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943A -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943A
KR20160090943A KR1020150010578A KR20150010578A KR20160090943A KR 20160090943 A KR20160090943 A KR 20160090943A KR 1020150010578 A KR1020150010578 A KR 1020150010578A KR 20150010578 A KR20150010578 A KR 20150010578A KR 20160090943 A KR20160090943 A KR 2016009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ning
area
steering
brak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541B1 (ko
Inventor
나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1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541B1/ko
Priority to DE102016200740.8A priority patent/DE102016200740A1/de
Priority to US15/002,290 priority patent/US9849877B2/en
Priority to CN201610045379.7A priority patent/CN105818817B/zh
Publication of KR2016009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2Lateral speed
    • B60W2520/125Later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6In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동 제어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 및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운전자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영역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여 제2 조향 제어 영역, 제2 조향 경고 영역, 제2 제동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재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의 조향 및 제동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 상태 감지(DSM; Drive State Monitoring)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얼굴 등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등에 관한 영상에서 얼굴의 방향, 안구의 움직임 등을 획득하여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한 부주의 상황인지 판단하는 장치이다.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은 차량에 설치된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현재 차선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조향 장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은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 경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차선 유지 제어를 수행하거나, 운전자에게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된다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차선 이탈 경고를 수행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한 부주의 상황인 경우,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만으로는 적시에 차량의 주행을 정상화시킬 수 없어 주행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문헌 특1999-0050660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조향 제어 및 제동 제어를 수행하고, 조향 경고 및 제동 경고를 조기에 수행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동 제어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 및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운전자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여 제2 조향 제어 영역, 제2 조향 경고 영역, 제2 제동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재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역 재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2 조향 제어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 상기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2 조향 제어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차량을 조향하는 조향 제어 단계; 상기 영역 재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2 조향 경고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조향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 상기 조향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2 조향 경고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조향 경고 단계; 상기 영역 재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2 제동 경고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 상기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2 제동 경고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동 경고 단계;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동 제어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제동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 및 상기 제동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동 제어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2 조향 제어 영역 및 제2 조향 경고 영역은 차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며, 상기 제2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2 조향 제어 영역 및 제2 조향 경고 영역은 차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조향 경고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며,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동 제어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 및 제2 제동 경고 영역은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제동 경고 영역의 거리는 제2 제동 경고 영역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며, 제동 제어 영역의 거리는 제1 제동 경고 영역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 제동 경고 영역은 거리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동 경고 영역은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제1 제동 경고 영역에 대응하도록 거리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제동 경고 영역은 1차 경고 영역, 2차 경고 영역 및 3차 경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동 경고 영역은 상기 1차 경고 영역 및 2차 경고 영역보다 경고시점이 앞당겨진 1차 조기 경고 영역 및 2차 조기 경고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동 제어 영역의 거리는 상기 3차 경고 영역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조향각 및 차속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운전자 카메라; 상기 운전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조향과 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차량의 조향 제어를 결정하는 조향 제어 영역, 상기 차량의 조향 경고를 결정하는 조향 경고 영역, 상기 차량의 제동 제어를 결정하는 제동 제어 영역 및 상기 차량의 제동 경고를 결정하는 제동 경고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조향 제어 영역, 상기 조향 경고 영역 및 상기 제동 경고 영역을 재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조향 제어 영역, 상기 조향 경고 영역 및 상기 제동 경고 영역이 확장되도록 각각의 영역을 재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동 경고 영역은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1차 경고 영역, 2차 경고 영역 및 3차 경고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1차 경고 영역 및 상기 2차 경고 영역이 확장되도록 재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조향 제어 영역을 재설정하기 때문에 차량을 신속하게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향 경고 영역과 제동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기 위한 운전자의 상태를 동일한 기준에 따라 판단하기 때문에 조향 경고 및 제동 경고를 운전자 상태의 상태에 따라 일률적으로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향 제어와 제동 제어를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도 적시에 차량의 주행을 정상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조향 경고 영역 및 제동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한 비정상 상태인 경우 운전자에게 신속히 경고할 수 있는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의 조향 경고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의 조향 제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의 조향 경고 영역 및 조향 제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의 조향 토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의 제동 경고 영역 및 제동 제어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는 센서부(110), 전방 카메라(120), 운전자 카메라(130),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 제어부(150), 조향부(160), 제동부(170) 및 경고부(18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차량의 조향각 및 차속을 감지한다.
