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594B1 -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5594B1 KR101475594B1 KR1020130023865A KR20130023865A KR101475594B1 KR 101475594 B1 KR101475594 B1 KR 101475594B1 KR 1020130023865 A KR1020130023865 A KR 1020130023865A KR 20130023865 A KR20130023865 A KR 20130023865A KR 101475594 B1 KR101475594 B1 KR 1014755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s
- weight
- composition
- oral
- bamboo sal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강 조성물은 산생성균의 활성 억제를 통한 치아 우식증(충치) 예방 효과 및 구강 내 치주염, 치은염 등의 염증 완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의 조직에 나타나는 충치와 치주질환의 원인은 구강 내의 세균에 의해 생성되어 치아 표면에 부착된 치면 세균막(이하 플라그)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프라그가 치은 결합 조직 내로 침투하여 치주낭을 형성시켜 잇몸염증과 잇몸 퇴축이 일어나고, 계속 방치하게 되면 치주질환으로 진행되는 연구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구강 내에는 항상 세균들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완전히 플라그를 제거하거나 예방하기는 어렵다. 또한, 각 개인 간의 차이에 따라 숙주-세균 간의 반응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잇몸 염증의 발병율과 증상의 차이를 나타낸다.
구강병 발생에 관여되는 환경요인, 숙주요인, 병원체요인 중 한가지 요인만을 조절하면 충치와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구강 질환의 진행 과정은 치아 표면에 세균의 집락 형성과 세균의 치주조직 침투, 치주조직이 파괴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먼저 구강 내 타액 중의 타액 단백질이 상아질과 백악질 표면에 흡착되면서 피막을 형성하고 이러한 피막 표면에 주로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악티노마이시스(Actinomyces)와 같은 세균이 성장하면서 치태를 형성한다.
한편, 치은열구에는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와 악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와 같은 혐기성 그람음성균이 성장하여 이러한 세균, 세균성분, 세균 산물들이 치은 열구 상피를 통하여 치은 결합 조직 내로 침투하여 치주낭이 형성된다. 이에, 세균의 성장을 억제시키고 잇몸 염증의 완화를 위해 불소뿐만 아니라 항균제와 생약 추출물을 첨가하는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특허문헌 1].
하지만, 구강 조성물에서 주로 쓰이는 성분들은 각각 고유의 특성이 있어 항염증의 효과를 보이는 성분[특허문헌 2]과 항균 효과를 보이는 성분[특허문헌 3]이 나뉘어 있다. 그에 따라 치은염/치주염 등의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항염증의 효과를 보이는 성분을, 충치와 같이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구강 질환이지만 염증반응을 동반하지 않는 질환에 대해서는 항균 효과를 갖는 성분을 각각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Kornman KS; J Periodontol Res(suppl), 16; 5-22,1986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용뇌 및 죽염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주로 구강 내 염증의 완화에 대한 효과를 보이지만 두 성분을 함께 사용하였을 때 상승 효과에 의해 구강 내 산생성균의 활성 억제를 통한 탁월한 충치의 예방 효과(항균 효과)와 치은염, 치주염의 염증 완화에 우수한 효과(항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내 산생성균의 활성 억제를 통한 탁월한 충치의 예방 효과(항균 효과)와 치은염, 치주염의 염증 완화에 우수한 효과(항염 효과)가 있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뇌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뇌 및 죽염 두 성분의 상승작용으로 구강 내 산생성균의 활성 억제를 통한 충치의 예방 효과 및 치주염, 치은염의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구강 위생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뇌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용뇌 및 죽염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뇌 0.001 내지 5 중량부 및 죽염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적절한 제형화 및 제형 안정성, 소망하는 효과의 증진, 사용 기호도 증진 등을 위하여,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산성도 조절제 및 증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용뇌 0.001 내지 5 중량부 및 죽염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첨가제로서 연마제 15 내지 60 중량부, 습윤제 20 내지 60 중량부, 결합제 0.5 내지 20 중량부, 기포제 0.5 내지 5.0 중량부, 감미제 0.05 내지 0.3 중량부, 방부제 0.05 내지 0.3 중량부, 약효제 0.1 내지 1.0 중량부, 향료 0.5 내지 3.0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구강 위생 증진 및/또는 치주염, 치은염과 같은 구강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구강에의 적용을 위한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용뇌를 죽염과 함께 포함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구강 위생 증진 및/또는 치주염, 치은염과 같은 구강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뇌는 용뇌향(Dryobalaops aromatic Gaertner)의 수간 창구에서 흘러나온 수지 또는 수간과 가지를 썰어 수증기를 증류하여 얻은 백색의 결정체로 이소보르네올 및 놀보르네올을 90 중량%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용뇌는 일명 빙편(氷片, Borneol)이라고도 하며, 한의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보약 강장제로 용뇌안신환을 개발하여 천연두 등 전신 질환을 앓고 난 후 체력 보강과 원기회복을 통한 질병 치료와 후유증 완화에 사용해 왔다.
