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878A - 치약제 조성물 및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치약제 조성물 및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878A
KR20210001878A KR1020200013947A KR20200013947A KR20210001878A KR 20210001878 A KR20210001878 A KR 20210001878A KR 1020200013947 A KR1020200013947 A KR 1020200013947A KR 20200013947 A KR20200013947 A KR 20200013947A KR 20210001878 A KR20210001878 A KR 20210001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toothpaste composition
acid
tooth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이치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카와켄 파인 케미칼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켄 파인 케미칼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와켄 파인 케미칼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치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불순물인 염화나트륨 함량이 3 중량% 이하, 글리콜산 함량이 0.3 중량% 이하인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0.5 ~ 2.0 중량% 함유하는 치약제 조성물.

Description

치약제 조성물 및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TOOTHPAST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OTHPAS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이미(異味)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치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용 조성물에는 사용감, 사용성의 관점으로부터 계면 활성제가 배합되어 있고, 특히 치약제 조성물에는 연마제가 다량으로 배합되어 있는 점에서, 충분한 발포성 확보를 위하여 라우릴 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배합되어 있다. 또한, 최근의 치약제에는 발포성을 억제하는 무기 염류와 같은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조성물에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필수가 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치약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그 단백 변성 작용에 의해 효소의 경시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결점이 있어, 자극성, 특히 눈 자극이 강한 것도 알려져 있다.
단백 변성 작용이 약하고, 자극이 낮은 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특허 문헌 1 ~ 2). 그러나, 상기 기술 수단에 있어서는, 발포성을 확보하는 것에 따른 사용감의 향상은 이루어지지만,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특유의 끈적거림을 경감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라, 구강 내의 산뜻함을 얻기에는 불충분했다(특허 문헌 3).
피부 및 눈에 대하여 자극성이 적고, 높은 증포력과 거품 안정성을 가지는 점에서 발포제로서 각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양성 계면 활성제에 착목한 기술로서, 양성 계면 활성제는 구강 분야에 있어서도 구강 내의 자극 완화 작용을 나타내는 것(특허 문헌 4), 및 치아면 상에 대한 치구(齒垢)의 재부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특허 문헌 5)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주로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이 사용되고 있지만,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대신에, 야자유 지방산 이외의 지방산을 원료로 한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예를 들면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등을 이용하면, 쓴 맛이 생겨 맛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충분한 산뜻함을 얻을 수 없었다(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개공보 소61-176518 일본특허공개공보 2005-41787 일본특허공개공보 2010-143842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7-171909 일본특허공개공보 2007-145740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치약제 조성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정해진 방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한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사용함으로써,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치약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어,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불순물인 염화나트륨 함량이 3 중량% 이하, 글리콜산 함량이 0.3 중량% 이하인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0.5 ~ 2.0 중량% 함유하는 치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으로서 90 중량% 이상의 순도의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제조를 할 수 있는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은, 라우린산과 3-(디메틸 아미노)프로필 아민을 아미드화, 이어서 모노클로르 초산으로 베타인화하는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입수 가능한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의 시판품으로서,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프트아졸린(등록 상표) LPB-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에 의해,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뛰어난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은 불순물인 염화나트륨 함량이 3 중량% 이하, 글리콜산 함량이 0.3 중량% 이하인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0.5 ~ 2.0 중량% 함유한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중의 불순물인 염화나트륨과 글리콜산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역침투막법, 전기 투석법, 이온 교환 수지법, 용매 유출법, 재결정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중의 불순물인 염화나트륨 함량은 3 중량% 이하로 할 수 있고, 2.8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2.7 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짠맛 등의 이미가 나는 경우가 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중의 불순물인 글리콜산 함량은 0.3 중량% 이하로 할 수 있고, 0.28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0.27 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글리콜산 함량이 0.