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252A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0252A KR20160090252A KR1020160006062A KR20160006062A KR20160090252A KR 20160090252 A KR20160090252 A KR 20160090252A KR 1020160006062 A KR1020160006062 A KR 1020160006062A KR 20160006062 A KR20160006062 A KR 20160006062A KR 20160090252 A KR20160090252 A KR 201600902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ight
- scattering
- light scattering
- scattering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8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1787 dendri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oxide Inorganic materials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ium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258 core-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21 particle siz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35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4 alumin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01 comb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80 solge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 H01L51/5268—
-
- H01L51/0097—
-
- H01L51/5275—
-
- H01L5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발광소자의 소자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고, TiO2로 이루어진 산란층; 상기 산란층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기공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광 산란체; 및 상기 산란층 상에 형성되는 평탄층을 포함하되, 상기 산란층 내부에는 상기 평탄층을 이루는 물질의 일부가 침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고, TiO2로 이루어진 산란층; 상기 산란층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기공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광 산란체; 및 상기 산란층 상에 형성되는 평탄층을 포함하되, 상기 산란층 내부에는 상기 평탄층을 이루는 물질의 일부가 침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발광소자의 소자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장치는 크게 유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장치와 무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무기 발광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유기 발광장치를 이루는 유기발광소자는 전자주입전극(cathode)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와 정공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형성하고, 이 엑시톤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소자로서, 저전력 구동, 자체발광, 넓은 시야각, 높은 해상도와 천연색 실현, 빠른 응답 속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휴대용 정보기기, 카메라, 시계, 사무용기기, 자동차 등의 정보 표시 창,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용 등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광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발광 효율을 높이거나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때, 광추출 효율은 유기발광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들의 굴절률에 의해 좌우된다.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임계각 이상으로 출사될 때, 애노드인 투명전극층과 같이 굴절률이 높은 층과 기판유리와 같이 굴절률이 낮은 층 사이의 계면에서 전반사를 일으키게 되어, 광추출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유기발광소자의 전체적인 발광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발광소자는 발광량의 20%만 외부로 방출되고, 80% 정도의 빛은 기판유리와 애노드 및 정공 주입층, 전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도파관(wave guiding) 효과와 기판유리와 공기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전반사 효과로 손실된다. 즉, 내부 유기 발광층의 굴절률은 1.7~1.8이고, 애노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TO의 굴절률은 약 1.9이다. 이때, 두 층의 두께는 대략 200~400㎚로 매우 얇고, 기판유리의 굴절률은 1.5이므로, 유기발광소자 내에는 평면 도파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계산에 의하면, 상기 원인에 의한 내부 도파모드로 손실되는 빛의 비율이 약 45%에 이른다. 그리고 기판유리의 굴절률은 약 1.5이고, 외부 공기의 굴절률은 1.0이므로, 기판유리에서 외부로 빛이 빠져 나갈 때,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는 빛은 전반사를 일으켜 기판유리 내부에 고립되는데, 이렇게 고립된 빛의 비율은 약 35%에 이르기 때문에, 불과 발광량의 20% 정도만 외부로 방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도파모드에 의해 소실되는 80%의 빛을 외부로 끌어내는 광추출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광추출층은 크게 내부 광추출층과 외부 광추출층으로 나뉜다. 이때, 외부 광추출층의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필름을 기판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광추출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마이크로 렌즈의 형태에 크게 구애 받지 않은 특성이 있다. 또한, 내부 광추출층은 광도파모드로 소실되는 빛을 직접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외부 광추출층에 비해 효율증대 가능성이 훨씬 높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내부 광추출층을 통해 광추출 효율이 증대되더라도 외부로 방출되는 발광량을 기준으로 보면, 그 효과가 여전히 미진하므로, 광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혹은 기술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발광소자의 소자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고, TiO2로 이루어진 산란층; 상기 산란층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기공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광 산란체; 및 상기 산란층 상에 형성되는 평탄층을 포함하되, 상기 산란층 내부에는 상기 평탄층을 이루는 물질의 일부가 침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TiO2를 이루는 결정체의 크기는 30~50㎚일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결정체가 응집된 응집체의 크기는 0.3~630㎛일 수 있고, 또는 복수 개의 상기 결정체가 응집된 응집체의 크기는 0.035~53㎛일 수 있다.
