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013A -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013A
KR20160119013A KR1020160125653A KR20160125653A KR20160119013A KR 20160119013 A KR20160119013 A KR 20160119013A KR 1020160125653 A KR1020160125653 A KR 1020160125653A KR 20160125653 A KR20160125653 A KR 20160125653A KR 20160119013 A KR20160119013 A KR 2016011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urine
weeks
average
deviation
taua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449B1 (ko
Inventor
변종현
Original Assignee
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1269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1901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변종현 filed Critical 변종현
Publication of KR2016011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45Amines having sulfur, e.g. thiurams (>N—C(S)—S—C(S)—N< and >N—C(S)—S—S—C(S)—N<), Sulfinylamines (—N=SO), Sulfonylamines (—N=S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02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03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09/13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309/14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abet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euro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besity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sychia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성 타우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타우린과 상이한 물리적 성격을 갖는 본원 발명의 변성 타우린을 통하여 항혈전 효과를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A modified taurine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
본 발명은 변성 타우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타우린과 상이한 물리적 성격을 갖는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신체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과잉의 체지방 축적으로 생기는 질환으로, 심혈관계 질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담석증 등의 신체질환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Kopelman PG. Obesity as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2000). 특히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해 체질량 지수가 적어도 복부 비만이 심하여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동맥관련 질환으로 인한 합병증의 감수성이 높기 때문에, 비만관리가 더욱 중요시 된다.
현대인의 약 30~40% 정도가 가지고 있는 비만은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제2형 당뇨병 및 여러 형태의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강한 위험 요소로서 알려져 있다. 비만인에 있어 질병발생의 위험도는 정상인에 비해 고혈압의 경우에는 4배, 당뇨병의 경우 무려 10배나 높아지므로, 특히 비만과 당뇨병은 유병 기작에 있어서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만, 당뇨병과 함께 혈전성 질환이 대사질환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 당뇨병, 혈전성 질환과 같은 대사질환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타우린(taurine)은 식품인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식물에는 거의 들어있지 않으나 동물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뇌의 교감신경에 대해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혈압의 안정화 및 뇌졸중의 예방에 도움이 되고,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등을 유발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억제하고, 혈관내 혈소판 응집작용뿐만 아니라 각종 혈관계 질환 및 치매 등 성인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우린은 각종 질환에 치료능을 갖는 유용한 변형체나 조성물을 만들기 어려워 일반적으로 타우린을 아미노산 식품 상태인 원재료 그대로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예의 노력한 결과,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대한 개발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성 타우린 및 이의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성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구체예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된다.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다양한 특이적 상세사항, 예컨대, 특이적 형태, 조성물 및 공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의 구체예는 이들 특이적 상세 사항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 및 형태와 함께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지된 공정 및 제조 기술은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특정의 상세사항으로 기재되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 또는 "구체예"에 대한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한 참조는 구체예와 결부되어 기재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표현된 "한 가지 구체예에서" 또는 "구체예"의 상황은 반드시 본 발명의 동일한 구체예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추가로, 특별한 특징, 형태, 조성,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에서 어떠한 적합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타우린(taurine)”이란, 식품인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식물에는 거의 들어있지 않으나 동물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뇌의 교감신경에 대해 억제작용을 나타내어 혈압의 안정화 및 뇌졸중의 예방에 도움이 되고,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등을 유발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의 생성을 억제하고, 혈관내 혈소판 응집작용뿐만 아니라 각종 혈관계 질환 및 치매 등 성인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우린은 각종 질환에 치료능을 갖는 유용한 변형체나 조성물을 만들기 어려워 일반적으로 타우린을 아미노산 식품 상태인 원재료 그대로 이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변성 타우린”이란, 기존의 타우린과 상이한 불규칙한 입자의 비정형(atypical) 구조를 나타내고, 이로 인한 상이한 물리적 성격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물리적인 성질의 차이로 인하여 대사성 질환에 현저한 치료효과를 가진다.
상기 변성 타우린은 라만스펙트럼, FT-IR, TGA, 녹는점 또는 수용해도의 물성 값이 타우린과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변성 타우린은 식품 또는 약학적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거나 약학적 제제의 합성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타우린, 물(H2O)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혼합함으로써 생성되며,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에서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제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극성도”란, 용매의 극성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통상물은 9, 에탄올 5.2, 메탄올 5.1, 아세톤 5.1, 프로판올 4, 부탄올 4의 값을 갖는다. 이러한 용매간 극성도의 차이에 따라서 용매상에 용해된 입자의 용해성 및 물리적인 성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비만”이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지 상태를 이르는 말로써,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이상일 때,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이라고 정의한다. 음식으로 섭취하는 열량이 몸을 움직이며 소비하는 열량 보다 많을 때 비만이 생기므로, 과식과 운동 부족 같은 생활습관이 비만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이를 단순 비만이라고 한다. 반면 내분비계통의 질환과 시상하부의 기능 이상, 에너지 대사 이상으로도 비만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증후성 비만으로 분류한다. 또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요인도 있다. 키와 체중을 통해 비만을 측정할 수 있으며 캘리퍼를 사용해 피부주름의 두께 측정해서도 진단할 수 있다. 비만의 정도를 수치화한 비만도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이상체중법(Modified Broca's method)과 체질량지수(BMI)가 있다. 이상체중법은 [신장(cm)-100]X0.9를 이상체중으로 계산해 현재체중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즉, 이상체중법에서 비만도는 (실측체중-표준체중)/표준체중×100%과 같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이다. 현재체중이 이상체중을 20% 초과하는 경우, BMI가 30 이상인 경우를 비만이라고 한다.
비만인 사람들은 외형적으로 뚱뚱해 보이며 숨참과 관절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당뇨병, 고혈압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당뇨병”이란, 생체 내에서 포도당 대사와 혈당 조절 호르몬과의 관계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질병이다.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1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 및 영양실조성 당뇨병(MRDM)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 당뇨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으로 유전적, 대사적,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췌장 베타 세포의 인슐린 분비 저하 또는 말초 조직에서의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만에 따라 체지방이 증가하면 인슐린 감수성이 저하되는 증상을 보이며, 특히 복부지방의 축적은 글루코스 내성(glucose intolerance)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제2형 당뇨병이 발생된 환자에 있어서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비만이 심할수록 인슐린 저항성도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 예를 들어 치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계 약물과 비구아니드(Biguanide)를 비만치료제로 개발한 사례가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비만치료제로는 제니칼(XenicalTM, 로슈제약회사, 스위스), 리덕틸(ReductilTM, 애보트사, 미국), 엑소리제(ExoliseTM, 아토파마, 프랑스)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은 지방의 연소 및 분해를 촉진시키기보다는 식욕억제와 지방흡수 억제의 기작에 의한 항비만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슐린 저항성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비만과 함께 당뇨병을 완전하게 치료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장질환, 호흡기 질환, 신경계질환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관상 또는 동맥경화증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는 것으로서 1988년 Reaven(Reaven GM, Diabetes, 1988, 37:1595-1607)에 의해 처음으로 규명되었다.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 과체중이나 비만을 동반하고 있다. 대사증후군은 또한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이며,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제1형 당뇨병과 달리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가 대사증후군을 동반할 때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Bonora E, et al. Diabet Med., 2004, 21:52-8; Ford ES, Diabetes Care., 2005, 28:1769-78; Alexander CM, et al. Diabetes, 2003, 52:1210-1214). 또한, 제2형 당뇨병의 대혈관 및 미세혈관 합병증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어 있다(Mykkanen L, et al. Diabetologia., 1993, 36:553-559; Haffner SM, et al. Diabetes, 1992, 41:715-722). 대사증후군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당뇨병성 망막증, 신증, 신경병증, 고지혈증, 심혈관질환(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증, 말초혈관질환)과 같은 만성 합병증의 발생이다(Wolf SP, Br Med Bull., 1993, 49:642-652). 이러한 만성 합병증은 대부분 일단 발생 된 이후에는 비가역적인 진행과정을 밟게 되며 아직까지는 이러한 과정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적절한 치료가 병행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증상을 초래하여 환자를 죽음에까지 이르게 한다. 그러므로 복합적 증상을 갖는 대사증후군의 효과적인 관리 또는 치료를 위해서는 정상 혈당의 유지를 위한 혈당강하 효과와 동시에 신병증, 간병증, 고지혈증 등을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이상적이나, 아직까지 이러한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으며, 혈당강하제, 혈압강하제, 콜레스테롤 치료제 등을 각각 개별적으로 별도로 복용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9575호에서는 PPAR의 조절자의 염 및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화학적으로 합성되었기에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9-0114093호에서는 오수유(Evodiae Fructus), 백모근(Imperatae Rhizoma) 및 청피(Citrus Unshiu Markovich)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Obesity) 및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or Syndrome X)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였고, 한국공개특허 제2010-0956278호에는 여주, 동충하초, 지골피, 상백피, 귀전우, 갈근, 황정, 백출, 맥문동, 산수유, 인삼을 포함하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혈액응고” 란, 혈액이 혈관 밖으로 누출되었을 때 굳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인체 구성성분으로 혈액은 산소, 영양분, 노폐물의 운반 기능과 완충작용, 체온유지, 삼투압 조절 및 이온 평형유지, 수분 일정유지, 액성 조절작용, 혈압의 유지 및 조절, 생체방어 등 다양한 중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혈액 순환은 체내에서의 혈액 응고 반응계와 혈전 용해 반응계가 상호 보완적으로 조절되면서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며, 이들 중 혈액 응고 반응계의 기작은 혈관벽에 혈소판이 점착, 응집하여 혈소판 혈전을 형성한 후, 혈액 응고계가 활성화되어 혈소판 응집괴를 중심으로 피브린 혈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피브린 혈전의 생성은 수많은 혈액응고인자들의 여러 단계 반응을 거쳐 피브린 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빈이 활성화되어,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린 단량체를 생성하게 하며, 피브린 단량체들은 칼슘에 의해 중합되어, 혈소판과 내피세포에 결합하게 되며 XIII 인자에 의해 교차 결합된 피브린 폴리머를 형성하면서 영구적인 혈전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트롬빈의 활성 저해물질은 과다한 혈액응고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매우 유용한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내인성 혈전생성경로에는 XII 인자, XI 인자, IX 인자, X 인자의 순차적 활성화에 이은 프로트롬빈의 활성화가 최종적으로 트롬빈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혈액응고인자의 특이적 저해 역시 중요한 혈전성 질환 치료제의 개발 타겟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헤파린, 쿠마린, 아스피린, 유로키네이즈 등의 다양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가격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출혈성 부작용과 위장장해 및 과민반응 등으로 그 사용이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약학조성물”이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투여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고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위해 투여되는 것이며, 이에 관여하는 당, 단백질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약학적 허용될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는 정부의 규제부에 의해 승인된 것이나, 또는 척추 동물, 그리고 보다 특별하게는 인간에게 사용을 위한 정부 또는 기타 일반적으로 승인된 약전에서 리스트된 것을 의미한다. 비경구적인 투여에 적절한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담체에 있는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로 될 수 있고, 그리고 현탁제, 안정화제, 용해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형태는 멸균될 수 있고, 그리고 액체일 수 있다. 이것은 제조 및 저장의 조건 하에서 안정할 수 있고 그리고 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해 보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사용 전에 적절한 담체와 재구성을 위해 멸균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약학조성물은 단위-복용량 형태로, 앰플에, 또는 기타 단위-복용량 용기에, 또는 다-복용량 용기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약학조성물은 단지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사용 바로 전에 주사용 물의 부가함을 요하는 동결-건조된(냉동건조)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즉시 주사용액 및 현탁액은 멸균 분말, 그래뉼 또는 타블렛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적절한 부형제는 보존제, 현탁제, 안정화제, 염료, 완충제, 항균제, 항진균제, 및 등장화제, 예를 들어, 당 또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것으로, 용어 "안정화제"는 설파이트 염의 필요성을 회피하고 그리고 보존 수명을 증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사용된 화합물을 언급한다. 안정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항산화제를 포함한다.
