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731A -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731A
KR20080063731A KR1020080049859A KR20080049859A KR20080063731A KR 20080063731 A KR20080063731 A KR 20080063731A KR 1020080049859 A KR1020080049859 A KR 1020080049859A KR 20080049859 A KR20080049859 A KR 20080049859A KR 20080063731 A KR20080063731 A KR 2008006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losan
composition
effect
or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헌
강택균
장은경
안재현
김영호
김문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4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731A/ko
Publication of KR2008006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7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클로산의 구강내 잔류력을 향상시키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주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 죽염에 감초산 칼륨을 포함하여 항균제인 트리클로산의 구강내 전달과 잔류를 극대화함으로써 항 세균 효과, 프라그 형성억제효과 및 치은염증 완화효과를 증진시킨 구강위생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죽염, 트리클로산, 감초산 칼륨,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 예방

Description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CARE}
본 발명은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 예방에 효과가 우수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살균효과 등이 우수하여 치태(이하 프라그)제거 및 치주질환 예방, 치료효과가 우수한 죽염에 항균제인 트리클로산(triclosan)과 감초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감초산 칼륨(dipotassium glycyrrhizinate)을 함유하여 프라그 형성억제효과 및 치은염증 완화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의 조직에 나타나는 치아 우식증(이하 충치)과 치주질환의 원인은 치아 표면에 부착된 치면 세균막(이하 프라그)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프라그가 치은 결합 조직내로 침투하여 치주낭을 형성시켜 잇몸염증과 잇몸 퇴축이 일어나고, 계속 방치하게 되면 치주질환으로 진행되는 연구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Kornman KS; J Periodontol Res(suppl), 16; 5-22,1986). 그러나, 구강 내에는 항상 세균들이 서식하고 있으므로 완전히 프라그를 제거하거나 예방하기는 어렵다. 또한 각 개인간의 차이에 따라 숙주-세균간의 반응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잇몸 염증의 발병율과 증상의 차이를 나타낸다.
현재까지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효능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불소와 자이리톨 등이 있다.
구강병 발생에 관여되는 환경요인, 숙주요인, 병원체요인 중 한가지 요인만을 조절하면 충치와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구강 질환의 진행 과정은 치아 표면에 세균의 집락 형성과 세균의 치주조직침투, 치주조직이 파괴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먼저 구강 내 타액중의 타액 단백질이 상아질과 백악질 표면에 흡착되면서 피막을 형성하고 이러한 피막표면에 주로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악티노마이시스(Actinomyces)와 같은 세균이 성장하면서 치태를 형성한다.
한편 치은열구에는 포피로모나스(Porphyromonas)와 악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와 같은 혐기성 그람음성균이 성장하여 이러한 세균, 세균성분, 세균 산물들이 치은 열구 상피를 통하여 치은 결합 조직내로 침투하여 치주낭이 형성된다. 이에 세균의 성장을 억제시키고 잇몸 염증의 완화를 위해 불소뿐만 아니라 항균제와 생약추출물을 첨가하는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구강제품내의 유효성분이 구강내에서 오랫동안 잔류하여 약효를 지속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 약물전달(Drug delivery)과 약물 잔류효과(Substantivity)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Loftsson T, Leeves N, Bjornsdottir B, J. Pharm Sci, 88 (12) ,1254-1258,1999).
이러한 목적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5705호에서는 대나무와 소금을 사용하여 화법(火法)을 통해 합성한 죽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는데, 이는 세포를 생성시키는 세포 생신작용(生新作用)을 하는 대나무와 살균 및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을 소성로(爐)에서 고열로 여러 번 반복 처리하여 소금을 용융 시키고, 굳히는 방법으로 죽염을 만들고 있다. 미국특허 제 4,894,220호에서는 트리클로산과 음이온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폴리머를 병용함으로써 트리클로산의 치아 내 전달 및 잔류효과를 증대시켜 항균 효능을 증가시키는 처방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5,032,386호에서는 여러 고분자와 트리클로산의 병용에 의한 항균 효과 증가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이 기술을 제품에 적용하여 미국내에서 판매중에 있다.