상기 TiO2의 결정체들은 부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TiO2의 결정체들은 덴드라이트 형상 또는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 광 산란체는 부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평탄층을 이루는 물질의 일부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일 부분을 채우는 형태로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층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입자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 광 산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란층 및 상기 평탄층의 총 면적 대비 상기 제1 광 산란체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6~13.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란층의 면적 대비 상기 제1 광 산란체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6~20%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산란층을 이등분하여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구분할 때, 상기 하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상기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보다 높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상기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 대비 2~6배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층의 면적 대비 상기 하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14~18%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층의 면적 대비 상기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3~8%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제2 광 산란체는 상기 하부층 내부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 산란체는 SiO2, TiO2, ZnO 및 SnO2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후보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광 산란체는 단일 굴절률 또는 다중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다중 굴절률을 갖는 상기 제2 광 산란체는, 코어, 및 상기 코어와 굴절률 차이를 가지며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는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층은 유무기 하이브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기판은 두께 1.5㎜ 이하의 박판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을,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 상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광 산란체에 대한 산란층이 TiO2로 이루어짐으로써, 빛을 산란시킬 수 있는 크기의 부정형 기공을 산란층 내부에 다수 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란층 상에 유무기 하이브리머로 이루어진 평탄층을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에 광추출 기판 적용 시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무기 하이브리머가 산란층 내부에 일정부분 스며들어, 산란층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산란층의 다공성 구조로 인해 오픈 구조로 형성된 기공의 일 부분을 채움으로써, 유무기 하이브리머가 채워지지 않은 기공의 나머지 부분, 즉, 산란층 및 유무기 하이브리머에 의해 구획되어 폐쇄 구조를 이루게 된 기공이 굴절률 1.0인 광 산란체로 거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자 형태의 광 산란체가 다중 굴절률을 갖는 코어-쉘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코어가 중공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발광소자의 소자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빛이 방출되는 경로 상에 구비하는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란층을 이루는 TiO2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들.
도 4는 덴드라이트 형상의 결정체에 대한 입도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로드 형상의 결정체에 대한 입도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도 7은 샘플#1, 샘플#2, 샘플#5에 대한 FIB 분석 시 분석 포인트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샘플#1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
도 9는 샘플#2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0은 샘플#5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1은 샘플#1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2는 샘플#2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3은 샘플#5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4는 계산된 기공 면적을 동일 면적의 원으로 환산했을 때의 히스토그램.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란층을 이루는 TiO2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들.
