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916A -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 - Google Patents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916A
KR20160100916A KR1020167011910A KR20167011910A KR20160100916A KR 20160100916 A KR20160100916 A KR 20160100916A KR 1020167011910 A KR1020167011910 A KR 1020167011910A KR 20167011910 A KR20167011910 A KR 20167011910A KR 20160100916 A KR20160100916 A KR 20160100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unctional group
compounds
foam
acid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마리 엠마누엘 아무루
Original Assignee
레지노플라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지노플라스트 filed Critical 레지노플라스트
Publication of KR20160100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4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03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08G18/6607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0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23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04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D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 C08J2201/022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pre- or post-treatments premixing or pre-blending a part of the components of a foamable composition, e.g. premixing the polyol with the blowing agent, surfactant and catalyst and only adding the isocyanate at the time of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ir Bag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로 구성되는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자동차 내부의 부분용 패널 제조를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코팅으로부터 폼 내로 가소화 화합물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가소화 화합물을 또한 포함하는 PVC 수지로 구성되는 코팅과 접촉하는 폼 내 가소화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COMPOSITE COMPRISING A PLASTICISED POLYURETHANE FOAM AND A COATING CONSISTING OF A PLASTICISED PVC RESIN}
본 발명은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 그의 제조 방법, 및 에어백 통합 또는 비통합된 대쉬보드, 에어백 해치, 글러브 박스, 중앙 콘솔, 트림 또는 도어 패널과 같은 구획부의 패널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소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PVC 수지 코팅과 접촉하는 폼 내에서, 상기 코팅의 가소화 화합물의 상기 폼 내로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가소화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구획부용 패널은 최근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열적 에이징, 자외선(UVs) 및 마모에 저항성인, 강성 지지체, 반-강성 또는 강성인 유연성 고밀화 폼, 특히 폴리우레탄 폼, 및 유연성 입상 유색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로 구성된다.
다양한 유형의 폴리우레탄 폼이 최근 기술에 기재되어 왔다.
EP 0 646 154로부터, 폴리우레탄 타입의 화합물, 비-할로겐화 발포제(blowing agent) 및 프탈레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또는 벤조에이트 가소제와 같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가소화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하이드로-팽창성 유연성 폴리우레탄 폼이 공지되어 있다. 가소제의 첨가는 하이드로-팽창성 폴리우레탄 폼의 유연성을 개선시킬 가능성을 제공한다.
EP 1 361 239로부터, 반-강성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폼은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를 가지는 복합재의 요소일 수 있다.
US 4,526,908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와 액체 균질 수지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셀 폼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액체 수지는 프탈산 또는 무수물로부터 및 트리멜리트산 또는 무수물로부터 및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얻어지는 에스테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액체 수지의 용도는 상업적 품질의 경제적 셀 폼 제조를 위한 것이다.
스킨층 또는 복합 구조로도 불리우는 가소화된 PVC 수지 코팅이 WO 2007/101968에 기재되어 있다. WO 2007/101968에 기재된 조성물은 차량의 구획부용과는 다른 측면을 가지는 단일층 스킨 또는 복합재 생산을 위한 PVC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기재로 하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매트릭스는 아젤레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세바케이트, 아디페이트, 폴리아디페이트, 프탈레이트, 폴리프탈레이트, 시트레이트, 벤조에이트, 탈레이트, 글루타레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이트, 올레이트, 팔미테이트 및 아세테이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어지는 스킨층 또는 복합 구조는 자동차 적용에 요구되는 요구 시트에 따른 내한성, 경도 및 열적 에이징 내성을 가진다.
FR 2 750 700으로부터, 통합된 스킨을 가지고, 폴리염화비닐, 염소화 폴리염화비닐, 비닐 및 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또한 포함하는 스킨의 코폴리머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폼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폼이 공지되어 있다.
몰딩된 반-강성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 또한 EP 0 881 245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제품은 임의로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및 플라스틱 물질의 시트 또는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EP 0 881 245에 따른 방법은 반-강성 폴리우레탄 내에 제품 제조를 위한 상기 반응 혼합물의 사용에 의하여 폼과 코팅 사이의 홀 또는 빈 공간의 형성을 피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EP 0 881 245에 따른 몰딩된 반-강성 폴리우레탄 제품은 그 에이징 동안 최근에 생산된 복합재의 코팅의 유연성 특성을 유지하는 복합재를 수득할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고밀화된, 유연성, 반-강성 또는 강성 폼, 특히 폴리우레탄 폼, 및 코팅, 특히 가소화된 PVC 수지(들) 내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의 에이징 동안, 상기 코팅 내 처음에 존재하는 가소화 화합물이 상기 폼 내로 이동하는 것으로 관찰됨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은 코팅의 수축, 코팅의 유연성 손실, 및 코팅의 취성 증가를 야기한다. 가시적인 에어백을 통합하는 대쉬보드의 경우, 코팅의 수축은 에어백 해치의 프리컷 라인의 경시 가시성 증가에 의하여 표현된다.
이에 따라 부서지기 쉬운 코팅, 특히 에어백 해치를 마스킹하는 코팅이 에어백 결함 중 파손되어, 코팅 입자의 돌출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그 자동차 구획에 타고 있는 사람에 부상을 입힐 수 있다.
놀랍게도, 가소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PVC 수지 코팅과 접촉하는 폴리우레탄 폼 내에 가소화 화합물의 사용이 상기 코팅 내 포함되는 가소화 화합물의 폴리우레탄 폼을 향한 이동을 시간에 맞춰 제한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에이징된 복합재는 시간 경과에 따라 그의 유연성 특성을 유지한다.
놀랍게도, 가소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폼과 접촉하는 에이징된 코팅의 기계적 특성 변화는 가소화 화합물이 없는 폼과 접촉하는 에이징된 코팅의 기계적 특성 변화보다 훨씬 더 적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상당히 놀라운 방식으로, 출원인은 시간 경과에 따라 그의 유연성 특성을 유지하는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를 개발하였다.
