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136A -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136A
KR20160114136A KR1020167023433A KR20167023433A KR20160114136A KR 20160114136 A KR20160114136 A KR 20160114136A KR 1020167023433 A KR1020167023433 A KR 1020167023433A KR 20167023433 A KR20167023433 A KR 20167023433A KR 20160114136 A KR20160114136 A KR 20160114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ing
spring element
retaining means
dis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058B1 (ko
Inventor
헬무트 발만
핫산 아사디
한스 곤쇼어렉
로타르 크릴
알렉산더 크루제
오스발트 리히틀라인
디륵 리터샤이트
토마스 망거
하인츠 쥐데쿰
하룬 투코빅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114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intended to affect valve bias or pre-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5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12)에 관한 것이며, 상기 스프링 요소는, 예비 인장 장치(12)의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의 내부 중심 설정에 사용되며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놓인 중심 설정 장치(29) 상에 내경(20)에 의해 삽입된다. 스프링 요소의 신뢰성 있는 내부 중심 설정을 보장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낮은 조립 복잡성으로 위치될 수 있는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12)를 제공하기 위해, 보유 수단들이 스프링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양측에서 둘러싸고 각각 중심 설정 장치(29)와 견고히 연결되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는 축방향으로 보유 수단을 통해 중심 설정 장치(29)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PRELOADING DEVICE FOR A PISTON VALVE OF A VIBRATION DAMPER}
본 발명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에 관한 것이며, 스프링 요소는, 예비 인장 장치의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의 내부 중심 설정에 사용되며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놓인 중심 설정 장치 상에 스프링 요소의 내경에 의해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예비 인장 장치가 사용되는 진동 댐퍼용 피스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진동 댐퍼는, 통상 유압 기계식 댐퍼 형태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며, 특히 각각의 차체와 각각의 차량의 축 사이에 제공된다. 이 위치에 위치한 진동 댐퍼는 한편으로, 도로에 의한 자극 시에 또는 특정 주행 상태의 과정에서, 차체의 진동 및 후속 진동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도로에 의해 자극된 각각의 차량 휠의 진동의 신속한 소멸에 작용함으로써, 차량 휠의 노면 접지가 항상 보장될 수 있다.
진동 댐퍼는 자동차에서 대부분 텔레스코픽 쇼크 업소버로서, 그리고 모노 튜브 쇼크 업소버 또는 트윈 튜브 쇼크 업소버로서 구성된다. 이 경우에, 댐핑 작용은 통상 유압액 형태의 댐핑 매체의 변위에 의해 형성되며, 댐핑 매체의 유동은 변위의 과정 중에, 유동의 목적으로 복수의 관통구가 제공된 통상 피스톤 밸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진동 댐퍼의 댐핑 특성 곡선은 통상 유압 저항에 의해 설정되는데, 이러한 유압 저항은 관통구를 통한 댐핑 매체의 유동에 상응하게 영향을 미치며 통상, 피스톤 밸브의 피스톤 바디에 대해 예비 인장된 밸브 디스크로서 구성된다. 밸브 디스크의 예비 인장을 위해, 특히, 밸브 디스크의 충분한 예비 인장을 항상 보장하는 스프링 요소가 제공된다. 그러나 스프링 요소의 신뢰성 있는 중심 설정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을 경우, 양산 시에 조립 에러 및 이로 인해 편차를 갖는 밸브 특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DE 10 2007 004 149 A1에는 진동 댐퍼용 피스톤 밸브가 개시되며, 피스톤 밸브는 피스톤 바디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를 갖는 피스톤 바디를 포함한다. 관통구의 개구 영역 내에서, 각각 복수의 밸브 디스크가 피스톤 바디에서 각각의 밸브 시트에 대해 예비 인장되며, 이러한 예비 인장은 각각 하나의 관련 예비 인장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이 경우에, 예비 인장 장치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 및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놓인 환형 중심 설정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중심 설정 디스크는 리프 스프링을 위한 중심 설정 장치를 형성하고, 피스톤 바디가 안내되는 피스톤 로드 저널에 대한 리프 스프링의 내부 중심 설정을 보장한다. 그러나 리프 스프링이 피스톤 밸브의 조립 과정 중에 중심 설정 디스크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움직임은 고정 너트를 통한 피스톤 밸브의 인장 시에 조립 에러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피스톤 밸브의 지지 디스크에 대해 중심 설정 디스크를 예비 인장시키며, 이에 의해 중심 설정 디스크가 그의 중심 설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위치 내에 중심 설정 디스크를 항상 유지시킨다.
