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708A -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708A
KR20160090708A KR1020150010837A KR20150010837A KR20160090708A KR 20160090708 A KR20160090708 A KR 20160090708A KR 1020150010837 A KR1020150010837 A KR 1020150010837A KR 20150010837 A KR20150010837 A KR 20150010837A KR 20160090708 A KR20160090708 A KR 20160090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extract
oral
camell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3588B1 (ko
Inventor
김수관
이숙영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588B1/ko
Priority to CN201680016936.0A priority patent/CN107427454B/zh
Priority to PCT/KR2016/000633 priority patent/WO2016117933A1/ko
Publication of KR2016009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항미생물 효과, 및 구강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MOUTH COMPRISING CAMELLIA JAPONICA L LEAF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질환은 우리나라 성인의 80%가 앓고 있으며, 60대 이상 노령 인구의 약 90%가 앓고 있는 만성질환이다. 잇몸질환이 외래 다빈도 질환 중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발병률이 높고 매년 증가추세로 보고되고 있다.
치주질환은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료 및 치의약 분야 관련 건강보조식품과 위생용품 개발시, 친환경 및 인체친화적 천연소재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치주질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용품 소재에서 phyto-material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성인의 80%, 그리고 실버세대 연령의 90%가 만성적으로 구강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나 사전에 예방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보조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판매중인 기능성 세치제의 경우, 프라그 저해, 구강내 유해균 억제, 구취개선, 미백효과 등의 기능성이 부가되어 있으나 연령별, 개인의 구강체질별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제품들이 대다수로 사용시 잇몸질환과 구내염증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제품개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동백나무과 식물의 잎을 주재료로 하는 치약 조성물이 한국 특허 제제10-1391545호(발명의 명칭: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에 개시되어 있었다. 이때 여기에 개시된 동백나무과 식물이 동백나무 잎을 지칭하는 게 아니며,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식물에 속하는 식물종은 무려 1000종이나 되므로 본 발명에서 재료로 하는 동백나무 잎은 1,000종 중의 한 종에 해당될 뿐 제 10-1391546에 개시되어있는 동백나무과 식물이 반드시 동백나무 잎을 지칭한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종래의 치약은 치주질환 및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를 목적으로 동백나무과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각종 식물잎이나 꽃잎등의 추출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각종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의 효과는 있지만 치약을 장기간 사용 시 치약 조성물의 색상이 변질되거나 향이 변화되면서 치약 조성물에 함유된 약효제의 효과가 감소되고 사용 시 불쾌감을 유발하는 등 치약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저자극, 기능성 천연소재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질과 향변화를 억제하는 항산화력과 배초향 유래 정유성분이 추가되므로서 치약의 색상이 유지되고 향이 변화되더라도 치약에 함유된 약효제의 효과가 유지되고 사용 시 상쾌함을 주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추출물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구강용 조성물은 효소처리 스테비아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5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3중량%,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중량%, 정제수 12.58~30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를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5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3중량%,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중량%, 정제수 12.58~30중량%를 상기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용된 동백나무는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동백나무속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은염 개선, 항산화활성, 구강유해균의 억제 및 살균성, 치석개선능을 나타낸다.
또한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보건 유지에 유효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므로서 잇몸염증를 치유하고, 치아우식증과 잇몸노화 예방 및 치석침착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변질과 향변화를 억제하는 항산화력과 배초향 유래 정유성분이 추가되므로서 치약의 색상이 유지되고 향이 변화되더라도 치약에 함유된 약효제의 효과가 유지되고 사용 시 상쾌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각 월에 따른 동백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페놀 함량(Total phenolic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from each month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각 월에 따른 동백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each month of Camellia japonica leaves)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동백잎 효소추출물의 catalase 활성(Catalas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each part of camellia)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충치 유발균 S. mutans에 대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5는 치아우식 유발균 S. sobrinus에 대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6은 구내염의 원인균 C. albicans에 대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7은 충치 유발균 S. mutans에 대한 세치제 조성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1mm), ④ 100mg/mL(3mm))을 나타낸다.
도 8은 치아우식 유발균 S. sobrinus에 대한 세치제 조성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9은 구내염의 원인균 C. albicans에 대한 세치제 조성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10은 동백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ornus officinalis)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산수유 추출물의 SOD 활성(HL/F; 산수유 열매)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herb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① 배초향 꽃 ②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농도에 따른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depending on various concentration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 배초향꽃, B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herb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1. 배초향 꽃 2.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농도에 따른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depending on various concentration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을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herb against Malassezia furfur. 좌측: 배초향 꽃 우측: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상엽 추출물(좌측)과 상백피 추출물(우측)의 항균활성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부피%이나 필요에 따라서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를 이용한 구강청결 및 구취개선, 구내유해균 억제효능이 있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치약,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구강용 조성물은 세치제(치약) 조성물, 구강세정제 조성물, 구강향수 조성물, 의치세정제 조성물, 이쑤시게 코팅용 조성물, 치실 코팅용 조성물, 구강용 필름 조성물, 잇몸 보호용 젤 조성물, 기타 구강보건을 위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구강은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데 매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성 감염균주 및 상주균 등에 의한 구강질환 및 전신질환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구강 내 미생물의 생육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구강보건을 향상시키려는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약물의 오용 및 남용과 원내 감염균에 대한 약제내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새로운 대체약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하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구체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구체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구강보건 유지에 유효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주요 기능소재로 하고,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산수유 추출물, 인동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부 기능소재로 함유하므로서 잇몸염증를 치유하고, 치아우식증과 잇몸노화 예방 및 치석침착을 예방하는 세치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치은염 개선, 항산화활성, 구강유해균의 억제 및 살균, 치석개선능을 가지고 있는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주요 기능소재로 첨가하므로서 치은염 및 기타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은 유아들과 고령자의 취약한 구강상태를 고려한 저자극 천연소재를 중심으로 구성된 세치제로 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주요 소재로 한 세치제 조성물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 효소처리 스테비아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5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3중량%,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중량%, 정제수 12.58~30중량%를 혼합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산수유 추출물, 인동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은 주정 알콜로 추출한 농축액이다.
본 발명의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주요 소재로 한 세치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진공의 원리를 적용하여 혼합물내의 기포제거가 가능한 멀티믹서(LAB-NEO-V)를 사용하며, 천연물인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를 믹서의 포트에 첨가하기 전에 미리 정제수와 함께 혼합하여 50℃의 조건에서 소니케이터(JAC-4020)로 완전하게 현탁 용해시키는 1차 혼합단계, 멀티믹서 jar내에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50중량%,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중량%를 각각 투여하여 정제수와 함께 상온에서 2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는 2차 혼합단계, 2차 혼합단계의 혼합액에 효소처리 스테비아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3중량%를 첨가하여 50℃의 조건에서 2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는 3차 혼합단계, 2차 혼합단계 및 3차 혼합단계에 따른 혼합액에 1차 혼합단계에서 혼합한 천연물를 추가하여 50℃의 조건에서 3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는 4차 혼합단계, 마지막으로 상온에서 10분간 혼합한 후 10-3 Torr의 조건의 진공상태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인동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의 특성 및 효능을 살펴본다.
I. 구강용 조성물의 주요 성분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동백나무속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의 온대 남부의 해안 도서인 고창, 완도, 강진, 나주, 여수 등의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충남, 제주지역에 자생식재되어 있으며, 특히 전남지역이 전국 식재 면적의 67%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의 보고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동백엽과 과피 등도 항원충작용 및 진경작용, 치석형성 억제효과, 알콜 흡수 억제, 미백 작용, 소염작용과 HIV-1 protease 억제활성 등과 같은 약리활성이 있고, 이러한 생리활성이 있는 잎 부위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예로부터 어린 엽을 차의 재료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동백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으로는 꽃에는 leucoanthocyanin, anthocyan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과실에는 지방유, camellin, tsubaki-saponin 및 tsubaki-saponin의 aglycon인 camelliagenin ABC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ι-epicatechol, d-catech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동백은 주요 약효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생리약리활성이 다양하지만, 부위별로 이를 식용화 및 2차 가공제품으로 산업화하기 위한 연구는 수행되고 있지 않아 아쉬운 실정이다.
