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707A -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707A
KR20160111707A KR1020150036721A KR20150036721A KR20160111707A KR 20160111707 A KR20160111707 A KR 20160111707A KR 1020150036721 A KR1020150036721 A KR 1020150036721A KR 20150036721 A KR20150036721 A KR 20150036721A KR 20160111707 A KR20160111707 A KR 20160111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fluid
senso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189B1 (ko
Inventor
손형민
최병익
최준회
권명근
이지영
한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189B1/ko
Priority to EP16160628.0A priority patent/EP3078915B1/en
Priority to CN201610154033.0A priority patent/CN105982520B/zh
Priority to US15/072,993 priority patent/US10132505B2/en
Publication of KR2016011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51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control of the working time of a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전장실과 상기 전장실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어셈블리와 상기 전장실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조리실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을 가열하여 가스 오븐,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기 오븐, 조리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자 레인지,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물이 담기 용기를 가열하는 가스 레인지,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물이 담기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레인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리기기가 자동으로 조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조리실의 수증기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수증기량에 따라 자동 조리가 가능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전장실;과 상기 전장실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어셈블리;와 상기 전장실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때,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도록 상기 조리실과 연통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이송부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배기 어셈블리로 안내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는 상기 이송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 내부의 유로를 차단하는 스로틀;과 상기 스로틀을 구동하는 밸브 모터;와 스로틀과 결합하여 상기 밸브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캠노브에 의해 상기 유로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밸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산출 주기에 따라 상기 수증기량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증기량 변화율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진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증기량의 최대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에서의 수증기량 변화율의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이드 조리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이 입력된 조리 상태가 되도록 상기 조리 완료 시점 이후 추가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양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실;과 상기 조리실과 구획되어 마련되는 전장실;과 상기 전장실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배기 어셈블리;와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강제 배기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센서 어셈블리;와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측정된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이송 파이프;와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파이프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배기 어셈블리로 유도하는 배기관;과 상기 이송 파이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 파이프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수증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어셈블리는, 상기 전장실의 공기를 기기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 덕트;와 상기 전장실의 공기를 상기 배기 덕트 내부로 강제 유동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유체를 상기 배기팬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이송 파이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로틀;과 상기 스로틀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실의 자동 조리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유체의 유입의 차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증기량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수증기량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조리 완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증기량의 최대 변화율과 기준 시간에서 상기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조리 진행 상태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에서 상기 조리 완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방법은 조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가 조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조리실의 수증기량 변화를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수증기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파악하여 자동 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배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센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센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5의 센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센서 어셉블리의 개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유로가 개방된 때의 센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유로가 폐쇄된 때의 센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센서 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수행 방법에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자동 조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는 조리 완료 시점의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4a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검출 주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b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검출 주기의 다른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c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검출 주기의 또 다른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자동 조리 방법의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수행 방법에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수행 방법에 또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완료 표시 화면을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추가 조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조리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스(10)와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기기(1) 내부에 조리실(20)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11)를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11)는 전면에 개구가 마련된 개략적인 박스 형상을 가지며,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11)는 전면에 마련된 도어(12)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12)는 조리실(20)의 전면에 개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어(12)는 내부 케이스(1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흰지 결합되어, 조리실(20)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2)의 전면에는 손잡이(12a)가 마련되어 도어(12)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1)에 마련된 조리실(20)은 조리물을 수용한다.
조리실(2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레일(21)이 마련된다. 가이드레일(21)은 조리실(20)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1)에는 조리물 또는 조리물을 담는 용기 등이 놓여지는 레크(22, rack)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크(22)는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손쉽게 인출되거나 인입되므로, 사용자는 레그(22)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손쉽게 조리실(20)로 인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조리실(20)의 상부에는 레크(22)에 놓인 음식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열을 생성하는 열원(23)이 설치된다. 열원(23)은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여 열을 생성하는 것으로, 열원(23)의 종류는 조리기기(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조리실(20)에는 조리실(2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330)가 마련될 수 있다. 온도 센서(3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온도 센서(33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에서는 열원(23)가 조리실(2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열원(23)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조리기기(1)의 종류에 따라 열원(23)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가 조리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인 경우, 열원은 생략되고 조리기기(1)에는 열원을 대신하여 마이크로파 생성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후방에는 순환팬(28)이 마련되어, 조리실(20) 내부의 유체를 유동시킨다. 순환팬(28)은 순환팬(28)과 결합된 순환모터(29)에 의하여 회전된다. 순환팬(28)이 회전하면 순환팬(28)에 의하여 유체의 유동이 발생한다.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열원(23)에서 생성된 열이 조리실(20)에 고르게 전달되어, 조리물이 균일하게 조리된다.
순환팬(28)의 전방에는 판상의 부재로 형성된 팬커버(26)가 마련된다. 팬커버(26)에는 순환팬(28)에 의하여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순환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1)의 전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사용자로부터 조리기기(1)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조리기기(1)에 작동 또는 설정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는 전장실(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실(40)은 외부 케이스(10)와 내부 케이스(1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40)에는 조리기기(1)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전장품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4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 기판과 열원, 순환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회로 기판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실(40)은 조리실(2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전장실(4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장실(40)은 조리실(20)의 하측에 마련되거나, 조리실(20)의 후방에 마련될 수도 있다.
조리실(20)과 전장실(40)의 사이에는 단열재(30)가 마련되어, 조리실(20)의 열기 유출을 방지하고, 조리실(20)의 열기로부터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전장실(40)과 조리실(20) 사이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통공(3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200)는 전장실(40)과 조리실(20) 사이에 마련된 통공에 결합되어 조리실(20)과 연통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20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전장실(40)은 배기 어셈블리(100)에 의하여 냉각된다. 전장품은 열에 매우 취약하다. 배기 어셈블리(100)는 전장실(40)에 마련되어 전장실(40)을 냉각하여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배기 어셈블리(100)는 전장실(40) 내부의 유체를 조리기기(1) 외부로 강제 배기하여 열로 인한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배기 어셈블리(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배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기 어셈블리(100)는 전장실(40)의 유체를 흡입하여 조리기기(1)의 전방으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110)와, 전장실(40)의 유체를 강제 유동시키는 배기팬(120)과, 배기팬(120)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기모터(130)와, 배기모터(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기 덕트(110)는 조리기기(1)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단면적이 작아지는 벤츄리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덕트(110) 내부의 유체는 전방으로 갈수록 속력이 빨라지고 압력은 작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덕트(110)는 시계 방향으로 반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스크롤부(113)와, 스크롤부(113)의 전방에 형성되는 배기부(114)를 포함한다.
스크롤부(113)의 상부에는 배기 덕트(110)의 내부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115)가 형성되고, 배기부(114)에는 유체가 토출되는 배기구(11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의 흡입구(115)를 통해 배기 덕트(110)로 흡입된 유체는 스크롤부(113)에 의해 배기부(114)로 안내되고 배기구(116)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 측으로 토출된다.
