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426A -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426A
KR20160090426A KR1020150009822A KR20150009822A KR20160090426A KR 20160090426 A KR20160090426 A KR 20160090426A KR 1020150009822 A KR1020150009822 A KR 1020150009822A KR 20150009822 A KR20150009822 A KR 20150009822A KR 20160090426 A KR20160090426 A KR 2016009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s
pitch
active patterns
layer
mandr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251B1 (ko
Inventor
박선흠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251B1/ko
Priority to US15/000,425 priority patent/US9755049B2/en
Priority to TW105101615A priority patent/TWI590305B/zh
Priority to CN201610037020.5A priority patent/CN105810566B/zh
Publication of KR2016009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multiple spacer layers, e.g. multiple sidewall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3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308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2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multilayer mask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3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of trenches having a shape other than rectangular or V-shape, e.g. rounded corners, oblique or rounded trench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31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istors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4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being an insulating body
    • H01L21/84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being an insulating body includ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10B41/35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with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H10B41/43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 H10B41/44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with a control gate layer also being used as part of the peripheral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10B10/12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comprising a MOSFET load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은, 기판 상에 하드 마스크층들, 제1 희생층 및 제2 희생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1 희생층 상에 제1 맨드럴(mandrel)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들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들을 제거한 영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들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가지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페이서들 및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제2 및 제3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의 측벽에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함으로써,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됨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디자인 룰(design rule)이 감소되고 있다.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경향에 대응한 미세 패턴의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장비의 해상도 한계를 초월하는 미세한 선폭을 가지는 패턴들을 구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및 마스크층 형성 공정의 적용 횟수를 감소한 단순한 공정을 이용하여 동일한 선폭을 가지고 서로 다른 피치(pitch)를 가지는 미세한 선폭의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미세한 선폭의 활성 패턴들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순화된 공정으로 동일한 선폭을 가지고, 다양한 피치를 가지는 미세한 선폭의 활성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하드 마스크층들, 제1 희생층 및 제2 희생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1 희생층 상에 제1 맨드럴(mandrel)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들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들을 제거한 영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들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가지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페이서들 및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제2 및 제3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의 측벽에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함으로써,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형태로 잔존하는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감광막 패턴의 선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맨드럴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맨드럴을 콘포멀하게 덮는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을 에치백(etchback)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들의 측벽에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들을 콘포멀하게 덮는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을 에치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희생층은 다결정질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또는 스핀-온-하드마스크(SOH)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층들은 다결정질 실리콘,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하드 마스크층들, 제1 희생층 및 제2 희생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 희생층 상에 형성된 제1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제1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을 제거한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들로부터 이격되고,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가지는 제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페이서들 및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각각 서로 다른 선폭을 가지는 제2 및 제3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의 측벽에 각각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드 마스크층들을 식각함으로써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을 식각함으로써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감광막 패턴과 인접한 상기 제1 스페이서들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맨드럴의 선폭은 상기 제2 맨드럴의 선폭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형태로 잔존하는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1 스페이서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의 선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1 및 제2 영역을 가지는 기판 상에 하드 마스크층들, 제1 희생층 및 제2 희생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희생층 상에 제1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희생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 영역에서 제1 희생층 상에 제1 맨드럴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맨드럴들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희생층 상에 상기 제1 스페이서들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맨드럴들을 제거한 영역 밖에 위치하는 제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희생층 상에 서로 다른 선폭을 가지는 제3 및 제4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1 스페이서들 및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각각 제2 맨드럴 및 제3 맨드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3 감광막 패턴 및 제4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각각 제4 맨드럴 및 제5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의 측벽에 제2 내지 제5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내지 제5 스페이서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에서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제3 피치를 가지는 제3 활성 패턴 및 상기 제3 피치보다 넓은 제4 피치를 가지는 제4 활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활성 패턴들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지 제4 감광막 패턴들의 선폭은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보다 크고, 상기 제4 감광막 패턴의 선폭은 상기 제2 및 제3 감광막 패턴들의 선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와 제2 감광막 패턴 간의 간격은 상기 제3 감광막 패턴과 제4 감광막 패턴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맨드럴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2 희생층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5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제4 및 제5 스페이서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1 스페이서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3 내지 제5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각각 상기 제2 내지 제4 감광막 패턴들의 선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영역은 로직 영역이고, 제2 영역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소자 분리층; 및 상기 소자 분리층 상으로 돌출되고, 동일한 선폭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피치(pitch)를 가지는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 패턴들은 30nm 내지 35nm 범위의 제1 피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및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인접하여 배치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활성 패턴과 상기 제2 활성 패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및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인접하여 배치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활성 패턴과 상기 제2 활성 패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사이의 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패턴들은 4중 패터닝 기술(Quadruple Patterning Technology, QPT)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2중 패터닝 기술(Double Patterning Technology, DPT)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자 분리층 상으로 돌출된 상기 활성 패턴들을 감싸면서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 측벽에 배치되는 게이트 스페이서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 패턴들 사이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 측에 노출된 상기 활성 패턴들에 형성되는 소스/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일함수 조절막 및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큰 유전율을 가지는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중 패터닝 기술(Quadruple Patterning Technology, QPT)과 2중 패터닝 기술(Double Patterning Technology, DPT)을 혼합한 공정을 이용하여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pitch)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회로도 및 레이아웃도이다.
도 9a 및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회로도 및 레이아웃도이다.