약학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는 용매 또는 분산 배지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는 물, 식염수, 에탄올, 폴리올 (예,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오일, 및 이들의 적절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경구용 제형은 멸균될 수 있다. 멸균 기술의 비-제한적인 예는 세균-억제 필터를 통한 여과, 터미날 멸균화, 멸균 제제의 합체, 방사선 조사, 가열,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학조성물은 상기 변성 타우린 또는 변성 타우린을 생성시키는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당, 폴리페놀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당은 단당, 이당 및 다당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경우, 변성 타우린 또는 변성 타우린을 생성시키는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타우린과 당, 폴리페놀 또는 아미노산의 몰비는 각각 0.1~3.5 : 0.01~3.5, 0.1~3.5 : 0.001~3.5 또는 0.1~3.5 : 0.01~3.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식품 조성물”이란, 대사질환의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로 다양하게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기존의 식품용 섭취물로부터 개량되어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10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풍미제 및 천연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투여란,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 강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경막 내 투여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경우, 경구 투여 또는 정맥 주사를 통해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대사질환 치료 방법은 상기 약학조성물을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량은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 1 극성 용매상에서 타우린을 가온하면서 용해시키고, 제 2 극성 용매를 첨가하여 생성된 변성 타우린으로써, 제 1 용매와 제 2 용매간 극성도의 차이가 5이하이고, 라만 스펙트럼상의 위치 847, 891, 1182, 1256, 1427, 1458㎝-1 에서 847/891의 흡수대 비율, 1182/1256 흡수대 비율, 및 1427/1458 흡수대 비율이 모두 1 미만인 변성 타우린을 제공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변성 타우린이 녹기 시작하는 점(onset point)은 330도 내지 340도인 변성 타우린을 제공하고, 수용해도는 75 내지 79g/L인 변성 타우린을 제공하며,
상기 변성 타우린은 적외선분광(FT-IR)에서 1650 내지 2800㎝-1 위치의 흡수 파장이 타우린과 상이한 변성 타우린을 제공하며, 제 1 극성 용매는 물이고, 제 2 극성 용매는 메틸기(-CH3)를 포함하는 변성 타우린을 제공하며, 제 2 극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아세트산, 아세톤,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변성 타우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변성 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대사질환은 당뇨병, 비만 또는 혈전성 질환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혈전성 질환은 심근 경색증,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폐 혈전증, 심부정맥 혈전증, 말초 혈관 폐쇄증, 심부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신장정맥 폐쇄증, 뇌 정맥동 혈전증, 말초 신경질환증, 말초 혈관성 질환증, 신증 및 중심 망막혈관 폐쇄증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당, 폴리페놀 및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당은 케토트리오스, 알도트리오스, 케토테트로스, 알도테트로스, 리불로오스, 자일로오스, 리보오스, 아라비노오스, 만노오스, 프락토오스,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즈, 락토오즈, 말토오즈, 트레할로즈, 이눌린, 및 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폴리페놀은 플라바놀(flavanol), 플라본(flavone), 이소플라본(isoflavone), 플라보놀(flavonol), 플라바논(flavanone), 안토시아닌(anthocyanin), 오론(aurone), 칼콘(chalcone), 디히드로칼콘(dihydrochalcone)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아미노산은 베타인, 글리신, 오르니틴, 프롤린, 디메틸글리신,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류신 및 메티오닌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약학조성물 을 제공하며, 상기 타우린과 당의 몰비는 0.1 내지 3.5 : 0.01 내지 3.5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타우린과 폴리페놀의 몰비는 0.1 내지 3.5 : 0.001 내지 3.5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타우린과 아미노산의 몰비는 0.1 내지 3.5 : 0.01 내지 3.5인,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 1 극성 용매상에서 타우린을 가온하면서 용해시키는 단계 및 제 2 극성 용매를 첨가하여 변성 타우린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용매와 제 2 용매간 극성도의 차이가 5이하이며, 제 1 극성 용매는 물이고, 제 2 극성 용매는 메틸기(-CH3)를 포함하는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체예에서, 제 2 극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아세트산, 아세톤, 프로판올,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라만 스펙트럼상의 위치 847, 891, 1182, 1256, 1427, 1458㎝-1 에서 847/891의 흡수대 비율, 1182/1256 흡수대 비율, 및 1427/1458 흡수대 비율이 모두 1 미만인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변성 타우린이 녹기 시작하는 점(onset point)은 330도 내지 340도인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수용해도는 75 내지 79g/L인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변성 타우린은 적외선분광(FT-IR)에서 1650 내지 2800㎝-1 위치의 흡수 파장이 타우린과 상이한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변성 타우린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개선 및 완화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가열 또는 가온은 직접 가열하거나 전자레인지 등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방법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의 제거도 가열방법, 분리방법 등 가능한 방법은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가열방법은 알코올의 경우 알코올의 끓는점(에탄올 약 78.4℃, 메탄올 약 64.7℃) 이상으로 가열하여야 제거된다. 에탄올의 경우, 약 100℃에서 혼합물 100㎖을 기준으로 1분~15분간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정제수에 타우린(NH2CH2CH2SO3H)을 용해시킨 다음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첨가할 경우, 기존의 타우린과는 다른 물성을 지녀 약학적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거나 약학적 제제의 합성에 이용될 수 있는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타우린의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물을 가열하여 끓는점에서 타우린 수용액을 만들고,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인 알코올 또는 아세톤을 첨가함으로써, “변성 타우린”을 생성시키는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도 1 참조). 상기 백색의 반고형물은 타우린, 물 및 알코올(또는 아세톤)로 구성된 것이며, 알코올(또는 아세톤)이 제거되면 “변성 타우린”이 생성된다. 즉, 상기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에서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제거하면 기존의 타우린과 다른 물성을 갖는 “변성 타우린”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메틸기(-CH3)가 있거나 포함하는 극성물질 또는 극성 용매”는 알코올류와 같은 “메틸기(-CH3)가 포함된 알킬기(CnH2n+1)”의 극성물질 등을 포함하며, 타우린 수용액과 혼합되면, “변성 타우린”을 생성시키는 상기 백색의 반고형물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정한 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상기 백색의 반고형물은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로 형성된 물질이다. 이용할 수 있는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알코올은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극성이 급격히 작아져, 상기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되는 양이 적어지므로 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상기 “변성 타우린”을 생성시키는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기압 하에서 정제수 30㎖당 0.1~17.1g의 타우린을 첨가하고, 100℃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1,000㎖의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첨가하고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타우린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 약학적 제제 합성용 중간체로서의 기능, 즉 목적하는 최종 약학 조성물의 치료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보다 많을 경우 타우린의 용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변성 타우린”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첨가되는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의 양은 “변성 타우린”이 충분히 제조될 수 있는 한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타우린 수용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0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성 타우린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중성지방 저하에 유효적인 효과 및 항혈전 효과를 지니므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혼합함으로써,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변성 타우린”을 생성시키는 “타우린,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사진이다(A: 에탄올(주정), B: 메탄올, C: 프로판올. D: 부탄올, E: 아세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린 및 변성 타우린의 라만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린 및 변성 타우린의 적외선(FT-IR)분광분석 결과이다(A: 타우린, B: 변성 타우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린 및 변성 타우린의 SEM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린 및 변성 타우린의 TGA 그래프이다(A: TGA 그래프, B: 1차 미분 TGA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린 및 변성 타우린의 녹는점 측정 결과이다(A: 녹는점 그래프, B: 분석 리포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우린 및 변성 타우린의 수용해도 측정 결과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프로트롬빈 타임(prothrombin time), 활성부분 트롬보프라스틴 타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및 트롬빈 타임(Thrombin Time)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체중 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GTT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간, 백색지방조직(WAT), 갈색지방조직(BAT) 및 신장 조직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조성물의 구성 설계
실험에 앞서, 각 실험에서 사용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 및 구성비를 설계하였다.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각 구성에서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2 TauAlc DT15
실시예 2-1 TauAlc 8.6*+Ara 2.5 DT16
TauAlc 8.6+Xyl 3.5 DT20
실시예 2-2-1 TauAlc 8.6+Ara 1.04
TauAlc 8.6+Ara 5.2
TauAlc 8.6+Ara 7.8
TauAlc 8.6+Xyl 1.04
TauAlc 8.6+Xyl 5.2
TauAlc 8.6+Xyl 7.8
TauAlc 4.3+Rib 2.6
TauAlc 4.3+Rib 6.5
실시예 2-2-2 TauAlc 8.6+Ara 1.04
TauAlc 8.6+Ara 5.2
TauAlc 8.6+Ara 7.8
TauAlc 8.6+Xyl 1.04
TauAlc 8.6+Xyl 5.2
TauAlc 8.6+Xyl 7.8
실시예 2-3 TauAlc 4.3+Glu 3.1
TauAlc 4.3+Glu 7.75
TauAlc 4.3+Mann 3.1
TauAlc 4.3+Mann 7.75
TauAlc 4.3+Fruc 7.75
실시예 2-4-1 TauAlc 8.6+Cat 3+Bet 4 DT7
실시예 2-4-2 TauAlc 8.6+EGCG 1.5+Bet 4 DT10
실시예 2-5 TauAlc 8.6+EGCG 1.5+Bet 4+Xyl 3.5 DT4
비교예 1 Tau** DT19
비교예 2-1 Ara 1.04
Ara 5.2
Ara 7.8
Xyl 1.04
Xyl 5.2
Xyl 7.8
Rib 5.2
Rib 10.4
비교예 2-2 Glu 6.2
Glu 12.4
Mann 3.1
Mann 6.2
Mann 12.4
Fruc 6.2
Fruc 12.4
비교예 2-3-1 Tau 8.6+Ara 1.04
Tau 8.6+Ara 5.2
Tau 8.6+Ara 7.8
Tau 8.6+Xyl 1.04
Tau 8.6+Xyl 5.2
Tau 8.6+Xyl 7.8
Tau 4.3+Rib 2.6
Tau 4.3+Rib 6.5
비교예 2-3-2 Tau 8.6+Ara 2.5 DT18
Tau 8.6+Xyl 3.5 DT21
비교예 2-4 Tau 4.3+Glu 3.1
Tau 4.3+Glu 7.75
Tau 4.3+Mann 3.1
Tau 4.3+Mann 7.75
Tau 4.3+Fruc 7.75
비교예 2-5-1 Tau 8.6+Cat 3+Bet 4 DT11
비교예 2-5-2 Tau 8.6+EGCG 1.5+Bet 4 DT14
비교예 2-6 Tau 8.6+EGCG 1.5+Bet 4+Xyl 3.5 DT6
*TauAlc 8.6은 변성타우린 8.6g을 의미함.
