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338A -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338A
KR20180114338A KR1020170045938A KR20170045938A KR20180114338A KR 20180114338 A KR20180114338 A KR 20180114338A KR 1020170045938 A KR1020170045938 A KR 1020170045938A KR 20170045938 A KR20170045938 A KR 20170045938A KR 20180114338 A KR20180114338 A KR 20180114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ate
surfactant
based surfactant
examples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307B1 (ko
Inventor
김기정
김대경
김찬호
장성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4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307B1/ko
Priority to CN201810310276.8A priority patent/CN108685742B/zh
Priority to TW107112283A priority patent/TWI817943B/zh
Publication of KR2018011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고, 사용 시 기포 생성이 매우 우수하며, 쓴 맛 및 불쾌한 맛이 적어 사용감이 우수한 고기포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LOW IRRITATING ORAL COMPOSITION}
본 발명은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사용 시 거품 생성이 우수하면서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고, 쓴 맛 및 불쾌한 맛을 감소시켜 사용감과 기호도를 현저히 향상시킨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는 다양한 형태의 구강용 조성물에서 기포제로 사용되고 있다.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는 다른 음이온 계면활성제와는 달리, 쓴 맛이 적고, 기포가 풍부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기포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자극 및 염증 유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은 일반적으로 자극성이 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한 자극성을 완화시키고, 동시에 세정 특성과 기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기술이 일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비해 자극이 덜하고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 시 계면활성제 내 양이온적 특성이 기포막을 더욱 단단하게 해주어 기포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쓴 맛 및 불쾌한 맛을 강하게 내기 때문에 그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070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406호
본 발명은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고, 사용 시 기포 생성이 매우 우수하며, 쓴 맛 및 불쾌한 맛이 적어 사용감이 우수한 고기포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은,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은,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사용 시 기포 생성이 매우 우수하면서도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고, 쓴 맛 및 불쾌한 맛이 적어 사용감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은,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Lauroyl Glutam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는,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1 내지 3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사용 시 기포 발생량이 적을 수 있으며, 2.5 중량% 초과이면, 쓴 맛으로 인해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은, 기포 생성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하여 아르기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르기닌은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르기닌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기포 증진 효과가 낮으며, 10 중량% 초과이면, 제형화가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치약, 구중청량제, 치아미백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은,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연마제, 습윤제, 보조 기포제, 결합제, 감미제, pH 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로는 탄산칼슘, 침강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륨 및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등이 있으며, 이들 연마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0 중량%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80 중량%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포제로는 설페이트계, 설포석시네이트계, 사코시네이트계, 포스페이트계, 이세치오네이트계, 타우레이트계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나 설타인, 암포아세테이트계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올아미드, 알킬글루코시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N-알킬디아미노 에틸글리신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잔탄검, 카라기난, 알긴산 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2종 혼합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로는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감초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 중량%의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주석산 등들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효성분으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리클로산, 염화세틸피리디움, 염화아연, 염화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로는 페퍼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아네톨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당량 사용할 수 있고, 증백제로는 산화티탄류를, 색소로는 식용색소를, 용제로는 정제수 또는 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첨가제를 목적 및 조건에 따라 조성 및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함으로써, 통상의 치약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제조예> 치약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를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1의 단위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해당 성분의 중량%이다.
성분 함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사카린나트륨 0.2 0.2 0.2 0.2 0.2 0.2
소리브톨액 50 50 50 50 50 50
향료 1 1 1 1 1 1
덴탈타입실리카 13 13 13 13 13 13
셀룰로오스검 1 1 1 1 1 1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1 1 1.5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 0.5 0.5 1.5
아르기닌 0.3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1.5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1
코코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액 0.5
<시험예 1> 기포력 평가 시험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와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치약의 기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을 5g씩 비이커에 평량하고 정제수 45g을 넣어 전체 함량을 50g으로 맞춘 후, 각각 250ml 메스실린더에 넣어 입구를 막고 각각 8회씩 180도 회전을 시킨 상태에서 발생된 기포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총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250ml의 눈금을 관측하여 0에서부터 기포가 발생한 높이의 숫자를 기록하였으며, 단위는 ml이다.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회 186.1 193.6 180.6 177.5 182.5 180.9
2회 185.8 192.2 178.9 178.8 183.6 179.6
3회 187.2 194.8 179.8 179.6 182.4 182.7
평균 186.4 193.5 179.8 178.6 182.8 181.1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인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인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과 여기에 아르기닌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1, 2에 비하여 기포력이 훨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사용하는 비교예 3, 및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에 일반적으로 함유되는 성분인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와 코코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액을 함유하는 비교예 2에 비해서도 기포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및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을 함께 포함하거나, 이에 아르기닌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포제를 함유하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기포력이 훨씬 우수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 평가 시험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와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점막 자극에 민감한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을 각각 약 1g씩 칫솔에 취하여 3분간 이 닦기를 행하였을 때,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자극의 정도에 따라서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를 1점, 「자극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를 2점, 「자극을 느낀다」를 3점, 「자극을 강하게 느낀다」를 4점으로하여, 20명의 평균값으로부터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구강 점막 자극점수 평균값 1.4 1.3 2.1 2.7 3.2 2.2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3에 의해 제조된 치약의 경우 실시예 1, 2, 비교예 1, 2 및 4에 비하여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나고,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의 경우,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및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포제를 함유하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성이 크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쓴 맛과 불쾌한 맛 평가 시험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와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20명의 향미패널들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을 각각 약 1g씩 칫솔에 취하여 3분간 이 닦기를 행한 후, 쓴 맛 및 불쾌한 맛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쓴 맛 및 불쾌한 맛의 정도에 따라 5점 척도법(5점: 아주 강함, 4점: 강함, 3점: 보통, 2점: 약함, 1점: 아주 약함)으로 각각을 평가하도록 하여 20명의 평균값으로부터 쓴 맛 및 불쾌한 맛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쓴 맛 1.2 1.2 2.0 2.2 2.2 2.9
불쾌한 맛 1.5 1.4 2.4 2.5 2.4 3.0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의 치약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4, 특히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및 코코일아미도프로필디메틸글리신액을 포함하는 비교예 4에 비하여 쓴 맛과 불쾌한 맛의 정도가 훨씬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은,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여, 기포 생성이 우수하면서도 구강 점막에 대한 자극이 극히 낮고, 쓴 맛 및 불쾌한 맛을 감소시켜 사용감이 우수하다.

