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067A -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 - Google Patents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067A
KR20160100067A KR1020150022568A KR20150022568A KR20160100067A KR 20160100067 A KR20160100067 A KR 20160100067A KR 1020150022568 A KR1020150022568 A KR 1020150022568A KR 20150022568 A KR20150022568 A KR 20150022568A KR 20160100067 A KR20160100067 A KR 2016010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functional
aged
days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도
Original Assignee
최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도 filed Critical 최명도
Priority to KR102015002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0067A/ko
Publication of KR2016010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와, 상기 채밀한 벌꿀과 식물 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발효 및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벌꿀로부터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이 제거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재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건조물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극대화시켜 벌꿀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공급하도록 하고, 벌꿀의 성분 역시 강화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하며, 벌꿀의 풍미를 우수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유밀기나 무밀기 등의 생산시기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천연 벌꿀을 생산할 수 있어, 농촌에 부가가치가 높은 소득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HONEY AND THE FUNCTIONAL HONEY}
본 발명은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벌꿀과 식물 건조물을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그 발효물을 꿀벌이 섭취하도록 하여 다시 천연벌꿀을 채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벌꿀은 꿀벌들이 꽃의 밀선에서 꽃꿀(화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 및 숙성시킨 것으로 정의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꿀벌이 여러 식물의 밀선에서 수집한 향기롭고 점조성(粘稠性)이 있는 단물질로서 꿀벌의 침속에 함유된 파로틴이라는 물질과 혼합하여 그들의 식량으로 전화(轉化)시켜 벌집 내에 저장된 것이다. 이러한 벌꿀은 산성반응을 나타내며 2개의 단당류로 되어 있고 때로는 더 복잡한 탄수화물, 무기물, 식물성 색소, 효소 및 화분을 함유하고 있다.
벌꿀은 빛깔이나 향기, 맛 및 성분 등이 꿀벌이나 꽃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당분이 83% 정도를 차지하고 수분이 17% 정도를 차지하게 되며, 이때 당분은 주성분이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꽃꿀에 있던 자당(蔗糖; sucrose)이 꿀벌의 타액에서 나오는 전화효소의 작용에 의해 변화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포도당과 과당을 주성분으로 하는 벌꿀은 그 외에도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및 인체에 유효한 효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귀중하게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약용이나 공업용, 화장용 및 육아식품용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고 다음과 같은 작용, 효능 및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벌꿀은 단당류이기 때문에 흡수가 쉬워 체내에 쉽고 빠르게 동화되며, 영양가가 높고 칼로리원으로서 바라는 에너지를 곧 얻을 수 있는 속효성이 있으며, 사람의 피로를 급속히 회복시켜줄 뿐만 아니라 유아의 발육촉진에도 좋다. 또한, 육체를 진정시키는 진정효과가 있고, 위장의 내벽을 자극하지 않으며 모든 당분 중 신장을 가장 자극하지 않는다. 그리고 빈혈과 간장병 등의 예방과 치료에 좋고, 벌꿀의 강한 흡습성에 의하여 미용효과가 있다.
이러한 벌꿀의 종류로는 자연 숙성꿀, 농축꿀, 사양꿀이 있는데, 먼저 자연 숙성꿀은 벌들이 화밀을 체취한 후 발효시킨 것으로, 수분 함량이 19% 이내가 되도록 발효시킨 것을 의미한다. 상기 농축꿀은 벌들이 숙성꿀과 동일하게 화밀을 채취한 후 발효시킨 것이나, 수분 함량이 19% 이상인 미숙성 꿀을 저온 진공 상태로 수분을 없애 생산한 꿀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사양꿀은 벌들에게 설탕물을 먹여 생산한 꿀로서, 식품 위생법에서는 위반되지 않지만 자연 벌꿀이라고는 할 수 없는 꿀벌을 이용한 가공식품이다.
상기 사양꿀은 자연 숙성꿀 특유의 천연 고유 성분을 포함하지 못해, 기능성이 거의 없는 것이나, 자연 숙성꿀 및 농축꿀은 인간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자연 건강식품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한편, 이러한 벌꿀의 성분 및 기능성을 더욱 강화하여 인간의 생활에 더욱 증진된 작용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성과는 극히 미흡하다 할 수 있다.