놀랍게도, 본 발명은 가소화 화합물 내용물이 코팅 내 포함되는 가소제의 폴리우레탄 폼을 향한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구획부 패널 제조를 위하여 사용되는 복합재 개발을 위한 종래 기술의 방법과 관련되는 문제점들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폼;
-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코팅
을 포함하는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재는, 그 제조 동안, 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폼 내 3 내지 30 중량%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에 따라 기재되는 복합재는 비-에이징된 복합재로서 정의될 수 있다. <<비-에이징된>>은 그 유연성 특성뿐 아니라 기계적 특성 또한 아직 경시 변화되지 않은 복합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들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온도차, 충격, 자외선에 노출 등과 같은 외부 화학적 및 기계적 공격으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비-에이징된 복합재>>라 함은 또한 초기 복합재로도 불리우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직접 수득되는 복합재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는 비-에이징된다.
유리하게, 산 작용기는 산 작용기, 상응하는 무수물 작용기 또는 상응하는 산 염화물 작용기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르복시산 작용기는 카르복시산 작용기, 카르복시산 무수물 작용기 또는 염화아실 작용기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술폰산 작용기는 염화술포닐 작용기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인산 작용기는 염화포스포릴 작용기 형태일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는 2.5 내지 22.5 mm 사이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n-헥산올, 벤자놀, n-헵타놀, 2-에틸헥사놀, n-옥타놀, 이소-옥타놀, 이소-노날, n-노나놀, n-데카놀, 이소-데카놀, 운데카놀, 도데카놀, 트리데카놀,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펜타에리쓰리톨, 디펜타에리쓰리톨,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크레졸 또는 페놀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2-에틸헥사놀, n-옥타놀, n-데카놀, 이소-데카놀, 운데카놀, 도데카놀 또는 트리데카노롤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P2)는 독립적으로,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두 개 이상의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두 개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두 개의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두 개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술폰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인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 이의 혼합물들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두 개 이상의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산은 프탈산, 말레산, 숙신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더 바람직하게는 프탈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또는 트리멜리트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상, 트리멜리트산은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형태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문맥상, 프탈산은 프탈산 무수물 형태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또는 (P2)는 독립적으로, 식물성 오일로부터 얻어지는 에스테르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또는 (P2)는 독립적으로,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 세바케이트 화합물; 아디페이트 화합물; 폴리아디페이트 화합물; 프탈레이트 화합물; 폴리프탈레이트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 시트레이트 화합물; 폴리글루타레이트 화합물; 말레이트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테르 화합물;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화합물; 선형 또는 분지형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펜타에리쓰리톨 또는 디펜타에리쓰리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디-이소-노닐 1,2-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화합물; 포스페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또는 (P2)는 독립적으로,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 세바케이트 화합물, 아디페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 더 유리하게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또는 (P2)는 단일 종류의 화합물, 특히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 세카베이트 화합물, 아디페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 더 유리하게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이는 유리하게 코팅 내 포함되는 가소제의 폼을 향한 이동을 상당히 제한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또는 가소화 화합물(P2)는 독립적으로, 트리스-(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 디이소데실 세바케이트, 디트리데실아디페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은 트리멜리트산과, 2 내지 18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n-헵타놀, 2-에틸헥사놀, n-옥타놀, n-노나놀, n-데카놀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의 예는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Polynt DIPLAST®M8, Polynt DIPLAST®M/ST, Polynt DIPLAST®M8-10/ST이다.
특히, 트리스-(옥틸)트리멜리테이트의 상업적 제품의 예는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Diplast®TM8 (CAS: 89-04-3)이다.
특히,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의 상업적 제품의 예는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Diplast®TM8-10/ST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탈레이트 화합물 또는 폴리프탈레이트 화합물은 프탈산 무수물과, 2 내지 18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사놀, n-옥타놀, 노나놀, 이소-데카놀, n-데카놀, 운데카놀, 도데카놀, 트리데카놀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예는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DIPLAST®L11/ST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세바케이트 화합물은 세바스산과, 2 내지 18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이소데카놀 중에서 선택되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세바케이트 화합물의 예는 INEOS Enterprises에 의하여 시판되는 CEREPLAS®DIDS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아디페이트 화합물 또는 폴리아디페이트 화합물은 아디프산과, 2 내지 18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트리데카놀 중에서 선택되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아디페이트 화합물의 예는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CEREPLAS®DTDA이다. 폴리아디페이트 화합물의 예는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Polynt Polymix®150N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말레이트 화합물은 말레산과, 2 내지 18 개의 탄소 워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중에서 선택되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은 테레프탈산과, 2 내지 18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사놀 중에서 선택되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의 예는 Eastman Chemical Company에 의하여 시판되는 DEHT-Eastman®168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레이트 화합물은 시트르산 또는 에스테르화된 시트르산과, 2 내지 18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n-부타놀, n-헥사놀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스테르화된 시트르산은 그 히드록실 작용기가 아세트산 또는 부티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으로 축합된 시트르산이다.
시트레이트 화합물의 예는 KLJ Group에 의하여 시판되는 트리-n-부틸 시트레이트 ®ATBC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글루타레이트 화합물은 글루타르산과, 2 내지 18 개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3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콜,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또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두 개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테르 화합물은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아세틸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은 아세틸화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아세틸화된 글리세롤 모노-12-아세틸스테아레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아세틸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의 예는 Danisco에 의하여 시판되는 GRINSTED®SOFT-N-SAFE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 또는 분지형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은 상기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펜타에리쓰리톨 또는 디펜타에리쓰리톨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이들 화합물의 예는 Nyco에 의하여 시판된다. 발레르산과 디펜타에리쓰리톨의 축합에 의하여 얻어지는 시트레이트 화합물의 예는 Nyco에 의하여 시판되는 Nycobase® 5600이다.
상기 화합물 디-이소-노닐 1,2-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는 BASF에 의하여 시판되는 DINCH®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술포네이트 화합물은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술폰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산과, 페놀, 크레졸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페닐 크레실 술포네이트의 상업적 제품의 예는 Bayer에 의하여 시판되는 Mesamoll®(CAS : 91082-17-6)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은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인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산과, 이소데카놀, 크레졸, 2-에틸헥사놀,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된다. 포스페이트 화합물의 예는 이소-데실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또는 트리-(2-에틸헥실)포스페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가소화 화합물(P2)은 동일하거나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가소화 화합물(P2)은 동일하다. <<동일한>> 이라 함은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P2)가 공통적인 화학 구조를 가짐, 즉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P2) 모두 단일의 동일한 가소화 화합물 류로부터 유래됨을 의미한다.