**Tau은 종래 타우린임.
상기에서, Tau:타우린, TauAlc:변성타우린, Ara:아라비노오스, Xyl:자일로오스, Rib:리보오스, Glu: 글루코오스, Mann: 만노오스, Fruc:프락토오스, Cat:카테킨, Bet:베타인, EGCG: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실시예 1: “변성 타우린”의 제조
1-1: 변성 타우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60초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즉시 알코올(에탄올(주정, 이하 주정 사용),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아세톤 60㎖를 각각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인 조성물(도 1)을 제조하였다.
1-2: 변성 타우린 결정의 제조
(1) 정제수 6㎖에 타우린(1.72g), (2) 정제수 15㎖에 타우린(4.3g), (3) 정제수 28㎖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20~60초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즉시 상온의 에탄올 12㎖(위 (1)의 경우), 에탄올 30㎖(위 (2)의 경우), 에탄올 60㎖(위 (3)의 경우)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상기 혼합물에 약 100℃로 가열된 정제수 40㎖, 정제수 32㎖(위 (3)의 경우)를 첨가한 후, 전자레인지에서 약 3~5분간 알코올이 제거될 때까지 가열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고체상태의 변성 타우린 결정을 위 (3)의 경우로 제조한 후 온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실시예 2: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제조
2-1: 변성 타우린 + 5탄당 조성물 제조 1
정제수 32㎖에 5탄당(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일정용량(2.5g, 3.5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3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새로이 28㎖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60초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즉시 에탄올 60㎖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앞서 준비한 5탄당 수용액을 첨가한 후, 알코올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전자레인지에서 약 5분간 가열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2-1: 변성 타우린 + 5탄당 조성물 제조 2
정제수 40㎖에 5탄당(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일정용량(1.04g, 2.6g, 5.2g, 6.5g 또는 7.8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30~5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새로이 (1) 정제수 15㎖에 타우린(4.3g) 또는 (2)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40~60초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즉시 에탄올 30㎖(위 (1)의 경우) 또는 60㎖(위 (2)의 경우)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앞서 준비한 5탄당 수용액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 후, 알코올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전자레인지에서 약 3~5분간 가열하였다. 이 혼합액에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2-2: 변성 타우린 + 5탄당 조성물 제조 3
정제수 40㎖을 전자레인지로 약 30초간 가열하여 끓여 놓은 후,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60초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즉시 에탄올 60㎖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 혼합물에 앞서 준비한 끓인 정제수 40㎖을 첨가한 후, 전자레인지에서 알코올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약 5분간 가열(100℃)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정제수 40㎖에 5탄당(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일정용량(1.04g, 5.2g 또는 7.8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3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이것에 앞서 제조한 상기 조성물을 혼합하고, 이 혼합액이 잘 섞이도록 전자레인지에서 약 30초간 가열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3: 변성 타우린 + 6탄당 조성물 제조
정제수 40㎖에 6탄당(만노오스, 글루코오스 및 프락토오스) 일정 용량(3.1g 또는 7.75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5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새로이 정제수 15㎖에 타우린(4.3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40초 내외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즉시 에탄올 30㎖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앞서 준비한 6탄당 수용액을 첨가한 후, 알코올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전자레인지에서 약 3분 30초간 가열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4-1: 변성 타우린 + 폴리페놀 + 아미노산 조성물 제조 1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1분 20초 내외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즉시 에탄올 60㎖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40㎖을 약 100℃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가열하고 카테킨(3g) 및 베타인(4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전자레인지로 5분 동안 가열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4-2: 변성 타우린 + 폴리페놀 + 아미노산 조성물 제조 2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1분 20초 내외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즉시 에탄올 60㎖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40㎖을 약 100℃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가열하고 EGCG(1.5g) 및 베타인(4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전자레인지로 5분 동안 가열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5: 변성 타우린 + 폴리페놀 + 아미노산 + 5탄당 조성물 제조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1분 20초 내외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즉시 에탄올 60㎖를 첨가하면서 막대로 저어주어 백색의 반고형물이 형성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40㎖을 약 100℃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가열하고 EGCG(1.5g), 베타인(4g) 및 자일로오스(3.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전자레인지로 5분 동안 가열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비교예 1: 타우린 수용액 제조
1-1: 타우린 수용액 제조 1
정제수 60㎖을 전자레인지로 약 1분간 가열한 후, 타우린(8.6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전자레인지로 3분동안 가열하였다.
1-2: 타우린 수용액 제조 2
정제수 40㎖을 전자레인지로 약 30초간 가열하여 끓여놓고, 새로이 정제수 30㎖에 타우린(1.72g, 4.3g 또는 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1분간 가열용해(100℃)한 후 앞서 준비한 끓인 정제수 40㎖첨가하여 전자레인지에서 끓을 때까지 약 2분간 가열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비교예 2: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제조
2- 1: 5탄당 조성물 제조
정제수 40㎖에 5탄당(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일정용량(1.04g, 5.2g, 7.8g 또는 10.4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3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새로이 전자레인지에서 약 30초간 끓인 정제수 30㎖를 첨가하였다. 5탄당 용액이 끓을 때까지 전자레인지에서 약 3~4분간 가열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 2: 6탄당 조성물 제조
정제수 40㎖에 6탄당(만노오스, 글루코오스 및 프락토오스) 일정 용량(3.1g, 6.2g 또는 12.4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5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새로이 전자레인지에서 약 30초간 끓인 정제수 30㎖를 첨가하였다. 6탄당 용액이 끓을 때까지 전자레인지에서 약 2~3분간 가열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3-1: 타우린 + 5탄당 조성물 제조 1
정제수 40㎖에 5탄당(자일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일정용량(1.04g, 2.6g, 5.2g, 6.5g 또는 7.8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30~5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새로이 (1) 정제수 15㎖에 타우린(4.3g) 또는 (2)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40~60초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앞서 준비한 5탄당 용액을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전자레인지에서 끓을 때까지 약 2~4분간 가열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3-2: 타우린 + 5탄당 조성물 제조 2
정제수 60㎖를 전자레인지로 1분 동안 약 100℃까지 가열한 후, 타우린(8.6g)에 각각 아라비노오스(2.5g), 자일로오스(3.5g)을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한 후 전자레인지로 3분 동안 가열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4: 타우린 + 6탄당 조성물 제조
정제수 40㎖에 6탄당(만노오스, 글루코오스 및 프락토오스) 일정 용량(3.1g 또는 7.75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약 50초간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새로이 정제수 15㎖에 타우린(4.3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40초 내외 가열용해한 후 앞서 준비한 6탄당 용액을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을 전자레인지에서 끓을 때까지 약 2분간 가열한 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총량을 100㎖로 맞추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5-1: 타우린 + 폴리페놀 + 아미노산 조성물 제조 1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1분 20초 내외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타우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40㎖을 약 100℃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가열하고 카테킨(3g) 및 베타인(4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타우린 수용액에 첨가한 다음, 전자레인지로 약 4분 내외 가열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5-2: 타우린 + 폴리페놀 + 아미노산 조성물 제조 2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1분 20초 내외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타우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40㎖을 약 100℃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가열하고 EGCG(1.5g) 및 베타인(4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타우린 수용액에 첨가한 다음, 전자레인지로 약 4분 내외 가열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2-6: 타우린 + 폴리페놀 + 아미노산 + 5탄당 조성물 제조
정제수 30㎖에 타우린(8.6g)을 넣고 전자레인지로 1분 20초 내외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타우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40㎖을 약 100℃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1분 동안 가열하고 EGCG(1.5g), 베타인(4g) 및 자일로오스(3.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타우린 수용액에 첨가한 다음, 전자레인지로 약 4분 내외 가열하였다. (각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비는 표 1 참조)
실시예 3. 변성 타우린의 성질확인
실험예 1: 라만 스펙트럼(Raman Spectrum) 분석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구조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라만(Raman)분석을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에 의뢰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분석을 위한 “변성 타우린” 결정은 모두 실시예 1-2(3)의 경우로 제조된 고체상태의 결정을 사용하였다.