용뇌는 한약재로 사용할 경우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효과가 있어 정신이 혼미할 때나 의식 장애가 있을 시 열을 내리고 부종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고열, 경련, 소아 경기에 효과가 있고 인후염, 안과 질환 중 가려움증, 충혈과 같은 각종 염증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죽염(竹鹽)이란, 대나무와 소금을 사용하여 화법(火法)을 통해 합성한 것으로서 이는 새 세포를 생성시키는 세포생신작용(生新作用)을 하는 대나무와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을 로(爐)에서 고열로 여러 번 반복 처리함으로써 이들이 지니고 있는 독소를 제거하고, 약효를 최대한 증진시킨 비약(批藥)으로 알려져 왔다. 죽염 제조 시 사용되는 소금을 통상 천일염을 사용하고, 이 밖에 식용염, 암염, 시약급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이 사용되며, 대나무로는 대나무 또는 솜대나무가 사용되지만 대나무의 종류에 제한을 가할 필요는 없다.
죽염에 사용된 재료인 대나무와 소금의 효능을 살펴보면, 대나무는 시아닌, 패오닌, 시아니딘, 패오니딘, 칼락토스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치통, 잇몸출혈, 감기증상, 종양, 세포 생신력 등에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동의보감, 본초강목, 신농본초경, 원색 한국 약용식물도감에 기재되어 있고, 소금은 높은 삼투 작용으로 소독 효과를 가지며 잇몸의 출혈, 부종, 염증, 구취를 소실시키고, 풍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동의보감, 본초감목, 신농본초경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죽염은 대나무를 사용한 소금의 총칭으로,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5705호에서 언급한 대나무와 소금을 사용하여 화법(火法)을 통해 합성한 죽염이고, 이는 세포를 생성시키는 세포 생산작용을 하는 대나무와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을 소성로에서 고열로 여러 번 반복 처리하여 소금을 용융시키고, 굳히는 방법으로 죽염을 만들고 있다. 이렇게 제조된 죽염은 나트륨 이외에도 칼륨, 칼슘, 마그네슘, 철 등의 미네랄 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자죽염의 경우에도 죽염과 유사한 함량의 미네랄 및 이온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죽염 또는 자죽염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미네랄 성분과 염화나트륨 성분에 의하여 양치 시 구강 점막이 수렴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죽염은 자죽염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서 용뇌는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뇌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치은염, 치주염 등에 대한 항염 효과가 미약하게 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해서 비경제적일 수 있으므로, 용뇌의 함량은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위생용 조성물에서 죽염은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죽염은 용뇌와의 상승작용을 통해 치은염/치주염 등에 대한 효과 및 산생성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승 작용이 발생하지 않아 구강 내 효과가 미약하게 되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고, 염의 과량 첨가로 인해 짠맛, 비린맛, 떫은 맛 등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용뇌 및 죽염의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목적하는 염증 완화 및 치료의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위생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치약, 구강용 세정제, 구강용 청정제, 껌, 캔디류, 구강스프레이, 구강양치액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종류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산성도 조절제, 증백제 등을 적당량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이 치약 조성물인 경우,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산성도 조절제 및 증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인산일수소칼슘, 침강실리카, 탄산칼슘, 함수알루미나, 카오린 및 중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또는 침강실리카이고,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비결정성 소르비톨액,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소르비톨액 또는 글리세린이고,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라기난, 잔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구아검, 젤란검, 카르보머, 펙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며, 알긴산나트륨 및 라포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또는 잔탄검이고,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사르코신산나트륨 등의 음이온계면활성제와,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계 공중합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비이온계면활성제군 또는 코코아이도프로필베타인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황산나트륨이고,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말티톨, 아스파탐,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감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사카린나트륨이고,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및 안식향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이고,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효제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제일석, 불화아민, 클로르헥시딘, 아미노카프로산, 글리시리진산디칼륨, 트라넥사민산, 알로토인류, 카프론산류, 폴리인산염류, 효소류 및 생약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일불소인산나트륨 또는 불화나트륨이고,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피어민트 오일 등의 천연 향료와 멘톨, 카르본 등의 합성 착향료를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들을 일정 비율 혼합한 향료에 아니스 오일을 적당량 혼합하는 것이 좋다. 