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쓴맛 등의 이미가 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은, 불순물인 염화나트륨 함량이 3 중량% 이하, 글리콜산 함량이 0.3 중량% 이하인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0.5 ~ 2.0 중량% 함유할 수 있고, 0.6 ~ 1.8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7 ~ 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거품나는 것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미가 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은,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의 순도가 90 중량% 이상인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의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치약제 조성물을 조제할 시에, 연마제, 점조제, 점결제, 습윤제 등의 분산에 필요한 정제수의 양이 부족하여, 제조가 용이하지는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의 순도가 90 중량% 이상인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스프레이 드라이법, 동결 건조법, 연속식 진공 건조법, 재결정법, 드럼 드라이어법, CD 드라이어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은,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의 순도가 90 중량% 이상인 분말을 사용할 수 있고, 순도는 91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며, 순도는 93%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순도가 90%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 등의 영향에 의해, 분말의 케이킹, 페이스트화 등이 일어나, 제조가 용이하지는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은, 염화나트륨 함량을 0.1 중량% 이하로 할 수 있고, 0.08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0.07 중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 함량이 0.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짠맛 등의 이미가 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은 주로 향장품 용도로 사용되며, 크림 치약제, 분말 치약제, 물분말 치약제, 젤형 치약제, 액체 치약제, 액상 치약제, 거품형 치약제, 무스형 치약제, 필름형 치약제, 치약 시트, 치약 코팅 칫솔, 구강 세정액, 스프레이형 구강 세정제, 의치 세정제 등의 세정용 화장품, 의약 외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는 공지 성분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배합 가능한 성분으로서는,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연마제, 점조제, 점결제, 습윤제, pH 조정제, 방부제, 착색제, 감미료, 향료, 유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이외의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히드록시 알킬(C12-14) 히드록시 에틸사르코신(입수 가능한 시판품으로서,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프트아졸린 LMEB, LMEB-R), 라우라마이드 프로필히드록시술타인(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프트아졸린 LSB, LSB-R), 라우라마이드 프로필아민옥시드(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프트아졸린 LAO-C), 코코암포 초산 N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프트아졸린 CH, CH-R, CL, CL-R), 라우로암포 초산 N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프트아졸린 LHL, LHL-SF), 코코암포 프로피온산 N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프트아졸린 NS, SF, SFD), 야자유 알킬베타인, 라우릴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타인, 라우릴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치약제 조성물에 있어서,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등의 효과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양성 계면 활성제는 염분이 제거된 제품을 사용해도 된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PPG-2 코카미드(입수 가능한 시판품으로서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젯(등록 상표) 1 PC), 코카미드 DE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졸(등록 상표) CDE-G), 야자핵유 지방산아미드 DE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졸 KD-1), 코카미드 DEA(1:2)(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졸 CD), 라우라마이드 DE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졸 LDE-G), (라우라마이드 / 미리스타마이드)DE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졸 LMDE-Y), 코카미드 ME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졸 CME), 라우라마이드 MIPA(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졸 PLME-A), PEG-3 라우라마이드(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아미젯 2 L-Y), PEG-2 카프릴릴아민(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포마이트(등록 상표) 2E8), PEG-2 코카민(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비스코파인(등록 상표) E2C), PPG-1 / PEG-1 스테아라민(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카와소프트(등록 상표) EP59S, EP59SP-K), (라우릴/미리스틸) 글리콜 히드록시 프로필에테르(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비스코세이프(등록 상표) LMPE), 코카미드메틸 MEA, 폴리옥시에틸렌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에스테르, 설탕 지방산에스테르, 말토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락토오스 지방산에스테르, 말티톨 지방산에스테르, 락티톨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트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고급 알코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에스테르 알킬글리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염, α-올레핀 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모노설페이트염, 고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린 술폰산염, 알킬벤젠 술폰산염, 알킬술포 초산염, 알킬술포 호박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초산염, N-아실글루타민산염, N-아실아스파라긴산염, N-아실글리신염, N-메틸-N-아실-β-알라닌염(입수 가능한 시판품으로서,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알라논(등록 상표) ALE, ACE, ALTA, AME), N-히드록시 에틸-N-아실-β-알라닌염, N-아실사르코신염(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인 소이폰(등록 상표) SLP, SLE, SCE, SLTA, M-30), N-메틸-N-아실타우린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 알킬모노메틸 암모늄, 브롬화 알킬모노메틸 암모늄, 염화 알킬디메틸 암모늄,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 염화 벤잘코늄 등을 들 수 있다.
연마제로서는, 침강성 실리카, 실리카겔, 무수 규산, 규산 티타늄,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지르코노실리케이트, 수산화 알루미늄,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제 2 인산칼슘 2 수화물, 제 2 인산칼슘 무수화물, 피롤린산칼슘, 제 3 인산칼슘, 제 4 인산칼슘, 제 8 인산칼슘, 불용성 메타인산칼슘, 황산칼슘, 불용성 메타인산칼륨,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탄산마그네슘, 제 3 인산 마그네슘,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플루오르아파타이트, 칼슘결손 아파타이트, 산화티탄, 벤토나이트,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나일론 파우더, 실크 파우더, 셀룰로스 파우더, 글루코만난 등을 들 수 있다.