유리하게,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가소화 화합물(P2)은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 디이소데실 세바케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가소화 화합물(P2)은 다르다. 유리하게,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가소화 화합물(P2)은 독립적으로,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트리스-(2-에틸헥실)트리멜리테이트,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 디이소데실 세바케이트, 디트리데실 아디페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폼은 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0 중량%의 가소화 화합물(P1),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폼 내 이러한 가소화 화합물(P1)의 백분율은 복합재 제조 동안 백분율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폼은 폐쇄된 몰드 내에서 팽창되거나 또는 1 기압 하에 자유롭게 팽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쇄된 몰드 내에서 팽창된 폼은 50 내지 300 g/리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 g/리터 범위의 밀도를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1 기압 하에 본 발명에 따른 자유롭게 팽창된 폼은 20 내지 100 g/리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g/리터의 밀도를 가진다. 상기 폼의 밀도는 23℃에서 측정된 것이다.
유리하게,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2 내지 20 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조성물(C1)의 팽창에 의하여 얻어진다. 상기 조성물(C1)은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하나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 하나 이상의 발포제 및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소제(P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의 모노머, 다이머 또는 트라이머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 폴리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PolyM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와 같은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와 같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2 내지 4 개의 작용기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예를 들어,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 또는 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400 내지 7,000 g/mol의 분자 질량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C1)은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사슬 연장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과 같은 2 이상의 작용기를 가지는 가교 분자;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과 같은 히드록실기로 임의로 치환된 3차 아민과 같은 촉매;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와 같은 유기금속염; 유화제, 미네랄 필터; 또는 섬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는 화학적 작용 또는 물리적 작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작용을 가지는 상기 발포제는 물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리적 작용을 가지는 발포제는 비고리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탄화수소 C4-C8 화합물, 더 바람직하게는 C4-C6 화합물이다. 상기 비고리형 또는 고리형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하나 이상의 에테르 작용기, 케톤 작용기 또는 아세테이트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PVC 수지는 현탁 PVC 수지, 벌크 PVC 수지, 에멀젼 PVC 수지, 마이크로현탁액 PVC 수지이다. 현탁 PVC 수지의 예는 Kem One에 의하여 시판되는 Kweert 70의 Lacovyl® S7015이다. 벌크 PVC 수지의 예는 Kem One에 의하여 시판되는 Kwert 65의 Lacovyl® GB1040이다. 에멀젼 PVC 수지의 예는 Kem One에 의하여 시판되는 Lacovyl® PB1146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PVC 수지는 현탁 중합 방법에 의하여, 벌크 중합 방법에 의하여, 에멀젼 중합 방법에 의하여 또는 마이크로현탁 중합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VC 수지는 Kwert가 5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사이인 PVC 수지들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Kwert 값은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ISO R 174 표준에 따라 평가되는 점도 지수가 100 mL의 시클로헥산 내 0.5 g의 PVC 수지 농도에서 25℃에서 측정된다. 얻어진 점도 지수에 DIN 53726 표준에 따라 주어진 Kwert 값이 상응한다.
Kwert 70의 폴리염화비닐의 상업적 제품의 예는 Kem One에 의하여 시판되는 Lacovyl® S7015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탁 PVC 수지는 3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 범위의 평균 크기를 가지는 입자 형태이다.
상기 입자의 평균 크기는 레이저 미립자측정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PVC 수지 또는 PVC 수지들의 혼합물 및 가소화 화합물(P2)을 100:50 내지 100:150, 바람직하게는 100:65 내지 100:135 범위의 [PVC 수지(들):(P2)] 질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에폭시화된 대두유 또는 에폭시화된 아마씨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화된 대두유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화된 대두유의 상업적 제품의 예는 Akros에 의하여 시판되는 Lankroflex®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은 에폭시화된 대두유 및 에폭시화된 아마씨유를 100:25 내지 바람직하게는 100:10 이하의 범위의 [PVC 수지(들):에폭시화된 대두유 또는 에폭시화된 아마씨유] 질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하나 이상의 열 안정화제, 안료, 몰드 제거제, 및 임의로 발포제 또는 UV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안정화제는 아연, 칼슘, 바륨, 마그네슘, 칼륨, 리튬 또는 주석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유기금속 염;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베타디케톤; 페놀성 항산화제; 히드로탈사이트; 제올라이트; 과염소산 염; 아인산염; 에폭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유기금속염의 예는 스테아르산 아연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UV 안정화제는 UV-흡수제 화합물, 입체 장애된 하나 이상의 아민 작용기를 가지는 광안정화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열 안정화제 및 임의로 UV 안정화제를 100:1 내지 100:10, 바람직하게는 100:3 내지 100:7 범위의 [PVC 수지(들):열 안정화제 및 임의로 UV 안정화제] 질량비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몰드 제거제를 100:3 미만의 [PVC 수지(들):몰드 제거제] 질량비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팅은 안료를 100: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3 내지 100:7 범위의 [PVC 수지(들):안료] 질량비로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료는 분말 또는 슬러리 형태이다.
유리하게, 상기 코팅은 0.5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4 mm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은
a) 두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두 개 이상의 알콜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 및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조성물(C1)을 제조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조성물(C2)을 제조하는 단계;
c) 몰드의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조성물(C2)을 증착함으로써 코팅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코팅 상에 상기 조성물(C1)을 발포하기 위하여 몰드 내에 증착하는 단계,
e) 상기 조성물(C1)로부터 폴리우레탄 폼을 수득하고, 상기 몰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C2)은 바람직하게는 분말로서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C2)은 당업자에 공지된 통상적인 몰딩 기술에 따라, 특히 분무, 로토몰딩(rotomolding) 또는 <<슬러시-몰딩>>에 의하여 몰드 내에 증착될 수 있다. 정전기 효과에 기초한 몰드 상에 상기 조성물(C2)의 증착은 분무라는 이름으로 공지되어 있다.
<<로토몰딩에 의하여 수행되는 증착>> 이라 함은 몰드 내로 투입되는 엄격히 필요한 양의 조성물(C2)을 증착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하고,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조성물(C2)은 몰드의 내부 표면 상에 증착된다. 로토몰딩을 위하여, 상기 조성물(C2)은 몇몇 가소제 내 플라스티졸, PVC 수지 분산액, 에멀젼 또는 마이크로 현탁액일 수 있다.