상술된 종래 기술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피스톤 밸브의 조립 과정 중에, 스프링 요소의 신뢰성 있는 내부 중심 설정을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적은 조립 복잡성으로 위치될 수 있는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를 기초로 하여,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와 관련되어 해결된다. 후속되는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각각의 바람직한 개선예를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예비 인장 장치가 사용되는 진동 댐퍼용 피스톤 밸브는 청구항 제10항에 명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비 인장 장치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놓인 중심 설정 장치 상에 내경에 의해 삽입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중심 설정 장치는 피스톤 밸브 내에 예비 인장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의 내부 중심 설정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유형의 예비 인장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바디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를 갖는 피스톤 바디를 포함하는 피스톤 밸브에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는 관통구의 개구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예비 인장 장치를 이용하여 피스톤 바디에 대해 예비 인장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예비 인장 장치의 스프링 요소의 "내부 중심 설정"은, 피스톤 밸브의 조립 시에 스프링 요소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 놓인 중심 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 요소의 내경에서 스프링 요소를 안내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반경 방향 내측에 놓인 중심 설정 장치는 피스톤 밸브의 조립 시에, 스프링 요소를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의 피스톤 로드 저널 상에 간접적으로 중심 설정한다.
본 발명은, 보유 수단이 스프링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양측에서 둘러싸고 각각 중심 설정 장치와 견고히 연결되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가 중심 설정 장치에서 축방향으로 보유 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기술적 교시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스프링 요소는 보유 수단을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중심 설정 장치에 보유되며, 이를 위해 스프링 요소는 적어도, 임의의 섹션에 의해 축방향에서 보유 수단들 사이에 놓이며, 보유 수단들은 각각 중심 설정 장치와 고정되어 결합된다.
예비 인장 장치의 이러한 유형의 구성은, 결과적으로, 사전 조립 가능한 조립체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지며, 이러한 조립체는 피스톤 밸브의 조립 과정 중에, 각각의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 상에 간단하게 제공되며, 반경 방향 내측에 놓인 중심 설정 장치에 대한 스프링 요소의 상대적 고정으로 인해, 스프링 요소의 신뢰성 있는 내부 중심 설정이 항상 보장된다. 보유 수단을 이용하여, 스프링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둘러싸임으로써, 축방향으로 중심 설정 장치에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되어, 스프링 요소의 내경에 의해 중심 설정 장치에 대해 항상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피스톤 밸브의 조립 과정 중에 중심 설정 장치로부터의 스프링 요소의 축방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불량한 내부 중심 설정으로 인한 스프링 요소의 조립 에러의 위험이 배제된다. 또한, 사전 조립 가능한 조립체로서의 예비 인장 장치의 구성으로 인해, 조립 복잡성이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예비 인장 장치가 유닛으로서 삽입되기만 하면 되는데, 즉, 피스톤 로드 저널 상에 위치되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DE 10 2007 004 149 A1의 경우에, 중심 설정 섹션을 규정하는 중심 설정 디스크가 스프링을 통해 피스톤 밸브의 지지 디스크에 대해 예비 인장되는 방식으로, 스프링 요소의 신뢰성 있는 중심 설정이 보장된다. 그러나 예비 인장 장치의 조립은 복잡한데, 그 이유는 피스톤 밸브의 조립 시에 개별 부품들이 차례로 위치되어야 하며 사전 조립된 유닛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중심 설정 디스크의 예비 인장에도 불구하고 조립 에러가 완전히 배제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원칙적으로, 스프링 요소에 대한 중심 설정 디스크의 상대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경 방향"은 스프링 요소의 변경을 따른 방향 설정으로 이해되는 반면, "축방향"은 스프링 요소의 인장 방향으로의 방향 설정으로 이해되는데, 상기 인장 방향은 예비 인장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의 종방향 중심 축 방향으로의 방향 설정에 상응한다.
