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523A -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그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그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523A
KR20160111523A KR1020167023479A KR20167023479A KR20160111523A KR 20160111523 A KR20160111523 A KR 20160111523A KR 1020167023479 A KR1020167023479 A KR 1020167023479A KR 20167023479 A KR20167023479 A KR 20167023479A KR 20160111523 A KR20160111523 A KR 20160111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pin
side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고 카츠키
타케시 가와카미
카쯔미 오에
타카아키 요네자와
Original Assignee
하이얼 아시아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얼 아시아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이얼 아시아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커버(4)의 파손을 방지하는 개폐 구조(1), 개폐 구조(1)을 구비하는 부재 및 상기 부재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커버(4)의 파손을 방지하는 상기 개폐 구조(1)는 개구부(6)가 형성된 지지체(3); 지지체(3)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개구부(6)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4); 커버(4)의 회전 중심 및 그 주변을 구성하며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변형부(14); 지지체(3)와 탄성변형부(14)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커버(4)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축(15);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축(15)이 삽입되는 홀(10); 지지체(3)와 탄성변형부(14)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핀(16);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커버(4)의 개폐 기간에 간극을 두고 핀(16)을 수용하는 요부(16); 를 포함하며, 요부(11)는 커버(4)가 오픈 위치에서 폐쇄 위치측의 반대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얕아져 핀(16)을 밀어낸다.

Description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그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OMPONENT HAVING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ND WASHING MACHINE HAVING COMPONENT}
본 발명은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상기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한 세탁기는 세탁탈수조의 내주면에 안착된 세제투입용 관로를 포함한다. 세제투입용 관로는 상부에 세제투입구를 가지며 세제투입구는 커버에 의해 개폐된다. 커버는 세탁탈수조의 내측으로 향하여 들어가는 방식으로 회전하여 세제투입구를 오픈한다.
기존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7-4422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풀 오픈(full-open) 상태의 커버에 추가로 오픈되게 하는 힘을 가하였을 경우 커버의 회전축이 절단되어 커버가 파손되므로 커버를 교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의 기초상 완성된 것이며, 그 목적은 커버의 파손을 방지하는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상기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은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구부가 오픈된 오픈 위치와 상기 개구부가 막힌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개폐할 수 있는 커버; 상기 커버의 회전 중심 및 그 주변을 구성하며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변형부;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축;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에서 상기 축을 설치하지 않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축을 삽입하는 홀(hole);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핀(pin);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에서 상기 핀을 설치하지 않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기간에 간극을 두고 상기 핀을 수용하는 요부(Concave portion); 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오픈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측의 반대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얕아져 상기 핀을 밀어낸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 구조의 특징은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변형부를 굽혀지게 하는 슬릿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은 개폐 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은 상기 개폐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세제, 유연제 및 표백제의 적어도 1종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커버의 회전 중심과 그 주변을 구성하는 탄성변형부는 가요성을 가진다. 지지체와 탄성변형부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축은, 지지체와 탄성변형부에 축을 설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홀에 삽입된다. 커버는 홀에 삽입된 상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체의 개구부가 오픈된 오픈 위치와 개구부가 막힌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개폐할 수 있다.
지지체와 탄성변형부의 어느 하나에 설치된 핀은, 지지체와 탄성변형부에서 핀을 설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요부에 수용될 수 있다. 요부는 커버의 개폐 기간에 간극을 두고 핀을 수용한다. 따라서 커버의 개폐 기간에 핀은 요부의 벽면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으므로, 커버의 원활한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다.
개폐 위치로 풀 오픈된 커버가 오픈 위치에서 폐쇄 위치 측으로의 반대측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반대측로 향함에 따라 점차 얕아지는 요부의 밑면을 통해 핀은 요부의 외부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가요성을 가진 탄성변형부는 굽혀지게 되어 지지체에서 분리되고, 축은 자연스럽게 홀에서 빠지게 되어 커버의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구조를 구비하는 부재는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재를 구비하는 세탁기는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 구조(1)를 가지는 부재(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부재(2)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4)가 폐쇄 위치(closed position)에 있을 경우의 부재(2)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버(4)가 오픈 위치(open position)에 있을 경우의 부재(2)를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5(a)는 커버(4)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요부(11)의 전체적인 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이고, 도 5(b)는 커버(4)가 오픈 위치에 있을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요부(11)의 전체적인 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며, 도 5(c)는 커버(4)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홀(10) 및 요부(11)의 양자 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이고, 도 5(d)는 커버(4)가 오픈 위치에서 진일보로 오픈될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홀(10) 및 요부(11)의 양자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제 1 변형예를 응용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5에 제 2 변형예를 응용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5에 제 3 변형예를 응용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제 4 변형예의 커버(4)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부재(2)의 장치를 구비한 일 예의 세탁기(30)에서 단면의 방식으로 내부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개폐 구조(1)를 가지는 부재(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기타 장치에 조립된 상태의 부재(2)를 나타낸 실제모양이다. 아래에서는 도 1의 상하 방향 (X)과 좌우 방향 (Y)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하 방향 (X)에서 상측을 상측 (X1), 하측을 하측 (X2)이라고 한다. 좌우 방향(Y)에서 좌측을 좌측(Y1), 우측을 우측 (Y2)이라고 한다.
