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000A -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000A
KR20190035000A KR1020170123692A KR20170123692A KR20190035000A KR 20190035000 A KR20190035000 A KR 20190035000A KR 1020170123692 A KR1020170123692 A KR 1020170123692A KR 20170123692 A KR20170123692 A KR 20170123692A KR 20190035000 A KR20190035000 A KR 20190035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erfume composition
composition
corn flavor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연
이지혜
문교태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2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5000A/ko
Publication of KR20190035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0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9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ly 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9Heterocyclic compounds
    • C11B9/009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two different heteroatoms, at least one be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향을 재현하기 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아세틸 피라진(2-acetyl pyrazine), 2-아세틸 티아졸(2-acetyl thiazol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은 우수하게 옥수수 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도가 개선된 생활용품 조성물, 특히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Flavoring composition in use of expressing corn flavor}
본 발명은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될 수 있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료는 한 가지 성분이 아니라 다양한 향을 지닌 여러 가지 성분들의 조화로 이루어진다. 최근, 천연에서 유래한 향을 재현하기 위한 다양한 향료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종의 물질에 상기 향을 적용하기 위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치아 건강의 개념이 사회생활 개념으로 변화되면서 구강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구강 질환의 예방 및 치료뿐만 아니라, 구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치약과 칫솔을 이용한 양치뿐만 아니라 커피 등의 음식물을 섭취한 후, 또는 흡연을 한 직후 치약 및 칫솔 없이 용이하게 양치할 수 있는 구강 청량제 등에 대한 사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에는 세정 성분 등으로 인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이고 향미를 증진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감미제 또는 향료들이 배합되어 있다. 구강용 조성물에는 통상적으로 상쾌한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민트향이 배합된 제품들이 다양하게 존재하며, 그 이외에도 딸기향, 포도향, 오렌지향 등 각종 과일향을 구현하기 위한 향료 등이 배합된 구강용 조성물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연령 및 기호에 따라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한편, 옥수수는 달콤하고 고소한 고유의 향을 갖고 있어 사람들의 기호도가 높은 식품이다. 최근 이러한 옥수수 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다. 그러나, 구강용 조성물에서는 아직까지 옥수수 향을 구현한 예가 없었으며, 구강 건강을 위해 옥수수로부터 유래한 성분을 포함한 제품이 출시된 적이 있으나, 그러한 제품에서는 사용자들이 만족감을 느끼는 옥수수 향을 나타낸 것은 아니었다. 식품 조성물 외에 구강용 조성물에도 과일향, 민트향 외의 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구강용 조성물의 기호도를 증진하기 위해 옥수수 향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진행하던 도중, 피부 외용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옥수수 향을 나타내는 향료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종래 없었던 새로운 향을 나타내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옥수수 향을 우수하게 구현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세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활용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방향용품, 탈취용품, 세정용품, 화장용품, 구강용품, 바디용품, 및 물티슈 등의 각종 지류용품 등의 광범위한 생활용품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2-아세틸 피라진(2-acetyl pyrazine), 2-아세틸 티아졸(2-acetyl thiazol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이란 구강용품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배합될 목적으로 상기 조성물이 목적하는 향을 구현하는 성분(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옥수수 향을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품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로도 본 명세서에 언급될 수 있으며,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구강 건강을 위해 제조, 시판되는 제품들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예를 들어 그러한 제품들은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용 연구, 구강 청량제(가글 제품), 껌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 청량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옥수수 향을 나타내기 위해, 2-아세틸 피라진, 2-아세틸 티아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δ-도데카락톤, 5-메틸 퍼퓨랄, 및 메틸 사이클로펜테놀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δ-도데카락톤, 5-메틸 퍼퓨랄, 및 메틸 사이클로펜테놀론을 더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향료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2-아세틸 피라진, 2-아세틸 티아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상기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2-아세틸 피라진 및 2-아세틸 티아졸을 모두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2-아세틸 피라진 및 2-아세틸 티아졸을 모두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의 경우 이들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옥수수 향 구현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향료 조성물이 2-아세틸 피라진 및 2-아세틸 티아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혼합물의 혼합 중량비는 2-아세틸 피라진:2-아세틸 티아졸로 1:10~10:1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5:1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4:1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은 옥수수 향 구현을 강화하고 사용자(또는 소비자)의 기호도를 개선하기 위해 감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의 함량은 상기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95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중량%, 