<<슬러시 몰딩에 의하여 수행되는 증착>> 이라 함은 요구되는 양에 비하여 상당량의 조성물(C2)을 증착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불필요한 양은 중력에 의하여 제거된다. <<슬러시 몰딩>>에서, 상기 조성물(C2)이 증착될 때, 몰드와 커플링되는 조성물(C2)을 포함하는 저장소뿐아니라 (180 내지 250℃의 표면 온도를 가지도록 미리 가열된) 몰드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가 회전한다. 접촉 시간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60 초이다. 장치의 회전수는 원하는 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선택된다. 다음, 몰드가 (C2)를 함유하는 저장소로부터 분리된다. 소위 포스트-겔링 오븐 내 임의의 두번째 통과후, 몰드를 냉각하고 코팅을 몰드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코팅은 기술들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티졸이 분무 건을 이용하여 몰드 가열 전에 몰드의 전체 또는 부분 상에 작은 두께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슬러시 몰딩 순서가 다른 색상의 조성물(C2)의 층의 증착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2-톤 스킨을 얻을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C1) 내 포함되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가소제(P1) 화합물은 조성물(C2)로부터 얻어진 코팅 상에 증착 또는 주입 직전에 친밀하게 혼합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가소화 화합물(P1)은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과 미리 혼합될 수 있으며, 그렇다면 얻어지는 혼합물을 이소시아네이트와 마지막 순간에 첨가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가소화 화합물(P1)은 분배되고 한편으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혼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과 혼합된 다음, 두 혼합물 모두 마지막 순간에 첨가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일반적으로 지지체로서 사용될 주입된 플라스틱 내 부분과 결합을 보증한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나누어져 주입). 발포는 개방 몰드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조성물(C1)을 발포 몰드 내 배치되는 코팅 상에 부은 다음, 폼의 총 팽창시까지 몰드를 닫는다. 반응성 혼합물은 대안적으로 폐쇄된 몰드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합 또는 비통합된 에어백을 가지는 대쉬보드, 에어백 해치, 글로브박스, 중앙 콘솔, 트림 또는 도어 패널 중에서 선택되는 자동차 구획부용 패널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코팅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폼 내에서, 상기 폼 내 하나의 가소화 화합물(P2)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1)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 세바케이트 화합물, 아디페이트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코팅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폼 내에서, 상기 폼 내로 가소화 화합물(P2)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 세바케이트 화합물, 아디페이트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가소화 화합물(P1)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소화 화합물 내용물이 코팅 내 포함되는 가소제의 폴리우레탄 폼을 향한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이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예시된다.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복합재(1), (2) 및 비교 복합재(3)
1.1 폼 조성물(C1-1) 내지 (C1-3)
- 폼 조성물(C1-1), (C1-2) 및 (C1-3)의 배합
Figure pct00001
(1) 브랜드 Desmodur® 581F07M 하에 시판되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브랜드 Bayfill®531F40U 하에 시판되는 폴리올을 포함하는 Bayer Material Science로부터의 상업적 제제
(2)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는 브랜드 Diplast® TM8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된다.
- 폼 조성물(C1-1), (C1-2) 및 (C1-3)의 제조
조성물(C1-1)을 얻기 위하여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상기 폴리올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기 내에서 10 초 동안 1,000 rpm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조성물(C1-2) 및 (C1-3)을 조성물(C1-1)과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1.2. PVC 조성물 ( C2 -1)
- PVC 조성물(C2-1)의 배합
Figure pct00002
(2)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는 브랜드 Diplast® TM8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된다.
- 분말로서 PVC 조성물(C2-1)의 제조
신속 자켓팅 믹서 내에서, 상기 PVC 현탁액(Kwert 70), 상기 열 및 UV 안정화제, 상기 에폭시화된 대두유 및 안료를 함께 혼합하였다. 자켓의 온도는 약 140℃이다. 상기 혼합물(PVC 현탁액(Kwert 70) - UV 및 열 안정화제 - 안료 - 에폭시화 대두유)이 80 내지 120℃ 온도에 도달할 때, 80 내지 100℃ 온도로 미리 가열된 상기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를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에 따라 수득된 혼합물을 PVC 현탁액(Kwert 70)에 의한 가소제의 총 흡수시까지 혼합한 다음, 저온 혼합물 내로 이송한다. 분말로서 조성물(C2-1)을 얻기 위하여 50℃로 냉각된 혼합물에 PVC 에멀젼 수지를 첨가한다.
1.3. 조성물( C1 -1) 및 ( C2 -1)로부터 복합재(1)의 제조
분말로서 조성물(C2-1) 250 g을 230℃로 미리 가열된 니켈 몰드 상에 붓는다. 20 초 후, 과량의 분말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를 뒤집은 후, 적절한 겔링을 보증하기 위하여 30 초 동안 오븐 내에 다시 넣는다. 냉각 후, 스킨을 몰드로부터 제거한다. 수득된 스킨은 약 1.2 mm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조성물(C1-1)을, 10초 혼합 후, 10 mm 높이의 발포 몰드 내로 상기 몰드 바닥에 미리 배치된 코팅 상에 붓는다. 이에 따라 수득된 어셈블리(몰드-코팅-조성물(C1-1))를 상기 조성물(C1-1)로부터 수득된 폼의 완전한 팽창시까지 5 분 동안 프레스 내에 배치한 다음, 복합재(1)를 수득하기 위하여 어셈블리(코팅-폼)를 몰드로부터 제거한다.
1.4 조성물( C1 -2) 및 ( C2 -1)로부터 복합재(2)의 제조
복합재(2)를 조성물(C1-2) 폼 및 PVC 배합물(C2-1)로부터 복합재(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한다.
1.5. 조성물( C1 -3) 및 ( C2 -1)로부터 비교 복합재(3)의 제조
비교 복합재(3)를 조성물(C1-3)의 폼 및 PVC 배합물(C2-1)로부터 복합재(1)를 제조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한다. 복합재(1) 내지 (3)에 대하여 얻어지는 폼의 밀도는 150 내지 190 g/l이다.
실시예 2: 에이징 후 복합재(1), (2) 및 (3)의 코팅의 기계적 특성의 측정
복합재 (1), (2) 및 (3)을 500 시간 동안 120℃의 온도에서 열풍 오븐 내에 놓았다.
에이징된 복합재(1), (2) 및 (3)의 코팅들을 폼으로부터 분리하고, 에이징 후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이-스탬핑에 의하여 컷팅하기 전에 과량의 폼을 금속 도구로 제거한다.
참조 1은 조성물(C2-1)로부터 제조된 참조 코팅이고 폴리우레탄 폼과 접촉되지 않은 비-에이징된 코팅에 해당한다.