개폐 구조(1)를 가지는 부재(2)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하 방향 (X)에서 긴 사이즈를 가진다. 개폐 구조(1)는 지지체(3)와 커버(4)를 포함한다.
지지체(3)는 상하 방향 (X)에서 긴 사이즈를 가지는 판 형상이다. 지지체(3)에 있어서, 도 1에서 보이는 제일 큰 면은 지지체(3)의 표면(3A)이고 표면(3A)의 반대측의 면은 지지체(3)의 배면(3B)이다. 표면(3A)와 배면(3B)은 각각 평평한 면일 수 있으며 일부가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면(3A)에서 배면(3B)으로의 방향을 안측(Z1), 배면(3B)에서 표면(3A)으로의 방향을 앞측(Z2)이라고 한다. 안측(Z1)과 앞측(Z2)을 총괄하여 깊이 방향(Z)이라고 한다. 지지체(3)의 상단부와 좌우의 양단부는 안측(Z1)으로 굽혀진 플랜지부(Flange portion)(5)이다.
지지체(3)의 표면(3A)의 상단부에는 개구부(6)가 형성된다. 개구부(6)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표면(3A)의 상측의 약 3분의 1 구역을 차지한다. 개구부(6)의 상측 가장자리의 좌우 방향 (Y)에서의 중앙부(6A)는 상측 (X1)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되었다. 지지체(3)는 개구부(6)의 하측 가장자리 이외의 가장자리에서 안측(Z1)으로 연장되는 측벽(7)을 가진다. 측벽(7)은, 개구부(6)의 상측 가장자리를 트리밍(Trimming )하여 좌우 방향 (Y)으로 연장되는 상측벽(7A); 개구부(6)의 좌측 가장자리를 트리밍하여 상하 방향 (X)으로 연장되는 좌측벽(7B); 개구부(6)의 우측 가장자리를 트리밍하여 상하 방향 (X)으로 연장되는 우측벽(7C)를 포함한다. 좌측벽(7B)과 우측벽(7C)은 좌우 방향 (Y)에서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측벽(7A)은 좌측벽(7B)과 우측벽(7C)의 상측 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된다.
지지체(3)는 상하 방향 (X)과 좌우 방향 (Y)에서 확장되는 밑벽(8)을 포함한다. 밑벽(8)은 좌측벽(7B)과 우측벽(7C)의 안측(Z1)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데, 약 상부 3분의 2의 구역에 설치되며 상측벽(7A)의 안측(Z1)의 단부와도 연결된다. 측벽(7)과 밑벽(8)을 통해 지지체(3)에는 개구부(6)에서 안측(Z1)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요부(9)가 형성된다. 요부(9)의 바닥은 상측으로부터 약 3분의 2의 구역에서는 밑벽(8)에 의해 막히게 되고, 하측으로부터 약 3분의 1의 구역에서 오픈된다.
도 2는 부재(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측벽(7B)과 우측벽(7C)의 각자의 대향면의 하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홀(10)과 하나의 요부(11)가 설치된다. 좌측벽(7B)과 우측벽(7C)의 각자의 홀(10)은 각각 상하 방향 (X)과 깊이 방향(Z)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좌측벽(7B)과 우측벽(7C)의 각자의 요부(11)은 각각 상하 방향 (X)과 깊이 방향(Z)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좌측벽(7B)과 우측벽(7C)에는 각각 원 형상의 홀(10)이 형성되며, 요부(11)는 일 예로 홀(10)의 원중심을 곡률 중심(center of curvature)으로 상측 (X1)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홀(10)은 일 예로 밑면(10A)을 가지는 요부거나, 또는 측벽(7)을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도 있다. 요부(11)는 관통홀이 아니고 밑면(11A)을 가지는 요부이다.