도 12a 및 도 1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가지 실시예가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 상에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활성 패턴들(10, 15, 20)이 형성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10, 15, 20) 사이는 소자 분리층(103)으로 채워질 수 있다. 소자 분리층(103)은 활성 패턴들(10, 15, 20) 사이를 소정의 높이로 채우고, 활성 패턴들(10, 15, 20)의 상부는 소자 분리층(103)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10, 15, 20)의 선폭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제1 피치(P1)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들(10, 20)을 포함하고, 제1 활성 패턴들(10, 20)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피치(P2)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10, 20)은 4중 패터닝 기술(Quadruple Patterning Technology, QPT)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제2 활성 패턴들(15)은 2중 패터닝 기술(Double Patterning Technology, DPT)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을 제조 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j는 도 1의 절단선 A-A'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판(101) 상에 제1 하드 마스크층(105), 제2 하드 마스크층(110), 제3 하드 마스크층(115), 제1 희생층(121), 제1 반사방지층(125), 제2 희생층(141) 및 제2 반사방지층(145)를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1)은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통상의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1)은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하드 마스크층(105, 110, 115)은 각각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산질화물(SiON), 실리콘 질화물(SixNy), TEOS(TetraEthylOthoSilicate) 또는 다결정질 실리콘 등과 같은 실리콘 함유 물질,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와 같이 탄소 함유물질 또는 금속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 마스크층(105)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질화물의 하부에 얇은 실리콘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드 마스크층(110)은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하드 마스크층(115)는 다결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희생층(121, 141)은 후속의 공정에서 제1 스페이서들(150s), 제2 스페이서들(160a) 및 제3 스페이서(160d)을 형성하기 위한 층들이다(도 2c 및 도 2g 참조). 제1 및 제2 희생층(121, 141)은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방지층(125, 145)은 사진 식각 공정(photolithography process) 시에 하부막질에 의한 빛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층들이다. 제1 및 제2 반사 방지층(125, 145)은 실리콘 산질화막(S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 마스크층들(105, 110, 115), 희생층들(121, 141) 및 반사 방지층들(125, 145)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스핀 코팅 (spin coating)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물질에 따라 베이크(bake) 공정이나 경화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희생층(141) 상에 감광막(photoresist, PR)을 덮고,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라인 형태의 제1 감광막 패턴들(180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감광막 패턴들(180p)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2 반사 방지층(145) 및 제2 희생층(141)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제1 희생층(121) 상에 라인 형태의 제1 맨드럴들(mandrel, 1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1 맨드럴들(14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150s)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맨드럴들(140)을 콘포멀(conformal)하게 덮는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etchback)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1 맨드럴들(14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150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제1 활성 패턴들(10, 20, 도 1 참조)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제1 활성 패턴들(10, 20) 사이의 간격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제1 맨드럴들(140)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맨드럴들(140)이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제1 맨드럴들(140)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1 희생층(121) 상에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1 스페이서들(150s)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한 식각 조건에서 제1 스페이서들(150s)은 제1 맨드럴들(140)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므로, 제1 맨드럴들(140)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제1 희생층(121) 상에 제1 스페이서들(150s)로부터 이격되고, 제1 맨들럴들(140)이 제거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제2 감광막 패턴(190p)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감광막 패턴(190p)의 선폭(W2)은 제1 스페이서들(150s)의 선폭(W1)보다 클 수 있다. 제2 감광막 패턴(190p)의 선폭(W2)은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제2 활성 패턴들(15, 도 1 참조)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인접 제1 스페이서들(150s) 간의 간격은 제1 맨드럴(140)의 선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150s)와 제2 감광막 패턴(190p) 간의 간격(S2)는 최인접 제1 스페이서들(150s)들 간의 간격(S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감광막 패턴(190p)의 선폭(W2)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1 스페이서(150s)와 제2 감광막 패턴(190p) 간의 간격(S2)는 최인접 제1 스페이서들(150s)들 간의 간격(S1)과 보다 클 수 있다. 제2 감광막 패턴(190p)의 선폭(W2)는 최종적으로 제2 활성 패턴들(15)의 피치(P2)를 결정하게 되므로, 제2 감광막 패턴(190p)의 선폭(W2)를 조절함으로써, 제2 활성 패턴들(15)의 피치(P2)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제3 하드 마스크층(115) 상에 제2 맨드럴들(120a)과 제3 맨드럴(120d)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들(150s) 및 제2 감광막 패턴(190p)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반사방지층(125) 및 제1 희생층(121)을 식각함으로써, 제3 하드 마스크층(115) 상에 제2 맨드럴들(120a) 및 제3 맨드럴(120d)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들(150s)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맨드럴들(120a)이 형성되며, 제2 감광막 패턴(190p)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맨드럴(120d)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맨드럴(120a, 120d)의 측벽에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160a, 160d)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및 제3 맨드럴들(120a, 120d)을 콘포멀(conformal)하게 덮는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etchback)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맨드럴들(120a)의 측벽에 제2 스페이서들(160a)을 형성하고, 제3 맨드럴들(120d)의 측벽에 제3 스페이서들(160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선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선폭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제2 및 제3 맨드럴들(120a, 120d)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맨드럴들(120a, 120d)이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h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맨드럴들(120a, 120d)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3 하드 마스크층(115) 상에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160a, 160d)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한 식각 조건에서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160a, 160d)은 제2 및 제3 맨드럴들(120a, 120d)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므로, 제2 및 제3 맨드럴들(120a, 120d)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2 맨드럴들(120a)을 제거함으로써,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2 스페이서들(160a)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맨드럴들(120d)을 제거함으로써,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3 스페이서들(160d)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들(160a) 및 제3 스페이서들(160d)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제3 스페이서들(160d)의 피치(P2)가 제2 스페이서들(160a)의 피치(P1)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제2 스페이서들(160a)의 피치(P1)는 제1 스페이서(150s)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제3 스페이서들(160d)의 피치(P2)는 제2 감광막 패턴(190p)의 선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i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160a, 160d)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하드 마스크층들(105, 110, 115) 및 기판(101)의 적어도 일부를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기판(101) 상에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10, 20) 및 제2 활성 패턴들(15)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1)을 이방성 식각하는 단계에 의해, 제2 스페이서들(160a)이 기판(101)에 전사되어 제1 활성 패턴들(10, 20)이 형성되고, 제3 스페이서들(160d)이 기판(101)에 전사되어 제2 활성 패턴들(15)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160a, 160d)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드 마스크층들을 식각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하드 마스크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101)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들(10, 20)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15)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1)의 이방성 식각이 완료된 후에, 제1 하드 마스크층(105)이 활성 패턴들(10, 15, 20)의 상부에 잔존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 범위이고,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일 수 있다.
도 2j를 참조하면, 제1 활성 패턴(10, 20) 및 제2 활성 패턴(15)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103)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기판(201)을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된 활성 패턴들 사이의 얕은 트렌치(shallow trench)를 매립하는 절연층을 형성한 후, 제1 하드 마스크층(205)이 드러나도록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예비 소자 분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가적으로 깊은 트렌치(deep trench)를 형성한 후, 상기 깊은 트렌치를 매립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하드 마스크층(205)가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소자 분리층(203)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깊은 트렌치가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BPSG(Boron-Phosphor Slilicate Glass), HDP(High Density Plasma), FOX(Flowable OXide), TOSZ(TOnen SilaZene), SOG(Spin On Glass), USG(Undoped Silica Glass), TEOS(TetraEthyl Ortho Silicate), LTO(Low Temperature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부에 잔존하는 제1 하드 마스크층(205)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203)을 소정의 깊이로 식각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면 및 양 측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j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활성 패턴들(10, 20)은 4중 패터닝 기술(QPT)에 의해 30nm 내지 35nm 범위의 피치로 형성되고, 제2 활성 패턴들(15)은 2중 패터닝 기술(DPT)에 의해 제1 활성 패턴들(10, 20)보다 더 넓은 피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활성 패턴들(15)의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4중 패턴 기술(QPT)와 2중 패턴 기술(DPT)를 함께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 내에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반면, 4중 패턴 기술(QPT)만을 이용하면, 하나의 감광막 패턴으로부터 항상 고정된 피치를 가지는 2 쌍의 활성 패턴들을 형성되므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 상에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활성 패턴들(30, 35, 40)이 형성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선폭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제1 피치(P3)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들(30, 40)을 포함하고, 제1 활성 패턴들(30, 40)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피치(P2)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30, 40)은 4중 패터닝 기술(Quadruple Patterning Technology, QPT)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제2 활성 패턴들(35)은 2중 패터닝 기술(Double Patterning Technology, DPT)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30, 35, 40) 사이는 소자 분리층(203)으로 채워질 수 있다. 소자 분리층(203)은 활성 패턴들(30, 35, 40) 사이를 소정의 높이로 채우고,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부는 소자 분리층(203)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 형성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j는 도 3의 절단선 B-B'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시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201) 상에 제1 하드 마스크층(205), 제2 하드 마스크층(210), 제3 하드 마스크층(215), 제1 희생층(221), 제1 반사방지층(225), 제2 희생층(241) 및 제2 반사방지층(245)를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201)은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통상의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201)은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하드 마스크층(205, 210, 215)은 각각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산질화물(SiON), 실리콘 질화물(SixNy), TEOS(TetraEthylOthoSilicate) 또는 다결정질 실리콘 등과 같은 실리콘 함유 물질,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와 같이 탄소 함유물질 또는 금속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 마스크층(205)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질화물의 하부에 얇은 실리콘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드 마스크층(210)은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하드 마스크층(215)는 다결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희생층(221, 241)은 후속의 공정에서 제1 스페이서들(250s), 제2 스페이서들(260a) 및 제3 스페이서(260d)을 형성하기 위한 층들이다(도 4c 및 도 4g 참조). 제1 및 제2 희생층(221, 241)은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방지층(225, 245)은 사진 식각 공정(photolithography process) 시에 하부막질에 의한 빛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층들이다. 