도 4는 덴드라이트 형상의 결정체에 대한 입도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로드 형상의 결정체에 대한 입도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의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도 7은 샘플#1, 샘플#2, 샘플#5에 대한 FIB 분석 시 분석 포인트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샘플#1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
도 9는 샘플#2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0은 샘플#5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1은 샘플#1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2는 샘플#2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3은 샘플#5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
도 14는 계산된 기공 면적을 동일 면적의 원으로 환산했을 때의 히스토그램.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100)은 유기발광소자(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유기발광소자(10)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100)은 유기발광소자(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판이다. 이때, 유기발광소자(10)는 조명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유기발광소자(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 기판(100) 및 유기발광소자(10)에 대한 인캡슐레이션을 위해, 이와 대향되게 위치되는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애노드 전극은 유기 발광층으로의 정공 주입이 잘 일어나도록 일함수(work function)가 큰 금속, 예컨대, Au, In, Sn 또는 ITO와 같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소드 전극은 유기 발광층으로의 전자 주입이 잘 일어나도록 일함수가 작은 Al, Al:Li 또는 Mg:Ag의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은 애노드 전극 상에 차례로 적층되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기발광소자(10)가 조명용 백색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컨대, 발광층은 청색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고분자 발광층과 오렌지-적색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저분자 발광층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어 백색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10)는 텐덤(tandem)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층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으로 이루어지는 연결층(interconnecting layer)을 매개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전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정공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방출되는 빛의 밝기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소자(10)의 광추출 효율 향상을 위해 채용되는 광추출 기판(100)은 베이스 기판(110), 산란층(120),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 및 평탄층(1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 기판(100)은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이의 일면에 형성되는 산란층(120),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 및 평탄층(150)을 지지하는 기판이다. 또한, 베이스 기판(110)은 유기발광소자(10)의 전방, 즉, 유기발광소자(10)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어, 발광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킴과 아울러, 유기발광소자(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봉지(encapsulation) 기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110)은 투명 기판으로, 광 투과율이 우수하고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열경화 또는 UV 경화가 가능한 유기필름인 고분자 계열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화학강화유리인 소다라임 유리(SiO2-CaO-Na2O)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유리(SiO2-Al2O3-Na2O)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 기판(100)을 채용한 유기발광소자(10)가 조명용인 경우,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소다라임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베이스 기판(110)으로는 금속산화물이나 금속질화물로 이루어진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기판(110)으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이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두께 1.5㎜ 이하의 박판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박판 유리는 퓨전(fusion) 공법 또는 플로팅(floating) 공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산란층(120)은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의 형성 공간을 제공하고,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를 베이스 기판(110)에 고정하는 매트릭스 층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산란층(120)은 TiO2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기에서는 산란층(120)이 루타일(rutile) 결정상의 TiO2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란층(120)은 아나타제(anatase) 결정상의 TiO2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 산란층(120)을 루타일 결정상의 TiO2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루타일(rutile) 결정상의 TiO2는 다공성 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산란층(120)이 이와 같이 다공성 구조의 루타일(rutile) 결정상의 TiO2로 이루어지면, 산란층(1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산란층(120) 내부에 빛의 산란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기공, 즉, 굴절률이 1인 제1 광 산란체(130)가 형성된다. 