향료의 함량은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성도조절제로는 제 1인산나트륨, 제 2인산 나트륨, 제 3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붕산, 인산, 염산, 수산화나트륨 등이 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게는 제 1인산나트륨과 제 3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성분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의 함량은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백제로는 산화티탄 등을 사용하며, 이의 함량은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형이 구강 청량제인 경우, 사용되는 가용화제는 치약의 기포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주 기능은 수층에 용해되는 성분과 유층에 용해되는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형을 완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가용화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계 공중합 물질 등이며 제품의 특징에 따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단독 또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5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향료는 상기의 치약제의 향료와 유사하게 적용되며 사용량은 전체 구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3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습윤제에 결합제, 감미제, 방부제 등의 분말 성분을 분산시키고 정제수를 넣은 다음 혼합기에서 1차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효성분, 기포제, 향료를 넣고 진공상태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전체 100 중량부)을 하기 표 1의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분(중량부)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6 | 1 | 2 | 3 | ||
연마제 | 탄산칼슘 | 35.00 | 35.00 | 35.00 | 35.00 | 35.00 | - | 35.00 | 35.00 | 35.00 |
침강 실리카 | - | - | - | - | - | 20.00 | - | - | - | |
습윤제 | 소르비톨 액 (70%) |
30.00 | 30.00 | 30.00 | 30.00 | 30.00 | 50.00 | 30.00 | 30.00 | 30.00 |
기포제 | 라우릴 황산 나트륨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감미제 | 사카린나트륨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방부제 |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결합제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유효 성분 |
용뇌 | 0.01 | 0.10 | 1.00 | 1.00 | 1.00 | 0.10 | - | 0.10 | - |
죽염 | 1.00 | 1.00 | 1.00 | 0.500 | 2.00 | 1.00 | - | - | 1.00 | |
약효제 | 일불소인산나트륨 | 0.75 | 0.75 | 0.75 | 0.75 | 0.75 | 0.75 | 0.75 | 0.75 | 0.75 |
향료 | 페퍼민트 오일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정제수 | 29.04 | 28.95 | 28.05 | 28.55 | 27.05 | 23.95 | 30.05 | 29.95 | 29.05 |
실험예
1:
NO
생성 억제력 평가
RAW264.7 cell을 이용하여 염증 억제력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과 같은 조성을 가진 치약 조성물과 타액의 비가 1 : 2인 치약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10% FBS(Fetal bovine serum) DMEM(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24-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3 x 105(개/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무혈청 DMEM 배지에 LPS (Lipopolyscharide)를 1 ㎍/m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LPS가 첨가된 배지에 상기의 조성물 슬러리를 각각 첨가하였다. 상기의 배양해 둔 셀 플레이트의 배지를 각각 교체하고 18시간 추가 배양 후, 알라마르블루(Alamarblue) 염색을 통하여 세포의 생존성에는 영향이 없다는 것을 각각 확인하고, 배지 내의 NO의 양을 그리스(Griess) 시약[Sigma 사]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비교예 1을 100으로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상대적 수치를 정리하였다.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6 | 1 | 2 | 3 | |
NO 생성량 |
62 | 56 | 48 | 54 | 39 | 58 | 100 | 93 | 95 |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 내지 실시예 3은 용뇌의 함량만 변화를 주고, 죽염의 함량을 1중량부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경우, 공통적으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NO 생성량이 확연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양은 용뇌의 함량 증가에 따라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는 죽염의 함량에만 변화를 주고, 용뇌의 함량은 1 중량부로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로, 공통적으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NO 생성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으며 죽염의 함량 증가에 따라 NO의 생성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마제의 종류가 상이한 실시예 2과 6의 경우 동일한 수준의 잔류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치은염증
형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한 치은염증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치은지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전신적 특이증상이 없고, 구강내 보철물이 없으며, 치은염을 앓고 있는 20대 성인 90명을 대상으로 피검자를 선별한 후 구강검진에 대한 설명을 해주었다.