전술한 한국 특허 제제10-1391545호(발명의 명칭: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에 개시된 동백나무과 식물은 본 발명에서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동백나무속에 속하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과 다르다. 즉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식물에 속하는 식물종은 무려 1000종이나 되므로 본 발명에서 재료로 하는 동백나무 잎은 1,000종 중의 한 종에 해당될 뿐 한국 특허 제 10-1391546에 개시되어있는 동백나무과 식물이 반드시 본 발명에서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동백나무속에 속하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를 지칭한다고 볼 수 없다.
1. 항미생물 활성 테스트
1) 항균활성 테스트
본 실험에 사용된 동백나무는 전남 장흥군 천관산의 동백자생 군락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야생동백나무로부터 꽃은 2~3월에, 어린잎은 4~5월에 그리고 성엽은 6~8월에 각각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항미생물 활성에 사용된 균은 그람양성균으로 Bacillus subtillis, Streptomyces fradiae Staphylococcus aureus를 사용하였고, 그람음성균으로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acter spp. C1036 및 Salmonella typhimurium을 각각 사용하였다. 동백의 생엽 시료를 추출에 적합하도록 분말화하여 시료중량 10배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40℃에서 5~6시간씩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순수 분리된 각 균주의 단일집락을 취해 1 백금이 취해 10㎖의 균 생육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각각 균주의 생육적온에서 18~24시간씩 3회 배양한 후 항균활성 시험균주로 사용하였다. 항균성 시험용 평판배지의 조제는 각각의 15%의 한천이 첨가된 생육배지를 멸균하여 petridish에 15㎖씩 분주하여 기층용 배지를 응고시키고, 0.7% 한천이 첨가된 중층용 배지를 각각 5㎖씩 시험관에 분주하여 멸균한 후, 각종 시험균액(멸균식염수로 균현탁액을 만들어 균 농도를 660㎚에서 흡광도 0.3이 되게 한 균현탁액) 0.1㎖를 무균적으로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기층용 배지 위에 분주한 다음 고르게 응고시켜 2중의 균접종 중층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동백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은 한천배지 확산법(disc plate method)으로 측정하였다(Piddocket, 1990; Bauer et al., 1996). 즉, 1, 5, 10, 15㎎/㎖ 농도의 부위별 동백나무 메탄올 추출물을 0.45㎛ membrane filter(Millipore Co., USA)로 여과하여 제균한 다음 멸균된 filter paper disc(Toyo roshi kaisha, 8mm)에 50㎕씩 흡수시킨 후, 추출용매를 무균적으로 풍건하여 완전히 날려 보내고 각각 균의 생육적온에서 24~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paper disc 주변에 형성된 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이때 각 시료를 녹이기 위해 사용한 용매 및 계면활성제에 대한 공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disc에 점적한 각 부위별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즉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inhibition zone의 크기가 증가하여 어린잎 추출물의 경우 B. subtilis , S. fradiae, P. aeruginosa, 및 S. typhimurium 및 에 대해 15㎎/㎖ 농도에서 13㎜의 억제환으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동백나무에서도 어린잎 부위의 추출물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해 넓은 항균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S. aureus E. coli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여 어린잎 추출물 5㎎/㎖ 농도를 투여하였을 때 10㎜의 억제효과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성숙한 잎 추출물은 P. aeruginosa에 대해서만 15㎎/㎖ 농도에서 6~10㎜의 항균활성을 보였고, 꽃봉오리 추출물은 P. aeruginosaEnterobacter spp. C1036균주에 15㎎/㎖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8㎜, 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은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의 다른 부위에서 추출물에서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in different sections of Camellia japonica)을 나타낸다.
Microorganisms Conc.
(mg/ml)
Size of inhibition zone(mm)
YL ML FWB FW BK BH SD
G(+) Bacillus subtilis 1 - - - - - - -
5 9 - - - - - -
10 11 - - - - - -
15 13 - - - - - -
Streptomyces fradiae 1 - - - - - - -
5 7 6 5 - - - -
10 12 8 7 - - - -
15 13 10 8 - - - -
Staphylococcus aureus 1 - - - - - - -
5 10 - 6 - - - -
10 11 - 8 - - - -
15 12 - 9 - - - -
G(-) Escherichia coli 1 - - - - - - -
5 10 - - - - - -
10 11 - - - - - -
15 12 - - - - - -
Pseudomonas aeroginosa 1 - - - - - - -
5 9 - - - - - -
10 11 - - - - - -
15 13 - - - - - -
Enterobacter spp. C1036 1 - - - - - - -
5 8 - - - - - -
10 10 - - - - - -
15 12 - - - - - -
Salmonella typhimurium 1 - - - - - - -
5 - - - - - - -
10 8 - - - - - -
15 9 - - - - - -
본 명세서에서 동백나무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의 함량에 따라서 항균활성의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동백나무의 어린잎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페놀성 물질의 함량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높아 구강조성물 제조시 천연항균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2. 잇몸조직의 조기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활성 분석
본 명세서에서는 세포의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잇몸의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잇몸의 조기노화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를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로 DPPH 소거능, 항산화물질, 항산화효소 활성 분석을 이용하였다.
1) 폴리페놀 함량 분석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진다. 이들은 phenolic hydrowyl(OH)기를 가지기 때문에 단백질 및 기타 거대 분자들과 쉽게 결합하며,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 본 실험에서는 동백잎의 성숙단계별로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페놀함량을 tannic acid를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7월에 채취한 동백잎에서 740.6 ㎍/㎎으로 가장 높은 페놀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6월에 채취한 6월에 채취한 잎에서 737.9 ㎍/㎎, 8월에 채취한 잎에서 734.6 ㎍/㎎, 5월에 채취한 잎에서 721.6 ㎍/㎎ 페놀함량을 보였으며, 3월에 채취한 잎에서 368.2 ㎍/㎎, 4월에 채취한 잎에서 333.6 ㎍/㎎, 1월에 채취한 잎에서 329.8 ㎍/㎎, 2월에 채취한 잎에서 327.4 ㎍/㎎, 전년12월에 채취한 잎에서 291.5 ㎍/㎎을 보였다. 5월부터 8월까지는 721.6 ~ 740.6 ㎍/㎎로 비교적 높은 페놀함량을 보였으며, 전년 12월부터 4월까지는 291.5 ~ 368.2 ㎍/㎎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도 1 및 표 2는 각 월에 따른 동백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페놀 함량(Total phenolic contents of methanol extracts from each month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을 나타내고 있다.
Sample Collection time Total phenolics(㎍/㎎)1 )
Leaves
Dec. 2005 291.5 ± 8.212)
Jan. 2006 329.8 ± 10.22
Feb. 2006 327.4 ± 8.45
Mar. 2006 368.2 ± 10.55
Apr. 2005 333.6 ± 18.35
May 2005 721.6 ± 1.13
Jun. 2005 737.9 ± 11.03
Jul. 2005 740.6 ± 9.80
Aug. 2005 734.6 ± 10.45
Flower
Apr. 2005 635.5 ± 9.89
May 2005 649.7 ± 6.22
①Sample was analyzed using tannic acid as a standard.