커버(4)는 앞측(Z2)에서 바라볼 때 개구부(6)를 막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2의 모양를 기준으로 할 때, 커버(4)는 하측 가장자리 이외의 가장자리에서 안측(Z1)으로 연장되는 측벽(12)을 가진다. 측벽(12)은, 커버(4)의 상측 가장자리를 트리밍(Trimming)하여 좌우 방향 (Y)으로 연장되는 상측벽(12A); 커버(4)의 좌측 가장자리를 트리밍하여 상하 방향 (X)으로 연장되는 좌측벽(12B); 및 커버(4)의 우측 가장자리를 트리밍하여 상하 방향 (X)으로 연장되는 우측벽(12C)을 포함한다.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은 좌우 방향 (Y)에서 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측벽(12A)은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상측 가장자리 사이에 설치된다. 상측벽(12A)의 상면의 좌우 방향 (Y)의 중앙에는 하측 (X2)을 향하여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함몰부(13)가 형성된다.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각자에서 적어도 하단부는 얇은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방향 (Y)에서의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진 탄성변형부(14)를 구성한다.
좌측벽(12B)의 탄성변형부(14)의 좌측면과 우측벽(12C)의 탄성변형부(14)의 우측면에는 각각 축(15)과 핀(16)이 설치된다.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각자에서 핀(16)은 축(15)보다 작은 직경의 원주형 형상이며, 축(15)에 대하여 상측 X1에서 인접되게 배치된다. 인접된 축(15)과 핀(16)의 간격은 인접된 홀(10)과 요부(11)의 간격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좌측벽(12B)의 축(15)과 핀(16)은 좌측벽(12B)의 탄성변형부(14)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되며, 우측벽(12C)의 축(15)과 핀(16)은 우측벽(12C)의 탄성변형부(14)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다.
좌측벽(12B)의 축(15)은 우측 (Y2)으로부터 지지체(3)의 좌측벽(7B)의 홀(10)에 삽입되고, 우측벽(12C)의 축(15)은 좌측 (Y1)으로부터 지지체(3)의 우측벽(7C)의 홀(10)에 삽입된다. 좌측벽(12B)의 핀(16)은 우측 (Y2)으로부터 좌측벽(7B)의 요부(11)에 삽입되고, 우측벽(12C)의 핀(16)은 좌측 (Y1)으로부터 우측벽(7C)의 요부(11)에 삽입된다. 따라서 커버(4)는 좌우의 축(15)을 회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체(3)에 의해 지지된다. 커버(4)의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에는 각각 축(15)의 탄성변형부(14)가 설치되어 커버(4)의 회전 중심 및 그 주변을 형성한다. 또한 좌측벽(7B)과 우측벽(7C)의 각 요부(11)는 커버(4)의 회전 궤적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각 요부(11)는 그 내측에 커버(4)의 회전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핀(16)의 이동 궤적을 포함하는 요부일 경우, 요부(11)의 깊이 방향에서 관찰할 경우 요부(11)의 형상은 원호 형상이 아닐 수 있으며, 예컨대 정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4)는 회전을 통해, 도 2의 점선과 같이 지지체(3)의 개구부(6)를 막는 폐쇄 위치와, 폐쇄 위치보다 앞측(Z2)으로 더 향해 기울어 개구부(6)를 앞측(Z2)으로 오픈시키는 오픈 위치(도 1을 참조)사이에서 개폐한다. 폐쇄 위치에 놓인 커버(4)를 오픈 할 경우 사용자는 지지체(3)의 개구부(6)의 상부 가장자리의 중앙부(6A)의 아래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또한 해당 손가락이 커버(4)의 상측벽(12A)의 함몰부(13)에 걸리게 한 후, 커버(4)를 앞측(Z2)으로 당긴다. 오픈 위치의 커버(4)를 안측(Z1)으로 회전시킬 경우, 커버(4)는 폐쇄 위치로 돌아간다. 다시 말해, 안측(Z1)은 폐쇄 위치측과 일치하고, 앞측(Z2)은 오픈 위치측과 일치하다.
커버(4)에 대하여 개폐하는 기간에, 좌우의 핀(16)은 지지체(3)에서 좌우 방향 (Y)에서 동일한 측에 놓인 요부(11)에 의해 항상 간극을 두고 수용된다. 따라서 커버(4)의 개폐 기간에 핀(16)은 요부(11)의 벽면에 대하여 간섭을 주지 않으므로 커버(4)의 원활한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3은 커버(4)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의 부재(2)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버(4)가 오픈 위치에 있을 경우의 부재(2)의 평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와 도 4에서는 각각 2점 쇄선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에 대하여 확대 표시하였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 평면 단면도의 위치가 미세하게 부동하므로, 요부(11)를 포함하는 세부 형상에 대하여 미세하게 부동하게 도시하였다.
