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442A -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442A
KR20160122442A KR1020150052290A KR20150052290A KR20160122442A KR 20160122442 A KR20160122442 A KR 20160122442A KR 1020150052290 A KR1020150052290 A KR 1020150052290A KR 20150052290 A KR20150052290 A KR 20150052290A KR 20160122442 A KR20160122442 A KR 2016012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frame
bar
vehicle
repl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962B1 (ko
Inventor
박운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62B1/ko
Priority to US14/836,096 priority patent/US9759635B2/en
Priority to DE102015114346.1A priority patent/DE102015114346B4/de
Priority to CN201510548831.7A priority patent/CN106043439B/zh
Priority to JP2015208604A priority patent/JP2016200576A/ja
Publication of KR2016012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형상의 전륜대차 프레임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멤버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센터빔이 연결된 연결부에 엔진 및 변속기와 동일한 무게의 무게판이 장착되는 파워트레인 대체부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와 연결되고, 소정 간격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빔과 로어빔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어스탠드와 상호 결합되는 도어 대체부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대체부와 연결되고, 하부를 형성하는 플로어멤버와, 상기 플로어멤버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을 연결하는 트러스부와, 상기 플로어멤버의 중량을 유지하는 중량멤버;로 이루어지는 후륜대차 대체부로 구성되어, 차량 테스트 시 차체 구조 중 스몰오버랩 평가에 필요한 부위만 선정할 수 있게 하여 시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도 차체 및 거동 재현도를 향상시키고, 차량 대비 높이 및 중량 분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하여 테스트 신뢰도를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carriage structure for vehicle test}
본 발명은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테스트 시 차체 구조 중 스몰오버랩 평가에 필요한 부위만 선정할 수 있으며, 대체부를 통해 대차가 형성되게 하여 대차의 길이, 폭, 중량 및 높이 등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신차 개발 시 차량의 충돌시험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테스트하여, 승객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 설계/제작 데이터를 얻고 있다.
이와 같은 충돌시험을 위하여 실제 차종과 동일한 차체를 입수하여 충돌시험 장치를 사전에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모의충돌 테스트용 공용대차는 시험대상 차량의 차체(BIW : Body-In-White)를 입수하기 전에는 그 제작이 불가능하여 선행시험을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차체를 입수하였더라도 차종마다 각기 다른 형태의 패키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차종에 맞는 공용대차를 제작하는데 상당 기간이 소요되어 신차종의 부품평가 및 개발 일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함께 안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차종과 다른 패키지를 장착시킬 수 없으므로 교체 사용이 불가능하여, 각 차종에 따른 대차 제작비가 별도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26817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테스트 시 차체 구조 중 스몰오버랩 평가에 필요한 부위만 선정할 수 있으며, 대체부를 통해 대차가 형성되게 하여 대차의 길이, 폭, 중량 및 높이 등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형상의 전륜대차 프레임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멤버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센터빔이 연결된 연결부에 엔진 및 변속기와 동일한 무게의 무게판이 장착되는 파워트레인 대체부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와 연결되고, 소정 간격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빔과 로어빔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어스탠드와 상호 결합되는 도어 대체부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대체부와 연결되고, 하부를 형성하는 플로어멤버와, 상기 플로어멤버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을 연결하는 트러스부와, 상기 플로어멤버의 중량을 유지하는 중량멤버;로 이루어지는 후륜대차 대체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차실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카울바 대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양측면 상단을 연결하는 루프멤버 대체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와 상기 센터빔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빔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미들멤버와; 상기 어퍼멤버와 상기 미들멤버를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레프트빔 및 라이트빔;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와 상기 라이트빔의 교점에서 상기 미들멤버와 상기 레프트빔의 교점까지 기울어진 형상으로 연결되는 인클라인바;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의 일단 하부에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과 연결되는 패널 형상의 멤버스토퍼;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센터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에 구비되는 롤로드와 볼팅 연결되는 롤로드링크;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의 일단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일단에 1점 볼팅되는 제1어퍼바와; 