또한, 보유 수단을 통한 스프링 요소의 축방향 양측에서의 "적어도 부분적인" 둘러쌈은, 보유 수단이 각각 적어도, 스프링 요소의 연장부의 일 부분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 요소에 의해 덮이며, 축방향에서 각각 스프링 요소의 양측에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보유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가 반경 방향으로 완전히,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놓인 스프링 요소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유 수단들과 중심 설정 섹션 간의 "견고한 연결"의 표현은 각각의 보유 수단 및 중심 설정 섹션이 적어도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서로 고정되어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유 수단이 중심 설정 섹션에 대해 전혀 움직일 수 없으며, 이는 상응하는 연결 또는 단일편 구성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설정 장치는, 스프링 요소를 외경에서 안내하는 중심 설정 디스크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스프링 요소의 내부 중심 설정은 상응하는 디스크에 의해 구현되며, 이러한 디스크는 스프링 요소 쪽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놓이며 제공되고, 보유 수단은 상기 디스크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축방향으로 특히 긴밀하게 구성되는 예비 인장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중심 설정 장치가 축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디스크의 플랜지 섹션의 외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디스크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유 수단들 중 하나의 보유 수단의 견부 섹션에 의해 규정된다. 이 경우에, 내부 중심 설정은 상응하게 형성된 지지 디스크에 의해 구현되며, 지지 디스크는 추가의 지지 디스크와 공동으로, 피스톤 밸브의 내부에서 피스톤 바디, 스프링 요소 및 밸브 디스크의 중간 수용에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중심 설정 및 지지 기능은, 견부 섹션을 이용하여 스프링 요소에 대한 축방향 접촉을 형성하는 하나의 구성 부품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개선예에서, 지지 디스크는 플랜지 섹션 반대쪽의 축방향 측면에 육각 머리를 구비하며, 또한, 내경에 적어도 지지 디스크의 연장부의 일 부분에 걸쳐 내측 나사산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고정 너트의 기능이 함께 일체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 수가 추가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조립의 추가의 간소화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유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 설정 장치와 연결된 각각 하나의 보유 디스크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중심 설정 디스크에 의해 중심 설정 장치가 구성될 경우에, 결과적으로 스프링 요소 및 중심 설정 디스크의 상응하는 위치 설정에 따라, 서로 중심 설정 디스크와 연결되는 유형의 두 개의 보유 디스크가 제공된다. 이에 반해, 지지 디스크에 의해 중심 설정 장치가 구성될 경우에, 단지 하나의 보유 디스크만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스프링 요소가 자신의 내경의 영역 내에서 축방향으로 보유 수단들 사이에서 둘러싸인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가 보유 수단들 사이에 느슨하게 삽입됨으로써, 중심 설정 장치와 보유 수단의 연결이 스프링 요소의 예비 인장력에 의해 부하를 받지 않는다. 스프링 요소의 예비 인장은 피스톤 밸브의 조립 시에 그리고 클램핑 힘의 인가 시에 각각의 고정 너트를 통해 수행된다.
이에 대안적인 본 발명의 구성 가능성에 따라, 보유 수단들 중 하나는 중심 설정 장치와 연결되며 스프링 요소를 통해 예비 인장력이 가해지는 밸브 디스크에 의해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즉, 보유 수단들 중 하나가 예비 인장된 밸브 디스크에 의해 직접 구성됨으로써, 추가의 기능 통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때, 사전 조립된 조립체의 형성 시에 이미 스프링 요소의 예비 인장이 수행되며, 그 결과, 중심 설정 장치와 밸브 디스크의 연결이 마찬가지로 스프링 요소의 예비 인장력에 의해 부하를 받는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보유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중심 설정 장치와 연결된다. 접합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는 두 개의 구성 부품들의 용접이 고려되지만,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른 방식의 용접 방법 또는 납땜, 접착 또는 코킹(caulking)도 가능하다. 또한, 보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 설정 장치와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 요소는 리프 스프링이다. 리프 스프링을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긴밀한 방식으로, 피스톤 밸브의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의 예비 인장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프링 요소가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웨이브 스프링 또는 나사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사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원추형 단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 또는 이에 종속된 청구항들의 명시된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청구 범위로부터,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술되는 설명으로부터, 또는 도면으로부터 직접 나타나는 개별적인 특징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면 부호의 사용에 의해 도면에 대한 청구 범위의 참조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한정해서는 안된다.
후술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이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예비 인장 장치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밸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예비 인장 장치 중 하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구성 가능성에 따른 예비 인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비 인장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1)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피스톤 밸브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로드(3)의 피스톤 로드 저널(2)에 제공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 밸브(1)는 피스톤 바디(4)를 포함하는데, 이 피스톤 바디는 내경(5)에 의해 피스톤 로드 저널(2) 상에 조립되고, 외경(6)에는 씰(7)이 안내된다. 진동 댐퍼의 완성 조립된 상태에서, 피스톤 바디(4)는 씰(7)을 통해 -본 실시예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진동 댐퍼의 원통형 도관과 접촉되며 작동 공간을 저장 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킨다.