②Each value is means±S.D (n=3)
2)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
각 농도별로 시료를 메탄올에 녹인 뒤 160μL씩 취하여 1.5×104M 농도로 메탄올에 용해시킨 DPPH 용액 40μL와 잘 혼합하였다. 이 반응 혼합액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microplate reader spectrophotometer VERSAmax로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내고 50% 소거농도(IC50는 μg/mL 혹은 μM로 표현)을 계산하였다. 측정치는 3회 반복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평균한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항산화제인 Vit C, Vit E 및 BHT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각 시기별(05. 12 ~ 06. 8) 동백 잎 추출물을 100 ㎍/㎖ 농도에서 DPPH법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12월~2월 동백 잎 추출물에서는 3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보였으나 3월 동백 잎 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율이 70.89%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5~6월에 채취한 동백 잎 추출물에서 90% 이상의 소거율을 보여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시기로 확인되었다. 이는 천연항산화제인 ascorbic acid(Vit C)와 견주어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합성항산화제인 BHT보다 월등히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2 및 표 3은 각 월에 따른 동백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each month of Camellia japonica leaves)을 나타내고 있다.
Sample Collection time Scavenging activity (100 ㎍/㎖) IC50 (㎍/ml)*
Leaves Dec. 2005 28.79 ± 1.23 179.88
Jan. 2006 26.75 ± 0.83 184.32
Feb. 2006 24.97 ± 0.78 190.48
Mar. 2006 70.89 ± 1.02 57.85
Apr. 2006 84.49 ± 2.18 39.78
May 2006 92.54 ± 0.16 ≤ 12.5
Jun. 2006 93.30 ± 0.04 ≤ 12.5
Jul. 2006 76.98 ± 1.50 48.77
Aug. 2006 74.64 ± 1.12 46.73
ascorbic acid 96.19 ± 0.04 ≤ 12.5
BHT 31.43 ± 1.29 198.93
3) 동백잎 효소추출물의 catalase 활성 분석
catalase는 생체내의 유해한 산소들을 신속히 처리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계 효소로 항산화효소 H2O2를 분해 소거하는 대표적인 효소이다. 항산화효소(antioxidative enzyme)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은 암이나 심장병 등의 발병가능성을 줄여준다고 생각되어왔으며 항산화효소가 신체의 노화현상을 지연시킨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이러한 항산화효소가 풍부한 보충제로는 알파 토코페롤(α-tocopherol)과 같은 지용성 비타민 E, 베타 카로틴(β-carotene), 수용성 비타민 C, 셀레늄(Se), 녹차, 클로렐라, 녹황색 야채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비타민 E는 세포막과 관련이 많기 때문에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용성 항산화제(antioxidant)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C는 수용성 과산화 radical을 제거하고 또 환원된 비타민 E를 재생시키는 역할도 한다.
본 실험에서 catalase활성은 Aebi (1984)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50 mM potassium phosphate (pH 7.0)에 10 mM H2O2 와 반응 효소액을 가하였다. 24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관찰하고 1분동안에 1uM의 H2O2를 분해하는 효소의 양을 1 unit으로 하였다.
동백의 신엽(어린 잎)과 성엽(성숙 잎) 그리고 화기(꽃)를 채취하여 catal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녹차와 동백의 부위별 활성도를 비교시 성엽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신엽과 화기의 경우 거의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신엽의 경우 녹차 잎과 비교시 가장 낮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에서 동백의 성엽은 지금까지의 보고된 녹차의 활성도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고 있어 H2O2 제거능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고 관찰되어진다.
도 3은 동백잎 효소추출물의 catalase 활성(Catalas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each part of camellia)을 나타내고 있다.
3. 성분 분석
1) 동백 어린 잎(신엽)의 엽위별 성분 함량 분석
총질소는 제1엽이 4.21%로 가장 많았고, 제3엽, 제4엽 등 전개 후 성숙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지엽과 줄기에 각각 2.12%, 2.27%로 가장 많았다. 카테킨은 제1엽에서 17.8%였고 잎이 아주 미숙한 상태 일때와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카페인 역시 엽위가 진전 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비타민C는 엽위가 전개 될수록 약간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표 4는 동백 어린 잎(신엽)의 엽위별 성분 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구분 총질소 총유리아미노산 카테킨 카페인 비타민C
제1엽 4.21 0.52 17.80 2.61 33.27
제2엽 4.13 0.59 17.63 2.52 58.91
제3엽 4.10 0.69 17.28 2.44 69.63
제4엽 4.11 0.73 16.48 2.43 51.97
제5엽 4.09 0.82 16.26 2.35 64.98
제6엽 4.06 0.86 14.96 2.29 43.31
2) 동백잎의 유리당의 함량 분석
동백잎에 함유된 4가지 종류의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sucrose 함량이 12.8nmol/0.1mg 로 가장 높았으며, fructose, glucose, maltos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표 5는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유리당의 함량(Free sugar contents of camellia leaf extracts (unit, nmol/0.1mg))을 나타내고 있다.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Total
3.3 6.7 12.8 2.1 24.9
4.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구강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고령자 구강에서 많이 발생하는 S. mutans는 치아우식증(Dental caries; 충치질환)을 유발하는 초기 원인균으로, S. mutans에 의해 설탕, 전분 등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산(acid)에 의해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되어 충치가 발생한다. 구강 캔디다증 (Candidiasis, Thrush, 아구창, 구내염): Candida albicans 감염에 의해 구강점막의 표면에 회백색 또는 유백색 반점이 발생. 특히 고령자들 중 의치 사용자나 소모성 질환 또는 면역질 환자에게 많이 발생한다.
paper disc method을 사용하여 분리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및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 함유된 치약의 항균력을 분석하였다. 순수 분리된 각 균주의 단일집락을 취해 10㎖의 균 생육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각각 균주의 생육적온에서 18~24시간씩 3회 배양한 후 항균활성 시험균주로 사용하였다. 항균성 시험용 평판배지의 조제는 각각 균주의 15%의 한천이 첨가된 생육배지를 멸균하여 petri dish에 15㎖씩 분주하여 기층용 배지를 응고시키고, 각각의 시험균 농도를 650㎚에서 optical density(O,D)값이 0.4(106 CFU/mL)가 되게 한 후 0.7% 한천이 첨가된 중층용 배지에 무균적으로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기층용 배지 위에 분주한 다음 고르게 응고 시켜 2중의 균 접종 중층배지를 제조하였다. 충분히 굳은 고체배지 위에 멸균된 8㎜ paper disc를 올려놓은 후, 시료 농도별로 30㎕씩 disc에 흡수시킨 다음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disc 주변의 clear zone을 관찰하므로서 구강유해균에 대한 살균력을 분석하였다.
도 4는 충치 유발균 S. mutans에 대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5는 치아우식 유발균 S. sobrinus에 대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6은 구내염의 원인균 C. albicans에 대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표 6은 충치 유발균 S. mutans 및 치아우식 유발균 S. sobrinus, 구내염의 원인균 C. albicans에 대한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정리한 것이다.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의 clear zone (단위:mm)
Concentration  Microbial strains
S. mutans S. sobrinus C. albicans
control - - -
① 20mg/ml 2 2 3
② 40mg/ml 3 3 4
③ 80mg/ml 4 4 5
④ 100mg/ml 5 5 6
2.세치제 조성물의 구강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도 7은 충치 유발균 S. mutans에 대한 세치제 조성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1mm), ④ 100mg/mL(3mm))을 나타낸다.
도 8은 치아우식 유발균 S. sobrinus에 대한 세치제 조성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도 9은 구내염의 원인균 C. albicans에 대한 세치제 조성물의 항균활성(① 20mg/mL, ② 40mg/mL, ③ 80mg/mL, ④ 100mg/mL)을 나타낸다.
표 7은 충치 유발균 S. mutans 및 치아우식 유발균 S. sobrinus, 구내염의 원인균 C. albicans에 대한 세치제 조성물의 항균활성을 정리한 것이다.