또한, 배기부(114)는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배기구(116) 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고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기팬(120)은 유체를 상측에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 또는 터보팬일 수 있다. 배기팬(120)은 배기 덕트(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팬(120)은 회전판(121)과, 회전판(121)의 중심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허브(122)와, 회전판(121)의 테두리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123)와, 복수의 날개(123)의 상단 끝부분을 연결하는 쉬라우드(124)로 구성될 수 있다.
허브(122)는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원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측에서 흡입된 유체를 반경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허브(122)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확산된 유체는 복수의 날개(123)에 배기팬(120)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배기모터(130)는 배기팬(120)을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고정자(132)와 회전자(131)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자(132)는 코일(136)이 권선될 수 있는 보빈(135)과, 코일(136)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계를 형성하는 코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133)에 의해 형성된 자계에 의해 회전자(13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자(131)에는 회전축(137)의 일단이 연결되고, 회전축(137)은 회전자(13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37)의 타단은 배기팬(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축(137)에 의하여 회전자(131)와 연결된 배기팬(120)은 회전자(13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배기모터(130)는 지지 브라켓(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140)은 흡입구(115) 주변의 배기 덕트(110)에 지지되는 베이스부(147)와, 베이스부(147)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배기모터(130)가 결합되는 모터 결합부(141)와, 베이스부(147)와 모터 결합부(141)를 연결하는 브릿지부(146)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47)는 대략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흡입구(115) 주변의 배기 덕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47)는 유체가 배기 덕트(1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는 내측 흡입구(148a)를 형성하는 벨마우스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부(148)는 대략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고, 내측 흡입구(148a)를 통해 배기 덕트(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와류 형성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벨마우스부(148)의 외측으로는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평면부(149a)가 마련되고, 평면부(149a)의 외측으로는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곡면부(149b)가 마련될 수 있다. 곡면부(149b)가 흡입구(145) 주변의 배기 덕트(110)에 올려 놓여짐으로써 지지 브라켓(140)이 배기 덕트(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140)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40a)가 형성되고, 배기 덕트(110)에는 걸림돌기(140a)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홀(110a)가 형성되어, 걸림돌기(140a)가 걸림홀(110a)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브라켓(140)이 배기 덕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모터 결합부(141)는 모터(140)의 코어(133)가 올려 놓여 지지되는 코어 지지부(142)와, 코어 지지부(142)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코어 가이드부(144)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 가이드부(144)는 배기모터(130)의 보빈(135)이 결합되는 면을 제외하고 3 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코어 지지부(142)와 코어 가이드부(144)는 함께 코어(133)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45)을 형성할 수 있다.
배기모터(130)의 고정자(133)에는 체결홀(133a)이 형성될 수 있고, 이 체결홀(133a)에 대응되도록 모터 결합부(141)의 코어 지지부(142)에는 체결홀(14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홀(133a)과 체결홀(142a)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를 체결함으로써 모터(132)를 모터 결합부(141)에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모터 결합부(141)에 결합된 모터 코어(133)의 하단(134)의 높이는 배기 덕트(110)의 상단(1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배기 덕트(110)의 상단(111)의 높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 코어(133)의 하단(134)의 높이가 배기 덕트(110)의 상단(1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배기 덕트(110)의 상단(111)의 높이 보다 낮게 위치됨으로써, 전장실(40) 높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장실(40) 배기 어셈블리(110)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장실(40)의 높이를 슬림화할 수 있으며, 전장실(40)의 높이가 낮아진 만큼 조리실(20)의 높이를 크게 하여 조리실(20)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코어(133)의 하단의 높이가 배기 덕트(110)의 상단(1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배기 덕트(110)의 상단(111)의 높이 보다 낮게 위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배기모터(130)와 배기팬(120)이 근접하게 되고, 따라서 배기모터(130) 자체에 대한 냉각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배기 덕트(110)와 지지 브라켓(140)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배기 덕트(110)와 지지 브라켓(14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200)는 조리실(20) 외부에 마련되어 조리실(20)의 가스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200)에 의하여 검출되는 가스의 종류는 그 제한이 없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센서 어셈블리(200)는 수증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센서 어셈블리(200)는 통공(31)에 결합한다. 센서 어셈블리(200)와 조리실(20) 내부는 통공(31)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그러므로, 조리실(20) 내부의 유체는 센서 어셈블리(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센서 어셈블리(200)는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검출한다.
센서 어셈블리(200)가 정교하게 수증기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센서 어셈블리(20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이 일정하여야 한다.
센서 어셈블리(2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면 수증기의 포집도가 증가하여 센서 어셈블리(200)에 의해 측정되는 수증기량이 증가한다. 반대로, 센서 어셈블리(2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이 느려지면 수증기의 포집도가 감소하여 센서 어셈블리(200)에 의해 측정되는 수증기량이 감소한다.
즉, 정확한 수증기량의 측정을 위해서는, 센서 어셈블리(2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을 일정하게 하여 수증기의 포집도를 균일하게 하여야 한다. 배기 어셈블리(100)의 강제 배기에 의해 센서 어셈블리(200)에는 균일한 수증기 포집도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배기 어셈블리(100)는 전장실(40)의 유체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여 전장실(40)에 일정한 유체의 유동을 발생시키므로, 센서 어셈블리(200)는 배기 어셈블리(100)와 인접하여 마련되어 균일한 수증기 포집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기 어셈블리(100)에 의해 일정하게 발생하는 유체의 유동을 이용하여 센서 어셈블리(200)의 수증기 포집도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센서 어셈블리(200)는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순환팬(28)의 구동에 의한 유체의 유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하게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센서 어셈블리(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센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마련된 센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5의 센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유로가 개방된 때의 센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유로가 폐쇄된 때의 센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센서 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센서 어셈블리(200)는 조리실(20)과 연통된 이송부(210), 이송부(210)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검출하는 센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10)는 유체가 이동하는 이송 파이프(211), 통공(31)에 삽입되어 유입구(219)를 형성하는 센서 베이스부(218), 이송 파이프(211)와 센서 베이스부(218)를 결합하는 센서 결합부(217)를 포함한다.
이송 파이프(211)는 개략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송 파이프(2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송 파이프(211)의 상부는 폐쇄되어 있고, 이송 파이프(211)의 하단은 개방된다. 조리실(20)의 유체는 이송 파이프(211)의 하단으로 유입되어 이송 파이프(211)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송 파이프(211)의 구경(D1)은 이송 파이프(211)의 내부의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파이프(211)는 5pi 이상의 구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이송 파이프(211)의 내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 파이프(211)의 일 측면에는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212)가 마련된다. 이송 파이프(211) 하단으로 유입된 유체는 토출구(212)를 통해 전장실(40)로 토출된다.