점조제로서는, 소르비트, 자일리톨, 말티톨, 에리트리톨, 락티톨, 팔라티노스, 트레할로스,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점결제로서는, 카라지난,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나트륨, 히드록시 프로필메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트래거캔스검, 크산탄검, 구아검, 카라야검, 아라비아검, 퀸스시드검, 타마린드검, 로커스트빈검, 타라검, 젤라틴, 펙틴, 풀루란, 카제인나트륨, 한천, 커드란,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보폴, 실리카겔, 알루미늄 실리카겔, 라포나이트, 스멕타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비검, 증점성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소르비트, 말티톨,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콜, 자일리톨, 말티트, 락티트, 트레할로스, 히알론산나트륨, 가수분해 콜라겐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초산, 염산, 황산, 질산, 유산, 구연산, 사과산, 글루콘산, 글루쿠론산, 피롤린산, 주석산, 말레인산, 호박산,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디핀산, 인산, 글리세로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구연산 수소나트륨, 인산 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벤질파라벤 등의 파라벤류, 안식향산 나트륨, 페녹시 에탄올, 트리클로산, 소르빈산, 데히드로 초산, 프로피온산, 염산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적색 2호, 적색 3호, 적색 202호, 적색 225호, 적색 226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5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204호, 녹색 3호, 군청, 강화 군청, 운모 티탄, 산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아스파탐, 아세슬팜 K, 이노시톨,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글리시리진, 글리시리진산2나트륨, 글리시리진산3나트륨, 사카린나트륨, 설당, 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수크랄로스, 토마틴, 소르비톨, 타우마틴, 트레할로스, 네오헤스페리딘디히드로칼콘, 벌꿀, 파라메톡시신나믹알데히드, 팔라티노스, 팔라티니트, 포도당, 페릴라르틴, 말티톨, 말토오스, 말토실트레할로스, 만니톨, 라피노스, 락툴로오스, 락티톨, p-메톡시신나믹알데히드, 과당, 유당, 환원 팔라티노스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아니스유, 앱설루트 페퍼민트, 앱설루트 로즈, 아이리스 콘크리트, 윈터그린유, 오렌지 플라워, 오렌지유, 오리거넘유, 카시아유, 카르다몬유, 카모마일유, 캐러웨이유, 크랜베리유, 그레이프 후르츠유, 크로브유, 코리앤더유, 자소유, 쟈스민유, 스위티유, 스페어민트유, 세이지유, 타임유, 타바나유, 티트리유, 너트맥유, 네롤리유, 파인니들유, 박하유, 바질유, 바닐라유, 피멘토유, 펜넬유, 베이유, 페퍼민트유, 마죠람유, 만다린유, 라임유, 유칼리유, 라벤더유, 로즈유, 로즈메리유, 로렐유, 레몬글라스유, 동록유, 유자유, 규조유, 정향유, 계피유, 아네톨, 아니스알데히드, 알릴시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이소아밀 알코올, 운데카락톤,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부틸레이트, 에틸메틸 페닐글리시데이트, 에틸락테이트, 에틸리날로올, 에틸티오 아세테이트, 오이게놀, 옥틸알데히드, 오시멘, 카르본, 카르빌아세테이트, 살리실산 메틸, 신나믹알데히드, 시트랄, 시네올,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디메틸설파이드, 시클로텐, 다바나, 티몰, 트리메틸 피라진, 바닐린, 피넨, 부탄올, 푸레곤, 푸르푸랄, 헥산알, 벤질 석시네이트, 멘톤, 멘틸아세테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메틸오이게놀, 멘톨, 리날로올, 리날릴아세테이트, 리모넨, 바닐린, α-테르피네올, 3-l-멘톡시프로판 1, 2-디올, N-치환 파라멘탄 3-카복사마이드, n-데실 알코올, 계피 알데히드, 애플 플레이버, 그레이프 플레이버, 스트로베리 플레이버, 트로피컬 흐루츠 플레이버, 파인애플 플레이버, 버터 플레이버, 후루츠믹스 플레이버, 망고 플레이버, 밀크 플레이버 등을 들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는, 유산 알루미늄 등의 수렴제, 트라넥삼산, 엡실론 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글리시레틴산, 글리시리진산, 아줄렌, 비타민류 등의 항염증제, 덱스트라나아제, 뮤탄아제,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라이소자임, 파파인 등의 효소, 모노플루오르 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제 1 주석, 불화스트론튬 등의 불화물, 정인산의 칼륨염 등의 수용성 인산 화합물, 글루콘산구리, 구리클로로필린나트륨 등의 구리 화합물, 아스코르빈산, 초산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류, 클로로필, 당귀 연진액, 타임, 황금, 정향, 하마멜리스 등의 식물 추출물, 제올라이트, 에탄히드록시 디포스포네이트등의 치석 방지제, 구연산 아연, 글루콘산 등의 치구 방지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담배 착색 제거제,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염산 클로르헥시딘, 초산 클로르헥시딘,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산 알렉시딘, 초산 알렉시딘, 글루콘산 알렉시딘, 트리클로산,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소르빈산염, 히노키티올, 아줄렌 설폰산염 등의 살균성 물질, 토코페롤니코틴산 에스테르 또는 토코페롤 초산에스테르 등의 혈행 촉진 성분, 카르바조크롬, 트라넥삼산, ε-아미노카프론산 등의 지혈 성분, 클로로필, 글리세롤포스페이트 등의 킬레이트성 화합물, 황벽 진액, 카밀레, 정향, 로즈메리, 황금, 홍화 등의 천연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실험예>
본 발명의 효과에 관하여 이하의 실험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험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분말품을 제조했다.