세치제 조성물의 clear zone (단위:mm)
Concentration  Microbial strains
S. mutans S. sobrinus C. albicans
control - - -
① 20mg/ml - 3 3
② 40mg/ml - 4 5
③ 80mg/ml 1 5 5
④ 100mg/ml 3 6 6
산수유
산수유는 층층나무과(Corn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 산지나 인가부근에 서식하는 식물로 일반적으로 열매의 육질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주요 효능은 요실금, 당뇨병, 혈압강하, 항암작용, 수렴작용, 피부진균(황색포도상구균, 황색 백선균)에 대한 항균작용, 청각세포 보호, 정력보강, 항산화, 소염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코르닌(Cornin(Verbenalin)), 사포닌(Saponin), 탄닌(Tanin), 우르솔닉산(Ursolic acid), 갈릭산(Gallic acid), 마릭산(Malic acid), 타타릭산(Tartaric acid), 비타민A 등이 함유되어 있다.
1. 잇몸조직의 조기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효능 분석
본 명세서에서는 세포의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잇몸의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잇몸의 조기노화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를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로 DPPH 소거능, 항산화물질, 항산화효소 활성 분석을 이용하였다.
1)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
총 폴리페놀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산수유로부터 분리된 추출물 0.1 g에 methanol 10ml을 가하여 70℃에서 30분 동안 추출한 후 1mg/ml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검액 50 ㎕에 증류수 650 ㎕를 넣은 후 Folin-Denis reagent를 50 ㎕ 가하여 3분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 10% Na2CO3 포화용액을 100 ㎕을 첨가하고, 최종 볼륨을 1mL로 맞추기 위해 증류수 150 ㎕을 넣어 잘 혼합시켰다. 37℃ water bath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며, 표준곡선은 tannic acid (Sigma Co., USA)의 농도를 0~500 ㎍/mL 이 되도록 하고 이로부터 총 페놀함량을 구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표 8(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와 같이 27.17㎍/㎖ 함유되어 있었다.
Plant name(Parts used) Total Polyphenolics(㎍/㎖)
산수유 (열매) 27.17
2)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
항산화활성 검색은 DPPH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radical 소거효과를 측정하는 Blois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10-4M DPPH와 농도별 추출물을 각각 100 ㎕씩 취하여 혼합한 30분간 암 상태에서 방치한 후 잔존 radical 농도를 ELISA Reader(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측정하였다. 시료의 환원력의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으로 표시하며, RC50은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으로 나타내며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BHT(butylated hydroxytoluene)와 Vit C(ascorbic acid)를 비교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Ac-As)/Ac × 100
위 식에서 Ac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 As는 시료를 첨가한 반응구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추출물에 대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산수유 열매과육 추출물의 RC50 값은 234.51 ug/ml로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도 10 및 표 9는 동백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ornus officinalis)을 나타내고 있다.
name(Scientific name) Part used RC50 (ug/ml)
산수유(Hosta lancifolia) Flesh 234.51
BHT 101
Vit.C 6.8
2) SOD 유사활성 및 CAT 활성
SOD 활성은 Beauchamp and Fridovich(197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50 mM carbonic buffer (pH 10.2), 0.1 mM EDTA,, 0.1mM Xanthine, 0.025 mM nitroblue tetrazolium(NBT), 효소액이 포함된 용액을 25°C에서 10분간 반응한 후 Xanthine oxidase(3.3
Figure pat00001
10-6mM)를 참가하여 반응을 측정하였다. SOD 활성 측정은 550nm에 30초 단위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atalase활성은 Aebi (1984)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50 mM potassium phosphate (pH 7.0)에 10 mM H2O2 와 반응 효소액을 가하였다. 24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관찰하고 1분동안에 1uM의 H2O2를 분해하는 효소의 양을 1 unit으로 하였다.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산수유 열매(17.8 U/mg)는 우수한 효소활성을 보였으며, CAT 활성을 분석한 결과 산수유 열매는 13.9 U/mg로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도 11은 산수유 추출물의 SOD 활성(HL/F; 산수유 열매)을 나타내고 있다.
Sample CAT activity(U/mg) SOD activity(U/mg)
산수유 열매 13.9 17.8
2. 구강유해균에 대한 살균력 분석
또한 산수유 추출물의 최소살균농도 분석법(MBC: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을 이용한 6종의 구강질환 유발균에 대한 살균효과를 검증하였다.
표 11은 산수유 추출물의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extracts from Cornus officinalis fruits)을 나타내고 있다.
MBC (mg/mL)
Aa 33384 Tf 43037 Fn 25586 Pi 25611 Pg 33277 Sm 25175
>1 >1 0.25 >1 1 >1
* Aa 33384 : Actinobacillus actinomycetem - comitans (침습성 치주염, 잇몸질환 유발균)
* Tf 43037 : Tannerella forsythensis (치주염 유발균)
* Fn 25586 : Fusobacterium necrophorum (궤양성 구내염, 치주질환, 구취의 원인균)
* Pi 25611 : Prevotella intermedia (호르몬 관련 치주염 유발균)
* Pg 33277 : Porphyromonas gingivalis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균종)
* Sm 25175 : Streptococcus mutans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종)
산수유 열매 추출물은 궤양성 구내염, 치주질환, 구취의 원인균으로 작용하는 Fusobacterium necrophorum에 대해 매우 탁월한 살균력을 나타냈으며,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하여도 강한 살균효과를 보였다. 그 밖에도 치아우식증과 치주병의 원인균인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호르몬 관련 치주염 유발균인 Prevotella intermedia, 치아우식증의 초기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 호르몬 관련 치주염 유발균(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하여 저농도 수준에서 살균력을 보여 주었다.
배초향
한국 본초도감에서 배초향(排草香 Agastach rugosa O.Kuntze)은 일명 방아풀 ,곽향(藿香), 토곽향(土藿香)이라 불리는 꿀풀과(Labiatae)의 다년초 식물로서 지리적으로 일본, 중국, 만주, 대만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의 산야, 계곡, 약간의 습기가 있는 곳 등에 자생하고 있다. 배초향 주성분은 phenylpropanoide계 정유성분으로 주성분이 methylchavicol이고, 그밖에 anethloe, ansialdehyde 등이 그리고 terpene계 정유로 α-limonene, β-methoxycinnamaldehyde, α-pinene등이 함유 되어 있다. 약리효과는 피부진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이질균, 용혈성연쇄상구균, 페렴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1. 배초향 정유 추출
깨끗하게 세척된 식물체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원형플라스크에 증류수와 함께 넣은 후, 수증기증류장치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하여 투명한 정유를 획득하였다.
2. 항산화물질 및 항산화활성 분석
본 명세서에서는 세포의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잇몸의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잇몸의 조기노화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이를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는 하나의 지표로 DPPH 소거능, 항산화물질, 항산화효소 활성 분석을 이용하였다.
1) 페놀 함량 분석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배초향은 시료 50g당 에탄올 500ml에 5시간 동안 heating mentle에서 열수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은 filter paper(No.1, Advantec)로 여과하여 50℃에서 감압농축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 0.1 g을 methanol 10ml에 용해한 후 1mg/ml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검액 50 ㎕에 증류수 650 ㎕를 넣은 후 Folin-Denis reagent를 50 ㎕ 가하여 3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다. 반응시킨 후 10% Na2CO3 포화용액 100 ㎕을 첨가하고, 최종 볼륨을 1mL로 맞추기 위해 증류수 150 ㎕을 넣어 잘 혼합하였다. 37℃ water bath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Pharmacia Biotech ultrospec-2000)를 사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표준곡선은 tannic acid (Sigma Co., USA)의 농도를 0~500 ㎍/mL 이 되도록 하고 이로부터 총 페놀함량을 구하였다.
폴리페놀계 물질들은 식물체에 특수한 색깔을 부여하고 산화 환원 반응에서 기질로 작용하며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phenolic hydroxyl(OH)기를 가진 방향족 화합물을 가리키며 플라보노이드와 탄닌이 주성분으로 충치예방, 고혈압 억제, 항에이즈,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 각각의 생약초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각각 tannic acid을 기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배초향에 함유된 폴리페놀 함량은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1.91 ±4.64 ㎍/ml 이었다.
