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608B1 -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608B1
KR101391608B1 KR1020120124550A KR20120124550A KR101391608B1 KR 101391608 B1 KR101391608 B1 KR 101391608B1 KR 1020120124550 A KR1020120124550 A KR 1020120124550A KR 20120124550 A KR20120124550 A KR 20120124550A KR 101391608 B1 KR101391608 B1 KR 10139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vehicle
driver
area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12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은 전방 카메라, DSM 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방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DSM 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차선 유지 제어 및 차선 이탈 경고를 상이하게 제어한다.

Description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LANE KEEPING ASSIST SYSTEM}
본 발명은 현재 차선에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여 조향 장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 상태 감지(DSM; Drive State Monitoring)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얼굴 등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등에 관한 영상에서 얼굴의 방향, 안구의 움직임 등을 획득하여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한 부주의 상황인지 판단하는 장치이다.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은 차량에 설치된 전방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현재 차선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조향 장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은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 경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차선 유지 제어를 수행하거나, 운전자에게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된다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차선 이탈 경고를 수행한다.
그러나,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한 부주의 상황인 경우,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차선 유지 제어, 차선 이탈 경고에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적시에 차량의 주행을 정상화시킬 수 없어 주행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DSM 장치와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을 연동하여 운전자 부주의 상황인 경우 차선 이탈 경고, 차선 유지 제어, 곡선로 진입 경고를 조기에 수행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DSM 장치, 및 상기촬영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차선 유지 제어 및 차선 이탈 경고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 주의 상황의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1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이탈 경고하고, 운전자 부주의 상황의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2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이탈 경고하며, 상기 제1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은 상기 제2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비하여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유지 제어하고, 상기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은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 주의 상황의 경우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1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유지 제어하고, 운전자 부주의 상황의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2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유지 제어하며, 상기 제1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은 상기 제2
차선 유지 제어 영역에 비하여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이탈 경고하고, 상기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은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DSM 장치, 및 상기 촬영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의 곡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곡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 진입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곡선로 진입 경고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운전자 부주의 상황인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곡선로 시작 위치보다 가까운 곡선로 진입 경고 위치에 도달하면 곡선로 진입 경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SM 장치와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을 연동하여 운전자 부주의 상황인 경우 차선 이탈 경고, 차선 유지 제어, 곡선로 진입 경고를 조기에 수행하므로,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한 부주의 상황의 경우에도 편안하고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차선 이탈 경고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차선 유지 제어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곡선로 진입 경고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100)은 전방 카메라(110), DSM 장치(120), 제어부(130), 경고 장치(140), 조향 장치(150)을 포함한다.
전방 카메라(110)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100)이 설치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한다. 전방 카메라(110)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디지털 영상 정보를 획득하거나, 아날로그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이용하여 상기 아날로그 영상 정보를 디지털 영상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DSM 장치(120)는 차량의 운전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운전자 주의 상황 또는 운전자 부주의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DSM 장치(120)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얼굴 등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DSM 장치(1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 등의 영상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 상황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DSM 장치(120)는 촬영된 운전자의 얼굴등의 영상 정보에서 운전자의 상태 정보(얼굴의 방향, 안구의 움직임 등)를 획득할 수 있다. DSM 장치(120)는 획득된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일련의 알고리즘에 따라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 상태인지 판단한다. DSM 장치(120)는 운전자의 전방 주시 상태를 판정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 부주의 상황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지 판단하고,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 경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향 토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운전자에게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된다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경고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30)는 전방 카메라(11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선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차선 정보에는 차선의 위치, 차선의 지향각, 차선의 곡률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어부(130)는 획득된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위치(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의 위치)가 현재 차선을 기초로 판단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영역의 경계선은 현재 차선으로부터 차로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거나,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차선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판단 영역의 경계선의 위치는 동일한 폭의 차선이라고 하더라도 차량의 속도나 주행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DSM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경고 장치(140)와 조향 장치(150)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경고 장치(14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된 경고 제어 명령에 따라 운전자에게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고 있거나 이탈이 예상된다는 것을 알린다.
경고 장치(140)는 일 예로 부저(buzzer)를 구동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차량의 차선 이탈을 경고하거나, 다른 일 예로 경고등을 구동하여 차량의 운전자 및 주변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량의 차선 이탈을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장치(140)는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에게 차량의 차선 이탈을 경고할 수 있는 다양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 장치일 수 있다.
조향 장치(15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송된 조향 토크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이 현재의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향 토크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조향력이 조정되고 현재의 차선을 이탈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조향 장치(150)는 전기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EPS; Electric Power Steering)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 이탈
경고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차량의 위치가 현재 차선을 기초로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량이 현재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향 토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제어부(130)는 차선 유지 제어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차선 유지 제어 영역에
진입한 경우, 차량의 위치가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여,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된다 것을 알릴 수 있도록 경고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은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의 외측에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한다.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은 제1 차선 이탈 경고 영역과 제2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구별되며, 제1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은 제2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비하여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제어부(130)는 DSM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 주의 상황의 경우 차량의 위치가 제1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경고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운전자 부주의 상황의 경우 차량의 위치가 제2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경고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해 부주의한 상황의 경우 조기에 차선 이탈 경고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의 조향 토크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이 현재 차선을 유지하고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하지 않는 경우 차선 이탈 경고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에서 차선 유지
제어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100)의 제어부(130)는 차량의 위치가 현재 차선을 기초로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량이 현재 차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향 토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은 제1 차선 유지 제어 영역과 제2 차선 유지 제어 영역으로 구별되며, 제1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은 제2 차선 유지 제어 영역에 비하여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한다.
제어부(130)는 DSM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 주의 상황의 경우 차량의 위치가 제1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조향 토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운전자 부주의 상황의 경우 차량의 위치가 제2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조향 토크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운전자가 졸음 또는 피로로 인해 부주의한 상황의 경우 조기에 차선 유지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130)는 차선 유지 제어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차선 유지 제어 영역에
진입한 경우, 차량의 위치가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여,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된다 것을 알릴 수 있도록 경고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경고 영역의 경계선은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의 외측에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한다.
한편, 제어부(130)의 조향 토크 제어 명령에 따라 차량이 현재 차선을 유지하고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하지 않는 경우 차선 이탈 경고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에서 곡선로 진입 경고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100)의 전방 카메라(110)는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제어부(130)는 전방 카메라(11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선 정보를 획득한다.
차선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선의 곡률 정보가 포함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차량이 진입하는 차로의 형태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차선의 곡률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곡선로에 진입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의 위치가 직선로 종료 위치, 즉 곡선로 시작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경고 장치(140)가 운전자에게 곡선로 진입 경고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획득된 차선의 곡률이 미리 정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DSM 장치(120)로부터 전송된 운전자의 상태가 운전자 부주의 상황인 경우, 차량의 위치가 직선로 종료 위치보다 앞서 곡선로 진입 경고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경고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곡선로 진입 경고 위치는 운전자에 대한 곡선로 진입 경고를 조기에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을 기준으로 직선로 종료 위치보다 가까운 위치에 존재한다.
110: 전방 카메라 120: DSM 장치
130: 제어부 140: 경고 장치
150: 조향 장치