기계적 특성들을 23℃ 및 100 mm/분에서 ISO527-3 표준에 따라 측정한다.
측정된 기계적 특성들은 MPa로 측정되는 파단 강도(인장 강도에 대하여 TS), 백분율로서 측정되는 파단 연신율(인장 연신율에 대하여 TE), 및 MPa로 측정되는 50% 연신시 응력(TS50%)이다. 이러한 기계적 특성들의 값과 비-에이징된 코팅(참조 1)에 대한 이러한 기계적 특성들의 변화를 표 1에 제공한다. 추출에 의하여 투여량에 의하여 결정되는 PVC 코팅 내 PVC 중량에 대한 가소제 중량 함량 또한 표 1에 제공한다.
[표 1]
참조 1에 대하여 에이징을 거친 복합재(1), (2) 및 (3)의 코팅의 기계적 특성 및 가소제 수준
Figure pct00003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1) 및 (2)의 코팅의 경우, 기계적 특성 변화는 폼 내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3)의 코팅보다 훨씬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폼 내 가소제 존재로 인한, 복합재(1) 및 (2)의 코팅의 경우 PU 폼을 향한 코팅 내 포함되는 가소제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의 더 적은 이동에 의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3: 비교 복합재(4) 및 복합재(5) 내지 (11)
3.1. 폼 조성물( C1 -4) 내지 ( C1 -11)
- 폼 조성물(C1-4) 내지 (C1-11)의 배합
Figure pct00004
(1) 참조 번호 E3595/100로서 시판되는 폴리올 및 참조 번호 Iso 133/6 하에 시판되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브랜드 BASF Elastoflex® 하에 시판되는 BASF로부터의 상업적 배합물
(2)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는 브랜드 Diplast® TM8-10/ST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된다.
- 폼 조성물(C1-4) 내지 (C1-1)의 제조
조성물(C1-4) 내지 (C1-11)을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물(C1-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시험을 또한 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폼 내 48 중량%의 가소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나, 폼은 팽창하지 않는다.
3.2. PVC 조성물( C2 -2)
- PVC 조성물(C2-2)의 배합
Figure pct00005
(2)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는 브랜드 Diplast® TM8-10/ST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된다.
- 분말로서 PVC 조성물(C2-2)의 제조
조성물(C2-2)을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물(C2-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3.3. 조성물( C1 -4) 내지 ( C1 -11) 및 ( C2 -2) 각각으로부터 복합재 (4) 내지 11)의 제조
복합재(4) 내지 (11)을 조성물(C1-4) 내지 (C1-11) 및 (C2-2) 배합물로부터 실시예 1에 기재된 복합재(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수득된 복합재(4) 내지 (11)의 스킨은 약 1.2 mm의 두께를 가진다. 복합재(4) 내지 (11)에 대하여 수득된 폼의 밀도는 150 내지 300 g/l 사이에 포함된다.
실시예 4: 복합재(4) 내지 (11)의 코팅의 경시 기계적 특성 측정
복합재(4) 내지 (11)을 480 시간 동안 120℃의 온도에서 열풍 오븐 내에 놓았다.
에이징을 거친 복합재(4) 내지 (11)의 코팅(4) 내지 (11)을 폼으로부터 분리하고, 경시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이 스탬핑에 의하여 컷팅하기 전에 과량의 폼을 제거한다.
이하 표 2의 참조 2는 조성물(C2-2)로부터 제조되는 참조 코팅으로 폴리우레판 폼과 접촉되지 않은 비-에이징된 코팅에 해당한다.
이하 표 2의 참조 3은 조성물(C2-2)로부터 제조되는 참조 코팅으로, 조성물(C1-4)로부터 제조되는 폼으로 발포된 다음, 주변 온도 및 압력에서 24 시간 저장 후 폼으로부터 분리된 비-에이징된 코팅에 해당한다.
기계적 특성들을 23℃ 및 100 mm/분에서 ISO527-3 표준에 따라 측정한다. 측정된 기계적 특성들은 MPa로 측정되는 파단 강도(인장 강도에 대하여 TS), 백분율로서 측정되는 파단 연신율(인장 연신율에 대하여 TE), 및 MPa로 측정되는 50% 연신시 응력(TS50%)이다. 이러한 기계적 특성들의 값과 비-에이징된 코팅(참조 1)에 대한 이러한 기계적 특성들의 변화를 표 2에 제공한다. 추출에 의한 투여량에 의하여 결정되는 PVC 코팅 내 PVC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수준 또한 표에 제공한다.
[표 2]
참조 2 및 3에 대하여 에이징을 거친 복합재(4) 내지 (11)의 코팅의 기계적 특성 및 가소제 수준
Figure pct00006
비-에이징된 코팅에 대한 기계적 특성 변화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5) 내지 (11)의 코팅의 경우 복합재(4)의 코팅과 달리 감소한다. 가소제 수준은 복합재(4)의 코팅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5) 내지 (11)의 코팅의 경우 현저히 더 높다. 따라서, 폼이 처음에 가소제를 포함할 때 코팅으로부터 폼으로 가소제 이동 감소가 관찰된다.
실시예 5: 최초 반응 시간 및 최종 반응시간의 측정 및 복합재( C1 -4) 내지 (C1-11)의 폼의 밀도 측정
조성물(C1-4) 내지 (C1-11)의 폴리우레탄 폼의 반응성에 대한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의 존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폼을 3 리터 용기 내에서 자유롭게 팽창시켰다.
폴리올 및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를 약 20 초 동안 미리 혼합한 다음,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 초 동안 1,000 rpm에서 혼합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첨가되는 순간을 출발점으로 하여, 최초 반응 및 최종 반응 시간을 23℃ 및 50% 습도 분위기 내에서 측정하였다. 자유롭게 팽창된 폼의 밀도 또한 측정하였다. 기계적 특성을 자유롭게 팽창된 폼 상에서 100 mm/분으로 압축하여 측정하였다. 상응하는 50% 압축시 압축 강도를 이하 표에 제공한다. 이러한 측정들을 표 3에 나타낸다.