Scientific name Korean name Total phenolics(㎍/ml)
Agastache rugosa 배초향 51.91±4.64
2)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산화 활성 측정
항산화 활성 검색은 DPPH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radical 소거 효과를 측정하는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10-4M DPPH와 농도별 추출물을 각각 100 ㎕씩 취하여 혼합하고 30분간 암 상태에서 방치한 후 잔존 radical 농도를 ELISA Reader(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nm에서 측정하였다. 시료의 환원력의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으로 표시하며, RC50은 DPPH 농도가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으로 나타내었으며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BHT(butylated hydroxytoluene), Vitamin C(ascorbic acid)와 비교하였다.
DPPH는 짙은 자색을 띄는 비교적 안정한 free radical로서 방향족 화합물 및 방향족 아민류에 의해 환원되어 탈색되므로 다양한 천연소재로부터 항산화물질을 검색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을 DPPH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3은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DPPH radical 농도를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인 RC50 값으로 비교하였으며,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RC50 값은 700㎍/㎖로 나타났다.
도 12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산화 활성(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을 나타내고 있다.
시 료 RC 50 (㎍/ml)
배초향(AR) 700
Vit C.(ascorbic acid) 9.08
BHT 95.68
3.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
배초향의 에탄올 추출 시료 액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paper disk diffusion 방법을 이용 하였다. 배초향 에탄올 추출물의 결과는 표 14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4종의 균주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14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Agastache rugosa)을 나타내고 있다.
Strains Inhibition zone(mm)
125㎍/㎖ 250㎍/㎖ 500㎍/㎖
Staphylococcus aureus - * - -
Bacillus amyloliquefaciens - - -
Enterobacter spp. 20 30 50
Listeria monocytogenes 30 40 40
Pityrosporum ovale 30 40 50
Staphylococcus epidermidis 20 20 30
Candida albicams - - 20
* : Not detected
4.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
Propionibacterium acnes균에 대한 배초향 정유는 30~40%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Staphylococcus epidermidis균에 대하여도 30%, 40% 농도에서 강력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또한 정유 추출물을 10, 20, 30 및 40% 농도별로 Malassezia furfur 에 paper disc agar diffusion 법으로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40% 농도에서는 배초향 꽃과 배초향 지상부에서 추출된 정유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도 13 및 표 15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herb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① 배초향 꽃 ②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균 주 Antimicrobial activity(mm)
20% 30% 40%
Staphylococcus epidermidis 배초향꽃 - +++ ++
배초향지상부 - + +
도 14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농도에 따른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depending on various concentration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 A 배초향꽃, B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시료
농도.
A.배초향꽃 B.배초향 지상부
Essential oil 5㎕+EtOH 35㎕ 3.3 -
Essential oil 10㎕+EtOH 30㎕ 3.3 -
Essential oil 20㎕+EtOH 20㎕ 5 3
Essential oil 30㎕+EtOH 10㎕ 6.3 -
Essential oil 40㎕ 8.6 2.6
도 15는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herb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1. 배초향 꽃 2.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Strains Antimicrobial activity(mm)
20% 30% 40%
Propionibacterium acnes 배초향꽃 - + +
배초향지상부 - + +
도 16은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농도에 따른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depending on various concentration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을 나타내고 있다.
시료
농도
A. 배초향꽃 B. 배초향 지상부
Essential oil 5㎕+EtOH 35㎕ 3 -
Essential oil 10㎕+EtOH 30㎕ 2.6 -
Essential oil 20㎕+EtOH 20㎕ 3.3 2
Essential oil 30㎕+EtOH 10㎕ 4 2.6
Essential oil 40㎕ 4.3 3.3
* : not available
도 17은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의 항미생물 활성(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herb against Malassezia furfur . 좌측: 배초향 꽃 우측: 배초향 지상부)을 나타내고 있다.
Sample
Conc.
배초향꽃 배초향 지상부
Essential oil 5㎕+EtOH 35㎕ 4.6 -
Essential oil 10㎕+EtOH 30㎕ 5.3 2.3
Essential oil 20㎕+EtOH 20㎕ 5.6 2.3
Essential oil 30㎕+EtOH 10㎕ 6 2.6
Essential oil 40㎕ 6.3 4
상엽 및 상백피
상백피는 뽕나무과(Moracerae)에 속한 뽕나무의 뿌리껍질이며, 상엽은 뽕나무의 잎으로서, 주 효능으로는 소갈치료효과, 혈당강하, 혈압강하, 항균작용, 소염작용,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루틴(rutin), 쿼서틴(quercetin), 모라세틴(moracetin), 베타-시토스테롤(b-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루페올(lupeol), 미오이노시놀(myoinositol), 이노코스테론(inokosterone) 등과 같은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엽 추출물은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1. 구강유해균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열수 추출법으로 조제한 뽕나무 잎과 뽕나무 뿌리 추출물을 시료로하여 paper disc 법을 이용하여 치아우식의 원인균으로 작용하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증식저해능을 분석하였다. S. mutans에 처리한 추출물의 농도는 1, 10, 50, 100 ㎎/㎖ 이며, 실험결과는 상백피(뽕나무 뿌리껍질) 추출물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균을 저해함을 알 수 있는데 1㎎/㎖에서는 1.5mm, 10㎎/㎖에서 1.8mm, 50㎎/㎖에서 3.2mm, 100㎎/㎖에서 6mm의 저해 투명대를 나타냈으며, 상엽(뽕나무 잎) 추출물에서는 모든 농도군에서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도 18 및 표 20은 상엽 추출물(좌측)과 상백피 추출물(우측)의 항균활성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시료 농도 (mg/mL) 상엽 상백피
Clear zone (mm)
1 - 1.5
10 - 1.8
50 1.3 3.2
100 1.6 6
또한, 상엽의 경우, 6종의 구강질환 유발균에 대하여 살균력의 최소농도를 분석한 결과, 3종의 균에 대하여 탁월한 치사력을 나타내었다.
표 21은 상엽 추출물의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extracts from Morus alba L. leaves)를 나타내고 있다.
MBC (mg/mL)
Aa 33384 Tf 43037 Fn 25586 Pi 25611 Pg 33277 Sm 25175
>2 0.5 0.125 0.125 <0.015 >2
* Aa 33384 : Actinobacillus actinomycetem - comitans (침습성 치주염, 잇몸질환 유발균)
* Tf 43037 : Tannerella forsythensis (치주염 유발균)
* Fn 25586 : Fusobacterium necrophorum (궤양성 구내염, 치주질환, 구취의 원인균)
* Pi 25611 : Prevotella intermedia (호르몬 관련 치주염 유발균)
* Pg 33277 : Porphyromonas gingivalis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균종)
* Sm 25175 : Streptococcus mutans (치아우식증의 주요 원인균종)
II. 치약 조성물의 제조
1. 합성원료의 치약과 천연원료의 치약성분의 차이
통상 합성원료로 구성된 구강용 조성물중 하나인 치약의 구성성분은 합성 연마제, 합성 습윤제, 합성 기능성원료, 인공착색제 및 착향제, 그리고 세제용 기포제 등을 포함한다.
한편, 천연원료로 구성된 구강용 조성물중 하나인 치약의 구성성분은 천연 연마제, 천연 습윤제, 기능성원료(편백, 허브류 등), 식물성 착색제 및 착향제, 그리고 천연 기포제 등을 포함한다.
2. 조성물 성분의 특성 및 기능
조성물 성분의 특성 및 기능을 아래 [표 22]에 나타낸다.
성 분 특성 및 기능
습윤제 크림형 세치제의 굳는 현상 방지
주성분 충치예방, 치주질환 예방 & 항산화작용 (Vitamin B6),
치석침착예방
연마제 치태제거
점도 조절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점도를 조절
증백제 추출물의 색상 조정 및 조성물의 증백화에 의해 추출물에
의한 치아의 착색방지
부형제
(hydroxyapatite)
인간의 뼈와 주성분이 같은 세라믹으로, 인공 뼈, 치근으로 이용되며, 생체 적응성이 양호하여 조직과의 일체화가 가능함.
