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306B1 -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306B1
KR101756306B1 KR1020100115608A KR20100115608A KR101756306B1 KR 101756306 B1 KR101756306 B1 KR 101756306B1 KR 1020100115608 A KR1020100115608 A KR 1020100115608A KR 20100115608 A KR20100115608 A KR 20100115608A KR 101756306 B1 KR101756306 B1 KR 10175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weight
or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297A (ko
Inventor
채상균
김찬호
이병렬
성영은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5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력이 뛰어난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세기포로 무환자 추출물을 치아 구석 미세한 부분까지 전달해 주어 잇몸 질환 예방 효과 및 구취 제거 효능이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Or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sapindus mukurossi Gaertn}
본 발명은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력이 뛰어난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세기포로 무환자 추출물을 치아 구석 미세한 부분까지 전달해 주어 잇몸 질환 예방 효과 및 구취 제거 효능이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잇몸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고안된 구강용 조성물에는 염화나트륨,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 알루미늄, 아미노카프론산, 초산토코페롤 등 합성원료들이 그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자연 추출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구강에의 효과들이 알려지면서 많은 추출물들이 잇몸질환예방 및 구취 억제와 관련된 구강 조성물에 응용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3-0000275호는 녹차추출물에 의한 치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녹차추출물은 주 성분인 카테킨 성분의 높은 항균력으로 인한 항균작용 및 항 충치의 기능이 뛰어나고, 또한 입안의 입냄새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탁월하여 구취제로서의 역할이 뛰어나다는 사실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2-0087672호는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어 입안 가글시 청량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항균활성으로 인한 구취제거 및 잇몸질환을 예방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고 기존의 청정제가 지니지 못한 진통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2-0066042호는 석류추출물을 함유한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석류 추출물이 활성산소와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이러한 항산화 효능을 통하여 구강위생을 증진시키는데 역할이 뛰어나다는 사실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1-0036152호는 식물추출물 파우더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물추출물 파우더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인공적인 항생제, 살균제보다 민간에서 널리 알려져 온 약용 식물 추출물, 특히 솔잎을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우수한 치주질환 및 충치예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많은 식물추출물들이 구강위생의 증진목적으로 배합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대개의 경우 빈약한 항균 효과를 가지거나 단순히 소염, 수렴, 지혈, 혈액순환 촉진과 같은 추상적인 효능을 통하여 치주질환의 발생을 예방한다는 정도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안정도 면에서 미흡한 단점이 있어 구강용 조성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잇몸질환 예방 및 구취 제거를 위해서 여러 식물추출물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항균력이 뛰어난 무환자 추출물을 미세 기포를 통해 치아 구석 미세한 곳까지 전달해 주면 잇몸 질환 예방 및 구취 제거 효능이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용 조성물 내에서 안정하면서 우수한 잇몸질환 예방 및 구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무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항균력이 뛰어난 무환자 추출물을 미세 기포로 치아 구석까지 전달함으로써 타액 내 세균 수를 감소시키며 치은염 및 치주염 등의 잇몸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구취 농도 지수를 낮춰 구취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본 발명은 무환자(sapindus mukurossi Gaert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무환자(sapindus mukurossi Gaertn)는 무환자과로 분류되며, 무환자 열매의 껍질에는 다량의 사포닌(saponin)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열매의 껍질을 비누 대용품으로 사용하였으며, 나무껍질을 거담제로 사용해 왔다. 최근에는 무환자의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항균작용 및 리파아제 활성 억제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무환자 추출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제조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무환자 열매를 80%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 및 여과한 후, 여과액을 2~5일간 숙성 및 여과시키고 감압 상태에서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환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0.0001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 초과이면 구강 내 자극이 생길 수 있으며 그 효과 또한 오히려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소르비톨액 및 카르복시메틸셀룰오로스나트륨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소르비톨액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은 미세 기포를 형성하여 무환자 추출물을 구강 내 구석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소르비톨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60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30중량% 미만이면 기포가 조밀하지 않고, 60중량%를 초과하면 치약 제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카르복시메틸셀룰오로스나트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로 함유된다. 이는 1.0중량% 미만이면 기포가 조밀하지 않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치약제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소르비톨액 및 카르복시메틸셀룰오로스나트륨에 의해 형성된 미세 기포는 0.0001~0.5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1mm의 평균 기포 사이즈를 갖는다. 이는 0.0001mm 미만이면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0.5mm 초과이면 유효성분을 치아 구석 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무환자 추출물, 소르비톨액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함유하여 잇몸질환 예방 및 구취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치약, 구강용 세정제, 치아 미백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연마제, 습윤제, 보조 기포제, 결합제, 감미제, pH 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무환자 추출물의 제조