또한, 현재 프라그와 치은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미국특허 제5,356,615호에서는 트리클로산을 사용한 구강제품을 개발하여 프라그 형성 억제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제시한 바 있으며, 미국특허 제5,571,501호에서도 트리클로산의 구강 미생물의 살균효과에 대한 효능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들을 근거로 하여 제조된 제품은 항균제의 치아 내 전달 및 잔류효과가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리클로산의 구강내 잔류력을 향상시켜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 예방에 효과가 우수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죽염 0.10 내지 30 중량%, 트리클로산 0.0001 내지 1.0 중량%, 감초산 칼륨 0.005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많은 실험을 하던 중 죽염에 항균제인 트리클로산과 함께, 소수기와 친수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감잎 추출물인 감초산 칼륨을 혼합할 경우 치아 내 전달 및 잔류효과를 증대하여 우수한 프라그형성억제효과 및 치은 염증완화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구강 위생용 증진용 조성물은 구강내 미생물에 대한 살균력이 우수하고 인체에 안정한 죽염과 항균제인 트리클로산을 포함하고, 여기에 감초산 칼륨을 일정비율로 포함하여 항균제인 트리클로산의 구강내 전달과 잔류를 극대화하여 항 세균 효과, 프라그 형성억제효과 및 치은염증 완화효과를 증진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통상적인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죽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5705호에 따른 방법에 의해 대나무와 소금을 이용하는 화법(火法)을 통해 제조된 것이 좋다. 상기 특허에서 죽염은 세포를 생성시키는 세포 생신작용(生新作用)을 하는 대나무와 살균 및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을 소성로(爐)에서 고열로 여러 번 반복 처리하여 소금을 용융시키고, 굳히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서 죽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구강내 살균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트리클로산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클로산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구강 내 미생물 살균효과가 미약하게 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 함량 증가에 대한 효능의 차이가 크지 않다.
상기 감초산 칼륨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5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초산 칼륨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이면 살균제의 구강 내로의 전달 및 잔류효과의 상승이 미약하게 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사용 함량의 증가에 비해 살균제의 전달 및 잔류효능의 상승에 의한 프라그 형성억제효과 및 치은염증 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죽염에 첨가하는 트리클로산과 감초산 칼륨의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트리클로산의 목적부위로의 전달과 잔류를 증진하여주는 항 세균 증진효과가 미미하므로 실제 사용 가능한 적정한 혼합비율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형은 구강 제품인 치약, 구강 청정제, 구강 스프레이, 껌, 연고 및 패취제 등으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의 구강용 조성물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따라 통상 사용하는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산성도 조정제, 증백제 등을 적당량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의 제형이 치약 조성물인 경우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제, 향료, 산성도 조정제, 및 증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인산일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및 중조(NaHC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마제의 함량은 20 내지 6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비결정성 소르비톨액,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자이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또는 비결정성 소르비톨액과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각각의 무게 비로 10: 1 내지 1: 1의 비율로 2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결합제로는 카라기난, 잔탄껌,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알긴산 나트륨, 및 라포나이트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신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포제의 함량은 0.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3.5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감미제는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감초산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의 함량은 0.05 내지 0.5 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텔, 안식향산 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 사용한다. 상기 약효제로는 불화나트륨, 불화인산 나트륨, 불화 제일석, 불화아민, 클로르헥시딘, 트라넥사민산, 알란토인류, 카프론산류, 폴리인산염류, 효소류 및 생약추출물 등을 사용한다.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멘톨, 카르본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들을 일정비율 혼합한 향료에 아니스 오일(anise oil)을 적당량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산성도 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호박산, 호박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이 사용되며, 바람직한 산성도는 5 내지 8 이다. 상기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 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치약 조성물의 첨가제의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하기와 같다.
