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629A - 선 루프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선 루프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629A
KR20200077629A KR1020180165751A KR20180165751A KR20200077629A KR 20200077629 A KR20200077629 A KR 20200077629A KR 1020180165751 A KR1020180165751 A KR 1020180165751A KR 20180165751 A KR20180165751 A KR 20180165751A KR 20200077629 A KR20200077629 A KR 20200077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d
rail
proximal end
winding guid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215B1 (ko
Inventor
박창민
최수윤
라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Priority to KR102018016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movable to overlapping or nested relationsh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 루프 메커니즘에 따르면, 루프 패널의 개별 측부에서 루프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루프 프레임을 따라 위치되어 마주하는 레일 벽체에 굴곡을 가지는 메커니즘 레일; 메커니즘 레일의 일측 레일 벽체와 타측 레일 벽체 사이에서 루프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와인딩 가이드(winding guide); 와인딩 가이드와 일측 레일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는 슬레드(sled); 및 와인딩 가이드와 슬레드 사이에 위치되어 슬레드와 결합하면서 와인딩 가이드와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는 회전 레버(rotating lev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 루프 메커니즘{SUN ROOF MECHANISM}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 패널(roof panel)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차량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 루프 프레임(roof frame)과 무빙 글래스(moving glass)를 이어주는 선 루프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 루프는 차량의 지붕에 위치되며, 차량의 주행 관점에서 차량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의 교환을 통한 시원한 청량감과 차량의 밀폐된 내부 공간으로부터 주변 환경에 노출되는 탁 트인 개방감을 운전자에게 준다. 또한, 상기 선 루프는 차량의 운전 시간대 별로 낮에는 차량의 어두운 내부 공간에 조사되는 밝고 따뜻한 햇살 그리고 밤에는 차량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차량의 내부에 선사되는 밤 하늘의 별을 운전자로 하여금 만끽하게 해준다.
구조적으로 볼 때, 상기 선 루프는 종래기술로써 도 1 및 도 2에 개시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선 루프(95)는, 차량(도 10의 250)의 지붕(도 9 또는 도 10의 240)에서 지붕(240)을 덮는 루프 패널(도 9 또는 도 10의 230)에 형성된다. 즉, 상기 선 루프(95)는, 차량(250)의 루프 패널(230)을 관통하여 차량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 메커니즘(65)과 프레임(10)과 글래스(90)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10)은 차량 탑승자의 외부 시야 확보를 위해 루프 패널(230)의 양 측부에 그리고 루프 패널(230)의 강성을 위해 루프 패널(230)의 양 측부를 가로질러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메커니즘(65)과 글래스(90)를 안착시키고 메커니즘(65)과 글래스(90)를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도면에 미도시)와 케이블(40)도 구비한다.
상기 메커니즘(65)은 프레임(10) 상에서 레일(20)과 와인딩 가이드(30)와 슬레드(60)를 갖는다. 상기 레일(20)은 프레임(10) 상에 곧게 배치된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30)는 프레임(10) 상에서 레일(20) 주변 위치되어 볼록 포물선 궤적 홀(도면에 미 도시)을 갖는다. 상기 슬레드(60)는 프레임(10) 상에서 레일(20)과 와인딩 가이드(30) 사이에 위치되어 오목 포물선 궤적 홀(도면에 미 도시)을 갖는다.
상기 슬레드(60)는 모터의 구동력을 케이블을 통해 전송받아 제1 궤적(P11)을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슬레드(60)가 제1 궤적(P11)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슬레드(60)의 슬레드 슈(55)는 레일(20)에 접촉되어 레일(20)을 따라 유동한다. 여기서, 상기 선 루프(95)는 차량(250)의 전방측(도 9 또는 도 10(a)의 D1)에 무빙 글래스와 차량(250)의 후방측(도 9 또는 도 10(a)의 D2)에 리어 글래스를 도 10과 같이 가지는데, 상기 글래스(90)는 무빙 글래스를 지칭한다.
상기 글래스(90)는 캐리지(80)에 고정되어 캐리지(80)를 통해 메커니즘(65)의 와인딩 가이드(30)와 슬레드(6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캐리지(80)는 가이드 슈(73)을 통해 와인딩 가이드(30)의 볼록 포물선 궤적 홀에 그리고 가이더(76)를 통해 슬레드(60)의 오목 포물선 궤적 홀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슬레드(60)가 제1 궤적(P11)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슈(73)는 와인딩 가이드(30)에서 볼록 포물선 궤적 홀을 지나는 제3 궤적(P31)을 따라 유동한다.