또한, 토출구(212)의 하측에는 센서부(220)가 안착되는 센서 안착부(213)가 마련된다. 센서 안착부(213)는 토출구(212)가 마련된 측면과 동일한 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센서 안착부(213)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센서 안착부(213)는 센서부(220)의 형상에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센서 안착부(213)의 외측면에는 센서 체결돌기(213a)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 체결돌기(213a)는 센서 가이드(222)의 센서 체결홈(224)과 결합하여 이송 파이프(211)에 센서부(220)를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한편, 토출구(212)의 반대 측면에는 차단 밸브(240)를 고정하기 위한 밸브 결합부(214)가 마련될 수 있다.
센서 결합부(217)는 이송 파이프(211)와 센서 베이스부(218)를 결합한다. 센서 결합부(217)는 개략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결합부(217)의 외측면은 조리실(20)과 전장실(40) 사이에 마련된 통공(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센서 결합부(217)는 센서 걸림돌기(217a)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걸림돌기(217a)는 센서 결합부(217)의 상부에 마련된다. 센서 걸림돌기(217a)는 센서 결합부(217)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되어, 센서 결합부(217)가 조리실(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센서 결합부(217)의 상측에는 이송 파이프(211)의 하단이 결합되고, 센서 결합부(217)의 하측에는 센서 베이스부(218)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센서 결합부(217)의 내측면의 상측은 이송 파이프(21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하측은 센서 베이스부(218)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부(218)는 센서 결합부(217)의 하측 내면에 결합하는 삽입부(218a)와 삽입부(218a)의 외주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18b)를 포함한다.
돌출부(218b)는 통공(31)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조리실(20)의 상측면에 센서 베이스부(218)를 고정한다.
즉, 센서 어셈블리(200)는 센서 결합부(217)의 센서 걸림돌기(217a)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센서 베이스부(218)의 돌출부(218b)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3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센서 베이스부(218)의 내측에는 유입구(219)가 형성된다. 유입구(219)를 통해 조리실(20)의 유체가 센서 어셈블리(200)로 유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 어셈블리(100)에 의하여 전장실(40)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전장실(40)의 압력이 조리실(20)의 압력보다 낮아진다.
이와 같은 전장실(40)과 조리실(20)의 압력 차이로 인하여, 조리실(20) 내부의 유체는 유입구(219)를 통해 이송 파이프(211)로 유입되고, 이송 파이프(211)를 따라 유동하여 이송 파이프(211) 상측에 마련된 토출구(212)를 통해 토출된다.
이송 파이프(211) 내부의 유체의 유동을 일정하게 하고 수증기 센서(221)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구(212)의 직경(D3)은 유입구(219)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219)의 직경(D1)과 토출구(212)의 직경(D2)은 이송 파이프(211)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이 최저 유속 이상의 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최저 유속은 수증기 센서(221) 표면에 맺히는 수분보다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증발되는 수분의 양이 많아지는 유속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입구(219)의 직경(D1)과 토출구(212)의 직경(D2)은 이송 파이프(211) 내부의 유속이 0.194m/s 이상이 되도록 결정되어 이송 파이프(211) 내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이송 파이프(211)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20)는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수증기 센서(221)와 수증기 센서(221)를 고정하는 센서 가이드(222)를 포함한다.
수증기 센서(221)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서 사용되는 수증기 센서(221)는 그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수증기 센서(221)는 수증기의 검출 방식에 따라 저항 변화형 센서(Resistive Humidity Sensor)와 용량 변화형 센서(Capacotive Humidity Sensor)로 분류할 수 있다.
저항 변화형 센서는 두 금속 사이에 코팅된 전도성 고분자 또는 세라믹과 같은 흡습성 재료의 임피던스 변화를 이용하여 수증기 양을 검출하는 센서이고, 용량 변화형 센서는 두 전극 사이에 위치한 감습 재료(고분자 박막이나 금속 산화물)의 유전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수증기 양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수증기 센서(221)는 센서 안착부(213)에 안착된다. 수증기 센서(221)의 전단은 이송 파이프(2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유입구(219)에서 토출구(212)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한다.
수증기 센서(221)에 의하여 수증기량을 측정되는 유체는 조리실(20)에서 유입된 것으로, 수증기 센서(221)는 이송 파이프(211)를 유동하는 유체를 이용하여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증기 센서(221)는 수증기 포집도가 균일하도록 토출구(212)와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안착부(213)는 토출구(212)와 인접하여 마련된다.
이와 같이, 수증기 센서(221)가 토출구(212)와 인접하여 마련되면, 유체가 빠른 유속으로 수증기 센서(221) 주위를 유동하게 되어, 수증기 센서(221)의 수증기 포집도가 균일해지고, 수증기 센서(221) 표면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가 원활하게 수증기 센서(221) 근처를 유동할 수 있도록, 수증기 센서(221)의 전면은 대략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 이때, 수증기 센서(221) 전면의 곡률은 결로의 발생 및 리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수증기 센서(221)의 후면에는 센서 단자(223)가 마련된다. 센서 단자(223)는 검출된 수증기량을 전기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수증기 센서(221)에서 검출된 수증기량은 센서 단자(223)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된다.
센서 가이드(222)는 수증기 센서(221)를 이송부(210)에 고정한다. 센서 가이드(222)는 수증기 센서(221)의 후면과 결합한다. 센서 가이드(222)의 양측에는 센서 체결돌기(213a)와 결합되기 위한 센서 체결홈(224)이 형성되어, 이송부(210)에 수증기 센서(22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어셈블리(200)는 배기관(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관(250)은 배기 어셈블리(100)의 냉각팬(51)에 인접한 위치로 토출구(212)를 연장한다.
배기관(250)의 일단은 이송부(210)의 토출구(212)에 결합되어, 토출구(212)에서 토출되는 유체를 타단으로 안내한다. 배기관(250)의 타단은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120)과 인접하게 마련되어, 배기관(250)의 일단으로 유입된 유체를 배기팬(120) 방향으로 토출한다. 즉, 배기관(250)에 의해 토출구(212)가 배기팬(120)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된다.
이때, 배기관(250)의 타단은 토출구(212)보다 배기팬(120)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바, 배기관(250)의 타단의 압력이 토출구(212)의 압력보다 낮아진다.
그러므로, 토출구(212)로 작용하는 배기관(250)의 타단과 유입구(219) 사이의 압력 차이가 더 커지므로, 결과적으로 배기관(250)에 의해 센서 어셈블리(2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진다.