제조예 1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분말품의 제조
뷰키사 제품 스프레이 드라이어 장치(B-290)를 이용하여, 공기 / 원료 동류 방식으로,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탈염정 제품 30 중량% 수용액(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 소프트아졸린 LPB-R)을 분말화했다. 염화나트륨 함량 2.5 중량%, 글리콜산 함량 0.25 중량%,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함량 97 중량%였다. 레이저 회절식 건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마츠보사 제품 HEROS&RODOS)에 의한 입도 측정에서는, 중량 평균 입자 직경은 110 μm였다.
표 1에 기재된 배합 비율에 따라 크림 치약제 조성물을 보통의 방법에 의해 조제하고, 래미네이트 튜브에 50 g 충전했다. 표 중의 수치는 있는 그대로의 중량%를 나타낸다. 성능 평가로서, 이미가 없음, 거품 발생, 사용 후의 산뜻함, 자극성(10℃의 냉수로 헹궜을 때의, 치아에 자극하는 통증이 없음)을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성능 평가 방법)
시판의 칫솔에 크림 치약제 조성물 1 g을 덜고, 3분간 브러싱을 행하여, 냉수로 헹구고, 10명의 전문 패널리스트를 이용하여, 관능으로 평가했다. 또한,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 매우 양호(10인 중 8 ~ 10명이 좋다고 응답함)
○ : 양호(10인 중 6 ~ 7명이 좋다고 응답함)
△ : 약간 뒤떨어짐(10인 중 3 ~ 5명이 좋다고 응답함)
X : 불량(10인 중 0 ~ 2명이 좋다고 응답함)
성분명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라우린산아미드
프로필베타인 분말품
1.0 2.0 1.0
라우린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탈염정 제품(*1) 2.0 6.0
라우린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2) 6.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3) 6.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탈염정
제품(*4)
6.0
라우릴 황산 나트륨(*5) 1.5
PEG-20 수소첨가
피마자유(*6)
0.5 1.5
70 중량% 소르비트액 45.0 45.0 45.0 45.0 45.0 45.0 45.0 45.0 45.0 45.0
무수 규산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25.0
프로필렌 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크산탄검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알긴산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모노플루오르인산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향료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정제수 밸런스 밸런스
조성물 중의 염화나트륨 함량(중량%) 0.025 0.050 0.016 0.048 0.025 0.366 0.366 0.048 0 0
이미가 없음 X X
거품 발생 X
산뜻함 X
자극성 X
(*1) :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 소프트아졸린 LPB-R(30 중량% 수용액),
염화나트륨 함량 0.8 중량%, 글리콜산 함량 0.08 중량%
(*2) :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 소프트아졸린 LPB(30 중량% 수용액),
염화나트륨 함량 6.1 중량%, 글리콜산 함량 0.25 중량%
(*3) :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 소프트아졸린 CPB(30 중량% 수용액),
염화나트륨 함량 6.1 중량%, 글리콜산 함량 0.25 중량%
(*4) : 카와켄 파인 케미컬사 제품 소프트아졸린 CPB-R(30 중량% 수용액),
염화나트륨 함량 0.8 중량%, 글리콜산 함량 0.08 중량%
(*5) : 라우릴 황산나트륨(함량 90 중량%)(카오사 제품 에마르(등록 상표) 10 PT),
염화나트륨 함량 N.D., 글리콜산 함량 N.D.