감미제 감미도가 설탕의 약 100~200배인 감미료로 치약의 향이나 맛을 조정함
기포제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액체나 고체를 액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 거품을 유발시켜 양치질감을 상승시키며, 더러운 물질을 제거, 세정하는 기능
3. 세치제의 국가별 사용성분 현황
세치제의 국가별 사용 성분을 아래 [표 23]에 나타낸다.
국가별 사용성분
분류
국내
(표준제조기준)
일본
(표준제조기준)
미국
(FDA approved)
치태제거 인산수소칼슘,무수인산수소칼슘,침강탄산칼슘,탄산칼슘,인산삼칼슘,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이산화규소, 무수인산칼슘,함수이산화규소,덴탈타입실리카 유효성분으로
인정하지 않음
유효성분으로
인정하지 않음
잇몸질환예방 염화나트륨,토코페롤아세테이트,피리독신염산염,알란토인,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트라넥사민산,아미노카프론산 염화나트륨,토코페롤아세테이트,피리독신염산염,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염산클로로헥시딘,염화리소지움,히노키티올,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레이트,염화세틸피리디늄,트리클로로산 등 Triclosan
치석침착예방 피로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
피로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등
충치예방 NaF, SnF, SMFP, AmF NaF, SnF, SMFP, AmF
시린이 완화 KNO₃
담배 타르의 제거 폴리인산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3. 구강용 조성물의 기능별 첨가성분 및 첨가량
구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과 함께 조성물의 기본 첨가물로 습윤제, 주성분, 연마제, 점도조절제, 증백제, 부형제, 감미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주요 소재로 한 세치제 조성물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 효소처리 스테비아(Enzymatically Modified Stevia Glucosyl Stevia)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5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3중량%,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중량%, 정제수 12.58~30중량%를 혼합 조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및 기본 성분들의 첨가량에 따른 물성차이를 분석하여 각 성분들의 첨가량을 표 24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원료명 함량(중량%) 배합목적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 1.0~4.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5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20~0.80
D-소르비톨액 40~60 습윤제
식물성 글리세린 2.0~3.0
애플워시 2.0~10.0 천연 기포제(식물성 계면활성제)
덴탈타입실리카 15 연마제
플루오르화나트륨
(불화나트륨)
0.22 충치예방
피로인산나트륨 0.50 치석침착예방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 부형제
효소처리스테비아 0.25~0.50 감미제
자일리톨 0.10~0.50
정제수 To 100
상기 표 2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용제인 정제수에 습윤제로 D-소르비톨액 및 (농)글리세린을, 주성분으로 덴탈타입 실리카 및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피리독신염산염, 피로인산나트륨을, 연마제로 PEG-1500 및 산화티탄을, 점도조절제로 함수규산을, 증백제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부형제로 효소로 처리된 스테비아를, 감미제로 자일리톨을 추가로 포함하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현편, 구강용 조성물은 기포제로 SLS, 점도조절제로 CMS, 착향제로 옵타민트295901 및 L-멘톨을 포함할 수 있다.
III. 임상실험
본 명세서는 동백추출물 함유 구강용 조성물의 항치태효과, 항치은염 효과, 구강 내 미생물 감소효과를 임상실험연구를 통해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1. 임상연구 대상
본 명세서는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연구로써, 모든 대상자는 임상시험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로 한정하였다. 현존 자연치아수가 최소 18개 이상인 20-59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면세균막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치면세균막이 축적되어 있다고 판단되는(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 값이 1.5 이상)자 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 국내 연구결과에서 치은염 감소 유효물질(탄산수소나트륨 함유치약) 사용군의 치면세균막 감소량과 대조군의 효과크기(effect size)를 산출하였다. 두 연구에서 각각 계산한 효과크기의 평균을 산출하였고, 이를 Z분포의 검정력(Zα=0.05, Zβ=0.2, 단측검증)을 고려하여 초기 목표 표본 수를 각 군당 25명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4주간의 연구기간을 고려하여 탈락률을 10%로 결정하여 최종 연구대상자는 82명으로 정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자를 치약 군별로 이중맹검무작위(double Blinded Randomization)로 배정하였고 각 치약 군에 배정된 연구대상자의 성, 연령, 치면세균막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고르게 분포하였다(p>0.05, 표 25).
본 임상시험연구에 사용한 치약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는 음성 대조군 치약군(치약 ‘가’ 군),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는 치약군(치약 ‘나’ 군), 치은염개선 효과가 밝혀진 상용치약군(시판제품 ‘안티프라그’)으로 총 3개 군을 비교 평가하였다.
구분 치약 가군 치약 나군 안티프라그 p-value
연구대상자수(명) 24(34.3) 24(34.3) 22(31.4)
성별(%)* 남자 5(20.8) 10(41.7) 11(50.0) 0.10*
여자 19(79.2) 14(58.3) 11(50.0)
연령(Mean±sd) 30.65±2.19 30.17±2.14 31.86±2.46 0.62**
PHP Index 1.76±0.16 1.72±0.12 1.87±0.13 0.56**
*Chi-squre test
**One-way ANOVA
본 연구는 실제 연구기간 4주 및 연구 준비 및 정리기간을 포함해서 총 6개월간 진행되었다. 검사자는 연구대상자가 처음 내원 시 구강검사를 하여 연구적합 대상자 여부를 판단하여 82명의 적합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구강위생 교육을 받고, 연구기간 동안 칫솔질을 하루 두 번 이상, 본인의 습관대로 하도록 지시하였다. 단 구강 양치액의 사용은 제한하였다
내용 1차 2차 3차
기간 0일 2주 4주
평가 Base-line
타액검사
치은염평가
항치태평가
타액검사
치은염평가
항치태평가
타액검사
치은염평가
항치태평가
참여대상자 82명 70명 70명
2. 임상평가
피험자는 매 내원 마다 타액검사, 치은염지수 평가, 치태지수평가의 순으로 임상 평가를 받았다.
1) 타액검사
먼저 피험자를 대상으로 파라핀왁스를 씹으면서 자극성 타액을 발생 시킨 후 타액 채취는 baseline, 2주후 및 4주후, 총 3번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2) 치은염 평가
치은염 평가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Le & Silness Gingival index를 이용하였다. 이 평가법에서는 index 치아로서 상악 우측 제 1대구치, 상악 우측 제 2전치, 상악 좌측 제 1 소구치, 하악 좌측 제 1대구치, 하악 좌측 제 2전치, 하악 우측 제 1소구치를 대상으로 한다.
3) 치태 지수 평가
본 명세서에서는 치태 평가 지수로 PHP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를 이용하였다.
3. 통계분석
각 군별 치면세균막지수는 Kolmogorov-Smirnov test를 통해 정규분포성을 확인한 후 분석하였다. 각 세가지 실험군의 치약사용 기간 경과에 따라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 수의 변화, 치은염 지수의 변화, 치면세균막의 변화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시행하고, 군간 유의차 검정을 위해서 일요인 분산분석(ANOVA)을 실행한 수 군간 유의차는 Duncan’s 다중 비교법을 이용하여 사후 검정을 하였다. 각 실험군 별로 치약사용 전과 후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T검정(Paired t-test)을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SPSS Inc., U.S.A.)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4. 연구 결과
1) 치은염 감소효과
표 2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치약 ‘가’군, 치약‘나’군, 안티프라그군에서 사용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은염 지수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치약 사용 군별로 치은염 지수의 감소가 보이는 것은 아니었다(p>0.05). 치약‘가’군과 치약 ‘나’군의 경우 사용 2주후, 4주후 지속적으로 치은염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치약 ‘가’군의 경우 안티프라그 군과 비교하여 치은염 감소가 1.1배, 치약‘나’군의 경우 1.5배 있었다.