센서부(110)는 차량의 조향각 및 차속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차속 센서 및 조향각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속 센서는 차속을 감지한다. 차속 센서는 차량의 휠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휠 속도를 기초로 차속을 감지할 수 있다. 조향각 센서는 차량의 조향 시 핸들의 조향각을 감지한다.
전방 카메라(120)는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한다.
전방 카메라(120)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디지털 영상 정보를 획득하거나, 아날로그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날로그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운전자 카메라(130)는 차량의 운전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한다.
운전자 카메라(130)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에 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운전자 카메라(130)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디지털 영상 정보를 획득하거나, 아날로그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날로그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는 운전자 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따라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는 차량의 운전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운전자의 정상 상태 또는 운전자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한다.
운전자의 비정상 상태는 졸음운전 또는 시선이탈 등과 같은 상태이다.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는 운전자 카메라(130)를 이용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등의 영상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는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등의 영상 정보에서 운전자의 상태 정보(얼굴의 방향, 안구의 움직임 등)를 획득하고, 획득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졸음 또는 피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는 운전자의 전방 주시 상태를 판정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차량 제어 장치의 설계에 따라 제어부(15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0)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조향과 제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50)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제어 영역(151a,151b), 조향 경고 영역(152a,152b), 제동 제어 영역(153) 및 제동 경고 영역(154a,154b,155a,155b)이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150)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조향 제어 영역(151a,151b), 조향 경고 영역(152a,152b), 제동 제어 영역(153) 및 제동 경고 영역(154a,154b,155a,155b)을 재설정한다.
제어부는(150)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조향 제어 영역(151a,151b), 조향 경고 영역(152a,152b) 및 제동 경고 영역(154a,154b,155a,155b)이 확장되도록 각각의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다.
조향 제어 영역(151a,151b)은 차량의 조향 제어를 결정한다.
조향 제어 영역(151a,151b)은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 및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 및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은 차선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 및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은 차선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의 폭은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조향 경고 영역(152a,152b)은 차량의 조향 경고를 결정한다.
조향 경고 영역(152a,152b)은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 및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 및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은 차선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 및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은 차선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의 폭은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의 폭은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의 폭은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의 폭은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의 폭은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의 폭은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의 폭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제동 제어 영역(153)은 차량의 제동 제어를 결정한다.
제동 제어 영역(153)은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의해 형성된다.
전방 차량과의 거리는 전방 카메라(1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어부(150)의 연산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제동 경고 영역(154a,154b,155a,155b)은 차량의 제동 경고를 결정한다.
제동 경고 영역(154a,154b,155a,155b)은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 155a) 및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 및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은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의 전방 차량과의 거리는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의 전방 차량과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제동 제어 영역(153)의 거리는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은 거리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은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에 대응하도록 거리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은 1차 경고 영역(154a) 및 2차 경고 영역(155a)을 포함하고,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은 1차 경고 영역(154a) 및 2차 경고 영역(155a)보다 경고시점이 앞당겨진 1차 조기 경고 영역(154b) 및 2차 조기 경고 영역(1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 및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은 3차 경고 영역(156)을 포함할 수 있다.
3차 경고 영역(156)은 1차 경고 영역(154a), 2차 경고 영역(155a), 1차 조기 경고 영역(154b) 및 2차 조기 경고 영역(155b)보다 경고시점이 늦춰지게 설정된다.
3차 경고 영역(156)의 전방 차량과의 거리는 제동 제어 영역(153)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 및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이 3차 경고 영역(156)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일 때 1차 경고 영역(154a) 및 2차 경고 영역(155a)이 확장되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 및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이 3차 경고 영역(156)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140)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일 때 1차 경고 영역(154a) 및 2차 경고 영역(155a)의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확장되도록 1차 경고 영역(154a) 및 2차 경고 영역(155a)을 1차 조기 경고 영역(154b) 및 2차 조기 경고 영역(155b)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조향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조향을 제어한다.
조향부(160)는 차량의 전륜 각도를 조절하여 차량의 전륜을 조향할 수 있다.
조향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조향 토크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이 현재의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향 토크를 생성할 수 있다.
조향부(160)는 차량의 조향력을 조정하고 차량이 현재의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조향부(160)는 전기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PS; Electric Power Steering)일 수 있다.
제동부(170)는 차량의 제동력을 조절한다.
제동부(170)는 차량의 휠에 가해지는 유압을 조절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동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휠에 가해지는 유압을 조절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다.
