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371A -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및 플랜지 부품 - Google Patents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및 플랜지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371A
KR20160123371A KR1020167025642A KR20167025642A KR20160123371A KR 20160123371 A KR20160123371 A KR 20160123371A KR 1020167025642 A KR1020167025642 A KR 1020167025642A KR 20167025642 A KR20167025642 A KR 20167025642A KR 20160123371 A KR20160123371 A KR 20160123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ferritic stainless
steel
stainless steel
t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636B1 (ko
Inventor
준이치 하마다
고지 이토
Original Assignee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1957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2337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닛폰 스틸 앤드 스미킨 스테인레스 스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23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01/00Treatment for obtaining particular effects
    • C21D2201/05Grain ori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내식성, 인성이 우수하고, 특히 플랜지용 소재로서 적합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와 그 제조 방법 및 플랜지 부품을 제공한다. 상기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는, 질량%로, C:0.001∼0.08%, Si:0.01∼1.0%, Mn:0.01∼1.0%, P:0.01∼0.05%, S:0.0002∼0.01%, Cr:10.0∼25.0%, N:0.001∼0.05%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판 두께가 5㎜ 이상이고,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011> 방향이 압연 방향으로부터 15° 이내에 있는 결정립의 면적률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및 플랜지 부품{ROLLED FERRITIC STAINLESS-STEEL PLATE,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FLANGE COMPONENT}
본 발명은, 판 두께가 5㎜ 이상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이며, 강판 제조 시의 균열을 방지함과 함께, 내식성, 인성이 우수하고, 특히 플랜지용 소재로서 적합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동차의 배기 가스 경로는, 배기 매니폴드, 머플러, 촉매, 플렉시블 튜브, 센터 파이프 및 프론트 파이프 등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부품을 연결시킬 때, 플랜지로 불리는 체결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의 배기계 부품에서는, 가공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 공간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 접합이 적극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한 소음 및 강성 확보의 관점에서, 5㎜ 두께 이상의 두꺼운 플랜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플랜지는, 종래, 보통 강판에 대하여 프레스 성형, 펀칭 등의 가공을 함으로써 제조되었다. 그러나, 보통강은 내식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 후에 초기 녹으로 불리는 녹이 발생하여, 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보통 강판 대신에, 플랜지용의 소재로서 스테인리스 강판의 사용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에 비해 Ni 함유량이 적어 저비용이기 때문에, 플랜지에는 주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인성이 떨어지는 것이 과제이었다. 강판의 인성이 낮으면, 강판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강대의 통판 시 또는 강대의 전개 시에 판 파단이 발생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플랜지 가공에 있어서, 절단, 펀칭 등의 가공 시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동계의 저온 환경에 있어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플랜지가 균열되어 버려, 자동차 배기관이 손상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5㎜ 이상의 두꺼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특히 인성이 낮은 경우가 있으므로, 플랜지의 제조에 사용하기에는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두꺼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사용하여 플랜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강판의 인성, 특히 열연 강판 또는 열연 어닐링 및 산세정 처리 후의 강판 인성의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인성에 관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안이 몇 가지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에는, 판 두께가 5∼12㎜인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 코일 또는 열연 어닐링 코일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제조 조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Ti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경도 및 샤르피 충격값을 조정하기 위해, 권취 온도를 570℃ 이상으로 하고, 코일을 수중에 침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Nb 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경도 및 샤르피 충격값을 조정하기 위해, 열연 마무리 온도를 890℃ 이상으로 하고 400℃ 이하에서 권취하며, 코일을 수중에 침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기술은, 열연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판의 인성 향상의 관점에서 열연 조건을 규정하고 있지만, 코일 전체 길이를 상기 조건으로 제어하는 것은 곤란함과 함께, 인성 향상을 위한 금속 조직적인 요인이 불명확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차가 작은 아립계의 길이를 일정 이상으로 한 냉간 균열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 개시되어 있다. 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열연 마무리 온도를 800∼1000℃, 권취 온도를 650℃ 초과∼800℃로 하고, 권취 후에 수조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입계의 석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을 규정한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 및 4에 개시된 기술은, 결정립계의 성격이나 결정립계 상의 석출물의 제어에 의해, 그 인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지만, 반드시 플랜지용의 소재로서 만족스러운 인성 레벨을 실현하고 있지는 않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4068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40688호 공보 WO2013/08500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63714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성이 우수한 플랜지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이외에 인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어할 필요가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 점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추진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저온 인성에 관하여, 성분 및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조직, 결정 방위학적 견지로부터 상세한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예를 들어 5㎜ 이상의 두꺼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에서 특히 열연 강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의 인성 향상에 대해서는, 모상의 결정 방위의 배향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유효한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요지는,
(1) 질량%로, C:0.001∼0.08%, Si:0.01∼1.0%, Mn:0.01∼1.0%, P:0.01∼0.05%, S:0.0002∼0.01%, Cr:10.0∼25.0%, N:0.001∼0.05%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판 두께가 5㎜ 이상이고,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011> 방향이 압연 방향으로부터 15° 이내에 있는 결정립의 면적률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2)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결정 방위차가 15° 미만인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총합이,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에 대하여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3) 질량%로, Ti:0.01∼0.4%, Nb:0.01∼0.6%, B:0.0002∼0.0030%, Al:0.005∼0.3%, Ni:0.1∼1%, Mo:0.1∼2.0%, Cu:0.1∼3.0%, V:0.05∼1.0%, Mg:0.0002∼0.0030%, Sn:0.01∼0.3%, Sb:0.01∼0.3%, Zr:0.01∼0.1%, Ta:0.01∼0.1%, Hf:0.01∼0.1%, W:0.01∼2.0%, Co:0.01∼0.2%, Ca:0.0001∼0.0030%, REM:0.001∼0.05%, Ga:0.0002∼0.1%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4) 질량%로, C:0.001∼0.08%, Si:0.01∼1.0%, Mn:0.01∼1.0%, P:0.01∼0.05%, S:0.0002∼0.01%, Cr:10.0∼25.0%, N:0.001∼0.05%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용강을 용제하고, 열연 마무리 온도를 800℃∼900℃로 하는 열간 압연 공정을 행하고, 500℃ 이하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의 제조 방법.