무환자 나무의 열매를 80%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 및 여과한 후, 5일간 숙성하였다. 수득된 숙성물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감압 상태에서 농축 및 건조하여 무환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5]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5의 치약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무환자 추출물을 이용하고, 소르비톨액(고형성분 70%, 액상 원료)은 ㈜ 백광산업에서 구입하여 사용하고,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은 허큘리스(HERCULES)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명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불화나트륨 0.30 0.30 0.30 0.30 0.30 0.30
실리카 17.0 17.0 17.0 17.0 17.0 17.0
무환자추출물 1.0 - - 1.0 20.0 30.0
소르비톨액 50.0 50.0 25.0 25.0 25.0 25.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2.0 2.0 0.7 0.7 0.7 0.7
삭카린나트륨 0.1 0.1 0.1 0.1 0.1 0.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0.2 0.2 0.2 0.2 0.2
향료 1.0 1.0 1.0 1.0 1.0 1.0
라우릴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1] 기포 사이즈 비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치약을 각각 3.5g씩 취한 후 브러싱 머신 (Brushing machine, 주문 제작)으로 30분간 브러시하였다. 발생된 기포를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에 올린 후, 커버글라스로 덮고 광학현미경 (올림푸스 DP70, 4배 렌즈 사용)을 사용하여 평균적인 기포 사이즈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기포 사이즈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평균 기포 사이즈(지름, mm) 0.1 0.1 1.1 1.0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소르비톨액을 바람직한 함량 범위로 함유하는 실시예1 및 비교예1은 평균 0.1mm의 미세한 기포를 생성하였으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소르비톨액을 바람직한 함량 범위 밖으로 함유하는 비교예 2~3은 지름 1.0mm 이상의 기포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타액 내의 세균수 측정
실험대상자 60명에게 6시간 동안 일체의 구강환경관리를 중지시킨 후 아래의 방법으로 타액 내 세균 수를 측정하였다. 이후 타액 내 세균 평균수치가 비슷하도록 6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군에 대하여 실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잇는 구강진료수취를 금하고 2주간 실시예 1와 비교예 1~5의 시험 양치액으로 양치하게 하였다. 2주 후 6시간 동안 일체의 구강환경관리를 중지시킨 후 다시 타액 내 세균 수를 측정하였다
<타액 내의 세균 수 측정 방법>
15㎖ 팔콘 튜브(Falcon tube)에 멸균된 0.1% 펩톤용액(0.9% NaCl 1000㎖ 에 펩톤(peptone) 1g을 첨가)을 5㎖씩 분주하여 60개를 준비한 후, 실험 대상자 60명에게 펩톤용액을 15초간 수구하게 한 후, 이 펩톤용액을 멸균된 0.067M 포스페이트 버퍼(Phosphate buffer) 용액(pH 7.2)으로 10배 희석하였다. 희석한 이 용액의 100㎕를 취하여 바시트라신(bacitracin) 및 발리노마이신(valinomycin) 항생제가 포함된 미티스 살리바리우스(Mitis Salivarius) 배지(Agar)에 분주하고, 멸균된 벤딩 유리(bending glass)로 평판에 전체적으로 도말한 다음, 37℃ 배양기에 12시간 배양 후, 혐기성 챔버(Anaerobic chamber)에서 37℃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 다음, 콜로니 카운터(Colony counter)를 이용해 각 배지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의 콜로니(colony)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의 콜로니는 현미경적 검사를 통하여 균의 종류를 확인하고, 표준균주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 NTCC 10449를 MSA에 같은 시간과 조건으로 배양한 후 콜로니의 형태를 확인하여, 실험대상자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의 콜로니만을 선별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대상자 한사람 당, 희석된 펩톤수구액을 바시트라신 및 발리노마이신 항생제가 포함된 미티스 살리바리우스 배지 평판 2개에 분주하여, 콜로니 측정을 1차, 2차의 2회에 걸쳐 시행하여 두 측정의 평균값을 실험대상자의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의 수로 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경과 시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실험 직후 110 108 108 109 109 112
2주 후 13 90 98 53 49 60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2의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의 수가 거의 줄어들지 않은 반면, 무환자 추출물을 1, 20, 30중량%로 함유한 비교예 3~5 는 비교예 1~2와 비교해 세균 수치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무환자 추출물을 1중량% 함유하며 동시에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실시예 1이 미세 기포를 발생하지 못하는 비교예 3~5와 비교하여 가장 탁월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미세기포가 무환자 추출물을 치아 구석 미세한 부분까지 잘 전달해 주어 항균효과를 극대화시켜 세균 수를 매우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구취 제거 효과 측정
실험대상자 120명에게 48시간 동안 일체의 구강환경관리를 중지시킨 후 할리메타로 구취 정도를 측정한 다음 평균수치가 비슷하도록 6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군에 대하여 실시예 1와 비교예 1~5의 시험 양치액으로 양치하게 하였다. 양치 후 30분 경과시점에 다시 구취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28일간 각각의 시험 양치액을 1일 2회씩 사용하도록 하였다. 7일, 14일, 21일 및 28일이 경과한 때에 소환하여, 양치 후 30분 경과시점에 다시 구취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치약 조성물의 사용기간에 따른 구취 정도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사용 기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30분 215 219 223 220 220 220
7일 130 217 222 170 150 180
14일 105 215 217 145 130 160
21일 86 212 219 115 103 140
28일 62 209 217 102 96 131