도 3과 같이 커버(4)가 폐쇄 위치에 놓일 경우, 좌우의 핀(16)은 각각 요부(11)의 안측(Z1)의 단부인 안측단부(17)에 놓인다. 도 4와 같이 커버(4)가 오픈 위치에 놓일 경우 좌우의 핀(16)은 각각 요부(11)의 앞측(Z2)의 단부인 앞측단부(18)에 놓인다. 그러나 커버(4)가 오픈 위치에 놓일 경우, 요부(11)는 앞측단부(18)에 놓인 핀(16)보다 더 앞측(Z2)에 위치한다.
도 5(a)는 커버(4)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요부(11)의 전체적인 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 이다. 도 5(b)는 커버(4)가 오픈 위치에 있을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요부(11)의 전체적인 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 이다. 다시 말해 도 5(a)와 도 5(b)는 요부(11)의 원호에 따른 단면을 보여준다.
도 5(c)는 커버(4)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홀(10) 및 요부(11)의 양자 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 이다. 도 5(d)는 커버(4)가 오픈 위치에서 진일보로 오픈될 경우, 부재(2)에서 볼 수 있는 홀(10) 및 요부(11)의 양자위치에 대한 예시적인 단면도 이다.
도 5(a)와 도 5(b)와 같이, 지지체(3)의 좌측벽(7B)과 우측벽(7C) 각자의 요부(11)의 깊이는 안측단부(17)와 앞측단부(18)사이에서 일정하며, 또한 앞측단부(18)에서 앞측 (Z2)으로 가며 점차 얕아진다. 따라서 요부(11)의 밑면(11A)은, 안측단부(17)와 앞측단부(18)사이에서 깊이 방향 (Z)에 따라 평탄하게 연장되는 평탄면(19); 평탄면(19)에서 앞측 (Z2)으로 연속적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20)을 포함한다. 좌측벽(7B)의 요부(11)의 경사면(20)은 앞측 (Z2)과 우측 (Y2)으로 기울어지며 우측벽(7C)의 요부(11)의 경사면(20)은 앞측 (Z2)과 좌측 (Y1)으로 기울어진다.
커버(4)가 오픈 위치와 폐쇄 위치 및 이들 사이의 위치에 놓일 경우, 지지체(3)의 좌측벽(7B)과 우측벽(7C) 각자에서 축(15)은 각각 홀(10)의 밑면(10A)에 내장되고, 핀(16)은 요부(11)의 밑면(11A)측에 내장되는 상태에 놓인다(도 5(c)를 참조).
사용자가 폐쇄 위치의 커버(4)를 앞측 (Z2)으로 당겨 오픈 위치가 되도록 회동할 경우, 도 5(b)의 실선과 같이 좌측벽(7B)과 우측벽(7C) 각자에서 핀(16)의 전단부(16A)는 각각 요부(11)의 앞측단부(18)에 위치하며 안측 (Z1)에서 경사면(20)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커버(4)는 오픈 위치에서 앞측 (Z2)으로 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외에,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핀(16)이 경사면(20)과 접촉하는 경우라도 경사면(20)과 약간 분리되게 도시한다.
여기서 커버(4)에 대하여 앞측 (Z2)으로 향하는 과도한 힘을 인가함으로써 오픈 위치로 풀 오픈된 커버(4)가 오픈 위치에서 폐쇄 위치측으로의 방향의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킨다. 커버(4)에 대하여 앞측 (Z2)으로 향하는 과도한 힘을 인가하는 상황으로, 사용자의 착오로 오픈 위치의 커버(4)를 더 오픈하려는 경우 또는 오픈 위치의 커버(4)에 의외로 무거운 물품을 놓았을 경우를 가정한다. 커버(4)가 상기 반대측으로 회전할 경우 도 5(b)의 점선과 같이,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각자에서 핀(16)은 각각 앞측(Z2)으로 이동하며, 이때 요부(11)의 밑면(11A)의 경사면(20)을 통해 핀(16)은 요부(11)의 외부로 밀려나간다. 다시 말해 요부(11)는 커버(4)가 오픈 위치에서 폐쇄 위치측으로의 방향의 반대측인 앞측(Z2)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얕아지게 형성되어, 핀(16)이 밀려날 수 있게 된다.