(5) 용강이 질량%로, Ti:0.01∼0.4%, Nb:0.01∼0.6%, B:0.0002∼0.0030%, Al:0.005∼0.3%, Ni:0.1∼1%, Mo:0.1∼2.0%, Cu:0.1∼3.0%, V:0.05∼1.0%, Mg:0.0002∼0.0030%, Sn:0.01∼0.3%, Sb:0.01∼0.3%, Zr:0.01∼0.1%, Ta:0.01∼0.1%, Hf:0.01∼0.1%, W:0.01∼2.0%, Co:0.01∼0.2%, Ca:0.0001∼0.0030%, REM:0.001∼0.05%, Ga:0.0002∼0.1%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의 제조 방법.
(6) 열간 압연 후에, 10℃/sec 이상의 가열 속도로 800∼1000℃로 가열 후, 어닐링하고, 계속해서 1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의 제조 방법.
(7) 플랜지 부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8)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로 이루어지는 플랜지 부품이며, -20℃에서의 충격 에너지가 125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플랜지 부품.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인성이 우수한 플랜지용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011> 방위 입자 비율과 샤르피 충격값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플랜지 부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플랜지 부품의 저온 낙중 시험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정립 미세화, 석출물의 미세화 및 연질화는 인성 향상에 기여하지만, 많은 첨가 원소를 필요로 하고 있어, 두께가 5㎜ 이상의 두꺼운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을 플랜지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충분한 인성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모상인 페라이트상의 결정 방위에 주목하여 인성과의 관계를 상세하게 조사한 결과, 결정립의 안정 방위인 <011> 방향이 압연 방향으로부터 15° 이내에 있는 결정립(이하 「<011> 방위 입자」라고도 함)을 면적률로 20% 이상 형성시킴으로써 강판의 인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에 다양한 제법으로 제조된 판 두께가 상이한 강(17% Cr-0.34% Nb-0.005% C-0.01% N)의 열연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의 <011> 방위 입자 비율과 샤르피 충격값의 관계를 도시한다. 여기서, 결정 방위는 EBSP(Electron Back-Sccetering Difraction pattern)를 사용하여, 열연 강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전체 판 두께의 단면으로부터 단위 면적당의 결정립마다의 방위를 측정하고, 상기 단면의 단위 면적당의 <011> 방향이 압연 방향으로부터 15° 이내에 있는 결정립의 면적률(이하 「<011> 방위 입자 비율」이라고도 함)을 측정하였다. 또한, 샤르피 충격값은, 열연 어닐링 강판으로부터 V 노치 시험편(폭 방향으로 V 노치 부여)을 채취하여, JISZ2242에 준거하여 0℃에서 계측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1> 방위 입자 비율이 20% 이상으로 되면, 샤르피 충격값이 향상되고, 인성이 양호해진다. 여기서, 양호한 인성이란 0℃에서의 충격값이 7J/㎠ 이상의 충격값을 갖는 것이며, 열연 코일의 전개 및 통판 시에 취성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페라이트강의 벽개면은 {100}면이고, 이 면을 따라서 취성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011> 방위 입자가 발달하면 균열 전파 방향과 벽개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기 때문에, 벽개 파괴의 저항력이 커져, 인성값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에 대한 결정 방위차가 15° 미만인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총합의 비율이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특징은, 전술한 <011> 방위 입자 비율과 함께 인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조직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예를 들어 열간 가공)에 의해 도입된 전위는, 당해 전이의 회복 및 재료의 재결정 과정에서 재배열이 발생하고, 상기 회복 단계에서는, 결정 방위차가 15° 미만인 소경각 입계로 둘러싸인 결정립(이하, 「서브 그레인」이라 함)을 형성하고, 상기 재결정 과정에서 15° 이상의 대경각 입계로 둘러싸인 조대한 결정립이 형성된다. 통상은, 재결정 열처리에 의해 대경각 입계의 비율이 증가하고 소경각 입계는 저감되지만, 대경각 입계는 이동 및 성장이 현저하게 빠르기 때문에, 결정립 조대화에 의한 인성 저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총합이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의 10%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서브 그레인을 형성함으로써, 입계의 이동 및 성장을 억제하고, 취성 파괴의 저항으로서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011> 방위 입자 비율이 20% 이상이며, 또한, 상기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총합이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의 10%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서브 그레인이 형성됨으로써, 0℃에서의 샤르피 충격값을 11J/㎠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0℃에서의 샤르피 충격값을 11J/㎠ 이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플랜지 가공 시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에 대한 15° 미만의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비율은, 상기의 EBSP 방위 해석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011> 방위 입자 비율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EBSP를 사용하여 행하는 상기 <011> 방위 입자 비율 및 상기 15° 미만의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비율의 측정은, 열연 강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길이 1.0㎜의 전체 판 두께의 단면에 걸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판의 연성을 고려하면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강의 성분 범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분 함유량의 %는 질량%를 의미한다.
C는, 고용 C에 의한 경질화 및 탄화물 석출에 의해 인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은 적을수록 좋다. 또한, C의 함유량이 0.08% 초과의 경우, 탄화물 생성에 기인하여 결정 방위의 랜덤화가 발생하여,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8%로 하였다. 단, 과도한 저감은 정련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C의 함유량의 하한을 0.001%로 하였다. 또한, 제조 비용, 내식성 및 열연판 인성을 고려하면 0.002% 이상 0.015% 이하가 바람직하다.
Si는, 탈산 원소로서 첨가되는 경우가 있는 것 외에, 내산화성의 향상을 가져오지만, 고용 강화 원소이기 때문에, 인성의 관점에서는 적을수록 좋다. 또한, Si의 함유량이 1.0% 초과의 경우, 슬립계의 변화에 기인하여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1.0%로 하였다. 한편, 내산화성 확보를 위해, 그 하한을 0.01%로 하였다. 단, Si의 함유량의 과도한 저감은 정련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재질이나 내초기 녹성을 고려하여 0.05% 이상 0.9% 이하가 바람직하다.