이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2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면, 수증기의 포집도가 더 균일해지고, 결로가 발생이 예방되므로 수증기 센서(221)는 더 정확하게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배기관(250) 타단의 위치가 배기팬(120)에 가까워질수록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는 바, 배기관(250) 타단의 위치 조절을 통해 이송 파이프(211)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어셈블리(200)는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240)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전장실(40)의 유체가 조리실(20)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실(20)의 유체가 불필요하게 센서 어셈블리(200)로 계속하여 유입되면 조리기기(1)의 열 손실이 발생하며, 빈번한 유체 노출로 인해 수증기 센서(221)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단부(240)는 수증기량의 측정이 불필요한 때, 유체가 이송 파이프(211)로 유입되지 않도록 이송 파이프(211) 내부의 유로를 차단하여, 조리기기(1)의 열효율을 증가시키고, 수증기 센서(221)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부(240)는 유로를 차단하는 스로틀(241, Throttle), 스로틀(241)을 회전시키기 위한 캠축(242), 캠축(242)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 모터(245), 유로의 차단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밸브 센서(2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로틀(241)은 유입구(219)와 센서 안착부(213)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스로틀(241)은 이송 파이프(211)의 유로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밸브 모터(245)는 스로틀(241)을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밸브 모터(245)는 회전 각도의 제어가 가능한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채용할 수 있으나, 밸브 모터(245)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캠축(242)의 일단에는 스로틀(241)이 결합되고, 캠축(242)의 타단에는 밸브 모터(245)가 결합된다. 밸브 모터(245)가 구동하면 캠축(242)이 회전하고, 캠축(242)이 회전함에 따라 캠축(242)과 결합된 스로틀(241)도 회전한다.
밸브 모터(245)가 구동되어 스로틀(241)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면 유로가 개방된다. 즉, 스로틀(241)이 이송 파이프(211)의 장축과 평행하게 위치하면, 이송 파이프(211) 내부의 유로가 개방된다. 유로가 개방되면 조리실(20) 내부의 유체는 유입구(219)를 통해 유입되어, 토출구(212)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밸브 모터(245)가 구동되어 스로틀(241)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면 유로가 폐쇄된다. 즉, 스로틀(241)이 이송 파이프(211)의 장축과 수직하게 위치하면, 스로틀(241)에 의해 이송 파이프(211) 내부의 유로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스로틀(241)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면, 조리실(20)의 유체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조리실(20) 내부의 열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수증기 센서(221)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유로의 차단 여부는 밸브 센서(243)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밸브 센서(243)는 캠노브(242a)에 의하여 입력되는 스위치(243a)를 포함한다. 스위치(243a)는 캠축(242)을 향해 돌출되어 마련되어 유로의 차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a와 같이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 모터(245)가 구동되면, 캠축(242)은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캠축(242)에 연결된 스로틀(241)도 A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8b와 같이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캠축(242)이 회전하면, 캠축(242)에 마련된 캠노브(242a)도 A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 센서(243)의 스위치가 캠노브(242a)에 의하여 가압된다. 그러므로, 조리기기(1)는 캠노브(242a)에 의해 스위치(243a)가 가압되면 유로가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밸브 가이드(244)는 밸브 센서(243)와 밸브 모터(245)를 고정한다. 밸브 가이드(244)는 이송부(210)의 밸브 결합부(214)와 결합하여 이송부(210)에 차단부(240)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통신부(310),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온도 센서(330), 수증기 센서(221), 밸브 센서(243), 저장부(350), 구동 회로, 및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10)는 요리의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와 통신부(310)의 통신 방법은 그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조리기기(1)와 인접한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 방법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또는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중 하나의 통신 방법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조리기기(1)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321)와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1)는 푸시 버튼(push button), 또는 멤브레인 버튼(membrane button),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등과 같은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32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패널,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Curved Display Panel) 등과 같은 표시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부(322)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22)가 터치 스트린 패널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322)를 터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온도 센서(330)는 조리실(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330)는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측온 저항체 온도계, 온도 변화에 따른 반도체 저항 변화를 이용하는 서미스터 온도계, 재질이 다른 두 가지 종류의 금속선의 접합점 양단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면 열전대 온도계,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트렌지스터의 양단전압 또는 P-N 접합부의 전류전압 특성을 이용하는 IC 온도계 중 적어도 하나의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저장부(350)는 조리기기(1)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50)는 조리기기(1)의 구동에 필요한 운용체제,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조리기기(1)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50)는 조리물의 조리 정보에 대해 저장할 수 있다. 조리 정보는 조리물의 적절히 조리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리 정보는 조리실(20)의 예열 온도, 조리실(20)의 조리 온도, 조리 가이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가이드 시간은 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는 최소 조리 시간과 조리물의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최대 조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리 가이드 시간에 의해 조리물의 최소 조리 시간과 최대 조리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에 따라 적절한 조리 방법이 상이하므로, 조리 정보는 조리물 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5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350)는 장치와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50)는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회로(360)는 제어부(37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회로(36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열원(23)을 구동하여 조리실(20)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36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조리실(20) 내부에 배치된 순환모터(29)를 구동하여 순환팬(28)을 작동시킴으로써 조리실(20) 내부의 유체의 대류를 형성하여 조리실(20)이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36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장실(40)에 마련된 배기모터(130)를 구동하여 전장실(4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전장실(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36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센서 어셈블리(200)에 마련된 밸브 모터(245)를 구동하여 센서 어셈블리(200)로의 유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조리기기(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7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제어부(370)와 저장부(350)가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저장부(350)와 제어부(370)는 단일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물이 조리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온도 센서(330)에서 검출된 조리실(20)의 온도에 기초하여 조리실(20)이 설정된 조리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원(2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순환모터(29)를 제어하여 열원(23)에 의해 생성되는 열기를 조리실(20) 내부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순환모터(29)의 구동 타이밍은 열원(23)의 구동 타이밍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어부(370)는 조리 진행 시에 배기모터(130)를 구동하여 전장실(40)의 냉각하여, 전장실(40)에 마련된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즉, 배기모터(130)는 조리 진행 시 및 조리 완료 후 일정한 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구동하여 전장실(40)을 냉각한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제어부(370)의 조리 수행 방법에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수행 방법에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을 예열한다(501). 열원은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조리실(20)의 열을 생성한다. 그리고, 순환모터(29)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순환팬(28)에 의해 조리실(20)의 유체를 순환시킨다.
또한, 배기모터(13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전장실(4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503).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온도 센서(3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목표 온도는 미리 설정된 조리 시작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 또는 제조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 시작 온도가 다르므로, 목표 온도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조리 종류에 따른 목표 온도는 상술한 저장부(350)에 조리 정보 형태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503의 아니요), 조리기기(1) 조리실(20)을 계속 예열한다(501).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한 경우(503의 예), 조리기기(1)는 예열 종료를 알림을 수행한다(505). 예열 종료 알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는 음향을 발생시켜 예열 종료 알림은 제공하거나, 통신부(31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예열 종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물이 투입되었는지 판단한다(507). 예를 들어, 조리기기(1)는 도어(12)가 개방된 이후, 다시 도어(12)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자가 조리실(20)에 조리물을 투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조리물의 투입 여부 판단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리물의 투입 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조리물의 투입되지 않은 경우(507의 아니오), 조리기기(1)는 예열 종료 알림을 계속하여 수행한다(505).