제1 및 제2 반사 방지층(225, 245)은 실리콘 산질화막(S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 마스크층들(205, 210, 215), 희생층들(221, 241) 및 반사 방지층들(225, 245)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스핀 코팅 (spin coating)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물질에 따라 베이크(bake) 공정이나 경화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희생층(241) 상에 감광막(photoresist, PR)을 덮고,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라인 형태의 제1 감광막 패턴들(280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감광막 패턴들(280p)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2 반사 방지층(245) 및 제2 희생층(241)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제1 희생층(221) 상에 제1 맨드럴들(mandrel, 2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맨드럴들(24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250s)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맨드럴들(240)을 콘포멀(conformal)하게 덮는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etchback)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1 맨드럴들(24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250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제1 활성 패턴들(30, 40, 도 1 참조)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제1 활성 패턴들(30, 40) 사이의 간격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제1 맨드럴들(240)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맨드럴들(240)이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1 맨드럴들(240)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1 희생층(221) 상에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1 스페이서들(250s)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한 식각 조건에서 제1 스페이서들(250s)은 제1 맨드럴들(240)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므로, 제1 맨드럴들(240)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제1 희생층(221) 상에 제1 스페이서들(250s)로부터 이격되고, 제1 맨들럴(240)이 제거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감광막 패턴(290p)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감광막 패턴(290p)의 선폭(W2)은 제1 스페이서들(250s)의 선폭(W1)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감광막 패턴(290p)의 선폭(W2)은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제2 활성 패턴들(35, 도 1 참조)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 측의 제1 스페이서(250s)와 제2 감광막 패턴(290p) 사이의 간격(S)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감광막 패턴(290p)의 선폭(W2)을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감광막 패턴(290p)의 선폭(W2)는 최종적으로 제2 활성 패턴들(35)의 피치(P2)를 결정하게 되므로, 제2 감광막 패턴(290p)의 선폭(W2)를 조절함으로써, 제2 활성 패턴들(35)의 피치(P2)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제3 하드 마스크층(215) 상에 제2 맨드럴들(220a)과 제3 맨드럴(220d)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들(250s) 및 제2 감광막 패턴(290p)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반사방지층(225) 및 제1 희생층(221)을 식각함으로써, 제3 하드 마스크층(215) 상에 제2 맨드럴들(220a) 및 제3 맨드럴(220d)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들(250s)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맨드럴들(220a)이 형성되며, 제2 감광막 패턴(290p)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맨드럴(220d)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g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맨드럴(220a, 220d)의 측벽에 각각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260a, 260d)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및 제3 맨드럴들(220a, 220d)을 콘포멀(conformal)하게 덮는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etchback)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 맨드럴들(220a)의 측벽에 제2 스페이서들(260a)을 형성하고, 제3 맨드럴들(220d)의 측벽에 제3 스페이서들(260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선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선폭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제2 및 제3 맨드럴들(220a, 220d)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 맨드럴들(220a, 220d)이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h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맨드럴들(220a, 220d)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3 하드 마스크층(215) 상에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260a, 260d)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한 식각 조건에서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260a, 260d)은 제2 및 제3 맨드럴들(220a, 220d)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므로, 제2 및 제3 맨드럴들(220a, 220d)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2 맨드럴들(220a)을 제거함으로써,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2 스페이서들(260a)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맨드럴들(220d)을 제거함으로써,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3 스페이서들(260d)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들(260a) 및 제3 스페이서들(260d)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제3 스페이서들(260d)의 피치(P2)가 제2 스페이서들(260a)의 피치(P1)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제2 스페이서들(260a)의 피치(P1)는 제1 스페이서(250s)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제3 스페이서들(260d)의 피치(P2)는 제2 감광막 패턴(290p)의 선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4i를 참조하면,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260a, 260d)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하드 마스크층들(205, 210, 215) 및 기판(201)의 적어도 일부를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기판(201) 상에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30, 40) 및 제2 활성 패턴들(35)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201)을 이방성 식각하는 단계에 의해, 제2 스페이서들(260a)이 기판(201)에 전사되어 제1 활성 패턴들(30, 40)이 형성되고, 제3 스페이서들(260d)이 기판(201)에 전사되어 제2 활성 패턴들(35)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260a, 260d)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드 마스크층들을 식각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하드 마스크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201)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들(30, 40)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35)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201)의 이방성 식각이 완료된 후에, 제1 하드 마스크층(205)이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부에 잔존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 범위이고,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일 수 있다.
도 4j를 참조하면, 제1 활성 패턴(30, 40) 및 제2 활성 패턴(35)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203)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기판(201)을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된 활성 패턴들 사이의 얕은 트렌치(shallow trench)를 매립하는 절연층을 형성한 후, 제1 하드 마스크층(205)이 드러나도록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예비 소자 분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가적으로 깊은 트렌치(deep trench)를 형성한 후, 상기 깊은 트렌치를 매립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하드 마스크층(205)가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소자 분리층(203)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깊은 트렌치가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BPSG(Boron-Phosphor Slilicate Glass), HDP(High Density Plasma), FOX(Flowable OXide), TOSZ(TOnen SilaZene), SOG(Spin On Glass), USG(Undoped Silica Glass), TEOS(TetraEthyl Ortho Silicate), LTO(Low Temperature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부에 잔존하는 제1 하드 마스크층(205)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203)을 소정의 깊이로 식각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30, 35, 40)의 상면 및 양 측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 4a 내지 도 4j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활성 패턴들(30, 40)은 4중 패터닝 기술(QPT)에 의해 30nm 내지 35nm 범위의 피치로 형성되고, 제2 활성 패턴들(35)은 2중 패터닝 기술(DPT)에 의해 제1 활성 패턴들(30, 40)보다 더 넓은 피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활성 패턴들은 40nm 내지 50nm 범위의 피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중 패턴 기술(QPT)와 2중 패턴 기술(DPT)를 함께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 내에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반면, 4중 패턴 기술(QPT)만을 이용하면, 하나의 감광막 패턴으로부터 항상 고정된 피치를 가지는 2 쌍의 활성 패턴들을 형성되므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내의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는 제1 영역(I) 및 제2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 영역(I)은 로직(logic) 영역이고, 제2 영역(II)은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영역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영역(I)에는 기판(301) 상에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활성 패턴들(50, 55, 60)이 형성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50, 55, 60)의 선폭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제1 영역(I)은 제1 피치(P1')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들(50, 60)을 포함하고, 제1 활성 패턴들(50, 60)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피치(P2')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보다 넓을 수 있다.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50, 60)은 4중 패터닝 기술(Quadruple Patterning Technology, QPT)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제2 활성 패턴들(55)은 2중 패터닝 기술(Double Patterning Technology, DPT)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50, 55, 60) 사이는 소자 분리층(303)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 분리층(303)은 활성 패턴들(50, 55, 60) 사이를 소정의 높이로 채우고, 활성 패턴들(50, 55, 60)의 상부는 소자 분리층(303)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2 영역(II)에는 기판(101) 상에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활성 패턴들(70, 75, 80)이 형성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70, 75, 80)의 선폭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제2 영역(II)에는 제3 피치(P3')를 가지는 제3 활성 패턴들(70, 80)을 포함하고, 제3 활성 패턴들(70, 80)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4 피치(P4')를 가지는 제4 활성 패턴들(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피치(P4')는 제3 피치(P3')보다 넓을 수 있다. 제2 영역(II)에 형성되는 활성 패턴들(70, 75, 80)은 2중 패터닝 기술(DPT)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활성 패턴들(70, 75, 80) 사이는 소자 분리층(303)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 분리층(303)은 활성 패턴들(70, 75, 80) 사이를 소정의 높이로 채우고, 활성 패턴들(70, 75, 80)의 상부는 소자 분리층(303)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6a 내지 도 6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i는 도 5의 절단선 C-C'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시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판(301) 상에 제1 하드 마스크층(305), 제2 하드 마스크층(310), 제3 하드 마스크층(315), 제1 희생층(321), 제1 반사방지층(325), 제2 희생층(341) 및 제2 반사방지층(345)를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301)은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통상의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301)은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하드 마스크층(305, 310, 315)은 각각 실리콘 산화물(SiOx), 실리콘 산질화물(SiON), 실리콘 질화물(SixNy), TEOS(TetraEthylOthoSilicate) 또는 다결정질 실리콘 등과 같은 실리콘 함유 물질,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와 같이 탄소 함유물질 또는 금속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 마스크층(305)은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질화물의 하부에 얇은 실리콘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드 마스크층(310)은 실리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하드 마스크층(315)는 다결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희생층(321)은 후속의 공정에서 제1 스페이서들(350s)을 형성하기 위한 층이고(도 6c 참조), 제2 희생층(341)은 후속의 공정에서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360a, 360d) 그리고 제4 및 제5 스페이서들(360f, 306g)을 형성하기 위한 층이다(도 6g 참조).