즉, 루타일(rutile) 결정상의 TiO2는 기공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광 산란체(130)의 형성을 유도하는 다공성 물질이다. 이때, 산란층(120)을 이루는 TiO2는, 굴절률이 2.5~2.7인 고굴절(high-refractive index; HRI) 금속산화물이므로, 내부에 굴절률이 1인 저굴절의 제1 광 산란체(130)가 다수 개 형성되고, 또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2 광 산란체(140)가 다수 개 형성되면, 서로 굴절률이 상이한 혹은 굴절률 차이가 극대화된 고굴절/저굴절 또는 고굴절/저굴절/고굴절과 같은 복잡한 굴절률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복잡한 굴절률 구조가 유기발광소자(10)로부터 발광된 빛이 방출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면, 유기발광소자(10)의 광추출 효율 증가는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산란층(120)을 이루는 TiO2의 결정체들은 부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산란층(120)을 이루는 TiO2의 결정체들은 30~50㎚ 크기의 다면체들이 비등방성으로 연결된 구조의 덴드라이트(dendrit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산란층(120)을 이루는 TiO2의 결정체들은 폭 20~30㎚, 길이 80~120㎚ 가량의 로드(rod)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도 4의 입도 분석 결과와 같이, 덴드라이트 형상의 결정체들이 응집된 응집체의 크기는 0.3~630㎛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도 5의 입도 분석 결과와 같이, 로드 형상의 결정체들이 응집된 응집체의 크기는 0.035~53㎛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여기서, TiO2의 결정체들의 형상은 루타일 결정상의 TiO2가 분산되는 유기용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iO2의 결정체들이 상기와 같이 덴드라이트 형상이나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TiO2에 의해 유도 형성되는 제1 광 산란체(130) 또한 광 산란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는 산란층(120)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광 산란체(130)는 산란층(120)을 이루는 루타일 결정상의 TiO2가 소성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기공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1 광 산란체(130)는 TiO2의 결정체들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기공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TiO2의 결정체들이 덴드라이트 형상 또는 로드 형상과 같은 부정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광 산란체(130) 또한 부정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산란층(120) 내부에 이와 같은 제1 광 산란체(130)가 다수 개 형성되면, 기공 형태의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가 굴절률이 1인 광 산란체처럼 거동하는 것이 아니라, 산란층(120)의 평균적인 굴절률을 낮추는 역할을 하여, 결국, 유효 굴절률이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즉, 루타일 결정상의 TiO2로 이루어진 산란층(120) 내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는 산란층(120)이 다공성 구조를 이룸에 따라, 형성되더라도 개방(open) 구조가 되어, 굴절률이 1인 독립적인 광 산란체로 작용하지 않고, 단지, 산란층(120)이 이루는 다공성 구조의 일 부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개방 구조의 제1 광 산란체(130)와 루타일 결정상의 TiO2의 굴절률의 복합적인 효과로 인해, 산란층(120)의 평균적인 유효 굴절률은 낮아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광추출 효율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평탄층(150)을 이루는 물질의 일부가 산란층(120) 내부에 침투되어 있는데, 이때, 침투된 물질이 제1 광 산란체(130)의 일 부분을 채우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로 인해, 개방된 구조의 제1 광 산란체(130)는 폐쇄된 구조(closed structure)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침투된 물질이 채워져 있지 않은 제1 광 산란체(130)의 타 부분, 즉, 산란층(120)과 침투된 물질에 의해 둘러싸여 폐쇄된 구조로 구획된 제1 광 산란체(130)는 굴절률이 1인 광 산란체로 거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산란층(120)과 극명한 굴절률 차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광 산란체(130)는 입자 형태의 제2 광 산란체(140)와 함께 산란층(120)과의 굴절률 차이를 이룸과 아울러, 복잡한 산란 구조를 이뤄, 유기발광소자(10)의 광추출 효율 증가를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산란층(120) 및 평탄층(150)의 총 면적 대비 1.6~13.2%일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산란층(120)의 면적 대비 6~20%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 내에서,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을수록, 유기발광소자(10)의 우수한 광추출 효율을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값비싼 제2 광 산란체(140)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산란층(120)을 이루는 루타일 결정상의 TiO2에 의해 유도 형성된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는 산란층(120) 내부에서 위치 별로 형성 면적에 차이를 갖는다. 즉, 산란층(120)을 이등분하여 이를 상부층(121)과 하부층(122)으로 구분할 때, 하부층(1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광산란체(130)들은 상부층(1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광산란체(130)들보다 높은 면적 비율로 형성된다. 즉, 하부층(1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광산란체(130)들의 면적 비율은 상부층(1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광 산란체(130)들의 면적 비율 대비 2~6배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층(122)의 면적 대비 하부층(1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광 산란체(130)의 면적 비율은 14~18%이고, 상부층(121)의 면적 대비 상부층(1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광산란체(130)들의 면적 비율은 3~8%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층(122)은 상부층(121)에 비해 적게는 2배, 많게는 6배 가량 높은 제1 광 산란체(130)들의 면적 비율을 갖는다.