피스톤 바디(4)는 복수의 관통구에 의해 축방향으로 관통되는데, 도 1에서는 상기 관통구들 중, 절단면 내에 놓인 단지 하나의 관통구(8)만을 볼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를 통해 진동 댐퍼의 댐핑 매체, 바람직하게는 오일이 피스톤 로드(3)의 진입 및 진출 운동 시에 피스톤 바디(4)를 통해 서로 분리된 공간들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관통구는 그의 개구들 중 하나의 영역 내에서 밸브 디스크(9, 10)에 의해 덮이는데, 이 밸브 디스크들은 각각 하나의 예비 인장 장치(11 또는 12)를 통해 각각, 피스톤 바디(4)에서 각각 하나의 밸브 시트면(13 또는 14)에 대해 예비 인장된다.
이 경우에, 예비 인장 장치(11, 12)는 각각, 각각의 그의 외경(17 또는 18)의 영역 내에서 각각의 밸브 디스크(9 또는 10) 상에 지지되고, 각각의 그의 내경(19 또는 20)의 영역 내에서 각각의 지지 디스크(21 또는 22)에 지지되는 리프 스프링(15 또는 16) 형태의 각각 하나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지지 디스크(21)는 축방향에서 피스톤 로드 저널 견부(23)와 예비 인장 장치(11) 사이에 제공되나, 지지 디스크(22)는 축방향에서 예비 인장 장치(12)와 고정 너트(24) 사이에 놓인다. 고정 너트(24)는, 피스톤 로드 저널(2)의 외측 나사산 상에서 안내되며, 두 개의 지지 디스크(21, 22), 예비 인장 장치(11, 12), 밸브 디스크(9, 10) 및 피스톤 바디(4) 형태로 피스톤 로드 저널 견부(23)에 대해 피스톤 밸브(1)의 부품을 예비 인장시킨다.
특별한 특징으로서, 예비 인장 장치(11, 12)가 각각 사전 조립된 유닛으로 형성되며, 이 경우 예비 인장 장치의 구조는 도 2에서 다른 단면도를 참조하는 예비 인장 장치(12)의 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비 인장 장치(12)는 리프 스프링(16)에 부가적으로, 하나의 중심 설정 디스크(25) 및 두 개의 보유 디스크(26, 27)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크(25 내지 27)는, 피스톤 밸브(1)의 조립 과정 중에, 리프 스프링(16)과 공동으로 피스톤 로드 저널(2) 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각각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중심 설정 디스크(25)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리프 스프링(16)을 향해 놓임으로써, 리프 스프링(16)이 그의 내경(20)에 의해 중심 설정 디스크(25)의 외경(28)에 조립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외경이 리프 스프링(16)을 위한 중심 설정 장치(29)를 형성한다.
예비 인장 장치(12)의 조립된 상태에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심 설정 디스크(25)는 피스톤 로드 저널(2)에 대한 리프 스프링(16)의 중심 설정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피스톤 밸브(1)의 조립 과정 중에, 리프 스프링(16)이 축방향으로 중심 설정 디스크(25)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나아가 조립된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리프 스프링(16)은 그의 내경(20) 영역 내에서 축방향으로 양측에서 보유 디스크(26, 27)에 의해 둘러싸인다. 보유 디스크(26, 27)는 다시 각각, 중심 설정 디스크(25)와 견고히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보유 디스크(26, 27)는 리프 스프링(16)을 중심 설정 디스크(25)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며, 리프 스프링(16)은 두 개의 보유 디스크(26, 27)들 사이에 느슨히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유 디스크(26, 27)는 비람직하게 레이저 용접 형태의 접합 방법에 의해 중심 설정 디스크(25)와 연결된다. 리프 스프링(16)의 내경(20)이 둘러싸임으로써, 보유 디스크(26, 27)와 중심 설정 디스크(25)의 용접 연결부는 리프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부하를 받지 않는다.