3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갈라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D-자일로오스, D-트립토판,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락티톨, 맥아당, 타우린, 글리세롤, 글라이신, 파라티노오스, 락투로오스, 사카린염,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아스파탐, 알리탐, 효소처리스테비아, 네오헤스페리딜디히드로칼콘, 프럭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으로, 및 수크랄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미제는 사카린염,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카린염으로는 사카린 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이 상기 감미제, 특히 사카린 나트륨, 에리스리톨, 자이리톨, 또는 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하는 경우 옥수수 향 구현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이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감미제 외 성분 및 감미제의 중량비는 감미제 외 성분:감미제로 10:1~1: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5:1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3~3: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1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내 감미제 외 성분과 감미제가 1:1로 혼합되는 경우 옥수수 향 구현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옥수수 주정 추출물과 비교하여 옥수수 향 관능평가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이 옥수수 향 구현에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생활용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방향용품, 세정용품, 화장용품, 구강용품, 또는 바디용품 등일 수 있으며, 특히 구강용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활용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으로 생활용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습윤제, 연마제, 약효제, pH 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기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마제로는 인산일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효제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효소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H 조정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트리에탄올 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알지네이트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포제로는 라우린산 나트륨, 팔미틴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황산 칼륨, POE-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POE-올레일에테르인산 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디-2-에틸헥실설포숙신산 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설포숙신산 나트륨, 라우로일폴리프로필렌글리콜설포숙신산 나트륨,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나트륨,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어드데실벤젠설폰산,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 N-라우로일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로트유 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모노 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α,α'-올레인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말산, POE-소르비탄모노올레 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피리디늄, 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4급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포늄염,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2-운데실-N,N,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 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설포베타인 등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아세틸 피라진 1.3 내지 2.3 중량%, 2-아세틸 티아졸 0.1 내지 1.1 중량%, δ-도데카락톤 0.01 내지 0.5 중량%, 5-메틸 퍼퓨랄 0.01 내지 1 중량%, 메틸 아세테이트 0.1 내지 0.5 중량%, 메틸 사이클로펜테놀론 0.0001 내지 0.1 중량%, 에틸 알코올 1 내지 25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 75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구강용 향료 조성물 0.01 내지 0.05 중량%, 감미제 0.01 내지 0.05 중량%, 글리세린 0.1 내지 5 중량%, HCO40 0.1 내지 20 중량%, 에탄올 0.1 내지 10 중량%, 불화나트륨 0.001 내지 0.1 중량%, 및 정제수 75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은 우수하게 옥수수 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감미제의 혼합으로 옥수수 향을 더 우수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기호도가 개선된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표시된 성분 및 조성비로 옥수수 향 구현을 위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2-acetyl pyrazine 0.00 1.83 0.00 1.83 0.6 6.6
2-acetyl thiazole 0.00 0.00 0.60 0.60 0.6 0.6
δ-dodecalactone 0.23 0.23 0.23 0.23 0.23 0.23
5-methyl furfural 0.45 0.45 0.45 0.45 0.45 0.45
Ethyl acetate 0.35 0.35 0.35 0.35 0.35 0.35
Methyl cyclopentenolone 0.03 0.03 0.03 0.03 0.03 0.03
Ethyl alcohol 11.51 11.51 11.51 11.51 11.51 11.51
Propylene glycol 87.43 85.51 86.83 85 85 85
total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
관능평가 훈련을 받은 평가 대상자들 30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향료 조성물의 옥수수 향 유사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매우 유사한 경우를 5점, 유사한 경우 4점, 보통의 경우 3점, 유사하지 않은 경우 2점, 전혀 유사하지 않은 경우를 1점으로 매기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각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점수 1.8 2.1 1.9 3.2 1.5 1.7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아세틸 피라진과 2-아세틸 티아졸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 대비 각각을 포함하는 실시예 1-2의 경우 옥수수 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2-아세틸 피라진과 2-아세틸 티아졸을 모두 포함하면서도, 상기 2-아세틸 피라진 및 2-아세틸 티아졸의 혼합 중량비가 (2-아세틸 피라진:2-아세틸 티아졸)로 3~4:1인 실시예 3의 경우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각 혼합 중량비가 1:1, 11:1 인 실시예 4-5의 결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옥수수 향의 구현 정도가 상기 혼합 중량비에 따라 크게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구강 청량제 제조]
하기 표 3에 표시된 성분 및 조성비로 구강 청량제를 제조하였다. 옥수수 향 구강 청량제의 평가에 사용된 대조군으로는 구강 청량제와 동일 중량의 옥수수 주정 추출물이 사용되었다.