조리물의 투입되면(507의 예), 조리기기(1)는 조리물의 조리를 수행한다(509).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이 조리 온도를 유지하도록 열원과 순환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리 온도는 목표 설정 온도와 동일할 수 있으나, 목표 설정 온도와 조리 온도는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 온도는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조리 시작 온도와 같이 저장부(350)에 조리 정보 형태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는 조리가 수행될 때 순환모터(29)를 구동하여 전장실(40)을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조리실(20)의 예열을 위한 501 단계에서 507 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조리물의 조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입력된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으나, 조리물의 조리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자동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조리실(20) 내부의 수증기량은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므로, 자동 조리는 센서 어셈블리(200)에서 검출되는 수증기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 초기에는 조리물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이 활발하므로 조리실(20) 내부의 수증기량이 점차 증가한다. 반면, 조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리물의 포함된 수분은 점차 감소한다. 그러므로, 조리 시간에 경과함에 따라 조리물에 포함된 증발이 점차 감소하므로 조리실(20) 내부의 수증기량은 감소한다.
이와 같은 수증기량의 변화는 상술한 센서 어셈블리(200)의 의하여 정교하게 모니터링된다. 구체적으로, 전장실(40)은 배기 어셈블리(100)에 의하여 일정한 강제 배기 조건이 형성된다. 배기 어셈블리(100)에 의하여 형성된 강제 배기 조건에 의하여 조리실(20)의 유체는 센서 어셈블리(200) 내부로 일정한 유속으로 유동된다.
센서 어셈블리(200) 내부로 일정한 유속으로 조리실(20)의 유체가 유동되므로, 센서 어셈블리(200) 내부에 마련된 수증기 센서(221)는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이와 같이 배기 어셈블리(100)의 강제 배기 조건에 의해 측정되는 조리실(20)의 수증기량에 기초하여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하여 자동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조리 완료 시점은 조리 진행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이 변화하므로, 제어부(370)는 센서 어셈블리(200)에 의해 검출되는 수증기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리의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조리 진행 상태에 따라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조리 완료 시점의 결정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자동 조리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3는 조리 완료 시점의 결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4a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검출 주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b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검출 주기의 다른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c는 동적으로 설정되는 검출 주기의 또 다른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미리 설정된 검출 주기에 따라 조리실(20)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산출한다(611). 조리기기(1)는 센서 어셈블리(200)에 마련된 수증기 센서(221)를 이용하여 수증기량을 검출할 수 있다.
수증기 센서(221)는 배기 어셈블리(100)로 유동하는 조리실(20) 유체의 수증기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수증기량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증기 센서(22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수증기 센서(221)를 통해 검출되는 수증기량에 기초하여 수증기량 변화율을 산출한다. 수증기량 변화율 산출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검출 주기(T)에 따라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증기량 변화율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n번째 검출 주기에서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의미하고, T는 수증기량의 변화율이 산출되는 검출 주기를 의미하는 것이고,
Figure pat00003
는 n번째 검출 주기에서의 수증기량의 변화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370)는 일정한 검출 주기(T)마다 수증기량의 변화율(
Figure pat00004
)을 산출하여, 조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증기량 변화율(
Figure pat00005
)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수증기량의 변화율(
Figure pat00006
)이 산출되는 검출 주기(T)는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증기량의 변화율(
Figure pat00007
)이 산출되는 검출 주기(T)는 조리기기(1)의 동작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주기는 조리기기(1)의 열원(23)의 동작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열원(23)은 조리실(20)의 온도가 조리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23)은 열을 생성하는 온(ON)상태 또는 열을 생성하지 않은 오프(OFF) 상태로 동작한다. 제어부(370)는 이와 같은 열원의 상태에 기초하여 검출 주기(T1 내지 Tn)를 설정할 수 있다.
검출 주기(T1 내지 Tn)는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원이 가동되는 온 상태의 시작 시점을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원이 처음으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다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의해 제1 검출 주기(T1)가 결정되고, 열원이 2 번째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다시 3 번째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의해 제2 검출 주기(T2)가 결정되는 방식으로 검출 주기(T1 내지 Tn)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원의 온 상태에 기초하여 검출 주기(T1 내지 Tn)를 결정하면, 복수 개의 검출 주기(T1 내지 Tn)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검출 주기(T1 내지 Tn)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의 구동이 정지되는 턴 오프 상태의 시작 시점에 기초하여 결정되거나,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의 구동하는 온 상태의 유지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출 주기(T1 내지 Tn)가 동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검출 주기(T1 내지 Tn)가 동적으로 변화하므로 제어부(370)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라 각 검출 주기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8
여기서, Tn 은 n 번째 검출 주기의 길이를 의미한다.
다시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기준 시간 도달 여부를 판단한다(613). 기준 시간(K)은 조리의 진행 상태를 예측이 가능한 만큼 수증기량 변화율이 획득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기준 시간(K)은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기준 시간(K)에 도달하기 전이면(613의 아니오), 조리기기(1)는 검출 주기에 따라 조리실(20)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계속하여 산출한다(611).
기준 시간(K)에 도달하면(613의 예), 조리기기(1)는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조리 진행 상태 판단한다(615). 제어부(370)는 기준 시간(K) 이전에 획득된 복수 개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이용하여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진행 상태는 복수 개의 수증기량의 변화율 중 최대 수증기량 변화율과 기준 시간(K)과 가장 근접한 시간의 마지막 수증기량 변화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아래의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조리물의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9
수학식 3의 R은 조리 진행 상태를 의미한다. 수학식 3과 같이 제어부(370)는 기준 시간 직전에 측정된 마지막 수증기량의 변화율(
Figure pat00010
)과 복수 개의 수증기 변화율(
Figure pat00011
) 중에서 최대 수증기 변화율의 비율에 따라 조리 진행 상태(R)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마지막 수증기량의 변화율(
Figure pat00012
)이 최대 수증기 변화율의 크기와 유사할수록 조리물의 수분 증발이 활발한 것으로 판단하여 조리가 진행이 더 필요한 것으로 조리 진행 상태(R)가 판단된다.
반대로, 마지막 수증기량의 변화율(
Figure pat00013
)의 크기가 최대 수증기 변화율의 크기와 차이가 클수록 조리가 완료 상태에 가까운 것으로 조리 진행 상태(R)가 판단된다.
조리기기(1)는 조리 진행 상태(R)에 따라 조리 완료 시점 결정한다(617). 제어부(370)는 조리 진행 상태(R)에 기초하여 조리 완료에 필요한 최적 조리 시간(OT)을 산출하여 조리 완료 시점(F)을 결정한다.