사전 조립된 예비 인장 유닛(12)은 피스톤 밸브(1)의 조립 시에 간단하게 전체적으로 피스톤 로드 저널(2) 상에 삽입되며, 그 다음, 리프 스프링(16)이 고정 너트(24)에 의한 나사 결합 과정 중에, 그의 예비 인장력을 밸브 디스크(10) 상으로 가한다. 예비 인장 장치(11)는 예비 인장 장치(12)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다만 거울 대칭으로 조립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비 인장(11) 장치에 대해 예비 인장 장치(12)의 설명이 참조된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구성 가능성에 따라 구현되고 예비 인장 장치(11, 12)에 대안적으로 피스톤 밸브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비 인장 장치(30)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또한, 예비 인장 장치(30)의 경우에, 리프 스프링(31) 형태의 스프링 요소가 내경(32)에서 중심 설정 장치(33)를 통해 내측에서 중심 설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이전의 변형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중심 설정 장치(33)가 독립적인 디스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 디스크(36)에 형성된 플랜지 섹션(35)의 외경(34)에 의해 규정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후에 피스톤 밸브에서 원래 제공되는 지지 디스크(36)가 동시에 리프 스프링(31)의 내부 중심 설정의 기능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기능 통합이 구현된다.
또한, 지지 디스크(36)는 견부 섹션(37)에 리프 스프링(31)용 축방향 지지면을 형성하며, 보유 디스크(38)와의 공동의 고정을 위한 보유 수단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리프 스프링(31)의 내경(32)은 견부 섹션(37)과 보유 디스크(38) 사이에서 느슨히 보유되며, 견부 섹션(37)은 반경 방향에서 리프 스프링(31)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이에 반해, 보유 디스크(38)는 반경 방향으로 단지 내경(32)의 영역 내로만 연장되며, 이에 의해 리프 스프링(31)을 느슨하게 둘러싸는 것이 구현된다. 보유 디스크(38)는, 보유 디스크(38)가 플랜지 섹션(35) 상에 조립되고 이어서 플랜지 섹션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다시 바람직하게 레이저 용접 형태의 접합 방법에 의해 지지 디스크(36)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도 4에는 추가의 예비 인장 장치(39)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상기 추가의 예비 인장 장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며, 도 1 및 도 2의 예비 인장 장치(12)에 대안적으로 피스톤 밸브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비 인장 장치(39)는, 여기서도 지지 디스크(40)가 축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섹션(41)에 외경(42)에 의해, 리프 스프링(44)용 중심 설정 장치(43)를 형성함으로써, 도 3의 예비 인장 장치(30)에 가장 광범위하게 상응한다.
그러나 여기서, 이전의 변형예와의 차이점은, 지지 디스크(40)가 플랜지 섹션(41) 반대쪽 축방향 측면에 육각 머리(45)를 구비하며, 지지 디스크의 축방향 연장부의 일 부분에 걸쳐 내측 나사산(46)을 구비함으로써, 지지 디스크가 추가로, 도 1의 고정 너트(24)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플랜지 섹션(41)에 대해 상대적인 리프 스프링(44)의 축방향 고정이, 지지 디스크(40)의 견부 섹션(47)에 부가적으로, 밸브 디스크(48)를 통해 구현되는데, 상기 밸브 디스크는 리프 스프링(44)을 그의 외경(49)을 지나서까지 둘러싼다. 또한, 리프 스프링(44)이 그의 내경(50)의 영역 내에서 견부 섹션(47)에 지지되기 때문에, 리프 스프링(44)이 반드시 두 개의 부품들 사이에서 느슨하게 보유되는 것이 아니라, 사전 조립된 예비 인장 장치(39)의 구성 과정 중에 예비 인장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밸브 디스크(48)와 지지 디스크(40)의 플랜지 섹션(41)의 연결이 리프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부하를 받기 때문에, 연결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연결부가 상응하게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지지 디스크(40)의 견부 섹션(47)은 반경 방향으로 리프 스프링(44)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것이 아니라, 대략 그의 중간 영역만이 덮인다.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해, 스프링 요소의 신뢰성 있는 내부 중심 설정이 구현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전 조립된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조립 복잡성의 감소가 가능하다.