참고로 분석 장비 및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분석기기: Nanofinder FLEX G(Lambda Ray 사)
(2) Source: 532nm
(3) Range: 200~3600㎝-1
(4) Exposure time, accumulation: 3 sec / 20 time
(5) Spatial resolution: 약 0.5㎛
(6) Peak resolution: 1㎝-1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성 타우린”은 붉은 점으로 표시된 영역의 흡수세기가 기존의 타우린과 다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Journal of Raman Spectroscopy, Vol. 27, 507-512(1996)에 제시된 Raman data를 참고로 측정된 결과와 비교해 보면 표시된 위치가 847, 891, 1182, 1256, 1427, 1458㎝- 1 로서, 모두 타우린 분자의 -CH2-, -C2H4-의 진동 모드와 관련된 흡수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변성 타우린”은 결정 형성시 분자 내 -CH2-와 -C2H4-의 진동에 영향을 미쳐 라만 흡수대의 세기에 차이를 나타낸다. 즉, 라만 흡수대의 차이는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이 분자 물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2: FT-IR(적외선분광,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분석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구조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외선(FT-IR)분광분석을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에 의뢰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분석 장비 및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분석기기: JASCO FT-IR 4100
(2) 측정모드 : ATR mode
(3) Range: 600~4000㎝-1
(4) Scan 수 : 32
(5) Peak resolution: 4㎝-1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적외선 분광에서의 흡수 파장에서 1650-2800㎝- 1영역의 적외선 분광 흡수파장에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Journal of Raman Spectroscopy, Vol. 27, 507-512(1996) 및 G. Socrates,“Infrared and Raman Characteristic Group Frequencies”, John Wiley & Sons, 2001, p220에 제시된 자료를 참고하면, 타우린의 SO3H가 외부 물분자(H2O)와 SO3 -H3O+로 수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보인다. 또한 NH3의 진동모드는 1173, 1508, 1614, 3044, 3211㎝-1의 파장에서 적외선 흡수를 나타내고, SO3의 진동모드는 1037, 1204, 1303㎝-1의 파장에서 적외선 흡수를 나타내며, 수소결합에 의한 1527, 3523㎝-1의 파장에서의 적외선 흡수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타우린과 “변성타우린”은 모두 이온화(H3N+CH2CH2SO3 -)된 동일한 구조이나, 결정내의 SO3와 인접한 NH3와의 결합세기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이온화된,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결정 내 분자 간 결합세기에서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험예 3: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 분석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표면과 형상을 관찰하기 위해 SEM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분석장비 및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분석기기 : HITACHI(S-2700), JAPAN
(2) Electron Gun : Tungsten Filament type
(3) Resolution : 4.0 nm
(4) Accelerating Voltage : 15.0kV
도 4로부터,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타우린은 수정기둥과 같은 편상의 구조이고, 확대한 표면도 매끈한 모양이지만, “변성 타우린”은 타우린과 비교해 결정의 입자 크기가 작고 둥글며, 입자의 크기에 대한 분포가 매우 넓고, 타우린의 결정도 일부 섞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변성 타우린”의 확대 사진으로부터 타우린의 표면에 “변성 타우린”이 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같은 형상은 제조과정에서 물 및 “분자구조 내 메틸기(-CH3)가 있는 극성물질”에 의해 넓은 분포의 작은 구상 입자들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입자 형상에 의해 “변성 타우린”은 동일한 질량의 타우린 보다 표면적이 더 크므로, 공기 중 수분의 흡착에 의한 수화가 더 용이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때, 타우린의 경우 평균 입자크기는 222.06μm이고, 중간값 입자크기는 192.92μm 인 반면에, 변성 타우린의 경우 평균 입자크기는 190.84μm이고, 중간값 입자크기는 122.47μm이었다. 따라서,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입자크기가 현저히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열무게( TGA , Thermogravimeteric analysis) 분석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분게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분석 장비 및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분석기기: TGA 7 (Perkin-Elmer 사)
(2) 분위기: N2 gas
(3) 승온 속도: 20℃/min
(4) 범위: 50~600℃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TGA는 온도 증가에 따른 시료의 무게 감소를 나타낸다. “변성 타우린”의 경우 150℃에서부터 미세한 무게 감소가 있는데, 이것은 결정 표면의 수화된 SO3에서 물분자가 탈착되거나, SEM사진에서 나타난 것처럼 매우 작은 “변성 타우린” 입자의 표면에서 열에 의한 분해 반응이 약간 빠르게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변성 타우린”의 작은 입자는 열에 대한 노출 면적을 증가시키므로 열반응성은 타우린보다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TGA의 1차 미분에서 보듯이 변성 타우린의 첫번째 분해 온도는 359℃이고, 최종 분해온도는 396℃이며, 타우린은 362℃와 394℃의 온도에서 분해가 된다. 이는 변성 타우린이 입자크기가 작기 때문에 초기 열분해는 먼저 일어나지만 최종 분해온도는 더 높은 특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실험예 5: 녹는점(melting point) 분석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 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녹는점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참고로 분석 장비 및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분석기기: MPA100(SRS; Stanford Research System 사)
(2) 시작 온도: 200℃
(3) 승온속도: 10℃/min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성 타우린”의 녹는점(melting point, onset point 기준)이 타우린의 녹는점에 비하여 대략 10℃ 정도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는데(3회 실험결과 각각 335.7℃; 336.6℃; 및 337℃로 나타남), 이는 Raman이나 FT-IR 스펙트럼의 흡수세기나 흡수파장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결정 내 이온화 된 분자(H3N+CH2CH2SO3 -) 간 결합세기가 타우린과 차이가 있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실험예 6: 수용해도 분석
타우린과 “변성 타우린”의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용해도 분석(OECD Test Guideline 105)을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에 의뢰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우린의 수용해도는 74g/L이지만, “변성 타우린”의 수용해도는 77g/L으로 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변성 타우린”은 타우린과는 다른 물성 값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4. 대사성 질환 치료효과 확인
항응고 활성 평가
항혈전(항혈액 응고) 활성은 기존에 보고된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으며, 혈액응고 검사 자동화기기인 Sysmex CA-1500 (Siemens Healthcare, Germany)에 PT, aPTT 및 TT 분석용 Sysmex CA-1500 전용 시약인 트롬보럴 S(Thromborel S) 및 엑틴(Actin), 트롬빈(Trombin)을 각각 장착하여, 검사기기의 자동 프로시저에 따라 PT(프로트롬빈 타임, prothrombin time), aPTT(트롬보프라스틴 타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및 TT(트롬빈 타임, Thrombin time)에 대한 혈액응고 시간(sec)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 세 가지 분석을 위한 충분한 검체량은 혈장과 시험물질의 80 : 20 비율의 혼합물로서 약 400uL 정도 소요되었다.
건강한 한국인 성인남자에게서 총 23~25㎖의 혈액을 혈액응고시험 전용 vacutainer (3.2% sodium citrate)를 이용하여 채혈하고 즉시 4℃, 2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5~6시간 이내의 신선한 상태에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검측된 PT, aPTT 및 TT의 혈액응고시간(sec)을 각각의 시험군별로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정상대조군 시험물질인 3차 증류수(정제수) 대비 혈액응고시간 지연율(%)을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IBM version 21.0을 이용하여 시험물질 간의 항혈액응고 in vitro 활성을 Oneway ANOVA로 p<0.05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였으며, 군 간의 유의성 비교는 Duncan's test로 분석하였다.
대조물질로 아스피린 37.5mg을 에탄올 1㎖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정제수 4㎖을 추가하여 아스피린 7.5mg/㎖ 농도로 맞추어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즉시 사용하거나 냉장 보관하였다.
혈장 80㎕에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시료 20㎕를 혼합하여 프로트롬빈 타임(prothrombin time), 트롬보프라스틴 타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및 트롬빈 타임(Thrombin Time)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9, 도 9 및 표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대조로는 아스피린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3차 증류수(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g/dL) N PT aPTT TT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대조구 정제수 3 0.00 0.00 0.00 0.00 0.00 0.00
대조구 Asp 7.5mg/㎖ 3 9.90 0.24 7.31 0.79 13.59 1.79
비교예 2-1 Ara 1.04 3 0.56 0.98 2.51 0.92 2.09 0.53
Ara 5.2 3 5.93 1.47 3.72 1.76 13.40 1.01
Ara 7.8 3 9.60 1.29 6.39 1.90 22.92 1.22
Xyl 1.04 3 0.85 0.85 1.23 1.35 2.68 0.02
Xyl 5.2 3 4.52 1.29 5.70 0.91 14.59 1.49
Xyl 7.8 3 7.63 1.47 6.47 2.12 24.41 1.22
비교예
1-2
Tau 1.72 3 0.00 0.85 -2.41 0.81 3.58 0.92
Tau 4.3 3 0.56 0.98 -4.35 1.17 9.83 1.63
Tau 8.6 3 4.80 1.29 -4.01 0.33 21.13 0.55
비교예
2-3-1
Tau 8.6+Ara 1.04 3 4.80 0.49 -4.01 0.41 22.03 0.69
Tau 8.6+Ara 5.2 3 9.04 1.29 -1.06 0.67 33.64 2.10
Tau 8.6+Ara 7.8 3 12.71 1.47 0.83 1.35 42.57 1.38
Tau 8.6+Xyl 1.04 3 4.80 0.98 -3.73 0.85 24.11 0.22
Tau 8.6+Xyl 5.2 3 8.76 0.49 0.47 1.97 36.32 1.33
Tau 8.6+Xyl 7.8 3 12.99 1.29 1.73 1.95 45.54 0.77
실시예 1-2 TauAlc 1.72 3 2.27 1.78 -1.19 1.26 4.06 0.46
TauAlc 4.3 3 2.26 1.76 -2.57 0.42 9.39 1.11
TauAlc 8.6 3 4.82 1.32 -2.73 1.69 20.64 1.25
실시예
2-2-1
TauAlc 8.6+Ara 1.04 3 7.66 2.99 0.18 1.56 21.25 0.59
TauAlc 8.6+Ara 5.2 3 12.46 0.43 2.40 0.54 32.21 1.68
TauAlc 8.6+Ara 7.8 3 16.71 0.54 4.03 1.08 40.35 3.18
TauAlc 8.6+Xyl 1.04 3 6.80 0.03 -0.67 1.93 25.64 1.75
TauAlc 8.6+Xyl 5.2 3 11.05 0.05 1.11 0.30 35.33 1.43
TauAlc 8.6+Xyl 7.8 3 14.73 0.56 4.89 0.50 43.77 2.47
실시예
2-2-2
TauAlc 8.6+Ara 1.04 3 4.25 0.87 -1.52 3.58 21.58 1.26
TauAlc 8.6+Ara 5.2 3 11.62 0.52 1.04 1.70 37.19 0.52
TauAlc 8.6+Ara 7.8 3 13.60 0.07 1.46 1.06 41.92 3.15
TauAlc 8.6+Xyl 1.04 3 5.95 0.88 -0.85 0.64 27.86 3.52
TauAlc 8.6+Xyl 5.2 3 10.20 0.85 1.46 1.00 36.27 1.23
TauAlc 8.6+Xyl 7.8 3 13.88 0.56 3.18 1.80 45.01 1.8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우린(Tau)에 비하여 변성 타우린(TauAlc)은 단독 또는 당과 함께 처리시 PT 지연율이 증가하였으며, 변성 타우린(TauAlc)과 당을 함께 처리할 경우, 5탄당(자일로오스(Xyl) 또는 아라비노오스(Ara)) 함량이 5.2~7.8g으로 조성된 복합물 형태의 경우에 아스피린(Asp) 7.5mg/dL와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PT 지연율 및 TT 지연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물질 (g/dL) N PT aPTT *TT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대조구 정제수 3 0.00 0.00 0.00 0.00 0.00 0.00
대조구 Asp 7.5mg/㎖ 3 17.51 2.72 16.28 2.04 20.96 5.10
비교예 2-1 Rib 5.2 3 8.47 2.24 9.17 1.42 23.15 8.20
Rib 10.4 3 14.97 2.59 12.46 3.16 52.50 7.63
비교예 2-2 Gluc 6.2 3 1.69 0.85 2.22 0.73 16.24 3.09
Gluc 12.4 3 2.26 1.29 2.89 0.78 27.82 7.79
비교예 1-2 Tau 4.3 3 1.69 0.85 -0.29 1.17 11.18 5.29
비교예
2-3-1
Tau 4.3+Rib 2.6 3 4.80 0.49 1.65 1.03 20.57 6.88
Tau 4.3+Rib 6.5 3 10.73 0.49 4.25 0.98 34.61 6.87
비교예 2-4 Tau 4.3+Gluc 3.1 3 0.00 0.85 -1.25 1.61 19.23 3.82
Tau 4.3+Gluc 7.75 3 1.98 1.29 -1.54 1.09 30.30 4.29
실시예 1-2 TauAlc 4.3 3 0.85 0.85 -2.03 2.03 12.49 7.15
실시예
2-2-1
TauAlc 4.3+ Rib 2.6 3 5.37 0.49 2.61 2.79 21.84 6.34
TauAlc 4.3+ Rib 6.5 3 11.02 0.85 3.96 0.78 35.88 6.33
실시예
2-3
TauAlc 4.3+ Gluc 3.1 3 0.85 0.85 -1.06 1.18 24.16 4.40
TauAlc 4.3+ Gluc 7.75 3 3.11 2.13 -0.56 2.30 41.80 15.69
* 극단값을 나타내는 샘플 1개를 제외한 값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우린(Tau)에 비하여 변성 타우린(TauAlc)은 단독 또는 당과 함께 처리시 TT 지연율이 증가하였으며, 변성 타우린(TauAlc)과 당을 함께 처리할 경우, 당(리보오스(Rib) 또는 글루코오스(Gluc)) 함량이 2.6~7.75g으로 조성된 복합물 형태의 경우에 아스피린(Asp) 7.5mg/dL와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TT 지연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물질 (g/dL) N PT aPTT TT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평균 표준 편차
대조구 정제수 3 0.00 0.00 0.00 0.00 0.00 0.00
대조구 Asp 7.5mg/㎖ 3 26.02 1.41 29.82 1.78 23.95 2.18
비교예 2-2 Mann 3.1 3 2.71 0.94 0.65 3.67 11.67 1.56
Mann 6.2 3 5.96 3.29 1.24 4.22 22.74 4.59
Mann 12.4 3 13.55 2.05 7.98 3.07 47.87 4.27
Fruc 6.2 3 0.54 0.94 -0.20 3.04 13.19 1.43
Fruc 12.4 3 0.54 0.94 0.58 4.29 30.07 1.65
비교예 1-2 Tau 4.3 3 -3.79 2.35 -5.50 3.82 9.51 2.10
비교예 2-4 Tau 4.3+ Mann 3.1 3 -1.08 2.35 -3.14 3.83 17.48 0.78
Tau 4.3+ Mann 7.75 3 6.23 1.69 -0.02 3.64 31.60 2.08
Tau 4.3+ Fruc 7.75 3 0.00 0.81 -3.49 2.86 30.39 2.81
실시예 1-2 TauAlc 4.3 3 -3.79 2.35 -5.45 2.18 10.12 0.78
실시예
2-3
TauAlc 4.3+ Mann 3.1 3 0.54 1.88 -2.65 3.33 18.74 3.05
TauAlc 4.3+ Mann 7.75 2* 5.69 0.00 1.03 0.37 34.59 2.63
TauAlc 4.3+ Fruc 7.75 3 -1.36 0.47 -3.50 2.58 29.78 2.97
* 극단값을 나타내는 샘플 1개를 제외한 샘플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우린(Tau)에 비하여 변성 타우린(TauAlc)은 단독 또는 당과 함께 처리시 TT 지연율이 증가하였으며, 변성 타우린(TauAlc)과 당을 함께 처리할 경우, 당(만노오스(Mann) 또는 프락토오스(Fruc)) 함량이 7.75g으로 조성된 복합물 형태의 경우에 아스피린(Asp) 7.5mg/dL 이상의 TT 지연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당뇨 항비만 효능 실험
실험방법
8주령의 수컷 마우스(C57BL/6)(입수처: 코아텍)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당뇨병 진단 검사방법인 GTT(Glucose Tolerance Test) 방법을 사용하여 항당뇨 효능 후보물질에 대해 평가하였다.