(중량%)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3 0.02 0.02 0.02 0.02 0.02 0.02 0.02 - -
실시예4 - - - - - - - 0.02 -
실시예5 - - - - - - - - 0.02
사카린 나트륨 - 0.02 - - - 0.04 0.01 0.02 0.02
에리스리톨 - - 0.02 - - - - - -
자일리톨 - - - 0.02 - - - - -
효소처리스테비아 - - - - 0.02 - - - -
옥수수주정추출물 - - - - - - - - -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HCO4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에탄올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불화나트륨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85.96 85.94 85.94 85.94 85.94 85.92 85.90 85.94 85.94
(대조군 - 옥수수주정추출물 100 중량%)
[구강 청량제에 대한 관능평가]
관능평가 훈련을 받은 평가 대상자들 3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시예 6-14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옥수수 향에 대한 유사도를 측정하여 향료의 재현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매우 유사한 경우를 5점, 유사한 경우 4점, 보통의 경우 3점, 유사하지 않은 경우 2점, 전혀 유사하지 않은 경우를 1점으로 매기는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각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점수 3.5 4.2 4.1 4.0 4.2 4.0 3.9 2.7 2.8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3의 향료 조성물만을 포함하는 실시예6의 구강 청량제보다 감미제를 함께 포함하는 실시예 7-12의 경우 옥수수 향을 더 우수하게 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2-아세틸 피라진(2-acetyl pyrazine), 2-아세틸 티아졸(2-acetyl thiazol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2-아세틸 피라진(2-acetyl pyrazine) 및 2-아세틸 티아졸(2-acetyl thiazole)을 함께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2-아세틸 피라진(2-acetyl pyrazine) 및 2-아세틸 티아졸(2-acetyl thiazole)을 1:10~10:1(2-아세틸 피라진:2-아세틸 티아졸)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아세틸 피라진, 2-아세틸 티아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상기 구강용 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δ-도데카 락톤, 5-메틸 퍼퓨랄, 및 메틸 사이클로펜테놀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6.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아세틸 피라진 1.3 내지 2.3 중량%, 2-아세틸 티아졸 0.1 내지 1.1 중량%, δ-도데카락톤 0.01 내지 0.5 중량%, 5-메틸 퍼퓨랄 0.01 내지 1 중량%, 메틸 아세테이트 0.1 내지 0.5 중량%, 메틸 사이클로펜테놀론 0.0001 내지 0.1 중량%, 에틸 알코올 1 내지 25 중량%, 및 프로필렌 글리콜 75 내지 95 중량%를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갈라토오스, D-글루코오스, D-프럭토오스, D-자일로오스, D-트립토판,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락티톨, 맥아당, 타우린, 글리세롤, 글라이신, 파라티노오스, 락투로오스, 사카린염,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아스파탐, 알리탐, 효소처리스테비아, 네오헤스페리딜디히드로칼콘, 프럭토올리고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으로, 및 수크랄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사카린염,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효소처리스테비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의 함량은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9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옥수수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생활용품 조성물로서, 상기 생활용품은 방향용품, 탈취용품, 세정용품, 화장용품, 구강용품, 바디용품, 또는 지류용품인 생활용품 조성물.
KR1020170123692A 2017-09-25 2017-09-25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KR20190035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92A KR20190035000A (ko) 2017-09-25 2017-09-25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692A KR20190035000A (ko) 2017-09-25 2017-09-25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00A true KR20190035000A (ko) 2019-04-03

Family

ID=6616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692A KR20190035000A (ko) 2017-09-25 2017-09-25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50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886A (ko)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논픽션 베르가못 천연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886A (ko)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논픽션 베르가못 천연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1719B (fi) Vaelsmakande tandkraem som foerhindrar uppkomsten av plack.
RU2486891C2 (ru)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неионные и цвиттерионные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ые вещества
JP2004149481A (ja) 口腔用組成物
JP5493731B2 (ja) 歯磨剤組成物
JP5682235B2 (ja) 歯磨組成物及び歯磨組成物の泡性能及び油溶性成分の口内滞留性を改善する方法
US20220219020A1 (en) Oral care composition
JP5493732B2 (ja) 口腔用組成物
JP5614020B2 (ja) 歯磨組成物
KR20190035000A (ko)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JP3987593B2 (ja) 塩化ナトリウムおよび塩化マグネシウム含有口腔用組成物
JP4284522B2 (ja) 練歯磨組成物
JP4632553B2 (ja) 口腔用組成物
JPH11322554A (ja) 口腔用組成物
JP7347916B2 (ja) 歯磨剤組成物
JP2017145213A (ja) 口腔用組成物
JP2020169150A (ja) 口腔用組成物
JPH0680005B2 (ja) 口腔用組成物
KR101145493B1 (ko)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JP7103355B2 (ja) 歯磨剤組成物
CN110691581B (zh) 洁齿剂组合物
IE57870B1 (en) Stable antiplaque dentifrice with improved foaming and fluoride stability
JP2018095574A (ja) 口腔用組成物
KR20210001878A (ko) 치약제 조성물 및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337307B1 (ko) 저자극성 구강용 조성물
JPH08283132A (ja) 液体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