Claims (7)

  1.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운전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DSM 장치; 및
    상기 촬영된 차량의 전방에 관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 정보와 차선의 곡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선 정보와 차선의 곡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지 판단하면서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 진입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현재 차선을 이탈하거나 이탈이 예상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차선 유지 제어 및 차선 이탈 경고를 상이하게 제어하며, 상기 차량이 곡선로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곡선로 진입 경고를 상이하게 제어할 때에 상기 운전자의 상태가 운전자 부주의 상황인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차량을 기준으로 상기 곡선로 시작 위치보다 가까운 곡선로 진입 경고 위치에 도달하면 곡선로 진입 경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 주의 상황의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1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이탈 경고하고, 운전자 부주의 상황의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2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이탈 경고하며, 상기 제1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은 상기 제2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비하여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유지 제어하고, 상기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은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의 외측에 위치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 주의 상황의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1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유지 제어하고, 운전자 부주의 상황의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제2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유지 제어하며, 상기 제1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은 상기 제2 차선 유지 제어 영역에 비하여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에 위치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에 도달하면 차선 이탈 경고하고, 상기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의 경계선은 현재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차선 유지 제어 영역의 경계선의 외측에 위치하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20124550A 2012-11-06 2012-11-06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KR10139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550A KR101391608B1 (ko) 2012-11-06 2012-11-06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550A KR101391608B1 (ko) 2012-11-06 2012-11-06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608B1 true KR101391608B1 (ko) 2014-05-07

Family

ID=5089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550A KR101391608B1 (ko) 2012-11-06 2012-11-06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943A (ko) * 2015-01-22 2016-08-02 주식회사 만도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789534A (zh) * 2019-11-07 2020-02-14 淮阴工学院 一种基于路况检测的车道偏离预警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451A (ja) * 2006-03-29 2007-10-11 Fuji Heavy Ind Ltd 車線追従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451A (ja) * 2006-03-29 2007-10-11 Fuji Heavy Ind Ltd 車線追従支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943A (ko) * 2015-01-22 2016-08-02 주식회사 만도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86541B1 (ko) * 2015-01-22 2021-08-09 주식회사 만도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0789534A (zh) * 2019-11-07 2020-02-14 淮阴工学院 一种基于路况检测的车道偏离预警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0943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JP4872897B2 (ja) 車線維持支援装置
KR101884076B1 (ko) 차량의 운전 지원 장치
JP6156077B2 (ja) 車両制御装置
JP4730191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及び、脇見状態検出装置
JP2007331652A (ja) 車両停止装置
JP2015194946A (ja) 車両の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CN107709140B (zh) 车道脱离抑制装置
JP2009274482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
JP6730096B2 (ja) 乗員状態監視装置
KR101391608B1 (ko)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JP2009146289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2018114804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7229814A (ja) 自律移動型ロボット
JP5136315B2 (ja) 運転支援装置
JP2011145922A (ja) 車速制御装置
JP2010186251A (ja) ドライバ状態監視装置、及び衝突制御システム
JP3465590B2 (ja) 車両走行支援装置
KR20150128066A (ko)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0100088A (ja) 運転支援システム
KR20150092886A (ko) 조향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701771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
KR101480431B1 (ko) 차선 이탈 경고 장치 및 방법
JP2019087018A (ja) ドライバモニタシステム
JP2005088851A (ja) 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