Mn은, Si와 마찬가지로, 고용 강화 원소이기 때문에, 재질상 그 함유량은 적을수록 좋다. 또한, 1.0% 초과의 경우, MnS 등의 석출물의 생성에 의해 결정 방위의 랜덤화가 발생하여,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이 억제되므로, Mn 함유량의 상한을 1.0%로 하였다. 한편, Mn 함유량의 과도한 저감은 정련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지만, 미량의 Mn 첨가는 스케일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 하한은 0.01%로 하였다. 또한, 재질이나 제조 비용을 고려하면 0.1%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P는, Mn이나 Si와 마찬가지로 고용 강화 원소이며 재료를 경질화시키기 때문에, 인성의 관점에서 그 함유량은 적을수록 좋다. 또한, P의 함유량이 0.05% 초과의 경우, 인화물의 생성에 기인하여 결정 방위의 랜덤화가 발생하여,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5%로 하였다. 단, 과도한 저감은 원료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하한을 0.01%로 하였다. 또한, 제조 비용과 내식성을 고려하면 0.015% 이상 0.03% 이하가 바람직하다.
S는, 내식성을 열화시키는 원소이기 때문에, 그 함유량은 적을수록 좋다. 또한, S의 함유량이 0.01% 초과의 경우, MnS, Ti4C2S2 등의 석출물 생성에 기인하여 결정 방위의 랜덤화가 발생하여,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이 억제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01%로 하였다. 한편, S는, Mn이나 Ti와 결합하여 플랜지 성형에 있어서의 펀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S의 함유량이 0.0002%로부터 이 효과는 발현하므로, 하한을 0.0002%로 하였다. 또한, 정련 비용이나 연료 부품으로 하였을 때의 간극 부식 억제를 고려하면, S의 함유량은 0.0010% 이상 0.0060% 이하가 바람직하다.
Cr은, 내식성이나 내산화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플랜지에 요구되는 염해성을 고려하면, 10.0% 이상이 필요하다. 한편, Cr의 과도한 첨가는, 경질로 되어 성형성이나 인성을 열화시킨다. 또한, Cr의 함유량이 25.0% 초과의 경우, 조대한 Cr 탄화물 및 질화물 등의 석출물 생성에 기인하여 결정 방위의 랜덤화가 발생하여,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한을 25.0%로 하였다. 또한, 제조 비용이나 인성 열화에 의한 제조 시의 판 파단을 고려하면, 10.0% 이상 18.0% 이하가 바람직하다.
N은, C와 마찬가지로 인성과 내식성을 열화시키기 때문에, 그 함유량은 적을수록 좋다. 또한, N의 함유량이 0.05% 초과의 경우, 질화물 생성에 기인하여 결정 방위의 랜덤화가 발생하여,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한을 0.05%로 하였다. 단, N의 함유량의 과도한 저하는 정련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하한을 0.001%로 하였다. 또한, 제조 비용과 가공성 및 초기 녹성을 고려하면 0.005 이상 0.02%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원소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면 바람직하다.
Ti는, C, N, S와 결합하여 내식성, 내입계 부식성, 인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는 원소이다. C, N 고정 작용은 0.01%로부터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01%로 하였다. 또한, 0.4% 초과의 Ti의 첨가는 경질화하는 것 외에, 조대한 Ti(C, N) 화합물이 석출되어 인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기 때문에, Ti의 함유량의 상한을 0.4%로 하였다. 또한,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하면, 0.05% 이상 0.25% 이하가 바람직하다.
Nb는,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 외에, Ti와 마찬가지로 C나 N과 결합하여 내식성, 내입계 부식성, 인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된다. 이 작용은, Nb의 함유량이 0.01% 이상인 경우에 발현하기 때문에, 그 하한을 0.01%로 하였다. 단, Nb를 과도하게 첨가하면, 강판을 경질화하여 강판의 성형성을 열화시키는 것 외에, 조대한 Nb(C, N) 화합물이나 열 이력에 따라서는 (Fe, Nb)6C 및 Fe2Nb가 석출되어, 강판의 인성을 현저하게 열화시키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기 때문에, 상한을 0.6%로 하였다. 또한, 원료 비용이나 간극 부식성을 고려하면, 0.1% 이상 0.45% 이하가 바람직하다.
B는, 입계에 편석함으로써 제품의 2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플랜지의 펀칭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된다. 이 작용은, B의 함유량이 0.0002% 이상인 경우에 발현하기 때문에, B의 함유량의 하한을 0.0002%로 하였다. 단, 과도한 B의 첨가에 의해 붕화물이 석출되어 강판의 인성을 열화시키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기 때문에, 상한을 0.0030%로 하였다. 또한, 비용이나 연성 저하를 고려하면, 0.0003% 이상 0.0010% 이하가 바람직하다.
Al은, 탈산 원소로서 첨가되는 경우가 있고, 그 작용은 0.005% 이상의 Al 함유량으로부터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005%로 하였다. 또한, 0.3% 이상의 Al의 첨가는, 강판의 인성의 저하나, 용접성 및 표면 품질의 열화를 초래하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기 때문에, 그 상한을 0.3%로 하였다. 또한, 정련 비용을 고려하면 0.01% 이상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Ni는, 간극 부식의 억제나 재부동태화의 촉진에 의해 내초기 녹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된다. 이 작용은, Ni 함유량이 0.1% 이상인 경우에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1%로 하였다. 단, 과도한 첨가는 경질화하여 성형성을 열화시키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거나, 응력 부식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한을 1%로 하였다. 또한, 원료 비용을 고려하면, 0.1% 이상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Mo는, 내식성이나 고온 강도를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특히 플랜지 부품이 간극 구조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간극 부식을 억제하기 위해 필요한 원소이다. 이 작용은, Mo 함유량이 0.1% 이상으로 되면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1%로 하였다. 또한, Mo 함유량이 2.0%를 초과하면 현저하게 성형성이 열화되거나, 제조 시의 인성 열화,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의 억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한을 2.0%로 하였다. 또한, 제조 비용을 고려하면 0.1% 이상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Cu는, 고온 강도 향상 외에, 간극 부식의 억제나 재부동태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된다. 이 작용은, Cu 함유량이 0.1% 이상으로 되면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1%로 하였다. 단, 과도한 첨가는, ε-Cu 석출에 의해 강판을 경질화하여 강판의 성형성과 인성을 열화시키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기 때문에, 상한을 3.0%로 하였다. 또한, 제조 시의 산세정성 등을 고려하면, 0.1% 이상 1.2% 이하가 바람직하다.
