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709A -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709A
KR20160068709A KR1020160063359A KR20160063359A KR20160068709A KR 20160068709 A KR20160068709 A KR 20160068709A KR 1020160063359 A KR1020160063359 A KR 1020160063359A KR 20160063359 A KR20160063359 A KR 20160063359A KR 20160068709 A KR20160068709 A KR 20160068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ssential oil
solvent
effe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관
이숙영
김도경
김재성
박미라
유인정
Original Assignee
장성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군 filed Critical 장성군
Publication of KR2016006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 추출물 및 정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항미생물 효과, 및 구강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TOOTHPASTE COMPRISING CYPRESS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질환은 우리나라 성인의 80%가 앓고 있으며, 60대 이상 노령 인구의 약 90%가 앓고 있는 만성질환이다. 잇몸질환이 외래 다빈도 질환 중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발병률이 높고 매년 증가추세로 보고되고 있다.
치주질환은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료 및 치의약 분야 관련 건강보조식품과 위생용품 개발시, 친환경 및 인체친화적 천연소재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전신만성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치주질환 예방과 개선을 위한 구강보건용품 소재에서 phyto-material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성인의 80%, 그리고 실버세대 연령의 90%가 만성적으로 구강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나 사전에 예방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보조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판매중인 기능성 세치제의 경우, 프라그 저해, 구강내 유해균 억제, 구취개선, 미백효과 등의 기능성이 부가되어 있으나 연령별, 개인의 구강체질별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제품들이 대다수로 사용시 잇몸질환과 구내염증을 오히려 악화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를 대체할 제품개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편백 소재를 이용한 저자극, 기능성 천연소재 치약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편백나무로부터 유래한 편백 추출물 및 편백나무로부터 수증기 증류하여 획득한 편백 정유(essential o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편백 추출물이 100 내지 700mg 포함되며, 편백 정유(essential oil)가 100uL 내지 700uL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습윤제, 주성분, 연마제, 점도조절제, 증백제, 부형제, 감미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및 (농)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주성분은 덴탈타입 실리카,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피리독신염산염, 및 피로인산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연마제는 PEG-1500 및 산화티탄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함수규산이며, 상기 증백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이며, 상기 부형제는 효소로 처리된 스테비아이며, 상기 감미제는 자일리톨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 항미생물 효과, 및 구강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편백나무로부터 용매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편백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편백나무로부터 수증기 증류하여 편백 정유(essentail oil)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편백 추출물 및 상기 편백 정유를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 및 습윤제, 주성분, 연마제, 점도조절제, 증백제, 부형제, 감미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용매가 에탄올이며, 상기 편백 추출물의 추출이 대기압 미만의 감압 하에서 수행되며, 상기 용제가 정제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편백 추출물이 100 내지 700mg 첨가되며, 상기 편백 정유(essential oil)가 100uL 내지 700uL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 항미생물 효과, 및 구강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도 1은 KB, YD-38 및 Saos2 세포 증식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편백 함유 치약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편백잎 e.oil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편백 추출물의 항균 활성(clear zone)을 나타내며, 도 3b, 도 3c, 및 도 3d는 각각 Candida albicans,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추출물의 농도별 저해활성을 나타낸다.
도 4a는 편백 치약의 항균 활성(clear zone)을 나타내며, 도 4b, 도 4c, 및 도 4d는 각각 Candida albicans,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편백치약의 농도별 저해활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부피%이나 필요에 따라서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편백 소재를 이용한 구강청결 및 구취개선, 구내유해균 억제효능이 있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치약,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강은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데 매우 용이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성 감염균주 및 상주균 등에 의한 구강질환 및 전신질환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구강 내 미생물의 생육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구강보건을 향상시키려는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개발되어 왔으나 최근 약물의 오용 및 남용과 원내 감염균에 대한 약제내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새로운 대체약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 扁柏)은 일본 원산의 상록교목으로 회목(檜木), 히노끼(ヒノキ) 또는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편백은 높이 30~40m, 폭 1~2m 가량으로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작은 바늘모양의 잎이 가지에 밀생한다. 편백의 잎과 목재에는 약 1%의 정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편백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Essential oil)는 고대로부터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왔으며, 주로 방향제(芳香劑)· 화장품 · 향수 · 비누 · 세제 · 향신료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정유(Essential oil)의 항균, 항염증, 항진균, 항바이러스 및 항암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동물사료·살충제·치과용 상품 및 대체의약품 등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들 소재들은 방향성 원료에 따라 다양한 향기를 동반하며 고유의 성분에 의해 유용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 성분 중에는 이용하기에 부적절한 냄새를 함유한 경우도 적지 않아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구강질환을 비롯한 임상치료에 활용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으로 여겨져 왔다. 정유(Essential oil) 성분들은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세포의 효소활성을 방해하여 세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정유(Essential oil)는 치태의 발생에 개척자라 할 수 있는 그람 양성균들의 군집을 막고, 세균의 복제를 늦추고, 그람 음성균으로부터 내독소를 빼내게 되어 치태의 양을 감소시키고 병원성을 감소시킨다.