제1 및 제2 희생층(321, 341)은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반사방지층(325, 345)은 사진 식각 공정 시에 하부막질에 의한 빛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실리콘 산질화막(Si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드 마스크층들(305, 310, 315), 희생층들(321, 341) 및 반사방지층들(325, 345)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스핀 코팅 (spin coating) 등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물질에 따라 베이크(bake) 공정이나 경화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 희생층(341) 상에 감광막을 덮고, 사진 식각 공정을 통해 제1 영역(I)에 제1 감광막 패턴(380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감광막 패턴(380p)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2 반사 방지층(345) 및 제2 희생층(341)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제1 영역(I)에서 제1 희생층(321) 상에 라인 형태의 제1 맨드럴들(3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II)에서 제2 반사방지층(345) 및 제2 희생층(341)은 식각 공정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제1 영역(I)의 제1 맨드럴들(34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350s)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맨드럴들(340)을 콘포멀(conformal)하게 덮는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etchback)을 수행함으로써 제1 맨드럴들(340)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350s)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간격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제1 맨드럴들(340)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맨드럴들(340)이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물질층은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제1 영역(I)에서 제1 맨드럴들(340)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1 희생층(321) 상에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1 스페이서들(350s)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한 식각 조건에서 제1 스페이서들(350s)은 제1 맨드럴들(340)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1 맨드럴들(340)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제1 영역(I)에서 제1 희생층(321) 상에 제1 스페이서들(350s)로부터 이격되고, 제1 맨들럴들(340)이 제거된 영역 밖에 위치하는 제2 감광막 패턴(390p)를 형성하고, 제2 영역(II)에서 제1 희생층(321) 상에 서로 다른 선폭을 가지는 제3 및 제4 감광막 패턴(322p, 324p)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감광막 패턴들(320p, 322p, 324p)의 선폭(W2, W3, W4)은 제1 스페이서들(350s)의 선폭(W1)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4 감광막 패턴(324p)의 선폭(W4)은 제2 및 제3 감광막 패턴들(320p, 322p)의 선폭들(W2, W3)보다 클 수 있다.
최인접 제1 스페이서들(350s) 간의 간격(S1)은 제1 맨드럴(340)의 선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350s)와 제2 감광막 패턴(320p) 간의 간격(S2)는 최인접 제1 스페이서들(350s)들 간의 간격(S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감광막 패턴(390p)의 선폭(W2)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1 스페이서(350s)와 제2 감광막 패턴(390p) 간의 간격(S2)는 최인접 제1 스페이서들(350s)들 간의 간격(S1)과 보다 클 수 있다. 제2 감광막 패턴(390p)의 선폭(W2)는 최종적으로 제2 활성 패턴들(55)의 피치(P2')를 결정하게 되므로, 제2 감광막 패턴(220p)의 선폭(W2)를 조절함으로써, 제2 활성 패턴들(55)의 피치(P2')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감광막 패턴들(392p)과 제4 감광막 패턴(394p) 사이의 간격(S3)은 제1 스페이서(350s)와 제2 감광막 패턴(390p) 간의 간격(S2)보다 클 수 있다.
도 6f를 참조하면, 제1 영역(I)에서 제3 하드 마스크층(315) 상에 제2 맨드럴들(320a)과 제3 맨드럴(320d)을 형성하고, 제2 영역(II)에서 제3 하드 마스크층(315) 상에 제4 맨드럴(320f)와 제5 맨들럴(320g)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I)에서 제1 스페이서들(350s) 및 제2 감광막 패턴(390p)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반사방지층(325) 및 제1 희생층(321)을 식각함으로써, 각각 제3 하드 마스크층(315) 상에 제2 맨드럴들(320a) 및 제3 맨드럴(320d)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영역(II)에서 상기 제3 감광막 패턴들(392p)및 제4 감광막 패턴(394p)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반사방지층(325) 및 제1 희생층(321)을 식각함으로써, 각각 제3 하드 마스크층(315) 상에 제4 맨드럴(320f) 및 제5 맨드럴(320g)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들(350s)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맨드럴들(320a)이 형성되며, 제2 감광막 패턴(390p)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맨드럴(320d)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감광막 패턴(392p)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4 맨드럴(320f)이 형성되며, 제4 감광막 패턴(394p)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5 맨드럴(320g)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g를 참조하면, 제2 내지 제5 맨드럴(320a, 320d, 320f, 320g)의 측벽에 제2 내지 제5 스페이서들(360a, 360d, 360f, 360g)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320a, 320d, 320f, 320g)을 콘포멀(conformal)하게 덮는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을 형성한 후, 에치백(etchback)을 수행함으로써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320a, 320d, 320f, 320g)의 측벽에 제2 내지 제5 스페이서들(360a, 360d, 360f, 360g)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의 두께는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선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활성 패턴들의 선폭은 상용화된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의 해상도 한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320a, 320d, 320f, 320g)과 식각 선택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340)이 다결정질 실리콘, ACL(amorphous carbon layer) 또는 SOH(Spin-On Hardmask)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스페이서 물질층은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h를 참조하면,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320a, 320d, 320f, 320g)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제1 영역(I)에서 제3 하드 마스크층(115) 상에 라인 형태로 잔존하는 제2 스페이서들(360a) 및 제3 스페이서들(360d)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영역(II)에서 제4 스페이스들(360f) 및 제5 스페이서들(360g)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한 식각 조건에서 제2 스페이서들(360a, 360d, 360f, 360g)은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320a, 320d, 320f, 320g)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가지므로, 제2 내지 제5 맨드럴들(320a, 320d, 320f, 320g)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들(360a), 제3 스페이서들(360d), 제4 스페이서들(360f) 및 제5 스페이서들(360g)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I)에서 제2 및 제3 맨드럴들(320a, 320d)을 제거함으로써, 각각 제3 하드 마스크층(315) 상에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제2 스페이서들(360a) 및 제3 스페이서들 (360d)이 잔존할 수 있고, 제2 영역(II)에서 제4 및 제5 맨드럴들(360f, 360g)을 제거함으로써, 각각 제3 하드 마스크층(315) 상에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 형태의 제4 스페이서들(360f) 및 제5 스페이서들(360g)이 잔존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들(360a)의 피치(P1')은 제3 스페이서들(360d)의 피치(P2')보다 좁을 수 있다. 한편, 제4 스페이서들(360f)의 피치(P3')은 제5 스페이서들(360g)의 피치(P4')보다 좁을 수 있다. 제2 스페이서들(360a)의 피치(P1')이 가장 좁고, 제5 스페이서들(360g)의 피치(P4')가 가장 넓을 수 있다.