상기 어퍼멤버의 일단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일단에 2점 볼팅되는 제2어퍼바;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의 타단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어퍼바와; 상기 제3어퍼바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타단을 볼팅 연결하는 마운팅브래킷;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판은 두께에 따라 파워트레인의 중량을 배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대체부는, 상기 어퍼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측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퍼플레이트와; 기 로어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측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울바 대체부는, 레프트바와 라이트바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메인서포트와; 상기 메인서포트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센터서포트와; 상기 메인서포트에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차실 전면에 장착되는 프런트서포트;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울바 대체부는, 상기 레프트바의 좌측단과 상기 라이트바의 우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A필라에 각각 결합되는 레프트브래킷 및 라이트브래킷과; 상기 센터서포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대시터널에 장착되는 로어브래킷과; 상기 프런트서포트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차실 전면에 상기 프런트서포트가 장착되게 하는 프런트브래킷;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프트바는 상기 라이트바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서포트는 상기 메인서포트의 상기 레프트바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러스부는,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A필라와 상기 플로어멤버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레프트트러스 및 라이트트러스와; 상기 도어 대체부의 리어스탠드 상부와 상기 레프트트러스 및 라이트트러스를 연결시키는 레프트어퍼사이드 및 라이트어퍼사이드와; 상기 도어 대체부의 리어스탠드 하부와 상기 플로어멤버 후단부를 연결하는 레프트로어사이드 및 라이트로어사이드와; 상기 레프트트러스와 상기 라이트트러스를 X자로 형상으로 교차 연결하는 제1크로스 및 제2크로스;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어멤버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어멤버 저면에는 상기 중량 멤버를 지지하는 중량판;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로어멤버 후방 중앙에는 차폭을 유지하기 위한 레프트패널 및 라이트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레프트패널 및 라이트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컬럼이 추가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 테스트 시 차체 구조 중 스몰오버랩 평가에 필요한 부위만 선정할 수 있게 하여 시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도 차체 및 거동 재현도를 향상시키고, 차량 대비 높이 및 중량 분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하여 테스트 신뢰도를 증대시킨다.
또한, 파워트레인 대체부와, 도어 대체부와, 후륜대차 대체부와, 카울바 대체부와, 루프멤버 대체부를 통해 대차가 형성되게 하여 대차의 길이, 폭, 중량 및 높이 등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반복적인 대차 테스트가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서 전륜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파워트레인 대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서 파워트레인 대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파워트레인 대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파워트레인 대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도어 대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전륜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도어 대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서 실제 차량에 카울바가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카울바 대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전륜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카울바 대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서 실제 차량에 루프멤버가 장착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루프멤버 대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전륜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루프멤버 대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의 전륜대차 프레임에 구비된 후륜대차 대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에서 후륜대차 대체부의 플로어멤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대차 프레임(10)에 구비되는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와, 전륜대차 프레임(10) 양측에 구비되며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에 연결되는 도어 대체부(200)와, 전륜대차 프레임(10) 후방에 구비되며 도어 대체부(200)와 연결되는 후륜대차 대체부(3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트레인 대체부(100)는 차량 형상의 전륜대차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실제 파워트레인과 동일하게 마운팅되어 대차 시험 시 파워트레인를 매번 장착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때, 파워트레인 대체부(10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멤버(110)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센터빔(120)이 연결된 연결부에 엔진 및 변속기와 동일한 무게의 무게판(130)이 장착되어 파워트레인의 무게중심을 정확하게 구현함으로써 충돌 시 실제 차량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또한, 무게판(130)은 두께에 따라 파워트레인의 중량을 