V는, 간극 부식을 억제시키는 것 외에, 미량 첨가에 의해 인성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첨가된다. 이 작용은, V의 함유량 0.05% 이상으로부터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05%로 하였다. 단, 과도한 V의 첨가는, 강판을 경질화하여 강판의 성형성을 열화시키는 것 외에, 조대한 V(C, N) 화합물의 석출에 의해 강판의 인성 열화 및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의 억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한을 1.0%로 하였다. 또한, 원료 비용이나 초기 녹성을 고려하면, 0.07% 이상 0.2% 이하가 바람직하다.
Mg는, 탈산 원소로서 첨가시키는 경우가 있는 것 외에, 슬래브의 조직을 미세화시켜, 성형성 향상에 기여하는 원소이다. 또한, Mg 산화물은 Ti(C, N) 화합물이나 Nb(C, N) 화합물 등의 탄질화물의 석출 사이트로 되어, 이들을 미세 분산 석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작용은, V의 함유량 0.0002% 이상에서 발현하고, 인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하한을 0.0002%로 하였다. 단, 과도한 첨가는, 용접성이나 내식성의 열화로 이어지는 것 외에, 조대한 석출물 형성에 의해 <011> 방위 입자의 억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한을 0.0030%로 하였다. 정련 비용을 고려하면, 0.0003% 이상 0.0010% 이하가 바람직하다.
Sn이나 Sb는, 내식성과 고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0.01% 이상 첨가한다. 0.3% 초과의 첨가에 의해 강판 제조 시의 슬래브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기 위해 상한을 0.3%로 한다. 또한, 정련 비용이나 제조성을 고려하면, 0.01% 이상 0.15% 이하가 바람직하다.
Zr, Ta 및 Hf는, C나 N과 결합하여 인성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0.01% 이상 첨가한다. 단, 0.1% 초과의 첨가에 의해 비용 증가로 되는 것 외에, 제조성의 현저한 열화나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의 억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한을 0.1%로 한다. 또한, 정련 비용이나 제조성을 고려하면, 0.01% 이상 0.08% 이하가 바람직하다.
W는, 내식성과 고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0.01% 이상 첨가한다. 2.0% 초과의 첨가에 의해 강판 제조 시의 인성 열화나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의 억제 및 비용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한을 2.0%로 한다. 또한, 정련 비용이나 제조성을 고려하면, 0.01% 이상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Co는, 고온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0.01% 이상 첨가한다. 0.2% 초과의 첨가에 의해 강판 제조 시의 인성 열화나 <011> 방위 입자의 발달 억제 및 비용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상한을 0.2%로 한다. 또한, 정련 비용이나 제조성을 고려하면, 0.01% 이상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Ca는, 탈황을 위해 첨가되는 경우가 있고, 이 효과는, Ca 함유량이 0.0001% 이상에서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0001%로 하였다. 그러나, 0.0030% 초과의 첨가에 의해 조대한 CaS가 생성되어, 인성이나 내식성의 열화,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상한을 0.0030%로 하였다. 또한, 정련 비용이나 제조성을 고려하면, 0.0003∼0.0020%이 바람직하다.
REM(희토류 원소)은, 다양한 석출물의 미세화에 의한 인성 향상이나 내산화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경우가 있고, 이 효과는, REM 함유량이 0.001% 이상에서 발현하기 때문에 하한을 0.001%로 하였다. 그러나, 0.05% 초과의 첨가에 의해 주조성이 현저하게 나빠지는 것 외에,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을 억제하기 때문에 상한을 0.05%로 하였다. 또한, 정련 비용이나 제조성을 고려하면, 0.001∼0.01%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REM은, 일반적인 정의에 따라, 스칸듐(Sc), 이트륨(Y)의 2원소와, 란탄(La)부터 루테튬(Lu)까지의 15원소(란타노이드)의 총칭을 가리킨다. 단독으로 첨가해도 되고, 혼합물이어도 된다.
Ga는, 내식성 향상이나 수소 취화 억제를 위해, 0.1% 이하로 첨가해도 된다. 황화물이나 수소화물 형성의 관점에서, Ga의 함유량의 하한은 0.0002%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10% 이상이다. 또한, 제조성이나 비용의 관점 및 <011> 방위 입자의 발달의 관점에서 0.0040%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Bi 등을 필요에 따라서, 0.001% 이상 0.1% 이하 첨가해도 된다. 또한, As, Pb 등의 일반적인 유해한 원소나 불순물 원소는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연 강재는, 제강-열간 압연, 제강-열간 압연-산세정 또는 제강-열간 압연-어닐링-산세정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제강에 있어서는, 상기 필수 성분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강을, 전로 용제하고 계속해서 2차 정련을 행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용제한 용강은, 공지의 주조 방법(연속 주조)에 따라서 슬래브로 한다. 슬래브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고, 소정의 판 두께로 연속 압연으로 열간 압연된다.
본 발명에서는, 열간 압연에 있어서의 마무리 온도와 권취 온도를 규정한다.
열간 압연의 마무리 온도가 고온으로 될수록, 마무리 압연 후에 페라이트상의 가공 변형이 제거됨과 함께 조직 회복이 촉진되고, 그 <011> 방향이 압연 방향으로부터 15° 이내로 되도록 상기 서브 그레인이 형성되어, 강판의 인성이 향상된다. 한편, 마무리 온도가 800℃ 미만에서는, <011> 방위 입자 이외의 방위(<001> 방위 등)를 갖는 결정립이, 열연 전단 변형에 기인하여 생성되어 발달되어 버린다. 마무리 온도를 800℃ 이상으로 함으로써, 타방위의 결정립의 생성 및 발달을 억제하고, 상기 서브 그레인으로서의 <011> 방위 입자가, 전체 판 두께의 단면에 대한 면적률 환산으로 20% 이상으로 되도록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마무리 온도를 800℃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마무리 온도의 과도한 고온화는 <011> 방위 입자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 외에, 산세정성의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마무리 온도의 상한을 900℃로 한다. 또한, 표면 손상을 고려하면 810∼880℃가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 공정에서의 마무리 압연 후에, 500℃ 이하에서 권취 공정이 이루어진다.