핀(16)이 요부(11)의 외부로 밀려나가는 것에 응답하여, 커버(4)에는 핀(16)이 설치되고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변형부(14)가 굽혀지게 되며, 좌측벽(7B)과 우측벽(7C) 중 해당되는 일측에서 분리된다. 다시 말해, 좌측의 핀(16)이 설치된 탄성변형부(14)가 굽히게 되어 좌측벽(7B)에서 우측(Y2)으로 분리되며, 우측의 핀(16)이 설치된 탄성변형부(14)가 굽히게 되어 우측벽(7C)에서 좌측 (Y1)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핀(16)과 함께 탄성변형부(14)에 설치된 축(15)은 도 5(d)와 같이, 홀(10)에서 자연스럽게 빠질 수 있으며, 커버(4)는 지지체(3)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된다. 따라서 풀 오픈된 커버(4)를 더 오픈할지라도 축(15)은 절단되지 않으므로 개폐 구조(1)의 부재(2)에서 커버(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핀(16)이 경사면(20)을 통해 요부(11)의 외부로 밀려나갈 경우 핀(16)은 전체가 요부(11)의 외부로 밀려나갈 필요가 없으며, 핀(16)의 전단부(16A)가 요부(11)에 삽입된 상태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핀(16)이 경사면(20)을 통해 요부(11)의 외부로 밀려나갈 경우 축(15)은 전체가 홀(10)로부터 빠져나갈 필요가 없으며 축(15)의 전단부(15A)가 홀(10)에 삽입된 상태일 수도 있다. 만일 축(15) 및 핀(16)의 일부분이 홀(10)과 요부(11)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다음에는 축(15)과 핀(10)이 파손되지 않는 상황에서 커버(14)가 지지체(3)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된다.
상기에서는 홀(10)과 요부(11)는 지지체(3)에 설치되며 축(15)과 핀(16)이 커버(4)의 탄성변형부(14)에 설치되는 구성의 개폐 구조(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홀(10), 요부(11), 축(15) 및 핀(16)을 각각 지지체(3) 및 탄성변형부(14)의 어느 쪽에 설치하는 가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축(15)이 지지체(3) 및 탄성변형부(14)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면 홀(10)은 지지체(3) 및 탄성변형부(14)의 축(15)을 설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설치되면 된다. 다음, 핀(16)이 지지체(3) 및 탄성변형부(14)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면, 요부(11)는 지체(3) 및 탄성변형부(14)의 핀(16)을 설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설치되면 된다. 아래에서는 기타 변형예로 제 1 내지 제 3 변형예를 열거한다.
도 6은 도 5에 제 1 변형예를 응용한 도이다. 도 7은 도 5에 제 2 변형예를 응용한 도이다. 도 8은 도 5에 제 3 변형예를 응용한 도이다. 도 6(a), 도 7(a) 및 도 8(a)은 도 5(a)에 해당되고, 도 6(b), 도 7(b) 및 도 8(b)은 도 5(b)에 해당된다. 도 6(c), 도 7(c) 및 도 8(c)은 도 5(c)에 해당되고, 도 6(d), 도 7(d) 및 도 8(d)은 도 5(d)에 해당된다.
도 6와 같은 제 1 변형예의 경우 홀(10)과 핀(16)은 지지체(3)에 설치되고 요부(11)와 축(15)은 탄성변형부(14)에 설치된다(도 6(c)을 참조). 요부(11)가 탄성변형부(14)에 설치될 경우, 요부(11)의 밑면(11A)에서 경사면(20)은 평탄면(19)보다 더 안측(Z1)에 위치한다. 오픈 위치의 커버(4)를 앞측(Z2)으로 더 오픈하려고 할 때, 핀(16)은 요부(11)의 밑면(11A)의 경사면(20)을 누르게 되므로, 탄성변형부(14)가 굽혀지게 되며(도 6(b)의 점선부분을 참조) 축(15)은 도 6(d)와 같이 홀(10)에서 빠지게 된다.
도 7와 같은 제 2 변형예의 경우 축(15)과 핀(16)은 지지체(3)에 설치되고 홀(10)과 요부(11)는 탄성변형부(14)에 설치된다(도 7(c)을 참조). 오픈 위치의 커버(4)를 앞측(Z2)으로 더 오픈하려고 할 때 핀(16)은 요부(11)의 밑면(11A)의 경사면(20)을 누르게 되므로 탄성변형부(14)가 굽혀지게 되며(도 7(b)의 점선부분을 참조) 축(15)은 도 7(d)와 같이 홀(10)에서 빠지게 된다.
도 8와 같은 제 3 변형예의 경우 요부(11)와 축(15)은 지지체(3)에 설치되고 홀(10)과 핀(16)은 탄성변형부(14)에 설치된다(도 8(c)을 참조). 오픈 위치의 커버(4)를 앞측(Z2)으로 더 오픈하려고 할 때 핀(16)을 통해 요부(11)의 밑면(11A)의 경사면(20)은 요부(11)의 외부로 밀려나가므로 탄성변형부(14)가 굽혀지게 되며(도 8(b)의 점선부분을 참조) 축(15)은 도 8(d)와 같이 홀(10)에서 빠지게 된다.