기능성을 강화한 벌꿀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3725호의 '기능성 물질 추출액을 첨가하여 친환경 벌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 벌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5153호의 '기능성 벌꿀 제조가공 및 그 방법' 등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기생산된 벌꿀에다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농축액을 혼합하여 가공된 꿀을 생산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들은 단순 첨가방식에 의존하므로 벌꿀의 성분에 응용물질의 성분을 최대한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을뿐더러 벌꿀의 성분 및 효능을 증대 또는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KR 10-1303725 B1 KR 10-1325153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벌꿀과 식물 건조물을 혼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식물 건조물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극대화시켜 벌꿀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물 건조물의 발효물을 꿀벌에게 급여하고, 다시 벌꿀을 채밀함으로써, 벌꿀의 성분 강화를 통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하고, 벌꿀의 풍미를 우수하게 하며, 유밀기나 무밀기 등의 생산시기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천연 벌꿀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은,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와, 상기 채밀한 벌꿀과 식물 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벌꿀로부터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이 제거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재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꿀벌에게 급여하는 단계와, 상기 급여한 벌꿀로부터 기능성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식물 건조물은 건조 산야초, 건조 한약재 및 건조 과일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건조물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극대화시켜 벌꿀에 부족한 영양성분을 공급하도록 하고, 벌꿀의 성분 역시 강화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하며, 벌꿀의 풍미를 우수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유밀기나 무밀기 등의 생산시기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천연 벌꿀을 생산할 수 있어, 농촌에 부가가치가 높은 소득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능성 벌꿀의 제조방법은 사양꿀 등에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농축액을 단순히 혼합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되어 왔는데, 이러한 방법은 단순한 혼합방법에 의한 것으로 벌꿀의 기능성을 강화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사양꿀의 사용으로 벌꿀의 영양성분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 역시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식물 건조물을 벌꿀과 혼합하고, 이를 저온에서 발효, 숙성시킴으로써, 식물 건조물에 포함된 기능성 물질을 극대화하고, 다량의 발효효소를 포함하여 벌꿀의 기능성을 높인 것이며, 벌꿀의 풍미 역시 높인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발효물을 다시 벌꿀에게 급여하여 채밀함으로써, 더욱 풍미가 우수한 벌꿀의 생산이 가능하며, 벌꿀의 기능성 역시 더욱 강화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능성 물질이란 토코페롤, 사포닌 등의 항산화 물질 등을 의미하는바, 인체에 유익하다고 알려진 다양한 유효성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와, 상기 채밀한 벌꿀과 식물 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벌꿀을 0~3℃에서 80~90일간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숙성된 벌꿀로부터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이 제거된 벌꿀을 0~3℃에서 80~90일간 재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
먼저, 벌꿀을 채밀한다. 이때의 벌꿀로는 자연 숙성 벌꿀을 채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수분함량이 19% 이상인 미숙성의 벌꿀을 채밀하여 농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사양꿀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사양꿀의 경우 설탕을 급여하여 생산한 것이기 때문에 벌꿀의 기능성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채밀한 벌꿀과 식물 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채밀한 벌꿀에 식물 건조물을 혼합한다. 이때, 사용되는 식물 건조물은 다양한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벌꿀과 혼합할 경우 벌꿀 내에 포함된 효소에 의해 식물 건조물이 발효됨으로써 그 유효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이 더욱 풍부해지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식물 건조물로는 건조 산야초, 건조 한약재 및 건조 과일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산야초, 한약재, 과일을 깨끗이 세척하고, 저온에서 건조하여서 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식물을 저온에서 건조하는 이유는 고온 건조에 의해 기능성 물질들 및 각종 영양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나, 그 온도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자연건조, 30~60℃ 정도의 온풍 건조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을 필요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식물 건조물의 수분 함유량 역시 제한하지 않으나, 수분 함유량이 20~40% 정도인 상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한 수분 함유량을 벗어난 완전 건조상태의 식물 건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야초로 곰보배추, 돌미나리, 머위, 산뽕, 감잎, 두충, 야관문, 명아, 산복숭아잎, 명아주, 쥐오줌풀, 모시물퉁이, 토끼풀, 뽕잎, 강활, 맑은대쑥, 칡, 솔잎, 씀바귀, 쑥, 냉이, 개복숭아, 더덕, 둥글레, 두릅, 달래, 머루, 도라지, 박하잎, 다래, 참나리, 질경이, 고비, 머루, 개살구, 산딸기, 취나물, 원추리, 미나리, 고사리, 잔대, 삽주, 마타리, 개암, 갓, 오디, 토마토, 마, 케일, 인진쑥, 왕고들빼기, 아카시아꽃, 산초, 달개비, 우산나물, 찔레, 산사, 별꽃, 민들레, 잣, 케일, 오가피, 버섯, 콩, 참깨, 들깨, 산당귀, 만삼, 영아자, 돈나물, 박주가리, 하수오, 떡취, 쇠뜨기, 쇠별꽃, 벼룩나물, 큰까치수염, 며늘취, 메발톱
꽃, 쥐손이풀, 풀솜대, 개망초, 싸리나무, 산작약, 익모초, 느릅나무, 황벽나무, 배초향, 짚신나물, 고마리. 생강나무, 붉나무, 개쉬땅나무, 돼지감자, 밀나물, 엉겅퀴, 향유, 기린초, 백당나무, 씀바귀, 벌깨덩굴, 차조기, 흰바위치, 헛개나무, 섬초롱, 옥잠화, 자소, 방아, 아욱, 쥐눈이콩, 지보, 쇠비름, 닭의장풀, 가죽나무, 부추, 구기자, 고추냉이, 유자, 및 소루쟁이 등의 열매, 잎, 뿌리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로는 인삼, 황기, 칡, 오가피, 대추, 감초, 계피, 구기자, 복분자, 하수오, 진피, 상심, 행인, 길경, 녹용, 숙지황, 산사, 천문동, 맥분동, 백작약, 백출, 두충, 갈근, 황금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과일로는 사과, 배, 호두, 감, 매실, 자두, 밤, 오렌지, 귤, 망고, 바나나, 파인애플, 두리안, 복숭아, 포도, 구아바, 다래, 머루, 딸기, 블루베리, 수박, 체리, 참, 키위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종류를 벗어난 인체에 유익한 유효성분을 갖는 다양한 종류이 식물 건조물을 활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벌꿀과 식물 건조물의 혼합비는 제한하지 않으나, 1:0.05~2 중량비 정도로 혼합할 수 있는데, 상기 식물 건조물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효능이 충분치 못하고, 2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벌꿀 특유의 풍미가 약해지기 때문이다.