경고부(18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경고 제어 명령에 따라 운전자에게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고 있거나 이탈이 예상된다는 것을 알린다.
경고부(18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경고 제어 명령에 따라 운전자에게 차량의 추돌이 예상된다는 것을 알린다.
경고부(180)는 제어부(150)로부터 전송된 경고 제어 명령에 따라 운전자에게 차량의 추돌이 예상된다는 것을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복수회 알릴 수 있다.
경고부(180)는 일 예로 부저(buzzer)를 구동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의 차선 이탈 및 추돌을 경고하거나, 다른 일 예로 경고등을 구동하여 차량의 운전자 및 주변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차선 이탈 및 추돌을 경고할 수 있다
경고부(180)는 특정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에게 차량의 차선 이탈을 경고할 수 있는 다양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은 영역 설정 단계(S101),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S102) 및 영역 재설정 단계(S103)를 포함한다.
영역 설정 단계(S101)는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 제동 제어 영역(153),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을 설정한다.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S102)는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한다.
영역 재설정 단계(S103)는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S102)에서 판단한 결과 운전자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영역 설정 단계(S101)에서 설정된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 제1 조향 경고 영역(152a), 제1 제동 경고 영역(154a,155a)을 재설정하여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을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은 영역 설정 단계(S201),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S202), 영역 재설정 단계(S203),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4), 조향 제어 단계(S205), 조향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6), 조향 경고 단계(S207), 1차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8), 1차 제동 경고 단계(S209), 2차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10), 2차 제동 경고 단계(S211), 제동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12) 및 제동 제어 단계(S21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설정 단계(S201),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S202) 및 영역 재설정 단계(S203)는 앞서 설명한 영역 설정 단계(S101),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S102) 및 영역 재설정 단계(S103)와 동일한 단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4)는 영역 재설정 단계(S203)에서 설정한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으로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한다.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4)는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S202)에서 판단한 결과 운전자 상태가 정상인 경우 영역 설정 단계(S201)에서 설정된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151a)으로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며, 이와 같이 운전자 상태가 정상인 경우 영역 설정 단계(S201)에서 설정된 차량의 제어 영역 및 경고 영역으로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내용은 후술하는 단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조향 제어 단계(S205)는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4)에서 판단한 결과 차량이 제2 조향 제어 영역(151b)으로 진입된 경우 차량을 조향한다.
조향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6)는 영역 재설정 단계(S203)에서 설정한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으로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한다.
조향 경고 단계(S207)는 조향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6)에서 판단한 결과 차량이 제2 조향 경고 영역(152b)으로 진입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1차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8)는 영역 재설정 단계(S203)에서 설정한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 중 1차 조기 경고 영역(154b)으로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한다.
1차 제동 경고 단계(S209)는 1차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08)에서 판단한 결과 차량이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 중 1차 조기 경고 영역(154b)으로 진입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2차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10)는 영역 재설정 단계(S203)에서 설정한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 중 2차 조기 경고 영역(155b)으로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한다.
2차 제동 경고 단계(S211)는 2차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10)에서 판단한 결과 차량이 제2 제동 경고 영역(154b,155b) 중 2차 조기 경고 영역(155b)으로 진입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제동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12)는 영역 설정 단계(S201)에서 설정한 제동 제어 영역(153)으로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한다.
제동 제어 단계(S213)는 제동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S212)에서 판단한 결과 차량이 제동 제어 영역(153)으로 진입된 경우 차량을 제동한다.
제동 제어 단계(S213)는 운전자에게 3차 경고 영역(156) 진입에 따른 경고를 할 수 있다.