상기 치약 조성물은 상기한 죽염, 트리클로산 및 감초산 칼륨과 함께, 연마 제 20 내지 50 중량%, 습윤제 0.5 내지 2.0 중량%, 결합제 0.5 내지 2.0 중량%, 기포제 1.0 내지 3.5 중량%, 및 산성도 조정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침강 실리카, 및 중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비결정성 소르비톨액(70 %) 등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비결정성 소르비톨액(70 %)과 함께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자이리톨을 10: 1 내지 1: 1의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제로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라기난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다. 상기 기포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과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 고분자 물질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며, 혼합할 경우 5: 1 내지 1: 5의 비율로 사용하며,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멘톨, 카르본 등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사용하고, 산성도 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산성도를 6.0 내지 8.0 으로 조정하고, 증백제는 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구강 청정제의 경우 사용되는 가용화제는 치약의 기포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주 기능은 수층에 용해되는 성분과 유층에 용해되는 성분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제형을 완성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사용되는 가용화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공중합체, 경화피마자유 등이 있다. 구강 청정제와 같은 액상 제형에서는 자극감이 있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나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치약 중에 기포제로 사용되며 그 기능은 다음과 같다. 기포제는 연마제의 세정작용을 보완하며, 약효제를 칫솔이 도달하기 힘든 부위까지 침투시켜 주는 것은 물론 기포를 발생시켜 양치감을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세정작용을 도와주고 약효제의 분산 및 침투를 빠르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켜 주어 구강 내 이물질이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주로 사용되는 기포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라우릴 황산 나트륨, 알킬 황산 나트륨이 사용되고 보조적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아주까리경화유 유도체 등이 사용된다. 기포제의 함량은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하여 0.01 내지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치 예방을 위하여 불화나트륨을 0.02 중량%를 포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살균효과가 우수한 죽염과 항균 성분인 트리클로산을 포함하고 여기에 감초산 칼륨을 포함하여 치아 내 트리클로산의 전달 및 잔류효과를 증대시켜 약효성분의 효능을 극대화함으로써 프라그 형성억제효과 및 치은 염증 완화효과가 우수하므로 산업적으로 대단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습윤 성분인 소르비톨액에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사카린, 방부제 등의 분말성분을 분산시키고 정제수를 넣은 다음 혼합기에서 1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인산일수소 칼슘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포제인 라우릴 황산나트륨, 안정제류, 향료성분을 넣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인산일수소 칼슘 40.00 40.00 - - 40.00 - 40.00 40.00 40.00 40.00 -
침강 실리카 - - 20.00 - - 15.00 - - - - 20.00
탄산칼슘 - - - 38.00 - 15.00 - - - - -
함수 알루미나 - - - - 5.00 - - - - - -
소르비톨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라우릴 황산 나트륨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사카린 나트륨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1.00 1.00 1.20 0.80 0.80 0.80 1.00 1.00 1.00 1.00 1.20
간트레즈 S-97 - - - - - - - - - - 2.00
카라기난 - - - - - - - - - - 0.75
죽염 2.00 2.00 2.00 2.00 2.00 2.00 - 2.00 2.00 2.00 -
감초산 칼륨 0.04 0.02 0.02 0.02 0.04 0.04 0.04 0.04 - - -
트리클로산 0.30 0.10 0.10 0.10 0.30 0.30 0.30 - 0.30 - 0.30
일불소인산 나트륨 0.76 0.76 0.76 0.76 0.76 0.76 0.76 0.76 0.76 0.76 0.7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
상기 표 1의 실시예 1, 2 및 7과 비교예 2, 3 및 4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한 치약내 트리클로산의 치아로의 전달 및 잔류효과를 뮤신(mucin)으로 전 처리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Hydroxyapatite disk)을 이용하여 생체외적으로 검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1) 뮤신으로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으로의 트리클로산 초기부착량 측정 방법
가. 1% 뮤신용액으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에 전처리하여 뮤신으로 처리된 하이드록시아 파타이트 원판을 제조하였다.