마우스의 사육 환경 조건은 22±2℃, 상대 습도 55~60%로 설정하였고, 하루에 12시간 점등, 12시간 소등하였다. 각 그룹 당 5마리씩 배정되었고, 수컷 마우스의 경우 영역다툼이 강하여 한 어미에게서 나온 것을 한 그룹으로 묶어 무작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사료는 10주간 고지방식이(60% of calories from fat; research diet inc., New Brunswick, NJ)와 물을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이때 물에는 실시예 1-2(3), 2-1, 2-4-1, 2-4-2 및 2-5에서 제조된 시료를 섞어서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구로는 메트포르민(M-072, Sigma) (250mg/kg)을 사용하였고, 대조구로는 비교예 1-1, 2-3-2, 2-5-1, 2-5-2 및 2-6에서 제조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참고로 실시예 2-4-1, 2-4-2 및 2-5에서 제조된 시료는 성인 남자 (60kg)가 3일 복용하는 양으로 설정하고 이를 마우스의 복용 용량 (12배/kg, 미국 NIH guidance 자료 참고함)으로 변환하여 동물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즉, 성인 남자 (60kg)가 3일 복용하는 양은 180일치/kg이고, 이는 마우스 15일치/kg이다. 따라서, 마우스의 평균무게는 약 20g이므로 750일치/마우스(20g)에 해당한다. 따라서, 마우스 1마리는 제조된 시료의 1/750을 하루에 복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시예 1-2(3) 및 2-1에서 제조된 시료는 성인 남자 (60kg)가 2일 복용하는 양으로 설정하고 이를 마우스의 복용 용량 (12배/kg, 미국 NIH guidance 자료 참고함)으로 변환하여 동물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즉, 성인 남자 (60kg)가 2일 복용하는 양은 120일치/kg이고 이는 마우스 10일치/kg이다. 따라서, 마우스의 평균무게는 약 20g이므로 500일치/마우스(20g)에 해당한다. 따라서, 마우스 1마리는 제조된 시료의 1/500을 하루에 복용하도록 하였다.
8주간 매주 식이 섭취량과 체중증가를 확인하였다. 체중과 식이량은 처음 약물 투여 직전에 측정하였고, 이후에 일주일 간격으로 체중과 식이량을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를 실시한 8주째에 glucose tolerance test(GTT)를 수행하였다. 실험 전 8시간 동안 마우스를 절식시켰으며, 그 후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초기혈당을 혈당측정기(AUTO-CHEK, 다이아텍코리아)로 측정한 다음, 마우스의 복강에 글루코오스를 1g/kg의 농도로 투여 후, 30분, 60분, 90분, 120분에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각 그룹에 평균 5마리씩 구성됨).
혈중 생화학 검사에서는 인슐린(AKRIN-011T, Shibayagi, 일본), 글루코오스(AM202, 아산제약, 한국), 트리글리세라이드(AM157, 아산제약), 전체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AM202, 아산제약), AST 및 ALT(AM101, 아산제약)를 효소 분석 키트(enzymatic assay kits)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고지방식이 10주째에 혈청을 얻기 위해 마우스를 경추탈골로 희생시켰다. 조직 검사를 위하여 간, 백색지방조직(WAT), 갈색지방조직(BAT), 신장을 포르말린(50-00-0, Junsei, 일본)으로 고정하고, 그 외 남은 장기는 -70℃에 보관하였다. 심장에서 채취한 혈액은 응고시켜 혈청을 얻은 후, -70℃에 보관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하여 주요 장기와 지방을 4% 중성 완충 포르말린에 고정한 후 파라핀 블록에 심어서 5㎛로 박절하여 헤마톡실린(MHS-16, Sigma-Aldrich, 미국)과 에오신(HT110116, Sigma-Aldrich) 염색을 하였다. 조직 샘플 제작 후 글리세린 젤 마운팅 미디어(SP15-100, Fisher Scientific, 미국)로 마운팅 하였고, 커버 글라스를 덮어 현미경(IX71, OLYMPUS, 일본)으로 관찰하였으며 현미경에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메라로 조직을 촬영하였다.
한편, 실험의 분석 결과는 mean ± S.E.M.으로 표시하였으며,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은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후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측정결과
(1) 체중 증가량 측정 결과
체중, 체중증가량 및 체중 증가량 T-TEST 결과를 도 10 내지 도 15 및 하기 표 5 내지 22에 나타내었다.
체중(g)
구분 투여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7.80 19.36 21.48 22.44 23.56 24.32 24.78 25.74 26.18
편차 0.17 0.35 0.54 0.56 0.54 0.57 0.66 0.78 0.81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0.68 23.58 24.87 26.50 28.16 30.12 31.85 33.04 35.96
편차 0.29 0.54 0.53 0.57 0.62 0.68 0.52 0.47 0.42
실시예 1-2
(3)
DT15 
 (TauAlc)
평균 17.65 20.30 22.05 23.93 25.18 26.03 27.90 28.75 29.23
편차 0.16 0.17 0.27 0.26 0.27 0.22 0.41 0.38 0.37
비교예 1-1 DT19 
 (Tau)
평균 19.26 21.46 23.62 24.60 25.78 27.38 27.20 28.06 28.78
편차 0.28 0.35 0.59 0.66 0.63 0.77 0.84 0.97 1.10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9.30 21.00 22.78 23.84 25.18 25.72 26.34 27.52 28.20
편차 0.62 0.72 0.99 0.97 1.16 1.04 1.07 1.24 1.37
체중 증가량(g)
구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56 3.68 4.64 5.76 6.52 6.98 7.94 8.38
편차 0.24 0.45 0.48 0.44 0.51 0.59 0.68 0.73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90 4.19 5.82 7.48 9.44 11.17 12.36 15.28
편차 0.52 0.50 0.51 0.49 0.52 0.36 0.35 0.29
실시예 1-2
(3)
DT15 
 (TauAlc)
평균 2.65 4.40 6.28 7.53 8.38 10.25 11.10 11.58
편차 0.25 0.28 0.34 0.40 0.36 0.52 0.46 0.40
비교예 1-1 DT19 
 (Tau)
평균 2.20 4.36 5.34 6.52 8.12 7.94 8.80 9.52
편차 0.10 0.73 0.81 0.74 0.91 0.91 1.06 1.12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70 3.48 4.54 5.88 6.42 7.04 8.22 8.90
편차 0.30 1.10 0.99 1.19 1.11 1.14 1.29 1.44
그룹 1 주 2 주 3 주 4 주 5 주 6 주 7 주 8 주
HFD vs DT15 0.7736 0.8052 0.6050 0.9579 0.2443 0.1925 0.0656 0.0000
HFD vs DT19 0.3663 0.8499 0.6119 0.2908 0.1971 0.0016 0.0013 0.0000
DT15 vs DT19 0.1145 0.9645 0.3648 0.3044 0.8198 0.0801 0.1116 0.1623
상기 표 5 내지 7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을 투여한 DT15와 타우린(Tau)을 투여한 DT19는 모두 고지방식이(HFD) 투여 후 8주째 고지방식이(HFD) 단독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중(g)
구분 투여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7.80 19.36 21.48 22.44 23.56 24.32 24.78 25.74 26.18
편차 0.17 0.35 0.54 0.56 0.54 0.57 0.66 0.78 0.81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0.68 23.58 24.87 26.50 28.16 30.12 31.85 33.04 35.96
편차 0.29 0.54 0.53 0.57 0.62 0.68 0.52 0.47 0.42
실시예 2-1 DT16 
 (TauAlc 8.6+Ara 2.5) 
평균 19.88 22.16 23.94 25.02 26.44 27.34 27.92 28.50 30.62
편차 0.32 0.32 0.43 0.53 0.75 0.71 0.79 0.74 0.84
비교예
2-3-2
DT 18
(Tau 8.6+Ara 2.5) 
평균 20.20 22.29 23.47 25.17 26.70 27.67 29.03 30.77 32.03
편차 0.50 0.55 0.58 0.97 1.30 1.58 1.96 2.11 2.72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9.30 21.00 22.78 23.84 25.18 25.72 26.34 27.52 28.20
편차 0.62 0.72 0.99 0.97 1.16 1.04 1.07 1.24 1.37
체중 증가량(g)
구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56 3.68 4.64 5.76 6.52 6.98 7.94 8.38
편차 0.24 0.45 0.48 0.44 0.51 0.59 0.68 0.73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90 4.19 5.82 7.48 9.44 11.17 12.36 15.28
편차 0.52 0.50 0.51 0.49 0.52 0.36 0.35 0.29
실시예 2-1 DT16 
 (TauAlc 8.6+Ara 2.5) 
평균 2.28 4.06 5.14 6.56 7.46 8.04 8.62 10.74
편차 0.29 0.71 0.75 1.00 1.00 1.05 1.02 1.15
비교예
2-3-2
DT 18
(Tau 8.6+Ara 2.5) 
평균 2.09 3.27 4.97 6.50 7.47 8.83 10.57 11.83
편차 0.16 0.91 1.42 1.77 2.02 2.40 2.54 3.15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70 3.48 4.54 5.88 6.42 7.04 8.22 8.90
편차 0.30 1.10 0.99 1.19 1.11 1.14 1.29 1.44
그룹 1 주 2 주 3 주 4 주 5 주 6 주 7 주 8 주
HFD vs DT16 0.4351 0.8839 0.4636 0.3673 0.0722 0.0036 0.0008 0.0002
HFD vs DT18 0.4222 0.3970 0.4895 0.4556 0.1827 0.1121 0.2258 0.0582
DT16 vs DT18 0.6482 0.5201 0.9100 0.9753 0.9974 0.7355 0.4307 0.7065
상기 표 8 내지 10으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및 아라비노오스(Ara)를 투여한 DT16은 고지방식이(HFD) 투여 후 8주째 고지방식이(HFD) 단독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타우린(Tau) 및 아라비노오스(Ara)를 투여한 DT18은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T16 투여군과 DT18 투여군 사이에는 체중 증가 억제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HFD와의 차이로 볼 때 DT16이 DT18보다 체중 조절효과가 크다고 판단되었다.