또한, 상기 가이더(76)는 슬레드(60)에서 오목 포물선 궤적 홀을 지나는 제2 궤적(P21)을 따라 유동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루프 패널(240)의 개구부가 글래스(90)를 통해 구속 단계에서 완전히 닫혀 있는 때, 상기 가이드 슈(73)는 와인딩 가이드(30)의 하부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더(76)는 슬레드(60)에서 슬레드 슈(55) 가까이에 위치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루프 패널(240)의 개구부가 글래스(90)를 통해 초기 단계에 안정적으로 열려 있는 때를 도시한다. 상기 루프 패널(240)의 개구부가 글래스(90)를 통해 비구속 단계에 안정적으로 열려 있는 때, 상기 가이드 슈(73)와 가이더(76)는 제3 궤적(P31) 상에 도 1과 같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지(80)는 제3 궤적(P31) 상에서 구속 단계로부터 비구속 단계까지 이르기 위한 스트로크 거리(L11)와 제3 궤적(P31) 상에서 비구속 단계로부터 완전 개방 단계까지 이르기 위한 열림 허용 거리(L21)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캐리지(80)의 스트로크 거리(L11)는 캐리지(80)의 선단에서 가이드 슈(73)와 가이더(76)사이의 길이(도 2의 L31)에 비례 또는 종속되고 제3 궤적(P31)에서 큰 크기를 차지하기 때문에 열림 허용 거리(L21)를 작게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메커니즘(65)의 구조를 크게 변경시키지 않는 경우에, 상기 캐리지(80)는 가이드 슈(73)와 가이더(76)사이의 길이(L31) 때문에 열림 허용 거리(L21)를 크게 잠식하여 글래스(90)의 열림량을 작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글래스(90)의 작은 열림량은, 글래스(90)의 병진 운동(도 9 또는 도 10(a)의 M) 후 완전 개방 단계에서, 차량의 1열(예를 들면, 앞 좌석 또는 전방측(D1))에 승차한 탑승자에게 외부 시야 방해를 일으키지 않지만 차량의 2열(예를 들면, 뒷 좌석 또는 후방측(D2))에 승차한 탑승자에게 루프 패널(230)의 센터 커버(도 9 또는 도 10(a)의 220) 주변으로 글래스(90)의 잔량을 보여준다.
상기 글래스(90)의 잔량은 탑승자에게 차량(25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외부 시야 방해를 일으켜 차량(250)의 탑승 경험을 탑승자에게 불쾌하게 느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캐리지(80)는 가이드 슈(73)와 가이더(76) 사이에서 선 루프(95)의 작업자에 의해 조립되는 마찰 방지 부재(79)를 구비한다. 상기 마찰 방지 부재(79)는 선 루프(95)의 구동시 와인딩 가이드(30)와 슬레드(60)와 캐리지(80)의 진동을 완화해주고 마모를 최소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마찰 방지 부재(79)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캐리지(80)의 선단에서 양 측부에 위치되며 작업자의 작업 공수를 요구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와인딩 가이드에서 캐리지의 스트로크 거리를 줄여 글래스의 열림 허용 거리를 크게 하고 캐리지의 선단에서 양측부에 조립되는 마찰 방지 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작업 공수를 줄이는데 적합한 선 루프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선 루프 메커니즘에 따르면, 차량의 루프 패널(roof panel)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 루프 프레임(roof frame)과 무빙 글래스(moving glass)를 이어주도록, 상기 루프 패널의 개별 측부에서 상기 루프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을 따라 위치되어 마주하는 레일 벽체에 굴곡을 가지는 메커니즘 레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일측 레일 벽체와 타측 레일 벽체 사이에서 상기 루프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와인딩 가이드(winding guide);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일측 레일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는 슬레드(sled); 및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슬레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레드와 결합하면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는 회전 레버(rotating lever)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슬레드와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임 동안, 상기 무빙 글래스 바로 아래에서 상기 무빙 글래스의 캐리지(carriage)에 회전 고정되어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는, 상기 루프 프레임 주변에 위치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루프 프레임 아래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기 루프 프레임의 상기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측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는, 상기 루프 프레임의 상기 하부측에 볼 때,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제1 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의 상기 상부측에 볼 때,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제2 단부를 개구하여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타측 레일 벽체에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은, 상기 루프 프레임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볼록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첨점 이후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타측 레일 벽체의 굴곡(groove)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슬레드는, 상기 루프 프레임 상에 위치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케이블을 통해 전송받아 상기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기 위해, 상기 회전 레버 가까이에 위치되는 근위단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고, 상기 회전 레버로부터 멀리에 위치되는 원위단에서 슬레드 슈(shoe)를 가지고,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상기 원위단을 향해 'ㄴ' 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프 프레임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근위단과 상기 원위단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상기 루프 프레임을 향해 오목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오목 경사 궤적 홀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슬레드 슈는,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모터의 상기 구동력을 전송받는 동안, 상기 일측 레일 벽체에 접촉되어 상기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슬레드의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은, 상기 원위단과 상기 근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근위단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솟아오르고 상기 근위단 아래로부터 상기 근위단을 향해 급진적으로 경사지게 솟아오를 수 있다.