피검자를 대상으로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상하악 좌측 견치부터 우측 견치까지의 순면 치은을 대상으로 치간 유두(Papillary Gingiva), 변연치은(Marginal Gingiva) 및 부착 치은(Attached Gingiva)의 상, 하악 각 15부위를 선정하여 도합 30부위에서 각 부위마다 염증 상태를 보이면 1점씩, 없으면 0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30점 만점의 PMA index를 구하였다.
측정한 초기 치은염지수를 바탕으로 각 군별 차이가 거의 없도록 고르게 인원을 배분하고 잇솔질을 교육하였다.
실시예의 치약 및 비교예의 치약을 각 피검자에게 나누어주고 교육받은 잇솔질 방법으로 1일 3회 8주 사용하고 구강검진을 1주, 2주, 4주, 8주에 실시하여 치은염 지수를 점수화 하였다.
시험결과는 시험군의 초기치, 1주, 2주, 4주, 8주 사용 후의 점수를 비교하여 각각 t-테스트(t-test)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치은지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구분 | 초기치 | 1주 | 2주 | 4주 | 8주 | 치은지수 감소율(%) |
실시예 1 | 9.76±3.01 | 7.09±2.61 | 6.24±2.19 | 5.27±2.27 | 3.64±2.19 | 63 |
실시예 2 | 10.08±2.61 | 7.01±2.14 | 5.16±1.97 | 4.12±1.76 | 2.94±1.12 | 71 |
비교예 1 | 10.14±3.78 | 7.76±2.03 | 7.34±1.90 | 6.90±1.88 | 5.83±1.56 | 43 |
비교예 2 | 9.09±2.83 | 7.09±2.16 | 8.56±2.41 | 6.72±2.05 | 5.38±1.54 | 41 |
비교예 3 | 9.05±2.56 | 7.15±2.04 | 7.03±1.95 | 6.86±1.96 | 5.52±1.43 | 40 |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초기 치은지수 검진 후, 8주 후의 치은염 지수가 실시예 1은 63%, 실시예 2는 71%의 감소율을 보이는 데 반해, 비교예 1은 43%, 비교예 2는 41%, 비교예 3은 40%의 치은지수의 감소율이 나타남을 알 수 있는 바, 실시예의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은지수 감소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산생성균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한 산생성균 활성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강 내 산생성균들의 활성도를 조사해 보기 위하여 Modified Snyder Test를 실시하였다. 스나이더 배지(Becton and Dikinson Co. France)를 증류수 1000cc에 넣고 저어가며 끓여서 배지를 만든 다음 10 cc 정도 뚜껑이 덮인 소독된 튜브에 나누어 담고 정해진 횟수의 구강검사 시 소독된 면봉으로 대상자의 타액 약 2 ml 정도를 채취하여 배지 속에 넣고 손잡이를 부러뜨린 후 뚜껑을 막았다. 그 후 37 ℃로 조정된 배양기 속에 48시간 배양한 후 색깔 변화로 그 결과를 판독하였다.
산생성균 활성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었다.
[수학식 2]
구분 | 초기 | 8주 후 | 산생성균 활성 억제율(%) |
실시예 1 | 1.58±0.90 | 0.67±0.60 | 58 |
실시예 2 | 1.43±0.86 | 0.41±0.54 | 71 |
비교예 1 | 1.38±1.01 | 1.10±0.72 | 20 |
비교예 2 | 1.38±0.87 | 0.88±0.75 | 36 |
비교예 3 | 1.35±0.84 | 0.87±0.72 | 36 |
상기 표 4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초기 산생성균 활성도와 8주 후의 활성도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은 58%, 실시예 2는 71%의 억제율을 보이는 반면, 비교예 1은 20%, 비교예 2는 36%, 비교예 3도 36%의 억제율을 보여 실시예의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산생성균 활성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치약
상안정성
평가
치약의 상안정성 평가는 페이스트 제형에서 튜브로부터의 토출을 통하여 온도에 따른 상태를 육안으로 비교 관찰하는 과정을 통하여 얻어지게 되며, 상안정성의 판단은 다음 평가기준을 적용하였다.