나. 뮤신으로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을 미리 제조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용액에 넣어 37 ℃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다.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을 메탄올로 트로클로산을 추출하여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트리클로산을 정량하여 트리클로산의 원판으로의 초기 부착량을 산정하였다.
(2) 뮤신으로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에서의 트리클로산 잔류량 측정방법
가. 1% 뮤신용액으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에 전처리하여, 뮤신으로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을 제조하였다.
나. 뮤신으로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을 미리제조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용액에 넣어 37 ℃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다.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을 1% 뮤신용액에 넣어 3시간 동안 재처리하였다.
라. 이후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을 메탄올로 트로클로산을 추출하여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트리클로산을 정량하여 트리클로산의 원판으로 잔류량을 산정하였다.
초기 흡착량(ppm) 잔류량(ppm)
실시예 1 45.21±0.51 35.67±0.45
실시예 2 41.04±1.49 28.55±0.70
실시예 7 35.98±1.02 30.96±0.90
비교예 2 22.66±1.23 18.37±0.86
비교예 4 33.15±1.24 28.35±0.72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뮤신으로 처리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원판으로 트리클로산의 초기 흡착량과 잔류량은 실시예 1, 2 및 7의 감초산 칼륨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감초산 칼륨에 트리클로산이 들어 있는 비교예 2보다는 죽염에 트리클로산과 감초산 칼륨이 들어 있는 실시예 1, 2 및 7이 트리클로산의 초기 흡착량과 잔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에서 시판중인 비교예 4의 트리클로산 지속성을 주장한 제품과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초기 흡착량과 잔류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 2 및 7과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한 프라그 형성 억제 효과 및 치은염증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여 치태지수 결과 및 치은지수 결과를 하기 표 3 및 4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① 피검자를 선별한 후 구강검진에 대한 설명을 해주었다.
②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 피검자를 무작위 30 명씩을 나누고 올바른 잇솔질 방법을 교육시킨 후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치태지수(Quigley-Hein Index modified by Turesky) 및 치은염 지수(Gingival Bleeding Index, Loe-Silness Index)를 측정하였다.
③ 실험군 전 치아에 대하여 스케일링을 실시하였다.
④ 대조치약을 14일간 사용토록 한 후 구강검진을 실시하고, 이때 치태지수 및 치은지수를 초기치로 하였다.
⑤ 실시예 치약 및 비교예 치약을 각 피검자에게 나누어 주고 잇솔질은 평상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1일 3회 6개월 사용하고 구강검진을 3개월, 6개월에 실시하여 치태지수 및 치은염 지수를 점수화 하였다.