이때, 최적 조리 시간(OT)은 조리 진행 상태(R)와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적 완료 시간(F)은 미리 설정된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조리 진행 상태(R)에만 기초하여 최적 조리 시간(OT)을 결정하는 경우, 최적 조리 시간(OT)이 지나치게 짧게 설정되어 적절한 요리 상태 이전에 조리가 완료되거나, 최적 조리 시간(OT)이 지나치게 길게 설정되어 요리가 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370)는 미리 설정된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에서 조리 완료 시점(F)이 결정되도록 최적 조리 시간(OT)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아래의 수학식 4에 따라 최적 완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4
이때, F는 조리 완료 시점을 의미하는 것이고, OT는 최적 조리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고, Gmin은 가이드 조리 시간 중 최소 조리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고, Gmax는 가이드 조리 시간 중 최대 조리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최적 조리 시간(OT)은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Gmax-Gmin, GR)에 조리 진행 상태(R)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최적 조리 시간(OT)은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Gmax-Gmin, GR) 이내로 설정된다.
한편, 도 13에서는 기준 시간(K)이 최소 조리 시간 이전에 설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기준 시간(K)은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Gmax-Gmin, GR) 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간(K)은 조리 가이드 시간의 최소 조리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자동 조리 방법의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미리 설정된 검출 추기에 따라 조리실(20)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산출한다(621). 조리기기(1)는 센서 어셈블리(200)에 마련된 수증기 센서(221)를 이용하여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이와 같이 센서 수증기 센서(221)를 통해 검출되는 수증기량에 기초하여 수증기량 변화율을 산출한다. 이때, 수증기량 변화율은 상술한 수학식 1 또는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기준 시간 도달 여부를 판단한다(623). 이때, 기준 시간은 조리 가이드 시간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 내에 설정될 수도 있다.
기준 시간에 도달하기 전이면(623의 아니오), 조리기기(1)는 미리 설정된 검출 주기에 따라 조리실(20)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계속하여 산출한다(621).
기준 시간에 도달하면(613의 예), 조리기기(1)는 센서 어셈블리(200)로 유체 유입을 차단한다(623). 제어부(370)는 센서 어셈블리(200) 내부로 조리실(20)의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센서 어셈블리(200)의 차단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밸브 모터(245)를 구동하여 스로틀(241)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파이프(211)의 장축과 수직되게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스로틀(241)이 이송 파이프(211)의 장축과 수직하게 이동되면 이송 파이프(211) 내부에 형성된 유로는 스로틀(241)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조리실(20)의 유체가 센서 어셈블리(200)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는다.
이때, 스로틀(241)의 위치는 센서 어셈블리(200)의 밸브 센서(243)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는 조리 상태 판단을 위해 필요한 수증기량 변화의 모니터링이 종료되는 경우, 센서 어셈블리(200)로 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센서 어셈블리(200)의 유체 유입을 차단하므로, 조리실(20) 내부 열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증기 센서(221)를 보호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조리 진행 상태 판단한다(624). 제어부(370)는 기준 시간 이전에 획득된 복수 개의 수증기량 변화율을 이용하여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수학식 3에 기초하여 조리물의 진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 진행 상태에 따라 조리 완료 시점 결정한다(625). 제어부(370)는 조리 진행 상태에 기초하여 조리 완료에 필요한 최적 조리 시간을 산출하여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한다. 이때, 조리 완료 시점은 상술한 수학식 4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수행 방법에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을 예열한다(701). 열원은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조리실(20)의 열을 생성한다. 그리고, 순환모터(29)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순환팬(28)에 의해 조리실(20)의 유체를 순환시킨다.
또한, 배기모터(13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전장실(4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703).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온도 센서(3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703의 아니요), 조리기기(1) 조리실(20)을 계속 예열한다(701).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한 경우(703의 예), 조리기기(1) 예열 종료를 알림을 수행한다(705). 예열 종료 알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제공되거나, 외부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물이 투입되었는지 판단한다(707). 조리물의 투입되지 않은 경우(507), 조리기기(1)는 예열 종료 알람을 계속하여 수행한다(705).
한편, 조리물의 투입되면(707), 조리기기(1)는 자동 조리 선택 여부를 판단한다(709). 즉, 사용자가 자동 조리를 선택하였는지 판단한다.
자동 조리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709의 아니오), 조리기기(1)는 센서 어셈블리(200)로 유체 유입을 차단하고(711), 사용자가 설정한 조리 시간에 따라 조리를 수행한다(713).
이때, 조리기기(1)는 밸브 센서(243)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유체 차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는 밸브 센서(243)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스로틀(241)의 위치를 판단하고, 밸브 모터(245)를 구동하여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로틀(241)을 이송 파이프(211)의 장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 조리가 선택된 경우(709의 아니오), 조리기기(1)는 센서 어셈블리(200)로 유체를 유입시키고(715), 자동 조리를 수행한다(717).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는 밸브 센서(243)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기초하여 스로틀(241)의 위치를 판단하고, 밸브 모터(245)를 구동하여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로틀(241)을 이송 파이프(211)의 장축과 평행하도록 이동시켜 센서 어셈블리(200)의 유로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어셈블리(200)의 수증기 센서(221)는 이송 파이프(211)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고, 제어부(370)는 수증기 센서(221)에 의해 검출된 수증기량에 기초하여 자동 조리를 수행한다.
자동 조리의 수행시,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시간이 경과하면 센서 어셈블리(200)의 유체 유입은 다시 차단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수행 방법에 또 다른례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 완료 표시 화면을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추가 조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을 예열한다(801). 열원(23)은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조리실(20)의 열을 생성한다. 그리고, 순환모터(29)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순환팬(28)에 의해 조리실(20)의 유체를 순환시킨다.
또한, 배기모터(13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전장실(4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전장품을 보호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803). 구체적으로, 제어부(370)는 온도 센서(3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803의 아니요),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을 계속 예열한다(801).
조리실(20)의 온도가 목포 온도에 도달한 경우(803의 예), 조리기기(1)는 예열 종료를 알림을 수행한다(805). 예열 종료 알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제공되거나, 외부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물이 투입되었는지 판단한다(807). 조리물의 투입되지 않은 경우(807의 아니오), 조리기기(1)는 예열 종료 알림을 계속하여 수행한다(805).
한편, 조리물의 투입되면(807의 예), 조리기기(1)는 자동 조리를 수행한다(809).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는 센서 어셈블리(200)에 의해 측정되는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조리 진행 상태에 기초하여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의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811).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산출된 조리 완료 시점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하고, 조리 완료 시점이 경과하면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되면(811의 예), 조리기기(1)는 조리 종료를 알림을 수행한다(813). 조리 종료 알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제공되거나, 통신부(31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조리 완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리 완료가 완료 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기기(1)는 추가 조리 입력을 모니터링한다(815). 사용자는 그 기호에 따라 추가적인 조리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 또는 통신부(310)와 연결된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선호하는 조리 상태로 추가 조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물이 피자인 경우, 피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시간에 따라 촉촉한 조리 상태, 크리스피한 조리 상태, 드라이한 조리 상태로 조리된다.