[평가기준]
◎ (매우 양호): 표면이 매끈하고 상분리가 없으며 정상적인 치약.
○ (비교적 양호): 표면만 약간 거칠거나 튜브 입구 부분만 약간 불량.
∇ (비교적 불량): 상분리 현상이 보이고 변색 현상도 조금 나타남.
× (매우 불량): 상분리가 심하고 가스 발생 혹은 경화 현상 등이 나타남
시간 | 경과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1 개월 |
상온 | ◎ | ◎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 ◎ | ◎ | ◎ | ◎ | |
3 개월 |
상온 | ◎ | ◎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 ◎ | ◎ | ◎ | ◎ | |
6 개월 |
상온 | ◎ | ◎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 ○ | ○ | ○ | ○ | |
12 개월 |
상온 | ◎ | ◎ | ◎ | ◎ | ◎ | ◎ | ◎ | ◎ | ◎ |
40 ℃ | ○ | ○ | ○ | ○ | ○ | ○ | ○ | ○ | ○ |
실험결과,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치약의 안정성이 입증된 시판 치약과 동일 처방과 동등한 수준의 상태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품화 시 상안정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뇌 0.001 내지 5 중량부; 및 죽염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향료, 산성도 조절제 및 증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60 중량부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 중량부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3 중량부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3 중량부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삭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부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치약, 구강용 세정제, 구강 청정제, 껌, 캔디류, 구강 스프레이 및 구강 양치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치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865A KR101475594B1 (ko) | 2013-03-06 | 2013-03-06 |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3865A KR101475594B1 (ko) | 2013-03-06 | 2013-03-06 |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648A KR20140109648A (ko) | 2014-09-16 |
KR101475594B1 true KR101475594B1 (ko) | 2014-12-22 |
Family
ID=5175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3865A KR101475594B1 (ko) | 2013-03-06 | 2013-03-06 |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559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064B1 (ko) * | 1990-12-28 | 1994-01-05 | 주식회사 럭키 | 죽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
KR100558015B1 (ko) * | 2001-02-16 | 2006-04-07 | 주식회사 파인엠 | 사자발쑥 정유를 함유한 치아우식증 원인균의 항균활성 조성물 |
-
2013
- 2013-03-06 KR KR1020130023865A patent/KR1014755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064B1 (ko) * | 1990-12-28 | 1994-01-05 | 주식회사 럭키 | 죽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
KR100558015B1 (ko) * | 2001-02-16 | 2006-04-07 | 주식회사 파인엠 | 사자발쑥 정유를 함유한 치아우식증 원인균의 항균활성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9648A (ko) | 2014-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atima et al. | Zinc: A precious trace element for oral health care | |
CN113081893A (zh) | 口腔抑菌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 |
US9301911B2 (en) | Composition comprising tauroursodeoxycholic acid | |
KR20170103476A (ko) |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879704B2 (ja) | 抗歯周病組成物 | |
KR102597684B1 (ko) |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 |
KR101475594B1 (ko) |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 |
EP4044995A1 (en) | Oral care composition | |
JP2012214402A (ja) | 口腔用組成物 | |
KR20160061852A (ko) | 금속이온 봉쇄제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 |
JP6574150B2 (ja) | 口腔用組成物 | |
JP7159265B2 (ja) | 抗歯周病組成物 | |
JP6804917B2 (ja) | 抗歯周病組成物 | |
KR102090592B1 (ko) | 치석 방지용 구강 조성물 | |
KR20180045614A (ko) | 폴리크레줄렌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 |
KR100665891B1 (ko) | 하이드록시타이로졸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 |
KR20120136140A (ko) | 잔토리졸의 구강 내 흡착 및/또는 잔류 증진용 조성물 | |
KR20170120411A (ko) | 스코폴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550067B1 (ko) | 폴리크레줄렌 및 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 |
KR20170103482A (ko) |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18211B1 (ko) |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Taki et al. | Clinical evaluation of coffee based gel on gingivitis: A randomised controlled clinical trial | |
KR20080063731A (ko) |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 |
KR100860601B1 (ko) |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 |
JP2004161689A (ja) | 口腔用組成物及び歯磨用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