구분 및 측정시기 평균차이
(MD±SE)
p-value* p-value**
0일 2주 후 4주 후
치약 가군 1.60±0.06 1.43±0.06 - 0.17±0.05 0.00* <0.001**
- 1.43±0.06 1.31±0.07 0.13±0.04 0.01*
1.60±0.06 - 1.31±0.07 0.29±0.27 0.00*
치약 나군 1.61±0.06 1.38±0.06 - 0.24±0.05 0.00*
- 1.38±0.06 1.22±0.06 0.16±0.05 0.00*
1.61±0.06 - 1.22±0.06 0.40±0.05 0.00*
안티프라그 1.58±0.07 1.42±0.06 - 0.17±0.04 0.01*
- 1.42±0.06 1.33±0.07 0.09±0.05 0.10
1.58±0.07 - 1.33±0.07 0.26±0.04 0.07
*p<0.05 obtained by paired t-test
**p<0.05 obtained by Repeated measure ANOVA
MD±E denote Mean difference±standard error
2)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 효과
표 2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치약 ‘가’군, 치약‘나’군, 안티프라그군에서 사용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치약 사용 군별로 치면세균막 지수의 감소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었다(p>0.05). 치약‘나’군의 경우 사용 2주 후 치면세균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4주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치약‘가’군의 경우 치면세균막 지수가 감소하긴 하였으나 그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구분 및 측정시기 평균차이
(MD±SE)
p-value* p-value**
0일 2주 후 4주 후
치약 가군 1.74±0.12 1.57±0.14 - 0.17±0.14 0.22 <0.001**
- 1.57±0.14 1.49±0.12 0.08±0.12 0.53
1.74±0.12 - 1.49±0.12 0.25±0.13 0.07
치약 나군 1.76±0.16 1.51±0.16 - 0.24±0.10 0.03*
- 1.51±0.16 1.49±0.19 0.02±0.09 0.81
1.76±0.16 - 1.49±0.19 0.26±0.12 0.04*
안티프라그 1.87±0.13 1.58±0.18 - 0.28±0.15 0.07
- 1.58±0.18 1.62±0.16 -0.04±0.12 0.76
1.87±0.13 - 1.62±0.16 0.24±0.11 0.03*
*p<0.05 obtained by paired t-test
**p<0.05 obtained by Repeated measure ANOVA
MD±E denote Mean difference±standard error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용 조성물로써 치약 조성물에 치은염 개선, 항산화활성, 구강유해균의 억제 및 살균, 치석개선능을 주요 효능으로 가지고 있는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과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산수유 추출물, 인동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첨가하므로서 이들 천연물을 함유한 조성물이 다양한 구강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특히, 임상시험의 결과로 검증된 치은염 및 치주질환 개선과 치료효과가 있음을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용 조성물로써 치약조성물은 치약의 색상이 유지되고 향이 변화되더라도 치약에 함유된 약효제의 효과가 유지되고 사용 시 상쾌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V. 다른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전술한 치약 조성물 이외에 구강청결제 (구강세정제)의 조성물, 구강향수의 조성물, 의치세정제의 조성물, 이쑤시게 코팅용 조성물, 치실 코팅용 조성물, 구강용 필름 조성물, 잇몸 보호용 젤 조성물 등 구강용 조성물은 제형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서 성분간의 배합비는 약간 달라질 수 있으나 기본적인 성분은 상기한 조성물의 성분들에 준하여 적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강용 조성물로은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를 포함하며, 제형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서, 습윤제, 천연기포제, pH 조절제, 충치예방, 식용 착향제, 천연 보존제, 산포제, 유화제, 감미제, 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예시적으로 구강 조성물의 성분비 및 배합 목적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구강청결제 (구강세정제)의 조성물
원료명 함량( 중량% ) 배합목적
동백잎 추출물 1.0~4.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 0.001~0.05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20~0.80
D-소르비톨액 40~60 습윤제
식물성 글리세린 2.0~3.0
코코베타인 2.0~10.0 천연 기포제(코코넛 유래 식물성 천연 계면활성제)
구연산(수화물) 0.005 pH 조절제
플루오르화나트륨
(불화나트륨)
0.22 충치예방
민트향(mint scent) 0.20 식용 착향제
자몽씨 추출물 0.20 천연 보존제
효소처리스테비아 0.25~0.50 감미제
자일리톨 0.10~0.50
정제수 To 100
민트향(mint scent)은 식용 착향제로 민트향을 내는 어떤 재료라도 무방하다.
2. 구강향수의 조성물
원료명 함량( 중량% ) 배합목적
동백잎 추출물 0.2~1.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 0.001~0.05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20~0.80
D-소르비톨액 10.00 습윤제
식물성 글리세린 2.0~3.0
코코넛오일 0.10 천연 계면활성제
구연산(수화물) 0.005 pH 조절제
베이킹소다 프라그 제거, 미백효과, 구취제거
가글용 민트향 0.20 식용 착향제
시트러스 0.10 천연 식용보존제
올리브 유화왁스 0.30 천연 유화제
효소처리스테비아 0.050 감미제
자일리톨 0.10~0.50
정제수 To 100
3. 의치세정제의 조성물
원료명 함량( 중량% ) 배합목적
동백잎 추출물 0.001~0.05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 1.00~2.0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001~0.050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1.00~2.00 소독제
폴리소베이트 20(Polysorbate 20) 0.30~1.00 유화제, 산포제
D-소르비톨액 40~60 습윤제
가글용 민트향 0.20 식용 착향제
자몽씨 추출물 0.20 천연 보존제
정제수 To 100
폴리소베이트 20(Polysorbate 20)은 폴리소베이트 20은 소비톨 또는 소비톨의 1 또는 2무수물 각 1M에 대해 에틸렌옥사이드 약 20M과 축합한 소비톨과 소비톨무수물의 로르산과의 부분에스터 혼합물이다.