편백은 국내자생하는 방향식물자원으로서 천연 추출물 소재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편백 추출소재, 풍부한 정유(Essential oil) 추출소재, 다량의 피톤치드 함유소재, Green colour 계열의 천연색소 소재로, 충치, 잇몸질환, 치주염, 구강염증 등의 원인 "구강미생물"의 살균효과, 구취의 원인 "구강 박테리아"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 구취 유발물질(음식물, 구내염, 기타)에 대한 소취 효과, 편백 특유의 향에 의한 구강내 청량감, 심미감 등의 부여, 편백향의 후각 흡입을 통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정유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구체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구체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명심하여야 한다.
I. 편백나무 잎으로부터 편백 추출물 및 정유(essential oil) 분리
수집한 편백 잎을 동결건조 후 일정량, 예컨대 1kg을 5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일정시간, 예컨대 5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다음, 여과지(Whatman paper No 2.)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편백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한편, 깨끗하게 세척된 편백나무 잎을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원형플라스크에 증류수와 함께 넣은 후, 수증기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예컨대 15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하여 정유를 추출하였다.
이상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정유(essential oil)의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이하 이들의 구강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 이들의 항산화 활성 분석을 통한 잇몸의 노화 방지(anti-aging) 효과 및 구강질환 유발균에 대한 편백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을 검증한다.
II. 편백 e.oil를 함유한 치약 조성물 제조
구강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 이들의 항산화 활성 분석을 통한 잇몸의 노화 방지(anti-aging) 효과 및 구강질환 유발균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등을 검증하기 위하여 편백 정유를 함유한 치약 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제조하였다.
편백 e.oil 함유 치약
탄산수소나트륨 20g
자일리톨 5g
글리세린 10g
애플워시 1.4g
쟁탄검 0.5g
essential oil 200㎕
증류수 15ml
Total volume 52g
pH 11
III. 편백 잎 추출물과 essential oil의 구강질환 개선능 측정
1. 편백치약의 인체구강암세포에 대한 추출물의 효능
1) 세포주와 세포배양
KB 사람 구강암세포주는 10% fetal bovine serum(FBS, Invitrogen Co., Carlsbad, CA, USA) 및 항생제(100u/ml penicillinm, 100㎍/ml streptomysin)가 함유된 37℃의 MEM(Invitrogen Co., Carlsbad, CA, USA) 성장배지 하에서 배양하면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YD-38 한국인 구강암세포주는 10% fetal bovine serum(FBS, Invitrogen Co., Carlsbad, CA, USA) 및 항생제(100u/ml penicillinm, 100㎍/ml streptomysin)가 함유된 37℃의 RPMI 1640(Invitrogen Co., Carlsbad, CA, USA) 성장배지 하에서 배양하면서 실험에 이용하였다.
2) 세포성장 억제실험(MTT 분석)
편백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24 well plate에 5 X 103cells/well의 FaDu 세포를 접종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편백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와 시간에서 처리하여 37℃에서 반응시킨 후,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MT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MTT 분석은 구강암세포에 MTT 용액(MTT 최종농도 0.5㎍/㎕)을 37℃에서 4시간 처리한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0.04N HCl이 함유된 isopropanol로 녹여내어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행하였다.