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닫혀 있는 때, 상기 캐리지 아래에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 그리고 상기 슬레드 그리고 상기 메커니즘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슬레드와 함께 상기 캐리지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열려 있는 때, 상기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상기 슬레드의 움직임 동안 상기 메커니즘 레일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워지면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슬레드로부터 상기 캐리지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레버는, 하나의 밑변과 두 개의 빗변을 갖는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밑변과 일측 빗변 사이의 제1 모서리에서 힌지핀을 통해 상기 캐리지와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두 개의 빗변 사이의 제2 모서리에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에 삽입되는 일측 가이드 슈(shoe); 상기 제2 모서리 바로 가까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레드의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에 삽입되는 가이더(pin); 및 상기 밑변과 타측 빗변 사이의 제3 모서리에서 상기 타측 레일 벽체에 접촉되어 상기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유동하는 타측 가이드 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를 닫는 때,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길이 방향 중 제1 방향을 향해 상기 슬레드의 움직임 동안,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회전 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일측 가이드 슈는,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동안,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상부측에서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하부측에 도착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슬레드의 최상위 레벨에서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근위단과 상기 원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는, 상기 힌지부 바로 아래로부터 시작하면서 상기 타측 레일 벽을 따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유동하여 상기 힌지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먼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를 여는 때,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길이 방향 중 제2 방향을 향해 상기 슬레드의 움직임 동안,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회전 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일측 가이드 슈는,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동안,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상부측에 도착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슬레드의 상기 원위단 및 상기 근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슬레드의 최상위 레벨에서 상기 근위단에 위치되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먼 거리에서 시작하며 상기 타측 레일 벽을 따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유동하여 상기 힌지부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일측 가이드 슈를 통해 제1 탄성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더를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둘러싸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를 통해 제3 탄성 부재를 둘러싼다.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가이더 주변에서 제4 탄성 부재와 제5 탄성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때, 상기 제4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제5 탄성 부재와 함께, 상기 슬레드의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 슈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타측 가이드 슈는,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닫혀 있는 때,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케이블 그리고 상기 슬레드 슈의 사이의 소정 영역과 모두 마주하고,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열려 있는 때, 상기 일측 가이드 슈를 통해 상기 슬레드의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가이더를 통해 상기 슬레드의 상기 근위단에 중첩하면서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타측 가이드 슈를 통해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케이블과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리지와 슬레드에 대략적으로 삼각 형상의 회전 레버를 결합시키고 회전 레버에서 삼각 형상의 꼭지점과 그 꼭지점에 대응되는 변 사이에 일측 가이드 슈와 가이더를 구비하며 캐리지에 회전 레버를 회전 고정시키므로 캐리지에 대해 회전 레버의 회전 시 일측 가이드 슈와 가이더 사이의 길이를 종래 기술보다 더 작게 가져 와인딩 가이드에서 캐리지의 스트로크 거리를 줄여 글래스의 열림 허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리지와 슬레드 사이에 회전 레버를 배치시키며 캐리지에 회전 레버를 회전 고정시키고 회전 레버에서 가이더 주변에 위치되어 가이더를 샌드 위치시키는 탄성 부재를 사출 성형으로 둘러싸면서 캐리지에 대해 회전 레버의 회전 시 슬레드에서 가이더의 유동 자취를 따라 탄성 부재를 연동시켜 움직이게 하므로 캐리지의 선단에서 양측부에 조립되는 마찰 방지 부재에 대한 작업자의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 루프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선 루프에서 슬레드와 캐리지의 결합 관계를 사시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 루프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선 루프에서 슬레드와 회전 레버와 캐리지의 결합 관계를 사시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도 3의 선 루프에서 슬레드와 회전 레버와 캐리지의 결합 관계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 루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해주는 이미지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 루프를 보여주는 이미지이고, 도 4는, 도 3의 선 루프에서 슬레드와 회전 레버와 캐리지의 결합 관계를 사시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며, 도 5는, 도 3의 선 루프에서 슬레드와 회전 레버와 캐리지의 결합 관계를 정면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 루프(210)는, 차량(도 10의 250)의 루프 패널(roof panel; 도 9 또는 도 10의 230)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차량(25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 루프 프레임(roof frame; 도 3의 100)과 무빙 글래스(moving glass; 도 3의 200))를 이어주는 선 루프 메커니즘(sun roof mechanism; 도 3의 165)을 포함한다.