1: 피스톤 밸브
2: 피스톤 로드 저널
3: 피스톤 로드
4: 피스톤 바디
5: 내경
6: 외경
7: 씰
8: 관통구
9: 밸브 디스크
10: 밸브 디스크
11: 예비 인장 장치
12: 예비 인장 장치
13: 밸브 시트면
14: 밸브 시트면
15: 리프 스프링
16: 리프 스프링
17: 외경
18: 외경
19: 내경
20: 내경
21: 지지 디스크
22: 지지 디스크
23: 피스톤 저널 견부
24: 고정 너트
25: 중심 설정 디스크
26: 보유 디스크
27: 보유 디스크
28: 외경
29: 중심 설정 장치
30: 예비 인장 장치
31: 리프 스프링
32: 내경
33: 중심 설정 장치
34: 외경
35: 플랜지 섹션
36: 지지 디스크
37: 견부 섹션
38: 보유 디스크
39: 예비 인장 장치
40: 지지 디스크
41: 플랜지 섹션
42: 외경
43: 중심 설정 장치
44: 리프 스프링
45: 육각 머리
46: 내측 나사산
47: 견부 섹션
48: 밸브 디스크
49: 외경
50: 내경

Claims (10)

  1.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1)용 예비 인장 장치(11; 12; 30; 39)이며, 상기 스프링 요소는, 예비 인장 장치(11, 12; 30; 39)의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의 내부 중심 설정에 사용되는, 반경 방향 내측에 놓인 중심 설정 장치(29; 33; 43) 상에 내경(19, 20; 32; 50)에 의해 삽입되는, 예비 인장 장치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는 축방향으로 보유 수단들을 통해 중심 설정 장치(29; 33; 43)에 고정되는데, 상기 보유 수단들은 스프링 요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축방향으로 양측에서 둘러싸고 각각 중심 설정 장치(29; 33; 43)와 견고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중심 설정 장치(29)는 스프링 요소를 외경(28)에서 안내하는 중심 설정 디스크(2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11; 12).
  3. 제1항에 있어서, 중심 설정 장치(33; 43)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디스크(36; 40)의 플랜지 섹션(35; 41)의 외경(34; 4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디스크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유 수단들 중 하나의 보유 수단의 견부 섹션(37; 47)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30; 39).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 디스크(40)는 플랜지 섹션(41) 반대쪽의 축방향 측면에 육각 머리(45)를 구비하며, 또한, 내경에 적어도 지지 디스크의 축방향 연장부의 일 부분에 걸쳐 내측 나사산(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39).
  5.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는, 중심 설정 장치(29; 33)와 연결된 각각 하나의 보유 디스크(26, 27; 3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11; 12; 30).
  6.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는 자신의 내경(19, 20; 32)의 영역 내에서만 축방향으로 보유 수단들 사이에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11; 12; 30).
  7.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들 중 하나는 밸브 디스크(48)에 의해 형성되며, 밸브 디스크는 중심 설정 장치(43)와 연결되고 스프링 요소를 통해 예비 인장력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39).
  8. 제1항에 있어서, 보유 수단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중심 설정 장치(29; 33; 4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11; 12; 30; 39).
  9.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요소는 리프 스프링(15; 16; 31; 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 인장 장치(11; 12; 30; 39).
  10. 피스톤 바디(4)를 포함하는 쇼크 업소버용 피스톤 밸브(1)이며, 상기 피스톤 바디는 피스톤 바디(4)를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8)를 구비하며, 상기 관통구는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9)에 의해 덮일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9)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예비 인장 장치(11)에 의해 피스톤 바디(4)에 대해 예비 인장되는, 피스톤 밸브.
KR1020167023433A 2014-01-28 2014-12-17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 KR102309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1480.8 2014-01-28
DE102014201480.8A DE102014201480A1 (de) 2014-01-28 2014-01-28 Vorspannvorrichtung für ein Kolbenventil eines Schwingungsdämpfers
PCT/EP2014/078150 WO2015113703A1 (de) 2014-01-28 2014-12-17 Vorspannvorrichtung für ein kolbenventil eines schwingungsdämpf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136A true KR20160114136A (ko) 2016-10-04
KR102309058B1 KR102309058B1 (ko) 2021-10-08

Family

ID=5229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433A KR102309058B1 (ko) 2014-01-28 2014-12-17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51839B2 (ko)
JP (1) JP6467437B2 (ko)
KR (1) KR102309058B1 (ko)
CN (1) CN105960545A (ko)
DE (1) DE102014201480A1 (ko)
MX (1) MX2016009212A (ko)
WO (1) WO2015113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9211B4 (de) * 2018-06-11 2022-09-01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wingungsdämpfer, sowie Kraftfahrzeugschwingungsdämpf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019A (ja) * 1994-03-30 1995-10-27 Fichtel & Sachs Ag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6336536B1 (en) * 1999-05-27 2002-01-08 Mannesmann Sachs Ag Reversing valve with a passage which is dependent on the direction of flow
JP2012092859A (ja) * 2010-10-25 2012-05-17 Kyb Co Ltd バルブ構造
KR101272756B1 (ko) * 2009-03-11 2013-06-10 주식회사 만도 변위 가변형 쇽업소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69330C (de) * 1952-10-19 1958-05-22 Hemscheidt Maschf Hermann Von aussen verstellbare Ventilanordnung fuer Stossdaempfer
DE1794480U (de) * 1957-06-11 1959-08-27 Christian Bauer K G Tellerfedersaeule.