3) 실험자료의 통계학적 검정
모든 실험성적은 mean ± SEM으로 나타내었고(n=3),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정은 ANOVA 후에 Student's t-test를 하였으며, p value가 0.05 미만(p<0.05)의 경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4) 실험 결과
KB와 YD-38 구강암세포 및 Saos2 골육종세포에서 치약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MTT 분석을 시행하였다. 도 1은 KB, YD-38 및 Saos2 세포 증식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편백 함유 치약의 효과를 나타낸다. 치약 0, 0.25, 0.5 및 1 g/ml의 다양한 농도로 24시간 KB와 YD-38 및 Saos2 세포에 투여한 후 MTT 검사를 시행한 결과, 치약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볼 수 없었다.
2. 편백 정유(essential oil)의 항산화활성
세치제의 주요 천연성분인 편백 e.oil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정유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DPPH radical 소거능도 상승함을 알 수 있었으며 250ug/ml의 농도에서 약 30%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500ug/ml의 농도에서는 약 50%의 소거능을 보여 주었다. 도 2a 및 도 2b는 편백잎 e.oil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3. 편백잎 추출물과 편백치약의 구강유해균에 대한 항균활성
1) 편백잎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 구강유해균 : 편백 추출물과 정유(essential oil)의 항균력 검정 실험에서 사용한 공시균주는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구강유해균으로 [표 2]와 같다. Candida albicans: 구강 캔디다증 (Candidiasis, Thrush, 아구창, 구내염)은 Candida albicans 감염에 의해 구강점막의 표면에 회백색 또는 유백색 반점이 발생한다. Streptococcus mutans(S. mutans, 치아우식증의 초기 원인균): 충치질환 (Dental caries; 치아우식증)은 구강내 유해균에 의해 설탕, 전분 등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산(acid)에 의해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되어 충치를 발생한다.
Strains Culture condition
Media Temp.
Streptococcus mutans BHI 37℃
Streptococcus sobrinus BHI 37℃
Candida albicans YM 25℃
- 항균력 측정 : paper disc method을 사용하여 정유의 항균력을 분석하였다. 순수 분리된 각 균주의 단일집락을 취해 10㎖의 균 생육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각각 균주의 생육적온에서 18~24시간씩 3회 배양한 후 항균활성 시험균주로 사용하였다. 항균성 시험용 평판배지의 조제는 각각 균주의 15%의 한천이 첨가된 생육배지를 멸균하여 petri dish에 15㎖씩 분주하여 기층용 배지를 응고시키고, 각각의 시험균 농도를 650㎚에서 optical density(O,D)값이 0.4(106 CFU/mL)가 되게 한 후 0.7% 한천이 첨가된 중층용 배지에 무균적으로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기층용 배지 위에 분주한 다음 고르게 응고 시켜 2중의 균 접종 중층배지를 만들었다. 충분히 굳은 고체배지 위에 멸균된 8㎜ paper disc를 올려놓은 후, 정유농도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의 범위에서 30㎕씩 disc에 흡수시킨 다음 37℃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disc 주변의 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 분석결과 : 편백잎으로부터 조제된 추출물을 3종의 구강유해균(C. albicans, S. mutans, S. sobrinus)에 처리한 결과, S. mutans에서는 저해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C. albicans와 S. sobrinus에서는 거의 유사한 정도의 증식저해능을 보였다. C. albicans와 S. sobrinus 모두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식이 억제되었다. 농도별로 저해능을 살펴보면 90~100mg/mL의 범위에서 1.0mm 이상의 clear zone을 보였으며, 30~80mg/mL의 범위에서는 0.70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표 3]은 3종의 구강질환 유발균에 대한 정유의 농도별 증식저해활성을 나타낸다.
편백잎 추출물 항균활성 (단위:mm)
  C. albicans S. mutans S. sobrinus
100mg/ml 1.60 - 1.50
90mg/ml 1.20 - 1.30
80mg/ml 0.90 - 0.80
70mg/ml 0.90 - 0.80
60mg/ml 0.80 - 0.70
50mg/ml 0.80 - 0.70
40mg/ml 0.80 - 0.70
30mg/ml 0.70 - 0.70
20mg/ml 0.60 - 0.65
10mg/ml 0.50 - 0.30
control - - -
도 3a는 편백 추출물의 항균 활성(clear zone)을 나타내며, 도 3b, 도 3c, 및 도 3d는 각각 Candida albicans,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추출물의 농도별 저해활성을 나타낸다.