[표 3]
최초 반응 및 최종 반응시간의 측정 및 조성물(C1-4) 내지 (C1-11)의 폼의 밀도 및 50% 압축시 강도의 측정
Figure pct00007
조성물(C1-5) 내지 (C1-10) 내 가소제 첨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반응 속도를 가소제 첨가량에 따라 감속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또한, 이러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반응 속도의 감속은 가소제 수준이 3 내지 30% 사이인 조성물(C1-5) 내지 (C1-10) 보다 40% 가소제 수준을 포함하는 조성물(C1-11)의 경우 더 현저한 것으로 관찰된다. 나아가, 조성물(C1-11)의 경우, 자유롭게 팽창되는 발포는 조성물(C1-5) 내지 (C1-10)에 비하여 극도로 감속되는 것으로 관찰된다. 또한,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C1-5) 내지 (C1-11)의 폼의 밀도는 조성물(C1-4)의 폼의 밀도에 비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특히, 폼 내 가소제 수준이 증가하면 조성물(C1-5) 내지 (C1-11)의 폼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또한, 조성물(C1-5) 내지 (C1-11)의 폼은 조성물(C1-4)의 폼에 비하여 신축성이 있다. 그러나, 조성물(C1-11)로부터 얻어진 폼은 조성물(C1-5) 내지 (C1-10)로부터 얻어진 폼들과 비교하여 저하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이는 80 g/L 보다 큰, 특히 88 g/L 보다 큰 밀도 및 7 kPa의 50% 압축 강도에 의하여 표현된다.
실시예 6: 복합재(12) 내지 (15)
6.1 폼 조성물( C1 -12) 내지 ( C1 -15)
- 폼 조성물(C1-12) 내지 (C1-15)의 배합
Figure pct00008
(2)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는 브랜드 Diplast® TM8-10/ST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된다.
(3) 브랜드 CHE-360N® 하에, JCPST (Jiangsu Changhua Polyurethane Science & Technology Co., Ltd.)에 의하여 시판되는 33.5 내지 36.5 mg KOH/g의 -OH 작용기 수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4) 브랜드 CHP-H45® 하에 JCPST에 의하여 시판되는, 19 내지 23 mg KOH/g의 -OH 작용기 수를 가지는 폴리올.
(5) 부탄-1,4-디올, 트리에탄올아민, DBTDL (Di-N-부틸디라우릴주석- CAS 넘버 77-58-7), 및 아세트산칼륨 25% EC는 Sinopharm chemical reagent Co. Ltd.에 의하여 시판된다.
(6) 브랜드 PM-200® 하에 Yantai Wanhua Polyurethane Co., Ltd.에 의하여 시판되는 2.6 내지 2.7 사이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 수준을 가지는 메틸렌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폴리머.
- 폼 조성물(C1-12) 내지 (C1-15)의 제조
폴리올 조성물 제품들을 5 분 동안 분당 2,000 회전수로 회전하는 실험실용 믹서에 의하여 미리 혼합한다. 다음, 앞서 얻어진 폴리올 조성물에 가소제를 첨가한 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을 20 초 동안 혼합한다. 다음,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앞서 얻어진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에 첨가한 후, 전체를 약 10 초 동안 혼합한다.
6.2 PVC 조성물 ( C2 -3)
- PVC 조성물(C2-3)의 배합
Figure pct00009
(2)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는 브랜드 Diplast® TM8-10/ST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된다.
- 분말로서 PVC 조성물(C2-3)의 제조
조성물(C2-3)을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물(C2-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6.3 조성물( C1 -12) 내지 ( C1 -15)로부터 복합재(12) 내지 (15)의 제조
복합재(12) 내지 (15)를 조성물(C1-12) 내지 (C1-15) 및 PVC 배합물(C2-3)으로부터 실시예 1에 기재된 복합재(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수득된 복합재(12) 내지 (15)의 스킨은 약 1.2 mm의 두께를 가진다.
복합재(12) 내지 (!5)에 대하여 수득된 폼의 밀도는 140 내지 200 g/L 사이이다.
실시예 7: 복합재(12) 내지 (15)의 코팅의 기계적 특성의 측정
복합재(12) 내지 (15)를 500 시간 동안 120℃의 열풍 오븐 내에 놓았다.
에이징을 거친 복합재(12) 내지 (15)의 코팅 (12) 내지 (15)를 폼으로부터 분리하고, 경시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이 스탬핑에 의하여 컷팅하기 전에 금속 도구를 이용하여 과량의 폼을 제거하였다.
아래 표 4의 참조 4는 조성물(C2-3)로부터 제조된 참조 코팅으로서, 조성물(C1-12)로부터 수득된 폼과 접촉된 후 주변 온도 및 압력에서 24 시간 저장 후 폼으로부터 분리된 비-에이징된 코팅에 해당한다.
추출에 의하여 투여량에 의하여 결정되는 PVC 코팅 내 PV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가소제 중량 함량 또한 표에 제공된다.
[표 4]
참조 4와 비교하여 에이징을 거친 코팅(12) 내지 (15)의 기계적 특성 및 가소제 수준
Figure pct00010
비-에이징된 코팅에 비하여 기계적 특성 변화는 복합재(12)의 코팅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13) 내지 (15)의 코팅의 경우 감소된다. 가소제 수준은 복합재(12)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13) 내지 (15)의 코팅의 경우 현저히 더 높다. 따라서, 폼이 처음에 가소제를 포함할 때 코팅으로부터 폼으로 가소제 이동 감소가 관찰된다.
실시예 8: 최초 반응 및 최종 반응 시간의 측정 및 조성물( C1 -12) 내지 (C1-15)의 폼의 밀도 측정
조성물(C1-12) 내지 (C1-15)의 폴리우레탄 폼의 반응성에 대한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의 존재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폼을 3 리터 용기 내에서 자유롭게 팽창시켰다.
상기 폴리올 조성물 및 트리스-(n-옥틸, n-데카닐)트리멜리테이트를 약 20 초 동안 미리 혼합한 다음,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 초 동안 1000 rpm에서 혼합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첨가되는 순간을 출발점으로 하여, 최초 반응 및 최종 반응 시간을 23℃ 및 50% 습도에서 주변 대기에서 측정하였다. 자유롭게 팽창된 폼의 밀도 또한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을 표 5에 나타낸다.
