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573B1 -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573B1
KR101478573B1 KR1020140032140A KR20140032140A KR101478573B1 KR 101478573 B1 KR101478573 B1 KR 101478573B1 KR 1020140032140 A KR1020140032140 A KR 1020140032140A KR 20140032140 A KR20140032140 A KR 20140032140A KR 101478573 B1 KR101478573 B1 KR 10147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n
locus
slider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주봉
최수윤
전병윤
Original Assignee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filed Critical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03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pivoting upwardly to vent mode and moving downward before sliding to fully ope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는 루프 개구부 프레임의 가장자리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다수 개의 지지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다수 개의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각각 형성된 사이드 가이드와 리어 가이드가 양측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궤적을 따라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쿨리세와, 상기 쿨리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형성된 보조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에 3개의 지지핀과 쿨리세에 각각의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을 형성하여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되거나 틸트업될 때 쿨리세에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쿨리세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핀이 쿨리세를 관통하여 궤적을 이동하므로 쿨리세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Tilt-up/down Apparatus of Sun-roof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궤적을 따라 복수의 지지핀이 이동하고, 쿨리세를 관통하는 지지핀의 구성에 의해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을 개폐하기 위해 쿨리세가 틸트업 또는 틸트다운될 때 쿨리세가 유동되고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을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개방감을 위하여 차량의 루프에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선루프를 장착하는데, 선루프는 바깥 공기를 차내로 유입하여 원활한 실내 환기를 유도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함을 느끼게 하고, 일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며, 심리적으로 공간을 크게 느끼게 하여 탑승자에게 해방감을 부여한다.
이러한 차량용 선루프에서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글래스 패널의 작동상태는 슬라이드와 틸트업/다운으로 구분되며, 차량용 선루프는 글래스 패널의 작동방식에 따라 작동 글래스 패널이 루프 패널의 위로 가는 아우터 슬라이딩 타입(Outer sliding type)과 작동 글래스 패널이 루프 패널의 아래로 슬라이딩되는 이너 슬라이딩 타입(Inner sliding type)으로 나뉘며, 차내의 환기를 주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글래스 패널의 틸트 업/다운 장치는 루프 패널의 개구부 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끼워져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와 결합하는 쿨리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쿨리세에는 상기 슬라이드의 상부에 구비되는 한 개의 지지점이 삽입되는 쿨리세 궤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틸트 업/다운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점이 상기 쿨리세의 궤적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점이 상기 쿨리세의 궤적을 따라 움직이고, 이러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선루프 글래스 패널이 개폐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가 직선으로만 이동하게 되므로 틸트업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쿨리세 궤적을 앞쪽으로 연장하게 되면 틸트업 시에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점이 앞쪽으로 이동되고, 외력이 크게 발생하여 상기 슬라이더와 쿨리세 간의 지지구조에 부하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외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지지점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쿨리세 궤적에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345102호에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루프 패널의 개구부 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 본체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쿨리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쿨리세의 양측면에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체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점을 포함하는 슬라이더와, 한 쌍의 상기 회전지지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과 각각 맞물리는 궤적이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쿨리세와,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글래스 패널의 틸트 업/다운 장치에서는 쿨리세에 2중 궤적을 형성하고 슬라이드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글래스 패널이 틸트업 될 때 발생하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글래스 패널의 틸트업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쿨리세가 틸트업되거나 틸트다운될 때 상기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상기 쿨리세에 상하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쿨리세의 양측면에서 각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지지핀의 위상차에 따른 상기 쿨리세의 뒤틀림이 발생하여 상기 쿨리세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더에 3개의 지지핀을 형성하고 쿨리세에 각각의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더가 이동되면서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되거나 틸트업될 때 쿨리세에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지핀이 쿨리세를 관통하여 쿨리세에 형성된 궤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루프 개구부 프레임의 가장자리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다수 개의 지지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다수 개의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각각 형성된 사이드 가이드와 리어 가이드가 양측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궤적을 따라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쿨리세와, 상기 쿨리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형성된 보조 가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쿨리세의 양측에 한 쌍의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 모서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핀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슬라이더 지지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핀은 상기 쿨리세와 상기 사이드 가이드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제1지지핀과, 상기 보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2지지핀과, 상기 리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3지지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쿨리세가 틸트다운 된 후 상기 쿨리세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상기 사이드 가이드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은 상기 지지판의 외측 하단 모서리에 단차진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지지핀의 일단은 상기 지지판 일측을 관통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에는 상기 제1지지핀이 관통하여 이동하는 제1궤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가이드에는 상기 제2지지핀이 상기 보조 가이드 일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궤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가이드에는 상기 제3지지핀이 상기 쿨리세의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3궤적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어 가이드에는 상기 제3지지핀이 고정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에 3개의 지지핀과 쿨리세에 각각의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을 형성하여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되거나 틸트업될 때 쿨리세에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쿨리세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지지핀이 쿨리세를 관통하여 궤적을 이동하므로 쿨리세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 가이드의 궤적과 슬라이드의 지지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a)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b)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지지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에서 