피자가 촉촉한 조리 상태에서 자동 조리가 종료된 경우, 사용자는 도 18에 도시된 드라이 조리 아이콘(322a) 또는 크리스피 조리 아이콘(322b)을 선택하여 추가 조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추가 조리 명령이 입력되면(815의 예), 조리기기(1)는 추가 조리를 수행한다.
추가 조리 시간은 사용자가 선택한 추가 조리 명령의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1)는 사용자가 크리스피한 상태를 선택한 경우, a 시간만큼 추가 조리를 수행하고, 사용자가 드라이한 상태를 선택한 경우 b 시간만큼 추가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조리 시간은 자동 조리 과정에서 측정된 수증기량의 변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추가 조리 시간은 상술한 조리 완료 시점을 산출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기기(1)는 기준 시간 이전까지 또는 조리 완료 시점까지의 수증기 변화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상태까지의 추가 조리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최대 수증기 변화량과 마지막 검출 주기에서의 수증기 변화량에 기초하여 추가 조리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조리 시간은 미리 설정된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 내로 설정되어, 추가 조리로 인해 조리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추가 조리 시간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표시부(322c)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 및 도 21를 참조하면, 전장실(40)에는 배기 어셈블리(400)와 센서 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배기 어셈블리(400)는 전장실(40)의 유체를 흡입하여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기시키는 배기 덕트(410)와, 전장실(40)의 유체를 강제 유동시키는 배기팬(420)과, 배기팬(420)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기모터(430)를 포함한다.
배기 덕트(410)는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단면적이 작아지는 벤츄리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덕트(410) 내부의 유체는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갈수록 속력이 빨라지고 압력은 작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 덕트(410)는 상하로 결합되어 유체가 흐르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덕트(412)와 하부 덕트(411)로 구성된다. 상부 덕트(412)와 하부 덕트(411)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덕트(412)와 하부 덕트(411)는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그 폭이 넓어지도록 마련되어, 내부 공간에 벤츄리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부 덕트(411)와 하부 덕트(412)의 전방에는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배기구(413)가 형성되고, 상부 덕트(411)와 하부 덕트(412)의 후방에는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구(414)가 형성된다.
흡입구(414)의 후방에는 배기팬(420)이 마련된다. 배기팬(420)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배기 덕트(410) 후방의 위치한 유체를 전방으로 유동시킨다. 즉, 배기팬(420)에 의하여 전장실(40) 내부의 유체가 흡입구(414)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배기팬(420)에 의하여 배기 덕트(410)로 흡입된 유체는 배기 덕트(410) 전방의 배기구(41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배기모터(430)는 배기팬(420)을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배기모터(430)의 의하여 배기팬(420)이 회전한다.
이와 같이 배기팬(420)의 회전에 따라 전장실(40)의 내부 유체가 강제 배기되므로, 전장실(40)이 냉각된다.
또한, 배기팬(420)의 회전에 의해 배기팬(420) 인근의 기압은 주변보다 낮아진다. 이와 같은 압력 차이로 인하여 조리실(20)의 유체가 센서 어셈블리(100)를 따라 유동한다. 그리고, 센서 어셈블리(100)의 수증기 센서는 이송부를 따라 일정하게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배기팬(420)의 강제 배기에 의하여 일정하게 유동하는 유체를 이용하여 조리실(20) 내부의 수증기량을 측정함으로써, 조리실(20)의 수증기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1: 조리기기 10: 외부 케이스
11: 내부 케이스 12: 도어
20: 조리실 23: 열원
26: 팬커버 27: 순환구
28: 순환팬 29: 순환모터
30: 단열재 31: 통공
40: 전장실 100: 배기 어셈블리
110: 배기 덕트 120: 배기팬
130: 배기모터 140: 지지 브라켓
200: 센서 어셈블리 210: 이송부
211: 이송 파이프 212: 토출구
213: 센서 안착부 213a: 센서 체결돌기
214: 밸브 결합부 217: 센서 결합부
218: 센서 베이스부 219: 유입구
220: 센서부 221: 수증기 센서
222: 센서 가이드 223: 센서 단자
224: 센서 체결홈 240: 차단 밸브
241: 스로틀 242: 캠축
242a: 캠노브 243: 밸브 센서
244: 밸브 가이드 245: 밸브 모터
250: 배기관 310: 통신부
320: 사용자 인터페이스 321: 입력부
322: 표시부 330: 온도 센서
350: 저장부 360: 구동회로
370: 제어부 400: 배기 어셈블리
410: 배기 덕트 411: 상부 덕트
412: 하부 덕트 413: 배기구
420: 배기팬 430: 배기모터

Claims (20)

  1.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구획된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실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센서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도록 상기 조리실과 연통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검출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이송부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배기 어셈블리로 안내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이송부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 내부의 유로를 차단하는 스로틀; 및
    상기 스로틀을 구동하는 밸브 모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스로틀과 결합하여 상기 밸브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축; 및
    상기 캠축의 캠노브에 의해 상기 유로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밸브 센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산출 주기에 따라 상기 수증기량 변화율을 산출하는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증기량 변화율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진행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증기량의 최대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에서의 수증기량 변화율의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는 조리기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이드 조리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조리기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물이 입력된 조리 상태가 되도록 상기 조리 완료 시점 이후 추가 조리를 수행하는 조리기기.
  13.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과 구획되어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강제 배기하는 배기 어셈블리; 및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강제 배기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센서 어셈블리; 및
    상기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측정된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기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과 연통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이송 파이프;
    상기 이송 파이프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 파이프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배기 어셈블리로 유도하는 배기관; 및
    상기 이송 파이프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송 파이프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수증기 센서;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입구 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는 조리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어셈블리는,
    상기 전장실의 공기를 기기 외부로 유도하는 배기 덕트; 및
    상기 전장실의 공기를 상기 배기 덕트 내부로 강제 유동시키는 배기팬;
    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된 유체를 상기 배기팬 방향으로 유도하는 조리기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는,
    상기 이송 파이프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스로틀; 및
    상기 스로틀을 구동하기 위한 밸브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실의 자동 조리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유체의 유입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조리기기.