2) 편백치약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3종의 구강유해균(S. sobrinus, C. albicans, S. mutans)에 대한 편백추출물 함유 치약의 항미생물 활성을 분석한 결과, 시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균의 증식저해능도 높아졌으며, 90~100mg/mL의 농도에서는 1.0 이상의 clear zone이 형성되었으며, 시료농도 50~80mg/mL에서는 0.5mm 이상의 clear zone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저해능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표 4]는 C. albicans, S. mutans, S. sobrinus에 대한 편백 치약의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낸다.
편백치약 추출물 항균활성 (단위:mm)
  C. albicans S. mutans S. sobrinus
100mg/ml 1.60 1.40 1.00
90mg/ml 1.50 1.40 1.00
80mg/ml 0.60 1.10 0.60
70mg/ml 0.60 1.00 0.55
60mg/ml 0.50 0.60 0.50
50mg/ml 0.50 0.60 0.50
40mg/ml 0.40 0.30 -
30mg/ml - - -
20mg/ml - - -
10mg/ml - - -
control - - -
도 4a는 편백 치약의 항균 활성(clear zone)을 나타내며, 도 4b, 도 4c, 및 도 4d는 각각 Candida albicans,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편백치약의 농도별 저해활성을 나타낸다.
*IV. 치약 조성물의 기능별 첨가성분 결정 및 첨가량 결정
1. 합성원료의 치약과 천연원료의 치약성분의 차이
통상 합성원료로 구성된 치약의 구성성분은 합성 연마제, 합성 습윤제, 합성 기능성원료, 인공착색제 및 착향제, 그리고 세제용 기포제 등을 포함한다.
한편, 천연원료로 구성된 치약의 구성성분은 천연 연마제, 천연 습윤제, 기능성원료(편백, 허브류 등), 식물성 착색제 및 착향제, 그리고 천연 기포제 등을 포함한다.
2. 조성물 성분의 특성 및 기능
조성물 성분의 특성 및 기능을 아래 [표 5]에 나타낸다.
성 분 특성 및 기능
습윤제 크림형 세치제의 굳는 현상 방지
주성분 충치예방, 치주질환 예방 & 항산화작용 (Vitamin B6),
치석침착예방
연마제 치태제거
점도 조절제 조성물의 전체적인 점도를 조절
증백제 추출물의 색상 조정 및 조성물의 증백화에 의해 추출물에
의한 치아의 착색방지
부형제
(hydroxyapatite)
인간의 뼈와 주성분이 같은 세라믹으로, 인공 뼈, 치근으로 이용되며, 생체 적응성이 양호하여 조직과의 일체화가 가능함.
감미제 감미도가 설탕의 약 100~200배인 감미료로 치약의 향이나 맛을 조정함
기포제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액체나 고체를 액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물로 거품을 유발시켜 양치질감을 상승시키며, 더러운 물질을 제거, 세정하는 기능
3. 세치제의 국가별 사용성분 현황
세치제의 국가별 사용 성분을 아래 [표 6]에 나타낸다.