상기 표 4의 결과를 보면, 무환자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2의 구강 조성물의 구취 점수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무환자 추출물을 1, 20, 30중량%로 함유한 비교예 3~5 는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구취 점수는 어느 정도 감소되었다. 그러나 무환자 추출물을 1중량% 함유하며 동시에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실시예 1이 미세 기포를 발생하지 못하는 비교예 3~5와 비교하여 가장 탁월한 구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미세기포가 무환자 추출물을 치아 구석 미세한 부분까지 잘 전달해 주어 구취 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잇몸질환 예방효과 측정
잇몸질환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치은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검자 80명을 선별한 후 실험기간 동안 항생제의 복용과 실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강진료수취를 금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각각에 피검자를 20명씩 나누고 치은염 지수를 Talbott, Mandel and Chilton이 변형한 Loe의 치은염 평점 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Talbott, Mandel and Chilton이 변형한 Loe의 치은염 지수>
Loe의 치은염평점기준
0: 염증 없음
1: 경미 치은염(색조의 약한 변화 및 약한 부종) - 치주낭심측정시 출혈 없음
2: 중등 치은염(발적, 부종) - 치주낭심측정시 출혈
3: 고도 치은염(궤양) - 저절로 출혈되는 경향
경과 시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초기치 1.61±0.21 1.60±0.21 1.60±0.21 1.58±0.21
2주 1.26±0.14 1.59±0.24 1.60±0.25 1.42±0.22
4주 1.07±0.16 1.58±0.20 1.58±0.22 1.25±0.18
개선 지수 0.54±0.18 0.02±0.22 0.02±0.23 0.33±0.20
상기 표 5의 결과를 보면,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2는 치은염 완화 효과가 거의 없는 반면, 무환자 추출물을 1중량%로 함유하는 비교예 3은 어느 정도 치은염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무환자 추출물을 1중량% 함유하면서 미세 기포를 발생하는 실시예 1의 경우 미세 기포를 발생하지 못하는 비교예 3과 비교하여 탁월한 치은염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미세기포가 무환자 추출물을 치아 구석 미세한 부분까지 잘 전달해 주어 치은염과 같은 잇몸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무환자(Sapindus mukurossi Gaertn) 추출물, 소르비톨액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은염, 치주염 및 구취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구강 질환의 예방,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혼합물은 무환자 추출물, 소르비톨액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중량 기준으로, 1:50:2의 비율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환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환자 추출물은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0.0001~0.5mm의 평균 기포 사이즈를 갖는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르비톨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작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약, 구강용 세정제 또는 치아 미백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115608A 2010-11-19 2010-11-19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756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08A KR101756306B1 (ko) 2010-11-19 2010-11-19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08A KR101756306B1 (ko) 2010-11-19 2010-11-19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97A KR20120054297A (ko) 2012-05-30
KR101756306B1 true KR101756306B1 (ko) 2017-07-12

Family

ID=4627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608A KR101756306B1 (ko) 2010-11-19 2010-11-19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3612A (zh) * 2015-06-18 2015-10-21 广州无患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牙齿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101975284B1 (ko) * 2017-04-06 2019-05-07 주식회사 웰빙라이프 물티슈용 식물성 보존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5138B1 (ko) * 2020-09-01 2021-04-02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아임계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hnobotanical Leaflets. 2010. Vol. 14, pp. 402-4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97A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997662B (zh) 一种抑制牙菌斑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756306B1 (ko)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48069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20180081032A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7872B1 (ko) 구강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552082A (zh) 一种含有余甘子提取物的牙膏
KR20160041408A (ko) 오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641215B1 (ko)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KR101068210B1 (ko) 관중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석류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 억제용 조성물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9196329A (ja) 歯周病予防口腔用組成物
KR101021787B1 (ko) 잇몸질환과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구강용 조성물
KR102343906B1 (ko) 세리신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8709A (ko) 편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301B1 (ko)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CN111148503B (zh) 用于口腔应用的包含桃金娘提取物和氟盐的组合物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35323A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475594B1 (ko)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8984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