배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워트레인 대체부(100)는 어퍼멤버(110)와 센터빔(120)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센터빔(120)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미들멤버(140)와, 어퍼멤버(110)와 미들멤버(140)를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레프트빔(150) 및 라이트빔(160)을 포함하도록 하고, 어퍼멤버(110)와 라이트빔(160)의 교점에서 미들멤버(140)와 레프트빔(150)의 교점까지 기울어진 형상으로 연결되는 인클라인바(170)를 더 포함하여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의 구조 강도를 유지하고 무게판(13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파워트레인 대체부(100)를 형성하는 각각의 부재는 용접을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마운팅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파워트레인 대체부(100)는 패널 형상의 멤버스토퍼(180)가 형성되도록 하여 어퍼멤버(110)의 일단 하부와 전륜대차 프레임(10)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에는 센터빔(120) 하부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며 전륜대차 프레임(10)에 구비되는 롤로드와 볼팅 연결되는 롤로드링크(180)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실체 차량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테스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퍼워트레인 대체부는, 어퍼멤버(110)의 일단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 일단에 1점 볼팅되는 제1어퍼바(111)와, 어퍼멤버(110)의 일단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 일단에 2점 볼팅되는 제2어퍼바(112)를 포함하도록 하여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에 엔진을 대체하는 무게판(130) 장착 후 충돌 시 실체 차량과 동일한 파워트레인의 거동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워트레인 대체부(100)는, 어퍼멤버(110)의 타단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어퍼바(113)와, 제3어퍼바(113)와 전륜대차 프레임(10)의 타단을 볼팅 연결하는 마운팅브래킷(114)을 포함하도록 하여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에 변속기를 대체하는 무게판(130) 장착 후 충돌 시 실체 차량과 동일한 파워트레인의 거동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대체부(200)는 전륜대차 프레임(10) 양측면에 구비되어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와 연결되고, 소정 간격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빔(210)과 로어빔(22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어스탠드(230)와 상호 결합되어 충돌 테스트 시 실체 차량의 도어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이때, 리어스탠드(230)는 차량의 B필라를 대체하며 로드를 강체인 후륜대차 대체부(300)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어 대체부(200)는, 어퍼빔(210) 일단에 구비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 측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퍼플레이트(240)와, 로어빔(220) 일단에 구비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 측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플레이트(250)로 이루어져 두께 조절이 용이한 2way 빔 구조와 차량의 도어 힌지 연결과 동일한 마운팅 방식이 적용되게 함으로써 대차 테스트 시 도어를 항상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상황에 따라 단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하게 하여 비용 절감 및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울바 대체부(400)는 전륜대차 프레임(10)의 차실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마운팅되도록 하여 충돌 테스트 시 실체 차량의 카울바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멤버 대체부(500)는 전륜대차 프레임(10)의 양측면 상단을 연결하도록 하여 충돌 테스트 시 실체 차량의 루프부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또한, 루프멤버 대체부(500)는 윈드실드 글라스 삭제 후에도 동일한 변형모도가 유도되도록 튜닝이 가능하며, 후술하게 될 후륜대차 대체부(300)의 트러스부(320)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카울바 대체부(4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프트바(411)와 라이트바(412)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메인서포트(410)와, 메인서포트(410)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센터서포트(420)와, 메인서포트(410)에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의 차실 전면에 장착되는 프런트서포트(430)를 포함하도록 하여 실제 차량의 카울바와 동일한 로드패스를 구현한다.
또한, 카울바 대체부(400)는 레프트바(411)의 좌측단과, 라이트바(412)의 우측단에 구비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의 A필라에 각각 결합되는 레프트브래킷(440) 및 라이트브래킷(450)과, 센터서포트(420) 하부에 구비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의 대시터널에 장착되는 로어브래킷(460)으로 이루어져 ㄱ자 형상을 통해 x방향 볼팅 후 단차 없이 고정 조립이 가능하며, 사각 단면의 부재와 용접 시 연결 강성 유지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프런트브래킷(470)은 프런트서포트(430) 끝단에 구비되어 전륜대차 프레임(10)의 차실 전면에 프런트서포트(430)가 장착되게 하여 대쉬마운팅 및 사각 단면과 연결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레프트바(411)는 라이트바(412)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프런트서포트(430)는 메인서포트(410)의 레프트바(411)에 장착되도록 하여 실차와 유사한 변형량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대차 대체부(300)는 전륜대차 프레임(10) 후방에 구비되며, 도어 대체부(200)와 연결되어 충돌 테스트 시 실체 차량의 후륜부와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이때, 후륜대차 대체부(300)는 하부를 형성하는 플로어멤버(310)와, 플로어멤버(310)와 전륜대차 프레임(10)을 연결하는 트러스부(320)와, 플로어멤버(310)의 중량을 유지하는 중량멤버(330)로 이루어진다.