110: 센서부 120: 전방 카메라
130: 운전자 카메라 140: 운전자 상태 판단부
150: 제어부 160: 조향부
170: 제동부 180: 경고부

Claims (11)

  1.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동 제어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 및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운전자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차량의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여 제2 조향 제어 영역, 제2 조향 경고 영역, 제2 제동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재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재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2 조향 제어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
    상기 조향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2 조향 제어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차량을 조향하는 조향 제어 단계;
    상기 영역 재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2 조향 경고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조향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
    상기 조향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2 조향 경고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조향 경고 단계;
    상기 영역 재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2 제동 경고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
    상기 제동 경고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2 제동 경고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동 경고 단계;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 설정한 제동 제어 영역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되는지 판단하는 제동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 및
    상기 제동 제어 영역 진입 판단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상기 차량이 제동 제어 영역으로 진입된 경우 차량을 제동하는 제동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2 조향 제어 영역 및 제2 조향 경고 영역은 차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며, 상기 제2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는 차량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 제1 조향 경고 영역, 제2 조향 제어 영역 및 제2 조향 경고 영역은 차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2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조향 경고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며, 상기 제1 조향 제어 영역의 폭은 상기 제1 조향 경고 영역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는 차량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제어 영역, 제1 제동 경고 영역 및 제2 제동 경고 영역은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제동 경고 영역의 거리는 제2 제동 경고 영역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며, 제동 제어 영역의 거리는 제1 제동 경고 영역의 거리보다 짧게 설정되는 차량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 경고 영역은 거리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제동 경고 영역은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진 제1 제동 경고 영역에 대응하도록 거리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차량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 경고 영역은 1차 경고 영역, 2차 경고 영역 및 3차 경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동 경고 영역은 상기 1차 경고 영역 및 2차 경고 영역보다 경고시점이 앞당겨진 1차 조기 경고 영역 및 2차 조기 경고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제어 영역의 거리는 상기 3차 경고 영역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차량 제어 방법.
  9.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조향각 및 차속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운전자 카메라;
    상기 운전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따라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운전자 상태 판단부;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조향과 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차량의 조향 제어를 결정하는 조향 제어 영역, 상기 차량의 조향 경고를 결정하는 조향 경고 영역, 상기 차량의 제동 제어를 결정하는 제동 제어 영역 및 상기 차량의 제동 경고를 결정하는 제동 경고 영역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조향 제어 영역, 상기 조향 경고 영역 및 상기 제동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조향 제어 영역, 상기 조향 경고 영역 및 상기 제동 경고 영역이 확장되도록 각각의 영역을 재설정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경고 영역은 전방 차량과의 거리에 따라 1차 경고 영역, 2차 경고 영역 및 3차 경고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상태 판단부의 판단 결과 운전자의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1차 경고 영역 및 상기 2차 경고 영역이 확장되도록 재설정하는 차량 제어 장치.
KR1020150010578A 2015-01-22 2015-01-22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86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78A KR102286541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6200740.8A DE102016200740A1 (de) 2015-01-22 2016-01-2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Fahrzeugs
US15/002,290 US9849877B2 (en) 2015-01-22 2016-01-2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CN201610045379.7A CN105818817B (zh) 2015-01-22 2016-01-22 用于控制车辆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78A KR102286541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943A true KR20160090943A (ko) 2016-08-02
KR102286541B1 KR102286541B1 (ko) 2021-08-09

Family

ID=5636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78A KR102286541B1 (ko) 2015-01-22 2015-01-22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9877B2 (ko)
KR (1) KR102286541B1 (ko)
CN (1) CN105818817B (ko)
DE (1) DE1020162007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079B2 (en) 2017-03-10 2020-06-09 Mando-Hella Electronics Corporation Driver stat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370990A (zh) * 2020-03-10 2021-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驾驶辅助方法和驾驶辅助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5603B1 (en) * 2015-12-11 2019-10-15 Lytx, Inc. System for capturing a driver image
WO2018009567A1 (en) * 2016-07-05 2018-01-11 Nauto Global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driver identification
KR20180070401A (ko)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주행차량의 운전 제어권 이양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8128974A (ja) * 2017-02-10 2018-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ライバ状態監視装置