500℃ 초과의 고온에서 권취 공정을 행하면, 인성 저하를 초래하는 석출물이 생성되고, 475℃ 취성이 발현하여 강대가 저인성화되기 때문에, 권취 공정의 상한 온도를 500℃로 한다. 또한, 마무리 온도 800℃ 이상에서 실시된 마무리 압연 시에 형성된 상기 서브 그레인으로서의 <011> 방위 입자의 결정 방위 회전을 억제하고, 또한 재결정 조직으로 하지 않기 위해, 권취 공정의 온도의 상한을 500℃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과도한 저온화는 코일 형상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권취 공정의 온도의 하한을 200℃로 한다. 또한, 형상 안정성, 산세정성을 고려하면, 권취 공정은, 300℃ 이상 45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연 판 두께는 플랜지로서 다용되는 5㎜ 이상으로 하지만, 과도하게 후육화되면 인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6㎜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 후에 어닐링-산세정 공정의 통판을 행하는 경우, 어닐링 조건을 규정한다.
어닐링 온도의 고온화에 수반하여 회복ㆍ재결정이 진행되어, <011> 방위 입자가 저감된다. 이 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800∼1000℃에서 가열한다. 어닐링 온도가 800℃ 미만에서는, 열연 공정 시의 가공 조직이 잔류하여 회복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강판이 경질로 되기 때문에, 강판의 인성이 불량으로 된다. 또한, 어닐링 온도가 1000℃ 초과에서는 재결정 완료 후의 입성장이 현저하게 진행됨과 함께, 결정 방위의 랜덤화가 진행되어 <011> 방위 입자가 저감되기 때문에, 강판의 인성이 현저하게 열화된다. 또한, 석출물의 고용화, 결정립의 조대화 억제 및 <011> 방위 입자의 잔류의 관점에서, 850∼950℃에서 어닐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닐링 온도로 강판 또는 강대를 가열할 때, 가열 속도를 10℃/sec 이상으로 한다. 가열 속도가 이것보다도 느린 경우, 재결정이 진행되어 서브 그레인의 소실 및 결정립의 조대화가 발생하고, <011> 방위 입자가 저감되어 강판의 인성이 열화된다. 가열 속도가 10℃/sec 미만에서 <011> 방위 입자가 저감되는 요인으로서는, 가열 중에 타방위 입자가 발생해 버려, <011> 방위 입자가 상기 타방위의 발달에 수반하여 침식되는 것이 원인이다. 특히, <112>, <100> 방위 입자가 발달하여, <011> 방위 입자의 존재 비율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냉각 속도에 대해서도 10℃/sec 이상으로 하지만, 이것은 냉각 과정에서 인성 열화를 초래하는 석출물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냉각 속도가 10℃/sec 미만에서는, 냉각 과정에서 결정 방위 변화가 발생하여 <011> 방위 입자 비율이 저감된다. 또한, 생산성을 고려하면, 가열 속도는 15℃/sec 이상, 냉각 속도는 15℃/sec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성분 조성이면 상기의 냉각 속도에서 충분히 효과를 발현한다. 상기 속도보다도 고속(예를 들어, 5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해도 본 발명의 효과는 포화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 품위, 강판 형상이나 제조 비용을 고려하여, 냉각 속도를 50℃/sec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성분을 갖고, 또한 상기 열간 압연 공정에 의한 제조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는, 본 발명의 열연 강판 또는 열연 강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성분을 갖고, 또한 상기 열간 압연 후에 상기 어닐링 공정을 거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는, 본 발명의 열연 어닐링 강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열연 강판 또는 열연 강대, 또는 본 발명의 열연 어닐링 강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대는, 모두, JISZ2242에 준거하여 0℃에서 계측된 샤르피 충격값이 11J/㎠ 이상이고, 플랜지 가공 시의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로부터 제조된 플랜지 부품은, -20℃에서의 125J 이하의 충격 에너지의 부여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저온 인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의 용강을 각각 용제하여 슬래브로 주조하고, 슬래브를 5㎜ 두께 이상으로 열간 압연하여 열간 압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간 압연 코일은, 열연 마무리 온도를 810∼880℃, 권취 온도를 300∼450℃로 제어함으로써 제조되었다. 그 후, 표 1-1 및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닐링 공정을 실시한 코일도 제조하였다. 상기 어닐링 공정의 조건으로서, 어닐링 온도는 850∼950℃, 가열 속도와 냉각 속도는 모두 15℃/sec로 하였다. 이들 열연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으로부터 결정 방위 평가 샘플과 샤르피 충격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열연 강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에 있어서, 압연 방향에 평행한 길이 1.0㎜의 전체 판 두께의 단면을 표본적으로 노출시키고, 노출시킨 당해 단면에 대하여, EBSP를 사용하여 결정립마다의 방위를 측정하고, <011> 방향이 압연 방향으로부터 15° 이내에 있는 결정립의 면적률(<011> 방위 입자 비율)(면적%)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011> 방위 입자 비율이 측정된 단면에 있어서의 15° 미만의 결정 방위차를 갖는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총합과, 상기 전체 판 두께의 단면에 있어서의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샤르피 충격 시험을 상기 방법에 의해 JISZ2242에 준거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표 1-2에 있어서, 부호 "*"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1-1]
Figure pct00001
[표 1-2]
Figure pct00002
[표 2-1]
Figure pct00003
[표 2-2]
Figure pct00004
표 2-1 및 표 2-2에 결과를 나타낸다. 표 2-2에 있어서, 부호 "*"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15° 미만의 소경각 입계의 비율 」이란, 상기 <011> 방위 입자 비율이 측정된 단면에 있어서의 15° 미만의 결정 방위차를 갖는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총합과,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의 비율이다.