Claims (7)

  1.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Sodium Lauroyl Glutam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는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타메이트계 계면활성제 및 아미도프로필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아르기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르기닌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KR1020170045938A 2017-04-10 2017-04-10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KR102337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38A KR102337307B1 (ko) 2017-04-10 2017-04-10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CN201810310276.8A CN108685742B (zh) 2017-04-10 2018-04-09 低刺激性口腔用组合物
TW107112283A TWI817943B (zh) 2017-04-10 2018-04-10 低刺激性口腔用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938A KR102337307B1 (ko) 2017-04-10 2017-04-10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38A true KR20180114338A (ko) 2018-10-18
KR102337307B1 KR102337307B1 (ko) 2021-12-09

Family

ID=6384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938A KR102337307B1 (ko) 2017-04-10 2017-04-10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37307B1 (ko)
CN (1) CN108685742B (ko)
TW (1) TWI817943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406A (ko) 2011-03-25 2014-01-1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에 성분을 안정화 배합하는 방법
KR20150094676A (ko) * 2012-12-06 2015-08-19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아연 함유 조성물용 계면활성제 시스템
KR20160090708A (ko) 2015-01-22 2016-08-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060908B2 (ja) * 2011-11-30 2017-01-1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7262B1 (it) * 1999-07-20 2001-10-30 Zschimmer & Schwarz Italiana S Composizioni detergenti o cosmetiche comprendenti alchilsolfati e/oalchil(poli)etossisolfati di zinco quali agenti tensioattivi e
TWI419708B (zh) * 2006-11-14 2013-12-21 Sunstar Inc And an oral composition containing crystalline cellulose which is surface-treated with a water-soluble substance
AU2009212320B2 (en) * 2008-02-08 2012-12-1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product and methods of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406A (ko) 2011-03-25 2014-01-17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에 성분을 안정화 배합하는 방법
JP6060908B2 (ja) * 2011-11-30 2017-01-1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KR20150094676A (ko) * 2012-12-06 2015-08-19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아연 함유 조성물용 계면활성제 시스템
KR20160090708A (ko) 2015-01-22 2016-08-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6585A (zh) 2018-10-16
CN108685742B (zh) 2022-11-04
KR102337307B1 (ko) 2021-12-09
TWI817943B (zh) 2023-10-11
CN108685742A (zh)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7324B1 (en)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AU2016394895A1 (en)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0874301B1 (ko) 구강용 조성물
US11020329B2 (en) Oral care compositions
EP0697855A1 (en) Oral compositions
KR101624764B1 (ko) 치아 연마제 조성물
KR20180114338A (ko)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JP7347916B2 (ja) 歯磨剤組成物
KR101145493B1 (ko)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JP2546226B2 (ja) 安息香酸類配合練歯磨組成物の肌荒れ防止方法
US11260009B2 (en) Oral care produc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20190035000A (ko)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CN110691581B (zh) 洁齿剂组合物
CN111278408B (zh) 新颖的组合物
JP7172392B2 (ja) 口腔用組成物
KR102550067B1 (ko) 폴리크레줄렌 및 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568684B1 (ko) 기포력이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WO2019230710A1 (ja) 口腔用組成物
US20210059914A1 (en) Zinc Phosphate Containing Compositions
JPH07291844A (ja) 口腔用組成物
KR20200049325A (ko) 구강용 조성물
KR101687405B1 (ko) 천연 유래 기포제를 함유한 잇몸질환 예방 구강용 조성물
RU2462231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зубная паста
KR20100052934A (ko) 치석 형성 방지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JP2018076273A (ja) 液体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