상기 혼합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발효, 숙성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발효, 숙성한다. 이때, 상기 벌꿀에는 천연의 효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효소를 혼합하지 않더라도 기능성 물질은 벌꿀에 의해 자연 발효된다. 이때, 상기 발효온도가 0℃ 미만일 경우 발효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며, 3℃를 초과할 경우 발효는 빠르게 진행되나 그 풍미가 좋지 못하기 때문이며, 상기 숙성기간이 80일 미만이면 충분한 발효 및 숙성이 일어나지 못하고, 100일을 초과할 경우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숙성된 벌꿀로부터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한 숙성과정이 완료되면, 발효로 인한 부산물이 생성되는바, 이러한 부산물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상기 부산물이 제거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재숙성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부산물이 제거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재숙성함으로써, 식물 건조물의 발효물과 벌꿀이 어우러지고, 그 풍미 역시 더욱 우수해지도록 한다.
상기한 재숙성 단계를 거친 벌꿀은 농축하여 그대로 1차 벌꿀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다시 꿀벌에게 급여하여 채밀하여 2차 벌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농축하는 단계는, 상기 재숙성된 벌꿀의 수분함유량이 19%보다 높을 경우 이를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저온 농축할 수 있다. 즉, 상기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의 기화 온도를 낮춤으로써, 35~45℃에서 저온 농축하는 것이다. 상기 농축 시간은 제한하지 않는바, 수분 함유량이 19% 미만이 될 때까지 농축한다.
이렇게 농축된 1차 벌꿀은 식물 건조물에 포함된 각종 유효성분이 발효를 통해 극대화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벌꿀의 풍미 역시 이러한 발효물에 의해 더욱 우수해진 상태이므로, 이를 그대로 물에 혼합하여 음용하거나 기타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섭취하면, 건강유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2차 벌꿀로서 가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꿀벌에게 급여하는 단계와, 상기 급여한 벌꿀로부터 기능성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꿀벌에게 충분히 급여하면, 상기 꿀벌은 1차 벌꿀을 전화(轉化)시켜 벌집 내에 저장하게 되는데, 급여 후 최소 168시간 이후에 상기한 벌꿀을 채밀하여 2차 벌꿀을 수득한다. 상기 꿀벌에 의해 전화된 2차 벌꿀은 벌꿀의 유용한 영양성분이 더욱 풍부해지는 것은 물론, 다량의 발효효소를 포함하며, 발효물 내의 유효성분(예를 들면 사포닌 등) 역시 더욱 풍부해진다. 아울러, 식물 건조물의 풍미가 벌꿀의 풍미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더욱 우수한 풍미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생산된 1차 벌꿀 및 2차 벌꿀은 그 영양성분이 풍부할 뿐 아니라, 풍미가 우수하여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기호식품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아울러, 유밀기나 무밀기 등의 생산시기와 관계없이 품질이 우수한 천연 벌꿀을 생산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농촌사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천연 벌꿀을 채밀하고, 채밀된 천연 벌꿀 1kg에 건조 인삼 200g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이를 2℃에서 90일간 발효, 숙성하고, 상기 발효물을 여과기로 여과하여 부산물을 제거한 후, 이를 다시 2℃에서 90일간 숙성하였다.
이때 상기 건조인삼은 인삼을 깨끗이 세척한 후, 두께 0.5cm 정도로 절단하여 자연건조함으로써, 수분 함유율이 30%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최종 숙성된 벌꿀을 꿀벌에게 급여하였다. 상기 급여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랐다. 그리고 급여 후 168시간 후에 벌꿀을 채밀하였다.