제2 스페이스들(360a)의 피치(P1')는 제1 스페이서(350s)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제3 스페이서들(360d)의 피치(P2')는 제2 감광막 패턴(390p)의 선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4 스페이서들(360f)의 피치(P3')는 제3 감광막 패턴(392p)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제5 스페이스들(360g)의 피치(P4')는 제4 감광막 패턴(394p)의 선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6i를 참조하면, 제2 내지 제5 스페이서들(360a, 360d, 360f, 360g)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하드 마스크층들(305, 310, 315) 및 기판(301)의 적어도 일부를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기판(301) 상에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50, 55, 60, 70, 75, 80)을 형성할 수 있다.
기판(301)을 이방성 식각하는 단계에 의해, 제1 영역(I)에서는 제2 스페이서들(360a)이 기판(301)에 전사되어 제1 활성 패턴(50, 60)이 형성되고, 제3 스페이서들(360d)이 기판(301)에 전사되어 제2 활성 패턴(5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301)을 이방성 식각하는 단계에 의해, 제2 영역(II)에서는 제4 스페이서들(360f)이 기판(301)에 전사되어 제3 활성 패턴(70, 80)이 형성되고, 제5 스페이서들(360g)이 기판(301)에 전사되어 제4 활성 패턴(75)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상기 제2 내지 제5 스페이서들(360a, 360d, 360f, 360g)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드 마스크층들을 식각함으로써 제1 영역(I) 및 제2 영역(II)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하드 마스크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301)을 이방성 식각함으로써 제1 영역(I)에서 제1 피치(P1')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들(50, 60) 및 상기 제1 피치(P'1)보다 넓은 제2 피치(P2')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55)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영역(II)에서 제3 피치(P3')를 가지는 제3 활성 패턴들(70, 80) 및 상기 제3 피치(P3')보다 넓은 제4 피치(P4')를 가지는 제4 활성 패턴들(75)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301)의 이방성 식각이 완료된 후에, 제1 하드 마스크층(305)이 활성 패턴들(50, 55, 60, 70, 75, 80)의 상부에 잔존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P1')은 상기 제2 피치(P2')보다 좁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피치(P3')는 상기 제4 피치(P4')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P1')가 가장 좁고, 상기 제4 피치(P4')가 가장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피치(P1')는 30nm 내지 35nm 범위이고, 상기 제2 피치(P2')는 40nm 내지 50nm 범위일 수 있다.
도 6j를 참조하면, 제1 활성 패턴들(50, 60), 제2 활성 패턴들(55), 제3 활성 패턴들(70, 80) 및 제4 활성 패턴들(75)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303)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기판(301)을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된 활성 패턴들 사이의 얕은 트렌치(shallow trench)를 매립하는 절연층을 형성한 후, 제1 하드 마스크층(305)이 드러나도록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예비 소자 분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가적으로 깊은 트렌치(deep trench)를 형성한 후, 상기 깊은 트렌치를 매립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하드 마스크층(305)가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하여 소자 분리층(303)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깊은 트렌치가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BPSG(Boron-Phosphor Slilicate Glass), HDP(High Density Plasma), FOX(Flowable OXide), TOSZ(TOnen SilaZene), SOG(Spin On Glass), USG(Undoped Silica Glass), TEOS(TetraEthyl Ortho Silicate), LTO(Low Temperature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공정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내지 제4 활성 패턴들(50, 55, 60, 70, 75, 80)의 상부에 잔존하는 제1 하드 마스크층(305)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제1 내지 제4 활성 패턴들(50, 55, 60, 70, 75, 80)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303)을 소정의 깊이로 식각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활성 패턴들(50, 55, 60, 70, 75, 80)의 상면 및 양 측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4중 패턴 기술(QPT)와 2중 패턴 기술(DPT)를 함께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 내의 여러 영역에 동일한 선폭을 가지며,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활성 패턴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j에서와 달리, 제 2 영역(II)은 플래쉬 메모리 셀 영역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2 영역(II)에서는 동일한 피치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활성 패턴들이 필요하다. 도 6e의 공정 단계에서 제2 영역(II)에 일정한 선폭 및 일정한 간격으로 감광막 패턴들을 형성하고, 도 6f 내지 도 6j를 참조하여 설명한 후속의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제2 영역(II)에서 동일한 피치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활성 패턴들이 얻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회로도 및 레이아웃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1)는 낸드(NAND) 게이트 셀에 대한 것이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낸드(NAND) 게이트 셀은 두 개의 입력 신호(M, N)를 받아서 낸드(NAND) 연산을 수행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신호(M)가 '로우' 논리 값을 가질 때, 출력단자(Q)로 '하이' 논리값을 전달하는 PMOS 트랜지스터(TP1)와, 상기 입력신호(M) 및 (N)가 모두 '하이' 논리값을 가질 때, 각각 턴온(turn-on)되어 상기 출력단자(Q)로 '로우' 논리값을 전달하는 NMOS 트랜지스터(TN1) 및 (TN2)와, 상기 입력신호(N)가 '로우' 논리값을 가질 때 상기 출력 단자(Q)로 '하이' 논리값을 전달하는 PMOS 트랜지스터(TP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낸드(NAND) 게이트의 동작은, 입력신호(M와 N)가 모두 '하이' 논리값이면, 상기 PMOS 트랜지스터(TP1 및 TP2)는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NMOS 트랜지스터(TN1 및 TN2)는 턴온(turn-on)되어 상기 출력단자(Q)에는 '로우' 논리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신호(M와 N)가 모두 '로우' 논리값이면, 상기 PMOS 트랜지스터(TP1 및 TP2)는 턴온(turn-on)되고, 상기 NMOS 트랜지스터(TN1 및 TN2)는 턴오프(turn-off)되어 상기 출력단자(Q)에는 '하이' 논리값이 출력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판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인 N웰(well) 영역(NW) 및 그 외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활성 패턴들(10, 20) 중 일부(10)는 N웰 영역(NW)에 형성되고, 나머지(20)는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활성 패턴들(15) 중에서도 일부는 N웰 영역(NW)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N웰 영역(NW)에 형성된 제1 활성 패턴들(10)은 제1 활성 핀들(10)로 다시 명명하고,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에 형성된 제1 활성 패턴들(20)은 제2 활성 핀들(20)로 다시 명명한다. 또한, 제2 활성 패턴들(15)는 제3 활성 핀들(15)로 다시 명명한다.
서로 이격된 제1 활성 핀들(10), 제2 활성 핀들(20) 및 제3 활성 핀들(15)은 일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621, 625)은 타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621, 625)은 제1 내지 제3 활성 핀들(10, 15, 20) 모두와 교차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전극들(621, 625)과 활성 핀들(10, 15, 20)이 교차되는 영역에서 각 게이트 전극의 양측에 위치한 활성 핀들에 소스/드레인 영역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에 연결되는 소스/드레인 컨택들(64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는 입력 단자들(643, 645) 및 출력 단자(64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활성 핀들(10)은 PMOS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제2 활성 핀들(20)은 NMOS 트랜지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활성 핀들(10) 상에 2개의 게이트 전극들(621, 625) 및 3개의 소스/드레인 컨택들(640)이 배치되므로, 제1 활성 핀들(10)은 병렬 연결된 2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활성 핀들(20)의 상에는 2개의 게이트 전극들(621, 625) 및 2 개의 소스/드레인 컨택들(640)이 배치되므로, 제2 활성 핀들(20)은 직렬 연결된 2 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f에는 도 8의 절단선 D-D'에 대응하는 부분 및 절단선 E-E'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시된다. 도 9a 내지 도 9f는 도 2j에 도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를 제조하기 위한 후속의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9a는 도 2a 내지 도 2j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정들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기판(101)은 N웰 영역(NW)을 포함할 수 있다. N웰 영역(NW) 외의 영역들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N웰 영역(NW)은 활성 패턴들(10, 15, 20)을 형성하기 전에 기판(101)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층(103) 상으로 노출된 활성 패턴들(10, 15, 20)을 덮는 희생 게이트 절연층(410) 및 희생 게이트 전극(420)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희생 게이트 절연층(410), 희생 게이트 전극(420) 및 마스크층(4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마스크층(430)을 패터닝한 후, 이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희생 게이트 전극(420)을 패터닝할 수 있다.