국가별 사용성분
분류
국내
(표준제조기준)
일본
(표준제조기준)
미국
(FDA approved)
치태제거 인산수소칼슘,무수인산수소칼슘,침강탄산칼슘,탄산칼슘,인산삼칼슘,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이산화규소, 무수인산칼슘,함수이산화규소,덴탈타입실리카 유효성분으로
인정하지 않음
유효성분으로
인정하지 않음
잇몸질환예방 염화나트륨,토코페롤아세테이트,피리독신염산염,알란토인,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트라넥사민산,아미노카프론산 염화나트륨,토코페롤아세테이트,피리독신염산염,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염산클로로헥시딘,염화리소지움,히노키티올,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레이트,염화세틸피리디늄,트리클로로산 등 Triclosan
치석침착예방 피로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
피로인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등
충치예방 NaF, SnF, SMFP, AmF NaF, SnF, SMFP, AmF
시린이 완화 KNO₃
담배 타르의 제거 폴리인산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V. 치약 조성물의 소재별(편백 추출물, 기본 성분) 최적 배합조건 결정
1. 편백추출물의 농도별 조성물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편백추출물을 함유한 세치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1차 조성물의 기본성분은 탄산칼슘 35g, 덴탈타입실리카 35g, 자일리톨 10g, SLS 3g, 함수규산 2g, 글리세린 15g이며, 이 조성물에 첨가할 편백잎 추출물의 최적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추출물의 농도(300~700mg)가 서로 다른 5가지 조성물(A~E)을 조제하였다. 조성물 A~C는 외관적인 색상이 매우 희미한 연녹색으로 나타났으나 조성물 D와 E는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으로써 상당한 강한 연녹색을 나타내 치아에 착색될 가능성을 보였다. 5가지 조성물의 성분들 사이의 배합력은 비교적 양호하여 성분간들의 분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조성물 구분 편백 추출물 농도 기본 성분
A 300mg/100mL 탄산칼슘 35g, 덴탈타입실리카 35g, 자일리톨 10g, SLS 3g, 함수규산 2g, 글리세린 15g, 증류수 40ml, pH 7.0
B 400mg/100mL 탄산칼슘 35g, 덴탈타입실리카 35g, 자일리톨 10g, SLS 3g, 함수규산 2g, 글리세린 15g, 증류수 40ml, pH 7.0
C 500mg/100mL 탄산칼슘 35g, 덴탈타입실리카 35g, 자일리톨 10g, SLS 3g, 함수규산 2g, 글리세린 15g, 증류수 40ml, pH 7.0
D 600mg/100mL 탄산칼슘 35g, 덴탈타입실리카 35g, 자일리톨 10g, SLS 3g, 함수규산 2g, 글리세린 15g, 증류수 40ml, pH 7.0
E 700mg/100mL 탄산칼슘 35g, 덴탈타입실리카 35g, 자일리톨 10g, SLS 3g, 함수규산 2g, 글리세린 15g, 증류수 40ml, pH 7.0
2. 편백추출물의 농도별 조성물에 대한 관능검사
5가지 조성물에 대한 구강내에서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500, 600, 700mg 함유된 조성물(C, D, E)에서는 공통적으로 텁텁한 맛과 쓴맛이 강하게 느껴졌고 편백 특유의 향이 강하여 전체적인 양치질 느낌이 매우 부정적이었다. 반면에 조성물 A(300mg)와 B(400mg)는 조성물 C, D, E에서 나타났던 거부감을 느낄 수 없었으며, 양치감과 맛이 비교적 양호하고 약한 편백향이 상쾌감을 주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아래 [표 8]은 편백 추출물이 함유된 조성물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조성물 구분 편백 추출물 농도 관능검사 결과
A 300mg/100mL 양치감과 맛이 비교적 양호하며 편백추출물의 특유의 향이 강하지 않아 좋은 느낌.
B 400mg/100mL 양치감과 맛이 비교적 양호함.
C 500mg/100mL 양치질 중에 텁텁한 맛이 느껴짐.
D 600mg/100mL 양치후 개운한 느낌이나 편백 추출물의 쓴맛이 강하여 거부감이 있음.
E 700mg/100mL 조성물 D와 유사하게 양치후 개운한 느낌이나 편백 추출물의 쓴맛이 강하여 거부감이 있음.
3. 치약 조성물의 기능별 첨가성분 및 첨가량
치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약을 제조하기 위해,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정유(essential oil)과 함께 조성물의 기본 첨가물로 습윤제, 주성분, 연마제, 점도조절제, 증백제, 부형제, 감미제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편백 추출물, 편백 정유, 기본 성분들의 첨가량에 따른 물성차이를 분석하여 각 성분들의 첨가량을 [표 9]와 같이 결정하였다.