(비교예 1)
천연 벌꿀 1kg에 인삼의 열수추출액 200g을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인삼의 열수추출액은 물 2kg에 인삼 200g을 투입하여 80~95℃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물질을 추출한 후, 인삼을 건져내고 이를 저온 농축함으로써, 최종 추출액 200g을 수득하였다.
(사포닌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의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사포닌 함량 측정 결과.
구분 결과(ug/g)
실시예 1 22.18
실시예 2 52.37
비교예 1 12.27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의 사포닌 함량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1을 급여하여 채밀한 실시예 2의 경우 총 사포닌 함량이 더욱 높게 축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 평가)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에 대한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평가는 평소 벌꿀을 좋아한다고 응답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5점 평점법에 의해 벌꿀에 대한 기호도를 테스트하였다. 기호도의 평가항목은 색,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였으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을 같은 용기에 담아 각각 섭취하도록 한 후 평가하도록 하였다.(1: 나쁘다, 2: 조금 나쁘다, 3: 보통이다, 4: 조금 좋다, 5: 좋다.)
관능 평가 결과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3.5 3.7 3.8 3.7
실시예 2 3.6 4.0 4.1 4.0
비교예 1 3.5 3.3 3.4 3.4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색에 대한 기호도는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간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비교예 1 보다는 실시예 1이, 실시예 1 보다는 실시예 2가 더 높은 기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본 발명의 기능성 벌꿀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와,
    상기 채밀한 벌꿀과 식물 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발효 및 숙성하는 단계와,
    상기 발효 및 숙성된 벌꿀로부터 부산물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부산물이 제거된 벌꿀을 0~3℃에서 80~100일간 재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숙성된 벌꿀을 꿀벌에게 급여하는 단계와,
    상기 급여한 벌꿀로부터 기능성 벌꿀을 채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건조물은 건조 산야초, 건조 한약재 및 건조 과일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꿀.
  5.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벌꿀.
KR1020150022568A 2015-02-13 2015-02-13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 KR20160100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568A KR20160100067A (ko) 2015-02-13 2015-02-13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568A KR20160100067A (ko) 2015-02-13 2015-02-13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067A true KR20160100067A (ko) 2016-08-23

Family

ID=5687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568A KR20160100067A (ko) 2015-02-13 2015-02-13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00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511A (ko) * 2019-10-04 2021-04-14 김기영 효소발효액을 이용한 벌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효소발효액 벌꿀
KR20220154348A (ko) 2021-05-13 2022-11-22 오종오 기능성 혼합 벌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725B1 (ko) 2010-09-15 2013-09-04 권순걸 기능성 물질 추출액을 첨가하여 친환경 벌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 벌꿀
KR101325153B1 (ko) 2009-10-15 2013-11-07 서영철 기능성 벌꿀제조가공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53B1 (ko) 2009-10-15 2013-11-07 서영철 기능성 벌꿀제조가공 및 그 방법
KR101303725B1 (ko) 2010-09-15 2013-09-04 권순걸 기능성 물질 추출액을 첨가하여 친환경 벌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 벌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511A (ko) * 2019-10-04 2021-04-14 김기영 효소발효액을 이용한 벌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효소발효액 벌꿀
KR20220154348A (ko) 2021-05-13 2022-11-22 오종오 기능성 혼합 벌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9789A (zh) 一种复方枸杞板栗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1773269B (zh) 灵芝木耳生物保健饮料
CN107691704A (zh) 一种红茶菌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50053433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
KR20160100067A (ko) 기능성 벌꿀의 생산방법 및 그 기능성 벌꿀
KR102462469B1 (ko)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복합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CN104059835A (zh) 一种南瓜酒
KR101773250B1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RU237010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джема из морских водорослей
KR20040063699A (ko) 기능성 사골육수
KR20140089292A (ko) 여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032B1 (ko) 분말 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4374B1 (ko) 화살표고 건강밥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63693A (ko) 기능성 유제품
KR20210007139A (ko) 목이버섯을 이용한 뮤즐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목이버섯 뮤즐리
KR101530007B1 (ko) 기능성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44272B2 (en) Hone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508720B1 (ko) 천마 및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간장 제조방법
KR102288144B1 (ko) 숙성 해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64398A (ko) 기능성 조미김
RU2648282C1 (ru) Нардек с ядром подсолнечника
KR20200082593A (ko) 꿀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KR20200023085A (ko) 아로니아 추출분말, 아세로라 추출분말, 복분자 분말, 아사이베리 분말, 구기자 분말, 인삼 추출분말 및 노니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KR20200117749A (ko) 팔미라팜, 인삼, 및 아티초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063705A (ko) 기능성 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