트러스부(320)는, 전륜대차 프레임(10)의 A필라와 플로어멤버(310)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레프트트러스(321) 및 라이트트러스(322)와, 도어 대체부(200)의 리어스탠드(230) 상부와 레프트트러스(321) 및 라이트트러스(322)를 연결시키는 레프트어퍼사이드(323) 및 라이트어퍼사이드(324)와, 도어 대체부(200)의 리어스탠드(230) 하부와 플로어멤버(310) 후단부를 연결하는 레프트로어사이드(325) 및 라이트로어사이드(326)와, 레프트트러스(321)와 라이트트러스(322)를 X자로 형상으로 교차 연결하는 제1크로스(327) 및 제2크로스(328)를 포함하도록 하여 차량의 상부 구조가 없어도 평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키고, 간단한 보수 후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며, 해석과 제작 경험에 의한 스몰오버랩 평가 시에도 강도 유지가 가능하게 하여 테스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연결부재(329)는 플로어멤버(310)에 구비되어 플로어멤버(310)와 전륜대차 프레임(10)을 연결하여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로어멤버(310) 저면에는 중량판(311)이 구비되도록 하여 중량 멤버를 지지하고, 중량판(311)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플로어멤버(310) 후방 중앙에는 레프트패널(312) 및 라이트패널(313)이 구비되어 차폭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레프트패널(312) 및 라이트패널(313)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컬럼(314)이 추가로 구비되도록 하여 차폭 및 좌우방향에 대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 형상의 전륜대차 프레임(10)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멤버(110)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센터빔(120)이 연결된 연결부에 엔진 및 변속기와 동일한 무게의 무게판(130)이 장착되는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와, 전륜대차 프레임(10) 양측면에 구비되어 파워트레인 대체부(100)와 연결되고, 소정 간격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빔(210)과 로어빔(22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어스탠드(230)와 상호 결합되는 도어 대체부(200)와, 전륜대차 프레임(10) 후방에 구비되며, 도어 대체부(200)와 연결되고, 하부를 형성하는 플로어멤버(310)와, 플로어멤버(310)와 전륜대차 프레임(10)을 연결하는 트러스부(320)와, 플로어멤버(310)의 중량을 유지하는 중량멤버(330)로 이루어지는 후륜대차 대체부(300)를 포함하여 차량 테스트 시 차체 구조 중 스몰오버랩 평가에 필요한 부위만 선정할 수 있게 하여 시험 비용을 저감시키면서도 차체 및 거동 재현도를 향상시키고, 차량 대비 높이 및 중량 분포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하여 테스트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륜대차 프레임 100 : 파워트레인 대체부
110 : 어퍼멤버 120 : 센터빔
130 : 무게판 200 : 도어 대체부
210 : 어퍼빔 220 : 로어빔
230 : 리어스탠드 300 : 후륜대차 대체부
310 : 플로어멤버 320 : 트러스부
330 : 중량멤버

Claims (18)

  1. 차량 형상의 전륜대차 프레임에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멤버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센터빔이 연결된 연결부에 엔진 및 변속기와 동일한 무게의 무게판이 장착되는 파워트레인 대체부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와 연결되고, 소정 간격을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어퍼빔과 로어빔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리어스탠드와 상호 결합되는 도어 대체부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대체부와 연결되고, 하부를 형성하는 플로어멤버와, 상기 플로어멤버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을 연결하는 트러스부와, 상기 플로어멤버의 중량을 유지하는 중량멤버;로 이루어지는 후륜대차 대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차실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카울바 대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양측면 상단을 연결하는 루프멤버 대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와 상기 센터빔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빔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미들멤버와;
    상기 어퍼멤버와 상기 미들멤버를 연결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레프트빔 및 라이트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와 상기 라이트빔의 교점에서 상기 미들멤버와 상기 레프트빔의 교점까지 기울어진 형상으로 연결되는 인클라인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의 일단 하부에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과 연결되는 패널 형상의 멤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센터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에 구비되는 롤로드와 볼팅 연결되는 롤로드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퍼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의 일단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일단에 1점 볼팅되는 제1어퍼바와;
    상기 어퍼멤버의 일단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일단에 2점 볼팅되는 제2어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는
    상기 어퍼멤버의 타단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어퍼바와;
    상기 제3어퍼바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타단을 볼팅 연결하는 마운팅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판은 두께에 따라 파워트레인의 중량을 배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파워트레인 대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대체부는
    상기 어퍼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측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로어빔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 측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울바 대체부는