(*6) : PEG-20 수소 첨가 피마자유(닛코 케미컬즈사 제품 NIKKOL(등록 상표) HCO-20),
염화나트륨 함량 N.D., 글리콜산 함량 N.D.
조성물 중의 염화나트륨 함량의 계산예(실험예 1)
2.5 × 0.01 = 0.025 중량%
표 1의 성능 평가에 관하여, 본 발명 치약제 조성물의 범위 내에서 조제된 실험예 1 ~ 5는,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다고 하는 결과가 얻어져 있다.
한편, 염화나트륨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외가 되는 비교예 1의 치약제 조성물은, 이미가 있고, 자극이 있어, 실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배합하여, 염화나트륨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외가 되는 비교예 2의 치약제 조성물은, 이미가 있고, 거품이 잘 나지 않으며, 산뜻함이 없고, 자극이 있어, 실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배합한 비교예 3의 치약제 조성물은, 거품이 잘 나지 않고, 산뜻함이 없어, 실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4의 치약제 조성물은, 자극이 있어, 실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5의 치약제 조성물은, 거품이 잘 나지 않고, 산뜻함이 없어, 실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상으로부터, 비교예 1 ~ 5의 처방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충족하지 않아, 실사용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해결의 과제로 하고 있던,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것을 충분히 실현시키는 치약제 조성물인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 치약제 조성물에 의해, 이미가 없고, 거품이 잘 나며, 사용 후의 산뜻함이 있고, 자극성이 낮은 치약제 조성물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3)

  1. 불순물인 염화나트륨 함량이 3 중량% 이하, 글리콜산 함량이 0.3 중량% 이하인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을 0.5 ~ 2.0 중량% 함유하는 치약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제 조성물 중의 염화나트륨 함량이 0.1 중량% 이하인, 치약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치약제 조성물에 있어서,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으로서 90 중량% 이상의 순도의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00013947A 2019-06-26 2020-02-05 치약제 조성물 및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10001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18367 2019-06-26
JP2019118367A JP2021004209A (ja) 2019-06-26 2019-06-26 歯磨き剤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78A true KR20210001878A (ko) 2021-01-06

Family

ID=7409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947A KR20210001878A (ko) 2019-06-26 2020-02-05 치약제 조성물 및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004209A (ko)
KR (1) KR2021000187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909A (en) 1981-04-15 1982-10-22 Lion Corp Composition for oral cavity
JPS61176518A (ja) 1985-01-31 1986-08-08 Lion Corp 口腔洗浄剤
JP2005041787A (ja) 2003-07-23 2005-02-17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JP2007145740A (ja) 2005-11-25 2007-06-14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JP2010143842A (ja) 2008-12-18 2010-07-01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909A (en) 1981-04-15 1982-10-22 Lion Corp Composition for oral cavity
JPS61176518A (ja) 1985-01-31 1986-08-08 Lion Corp 口腔洗浄剤
JP2005041787A (ja) 2003-07-23 2005-02-17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JP2007145740A (ja) 2005-11-25 2007-06-14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JP2010143842A (ja) 2008-12-18 2010-07-01 Lion Corp 歯磨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04209A (ja)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301B1 (ko) 구강용 조성물
RU2486891C2 (ru)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неионные и цвиттерионные поверхностно-активные вещества
JP2008143825A (ja) 歯磨組成物
KR20120086685A (ko) 치마제 조성물
JPS6185310A (ja) 香味が改善された抗歯苔性歯みがき
JP2019116510A (ja) 口腔用組成物
WO2011055707A1 (ja) 歯磨剤組成物
JPWO2017002891A1 (ja) 矯味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JP5493731B2 (ja) 歯磨剤組成物
US20220219020A1 (en) Oral care composition
JP5493732B2 (ja) 口腔用組成物
JP3419124B2 (ja) 口腔用組成物
JP5721973B2 (ja) 口腔用組成物
JP2002179541A (ja) カチオン性殺菌剤を含む口腔用組成物
JP6820149B2 (ja) 口腔用組成物
KR20210001878A (ko) 치약제 조성물 및 치약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7172028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90035000A (ko) 옥수수 향 재현용 향료 조성물
JP2021031426A (ja) 多価アルコール系歯磨剤組成物
JPH11228370A (ja) 口腔液体製剤
AU2017208371B2 (en) Oral care composition
JP6542183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06312592A (ja) 口腔用組成物
CN116806140A (zh) 口腔用组合物
JP2021134193A (ja) 口腔用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