본 발명예 A1∼A20은, 본 발명의 성분을 갖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연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이다. 본 발명예 A1∼A20은, 모두 <011> 방위 입자 비율이 20% 이상이며, 15° 미만의 소경각 입계의 비율이 10% 이상이고, 0℃에서의 충격값이 11J/㎠ 이상이었다. 0℃에서의 충격값이 7J/㎠ 이상의 충격값을 갖는 강이면, 열연 코일의 전개 및 통판 시에 취성 균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판은, 충분한 인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비교예 B1∼B26은 어느 하나의 성분이 본 발명 범위 외의 열연판 또는 열연 어닐링 강판이다. 비교예 B1∼B26은, <011> 방위 입자 비율이 20% 미만이고, 15° 미만의 소경각 입계의 비율이 10% 미만이며, 0℃에서의 충격값이 7J/㎠에 도달하지 않는 예가 많았다.
본 발명의 성분을 갖는 강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연 조건과 어닐링 조건을 변경하여 제조한 코일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표 3의 「강 No.」의 란에 나타내어진 부호는, 표 1의 「No.」의 란에 나타내어진 강판의 부호에 대응한다. 즉, 표 3에 나타내어진 각 강판은, 표 3의 「강 No.」의 란에 나타내어진 부호에 대응하는 표 1에 있어서의 당해 부호의 강판과 동일한 조성을 갖고, 표 3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이다. 표 3의 본 발명예 C1∼C24의 강판은, 본 발명의 제조 조건에 의해 제조되어 있어, 양호한 인성을 갖고 있다. 한편, 비교예 D1∼D6의 강판은, 어느 하나의 제조 조건이 본 발명 범위 외이며, <011> 방위 입자 비율이 20% 미만이고, 15° 미만의 소경각 입계의 비율이 10% 미만이며, 0℃에서의 충격값이 7J/㎠에 도달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예 C1∼C24의 강판 및 비교예 D1∼D6의 강판을 소재로 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의 형상의 플랜지 부품(1)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플랜지 부품(1)은 그 중앙에 직경 55㎜의 내경을 갖는 구멍(11)과, 상기 구멍(11)의 좌우에 볼트 등의 고정 금속 부재를 통과시키는 구멍(12)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1)의 상하에는, 가장 두께가 얇은 테두리부(11a 및 11b)가, 상기 구멍(11)의 중심에 대하여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 부품에 외접하는 타원(5)의 짧은 직경에 대한 상기 구멍(11)의 내경의 비율은 0.65이고, 상기 타원(5)의 짧은 직경에 대한 상기 테두리부(11a 및 11b)의 두께의 비율은 모두 0.18이다.
상기 플랜지 부품(1)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한 저온 낙중 시험(2)을 사용하여 저온 낙중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저온 낙중 시험은, 낙중 시험 장치(2)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먼저, -20℃로 냉각된 플랜지 부품(1)의 가장 두께가 얇은 부분(11a 및 11b)이 상단부 및 하단부로 되도록 플랜지 부품(1)을 고정대(4) 상에 직립시켜 고정하였다. 다음에, 상기 박육 부분(11a)의 측면에 무게 16㎏의 추(3)를 높이 80㎝로부터 자유 낙하시켜, 플랜지 부품(1)의 균열 유무를 눈으로 보아 관찰하였다. 이 경우, 플랜지 부품에 부여되는 에너지는 125J로 된다. 플랜지 부품을 -20℃로 냉각하는 방법은 항온 항습조 또는 알코올과 액체 질소로 온도 조정하고, -20℃로 10분 유지한 후, 충격을 부여하였다.
상기 저온 낙중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있어서, 부호 "*"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예 C1∼C24로부터 제작된 플랜지 부품은 -20℃에서 125J 이하의 충격 에너지의 부여로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인성이 우수한 플랜지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 범위 외의 제조 조건에 의해 제조된 열연판 또는 열연 어닐링판인 비교예 D1∼D6은, 상기 충격 에너지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고 있어, 충분한 인성을 갖고 있지 않다.
[표 3]
Figure pct00005
또한, 제조 설비 또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다른 조건은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열간 압연 설비는 연속식의 탠덤 밀이어도 리버스식 밀이어도 되고, 압연 도중에 보열 장치를 갖는 스테켈 밀을 사용해도 된다. 슬래브 두께, 열간 압연 판 두께 등은 적절히 설계하면 된다. 열연 권취 후에 수냉 풀에 침지해도 상관없다. 열연 후 또는 열연 어닐링 후의 산세정에 대해서는, 숏블라스트, 벤딩, 브러시 등의 메커니컬 디스케일 방법에 대해서는 적절히 선택하면 되고, 산액에 대해서도 황산, 초불산 등 기설 조건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 후에 코일 연삭, 숏블라스트 처리 및 도장이나 도금 등의 각종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상관없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는, 제조성이 우수함과 함께, 플랜지 제작 시 및 사용 시의 인성도 확보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을 적용한 재료를, 특히 자동차, 이륜용 부품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의 확보가 도모되고, 사회적 공헌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산업상 매우 유익하다.
1 : 플랜지 부품
2 : 낙중 시험 장치
3 : 추
4 : 고정대
11 : 구멍
11a, 11b : 테두리부
5 : 외접 타원

Claims (8)

  1. 질량%로, C:0.001∼0.08%, Si:0.01∼1.0%, Mn:0.01∼1.0%, P:0.01∼0.05%, S:0.0002∼0.01%, Cr:10.0∼25.0%, N:0.001∼0.05%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이며,
    판 두께가 5㎜ 이상이고,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의 <011> 방향이 압연 방향으로부터 15° 이내에 있는 결정립의 면적률이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강판의 좌우 양단부의 사이의 임의의 개소에 있어서의 압연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결정 방위차가 15° 미만인 소경각 입계의 길이의 총합이, 결정립계의 길이의 총합에 대하여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Ti:0.01∼0.4%, Nb:0.01∼0.6%, B:0.0002∼0.0030%, Al:0.005∼0.3%, Ni:0.1∼1%, Mo:0.1∼2.0%, Cu:0.1∼3.0%, V:0.05∼1.0%, Mg:0.0002∼0.0030%, Sn:0.01∼0.3%, Sb:0.01∼0.3%, Zr:0.01∼0.1%, Ta:0.01∼0.1%, Hf:0.01∼0.1%, W:0.01∼2.0%, Co:0.01∼0.2%, Ca:0.0001∼0.0030%, REM:0.001∼0.05%, Ga:0.0002∼0.1%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4. 질량%로, C:0.001∼0.08%, Si:0.01∼1.0%, Mn:0.01∼1.0%, P:0.01∼0.05%, S:0.0002∼0.01%, Cr:10.0∼25.0%, N:0.001∼0.05%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적 불순물인 용강을 용제하고,
    열연 마무리 온도를 800℃∼900℃로 하는 열간 압연 공정을 행하고,
    500℃ 이하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용강이 질량%로, Ti:0.01∼0.4%, Nb:0.01∼0.6%, B:0.0002∼0.0030%, Al:0.005∼0.3%, Ni:0.1∼1%, Mo:0.1∼2.0%, Cu:0.1∼3.0%, V:0.05∼1.0%, Mg:0.0002∼0.0030%, Sn:0.01∼0.3%, Sb:0.01∼0.3%, Zr:0.01∼0.1%, Ta:0.01∼0.1%, Hf:0.01∼0.1%, W:0.01∼2.0%, Co:0.01∼0.2%, Ca:0.0001∼0.0030%, REM:0.001∼0.05%, Ga:0.0002∼0.1%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의 제조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열간 압연 후에, 10℃/sec 이상의 가열 속도로 800℃∼1000℃로 가열 후, 어닐링하고, 계속해서 10℃/sec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랜지 부품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재로 이루어지는 플랜지 부품이며, -20℃에서의 충격 에너지가 125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플랜지 부품.