상기 선 루프 메커니즘(165)은, 메커니즘 레일(mechanism rail; 110)과, 와인딩 가이드(winding guide; 130)과, 슬레드(sled; 160)와 회전 레버(rotating lever; 180)를 포함한다. 상기 메커니즘 레일(11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패널(230)의 개별 측부에서 루프 프레임(100) 상에 고정되고 루프 프레임(100)을 따라 위치되어 마주하는 레일 벽체(도면에 미 도시)에 굴곡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레일 벽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우측에 위치되는 일측 레일 벽체와 좌측에 위치되는 타측 레일 벽체로 나뉘어진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13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 레일(110)의 일측 레일 벽체와 타측 레일 벽체 사이에서 루프 프레임(100) 상에 고정된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프레임(100) 주변에 위치되고, 루프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볼 때, 루프 프레임(100) 아래를 향해 돌출하면서 루프 프레임(100)의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볼록 경사 궤적 홀(도면에 미 도시)을 갖는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130)에서 볼록 경사 궤적 홀은 제3 궤적(도 3의 P32)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프레임(100)의 하부측에 볼 때, 와인딩 가이드(130)의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제1 단부를 폐쇄하고, 루프 프레임(100)의 상부측에 볼 때, 와인딩 가이드(130)의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제2 단부를 개구하여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제2 단부를 타측 레일 벽체에 안내한다.
상기 와인딩 가이드(130)의 볼록 경사 궤적 홀은, 도 3에서, 루프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볼 때, 볼록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첨점 이후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타측 레일 벽체의 굴곡(groove)과 연통한다. 상기 슬레드(160)는, 와인딩 가이드(130)와 일측 레일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인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슬레드(160)는, 루프 프레임(100) 상에 위치되는 케이블(140)을 통해 모터(도면에 미 도시)의 구동력을 전송받아 제1 궤적(P12) 상에서 메커니즘 레일(110) 또는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레버(180) 가까이에 위치되는 근위단에서 케이블(140)을 수용하고, 회전 레버(180)로부터 멀리에 위치되는 원위단에서 슬레드 슈(shoe; 155)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슬레드(160)는, 근위단으로부터 원위단을 향해 'ㄴ' 자형으로 이루어지고, 루프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볼 때, 근위단과 원위단 사이에 위치되어 근위단으로부터 루프 프레임(100)을 향해 오목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오목 경사 궤적 홀(도면에 미 도시)을 한정한다. 상기 슬레드(160)에서 오목 경사 궤적 홀은 제2 궤적(P22)으로 따라 형성된다.
상기 슬레드 슈(155)는, 도 1 또는 도 2의 슬레드 슈(55)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 케이블(140)로부터 모터의 구동력을 전송받는 동안, 일측 레일 벽체에 접촉되어 궤적(P23) 상에서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유동한다. 여기서, 상기 슬레드(160)의 오목 경사 궤적 홀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단과 근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근위단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솟아오르고 근위단 아래로부터 근위단을 향해 급진적으로 경사지게 솟아오른다.
상기 회전 레버(18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딩 가이드(130)와 슬레드(160) 사이에 위치되어 슬레드(160)와 결합하면서 와인딩 가이드(130)와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인다. 상기 회전 레버(180)는, 슬레드(160)와 와인딩 가이드(130)와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임 동안, 무빙 글래스(200) 바로 아래에서 무빙 글래스(200)의 캐리지(carriage; 190)에 회전 고정되어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다.