그외, 커버(4)의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양측은 도 5~도 8의 임의의 구성을 공동으로 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10), 요부(11), 축(15) 및 핀(16)은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양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도 8의 어느 하나에 공용될 수 있다. 물론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일측에 도 5~도 8의 임의의 구성을 응용하고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타측에 도 5~도 8에서 상기 일측에 응용된 구성과 부동한 구성을 응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제 4 변형예의 커버(4)의 사시도이다.
도 9와 같이, 커버(4)의 좌측벽(12B)과 우측벽(12C) 각자에서, 탄성변형부(14)와 탄성변형부(14)의 상측 부분의 테두리부에는 슬릿(21)이 형성된다. 슬릿(21)은 상기 테두리부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테두리부의 표면에 형성된의 홈 형상일 수도 있다. 슬릿(21)을 형성함으로써 탄성변형부(14)는 더 쉽게 굽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풀 오픈된 커버(4)를 더 오픈하려는 경우 축(15)을 홀(10)에서 확실하게 빼낼 수 있으므로 커버(4)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 1~제 4 변형예를 포함하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축(15)과 핀(16)은 커버(4)의 좌측벽(12B)과 우측벽(12C) 양측에 설치되었으나, 축(15)과 핀(16)은 좌측벽(12B)과 우측벽(12C)의 임의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설명한 개폐 구조(1)를 가지는 부재(2)를 구비한 장치의 일 예인 세탁기(30)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세탁기(30)을 성명할 때 상기 상하 방향 (X)과 깊이 방향 (Z)을 사용한다. 그외, 세탁기(30)는 의류에 대한 건조 기능을 가지는 세탁건조기도 포함한다.
세탁기(30)은 하우징(31), 수조(32), 세탁조(33) 및 모터(34)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은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하우징(31)은 그 하단에 설치된 받침부(31A)를 통해 상측에서 바닥(35)과 접촉하여 바닥(35)에 설치된다.
수조(32)는 밑부분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조(32)는, 상단에 개구부(32A)를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원주 벽(32B), 및 원주 벽(32B)의 중공 부분을 하측(X2)에서 막는 원판 형상의 아래 벽(32C)을 가진다. 개구부(32A)는 원주 벽(32B)과 연결된 커버(36)에 의해 개폐된다. 수조(32)내에는 수돗물, 목욕물 및 세제를 용해시킨 액체 등 물이 저축된다.
세탁조(33)는 수조(32)보다 한 둘레 작은 밑부분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세탁조(33)는 상단에 출입구(33A)를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원주 벽(33B), 및 원주 벽(33B)의 중공 부분을 하측 (X2)에서 막는 원판 형상의 아래 벽(33C)을 가진다. 세탁조(33)는 동축 형상으로 수조(32)내에 수용된다. 수조(32)내에 수용된 상태의 세탁조(33)는 그 축선인 상하 방향 (X)으로 연장된 중심축(37)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세탁기(30)는 세탁조(33)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세로형 세탁기이다.
출입구(33A)는 하측 (X2)에서 개구부(32A)와 연통되며 개구부(32A)와 출입구(33A)는 커버(36)을 통해 함께 개폐된다. 세탁기(30)의 사용자는 오픈된 출입구(33A)를 거쳐 세탁조(33)에서 세탁물을 꺼내거나 넣는다. 관통홀(33D)은 아래 벽(33C)에 형성되며 수조(32)내의 물은 관통홀(33D)을 통해 수조(32)와 세탁조(33)사이에서 순환된다.
원주 벽(33B)의 내주면의 상단부에는 환형의 밸런서(38)가 안착된다. 밸런서(38)는 세탁조(33)가 회전할 때의 진동을 감소시키며, 밸런서(38)의 내부의 중공(38A)에는 진동의 감소를 돕기 위한 액체가 수용된다.
모터(34)는 하우징(31)내 수조(32)의 아래 벽(33C)의 하측 (X2)에 배치된다. 모터(34)의 출력축(34A)은 상측 (X1)으로 연장되며 순차적으로 아래 벽(32C)의 원 중심과 세탁조(33)의 아래 벽(33C)의 원 중심을 관통한다. 출력축(34A)은 아래 벽(32C)과 아래 벽(33C) 사이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부(34B)를 가지며 플랜지부(34B)를 통해 아래 벽(33C)에 고정되어 세탁조(33)와 연결된다. 모터(34)를 구동시킬 경우 세탁조(33)는 회전한다.