[표 5]
최초 반응 및 최종 반응의 측정 및 조성물(C1-12) 내지 (C1-15)의 밀도 측정
Figure pct00011
조성물(C1-13) 내지 (C1-15) 내 가소제 첨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반응 속도를 가소제 첨가량에 비례하여 감속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또한,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C1-13) 내지 (C1-15)의 폼의 밀도는 조성물(C1-12)의 폼의 밀도와 비교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특히, 폼 내 가소제 수준이 증가하면 조성물(C1-13) 내지 (C1-15)의 폼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실시예 9: 복합재(16) 내지 (19)
9.1 폼 조성물( C1 -16) 내지 ( C1 -19)
- 폼 조성물(C1-16) 내지 (C1-19)의 배합
Figure pct00012
(1) 참조 번호 E3595/100 하에 시판되는 폴리올 및 참조 번호 iso 133/6 하에 시판되는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브랜드 BASF Elastoflex® 하에 시판되는 BASF로부터의 상업적 배합물.
(2) 브랜드 Diplast® TM8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3) 브랜드 CEREPLAS DIDS 하에 INEOS Enterprises에 의하여 시판되는 디-(이소데실)세바케이트.
- 폼 조성물 (C1-16) 내지 (C1-19)의 제조
조성물(C1-16) 내지 (C1-19)를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물(C1-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9.2 PVC 조성물 ( C2 -4)
- PVC 조성물(C2-4)의 배합
Figure pct00013
(2) 브랜드 Diplast® TM8 하에 Polynt에 의하여 시판되는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3) 브랜드 CEREPLAS DIDS 하에 INEOS Enterprises에 의하여 시판되는 디-(이소데실)세바케이트.
- 분말로서 PVC 조성물(C2-4)의 제조
조성물(C2-4)을 실시예 1에 기재된 조성물(C2-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수득한다.
9.3 조성물 ( C1 -16) 내지 ( C1 -19)로부터 복합재(16) 내지 (19)의 제조
조성물(C1-16) 내지 (C1-19) 및 PVC 배합물(C2-4)로부터 실시예 1에 기재된 복합재(1)의 제조 방법과 유사하게 복합재(16) 내지 (19)를 수득한다.
수득된 복합재(16) 내지 (19)의 스킨은 약 0.9 mm의 두께를 가진다.
복합재(16) 내지 (19)에 대하여 수득된 폼의 밀도는 170 내지 230 g/l 사이이다.
실시예 10: 복합재(16) 내지 (19)의 코팅의 기계적 특성의 측정
복합재(16) 내지 (19)를 500 시간 동안 120℃의 열풍 오븐 내에 놓았다.
에이징을 거친 복합재(16) 내지 (19)의 코팅 (16) 내지 (19)를 폼으로부터 분리하고, 경시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이 스탬핑에 의하여 컷팅하기 전에 금속 도구를 이용하여 과량의 폼을 제거하였다.
아래 표 6의 참조 5는 조성물(C2-4)로부터 제조된 참조 코팅으로서, 조성물(C1-16)로부터 수득된 폼과 접촉된 후 주변 온도 및 압력에서 24 시간 저장 후 폼으로부터 분리된 비-에이징된 코팅에 해당한다.
추출에 의하여 투여량에 의하여 결정되는 PVC 코팅 내 PVC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가소제 중량 함량 또한 표에 제공된다.
[표 6]
참조 5에 비하여 에이징을 거친 코팅(16) 내지 (19)의 기계적 특성 및 가소제 수준
Figure pct00014
비-에이징된 코팅에 비하여 기계적 특성 변화는 복합재(16)의 코팅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17) 내지 (19)의 코팅의 경우 감소된다. 가소제 수준은 복합재(16)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17) 내지 (19)의 코팅의 경우 현저히 더 높다. 따라서, 폼이 처음에 가소제를 포함할 때 코팅으로부터 폼으로 가소제 이동 감소가 관찰된다.
나아가, 코팅(17) 내지 (19)의 적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에이징을 거친 코팅(18) 내 포함되는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및 디-(이소데실)세바케이트 내 상대적인 조성이 비-에이징된 코팅(참조 5) 내 포함된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 및 디-(이소데실)세바케이트의 상대적 조성이 가장 근접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에이징을 거친 코팅(17)의 경우, 적외 분석에 의하여, 코팅(17) 내 포함된 트리스-(n-옥틸)트리멜리테이트의 상대적 함량이 비-에이징된 코팅(참조 5) 보다 큰 것으로 관찰된다. 이와 반대로, 에이징을 거친 코팅(19)은 비-에이징된 코팅(참조 5) 보다 디-(이소데실)세바케이트가 상대적으로 풍부하다.

Claims (14)

  1.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폼;
    -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코팅
    을 포함하는 복합재로서,
    상기 폼은 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30 중량%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되는 동안, 상기 폼은 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30 중량%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복합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에이징되지 않은, 복합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은 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 중량%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복합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및 가소화 화합물(P2)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복합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또는 (P2)는 독립적으로, 식물성 오일로부터 얻어지는 에스테르들 중에서, 또는 하기 성분들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복합재: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두 개 이상의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두 개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두 개의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두 개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술폰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포화 또는 불포화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인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 및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 이의 혼합물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화합물(P1) 또는 가소화 화합물(P2)은 독립적으로, 트리멜리테이트 화합물; 세바케이트 화합물; 아디페이트 화합물; 폴리아디페이트 화합물; 프탈레이트 화합물; 폴리프탈레이트 화합물; 테레프탈레이트 화합물; 시트레이트 화합물; 폴리글루타레이트 화합물; 말레이트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테르 화합물; 아세틸화 모노글리세라이드 화합물; 선형 또는 분지형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글리세롤, 디글리세롤,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모노펜타에리쓰리톨 또는 디펜타에리쓰리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디-이소-노닐 1,2-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 술포네이트 화합물; 포스페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복합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PVC 수지 또는 PVC 수지들의 혼합물, 및 가소화 화합물(P2)을 100:50 내지 100:150, 바람직하게는 100:65 내지 100:135 범위의 [PVC 수지(들):(P2)] 질량비로 포함하는, 복합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에폭시화된 대두유 또는 아마씨유, 바람직하게는 에폭시화된 대두유를 추가로 포함하는, 복합재.
  10.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폼;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a) 두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두 개 이상의 알콜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 하나 이상의 발포제,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1)을 포함하는 조성물(C1)을 제조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조성물(C2)을 제조하는 단계;
    c) 몰드의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조성물(C2)을 증착함으로써 코팅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코팅 상에 상기 조성물(C1)을 발포 몰드 내에 증착하는 단계,
    e) 상기 조성물(C1)로부터 폴리우레탄 폼을 수득하고 상기 몰드로부터 복합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복합재.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0항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복합재.