⑥ 실험결과는 실험군의 초기치와 3개월, 6개월 사용 후 점수를 비교하여 각각 t-테스트(t-test)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치태지수결과
초기치 3개월 6개월
실시예 1 2.99±0.65 2.85±0.44 2.38±0.36
실시예 2 3.23±0.54 2.72±0.69 2.56±0.20
실시예 7 3.27±0.68 3.13±0.27 2.98±0.47
비교예 1 3.20±0.59 3.00±0.84 2.86±0.45
비교예 2 3.00±0.96 2.96±0.43 3.26±0.53
비교예 3 3.32±0.52 3.25±0.63 3.21±0.83
비교예 4 3.22±0.52 3.05±0.63 3.11±0.83
상기 표 3에서 보면,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을 6개월 사용 후 치태지수를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 검정을 한 결과, 치태형성 억제 효과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4에서 사용전과 사용 후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실시예 1 및 2의 죽염과 트리클로산에 감초산 칼륨을 일정 비율 혼합한 치약 처방에서 치태 형성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에서 시판중인 비교예 4의 트리클로산 지속성을 주장한 제품과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프라그 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치은지수결과
초기치 3개월 6개월
실시예 1 1.45±0.43 0.43±0.46 0.52±0.44
실시예 2 0.99±0.24 0.77±0.15 0.65±0.20
실시예 7 1.20±0.40 1.08±0.15 1.00±0.25
비교예 1 1.26±0.50 0.99±0.26 0.84±0.19
비교예 2 1.14±0.34 1.02±0.29 1.16±0.20
비교예 3 0.94±0.28 0.97±0.35 1.06±0.15
비교예 4 0.84±0.28 0.80±0.35 0.97±0.15
상기 표 4에서 보면,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을 6개월 사용 후 치은지수를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차 검정을 한 결과, 치은염 완화 효과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4에서 사용전과 사용 후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실시예 1 및 2의 죽염과 트리클로산에 감초산 칼륨을 일정비율 혼합한 치약 처방에서 치은 염증완화, 치료효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에서 시판중인 비교예 4의 트리클로산 지속성을 주장한 제품과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초기 흡착량과 잔류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5 내지 6
(구강 청정제의 제조)
하기 표 5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구강 청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8 9 10 5 6
에탄올 4.00 7.00 12.00 4.00 12.0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 0.80 0.50 - -
라우릴 황산나트륨 0.20 - - 0.20 0.40
불화나트륨 0.02 0.02 0.02 0.02 0.02
농글리세린 10.00 10.00 10.00 10.00 10.00
사카린나트륨 0.01 0.01 0.01 0.01 0.01
죽염 0.01 0.20 0.20 - -
감초산 칼륨 0.01 0.01 0.005 - -
트리클로산 0.01 0.05 0.05 - 0.03
향료 0.20 0.20 0.20 0.20 0.2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5 내지 6의 구강 청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프라그 형성억제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여 치태지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
프라그의 발생을 치태지수(Plaque Index, Turesky Quigley and Hein)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비교적 치열이 고르고 치아우식증이 없는 성인남녀 24세 내지 36세의 50명을 실험대상자로 선정하고, 초기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실험군을 각 10명씩 5그룹으로 나누었다. 동일 조건을 만들기 위해 5그룹 모든 대상자에게 표준 치약과 칫솔을 제공하여 1주간 사용하게 하였다. 이때 치약, 칫솔은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치약, 칫솔을 제외한 구강위생제품의 사용은 중단시켰다. 표준 치약과 칫솔을 일일 3회 사용하면서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0의 구강 청정제를 매일 5회 30초 이상 가글을 하도록 하여 4주간 사용하게 하였다. 4주 후 모든 실험 대상자의 치아에 부착된 프라그를 덴탈 디스클로징 용액(Dental Disclosing Solution)으로 착색하여 개개인 치아의 협순면 및 설면의 프라그를 아래의 기준으로 평점하였고, 치태지수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평점기준
0 점: 치면 세균막이 없는 경우
1점 : 치은연부에 점상으로 치면 세균막이 있는 경우
2점: 치은연에 따라서 분명한 선상으로 치면 세균막이 있는 경우
3점: 치경부측 1/3 이하 치면에 치면 세균막이 있는 경우
4점: 치경부측 1/3이상 2/3이하 치면에 치면 세균막이 있는 경우
5점: 치경부측 2/3이상 치면에 치면 세균막이 있는 경우
치태지수결과
실험군 초기치 4주 후
실시예 8 3.11±0.31 2.65±0.34
실시예 9 3.14±0.24 2.72±0.29
실시예 10 3.03±0.34 2.69±0.29
비교예 5 3.20±0.29 3.32±0.34
비교예 6 3.02±0.39 3.12±0.34
상기 표 6에서 보면, 실시예 8 내지 10과 비교예 5 및 6의 구강 청정제를 4주 사용 후 치태지수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비교예 5의 단독 불소양치액, 비교예 6의 트리클로산 양치액보다 실시예 8 내지 10의 죽염과 트리클로산에 감초산 칼륨을 일정 비율 첨가한 구강 청정제에서 치태 형성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5 및 6의 구강 청정제 조성물을 사용한 프라그 구취제거효과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하여 구취제거효과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실험 방법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50명을 선정하여 대상 음료에 대하여 교차 반복 실험(Cross-over test)을 실시하였다. 시판하는 마늘분을 물에 분산시켜 24시간 방치한 후 희석하여 할리미터(Halimeter)측정값이 700 ppb 이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으로 사용하였다. 마늘분 희석액 15 ml로 30초간 가글을 한 후 1분 뒤에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다시 각각의 비교예의 구강 청정제를 15 ml에 녹여 30초간 가글을 하였다. 가글 후 1분, 5분, 30분 경과한 다음 할리미터로 구취정도를 측정하여 구취억제의 지속 여부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7은 본 발명의 구강 청정제로 가글한 후 구취억제정도를 확인한 것이다.