체중(g)
구분 투여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7.80 19.36 21.48 22.44 23.56 24.32 24.78 25.74 26.18
편차 0.17 0.35 0.54 0.56 0.54 0.57 0.66 0.78 0.81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0.68 23.58 24.87 26.50 28.16 30.12 31.85 33.04 35.96
편차 0.29 0.54 0.53 0.57 0.62 0.68 0.52 0.47 0.42
실시예 2-1 DT20 
 (TauAlc 8.6+Xyl 3.5)
평균 19.56 22.76 24.02 25.38 27.38 28.40 28.86 30.28 32.28
편차 0.49 0.67 0.48 0.76 0.77 0.88 1.05 0.94 0.96
비교예
2-3-2
DT 21
(Tau 8.6+Xyl 3.5) 
평균 19.64 21.64 24.22 26.16 27.28 27.22 29.04 30.02 31.74
편차 0.15 0.15 0.10 0.32 0.27 0.27 0.16 0.34 0.81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9.30 21.00 22.78 23.84 25.18 25.72 26.34 27.52 28.20
편차 0.62 0.72 0.99 0.97 1.16 1.04 1.07 1.24 1.37
체중 증가량(g)
구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56 3.68 4.64 5.76 6.52 6.98 7.94 8.38
편차 0.24 0.45 0.48 0.44 0.51 0.59 0.68 0.73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90 4.19 5.82 7.48 9.44 11.17 12.36 15.28
편차 0.52 0.50 0.51 0.49 0.52 0.36 0.35 0.29
실시예 2-1 DT20 
 (TauAlc 8.6+Xyl 3.5)
평균 3.20 4.46 5.82 7.82 8.84 9.30 10.72 12.72
편차 0.36 0.72 0.56 1.11 0.85 1.01 1.02 1.13
비교예
2-3-2
DT 21
(Tau 8.6+Xyl 3.5) 
평균 2.00 4.58 6.52 7.64 7.58 9.40 10.38 12.10
편차 0.14 0.14 0.41 0.41 0.32 0.27 0.41 0.95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70 3.48 4.54 5.88 6.42 7.04 8.22 8.90
편차 0.30 1.10 0.99 1.19 1.11 1.14 1.29 1.44
그룹 1 주 2 주 3 주 4 주 5 주 6 주 7 주 8 주
HFD vs DT20 0.7082 0.7623 1.0000 0.7485 0.5373 0.0498 0.0774 0.0118
HFD vs DT21 0.2521 0.6032 0.3923 0.8377 0.0330 0.0072 0.0042 0.0012
DT20 vs DT21 0.0154 0.8733 0.3409 0.8829 0.2028 0.9263 0.7659 0.6847
상기 표 11 내지 13으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및 자일로오스(Ara)를 투여한 DT20과 타우린(Tau) 및 자일로오스(Ara)를 투여한 DT21은 고지방식이(HFD) 투여 후 8주째 고지방식이(HFD) 단독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중(g)
구분 투여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22.894 23.692 24.138 24.285 24.507 24.416 24.720 24.782 25.684
편차 0.599 0.363 0.442 0.283 0.183 0.221 0.321 0.362 0.170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2.322 24.642 26.136 27.642 29.472 31.176 32.494 34.478 38.764
편차 0.666 0.741 0.754 0.775 0.945 0.938 0.803 1.344 1.468
실시예
2-4-1
DT7   (TauAlc 8.6+Cat 3+Bet 4) 평균 20.834 22.456 22.744 24.094 25.884 27.388 29.236 29.638 31.662
편차 0.660 0.542 0.519 0.545 0.701 0.934 1.114 1.383 1.727
비교예
2-5-1
DT11
  (Tau 8.6+Cat 3+Bet 4)
평균 20.420 24.418 25.360 27.388 29.178 32.794 35.460 36.012 38.370
편차 0.353 0.498 0.608 0.630 0.853 0.843 1.101 0.950 0.771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21.105 23.550 23.608 25.125 25.705 27.198 28.355 27.368 29.343
편차 0.568 0.727 0.794 0.829 1.034 1.022 1.101 1.319 1.516
체중 증가량(g)
구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0.798 1.244 1.391 1.613 1.522 1.826 1.888 2.790
편차 0.444 0.473 0.475 0.448 0.507 0.504 0.499 0.517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320 3.814 5.320 7.150 8.854 10.172 12.156 16.442
편차 0.351 0.518 0.458 0.601 0.899 0.737 1.438 1.296
실시예
2-4-1
DT7   (TauAlc 8.6+Cat 3+Bet 4) 평균 1.622 1.910 3.260 5.050 6.554 8.402 8.804 10.828
편차 0.251 0.200 0.259 0.269 0.334 0.486 0.733 1.120
비교예
2-5-1
DT11
  (Tau 8.6+Cat 3+Bet 4)
평균 3.998 4.940 6.968 8.758 12.374 15.040 15.592 17.950
편차 0.605 0.789 0.869 1.066 1.017 1.162 1.013 0.583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2.445 2.503 4.020 4.600 6.093 7.250 6.263 8.238
편차 0.442 0.383 0.637 0.910 0.795 1.090 0.944 1.090
그룹 1 주 2 주 3 주 4 주 5 주 6 주 7 주 8 주
HFD vs DT7 0.1444 0.0090 0.0045 0.0128 0.0434 0.0799 0.0715 0.0112
HFD vs DT11 0.0433 0.2672 0.1320 0.2253 0.0320 0.0077 0.0865 0.3197
DT7 vs DT11 0.0067 0.0059 0.0035 0.0097 0.0006 0.0008 0.0006 0.0005
상기 표 14 내지 16으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카테킨(Cat) 및 베타인(Bet)을 투여한 DT7은 고지방식이(HFD) 투여 후 8주째 고지방식이(HFD) 단독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타우린(Tau), 카테킨(Cat) 및 베타인(Bet)를 투여한 DT11은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T7 투여군은 DT11 투여군보다 체중 조절효과가 유의적으로 크다고 판단되었다.
체중(g)
구분 투여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22.894 23.692 24.138 24.285 24.507 24.416 24.720 24.782 25.684
편차 0.599 0.363 0.442 0.283 0.183 0.221 0.321 0.362 0.170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2.322 24.642 26.136 27.642 29.472 31.176 32.494 34.478 38.764
편차 0.666 0.741 0.754 0.775 0.945 0.938 0.803 1.344 1.468
실시예
2-4-2
DT10 (TauAlc 8.6+EGCG 1.5+Bet 4) 평균 21.956 25.356 25.458 25.998 27.062 29.836 31.732 30.562 32.740
편차 0.483 0.640 0.524 0.740 0.666 0.811 0.946 0.975 1.135
비교예
2-5-2
DT14  
(Tau 8.6+EGCG 1.5+Bet 4)
평균 21.440 24.750 26.114 27.556 29.456 31.968 34.020 32.874 37.470
편차 0.638 0.998 1.142 1.400 1.654 2.005 2.181 2.012 2.186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21.105 23.550 23.608 25.125 25.705 27.198 28.355 27.368 29.343
편차 0.568 0.727 0.794 0.829 1.034 1.022 1.101 1.319 1.516
체중 증가량(g)
구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0.798 1.244 1.391 1.613 1.522 1.826 1.888 2.790
편차 0.444 0.473 0.475 0.448 0.507 0.504 0.499 0.517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320 3.814 5.320 7.150 8.854 10.172 12.156 16.442
편차 0.351 0.518 0.458 0.601 0.899 0.737 1.438 1.296
실시예
2-4-2
DT10 (TauAlc 8.6+EGCG 1.5+Bet 4) 평균 3.400 3.502 4.042 5.106 7.880 9.776 8.606 10.784
편차 0.274 0.253 0.330 0.441 0.683 0.929 1.126 1.204
비교예
2-5-2
DT14  
(Tau 8.6+EGCG 1.5+Bet 4)
평균 3.310 4.674 6.116 8.016 10.528 12.580 11.434 16.030
편차 0.407 0.580 0.850 1.077 1.412 1.596 1.414 1.577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2.445 2.503 4.020 4.600 6.093 7.250 6.263 8.238
편차 0.442 0.383 0.637 0.910 0.795 1.090 0.944 1.090
그룹 1 주 2 주 3 주 4 주 5 주 6 주 7 주 8 주
HFD vs DT10 0.0416 0.6033 0.0536 0.0254 0.4134 0.7471 0.0879 0.0126
HFD vs DT14 0.1029 0.3012 0.4338 0.5024 0.3467 0.2079 0.7296 0.8451
DT10 vs DT14 0.8592 0.1013 0.0526 0.0369 0.1299 0.1673 0.1564 0.0295
상기 표 17 내지 19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및 베타인(Bet)을 투여한 DT10은 고지방식이(HFD) 투여 후 8주째 고지방식이(HFD) 단독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타우린(Tau),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및 베타인(Bet)를 투여한 DT14는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T10 투여군은 DT14 투여군보다 체중 조절효과가 유의적으로 크다고 판단되었다.
체중(g)
구분 투여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25.706 25.614 27.006 26.814 28.744 29.442 29.258 29.476 27.442
편차 0.940 0.698 0.939 0.789 0.843 0.828 1.037 0.813 0.838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4.920 27.448 29.878 34.452 36.850 38.748 40.524 43.686 42.344
편차 0.547 0.453 0.635 0.725 0.523 0.548 0.941 1.164 0.591
실시예
2-5
DT4
 (TauAlc 8.6+EGCG 1.5+Bet 4+Xyl 3.5)
평균 25.422 27.170 30.180 32.488 33.968 35.218 36.214 38.048 36.188
편차 0.237 0.565 0.800 0.744 0.642 0.781 1.038 1.053 1.044
비교예
2-6
DT6
  (Tau 8.6+EGCG 1.5+Bet 4+Xyl 3.5)
평균 23.088 26.216 29.082 32.910 32.922 38.018 39.414 40.820 40.618
편차 0.690 1.032 1.372 2.118 1.931 2.000 1.890 2.036 1.784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23.938 25.094 26.344 27.430 27.708 28.572 28.772 28.468 27.608
편차 0.612 0.551 0.792 0.710 0.915 0.853 0.784 0.836 0.979
체중 증가량(g)
구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7주 8주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0.092 1.300 1.108 3.038 3.736 3.552 3.770 1.736
편차 0.325 0.259 0.270 0.414 0.339 0.389 0.333 0.369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528 4.958 9.532 11.930 13.828 15.604 18.766 17.424
편차 0.326 0.461 0.473 0.440 0.960 1.156 1.228 0.689
실시예
2-5
DT4
 (TauAlc 8.6+EGCG 1.5+Bet 4+Xyl 3.5)
평균 1.748 4.758 7.066 8.546 9.796 10.792 12.626 10.766
편차 0.372 0.625 0.580 0.465 0.589 0.835 0.846 0.849
비교예
2-6
DT6
  (Tau 8.6+EGCG 1.5+Bet 4+Xyl 3.5)
평균 3.128 5.994 9.822 9.834 14.930 16.326 17.732 17.530
편차 0.619 0.933 1.724 1.487 1.526 1.382 1.553 1.357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156 2.406 3.492 3.770 4.634 4.834 4.530 3.670
편차 0.180 0.185 0.223 0.350 0.398 0.398 0.936 0.463
그룹 1 주 2 주 3 주 4 주 5 주 6 주 7 주 8 주
HFD vs DT4 0.1538 0.8033 0.0109 0.0007 0.0072 0.0097 0.0034 0.0003
HFD vs DT6 0.4161 0.3485 0.8751 0.2135 0.5580 0.6992 0.6156 0.9462
DT4 vs DT6 0.0924 0.3030 0.1682 0.4324 0.0138 0.0090 0.0203 0.0029
상기 표 20 내지 22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베타인(Bet) 및 자일로오스(Xyl)을 투여한 DT4는 고지방식이(HFD) 투여 후 8주째 고지방식이(HFD) 단독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타우린(Tau),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베타인(Bet) 및 자일로오스(Xyl)를 투여한 DT6은 유의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T4 투여군은 DT6 투여군보다 체중 조절효과가 유의적으로 크다고 판단되었다.