희생 게이트 절연층(41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희생 게이트 전극층(420)은 다결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c를 참조하면, 희생 게이트 전극(430)의 측면에 게이트 스페이서(440)를 형성하고, 희생 게이트 전극(430)의 측면에 노출된 활성 패턴 내에 소스/드레인 영역(435)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스페이서 물질층을 희생 게이트 전극(430) 상에 콘포멀하게 형성한 후, 스페이서 물질층을 에치백함으로써, 게이트 스페이서(4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불순물을 이온 주입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435)을 형성할 수 있다. 불순물들의 활성화를 위해, 이온 주입 후 열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희생 게이트 전극(420) 및 게이트 스페이서(440)을 둘러싸고, 희생 게이트 전극(42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층간 절연층(450)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희생 게이트 전극(420) 및 게이트 스페이서(440)을 덮는 층간 절연층(450)을 형성한 후, 이어서 희생 게이트 전극(42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평탄화 공정을 통해, 층간 절연층(450)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450)을 평탄화하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일 수 있다.
도 9e 및 9f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층(460) 및 게이트 전극(470)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희생 게이트 전극(420) 및 희생 게이트 절연층(410)을 제거하여, 층간 절연층(450) 내에 트렌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절연층(460) 및 게이트 전극(470)을 콘포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층간 절연층(45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평탄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470)이 완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460)은 고유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유전막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높은 유전 상수를 가지는 절연성 물질들을 의미하며, 탄탈륨 산화막, 티타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이트륨 산화막, 니오븀 산화막, 하프늄 실리케이트,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460)은 화학 기상 증착법(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470)은 적어도 하나의 일함수 조절막 및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함수 조절막은 TiN, TaN, WN, TiAl, TiAlN, TaC 또는 TiC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금속은 알루미늄(Al), 텅스텐(W), 또는 몰리브데늄(Mo) 등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일함수 조절막은 상기 게이트 금속에 대한 확산 방지막으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470)는 그 물질에 따라 화학 기상 증착법 또는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N웰 영역(NW)에서의 상기 일함수 조절막은 그외 영역(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에서의 상기 일함수 조절막과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및 레이아웃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반도체 소자(2)는 6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의 셀에 대한 것이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SRAM 셀은 전원 노드(Vcc)와 접지 노드(Vss) 사이에 병렬 연결된 한 쌍의 인버터(INV1, INV2)와, 각각의 인버터(INV1, INV2)의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패스 트랜지스터(PS1) 및 제2 패스 트랜지스터(P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스 트랜지스터(PS1)와 제2 패스 트랜지스터(PS2)는 각각 비트 라인(BL)과 상보 비트 라인(BL/)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스 트랜지스터(PS1)와 제2 패스 트랜지스터(PS2)의 게이트는 워드 라인(WL)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버터(INV1)는 직렬로 연결된 제1 풀업 트랜지스터(PU1)와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PD1)를 포함하고, 제2 인버터(INV2)는 직렬로 연결된 제2 풀업 트랜지스터(PU2)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PD2)를 포함한다. 제1 풀업 트랜지스터(PU1)와 제2 풀업 트랜지스터(PU2)은 PMOS 트랜지스터이고,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PD1)와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PD2)는 N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제1 인버터(INV1) 및 제2 인버터(INV2)는 하나의 래치회로(latch circuit)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1 인버터(INV1)의 입력 노드가 제2 인버터(INV2)의 출력 노드와 연결되고, 제2 인버터(INV2)의 입력 노드는 제1 인버터(INV1)의 출력 노드와 연결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판은 N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인 N웰(well) 영역(NW) 및 그 외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치(P1)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들(30, 40)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에 형성되고, 제2 피치(P2)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35)는 N웰 영역(NW)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에 형성된 일부 제1 활성 패턴들(30)을 제1 활성 핀들(30)로, 나머지 제1 활성 패턴들(40)을 제4 활성 핀들(40)으로 다시 명명한다. 또한, N웰 영역(NW)에 형성된 일부 제2 활성 패턴(35a)은 제2 활성 핀(35a)로 다시 명명하고, 나머지 제2 활성 패턴(35b)은 제3 활성 핀(35b)로 다시 명명한다.
서로 이격된 제1 활성 핀들(30), 제2 활성 핀(35a), 제3 활성 핀(35b), 제4 활성 핀들(40)은 일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활성 핀(35a)과 제3 활성 핀(35b)은 제1 활성 핀들(30)과 제4 활성 핀들(40)보다 연장된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제2 및 제3 활성 핀(35a, 35b)은 PMOS 트랜지스터를 구성하고, 제1 및 제4 활성 핀들(30, 40)은 NMOS 트랜지스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게이트 전극(651), 제2 게이트 전극(653), 제3 게이트 전극(655), 제4 게이트 전극(657)은 타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 활성 핀들(30) 내지 제4 활성 핀들(40)을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게이트 전극(651)은 제1 활성 핀들(30)과 제2 활성 핀들(35a)을 완전히 교차하고, 제3 활성 핀(35b)의 종단과 일부 오버랩될 수 있다. 제3 게이트 전극(655)은 제4 활성 핀들(40)과 제3 활성 핀(35b)을 완전히 교차하고, 제2 활성 핀(35a)의 종단과 일부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전극(653)과 제4 게이트 전극(657)은 각각 제1 활성 핀들(30)과 제4 활성 핀들(40)을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풀업 트랜지스터(PU1)는 제1 게이트 전극(651)과 제2 활성 핀(35a)이 교차되는 영역에 정의되고,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PD1)는 제1 게이트 전극(651)과 제1 활성 핀들(30)이 교차되는 영역에 정의되고, 제1 패스 트랜지스터(PS1)는 제2 게이트 전극(653)과 제1 활성 핀들(30)이 교차되는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풀업 트랜지스터(PU2)는 제3 게이트 전극(653)과 제3 활성 핀(35b)이 교차되는 영역에 정의되고,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PD2)는 제3 게이트 전극(655)과 제4 활성 핀들(40)이 교차되는 영역에 정의되고, 제2 패스 트랜지스터(PS2)는 제4 게이트 전극(657)과 제4 활성 핀들(40)이 교차되는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내지 제4 게이트 전극(651, 653, 655, 657)과 제1 내지 제4 활성 핀들(30, 35a, 35b, 40)이 교차되는 영역에서 각 게이트 전극의 양측의 활성 핀들에는 소스/드레인 영역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소스/드레인 영역에 연결되는 복수의 소스/드레인 컨택들(670)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공유 컨택(shared contact)(675a)은 제2 활성 핀(35a), 제3 게이트 라인(655)과, 배선(677)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제2 공유 컨택(675b)은 제3 활성 핀(35b), 제1 게이트 라인(651)과, 배선(678)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f에는 도 11의 절단선 F-F'에 대응하는 부분 및 절단선 G-G'에 대응하는 부분이 도시된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도 4j에 도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2)를 제조하기 위한 후속의 공정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a는 도 4a 내지 도 4j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정들이 수행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기판(201)은 N웰 영역(NW)을 포함할 수 있다. N웰 영역(NW) 외의 영역들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N웰 영역(NW)은 활성 패턴들(30, 35, 40)을 형성하기 전에 기판(201)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소자 분리층(203) 상으로 노출된 활성 패턴들(30, 35, 40)을 덮는 희생 게이트 절연층(510) 및 희생 게이트 전극(520)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희생 게이트 절연층(510), 희생 게이트 전극(520) 및 마스크층(5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마스크층(530)을 패터닝한 후, 이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희생 게이트 전극(520)을 패터닝할 수 있다.
