼워지는 가이드(9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리어 틸트 레버(90)가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80)의 이동에 따라 소정량 회동하면 상기 가이드(92)에 안내되어 상기 리어 캐리지(40)가 이동되면서 2열 글라스(20)가 오픈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동력을 전달하는 1개의 구동모터와 2개의 타이밍 플레이트(110)(120)를 이용하여, 1열 글라스(10)가 일정 지점까지 오픈 시, 2열 글라스(20)의 앞뒤를 구속하고, 이후, 상기 구속이 풀리면서 2열 글라스(20)가 오픈되는 것이다.
따라서, 1열 및 2열 글라스를 모두 오픈하여 개방감을 극대화하며, 특히,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가 아우터 오픈 타입으로 인너 오픈 타입에 대비하여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가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1열 글라스 20: 2열 글라스
30: 프론트 캐리지 40: 리어 캐리지
50: 메커니즘 레일 60: 프론트 슬레드
70: 리어 슬레드 80: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
90: 리어 틸트 레버 110: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
114: 결합홈 120: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
122: 구속홈

Claims (9)

  1. 선루프의 전방에 설치되는 1열 글라스;
    상기 1열 글라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2열 글라스;
    상기 1열 글라스가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1열 글라스를 개폐하도록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프론트 캐리지;
    상기 2열 글라스가 상면에 결합되는 리어 캐리지;
    상기 1열 글라스와 2열 글라스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1개의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구동되는 프론트 슬레드;
    상기 리어 캐리지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 슬레드를 따라 메커니즘 레일을 왕복 슬라이딩 구동하는 리어 슬레드;
    일단은 메커니즘 레일에 일정 시점까지 구속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 슬레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일단이 메커니즘 레일에서 구속이 해제된 후 상기 리어 슬레드와 함께 왕복 슬라이딩하는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 및
    상기 리어 슬레드의 돌기가 구속가능한 구속홈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에 힌지결합되는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슬레드가 슬라이딩되면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어 프론트 슬레드와 리어 슬레드가 동시에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선단부는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삽입이 용이하도록 라운딩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은 메커니즘 레일의 트림부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슬레드의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면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리어 슬레드와 함께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이 형성된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리어 슬레드의 슬라이딩 시 일정 시점이 지나면 메커니즘 레일의 트림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의 일단이 메커니즘 레일의 트림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면 상기 리어 슬레드가 상기 구속홈에서 해제되어 상기 리어 타이밍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틸트 레버 슬레드에는 상기 리어 슬레드의 이동에 따라 회동하여 2열 글라스를 오픈하기 위한 리어 틸트 레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어 틸트 레버는 상기 리어 캐리지의 플렌지가 끼워지는 가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캐리지의 전후방에는 1열 글라스의 오픈 시 지지점이 될 수 있는 2개의 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1열 글라스를 전방과 후방에서 받쳐주므로 글라스의 오픈 시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KR1020140153155A 2014-11-05 2014-11-05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KR101622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55A KR101622396B1 (ko) 2014-11-05 2014-11-05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PCT/KR2015/011696 WO2016072695A1 (ko) 2014-11-05 2015-11-03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155A KR101622396B1 (ko) 2014-11-05 2014-11-05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62A true KR20160054162A (ko) 2016-05-16
KR101622396B1 KR101622396B1 (ko) 2016-05-19

Family

ID=5590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55A KR101622396B1 (ko) 2014-11-05 2014-11-05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2396B1 (ko)
WO (1) WO201607269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450A (ko) * 2015-04-27 2016-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CN107310357A (zh) * 2017-06-21 2017-11-03 安徽省地坤汽车天窗科技有限公司 一种内藏式汽车全景天窗用玻璃固定架组合
KR20190021949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틸트 선루프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7032B4 (de) * 2005-02-15 2006-11-16 Webasto Ag Fahrzeugdach mit einem oberhalb des Daches verschiebbaren Dachteil
DE102005043019B4 (de) * 2005-09-09 2008-02-14 Webasto Ag Fahrzeugdach mit mindestens zwei Deckelelementen
JP4464999B2 (ja) * 2007-11-14 2010-05-19 八千代工業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JP5638368B2 (ja) 2010-12-06 2014-12-10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JP5588330B2 (ja) * 2010-12-06 2014-09-10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サンルー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450A (ko) * 2015-04-27 2016-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CN107310357A (zh) * 2017-06-21 2017-11-03 安徽省地坤汽车天窗科技有限公司 一种内藏式汽车全景天窗用玻璃固定架组合
KR20190021949A (ko) * 2017-08-24 201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틸트 선루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695A1 (ko) 2016-05-12
KR101622396B1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547B1 (ko)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JP6622647B2 (ja) 電動サンシェードサンルーフ構造
EP2078630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RU2700293C2 (ru) Устан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идень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20130341972A1 (en) Roller blind apparatus for panoramic sunroofs
US10035407B2 (en) Drive mechanis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oving panels for a vehicle
JP2009018799A (ja) 車両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JP4747814B2 (ja) サンシェードパネル装置
KR101622396B1 (ko)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KR10234769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JP2008213762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KR102298958B1 (ko) 전동 선세이드와 선루프 구조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KR102186136B1 (ko)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US10953732B2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JP5194085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4250178B2 (ja) 多板サンシェード装置
US20110292577A1 (en) Front panel apparatus
JP2005212614A (ja) サンルーフ装置
JP4581840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2004249851A (ja) 車両用ルーフ装置
KR20140025991A (ko) 파노라마루프의 글라스 닫힘 고정 장치
KR101478573B1 (ko)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JP2005289329A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4249850A (ja) 車両用ルーフトリ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