(2) 혈당검사(GTT: Glucose Tolerance Test)
GTT 측정결과 및 이에 대한 T-TEST 결과를 도 16 내지 19 및 하기 표 23 내지 30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당 (mg/dl)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23.60 328.60 324.00 235.60 151.20
편차 6.44 12.80 30.00 16.84 6.57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188.70 479.70 461.60 458.40 250.10
편차 10.67 26.87 39.06 33.42 27.98
실시예 1-2
(3)
DT15 
 (TauAlc)
평균 121.25 335.25 295.25 193.75 126.25
편차 3.73 3.77 7.73 11.43 0.56
비교예 1-1 DT19 
 (Tau)
평균 111.80 298.00 295.60 189.40 119.00
편차 11.08 26.76 11.52 9.75 6.47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44.20 386.40 301.40 194.40 135.20
편차 15.92 17.73 24.43 21.21 17.23
그룹 투여전 30분후 60분후 90분후 120분후
HFD vs DT15 0.0023 0.0062 0.0224 0.0004 0.0182
HFD vs DT19 0.0006 0.0010 0.0119 0.0001 0.0065
DT15 vs DT19 0.4936 0.2625 0.9822 0.7904 0.3569
상기 표 23 및 24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를 투여한 DT15와 타우린(Tau)을 투여한 DT19의 공복 시 혈당은 고지방식이(HFD)만 투여한 마우스와 비교하여 모두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정상 마우스의 혈당 수준과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TT 결과, DT15와 DT19를 투여한 그룹의 마우스 모두 HFD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혈당 조절능력이 우수하였고, DT15와 DT19 사이에는 유사한 정도로 혈당 조절 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분  혈당 (mg/dl)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23.60 328.60 324.00 235.60 151.20
편차 6.44 12.80 30.00 16.84 6.57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188.70 479.70 461.60 458.40 250.10
편차 10.67 26.87 39.06 33.42 27.98
실시예 2-1 DT16 
 (TauAlc 8.6+Ara 2.5) 
평균 117.00 289.20 302.20 196.20 121.40
편차 4.86 20.15 35.60 31.33 14.44
비교예
2-3-2
DT 18
(Tau 8.6+Ara 2.5) 
평균 169.33 367.00 343.00 236.33 172.67
편차 9.21 22.27 32.94 28.55 23.62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44.20 386.40 301.40 194.40 135.20
편차 15.92 17.73 24.43 21.21 17.23
그룹 투여전 30분후 60분후 90분후 120분후
HFD vs DT16 0.0005 0.0005 0.0219 0.0003 0.0084
HFD vs DT18 0.3740 0.0549 0.1488 0.0060 0.1848
DT16 vs DT18 0.0029 0.0626 0.4990 0.4502 0.1322
상기 표 25 및 26으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및 아라비노오스(Ara)를 투여한 DT16의 공복 시 혈당은 고지방식이(HFD)만 투여한 마우스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정상마우스의 혈당 수준과 같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TT 결과, DT16을 투여한 그룹의 마우스는 HFD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혈당 조절능력이 우수하여 정상 마우스의 혈당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DT16과 DT18 사이에는 DT16 투여군이 DT18 투여군에 비해 효과가 우수하고 공복 시 혈당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혈당 (mg/dl)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23.60 328.60 324.00 235.60 151.20
편차 6.44 12.80 30.00 16.84 6.57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188.70 479.70 461.60 458.40 250.10
편차 10.67 26.87 39.06 33.42 27.98
실시예 2-1 DT20 
 (TauAlc 8.6+Xyl 3.5)
평균 115.00 306.40 330.40 240.40 142.80
편차 7.00 33.04 35.07 32.68 15.94
비교예
2-3-2
DT 21
(Tau 8.6+Xyl 3.5) 
평균 134.20 340.60 331.40 240.40 155.40
편차 13.04 27.41 29.45 35.59 19.60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44.20 386.40 301.40 194.40 135.20
편차 15.92 17.73 24.43 21.21 17.23
그룹 투여전 30분후 60분후 90분후 120분후
HFD vs DT20 0.0005 0.0019 0.0513 0.0012 0.0233
HFD vs DT21 0.0089 0.0065 0.0483 0.0014 0.0440
DT20 vs DT21 0.2306 0.4486 0.9831 1.0000 0.6314
상기 표 27 및 28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및 자일로오스(Ara)를 투여한 DT20과 타우린(Tau) 및 자일로오스(Ara)를 투여한 DT21의 공복 시 혈당은 고지방식이(HFD)만 투여한 마우스와 비교하여 모두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정상 마우스의 혈당 수준과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TT 결과, DT20과 DT21을 투여한 그룹의 마우스 모두 HFD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혈당 조절능력이 우수하였고, DT20과 DT21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DT20 투여군이 DT21 투여군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분 혈당 (mg/dl)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대조구 정상식이
(RD)
평균 120.60 392.80 296.00 203.20 158.60
편차 2.16 58.61 40.72 27.48 17.28
대조구 고지방식이
(HFD)
평균 210.80 528.20 527.40 448.80 342.20
편차 13.79 23.68 17.28 37.78 44.72
실시예
2-5
DT4
 (TauAlc 8.6+EGCG 1.5+Bet 4+Xyl 3.5)
평균 121.20 418.75 347.25 265.25 182.75
편차 7.81 25.89 10.69 25.07 9.81
비교예
2-6
DT6
  (Tau 8.6+EGCG 1.5+Bet 4+Xyl 3.5)
평균 199.60 505.80 471.40 417.40 318.40
편차 13.55 33.81 65.31 75.23 61.39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04.40 438.40 296.40 178.00 146.20
편차 3.72 8.68 23.15 14.35 3.02
그룹 투여전 30분 후 60분 후 90분 후 120분 후
HFD vs DT4 0.0005 0.0211 0.0001 0.0075 0.0176
HFD vs DT6 0.5783 0.6021 0.4312 0.7189 0.7620
DT4 vs DT6 0.0010 0.1003 0.1409 0.1303 0.0949
상기 표 29 및 30으로부터, 변성 타우린(TauAl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베타인(Bet) 및 자일로오스(Xyl)을 투여한 DT4의 공복 시 혈당은 고지방식이(HFD)만 투여한 마우스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정상 마우스의 혈당 수준과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GTT 결과, DT4를 투여한 그룹의 마우스는 HFD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혈당 조절능력이 우수하였으나, DT6을 투여한 그룹의 마우스는 혈당 조절능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혈액 생화학 검사 결과
중성지방, AST 및 ALT 검사결과와 이에 대한 T-test 결과를 하기 표 31~40에 나타내었다.
그룹 중성지방
(㎎/㎗)
AST
(IU/L)
ALT
(IU/L)
대조구 정상식이(RD) 평균 76.02 91.34 10.85
표준편차 14.42 7.23 6.20
대조구 고지방식이(HFD) 평균 148.78 129.70 24.71
표준편차 32.47 6.48 3.75
대조구 Metformin(MET) 평균 62.99 110.32 22.80
표준편차 10.70 16.00 7.16
실시예 1-2
(3)
DT15 
 (TauAlc)
평균 53.62 98.96 14.02
표준편차 7.22 6.11 3.82
비교예 1-1 DT19 
 (Tau)
평균 116.20 118.63 25.47
표준편차 13.34 12.02 8.60
그룹 중성지방 AST ALT
HFD vs DT15 0.0383 0.0118 0.0890
HFD vs DT19 0.3805 0.4408 0.9372
DT15 vs DT19 0.0066 0.2211 0.3034
상기 표 31 및 32에 나타난 바와 같이, DT15(변성 타우린)는 정상 마우스와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수준의 중성지방, AST 및 ALT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DT19(타우린) 보다 중성지방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고, AST 및 ALT 수치도 낮게 나타났다.