쿨리세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틸트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이 오픈될 때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될 때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 가이드의 궤적과 슬라이드의 지지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 (a)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b)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지지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는 루프 개구부 프레임의 가장자리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100)과, 상기 레일(10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다수 개의 지지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200)와, 상기 다수 개의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각각 형성된 사이드 가이드(310)와 리어 가이드(320)가 양측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궤적을 따라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200)가 상기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때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쿨리세(300)와, 상기 쿨리세(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형성된 보조 가이드(4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레일(100) 상을 전후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레일(1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200)가 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0)가 전후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2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지지핀이 상기 쿨리세(300)에 형성되는 다수의 궤적에 구속되어 상기 쿨리세(300)가 틸트업 또는 틸트다운되면서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을 개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와 리어 가이드(320)는 상기 쿨리세(300)의 양측면에서 소정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쿨리세(3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쿨리세(300)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에는 길이방향으로 궤적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 후단에는 상기 리어 가이드(320)가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와 연결되어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쿨리세(300)의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궤적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핀이 상기 궤적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쿨리세(300)가 틸트다운 된 후 상기 쿨리세(300)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과 상기 리어 가이드(32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상기 쿨리세(300)의 궤적을 따라 상기 지지핀들이 이동할 때 상기 지지핀들을 지지해 주는 힘이 약하고,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과 상기 리어 가이드(320)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형성되면 상기 지지핀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상기 쿨리세(300)가 설치되는 공간이 늘어나게 되어 선루프의 개구부의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와 리어 가이드(320)의 두께는 상기 궤적을 따라 상기 지지핀들이 이동할 때 상기 지지핀들의 지지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선루프의 개구부의 면적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슬라이더(200)에 형성되는 지지핀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 가이드(400)는 상기 쿨리세(300)의 일측면에 상기 보조 가이드(400)의 전단부가 고정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 가이드(400)가 수평방향으로 평형 상태를 유지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00)의 지지핀 중 하나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조 가이드(400)의 일측에 선형의 홈 형상으로 궤적이 형성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핀은 상기 쿨리세(300)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지지핀(221)과, 상기 보조 가이드(400)를 따라 이동하는 제2지지핀(222)과, 상기 리어 가이드(320)를 따라 이동하는 제3지지핀(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핀(221)은 상기 쿨리세(300)와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핀(222)은 상기 보조 가이드(400)에 형성되는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핀(222)의 일단은 상기 지지판(225) 일측을 관통하는 돌출부(226)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가이드(40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궤적에 삽입되어 상기 제2지지핀(222)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지지핀(223)은 상기 리어 가이드(320)에 형성되는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지지체(220)에는 힌지축(224)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 본체(210)에 힌지 고정되어 회전하는데, 상기 힌지축(224)은 상기 지지판(225)의 외측 하단 모서리에 단차진 결합돌기(227)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본체(210)의 양쪽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홀(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결합돌기(227)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 본체(210)에 상기 슬라이더 지지체(220)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200)가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에는 상기 제1지지핀(221)이 관통하여 이동하는 제1궤적(311)이 상기 쿨리세(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가이드(400)에는 상기 제2지지핀(222)이 상기 보조 가이드(400) 일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궤적(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가이드(320)에는 상기 제3지지핀(223)이 상기 쿨리세(300)의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3궤적(3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어 가이드(320)에는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될 때 상기 제3지지핀(223)이 상기 제3궤적(321)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제3지지핀(223)이 상기 제3궤적(321)의 후방 끝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3지지핀(223)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부(322)가 형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레일(100)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본체(210)와, 상기 쿨리세(300)의 양측에 한 쌍의 지지판(2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25) 모서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핀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 본체(21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224)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슬라이더 지지체(220)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더(20)가 레일 상을 이동하며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이 개폐될 때, 종래에는 상기 쿨리세(30)의 양측면에 형상이 다른 궤적(31, 32)이 형성되고 각각의 궤적(31, 32)에 지지핀(21, 22)이 삽입되었으므로 상기 궤적(31, 32)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지지핀(21, 22) 간에 위상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지지핀(21, 22)의 위상 차이 때문에 상기 쿨리세(30)가 회동할 때 상기 쿨리세(30)가 뒤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핀(221)이 상기 쿨리세(300)를 관통하여 상기 쿨리세(300)에 형성되는 제1궤적(311)을 따라 이동하므로 지지핀의 위상차 때문에 발생하는 상기 쿨리세(300)의 뒤틀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틸트 업/다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에서 쿨리세의 궤적을 따라 슬라이더가 회전하면서 틸트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이 오픈될 때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될 때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선루프에서의 틸트 업/다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글래스 패널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쿨리세(300)가 틸트업될 때, 상기 쿨리세(300)를 관통하여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에 형성되는 상기 제1궤적(311)을 따라 전방으로 상기 제1지지핀(221)이 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핀(222)은 상기 보조 가이드(400)에 형성되는 제2궤적(410)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핀(221)과 제2지지핀(222)이 상기 제1궤적(311)과 제2궤적(4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 지지체(220)는 회전하고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이 틸트업된다.