No. 배합목적 원료명 처방량(%) 사용량 비고
1 용 수 정제수 13.73 164.76  
습윤제 D-소르비톨액 55.00 660.00  
주성분 덴탈타입 실리카 15.00 180.00  
플루오르화나트륨
(불화나트륨)
0.22 2.64 불소995ppm
피리독신염산염 0.05 0.60  
피로인산나트륨 0.50 6.00 치석침착예방
점도조절제 함수규산 6.50 78.00  
연마제 PEG-1500 2.00 24.00  
산화티탄 0.50 6.00
증백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05 0.60  
부형제 효소로 처리된 스테비아 0.25 3.00  
감미제 자일리톨 0.10 1.20  
2 습윤제 (농)글리세린 2.00 24.00  
점도조절제 CMS 0.75 9.00  
3 기포제 SLS 2.00 24.00  
4 착향제 옵타민트295901 0.60 7.20
L-멘톨 0.15 1.80  
5 추출물 편백정유(essential oil) 0.30 3.60 별규심사
편백잎 추출물 0.30 3.60 별규심사
  합계 100.00 1200.00
상기 [표 9]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편백 치약은 용제인 정제수에 습윤제로 D-소르비톨액 및 (농)글리세린을, 주성분으로 덴탈타입 실리카 및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피리독신염산염, 피로인산나트륨을, 연마제로 PEG-1500 및 산화티탄을, 점도조절제로 함수규산을, 증백제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부형제로 효소로 처리된 스테비아를, 감미제로 자일리톨을 추가로 포함하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현편, 편백 치약은 기포제로 SLS, 점도조절제로 CMS, 착향제로 옵타민트295901 및 L-멘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별 첨가물들을 기준으로, 추출물들의 혼합비율은 편백 추출물 100 ~ 700mg이고, 편백 정유(essential oil)은 100uL ~ 700uL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편백 추출물과 편백 정유(essential oil)의 혼합비율을 기준으로 기능별 첨가물들을 통상의 비율로 적절히 첨가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약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 추출물 및 정유를 함유하는 치약은 피톤치드에 의한 Oral Candidasis (구강캔디다증) 치료, 치주질환(풍치, 치은염, 치주염) 예방 및 치료, 스트레스 완화에 의한 구강악관절질환 예방 및 치료, 구강내 유해세균 억제 효과, 구취 예방 및 개선 효과, 충치 예방 및 건강 치아 보존 효과, 구강청결, 청량감 및 심미 효과,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구강암 예방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백을 이용한 저자극, 기능성 천연소재 고기능성 편백 치약은 다양한 상태의 만성적 구강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와 구강내 상피조직이 약한 유아와 실버세대용으로 사용가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항산화 효과, 항미생물 효과, 및 구강 암세포 증식억제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항균활성용 치약용 조성물로,
    편백나무로부터 용매를 사용하여 감압하에서 편백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편백나무로부터 수증기 증류하여 편백 정유(essentail oil)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편백 추출물 및 상기 편백 정유를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 및
    습윤제, 주성분, 연마제, 점도조절제, 증백제, 부형제, 감미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용제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편백 추출물은 100ml당 300mg 첨가되며, 상기 편백 정유(essential oil)는 100uL 내지 700uL 첨가되며,
    상기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및 (농)글리세린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주성분은 덴탈타입 실리카, 플루오르화나트륨(불화나트륨), 피리독신염산염, 및 피로인산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연마제는 PEG-1500 및 산화티탄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점도조절제는 함수규산이며,
    상기 증백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이며,
    상기 부형제는 효소로 처리된 스테비아이며,
    상기 감미제는 자일리톨이며,
    상기 치약용 조성물은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용 조성물 제조방법로 제조된 항균활성용 치약용 조성물.
KR1020160063359A 2013-02-20 2016-05-24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8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8302 2013-02-20
KR1020130018302 2013-02-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184A Division KR20140104330A (ko) 2013-02-20 2013-06-28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709A true KR20160068709A (ko) 2016-06-15

Family

ID=517482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184A KR20140104330A (ko) 2013-02-20 2013-06-28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0063359A KR20160068709A (ko) 2013-02-20 2016-05-24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184A KR20140104330A (ko) 2013-02-20 2013-06-28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401043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03A (ko) 2017-01-31 2018-08-08 농업회사법인 백련동 편백농원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03A (ko) 2017-01-31 2018-08-08 농업회사법인 백련동 편백농원 주식회사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330A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9106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10135678A (ko) 고기능성 자연친화형 치약조성물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3508B1 (ko) 감귤 또는 라임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8709A (ko)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306B1 (ko)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3223B1 (ko)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정유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2336B1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335B1 (ko) 지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1909B1 (ko) 하이드록시겐콰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52B1 (ko) 가르데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53B1 (ko) 네오만지페린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7082B1 (ko)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941B1 (ko) 쿼세틴 3-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4022A (ko) 원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