출력축(34A)에서 아래 벽(33C)보다 더 상측 (X1)으로 노출된 상단부에는 회전 날개(39)가 안착된다. 회전 날개(39)는 소위 말하는 펄세이터이다. 회전 날개(39)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원 중심에는 출력축(34A)의 상단부가 안착된다. 회전 날개(39)의 상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교반 날개(39A)가 설치되며, 회전 날개(39)의 하면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펌프 날개(39B)가 안착된다. 모터(34)를 구동시킬 경우 회전 날개(39)가 회전하며, 세탁조(33)내의 세탁물은 교반 날개(39A)에 의해 교반된다.
세탁조(33)의 원주 벽(33B)의 내주면에는 펌프 관로(40)와 상기 부재(2)가 안착된다. 펌프 관로(40)와 부재(2)는 간격을 두고 원주 벽(33B)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에 배치된다.
펌프 관로(40)는 상하 방향 (X)에서 긴 사이즈의 판 형상이며 밸런서(38)와 세탁조(33)의 아래 벽(33C)에 설치된다. 펌프 관로(40)의 하단에는 취입구(41)가 형성되며 펌프 관로(40)의 상단에는 분수구(42)가 형성된다. 펌프 관로(40)는 원주 벽(33B)의 내주면 사이에서 상하 방향 (X)으로 연장된 펌프 수로(46)를 구획한다. 회전 날개(39)가 회전할 경우 세탁조(33)에 저축된 물은 회전 날개(39)의 펌프 날개(39B)를 통해 취입구(41)로 압입된다. 취입구(41)로 압입된 물은 펌프 수로(46)에서 상승하여 분수구(42)로부터 분수되어 세탁조(33)내의 세탁물을 적신다. 이에 따라 소량의 물로도 세탁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부재(2)는 세제투입관로를 구성하며 펌프 관로(40)와 동일하게 밸런서(38)와 세탁조(33)의 아래 벽(33C) 사이에 가설된다. 부재(2)에서 지지체(3)의 하단에는 제 1 개구(43)가 형성되고, 지지체(3)의 표면(3A)에서 제 1 개구(43)의 상측 (X1) 및 개구부(6)의 하측 (X2)에 위치하는 곳에 제 2 개구(44)가 형성된다(도 1도 참조). 부재(2)는 원주 벽(33B)의 내주면과 지지체(3)의 배면 사이에서 상하 방향 (X)으로 연장된 세제공급통로(45)를 구획한다.
세탁하기 전, 사용자는 커버(4)를 앞측 (Z2)으로 당게 오픈 위치로 오픈시키며(점선의 커버(4)를 참조), 개구부(6)로부터 세제를 세제공급통로(45)에 공급한다. 다시 말해, 개구부(6)는 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이다. 그외, 여기에서 세제는 일반적인 세제, 유연제 및 표백제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세제공급통로(45)에 투입된 세제는 세제공급통로(45)에서 떨어져 제 1 개구(43)를 통과하여 세탁조(33)에 저축된 물에 용해된다. 그외, 회전 날개(39)가 회전할 경우 세탁조(33)내에 저축된 세제와 물은 회전 날개(39)의 펌프 날개(39B)를 통해 제 1 개구(43)로 압입되며, 세제공급통로(45)에 잔여된 세제를 용해시키면서 상승하여 제 2 개구(44)로부터 세탁조(33)내의 세탁물을 적신다. 이에 따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다.
부재(2)를 구비한 세탁기(30)에서, 풀 오픈된 커버(4)를 더 오픈하려고 할 경우, 축(15)은 홀(10)에서 자연스럽게 빠지므로 커버(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 부재(2)와 펌프 관로(40)는 세탁조(33)가 회전 할 때 세탁조(33)내의 세탁물을 교반시키는 배플판(baffle plate)으로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세탁기(30)에 대하여 실시하는 정황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부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안착된 커버이기만 하면 본 발명의 개폐 구조(1)를 사용할 수 있다.
그외,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각종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1: 개폐 구조; 2: 부재; 3: 지지체; 4: 커버; 6: 개구부; 10: 홀; 11: 요부;
14: 탄성변형부; 15: 축; 16: 핀; 21: 슬릿; 30: 세탁기.

Claims (4)

  1.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개구부가 오픈된 오픈 위치와 상기 개구부가 막힌 폐쇄 위치 사이에서 개폐할 수 있는 커버;
    상기 커버의 회전 중심 및 그 주변을 구성하며 가요성을 가지는 탄성변형부;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회전 중심으로 되는 축;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에서 상기 축을 설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축이 삽입되는 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핀; 및
    상기 지지체와 상기 탄성변형부에서 상기 핀을 설치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 기간에 간극을 두고 상기 핀을 수용하는 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오픈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의 반대측으로 향함에 따라 점차 얕아져 상기 핀을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변형부가 굽혀지게 하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구조.