KR1020167025642A 2014-03-26 2015-03-26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및 플랜지 부품 KR101928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4779A JP5908936B2 (ja) 2014-03-26 2014-03-26 フランジ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フランジ部品
JPJP-P-2014-064779 2014-03-26
PCT/JP2015/059470 WO2015147211A1 (ja) 2014-03-26 2015-03-26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圧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フランジ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371A true KR20160123371A (ko) 2016-10-25
KR101928636B1 KR101928636B1 (ko) 2018-12-12

Family

ID=54195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642A KR101928636B1 (ko) 2014-03-26 2015-03-26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및 플랜지 부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648053B2 (ko)
EP (1) EP3124635B1 (ko)
JP (1) JP5908936B2 (ko)
KR (1) KR101928636B1 (ko)
CN (1) CN106133166B (ko)
MX (1) MX2016012221A (ko)
WO (1) WO201514721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66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17432A1 (ko) * 2017-12-14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4266A (ko) * 2017-02-28 2019-11-0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핫 코일 및 자동차 배기계 플랜지 부재
KR20190124260A (ko) * 2017-02-28 2019-11-0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핫 코일 및 자동차 배기계 플랜지 부재
WO2020060051A1 (ko) * 2018-09-19 2020-03-26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무소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096268A1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5532A (ko) * 2018-03-30 2020-12-02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5155B2 (ja) * 2014-07-22 2018-03-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を部材とする熱交換器
JP6550325B2 (ja) * 2015-11-27 2019-07-24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ランジ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363089A1 (en) * 2016-02-02 2018-12-20 Nisshin Steel Co., Ltd. HOT-ROLLED Nb-CONTAINING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LD-ROLLED Nb-CONTAINING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022097B1 (ja) * 2016-03-30 2016-11-09 日新製鋼株式会社 Ti含有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製造方法
JP6261648B2 (ja) * 2016-05-16 2018-01-17 日新製鋼株式会社 排気管フランジ部品用Ti含有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製造方法
EP3508597A4 (en) 2016-09-02 2019-09-04 JFE Steel Corporation FERRITIC STAINLESS STEEL
KR102201004B1 (ko) * 2016-10-17 2021-01-11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어닐링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6591736B (zh) * 2016-12-13 2018-08-21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高强低铬不锈钢及其热处理方法
EP3572544A4 (en) * 2017-01-19 2020-05-20 Nippon Steel Stainless Steel Corporation NON-OXIDIZABLE FERRITE-BASED STEEL, AND NON-OXIDIZABLE FERRITE-BASED STEEL FOR AUTOMOTIVE EXHAUST GAS ROUTING ELEMENT
MX2019008874A (es) * 2017-01-26 2019-09-18 Jfe Steel Corp Lamina de acero inoxidable ferritico laminada en caliente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la misma.
JP6814678B2 (ja) * 2017-03-30 2021-01-20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管端増肉加工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および自動車排気系部品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管
JP6858056B2 (ja) * 2017-03-30 2021-04-14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低比重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199062A1 (ja) * 2017-04-27 2018-11-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焼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475597A (zh) * 2017-08-17 2017-12-15 苏州双金实业有限公司 一种耐腐蚀不锈钢材料
KR20190022127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74540B2 (en) 2017-09-29 2021-11-16 Jfe Steel Corporation Hot-rolled and annea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S2883114T3 (es) * 2017-10-30 2021-12-07 Jfe Steel Corp Chapa de acero inoxidable ferrítico y método para fabricar la misma
CN108342659A (zh) * 2018-01-31 2018-07-31 江苏理工学院 一种经济型耐腐蚀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工艺
JP6937716B2 (ja) * 2018-03-27 2021-09-22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用部材
JP6937717B2 (ja) * 2018-03-27 2021-09-22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用部材
TWI801538B (zh) * 2018-03-27 2023-05-11 日商日鐵不銹鋼股份有限公司 肥粒鐵系不鏽鋼及其製造方法、肥粒鐵系不鏽鋼板及其製造方法、以及燃料電池用構件
JP6971184B2 (ja) * 2018-03-27 2021-11-24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用部材
JP7022633B2 (ja) * 2018-03-29 2022-02-18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耐高温塩害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及び自動車排気系部品
KR102490247B1 (ko) * 2018-07-18 2023-01-18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2400031B (zh) * 2018-07-18 2022-03-01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铁素体系不锈钢钢板及其制造方法
KR102120695B1 (ko) * 2018-08-28 2020-06-09 주식회사 포스코 산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135158B1 (ko) * 2018-09-19 2020-07-1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과 고온강도가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6722741B2 (ja) * 2018-10-16 2020-07-15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磁気特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CN113227414B (zh) * 2018-12-21 2023-08-11 日铁不锈钢株式会社 耐氢脆性优异的Cr系不锈钢板
JP7186601B2 (ja) * 2018-12-21 2022-12-09 日鉄ステンレス株式会社 高圧水素ガス用機器の金属材料として用いるCr系ステンレス鋼
CN109355478B (zh) * 2018-12-24 2021-02-05 东北大学 提高高温抗氧化性能的b444m2型铁素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13661261B (zh) * 2019-03-28 2023-09-19 日铁不锈钢株式会社 汽车制动盘转子用铁素体系不锈钢板、汽车制动盘转子及汽车制动盘转子用热冲压加工品
CN109913758B (zh) * 2019-03-29 2020-08-11 东北大学 高温强度和成形性能良好的铁素体不锈钢板及其制备方法
CN111235474A (zh) * 2020-02-20 2020-06-05 孙志颜 一种高耐腐蚀不锈钢及其制造方法
KR102443423B1 (ko) * 2020-12-09 2022-09-16 주식회사 포스코 입계 부식특성이 향상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102443422B1 (ko) * 2020-12-09 2022-09-16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부 내식성이 향상된 고강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CN113172089B (zh) * 2021-03-31 2023-04-07 甘肃酒钢集团宏兴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碳马氏体不锈钢炉卷轧机生产方法
CN113699444A (zh) * 2021-08-18 2021-11-26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410l黑皮钢卷裂边的制造方法
CN114574767A (zh) * 2022-03-11 2022-06-03 江苏铭展特钢制造有限公司 用于汽车零部件的耐高温不锈钢棒及其加工工艺
CN114959485A (zh) * 2022-06-07 2022-08-30 江阴市龙润法兰有限公司 压力容器法兰及其生产工艺