DE1151971B (de) 1959-10-01 1963-07-25 John Deere Lanz Ag Schlegelmaehhaecksler
DE1200624B (de) * 1960-01-12 1965-09-09 Hoesch Ag Rueckschlagventil, insbesondere fuer hydraulische Stossdaempfer
BE630270A (ko) * 1962-04-04 1900-01-01
GB1051263A (ko) * 1963-01-19 1900-01-01
DE3701557A1 (de) 1987-01-21 1988-08-04 Bilstein August Gmbh Co Kg Stossdaempferkolben,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inrohrdaempfer
DE10051971C1 (de) * 2000-10-20 2002-03-28 Krupp Bilstein Gmbh Arbeitskolben für einen hydraulischen Stoßdämpf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 tellung
DE102007004149A1 (de) 2006-02-25 2007-08-30 Zf Friedrichshafen Ag Kolbenventil
DE102009004863A1 (de) * 2009-01-16 2010-07-2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ntilfeder für ein Plattenventil
DE102009054122A1 (de) * 2009-11-20 2011-05-26 Volkswagen Ag Dämpferventil
JP5466607B2 (ja) * 2010-09-21 2014-04-09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バルブ構造
DE102010062324B4 (de) * 2010-12-02 2015-01-29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anordn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019A (ja) * 1994-03-30 1995-10-27 Fichtel & Sachs Ag ショックアブソーバ
US6336536B1 (en) * 1999-05-27 2002-01-08 Mannesmann Sachs Ag Reversing valve with a passage which is dependent on the direction of flow
KR101272756B1 (ko) * 2009-03-11 2013-06-10 주식회사 만도 변위 가변형 쇽업소버
JP2012092859A (ja) * 2010-10-25 2012-05-17 Kyb Co Ltd バルブ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9212A (es) 2016-09-09
JP6467437B2 (ja) 2019-02-13
CN105960545A (zh) 2016-09-21
US9951839B2 (en) 2018-04-24
US20170002887A1 (en) 2017-01-05
DE102014201480A1 (de) 2015-07-30
JP2017503987A (ja) 2017-02-02
KR102309058B1 (ko) 2021-10-08
WO2015113703A1 (de)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6145B2 (en) Shock absorber
US7584944B2 (en) Hydraulically damped body mount with bolt-through construction
US9132709B2 (en) Suspension device, suspension support, and buffer member
JP2009204158A (ja) 流体圧緩衝器
US20140144737A1 (en) Pressure damping device
MX2013011620A (es) Arreglo de cojinete para resorte de chasis de vehiculo.
CN106163840A (zh) 具有双组分部件的盖罩的弹簧减震支柱轴承
JP2007057088A (ja) シリンダ装置
US7048099B2 (en) Bottom valve apparatus of hydraulic shock absorber
JP4367835B2 (ja) 油圧緩衝器の懸架ばね支持構造
KR20160114136A (ko) 진동 댐퍼의 피스톤 밸브용 예비 인장 장치
JP4963401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US20210364058A1 (en) Hydraulic damper
US20060042895A1 (en) Base cup connection for shock absorber
WO2009037563A2 (en) Self-constrained dynamic damper
JP5761513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構造
KR20160114135A (ko) 진동 댐퍼 및 진동 댐퍼용 피스톤 밸브
US7559272B2 (en) Cylinder apparatus
JP2016142299A (ja) 油圧緩衝器
WO2018092327A1 (ja) 緩衝器
JP7275061B2 (ja) シリンダ装置
JP2023013515A (ja) 溶接部材および緩衝器
JP5202176B2 (ja) 防振装置
CN111051729A (zh) 缓冲器
JP2002061695A (ja) 油圧緩衝器の軸力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