  3. 제1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개폐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4. 제 3 항에 따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세제, 유연제 및 표백제의 적어도 1종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67023479A 2014-01-29 2014-12-31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그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 KR201601115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4722A JP2015139599A (ja) 2014-01-29 2014-01-29 開閉構造、開閉構造を備える部品、および当該部品を備える洗濯機
JPJP-P-2014-014722 2014-01-29
PCT/CN2014/095738 WO2015113448A1 (zh) 2014-01-29 2014-12-31 开闭构造、具备开闭构造的部件以及具备该部件的洗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523A true KR20160111523A (ko) 2016-09-26

Family

ID=5375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479A KR20160111523A (ko) 2014-01-29 2014-12-31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그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02493A1 (ko)
EP (1) EP3103911A4 (ko)
JP (1) JP2015139599A (ko)
KR (1) KR20160111523A (ko)
CN (1) CN105829598B (ko)
WO (1) WO20151134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3290B2 (ja) * 2016-12-22 2021-07-1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07028A (en) * 1939-09-09 1943-01-05 American Can Co Container
US3107512A (en) * 1963-03-04 1963-10-22 Whirlpool Co Fluent material dispenser for a washing machine
JPH0720535Y2 (ja) * 1989-03-07 1995-05-15 三洋電機株式会社 貯蔵庫の扉装置
JPH0331670U (ko) * 1989-08-08 1991-03-27
JP3800693B2 (ja) * 1996-11-19 2006-07-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給水装置
JPH10270868A (ja) * 1997-03-24 1998-10-09 Tamura Electric Works Ltd 蓋の開閉構造
JP3171154B2 (ja) * 1997-10-22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収納装置
US6942118B2 (en) * 2000-08-14 2005-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CN2474560Y (zh) * 2001-03-21 2002-01-3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节水式洗衣机的液体洗涤剂送入结构
US20050188731A1 (en) * 2002-02-13 2005-09-01 Aouad Yousef G. Systems, dispensers and methods for laundry additives
JP2004121588A (ja) * 2002-10-03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CN1521344A (zh) * 2003-02-14 2004-08-1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衣机的漂白剂和柔软剂投入装置
JP2005237796A (ja) * 2004-02-27 2005-09-08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CN2789301Y (zh) * 2005-03-16 2006-06-21 海尔集团公司 洗衣机
JP4667160B2 (ja) * 2005-08-10 2011-04-06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US8245865B2 (en) * 2006-05-16 2012-08-21 Nutek Disposables, Inc. Dispenser lid including a secondary lid and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JP2009136430A (ja) * 2007-12-05 2009-06-25 Toshiba Corp 洗濯機
DE102008027727B3 (de) * 2008-06-11 2009-07-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Tür
JP5409068B2 (ja) * 2009-03-24 2014-02-05 株式会社ザクティ 電子機器の蓋開閉装置
JP5312268B2 (ja) * 2009-09-14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ヒンジ装置と、ヒンジ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30068688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JP2013240408A (ja) * 2012-05-18 2013-12-05 Panasonic Corp 洗濯機
JP2013240407A (ja) * 2012-05-18 2013-12-05 Panasonic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02493A1 (en) 2017-01-05
EP3103911A4 (en) 2017-09-27
JP2015139599A (ja) 2015-08-03
EP3103911A1 (en) 2016-12-14
WO2015113448A1 (zh) 2015-08-06
CN105829598B (zh) 2017-08-18
CN105829598A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5068B2 (en) Washing machine
CA2898942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um connected to motor shaft
US9611582B2 (en) Clutch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50030806A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020364A (ko) 세탁기, 세탁기의 이너터브 및 그 조립방법
KR20150105092A (ko)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탁조의 제조방법
WO2013042402A1 (ja) 洗濯機
US11174580B2 (en) Washing machine
KR20160111523A (ko) 개폐 구조, 개폐 구조를 가지는 부재 및 그 부재를 가지는 세탁기
JP2007050059A (ja) 洗濯機パルセータ及びこれを備える洗濯機
KR102368502B1 (ko)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8068647A (ja) 洗濯機
TWI676722B (zh) 洗衣機
JP7220351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1373085B (zh) 洗衣机
KR20110013131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33502A (ko) 세탁기
US20200190719A1 (en) Pulsator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same
KR102368499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200298578Y1 (ko) 세탁기
JP2020074985A (ja) 縦型洗濯機
JP2018068646A (ja) 洗濯機
KR20180082782A (ko) 세탁물 처리장치용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KR20170003023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