CN115927950B (zh) * 2022-07-29 2024-01-09 江西宝顺昌特种合金制造有限公司 一种含碳、氮高铬铁素体不锈钢及其制造方法
CN117187705B (zh) * 2023-10-27 2024-03-26 上海交通大学 一种低Cr且高强韧合金的热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278A (ja) * 2005-02-25 2006-09-07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排気部品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30078A (ja) * 2007-07-24 2009-02-12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高加工性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68034A (ja) * 2007-09-11 2009-04-02 Jfe Steel Kk 伸びフランジ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415A (en) 1992-06-01 1994-08-23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Ferritic stainless steel plates and foils and method for their production
JP3990549B2 (ja) * 2001-06-05 2007-10-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形状凍結性に優れた高伸びフランジ性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422753C (en) 2000-09-21 2007-11-27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plate excellent in shape freez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908954B2 (ja) * 2001-06-05 2007-04-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形状凍結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2284B2 (ja) * 2003-10-20 2008-06-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100}<011>方位の発達した形状凍結性に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4740099B2 (ja) * 2006-03-20 2011-08-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7316B2 (ja) 2008-04-24 2013-11-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靱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JP5737952B2 (ja) 2011-01-05 2015-06-17 日新製鋼株式会社 Nb含有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熱延コイルおよび製造法
JP5737951B2 (ja) 2011-01-05 2015-06-17 日新製鋼株式会社 Ti含有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熱延コイルおよび製造法
JP5712771B2 (ja) * 2011-04-28 2015-05-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圧延直角方向のヤング率に優れた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2716783B1 (en) 2011-05-25 2018-08-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5866378B2 (ja) 2011-12-09 2016-02-17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冷間割れ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41483B2 (ja) * 2012-02-27 2015-07-01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現地溶接性に優れる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93459B2 (ja) * 2012-03-30 2015-10-14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耐熱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板、冷延素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278A (ja) * 2005-02-25 2006-09-07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排気部品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30078A (ja) * 2007-07-24 2009-02-12 Nippon Steel & Sumikin Stainless Steel Corp 耐リジング性に優れた高加工性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68034A (ja) * 2007-09-11 2009-04-02 Jfe Steel Kk 伸びフランジ加工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866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8087A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개선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4266A (ko) * 2017-02-28 2019-11-0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핫 코일 및 자동차 배기계 플랜지 부재
KR20190124260A (ko) * 2017-02-28 2019-11-04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핫 코일 및 자동차 배기계 플랜지 부재
WO2019117432A1 (ko) * 2017-12-14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1360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US11718887B2 (en) 2017-12-14 2023-08-08 Posco Co., Ltd Ferrite-based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impact tough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00135532A (ko) * 2018-03-30 2020-12-02 닛테츠 스테인레스 가부시키가이샤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부재
WO2020060051A1 (ko) * 2018-09-19 2020-03-26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무소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33056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포스코 충격 인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무소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0096268A1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2053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636B1 (ko) 2018-12-12
JP2015187290A (ja) 2015-10-29
EP3124635A1 (en) 2017-02-01
JP5908936B2 (ja) 2016-04-26
MX2016012221A (es) 2017-01-19
EP3124635B1 (en) 2020-12-23
US20200232062A1 (en) 2020-07-23
US10648053B2 (en) 2020-05-12
EP3124635A4 (en) 2017-09-06
CN106133166A (zh) 2016-11-16
WO2015147211A1 (ja) 2015-10-01
CN106133166B (zh) 2018-10-23
US20170107593A1 (en)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636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압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및 플랜지 부품
KR101564152B1 (ko) 내산화성과 고온 강도가 우수한 고순도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793459B2 (ja) 加工性に優れた耐熱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冷延鋼板、冷延素材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6319442B2 (ja) 熱延鋼板
JP5885884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鋼帯
JP5659929B2 (ja) 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9865A (ko) Nb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과, Nb함유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8699647B (zh) 高强度冷轧钢板
CN110366601B (zh) 铁素体系不锈钢板、热轧卷材和汽车排气系统法兰构件
JP5846445B2 (ja)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835865B (zh) 铁素体系不锈钢热轧钢板和热轧退火板以及它们的制造方法
KR20220099566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KR101850231B1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 방법
EP3587610A1 (en) Hot-rolled and annealed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009278B2 (ja) 耐熱性に優れた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および排気部品とその製造方法
US11214856B2 (en)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 hot coil, and automobile exhaust flange member
JPH08144021A (ja) フェライト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6550325B2 (ja) フランジ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37344A (ja) せん断端面の耐食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せん断方法
JP2010138470A (ja) せん断端面の耐食性に優れる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
WO2022196498A1 (ja) 二相ステンレス鋼
KR20230142630A (ko)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어닐링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