  13. 통합된(integrated) 또는 비통합된(non-integrated) 에어백을 가지는 대쉬보드, 에어백 해치, 글로브박스, 트림 또는 도어 패널 중에서 선택되는 자동차 구획부를 위한 패널 제조용,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재의 용도.
  14. 하나 이상의 PVC 수지, 및 선형, 환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2)을 포함하는 코팅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화합물의 폼 내에서, 상기 폼 내 가소화 화합물(P2)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선형, 환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C4-C21 알킬 사슬을 포함하고 카르복시산 작용기, 술폰산 작용기 또는 인산 작용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산과,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간의 축합으로부터 유래되는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화 화합물(P1)의 용도.
KR1020167011910A 2013-11-04 2014-11-04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 KR20160100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0795 2013-11-04
FR1360795A FR3012815B1 (fr) 2013-11-04 2013-11-04 Composite comprenant une mousse polyurethane plastifiee et un revetement en resine pvc plastifie
PCT/EP2014/073704 WO2015063325A1 (fr) 2013-11-04 2014-11-04 Composite comprenant une mousse polyuréthane plastifiée et un revêtement en résine pvc plastifi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916A true KR20160100916A (ko) 2016-08-24

Family

ID=4999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910A KR20160100916A (ko) 2013-11-04 2014-11-04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280878A1 (ko)
EP (1) EP3066143A1 (ko)
JP (1) JP2016538410A (ko)
KR (1) KR20160100916A (ko)
CN (1) CN105849147A (ko)
FR (1) FR3012815B1 (ko)
MX (1) MX2016005703A (ko)
WO (1) WO2015063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94B1 (ko) * 2014-12-12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쉬패드
CN105968403B (zh) * 2016-05-19 2017-09-29 晋江国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共成型来制备彩色tpu成型体的方法
EP3705523A4 (en) 2017-11-02 2021-05-26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OF RESIN BASED ON VINYL CHLORIDE FOR POWDER FORMATION, BODY MOLDED IN RESIN BASED ON VINYL CHLORIDE, AND LAMINATE
GB2569608B (en) 2017-12-21 2022-10-26 Altro Ltd Plasticiser composition
PL3765540T3 (pl) * 2018-03-13 2023-04-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ianka lepkosprężysta
CN112193201A (zh) * 2020-08-12 2021-01-08 艾曲尔(苏州)新能源汽车零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聚氨酯表皮包覆的气囊盖板及其成型模具、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600A (en) * 1976-11-18 1977-08-30 Armstrong Cork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plasticizer migration from 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 substrates
US4526908A (en) 1983-10-18 1985-07-02 Stepan Company Polyol blends of phthalate/trimellitate esters for polyurethane-polyisocyanurate foams
JPS61253242A (ja) * 1985-05-02 1986-11-11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
JP2711866B2 (ja) * 1988-09-22 1998-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塩化ビニル表皮をもつ一体発泡成形体
US5232956A (en) * 1991-08-05 1993-08-03 Monsanto Company Flexible water-blown polyurethane foams
FR2730739A1 (fr) * 1995-02-20 1996-08-23 Zeon Kasei Kk Composition de resine de type chlorure de vinyle, procede consistant a obtenir un moulage en resine de type chlorure de vinyle en utilisant la composition et stratifie contenant le moulage
FR2750700B1 (fr) 1996-07-02 1998-09-18 Atochem Elf Sa Mousse a peau integre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5750583A (en) * 1997-05-28 1998-05-12 Bayer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polyurethane products
JP3834731B2 (ja) * 1997-09-18 2006-10-1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積層体
DE10220250A1 (de) 2002-05-06 2003-11-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ulyurethanhalbhartschaumstoffen
DE102004060042A1 (de) * 2004-12-14 2006-06-29 Lanxess Deutschland Gmbh Estermischungen
FR2892124B1 (fr) * 2005-10-18 2010-09-10 Arkema Composition a base de resines thermoplastiques de pvc plastifiees pour la realisation de peaux composites pour parties d'habitacle de vehicule.
WO2007101968A2 (fr) 2006-03-08 2007-09-13 Arkema France Composition a base de resines thermoplastiques pour la realisation de peaux monocouche ou composites a aspect mouchete pour parties d'habitacle de vehicule et son procede d'obtention
JP5729552B2 (ja) * 2011-03-23 2015-06-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0878A1 (en) 2016-09-29
FR3012815B1 (fr) 2017-03-24
WO2015063325A1 (fr) 2015-05-07
FR3012815A1 (fr) 2015-05-08
MX2016005703A (es) 2016-11-25
JP2016538410A (ja) 2016-12-08
EP3066143A1 (fr) 2016-09-14
CN105849147A (zh)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0916A (ko) 가소화된 폴리우레탄 폼 및 가소화된 pvc 수지로 이루어진 코팅을 포함하는 복합재
JP6426889B2 (ja) ポリオールとイソシアネートとの反応生成物をベースとする成形品
EP2867268B1 (en) Method for making skinned polyurethane foam composites
JP2008138196A (ja) プラスチック複合材料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20510B1 (en) Aliphatic, low-emission thermoplastic polyurethane molding materials suitable for sintering
US5760098A (en) Process for producing low-emission polyurethane moldings and composite bodies and their use
CN112501923B (zh) 一种汽车内饰包覆pu皮革及其制备方法
EP0490145B1 (de) Polyvinylchlorid-Polyurethanschaumstoff-Verbundele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zur Herstellung des Polyurethanschaumstoffs verwendbare flüssige, Urethangruppen enthaltende Polyisocyanatmischungen
KR20220030254A (ko) 반-강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형 및 발포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WO2023275029A1 (de) Herstellung von pu-schaumstoffen unter einsatz von recycling-polyolen
EP4112688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vinyl chloride resin molded article, and laminate
EP2867014B1 (en) Skinned substrates with highly crosslinked polyurethane layer
KR102557201B1 (ko) 경화성 조성물
CN117916312A (zh) 氯乙烯树脂用增塑剂、氯乙烯树脂组合物及其成形品以及层叠体
WO2024070985A1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WO2024070506A1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JPS6191238A (ja) 粉末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2024065973A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塩化ビニル樹脂成形体および積層体
WO2021204603A1 (de) Verbundelemente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und polyuretha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S60202114A (ja) ウレタンフオ−ム用配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