    레프트바와 라이트바가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메인서포트와;
    상기 메인서포트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바닥면에 장착되는 센터서포트와;
    상기 메인서포트에 전후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차실 전면에 장착되는 프런트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카울바 대체부는
    상기 레프트바의 좌측단과 상기 라이트바의 우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A필라에 각각 결합되는 레프트브래킷 및 라이트브래킷과;
    상기 센터서포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대시터널에 장착되는 로어브래킷과;
    상기 프런트서포트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차실 전면에 상기 프런트서포트가 장착되게 하는 프런트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레프트바는 상기 라이트바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프런트서포트는 상기 메인서포트의 상기 레프트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부는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의 A필라와 상기 플로어멤버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레프트트러스 및 라이트트러스와;
    상기 도어 대체부의 리어스탠드 상부와 상기 레프트트러스 및 라이트트러스를 연결시키는 레프트어퍼사이드 및 라이트어퍼사이드와;
    상기 도어 대체부의 리어스탠드 하부와 상기 플로어멤버 후단부를 연결하는 레프트로어사이드 및 라이트로어사이드와;
    상기 레프트트러스와 상기 라이트트러스를 X자로 형상으로 교차 연결하는 제1크로스 및 제2크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멤버와 상기 전륜대차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멤버 저면에는 상기 중량 멤버를 지지하는 중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멤버 후방 중앙에는 차폭을 유지하기 위한 레프트패널 및 라이트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레프트패널 및 라이트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컬럼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KR1020150052290A 2015-04-14 2015-04-14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KR10167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290A KR101679962B1 (ko) 2015-04-14 2015-04-14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US14/836,096 US9759635B2 (en) 2015-04-14 2015-08-26 Carriage structure for vehicle test
DE102015114346.1A DE102015114346B4 (de) 2015-04-14 2015-08-28 Karosseriestruktur für einen Fahrzeugtest
CN201510548831.7A CN106043439B (zh) 2015-04-14 2015-08-31 用于车辆试验的车架结构
JP2015208604A JP2016200576A (ja) 2015-04-14 2015-10-23 車両テスト用台車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290A KR101679962B1 (ko) 2015-04-14 2015-04-14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442A true KR20160122442A (ko) 2016-10-24
KR101679962B1 KR101679962B1 (ko) 2016-11-25

Family

ID=5704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290A KR101679962B1 (ko) 2015-04-14 2015-04-14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9635B2 (ko)
JP (1) JP2016200576A (ko)
KR (1) KR101679962B1 (ko)
CN (1) CN106043439B (ko)
DE (1) DE102015114346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979A (zh) * 2019-07-12 2019-09-27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侧面柱碰撞台车试验方法及其参数提取方法
CN112345063A (zh) * 2020-10-14 2021-02-09 合肥工业大学 一种楼板振动舒适度的测试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7672A1 (de) * 2015-06-16 2016-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Prüfanordnung zur simulierten Prüfung eines Fahrzeugs auf mindestens einem Prüfstand, Prüfstand mit der Prüfanordnung und Verfahren zur simulierten Prüfung eines Fahrzeugs auf mindestens einem Prüfstand mit der Prüfanordnung
DE102017119020B4 (de) * 2017-08-21 2022-08-0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estaufbau für Traktions-Batterie-Systeme von Kraftfahrzeugen und mit dem Testaufbau ausführbares Verfahren
CN109545063B (zh) * 2017-09-21 2021-02-0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人机工程的验证装置
CN110873624B (zh) * 2018-09-03 2022-03-08 中车大同电力机车有限公司 机车顶盖重心检测系统和方法
KR102391007B1 (ko) * 2019-07-15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부품 교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495003A (zh) * 2020-03-18 2021-10-12 上汽通用汽车有限公司 用于约束系统匹配模拟试验的可调节车身
CN114441199B (zh) * 2022-01-07 2023-06-30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轨道车辆车体检测侧窗模拟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17A (ko)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의충돌시험용 공용대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883A (en) * 1979-12-13 1981-12-01 Exacto-Mac Limited Partnership Vehicle frame, body and wheel alignment gauge
JP3207507B2 (ja) 1991-12-03 2001-09-1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衝突試験装置
JP3253396B2 (ja) * 1993-01-26 2002-02-04 マツダ株式会社 操安性能試験車及びその製造方法