4. 이쑤시게 코팅용 조성물
원료명 함량( 중량% ) 배합목적
동백잎 추출물 1.0~4.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 0.001~0.05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20~0.80
D-소르비톨액 40~60 습윤제
플루오르화나트륨
(불화나트륨)
0.22 충치예방
민트향 0.20 식용 착향제
자몽씨 추출물 0.20 천연 보존제
정제수 To 100
5. 치실 코팅용 조성물
원료명 함량( 중량% ) 배합목적
동백잎 추출물 1.0~4.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 0.001~0.05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20~0.80
D-소르비톨액 40~60 습윤제
플루오르화나트륨
(불화나트륨)
0.22 충치예방
민트향 0.20 식용 착향제
자몽씨 추출물 0.20 천연 보존제
식물성 글리세린 5.00 습윤제
정제수 To 100
6. 구강용 필름 조성물(치아미백 필름 외)
원료명 함량( 중량% ) 배합목적
동백잎 추출물 1.0~4.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 0.001~0.05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20~0.80
D-소르비톨액 10~40 습윤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0.005~0.05 치아미백효과
플루오르화나트륨
(불화나트륨)
0.22 충치예방
민트향(mint scent) 0.20 식용 착향제
자몽씨 추출물 0.20 천연 보존제
정제수 To 100
7. 잇몸 보호용 젤 조성물
원료명 함량( 중량% ) 배합목적
동백잎 추출물 1.0~4.0 주 효능성분(치은염, 구강유해균 억제, 항산화활성, 구취개선, 치통 및 잇몸궤양 및 구강질환 개선, 항염)
배초향 정유 0.001~0.050
산수유 추출물 0.001~0.050
인동초 추출물 0.001~0.050
상엽 추출물 0.20~0.80
D-소르비톨액 40~60 습윤제
식물성 글리세린 5.00
플루오르화나트륨
(불화나트륨)
0.22 충치예방
민트향(mint scent) 0.20 식용 착향제
자몽씨 추출물 0.20 천연 보존제
젤라틴 0.8~2.0 해조류 유래 젤
정제수 To 100
본 발명에 의하면, 치약조성물과 동일하게 구강용 조성물에 치은염 개선, 항산화활성, 구강유해균의 억제 및 살균, 치석개선능을 주요 효능으로 가지고 있는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과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산수유 추출물, 인동초 추출물, 상엽 추출물을 첨가하므로서 이들 천연물을 함유한 조성물이 다양한 구강질환, 특히 치은염 및 치주질환 개선과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색상이 유지되고 향이 변화되더라도 치약에 함유된 약효제의 효과가 유지되고 사용 시 상쾌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 또는 세치제 조성물이며,
    효소처리 스테비아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5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3중량%,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중량%, 정제수 12.58~30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청결제 또는 구강 세정제 조성물이며,
    D-소르비톨액 40~6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0~3.0중량%, 코코베타인 2.0~10.0중량%, 구연산(수화물) 0.00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0.22중량%, 민트향(mint scent) 0.20중량%, 자몽씨 추출물 0.20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향수 조성물이며,
    D-소르비톨액 10.0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0~3.0중량%, 코코넛오일 0.10중량%, 구연산(수화물) 0.005중량%, 민트향 0.20중량%, 시트러스 0.10중량%, 올리브 유화왁스 0.30중량%, 효소처리스테비아 0.050중량%, 자일리톨 0.10~0.50량%, 나머지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의치세정제 조성물이며,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1.00~2.00중량%, 폴리소베이트 20(Polysorbate 20) 0.30~1.0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민트향 0.20중량%, 자몽씨 추출물0.20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이쑤시게 코팅용 조성물이며,
    D-소르비톨액 40~60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0.22중량%, 민트향 0.20중량%, 자몽씨 추출물0.20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치실 코팅용 조성물이며,
    D-소르비톨액 40~60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0.22중량%, 민트향 0.20중량%, 자몽씨 추출물 0.2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5.00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용 필름 또는 치아미백필름 조성물이며,
    D-소르비톨액 10~40중량 %,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0.005~0.0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0.22중량%, 민트향 0.20중량%, 자몽씨 추출물 0.20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잇몸 보호용 젤 조성물이며,
    D-소르비톨액 40~6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5.00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0.22중량%, 민트향 0.20중량%, 자몽씨 추출물 0.20중량%, 젤라틴 0.8~2.0중량%, 나머지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는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동백나무속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인 구강용 조성물.
  11. 동백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1~4중량%, 배초향 정유(essential oil) 0.001~0.010중량%, 산수유 추출물 0.001~0.010중량%, 인동초 추출물 0.001~0.010중량%, 상엽추출물 0.20~0.80중량%를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25~0.50중량%, 자일리톨 0.10~0.50중량%, D-소르비톨액 40~60중량%, 덴탈타입실리카 15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피리독신염산염 0.05중량%, 피로인산나트륨 0.50중량%, 식물성 글리세린 2~3중량%,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0.05중량%, 정제수 12.58~30중량%를 상기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나무는 식물분류학적으로 동백나무과 동백나무속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인 구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50010837A 2015-01-22 2015-01-22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37A KR101723588B1 (ko) 2015-01-22 2015-01-22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201680016936.0A CN107427454B (zh) 2015-01-22 2016-01-21 包含山茶叶提取物的口腔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PCT/KR2016/000633 WO2016117933A1 (ko) 2015-01-22 2016-01-21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37A KR101723588B1 (ko) 2015-01-22 2015-01-22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08A true KR20160090708A (ko) 2016-08-01
KR101723588B1 KR101723588B1 (ko) 2017-04-06

Family

ID=5641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37A KR101723588B1 (ko) 2015-01-22 2015-01-22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23588B1 (ko)
CN (1) CN107427454B (ko)
WO (1) WO201611793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38A (ko) 2017-04-10 2018-10-18 (주)아모레퍼시픽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KR20200091632A (ko) * 2019-01-23 2020-07-31 김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결정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결정을 포함하는 구취제거용 조성물
KR102216388B1 (ko) * 2020-08-12 2021-02-17 전라남도 동백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6493A (ko) 2021-06-10 2022-12-19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치아 미백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612967B1 (ko) * 2023-06-26 2023-12-13 주식회사 고차원 비피두스엑스를 포함하는 구강용 액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667B1 (ko) * 2018-01-19 2019-12-13 김한수 젤리 정제형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06599B1 (ko) * 2018-02-06 202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바라기유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384646A (zh) * 2018-04-20 2019-10-29 毛怡 一种白芨牙膏及其制备工艺
KR102297152B1 (ko) 2019-11-27 2021-09-02 전라남도 동백나무의 미성숙 열매의 생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22013163A1 (en) * 2020-07-14 2022-01-20 Firmenich Sa Reduction of undesirable taste notes in oral care produc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510A (ja) * 1985-02-27 1986-09-01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KR930000059A (ko) * 1991-06-05 1993-01-15 안영흥 전투화굽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922A (ko) * 2008-10-15 2010-04-23 최정영 국화, 곽향 및 형개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양치액
KR20120093607A (ko) * 2011-02-15 2012-08-23 (주)한일제약 구강용 액상조성물
KR20140094850A (ko) * 2013-01-23 2014-07-31 (주) 베리콤 구강 병원균에 대한 항균성과 항바이오 필름 활성을 지닌 천연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059B1 (ko) * 1990-04-24 1993-01-08 태평양화학 주식회사 충치를 예방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0138244B1 (ko) * 1993-12-29 1998-05-15 최근선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조성물
US20060141039A1 (en) * 2004-12-23 2006-06-2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oxidized camellia
CN102138887B (zh) * 2011-04-06 2012-10-31 西南大学 一种多功能复方黄连中草药牙膏
CN103735473A (zh) * 2013-12-04 2014-04-23 何小刚 草本漱口水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510A (ja) * 1985-02-27 1986-09-01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KR930000059A (ko) * 1991-06-05 1993-01-15 안영흥 전투화굽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1922A (ko) * 2008-10-15 2010-04-23 최정영 국화, 곽향 및 형개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양치액
KR20120093607A (ko) * 2011-02-15 2012-08-23 (주)한일제약 구강용 액상조성물
KR20140094850A (ko) * 2013-01-23 2014-07-31 (주) 베리콤 구강 병원균에 대한 항균성과 항바이오 필름 활성을 지닌 천연 추출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38A (ko) 2017-04-10 2018-10-18 (주)아모레퍼시픽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KR20200091632A (ko) * 2019-01-23 2020-07-31 김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결정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결정을 포함하는 구취제거용 조성물
KR102216388B1 (ko) * 2020-08-12 2021-02-17 전라남도 동백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6493A (ko) 2021-06-10 2022-12-19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치아 미백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612967B1 (ko) * 2023-06-26 2023-12-13 주식회사 고차원 비피두스엑스를 포함하는 구강용 액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7933A1 (ko) 2016-07-28
KR101723588B1 (ko) 2017-04-06
CN107427454A (zh) 2017-12-01
CN107427454B (zh) 2020-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06199661A (ja) 共凝集阻害剤
KR20120093607A (ko) 구강용 액상조성물
KR101743508B1 (ko) 감귤 또는 라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51161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린이 예방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8058B1 (ko) 구취 유발균 및 구강내 점막 감염증에 대한 유효 성분으로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48069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102207872B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8210B1 (ko) 관중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석류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 억제용 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7296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312657C2 (ru) Ополаскиватель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KR102216382B1 (ko) 파이토솔트를 함유한 니파팜 유래 복합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헬스케어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구강헬스케어제품
JP2009051778A (ja) ストレプトコッカス・ミュータンス(S.mutans)抗菌剤、抗う蝕剤、口腔用剤及びう蝕予防用飲食物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3223B1 (ko)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정유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9175A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2022062913A (ja) サツマイモ由来のイモ蜜又はイモ蜜の上清を含有する口腔ケア組成物
KR20160084904A (ko) 천연 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60068709A (ko)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40804B1 (ko) 비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