또한, 상기 회전 레버(180)는,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가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닫혀 있는 때,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90) 아래에서 와인딩 가이드(130) 그리고 슬레드(160) 그리고 메커니즘 레일(110)과 결합되어 슬레드(160)와 함께 캐리지(190)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가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열려 있는 때,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커니즘 레일(110)을 따라 슬레드(160)의 움직임 동안 메커니즘 레일(110)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워지면서 캐리지(190)에 대해 회전하여 슬레드(160)로부터 캐리지(190)를 이격시킨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 레버(18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밑변과 두 개의 빗변을 갖는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힌지부(도면에 미 도시)와, 일측 가이드 슈(shoe; 173)와, 가이더(pin; 176)와, 타측 가이드 슈(179)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는, 밑변과 일측 빗변 사이의 제1 모서리에서 힌지핀을 통해 캐리지(190)와 결합한다.
상기 일측 가이드 슈(173)는, 두 개의 빗변 사이의 제2 모서리에서 와인딩 가이드(130)의 볼록 경사 궤적 홀에 삽입된다. 상기 가이더(176)는, 제2 모서리 바로 가까이에 위치되어 슬레드(160)의 오목 경사 궤적 홀에 삽입된다. 상기 타측 가이드 슈(179)는, 밑변과 타측 빗변 사이의 제3 모서리에서 타측 레일 벽체에 접촉되어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유동한다. 상기 타측 가이드 슈(179)는, 힌지핀(178)을 통해 회전 레버(180)에 대해 회전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닫는 때,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는, 메커니즘 레일(110)의 길이 방향 중 제1 방향(도 9 또는 도 10의 D1)을 향해 슬레드(160)의 움직임 동안, 캐리지(190)에 대해 회전 레버(180)를 회전시키고, 상기 일측 가이드 슈(173)는, 회전 레버(180)의 회전 동안, 와인딩 가이드(130)의 상부측에서 볼록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와인딩 가이드(130)의 하부측에 도착된다.
또한, 상기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닫는 때,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더(176)는, 슬레드(160)의 최상위 레벨에서 근위단으로부터 오목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슬레드(160)에서 근위단과 원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179)는, 힌지부 바로 아래로부터 시작하면서 타측 레일 벽을 따라 메커니즘 레일(110)의 제2 방향(도 9 또는 도 10의 D2)을 향해 유동하여 힌지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먼 거리에 위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여는 때,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부는, 메커니즘 레일(110)의 길이 방향 중 제2 방향(D2)을 향해 슬레드(160)의 움직임 동안, 캐리지(190)에 대해 회전 레버(180)를 회전시키고, 일측 가이드 슈(173)는, 회전 레버(180)의 회전 동안, 와인딩 가이드(130)의 하부측에서 볼록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와인딩 가이드(130)의 상부측에 도착된다.
또한, 상기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여는 때,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더(173)는, 슬레드(160)의 원위단 및 근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에서 오목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슬레드(160)의 최상위 레벨에서 근위단에 위치되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179)는, 힌지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먼 거리에서 시작하며 타측 레일 벽을 따라 메커니즘 레일(110)의 제1 방향(D1)을 향해 유동하여 힌지부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 레버(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가이드 슈(173)를 통해 제1 탄성 부재(R1)를 둘러싸고, 가이더(176)를 제2 탄성 부재(R2)에 의해 둘러싸고, 타측 가이드 슈(179)를 통해 제3 탄성 부재(R3)를 둘러싼다. 상기 제1 탄성 부재(R1)와 제2 탄성 부재(R2)와 제3 탄성 부재(R3)는 볼록 경사 궤적 홀과 볼록 경사 궤적 홀과 타측 레일 벽체에서 일측 가이드 슈(173)와 가이더(176)와 타측 가이드 슈(179)의 유동을 원활하게 해준다.
상기 회전 레버(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176) 주변에서 제4 탄성 부재(R4)와 제5 탄성 부재(R5)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더(176)는,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때, 제4 탄성 부재(R4) 또는 제5 탄성 부재(R5)와 함께, 슬레드(160)의 오목 경사 궤적 홀 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레버(180)는, 제1 탄성 부재(R1)와 제4 탄성 부재(R4)와 제5 탄성 부재(R5)를 둘러싸도록 사출에 의해 성형되고, 상기 가이더(176)와 타측 가이드 슈(179)는 회전 레버(180)에 조립된다.