희생 게이트 절연층(51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희생 게이트 전극층(520)은 다결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c를 참조하면, 희생 게이트 전극(530)의 측면에 게이트 스페이서(540)를 형성하고, 희생 게이트 전극(530)의 측면에 노출된 활성 패턴 내에 소스/드레인 영역(535)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스페이서 물질층을 희생 게이트 전극(530) 상에 콘포멀하게 형성한 후, 스페이서 물질층을 에치백함으로써, 게이트 스페이서(5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불순물을 이온 주입함으로써, 소스/드레인 영역(535)을 형성할 수 있다. 불순물들의 활성화를 위해, 이온 주입 후 열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희생 게이트 전극(520) 및 게이트 스페이서(540)을 둘러싸고, 희생 게이트 전극(52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층간 절연층(550)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희생 게이트 전극(520) 및 게이트 스페이서(540)을 덮는 층간 절연층(550)을 형성한 후, 이어서 희생 게이트 전극(52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평탄화 공정을 통해, 층간 절연층(550)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층(550)을 평탄화하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일 수 있다.
도 12e 및 12f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층(560) 및 게이트 전극(570)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희생 게이트 전극(520) 및 희생 게이트 절연층(510)을 제거하여, 층간 절연층(550) 내에 트렌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절연층(560) 및 게이트 전극(570)을 콘포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층간 절연층(55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평탄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평탄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전극(570)이 완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560)은 고유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전막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큰 유전율을 가지는 절연성 물질들을 의미하며, 탄탈륨 산화막, 티타늄 산화막, 하프늄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 알루미늄 산화막, 이트륨 산화막, 니오븀 산화막, 하프늄 실리케이트,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560)은 화학 기상 증착법(CVD) 또는 원자층 증착법(AL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570)은 적어도 하나의 일함수 조절막 및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함수 조절막은 TiN, TaN, WN, TiAl, TiAlN, TaC 또는 TiC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금속은 알루미늄(Al), 텅스텐(W), 또는 몰리브데늄(Mo) 등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일함수 조절막은 상기 게이트 금속에 대한 확산 방지막으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게이트 전극(570)는 그 물질에 따라 화학 기상 증착법 또는 원자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N웰 영역(NW)에서의 상기 일함수 조절막은 그외 영역(P형 불순물로 도핑된 영역)에서의 상기 일함수 조절막과 서로 다를 수 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4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장치(1000)는 호스트(HOST)와 통신하는 컨트롤러(1010)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20-1, 1020-2, 1020-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10) 및 각 메모리(1020-1, 1020-2, 1020-3)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10)와 통신하는 호스트(HOST)는 저장 장치(1000)가 장착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데스크 톱,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등일 수 있다. 컨트롤러(1010)는 호스트(HOST)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쓰기 또는 읽기 요청을 수신하여 메모리(1020-1, 1020-2, 1020-3)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1020-1, 1020-2, 1020-3)로부터 데이터를 인출하기 위한 명령(CMD)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 장치(1000) 내에 하나 이상의 메모리(1020-1, 1020-2, 1020-3)가 컨트롤러(101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1020-1, 1020-2, 1020-3)를 컨트롤러(1010)에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이 큰 용량을 가지는 저장 장치(1000)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5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2000)는 통신부(2010), 입력부(2020), 출력부(2030), 메모리(2040) 및 프로세서(20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10)에 포함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은 다양한 통신 표준 규격에 의해 외부 통신망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020)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2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듈로서, 기계식 스위치,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20)는 트랙 볼 또는 레이저 포인터 방식 등으로 동작하는 마우스, 또는 핑거 마우스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2030)는 전자 기기(2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의 형태로 출력하며, 메모리(2040)는 프로세서(20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0)는 필요한 동작에 따라 메모리(2040)에 명령어를 전달하여 데이터를 저장 또는 인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0) 및 메모리(20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40)는 전자 기기(2000)에 내장되거나 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2050)와 통신할 수 있다.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2050)와 통신하는 경우, 프로세서(2050)는 SD, SDHC, SDXC, MICRO SD, USB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메모리(204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인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50)는 전자 기기(2000)에 포함되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0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데이터 통신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멀티미디어 재생 및 관리를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0)는 입력부(20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부(20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204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204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시스템(3000)은 제어기(3100), 입/출력 장치(3200), 메모리(3300) 및 인터페이스(3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3000)은 모바일 시스템 또는 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시스템은 PDA,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또는 메모리 카드(memory card)일 수 있다.
제어기(310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스템(30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기(31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콘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입/출력 장치(3200)는 시스템(3000)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3000)은 입/출력 장치(320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3200)는, 예를 들어 키패드(keypad), 키보드(keyboard) 또는 표시장치(display)일 수 있다.
메모리(3300)는 제어기(3100)의 동작을 위한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제어기(3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400)는 시스템(3000)과 외부의 다른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통로일 수 있다. 제어기(3100), 입/출력 장치(3200), 메모리(3300) 및 인터페이스(3400)는 버스(350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기(3100) 또는 메모리(33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기판 103: 소자 분리층
105: 제1 하드 마스크층 110: 제2 하드 마스크층
115: 제3 하드 마스크층 121: 제1 희생층
125: 제1 반사방지층 120a, 120d: 제2 및 제3 맨드럴
141: 제2 희생층 145: 제2 반사방지층
140: 제1 맨드럴 150s: 제1 스페이서
160a, 160d: 제2 및 제3 스페이서
190p: 제1 감광막 패턴
10, 20: 제1 활성 패턴 15: 제2 활성 패턴

Claims (20)

  1. 기판 상에 하드 마스크층들, 제1 희생층 및 제2 희생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상기 제1 희생층 상에 제1 맨드럴(mandrel)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들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들을 제거한 영역 밖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들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가지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페이서들 및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1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제2 및 제3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의 측벽에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 및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식각함으로써,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형태로 잔존하는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감광막 패턴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6. 기판 상에 하드 마스크층들, 제1 희생층 및 제2 희생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 희생층 상에 형성된 제1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상기 제2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제1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의 측벽에 제1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맨드럴을 제거한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들로부터 이격되고,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보다 넓은 선폭을 가지는 제2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페이서들 및 제2 감광막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1 희생층을 식각함으로써 각각 서로 다른 선폭을 가지는 제2 및 제3 맨드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의 측벽에 각각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드 마스크층들을 식각함으로써 하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기판을 식각함으로써 제1 피치를 가지는 제1 활성 패턴 및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를 가지는 제2 활성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의 상부가 돌출되도록 소자 분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는 30nm 내지 35nm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광막 패턴과 인접한 상기 제1 스페이서들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맨드럴의 선폭은 상기 제2 맨드럴의 선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맨드럴을 제거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라인형태로 잔존하는 제2 및 제3 스페이서들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1 스페이서들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2 감광막 패턴의 선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페이서들의 피치는 상기 제2 스페이서들의 피치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3.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소자 분리층; 및