이때, 상기 보조 가이드(400)는 상기 쿨리세(300)의 전방 일측에 고정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쿨리세(300)가 틸트업될 때 상기 쿨리세(300)가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에 형성된 상기 제1궤적(311)은 도면 상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상기 보조 가이드(4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궤적(410)은 도 7에 도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0)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200)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1궤적(311)을 따라 상기 제1지지핀(221)이 상기 제1궤적(311)의 전방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궤적(410)을 따라 상기 제2지지핀(222)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2지지핀(222)의 전방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이 오픈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될 때, 상기 슬라이더(200)가 상기 레일(10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지지핀(221)은 상기 제1궤적(311)을 따라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지지핀(222)은 상기 제2궤적(410)을 따라 상기 보조 가이드(40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3지지핀(223)이 상기 리어 가이드(320)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제3궤적(321)을 따라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00)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200)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1궤적(311)을 따라 상기 제1지지핀(221)이 상기 제1궤적(311)의 후방 끝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궤적(410)을 따라 상기 제2지지핀(222)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2지지핀(222)의 후방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3궤적(321)에 후방에 형성되는 고정부에 상기 제3지지핀(223)이 삽입되면서 상기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이 클로즈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쿨리세(3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핀(221)이 상기 제1궤적(311)을 따라 이동하고, 수평방향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상기 사이드 가이드(310)에 형성되는 상기 제2궤적(410)을 따라 상기 제2지지핀(222)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쿨리세(300)가 회동할 때 상하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선루프의 글래스 패널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리세(300)가 뒤틀리지 않도록 상기 쿨리세(30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핀(221)이 상기 제1궤적(311)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쿨리세(3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1, 22 : 지지핀 31, 32 : 궤적
100 : 레일 20, 200 : 슬라이더
210 : 슬라이더 본체 220 : 슬라이더 지지체
221 : 제1지지핀 222 : 제2지지핀
223 : 제3지지핀 224 : 힌지축
225 : 지지판 226 : 돌출부
227 : 결합돌기 30, 300 : 쿨리세
310 : 사이드 가이드 311 : 제1궤적
320 : 리어 가이드 321 : 제3궤적
322 : 고정홈부 400 : 보조 가이드
410 : 제2궤적

Claims (10)

  1. 루프 개구부 프레임의 가장자리 양측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다수 개의 지지핀이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다수 개의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각각 형성된 사이드 가이드와 리어 가이드가 양측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궤적을 따라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쿨리세; 및
    상기 쿨리세의 일측면에 전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핀이 이동하는 궤적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보조 가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본체와,
    상기 쿨리세의 양측에 한 쌍의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 모서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핀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는 슬라이더 지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상기 쿨리세와 상기 사이드 가이드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제1지지핀과,
    상기 보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2지지핀과,
    상기 리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3지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쿨리세가 틸트다운 된 후 상기 쿨리세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상기 사이드 가이드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리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지지판의 외측 하단 모서리에 단차진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핀의 일단은 상기 지지판 일측을 관통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가이드에는 상기 제1지지핀이 관통하여 이동하는 제1궤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에는 상기 제2지지핀이 상기 보조 가이드 일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2궤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어 가이드에는 상기 제3지지핀이 상기 쿨리세의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3궤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어 가이드에는 상기 제3지지핀이 고정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KR1020140032140A 2014-03-19 2014-03-19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KR10147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40A KR101478573B1 (ko) 2014-03-19 2014-03-19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140A KR101478573B1 (ko) 2014-03-19 2014-03-19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573B1 true KR101478573B1 (ko) 2015-01-05

Family

ID=5258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140A KR101478573B1 (ko) 2014-03-19 2014-03-19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5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114A (ja) * 1999-11-19 2001-05-29 Aisin Seiki Co Ltd 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114A (ja) * 1999-11-19 2001-05-29 Aisin Seiki Co Ltd 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618B2 (en) Sunroof apparatus
US8322783B2 (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US4685724A (en) Sliding roof for vehicles
US10442278B2 (en) Sunroof device
KR101372094B1 (ko) 파노라마 선루프의 파팅라인 조절 장치
JP2013216244A (ja) サンルーフ装置
US20150266361A1 (en) Vehicle roof having two lid members
US20040232737A1 (en) Opening vehicle roof
KR101327077B1 (ko) 차량용 파노라마 선루프의 슬라이딩 구조
US6866336B2 (en) Wind deflec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roof
US10399416B2 (en) Sliding roof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1478573B1 (ko)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KR101622396B1 (ko) 자동차 선루프의 글라스 연동장치
US11440385B2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KR20140106192A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JPH08276745A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2621543B1 (ko) 양방향 오픈 선루프 구조
KR101345102B1 (ko)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CN107107721B (zh) 车辆顶棚的驱动机构以及包括其的顶棚设备
JP4411985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7289389B1 (ja) サンルーフ装置
KR20140075378A (ko) 차량용 선루프의 틸트 업/다운 장치
US20190366816A1 (en) Lifting Guide Mechanism for Sunroof Device
KR20140025991A (ko) 파노라마루프의 글라스 닫힘 고정 장치
US9827837B2 (en) Moveable panel system for non-parallel t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