상기 일측 가이드 슈(173)와 가이더(176)와 타측 가이드 슈(179)는,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가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닫혀 있는 때,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슬레드(160)에서 케이블(140) 그리고 슬레드 슈(155)의 사이의 소정 영역과 모두 마주하고,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가 무빙 글래스(200)를 통해 열려 있는 때,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일측 가이드 슈(173)를 통해 슬레드(160)의 근위단으로부터 벗어나며, 가이더(176)를 통해 슬레드(160)의 근위단에 중첩하면서 슬레드(160)에서 케이블(140)로부터 벗어나며, 타측 가이드 슈(179)를 통해 슬레드(160)에서 케이블(140)과 중첩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가이드 슈(173)와 가이더(176) 사이의 길이(L32)는 도 2의 캐리지(80)에서 가이드 슈(73)와 가이더(176) 사이의 길이(L31)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회전 레버(180)의 스트로크 길이(L12)는 도 1에서 캐리지(80)의 스트로크의 길이(L11)보다 소정 길이(△L)만큼 더 작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 루프의 구동 방법을 설명해주는 이미지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250)의 루프 패널(230)에 선 루프(21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루프 패널(2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루프(210)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선 루프(210)는 루프 프레임(100)과 선 루프 메커니즘(185)과 무빙 글래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 루프 메커니즘(185)은 루프 프레임(100) 상에 메커니즘 레일(110)과 와인딩 가이드(130)과 회전 레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즘 레일(110)과 와인딩 가이드(130)와 회전 레버(18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계속해서, 상기 무빙 글래스(200)가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도 6과 같이 닫고 있는 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 루프 메커니즘(185)은 슬레드(160)와 회전 레버(180)를 통해 무빙 글래스(200) 아래에서 무빙 글래스(200)에 고정된 캐리지(190)에 의해 뉘어져서 둘러싸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무빙 글래스(200)가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를 도 3과 같이 열고 있는 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 루프 메커니즘(185)은 캐리지(190)에 대해 회전 레버(180)를 차량(250)의 전방측(D1)으로 회전시켜 캐리지(190)와 슬레드(160)에 대해 회전 레버(180)를 펼쳐지게 하거나 세워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190)는, 회전 레버(180)의 회전 동안, 무빙 글래스(200)와 함께 차량(250)의 후방측(D2)으로 도 3과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무빙 글래스(200)는 캐리지(190)과 슬레드(160) 사이에서 회전 레버(180)의 세워짐으로 인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3을 고려해 볼 때, 상기 캐리지(190)는 와인딩 가이드(130)의 볼록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스트로크될 수 있다. 도 3의 와인딩 가이드(130)에서 회전 레버(180)의 스트로크 거리(L21)는 도 1의 와인딩 가이드(30)에서 캐리지(80)의 스트로크 거리(L11)보다 더 작다.
이어서, 상기 슬레드(160)는, 루프 프레임(100) 상에서 메커니즘 레일(110)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회전 레버(180)는, 메커니즘 레일(110) 상에서 슬레드(160)의 움직임 동안, 슬레드(160)와 캐리지(190)에 구속되어 슬레드(160) 그리고 캐리지(190) 그리고 무빙 글래스(200)와 함께 차량(250)의 후방측(D2)으로 병진 운동(도 3의 M)을 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레버(180)의 스트로크 거리(L21)가 도 1의 캐리지(80)의 스트로크 거리(L11)보다 더 작으므로, 상기 무빙 글래스(200)의 열림 허용 거리(L22)는 도 1의 글래스(90)의 열림 허용 거리(L21)보다 더 크다.
따라서, 도 1 및 도 9에서, 본 발명의 무빙 글래스(200)의 총 열림 거리(A2)는 종래 기술의 글래스(90)의 총 열림 거리(A1)보다 더 크다. 또한, 본 발명의 무빙 글래스(200)의 열림 잔량(B2)은 종래 기술의 글래스(90)의 열림 잔량(B1)보다 더 작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차량의 2열(예를 들면, 뒷 좌석 또는 후방측(D2))에 승차한 탑승자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종래기술에서 루프 패널(230)의 센터 커버(도 9 또는 도 10(a)의 220) 주변으로 글래스(90)의 잔량을 많이 보지만,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본 발명에서 루프 패널(230)의 센터 커버(도 9 또는 도 10(b)의 220) 주변으로 무빙 글래스(200)의 잔량을 거의 볼 수 없다.