US10445559B2 (en) * 2017-02-28 2019-10-15 Wipro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warning driver of vehicle using mobile device
EP3649595A4 (en) * 2017-07-03 2020-12-16 GP Network Asia Pte. Ltd. PAYMENT PROCESSING
CN111434553B (zh) * 2019-01-15 2021-12-24 魔门塔(苏州)科技有限公司 制动系统、方法、装置、疲劳驾驶模型的训练方法和装置
CN110979180B (zh) * 2019-12-25 2021-06-15 三一汽车制造有限公司 防止危险驾驶的控制方法、装置和车辆
CN111959502B (zh) * 2020-07-16 2021-12-17 山东大学 一种智能网联车辆避障方法
CN114379553B (zh) * 2021-12-23 2023-12-0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驾驶辅助控制方法、驾驶辅助控制装置和驾驶辅助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504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충돌경보제어장치
KR19990050660A (ko)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졸음운전 경보장치
JP2003118423A (ja) * 2001-10-11 2003-04-23 Nissan Motor Co Ltd 自動巡航制御装置
KR20120052479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충돌 경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6564A (ko) * 2012-07-06 2014-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유지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91608B1 (ko) * 2012-11-06 2014-05-07 주식회사 만도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4191B2 (ja) * 1997-04-18 2003-06-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間距離警報装置
DE60116801T2 (de) * 2000-11-24 2006-08-31 Aisin Seiki K.K., Kariya Fahrzeugkollisionsverhinderungsvorrichtung
US6677855B2 (en) * 2001-08-24 2004-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to determine the intent to brake and to provide initiation and engagement of the brake system
US7016783B2 (en) * 2003-03-28 2006-03-21 Delphi Technologies, Inc. Collision avoidance with active steering and braking
JP4274225B2 (ja) * 2006-10-13 2009-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警告装置
JP4572889B2 (ja) * 2006-11-20 2010-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ユーザーもてなしシステム
CN101318491A (zh) * 2008-05-14 2008-12-10 合肥工业大学 嵌入式集成视觉辅助行车安全系统
US8384534B2 (en) * 2010-01-14 2013-02-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mbining driver and environment sensing for vehicular safety systems
JP4918149B2 (ja) * 2010-03-05 2012-04-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運動制御装置
CN201784621U (zh) * 2010-05-18 2011-04-06 武汉高德红外股份有限公司 基于图像智能处理的被动红外视觉车辆辅助驾驶系统
US8525694B2 (en) * 2010-12-21 2013-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object tracking
WO2012120076A1 (de) * 2011-03-09 2012-09-1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US8954238B2 (en) * 2011-07-11 2015-02-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emergency evacuation device
CN102985302A (zh) * 2011-07-11 2013-03-2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紧急避险装置
JP2013163439A (ja) * 2012-02-10 2013-08-22 Yamaha Motor Co Ltd 船外機の制御システム
JP6047708B2 (ja) * 2013-03-14 2016-12-21 株式会社デンソー 異常運転行動検出装置
JP2015023685A (ja) 2013-07-19 2015-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イッチギヤ
JP5884794B2 (ja) * 2013-08-29 2016-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可能性判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94547A1 (en) * 2014-04-15 2015-10-15 Denso Corporation Driver condition detection apparatus,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driver condition detection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504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차량의 충돌경보제어장치
KR19990050660A (ko) 1997-12-17 1999-07-05 정몽규 졸음운전 경보장치
JP2003118423A (ja) * 2001-10-11 2003-04-23 Nissan Motor Co Ltd 自動巡航制御装置
KR20120052479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충돌 경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6564A (ko) * 2012-07-06 2014-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유지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391608B1 (ko) * 2012-11-06 2014-05-07 주식회사 만도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079B2 (en) 2017-03-10 2020-06-09 Mando-Hella Electronics Corporation Driver stat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370990A (zh) * 2020-03-10 2021-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驾驶辅助方法和驾驶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541B1 (ko) 2021-08-09
CN105818817A (zh) 2016-08-03
CN105818817B (zh) 2019-04-19
DE102016200740A1 (de) 2016-07-28
US20160214619A1 (en) 2016-07-28
US9849877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0943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US9619721B2 (en) Monitoring a degree of attention of a driver of a vehicle
JP4872897B2 (ja) 車線維持支援装置
JP6485234B2 (ja) 路面表示装置
JP2015020719A (ja) 車線維持支援装置
JP6183799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180105170A1 (en) Lane keep assist device
JP6834657B2 (ja) 車線逸脱警報装置の制御装置、車両および車線逸脱警報制御方法
CN107709140B (zh) 车道脱离抑制装置
JP2009274482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
JP2006331323A (ja) 車両逸脱警報装置
JP2008204107A (ja) 不注意警告装置、不注意警告装置の車両機器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装置のプログラム
JP6345280B2 (ja) 車両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8285013A (ja) 車線維持支援装置
JP5187215B2 (ja) ドライバ状態監視装置、及び衝突制御システム
JP2011145922A (ja) 車速制御装置
JP5136315B2 (ja) 運転支援装置
KR20150128066A (ko)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2886A (ko) 조향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91608B1 (ko)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KR102299490B1 (ko) 차선 유지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7137034A (ja) 自動運転制御装置
JP5328738B2 (ja) 後側方操舵支援技術
JP7210242B2 (ja) 車両制御装置
JP6338417B2 (ja) 車両の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