    상기 소자 분리층 상으로 돌출되고, 동일한 선폭을 가지지만 서로 다른 피치(pitch)를 가지는 제1 및 제2 활성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활성 패턴들은 30nm 내지 35nm 범위의 제1 피치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상기 제1 피치보다 넓은 제2 피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치는 40nm 내지 50n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및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인접하여 배치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활성 패턴과 상기 제2 활성 패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및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인접하여 배치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활성 패턴과 상기 제2 활성 패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활성 패턴들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활성 패턴들은 4중 패터닝 기술(QPT)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2 활성 패턴들은 2중 패터닝 기술(DP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분리층 상으로 돌출된 상기 활성 패턴들을 감싸면서 가로지르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 측벽에 배치되는 게이트 스페이서들;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활성 패턴들 사이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전극의 양 측에 노출된 상기 활성 패턴들에 형성되는 소스/드레인 영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일함수 조절막 및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층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큰 유전율을 가지는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KR1020150009822A 2015-01-21 2015-01-21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323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822A KR102323251B1 (ko) 2015-01-21 2015-01-21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5/000,425 US9755049B2 (en) 2015-01-21 2016-01-19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active patterns having different pitch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TW105101615A TWI590305B (zh) 2015-01-21 2016-01-20 包含具有不同間距的主動圖案的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
CN201610037020.5A CN105810566B (zh) 2015-01-21 2016-01-20 半导体装置和制造半导体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822A KR102323251B1 (ko) 2015-01-21 2015-01-21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26A true KR20160090426A (ko) 2016-08-01
KR102323251B1 KR102323251B1 (ko) 2021-11-09

Family

ID=5640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822A KR102323251B1 (ko) 2015-01-21 2015-01-21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55049B2 (ko)
KR (1) KR102323251B1 (ko)
CN (1) CN105810566B (ko)
TW (1) TWI59030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764A (ko) * 2016-10-0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10453698B2 (en) 2017-12-26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10522366B2 (en) 2018-01-10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6171A1 (en) * 2015-02-21 2016-08-25 Tokyo Electron Limited Method for Patterning Using a Composite Pattern
KR102651871B1 (ko) * 2016-11-29 2024-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67082B1 (ko) * 2017-01-19 2020-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소자
US10312103B2 (en) 2017-02-28 2019-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ternating hardmasks for tight-pitch line formation
US10103022B2 (en) 2017-03-20 2018-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lternating hardmasks for tight-pitch line formation
US10147611B1 (en) * 2017-08-28 2018-12-04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semiconductor structures
CN107863318B (zh) * 2017-11-22 2024-05-17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基于间距倍增形成的集成电路图案及形成方法
CN107742608B (zh) * 2017-11-23 2020-11-13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双重图形侧墙掩膜刻蚀工艺
US11881520B2 (en) * 2017-11-30 2024-01-23 Intel Corporation Fin patterning for advanced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fabrication
US10366917B2 (en) * 2018-01-04 2019-07-30 Globalfoundries Inc. Methods of patterning variable width metallization lines
KR102467884B1 (ko) * 2018-03-30 2022-1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KR102481284B1 (ko) * 2018-04-10 2022-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544688A (zh) * 2018-05-29 2019-12-06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有源阵列、有源阵列的制造方法和随机存储器
CN110828460B (zh) * 2018-08-14 2022-07-1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CN110890376B (zh) * 2018-09-11 2022-08-02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器件的制备方法
KR20200050708A (ko) * 2018-11-02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11690209B2 (en) * 2019-09-28 2023-06-2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Fin-based well straps for improving memory macro performance
KR20220087229A (ko) 2020-12-17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CN114765171A (zh) * 2021-01-14 2022-07-19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结构及其制作方法
CN113517181A (zh) * 2021-04-27 2021-10-19 长江先进存储产业创新中心有限责任公司 一种硬掩膜叠层结构及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US20230133731A1 (en) * 2021-10-28 2023-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fin-on-nanosheet transistor stac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431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120055384A (ko) * 2010-11-23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KR20130058402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2619B (en) * 1997-04-15 1997-12-11 Winbond Electronics Corp The method for forming trench isolation
US7115525B2 (en) 2004-09-02 2006-10-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using pitch multiplication
US7560390B2 (en) 2005-06-02 2009-07-14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spacer steps for pitch multiplication
US7829262B2 (en) 2005-08-31 2010-11-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pitch multipled contacts
TWI265595B (en) 2005-09-16 2006-11-01 Powerchip Semiconductor Corp Method for fabricating conductive lines and shortening the spacing of conductive lines and pattern
TWI293200B (en) 2006-01-17 2008-02-01 Elite Semiconductor Esmt Method of forming flash cell array having reduced word line pitch
US7611980B2 (en) 2006-08-30 2009-11-03 Micron Technology, Inc. Single spacer process for multiplying pitch by a factor greater than two and related intermediate IC structures
KR101263648B1 (ko) * 2007-08-31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8028B1 (ko) 2008-06-17 201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1540083B1 (ko) * 2008-10-22 2015-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US20100252875A1 (en) 2009-04-03 2010-10-07 Powerchip Semiconductor Corp. Structure and fabricating process of non-volatile memory
US8912097B2 (en) 2009-08-20 2014-12-16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atterning a substrate
KR20110076221A (ko) 2009-12-29 2011-07-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922020B2 (en) 2010-12-29 2014-12-3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ntegrated circuit pattern and method
KR101732936B1 (ko) 2011-02-14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JP5289479B2 (ja) 2011-02-14 2013-09-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561003B2 (en) * 2011-07-29 2013-10-15 Synopsys, Inc. N-channel and P-channel finFET cell architecture with inter-block insulator
US8309462B1 (en) 2011-09-29 2012-11-13 Sandisk Technologies Inc. Double spacer quadruple patterning with self-connected hook-up
US8980757B2 (en) 2011-12-15 2015-03-17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single exposure—self-aligned double, triple, and quadruple patterning
JP2013153064A (ja) 2012-01-25 2013-08-0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546859B (zh) 2012-03-09 2016-08-21 聯華電子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之圖案化結構及其製作方法
US8921034B2 (en) 2012-09-28 2014-12-30 Micron Technology, Inc. Patterned bases, and patterning methods
TWI478212B (zh) 2012-10-29 2015-03-21 Winbond Electronics Corp 形成圖案的方法
TWI487004B (zh) * 2013-03-01 2015-06-01 Winbond Electronics Corp 圖案化的方法及記憶體元件的形成方法
US9105478B2 (en) * 2013-10-28 2015-08-11 Globalfoundries Inc.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fins at tight fin pitches
US9177797B2 (en) * 2013-12-04 2015-11-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Lithography using high selectivity spacers for pitch reduction
US9472506B2 (en) * 2015-02-25 2016-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gistration mark formation during sidewall image transfer pro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431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120055384A (ko) * 2010-11-23 2012-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
KR20130058402A (ko) * 2011-11-25 2013-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764A (ko) * 2016-10-0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10453698B2 (en) 2017-12-26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10522366B2 (en) 2018-01-10 2019-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1168A1 (en) 2016-07-21
KR102323251B1 (ko) 2021-11-09
TWI590305B (zh) 2017-07-01
CN105810566A (zh) 2016-07-27
TW201638999A (zh) 2016-11-01
CN105810566B (zh) 2019-01-25
US9755049B2 (en)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251B1 (ko)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337410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2601000B1 (ko) 반도체 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74947B1 (ko) 반도체 디바이스의 패터닝 방법 및 그 결과의 구조물
KR102290793B1 (ko)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의 패턴 형성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967981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62225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ple patterning techniques
KR10226905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20160329338A1 (en) Semiconductor device
US952029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60141034A (ko)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59873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방법
US8574988B2 (en)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90010488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N111696920B (zh)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KR2002006869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50040493A (ko) 반도체장치의 패턴 형성 방법
KR20120126724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