그룹 중성지방
(㎎/㎗)
AST
(IU/L)
ALT
(IU/L)
대조구 정상식이(RD) 평균 76.02 91.34 10.85
표준편차 14.42 7.23 6.20
대조구 고지방식이(HFD) 평균 148.78 129.70 24.71
표준편차 32.47 6.48 3.75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62.99 110.32 22.80
표준편차 10.70 16.00 7.16
실시예 2-1 DT16 
 (TauAlc 8.6+Ara 2.5) 
평균 54.30 96.48 10.68
표준편차 8.66 3.52 4.15
비교예
2-3-2
DT 18
(Tau 8.6+Ara 2.5) 
평균 66.97 94.51 7.02
표준편차 18.17 3.02 7.09
그룹 중성지방 AST ALT
HFD vs DT16 0.0402 0.0042 0.0407
HFD vs DT18 0.1208 0.0076 0.0492
DT16 vs DT18 0.5202 0.7015 0.6546
상기 표 33 및 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DT16(변성 타우린+아라비노오스) 및 DT18(타우린 +아라비노오스)은 정상식이(RD)와 유사한 수준의 AST 및 ALT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고지방식이(HFD)의 AST 및 ALT보다 유의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DT16은 정상식이(RD) 보다 낮은 수준의 중성지방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룹 중성지방
(㎎/㎗)
AST
(IU/L)
ALT
(IU/L)
대조구 정상식이(RD) 평균 76.02 91.34 10.85
표준편차 14.42 7.23 6.20
대조구 고지방식이(HFD) 평균 148.78 129.70 24.71
표준편차 32.47 6.48 3.75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62.99 110.32 22.80
표준편차 10.70 16.00 7.16
실시예 2-1 DT20 
 (TauAlc 8.6+Xyl 3.5)
평균 60.81 100.44 8.67
표준편차 23.96 8.57 3.04
비교예
2-3-2
DT 21
(Tau 8.6+Xyl 3.5) 
평균 42.35 85.41 6.76
표준편차 5.26 2.97 0.71
그룹 중성지방 AST ALT
HFD vs DT20 0.0609 0.0261 0.0105
HFD vs DT21 0.0120 0.0003 0.0015
DT20 vs DT21 0.4732 0.1363 0.5582
상기 표 35 및 36에 나타난 바와 같이, DT20(변성 타우린+자일로오스) 및 DT18(타우린 +자일로오스)은 정상식이(RD)와 유사한 수준의 AST 및 ALT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고지방식이(HFD)의 AST 및 ALT보다 유의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DT20 및 DT21은 정상식이(RD) 보다 낮은 수준의 중성지방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룹 중성지방 AST
(IU/L)
ALT
(IU/L)
대조구 정상식이(RD) 평균 113.61 10.30 5.32
표준편차 22.21 1.41 0.33
대조구 고지방식이(HFD) 평균 135.37 21.60 13.31
표준편차 22.74 4.33 3.96
대조구 Metformin
(MET)
평균 107.14 16.06 8.05
표준편차 10.29 0.99 0.72
실시예
2-4-1
DT7
  (TauAlc 8.6+Cat 3+Bet 4)
평균 100.68 11.41 7.01
표준편차 7.23 1.71 1.07
그룹 중성지방 AST ALT
HFD vs DT7 0.451 0.071 0.176
상기 표 37 및 38에 나타난 바와 같이, DT7(변성 타우린+카테킨+베타인)은 정상식이(RD)와 유사한 수준의 AST 및 ALT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고지방식이(HFD)의 AST 및 ALT보다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DT7은 정상식이(RD) 보다 낮은 수준의 중성지방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룹 중성지방 AST
(IU/L)
ALT
(IU/L)
대조구 정상식이(RD) 평균 81.39 10.09 0.99
표준편차 17.61 3.35 0.38
대조구 고지방식이(HFD) 평균 133.80 26.92 14.79
표준편차 8.13 4.44 5.31
대조구 Metformin(MET) 평균 46.75 14.10 3.50
표준편차 16.82 5.08 1.20
실시예
2-5
DT4
 (TauAlc 8.6+EGCG 1.5+Bet 4+Xyl 3.5)
평균 59.85 13.52 1.03
표준편차 7.61 2.66 0.43
비교예
2-6
DT6
  (Tau 8.6+EGCG 1.5+Bet 4+Xyl 3.5)
평균 86.72 14.10 11.22
표준편차 17.42 5.08 4.19
그룹 중성지방 AST ALT
HFD vs DT4 0.003 0.0465 0.0565
HFD vs DT6 0.0386 0.0940 0.6119
DT4 vs DT6 0.2458 0.9284 0.0695
상기 표 39 및 40에 나타난 바와 같이, DT4(변성 타우린+EGCG+베타인+자일로오스)는 정상식이(RD)와 유사한 수준의 AST 및 ALT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고지방식이(HFD)의 AST 및 ALT보다 유의적으로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DT4는 정상식이(RD) 보다 낮은 수준의 중성지방 수치를 나타내었다.
(4) 조직학적 검사 결과
실험 마우스의 간, 백색지방조직(WAT), 갈색지방조직(BAT) 및 신장 조직의 검사 결과를 도 20 내지 23에 나타내었다.
도 20으로부터, 고지방식이(HFD)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축적이 증가하고, 지방간이 심하게 나타났으나, DT15(변성 타우린)는 메트포민(Metformin, MET)과 유사한 정도의 지방세포 크기를 나타내고,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축적이 감소하였으며, 지방간의 발생이 감소하였고, 신장 독성 또한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21로부터, 고지방식이(HFD)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축적이 증가하고, 지방간이 심하게 나타났으나, DT16(변성 타우린+아라비노오스)은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축적이 감소하였으며, 지방간의 발생이 감소하였고, 신장 독성 또한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22로부터, 고지방식이(HFD)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축적이 크게 증가하고, 사구체의 크기가 증가하며, 지방간이 심하게 나타났으나, DT7(변성 타우린+카테킨+베타인)은 지방세포 크기가 감소하고,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축적이 감소하고, 사구체의 크기 증가가 억제되고, 지방간의 발생이 감소하였고, 신장 독성 또한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23으로부터, 고지방식이(HFD)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와 지방세포 사이에 대식세포의 축적이 증가하고,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증가하고, 사구체의 크기가 증가하며, 지방간이 심하게 나타났으나, DT4(변성 타우린+EGCG+베타인+자일로오스)는 지방의 크기가 일부 증가하나 대식세포의 축적이 나타나지 않았고, 갈색지방조직에 지방의 축적이 감소하였으며, 사구체의 크기 증가가 억제되고, 지방간의 발생이 감소하였고, 신장 독성 또한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제 1 용매상에서 타우린을 용해시킨 후, 제 2 용매를 추가로 첨가하여 생성된 변성 타우린으로써,
    제 1 용매와 제 2 용매간 극성도의 차이가 5이하이고,
    상기 제 1 용매는 물이고,
    상기 제 2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아세톤이며,
    라만 스펙트럼상의 위치 847, 891, 1182, 1256, 1427, 1458㎝-1에서 891/847의 흡수대 비율, 1182/1256 흡수대 비율, 및 1427/1458 흡수대 비율이 모두 1 미만인 변성 타우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타우린의 녹기 시작하는 점(onset melting point)은 330도씨 내지 340도씨인, 변성 타우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타우린의 수용해도는 75 내지 79g/L인, 변성 타우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타우린은 적외선분광(FT-IR)에서 1650 내지 2800㎝-1 위치의 흡수 파장이 타우린과 상이한, 변성 타우린.
  5. 제 1 용매상에서 타우린을 용해시키는 단계 이후에 제 2 용매를 추가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용매와 제 2 용매간 극성도의 차이가 5이하이고,
    상기 제 1 용매는 물이고,
    상기 제 2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아세톤이며,
    라만 스펙트럼상의 위치 847, 891, 1182, 1256, 1427, 1458㎝-1에서 891/847의 흡수대 비율, 1182/1256 흡수대 비율, 및 1427/1458 흡수대 비율이 모두 1 미만인,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타우린의 녹기 시작하는 점(onset melting point)은 330도씨 내지 340도씨인,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타우린의 수용해도는 75 내지 79g/L인,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타우린은 적외선분광(FT-IR)에서 1650 내지 2800㎝-1 위치의 흡수 파장이 타우린과 상이한, 변성 타우린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60125653A 2014-12-16 2016-09-29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29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652 2014-12-16
KR20140181652 2014-12-16
KR20150000781 2015-01-05
KR1020150000781 2015-01-05
KR20150048106 2015-04-06
KR1020150048106 2015-04-06
KR1020150108672 2015-07-31
KR20150108672 2015-07-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902A Division KR101666907B1 (ko) 2014-12-16 2015-12-16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013A true KR20160119013A (ko) 2016-10-12
KR102029449B1 KR102029449B1 (ko) 2019-10-07

Family

ID=561269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902A KR101666907B1 (ko) 2014-12-16 2015-12-16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160125653A KR102029449B1 (ko) 2014-12-16 2016-09-29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902A KR101666907B1 (ko) 2014-12-16 2015-12-16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70340584A1 (ko)
EP (1) EP3235808A4 (ko)
JP (1) JP2018502074A (ko)
KR (2) KR101666907B1 (ko)
CN (1) CN106999455A (ko)
WO (1) WO2016099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728B1 (ko) * 2016-06-15 2018-04-24 변종현 변성 타우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3909A (ko) 2019-10-14 2021-04-22 (주)아이에스엘 도광판
WO2023199995A1 (ja) * 2022-04-15 2023-10-19 コスメディ製薬株式会社 タウリンの微細針状又は柱状結晶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4694A (en) * 1983-04-22 1984-04-24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2-aminoalkanesulfonic acid
JPH06192209A (ja) * 1992-12-25 1994-07-12 Mitsui Toatsu Chem Inc タウリンの精製法
JPH0717943A (ja) * 1993-07-02 1995-01-20 Mitsui Toatsu Chem Inc タウリンの精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179A (ja) * 1998-10-09 2000-04-25 Taisho Pharmaceut Co Ltd インスリン非依存性糖尿病の合併症の予防薬
AU2001278197A1 (en) 2000-07-28 2002-02-13 Bioenergy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cardiovascular function
CN100553499C (zh) * 2002-05-31 2009-10-28 芬兰营养学会有限公司 饮料组合物和组合饮料的方法
JP3819000B2 (ja) * 2003-12-17 2006-09-06 日本クリニック株式会社 タウリンの抽出方法
JP4495481B2 (ja) * 2004-02-18 2010-07-07 イーグル・エンジニアリング・エアロスペース株式会社 シール装置
KR101132175B1 (ko) * 2005-08-24 2012-04-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우린과 환원당을 이용한 2-메톡시-5(또는 6)-메틸피라진의 제조방법
KR101121543B1 (ko) 2007-07-04 2012-03-06 학교법인 선목학원 벼과식물로부터 수득되는 전분 또는 식이섬유를 포함하는허혈성 질환 및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1190953B1 (ko) * 2009-08-25 2012-10-12 한올바이오파마주식회사 메트포르민 타우린염,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복합제제
CN102241690B (zh) 2010-05-13 2015-08-12 天津药物研究院 一类含腈基的噻吩并吡啶酯类衍生物、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412221B1 (ko) * 2012-08-14 2014-06-27 (주)바이오뉴트리젠 구기자잎 추출 분말과 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4694A (en) * 1983-04-22 1984-04-24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2-aminoalkanesulfonic acid
JPH06192209A (ja) * 1992-12-25 1994-07-12 Mitsui Toatsu Chem Inc タウリンの精製法
JPH0717943A (ja) * 1993-07-02 1995-01-20 Mitsui Toatsu Chem Inc タウリンの精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2074A (ja) 2018-01-25
CN106999455A (zh) 2017-08-01
EP3235808A4 (en) 2018-07-04
WO2016099146A1 (ko) 2016-06-23
US9877938B2 (en) 2018-01-30
KR102029449B1 (ko) 2019-10-07
EP3235808A1 (en) 2017-10-25
KR20160073332A (ko) 2016-06-24
US20170165211A1 (en) 2017-06-15
US20170340584A1 (en) 2017-11-30
KR101666907B1 (ko)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2533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body lipid
EP3145332B1 (en) Dietary compositions for reducing blood glucose levels and for weight management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66907B1 (ko) 변성 타우린 및 이를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07094497A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改善剤
EP2303297B1 (en) Water-soluble extracts of artemisia dracunculus (tarragon) for improvement of glucose metabolism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728B1 (ko) 변성 타우린 및 이의 제조방법
JP5794414B2 (ja) 医薬用組成物
JP5619752B2 (ja) パンドラチン誘導体またはボエセンベルギアパンドラタ抽出物の新規な用途
KR101666913B1 (ko) 당 및 타우린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310799B1 (en) A novel compound (ks 513)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y disease, inflammatory disease,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P3455436B2 (ja) 抗酸化物質の製造法
KR101449670B1 (ko) 흰진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9105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0294A (ko) 한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121423A1 (ko) 한약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75442A (ko) 4-하이드록시 타목시펜 유사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407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남극 지의류 움빌리카리아 안타티카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212925B1 (ko) 세사몰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생혈관생성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JP2006083106A (ja) 血中中性脂肪濃度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薬剤及び飲食物
KR20200045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108610A (ja) 琉球松葉を用いた中性脂肪抑制組成物およびその飲食物
EP3172191B1 (en) A novel compound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y disease, inflammatory disease, asthma 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the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6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28

Effective date: 201907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