도 10(b)에서, 상기 무빙 글래스(200)의 잔량이 루프 패널(230)의 개구부에 빗금 부분과 함께 조금 보여지게 처리되는데, 상기 빗금 부분은 도 10(a)의 글래스(90) 대비 무빙 글래스(200)의 부재 부분을 지칭한다.
100; 루프 프레임, 110; 메커니즘 레일
130; 와인딩 가이드, 160; 슬레드
180; 회전 레버, 190; 캐리지
200; 무빙 글래스, 210; 선 루프
L12 & L22; 거리, M; 병진 운동
P12 & P22 & P32; 궤적

Claims (14)

  1. 차량의 루프 패널(roof panel)의 양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적층된 루프 프레임(roof frame)과 무빙 글래스(moving glass)를 이어주는 선 루프 메커니즘(sun roof mechanism)에 있어서,
    상기 루프 패널의 개별 측부에서 상기 루프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을 따라 위치되어 마주하는 레일 벽체에 굴곡을 가지는 메커니즘 레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일측 레일 벽체와 타측 레일 벽체 사이에서 상기 루프 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와인딩 가이드(winding guide);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일측 레일 벽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는 슬레드(sled); 및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슬레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레드와 결합하면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는 회전 레버(rotating lever)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슬레드와 상기 와인딩 가이드와 상기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임 동안, 상기 무빙 글래스 바로 아래에서 상기 무빙 글래스의 캐리지(carriage)에 회전 고정되어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선 루프 메커니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는, 상기 루프 프레임 주변에 위치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루프 프레임 아래를 향해 돌출하면서 상기 루프 프레임의 상기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측을 향해 볼록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을 가지는 선 루프 메커니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는, 상기 루프 프레임의 상기 하부측에 볼 때,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제1 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의 상기 상부측에 볼 때,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제2 단부를 개구하여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의 상기 제2 단부를 상기 타측 레일 벽체에 안내하는 선 루프 메커니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은, 상기 루프 프레임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볼록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첨점 이후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타측 레일 벽체의 굴곡(groove)과 연통하는 선 루프 메커니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드는,
    상기 루프 프레임 상에 위치되는 케이블을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전송받아 상기 메커니즘 레일 또는 상기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움직이기 위해,
    상기 회전 레버 가까이에 위치되는 근위단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고,
    상기 회전 레버로부터 멀리에 위치되는 원위단에서 슬레드 슈(shoe)를 가지고,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상기 원위단을 향해 'ㄴ' 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루프 프레임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근위단과 상기 원위단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상기 루프 프레임을 향해 오목하게 굴곡진 포물선 형상의 오목 경사 궤적 홀을 한정하는 선 루프 메커니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드 슈는,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모터의 상기 구동력을 전송받는 동안,
    상기 일측 레일 벽체에 접촉되어 상기 일측 레일 벽체를 따라 유동하는 선 루프 메커니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드의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은, 상기 원위단과 상기 근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근위단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경사지게 솟아오르고 상기 근위단 아래로부터 상기 근위단을 향해 급진적으로 경사지게 솟아오르는 선 루프 메커니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닫혀 있는 때, 상기 캐리지 아래에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 그리고 상기 슬레드 그리고 상기 메커니즘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슬레드와 함께 상기 캐리지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열려 있는 때, 상기 메커니즘 레일을 따라 상기 슬레드의 움직임 동안 상기 메커니즘 레일에 대해 비스듬하게 세워지면서 상기 캐리지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슬레드로부터 상기 캐리지를 이격시키는 선 루프 메커니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하나의 밑변과 두 개의 빗변을 갖는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밑변과 일측 빗변 사이의 제1 모서리에서 힌지핀을 통해 상기 캐리지와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두 개의 빗변 사이의 제2 모서리에서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에 삽입되는 일측 가이드 슈(shoe);
    상기 제2 모서리 바로 가까이에 위치되어 상기 슬레드의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에 삽입되는 가이더(pin); 및
    상기 밑변과 타측 빗변 사이의 제3 모서리에서 상기 타측 레일 벽체에 접촉되어 상기 타측 레일 벽체를 따라 유동하는 타측 가이드 슈를 포함하는 선 루프 메커니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를 닫는 때,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길이 방향 중 제1 방향을 향해 상기 슬레드의 움직임 동안,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회전 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일측 가이드 슈는,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동안,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상부측에서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하부측에 도착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슬레드의 최상위 레벨에서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근위단과 상기 원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는,