  18. 조리실, 상기 조리실 상측에 마련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실에 마련되어 상기 배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전장실로 유동하는 유체의 수증기량을 측정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량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증기량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완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완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증기량의 최대 변화율과 기준 시간에서 상기 수증기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물의 조리 진행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 진행 상태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조리 가이드 시간 범위에서 상기 조리 완료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조리물을 추가 조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50036721A 2015-03-17 2015-03-17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24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21A KR102324189B1 (ko) 2015-03-17 2015-03-17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16160628.0A EP3078915B1 (en) 2015-03-17 2016-03-16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610154033.0A CN105982520B (zh) 2015-03-17 2016-03-17 烹饪用具
US15/072,993 US10132505B2 (en) 2015-03-17 2016-03-17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721A KR102324189B1 (ko) 2015-03-17 2015-03-17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07A true KR20160111707A (ko) 2016-09-27
KR102324189B1 KR102324189B1 (ko) 2021-11-09

Family

ID=5554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721A KR102324189B1 (ko) 2015-03-17 2015-03-17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32505B2 (ko)
EP (1) EP3078915B1 (ko)
KR (1) KR102324189B1 (ko)
CN (1) CN10598252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642A1 (ko) * 2022-01-05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WO2023167457A1 (ko) * 2022-03-04 2023-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리 상태를 제공하는 조리 장치 및 방법
WO2024101665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6000B2 (en) * 2012-05-03 2018-11-13 Broan-Nutone Llc Downdraft ventil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739013B2 (en) 2015-05-05 2020-08-11 June Life, Inc. Tailored food preparation with an oven
EP3292738B1 (en) 2015-05-05 2020-12-30 June Life, Inc. A connected oven
KR101727046B1 (ko) * 2015-07-07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와 주방기기의 연계 시스템
CN109452874B (zh) * 2017-09-06 2024-02-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的上盖组件及烹饪器具
CN109452854B (zh) * 2017-09-06 2021-03-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9725623B (zh) * 2017-10-30 2021-05-04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的集成灶及集成灶的故障诊断方法
US11116050B1 (en) 2018-02-08 2021-09-07 June Life, Inc. High heat in-situ camera systems and operation methods
CN110200485A (zh) * 2018-09-27 2019-09-06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多路控制蒸汽通道的电蒸箱及其控制方法
CN111722595B (zh) * 2019-03-19 2022-03-2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烹饪器具、遥控设备和存储介质
IT201900006901A1 (it) * 2019-05-16 2020-11-16 Elica Spa Metodo per determinare un grado di cottura di una pietanza ed elettrodomestico impiegante detto metodo
CN112167999B (zh) * 2019-07-01 2021-10-2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蒸烤一体机的排气结构及其排气方法
WO2021195622A1 (en) 2020-03-27 2021-09-30 June Life, Inc.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ambiguous objects
CN214595581U (zh) 2020-04-06 2021-11-05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能定位在支撑表面上的烹饪系统
CN112790617B (zh) * 2021-01-13 2022-08-05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烹饪装置
US11853022B2 (en) * 2021-03-25 2023-12-26 Midea Group Co., Ltd. Oven cooking cycle with post-preheat and/or two stage preheat phases
CN114468799A (zh) * 2022-02-25 2022-05-1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8292A2 (en) * 2003-05-02 2004-11-18 Alto-Shaam, Inc. Rotisserie oven and hood
US20050077288A1 (en) * 2001-06-12 2005-04-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Cooking appliance with an extractor fan
US20080149088A1 (en) * 2004-02-10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king Utensil and Cooking Method
EP1975516A1 (en) * 2007-03-29 2008-10-0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oking ov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00064902A1 (en) * 2006-11-02 2010-03-18 Yasuaki Sakane Device for diluting discharged steam and cooker with the same
US20150059595A1 (en) * 2013-09-05 2015-03-05 Alto·Shaam, Inc. Ventless oven hood for combination oven providing rapid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86145T2 (de) 1983-07-11 1993-09-23 Commw Scient Ind Res Org Verfahren zur polymerisatio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polymere.
KR100413899B1 (ko) 2001-08-28 2004-01-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용 배기구의 습도 센서 결합구조
KR100529243B1 (ko) 2003-09-06 2005-11-17 이충훈 레인지 후드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26939B1 (ko) 2004-02-13 2005-11-08 주식회사 화인 열풍과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23868B1 (ko) 2005-07-27 2006-09-1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상대습도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8026839A1 (en) * 2006-08-29 2008-03-06 Kang-Su Park Cooking utensil using steam
FR2915073B1 (fr) * 2007-04-17 2012-08-24 Seb Sa Appareil pour la preparation d'aliments a la vapeur
JP2010038368A (ja) 2008-07-31 2010-02-18 Sharp Corp 加熱調理器
JP5059711B2 (ja) 2008-07-31 2012-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575580B2 (ja) 2010-08-11 2014-08-2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蒸気の乾き度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7288A1 (en) * 2001-06-12 2005-04-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Cooking appliance with an extractor fan
WO2004098292A2 (en) * 2003-05-02 2004-11-18 Alto-Shaam, Inc. Rotisserie oven and hood
US20080149088A1 (en) * 2004-02-10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king Utensil and Cooking Method
US20100064902A1 (en) * 2006-11-02 2010-03-18 Yasuaki Sakane Device for diluting discharged steam and cooker with the same
EP1975516A1 (en) * 2007-03-29 2008-10-0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oking ov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50059595A1 (en) * 2013-09-05 2015-03-05 Alto·Shaam, Inc. Ventless oven hood for combination oven providing rapid acc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642A1 (ko) * 2022-01-05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WO2023167457A1 (ko) * 2022-03-04 2023-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리 상태를 제공하는 조리 장치 및 방법
WO2024101665A1 (ko) * 2022-11-11 202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2520A (zh) 2016-10-05
US20160273778A1 (en) 2016-09-22
CN105982520B (zh) 2021-01-22
US10132505B2 (en) 2018-11-20
EP3078915A2 (en) 2016-10-12
KR102324189B1 (ko) 2021-11-09
EP3078915A3 (en) 2017-01-11
EP3078915B1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1707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6875969B2 (en)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029134A1 (zh) 洗碗机的控制方法、洗碗机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306464B2 (ja) 加熱調理器
US8695487B2 (en) Cooking appliance
CN102444919B (zh) 烹调用具
US20190327795A1 (en) Oven appliance with direct temperature measurement and related methods
US9829201B2 (en) Oven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oven appliance
JP2020112292A (ja) 加熱調理器
KR100485347B1 (ko)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JP2010071615A (ja) 加熱調理器
JP5731315B2 (ja) 加熱調理器
JP2012189274A (ja) 加熱調理器
JP4740178B2 (ja) 加熱調理器
JP2007120830A (ja) 高周波加熱装置
TWI736852B (zh) 高頻加熱調理器
WO2024082241A1 (zh) 一种蒸烤箱及其加热制冷控制方法
JP2007120830A5 (ko)
JP5999762B2 (ja) 電子レンジ
JP4059165B2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JP2004340539A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JPH06221565A (ja) 加熱調理器
JP2011137585A (ja) 加熱調理器
JP2011163695A (ja) 加熱装置
JP201204734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