구취제거효과 결과
가글후 경화시간
1분 5분 30분
실시예 8 95.6% 91.0% 70.8%
실시예 9 95.6% 92.0% 72.5%
실시예 10 62.0% 89.6% 70.0%
비교예 5 80.0% 55.3% 20.8%
비교예 6 86.0% 65.3% 30.3%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5 및 6의 구강 청정제는 가글 후 5분까지 구취억제의 지속성이 약간 나타났으나 가글 후 30분 뒤에는 거의 구취제거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여 구취 억제 지속성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0의 구강 청정제는 구취억제 지속성이 30분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1)

  1. 트리클로산 0.0001 내지 1.0 중량% 및 감초산 칼륨 0.005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하는 구강 내 트리클로산 흡착 증진용 조성물.
KR1020080049859A 2008-05-28 2008-05-28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080063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59A KR20080063731A (ko) 2008-05-28 2008-05-28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59A KR20080063731A (ko) 2008-05-28 2008-05-28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172A Division KR100860601B1 (ko) 2002-05-13 2002-05-13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731A true KR20080063731A (ko) 2008-07-07

Family

ID=39815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859A KR20080063731A (ko) 2008-05-28 2008-05-28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7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0994A (ja) * 2016-08-05 2018-02-08 小林製薬株式会社 歯肉ケア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歯肉ケア用口腔用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0994A (ja) * 2016-08-05 2018-02-08 小林製薬株式会社 歯肉ケア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歯肉ケア用口腔用組成物
JP2022016629A (ja) * 2016-08-05 2022-01-21 小林製薬株式会社 歯肉ケア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歯肉ケア用口腔用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4454B2 (ja) 口腔ケア用の治療及び予防組成物
KR101636430B1 (ko) 항염 및 살균력이 증진된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4044996A1 (en) Oral care composition
KR980008210A (ko)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509579B1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A2754213C (en) Desensitizing dentifrice exhibiting dental tissue antibacterial agent uptake
KR20220107991A (ko)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구강용 조성물
KR100860601B1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080063731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JP2003012483A (ja) 口腔用組成物
KR20170051006A (ko) 이소프로필메틸페놀과 구강조직수렴제를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447425B1 (ko) 죽염과불소를혼합사용한구강위생증진용조성물
KR102649635B1 (ko) 폴리크레줄렌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090103266A (ko) 기능성이 향상된 한약재 치약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1852A (ko) 금속이온 봉쇄제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을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
KR100963301B1 (ko) 헴프 섬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CN115177543B (zh) 一种含l-乳酸盐的抑菌防龋组合物和口腔护理用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136140A (ko) 잔토리졸의 구강 내 흡착 및/또는 잔류 증진용 조성물
KR20170037231A (ko) 퍼슬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97685B1 (ko) 파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475594B1 (ko) 용뇌 및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KR100665891B1 (ko) 하이드록시타이로졸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550067B1 (ko) 폴리크레줄렌 및 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