    상기 힌지부 바로 아래로부터 시작하면서 상기 타측 레일 벽을 따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유동하여 상기 힌지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먼 거리에 위치되는 선 루프 메커니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를 여는 때,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길이 방향 중 제2 방향을 향해 상기 슬레드의 움직임 동안, 상기 캐리지에 대해 상기 회전 레버를 회전시키고,
    상기 일측 가이드 슈는,
    상기 회전 레버의 회전 동안,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볼록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와인딩 가이드의 상기 상부측에 도착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슬레드의 상기 원위단 및 상기 근위단 사이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슬레드의 최상위 레벨에서 상기 근위단에 위치되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는,
    상기 힌지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먼 거리에서 시작하며 상기 타측 레일 벽을 따라 상기 메커니즘 레일의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유동하여 상기 힌지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선 루프 메커니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일측 가이드 슈를 통해 제1 탄성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더를 제2 탄성 부재에 의해 둘러싸고,
    상기 타측 가이드 슈를 통해 제3 탄성 부재를 둘러싸는 선 루프 메커니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레버는,
    상기 가이더 주변에서 제4 탄성 부재와 제5 탄성 부재를 둘러싸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를 열거나 닫는 때,
    상기 제4 탄성 부재 또는 상기 제5 탄성 부재와 함께,
    상기 슬레드의 상기 오목 경사 궤적 홀 상에 위치되는 선 루프 메커니즘.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가이드 슈와 상기 가이더와 상기 타측 가이드 슈는,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닫혀 있는 때,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케이블 그리고 상기 슬레드 슈의 사이의 소정 영역과 모두 마주하고,
    상기 루프 패널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무빙 글래스를 통해 열려 있는 때,
    상기 일측 가이드 슈를 통해 상기 슬레드의 상기 근위단으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가이더를 통해 상기 슬레드의 상기 근위단에 중첩하면서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케이블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타측 가이드 슈를 통해 상기 슬레드에서 상기 케이블과 중첩하는 선 루프 메커니즘.
KR1020180165751A 2018-12-20 2018-12-20 선 루프 메커니즘 KR10215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751A KR102157215B1 (ko) 2018-12-20 2018-12-20 선 루프 메커니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751A KR102157215B1 (ko) 2018-12-20 2018-12-20 선 루프 메커니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629A true KR20200077629A (ko) 2020-07-01
KR102157215B1 KR102157215B1 (ko) 2020-09-18

Family

ID=7160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751A KR102157215B1 (ko) 2018-12-20 2018-12-20 선 루프 메커니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50B1 (ko) * 2013-12-31 2015-06-2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다중 궤적을 이용한 선루프 글래스 구동장치
KR101662547B1 (ko) * 2015-04-27 2016-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KR20160127450A (ko) * 2015-04-27 2016-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50B1 (ko) * 2013-12-31 2015-06-25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다중 궤적을 이용한 선루프 글래스 구동장치
KR101662547B1 (ko) * 2015-04-27 2016-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KR20160127450A (ko) * 2015-04-27 2016-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오픈 파노라마 선루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15B1 (ko)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618B2 (en) Sunroof apparatus
US7178862B2 (en) Sliding roof system
US20050248170A1 (en) Lid mechanism and center console box
CN102463878B (zh) 用于车辆的车顶装置
US10618386B2 (en)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structure
KR101900627B1 (ko) 차량의 내장 트림 부품 내 개구부의 개폐 장치
US20190194992A1 (en) Power Slide Window
JPS63291722A (ja) サンル−フ装置
CN105229251A (zh) 用于打开和关闭车门的装置
US10663726B2 (en) Head-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CN106114151A (zh) 用于机动车车窗玻璃的遮光装置
JP4654076B2 (ja) 車両用開放式屋根構造
US6866336B2 (en) Wind deflec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roof
US6497448B1 (en) Rearward closure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6560930B2 (en) Guide device for a window having a guide rail mounted to pivot substantially parallel to a plane of the window
KR20200077629A (ko) 선 루프 메커니즘
KR950012260B1 (ko) 자동차 루우프용 에어 가이드 장치
US6893083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cover which can be moved to the rear over the roof skin
US20040189058A1 (en) Louver vehicle roof
US7585012B2 (en) Adjustable vehicle roof
KR101531250B1 (ko) 다중 궤적을 이용한 선루프 글래스 구동장치
US6547319B1 (en) Device for operating a cover
US10953732B2 (en) Structure of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KR20140106192A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US6382713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crank element of an openable motor vehicle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