US5777243A (en) * 1997-03-31 1998-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djustable vehicle simulator rig for chassis dynamometer testing
US6435001B1 (en) * 2001-05-16 2002-08-20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teering column impact test process and apparatus
DE102006010468A1 (de) 2006-03-07 2007-09-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Deformierbare Barriere für Aufpralltests
US20070260438A1 (en) * 2006-05-08 2007-11-08 Langer William J Vehicle testing and simulation using integrated simulation model and physical parts
US7610792B2 (en) * 2006-08-09 2009-11-03 Ford Motor Company Sled buck testing system
US7836749B2 (en) * 2006-08-09 2010-11-23 Ford Motor Company Sled buck testing system
DE102006047894B4 (de) * 2006-10-10 2023-05-04 Volkswagen Ag Längsträger und Kraftfahrzeug mit zumindest einem solchen
JP5237209B2 (ja) * 2008-11-25 2013-07-17 Udトラックス株式会社 衝突試験装置
JP2010190586A (ja) 2009-02-16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衝突試験用台車のウエイト積載方法
EP2354777B1 (en) * 2010-02-05 2018-01-31 Autoliv Development AB Sled test apparatus
JP4959821B2 (ja) 2010-02-10 2012-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CN202075134U (zh) 2011-03-21 2011-12-14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汽车侧面碰撞台车试验装置
DE102011053325B4 (de) * 2011-09-07 2022-09-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Prüfstand für die dynamische Überprüfung einer einzelnen Fahrwerkskomponente oder eines vollständigen Ach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m Überprüfen auf Selbigem
US8776575B2 (en) 2011-11-15 2014-07-1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mpact test fixtures
KR20130101892A (ko) * 2012-03-06 2013-09-16 (주)브이이엔에스 자동차
CN202582864U (zh) 2012-04-18 2012-12-05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用于侧面碰撞模拟试验的车门装夹固定装置
CN102745235B (zh) 2012-07-25 2014-09-17 江苏万得电动车研究所有限公司 一种前中后三段式结构电动汽车车架
CN202757786U (zh) 2012-08-21 2013-02-27 延锋百利得(上海)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汽车单门侧面碰撞台车试验工装
CN102865990B (zh) 2012-09-14 2015-09-2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碰撞试验的滑车
EP2908318A4 (en) 2012-10-10 2016-07-06 Ngk Insulators Ltd NON-LINEAR RESISTANCE ELEMENT IN VOLTAGE
DE102015007672A1 (de) 2015-06-16 2016-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Prüfanordnung zur simulierten Prüfung eines Fahrzeugs auf mindestens einem Prüfstand, Prüfstand mit der Prüfanordnung und Verfahren zur simulierten Prüfung eines Fahrzeugs auf mindestens einem Prüfstand mit der Prüfanordnung
CN105136479B (zh) 2015-09-29 2018-04-27 中国汽车工程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白车身正面的碰撞试验实施方法及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17A (ko)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의충돌시험용 공용대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5979A (zh) * 2019-07-12 2019-09-27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侧面柱碰撞台车试验方法及其参数提取方法
CN110285979B (zh) * 2019-07-12 2020-12-25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侧面柱碰撞台车试验方法及其参数提取方法
CN112345063A (zh) * 2020-10-14 2021-02-09 合肥工业大学 一种楼板振动舒适度的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05850A1 (en) 2016-10-20
CN106043439A (zh) 2016-10-26
KR101679962B1 (ko) 2016-11-25
CN106043439B (zh) 2019-07-23
DE102015114346A1 (de) 2016-10-20
JP2016200576A (ja) 2016-12-01
DE102015114346B4 (de) 2019-08-22
US9759635B2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962B1 (ko) 차량 테스트용 대차 구조
CN107031723B (zh) 车身前部构造
CN107402136B (zh) 一种用于模拟电动汽车电池包底部碰撞的试验装置
CN101293537B (zh) 汽车的前部车身结构
CN205589336U (zh) 车顶结构
CN106257261A (zh) 进行车辆的模拟试验的试验装置、试验台和方法
CN102438881A (zh) 用于侧部碰撞保护的可变形横向车梁
CN105352693B (zh) 一种白车身侧面移动变形壁障的碰撞试验实施方法及装置
CN105082908A (zh) 拖曳挂接装置构造
KR101601521B1 (ko) 차량 도어 보강 삽입체
KR101762119B1 (ko) 측면 충돌 시험차량
KR20080026817A (ko) 모의충돌시험용 공용대차
CN105157992A (zh) 一种白车身侧面的碰撞试验实施方法及装置
JP2022096590A (ja) 前方車体構造
CN102803916B (zh) 碰撞试验装置
CN107554608A (zh) 适用于同平台产品的车身框架及具有该车身框架的汽车
CN105136479B (zh) 一种白车身正面的碰撞试验实施方法及其装置
CN111122173A (zh) 一种驾驶室白车身加载用的约束装置
KR20010059102A (ko) 차량의 측면 충돌 시험용 슬래드 장치
CN106275082B (zh) 管理偏移的正面施加的负载的汽车车架纵梁加强构件
KR101762198B1 (ko) 다차종 적용 가능한 측면 충돌 시험차량
CN101624073A (zh) 双层客车骨架车身装配方法
CN102107677A (zh) 上控制臂支架总成
KR101655588B1 (ko) 측면 충돌 차체 테스트 장비
CN205554325U (zh) 一种半挂车的可滑动式悬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