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산란층(120)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산란층(120)의 하부층(122)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입자 형태로 이루어져, 기공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와 함께 복잡한 광 산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예컨대, 졸-겔(sol-gel)법을 통해 산란층(120)을 이루는 물질에 혼합된 후, 이와 함께 베이스 기판(110) 상에 도포됨으로써,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열 혹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산란층(120) 형성과는 별개의 공정을 통해, 산란층(120)보다 먼저, 베이스 기판(110) 상에 형성된 후, 산란층(1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러한 제2 광 산란체(140)는 SiO2, TiO2, ZnO 및 SnO2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후보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입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2 광 산란체(140)는 다중 굴절률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2 광 산란체(140)는 서로 굴절률이 다른 코어-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코어(141)는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광 산란체(140)가 코어-쉘 구조로 이루어지면, 코어(141)와 쉘(142) 간의 굴절률 차이를 통해, 유기발광소자(10)로부터 방출된 빛을 외부로 추출하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산란층(1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전체가 코어-쉘 구조를 이루는 입자들로 이루어지거나, 전체가 단일 굴절률을 갖는 입자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코어-쉘 구조와 같은 다중 굴절률을 갖는 입자들과 단일 굴절률을 갖는 입자들이 혼합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산란층(1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산란층(120),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 및 평탄층(150)과 함께 유기발광소자(10)의 내부 광추출층(Internal Light Extraction Layer; ILEL)을 이루게 된다. 즉,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는 산란층(120)과 굴절률 차이를 이룸과 아울러,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와 함께 유기발광소자(10)로부터 발광된 빛의 방출 경로를 다변화시켜, 유기발광소자(100)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평탄층(150)은 산란층(120)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산란층(120) 내부에 제1 광 산란체(130)가 많이 형성되면, 이 제1 광 산란체(130)가 굴절률이 1인 광 산란체처럼 거동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평탄층(150)은 유무기 하이브리머(hybrimer)로 이루어져, 제1 광 산란체(130)가 굴절률이 1인 광 산란체로 거동케 한다. 즉, 산란층(120) 상에 평탄층(150)을 형성하기 위해, 유무기 하이브리머를 도포하면, 도 6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무기 하이브리머(151)의 일부가 다공성 구조를 이루는 루타일 결정상의 TiO2로 이루어진 산란층(120) 내부에 일정 부분 스며들게 되고, 이 과정에서, 기공 형태로 이루어진 제1 광 산란체(130)의 일 부분을 채우게 된다. 이에 따라, 일 부분이 유무기 하이브리머(151)로 채워진 제1 광 산란체(130)의 타 부분은 굴절률이 1인 광 산란체로 거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평탄층(150)은 상기와 같이 제1 광 산란체(130)에 본연의 광 산란 기능을 부여함과 아울러, 산란층(120)의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평탄층(150)의 표면은 유기발광소자(10)의 애노드 전극과 접하게 됨에 따라, 유기발광소자(10)의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고 평탄면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100)은 다공성 구조를 이루는 루타일 결정상의 TiO2로 이루어진 산란층(120), 산란층(12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공 형태의 다수의 제1 광 산란체(130), 입자 형태의 다수의 제2 광 산란체(140) 및 유무기 하이브리머로 이루어진 평탄층(1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100)은 유기발광소자(10)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기발광소자(10)의 소자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추출 기판(100)에서, 제2 광 산란체(140)의 구조에 따른 광추출 효율 변화를 측정해본 결과, 제2 광 산란체(140)가 단일 굴절률을 나타내는 SiO2로만 이루어진 경우,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은 69.0lm/W로 측정되었다. 이는, 광추출층을 구비하지 않은 유기발광소자의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이 35.1lm/W인 것에 비해, 1.97배 광추출 효율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제2 광 산란체(140)가 코어가 중공으로 형성된 코어-쉘 구조의 SiO2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은 70.3lm/W로, 광추출층을 구비하지 않은 유기발광소자보다 광추출 효율이 2배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입자 형태의 제2 광 산란체(140)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 즉, 제1 광 산란체(130)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은 63.3lm/W로, 광추출층을 구비하지 않은 유기발광소자보다 광추출 효율이 1.8배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장 우수한 광추출 효율은 제1 광 산란체(130)와 코어-쉘 구조의 제2 광 산란체(140)가 조합된 경우 달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루타일 결정상의 TiO2를 통해 유도 형성되고, 하이브리머(151)에 의해 일 부분이 채워진 기공, 즉,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이 광추출 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이 광추출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광추출층을 구비하지 않은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기준으로, 이에 대한 광추출 효율 증가 분이 1.82배인 샘플#1, 2.07배인 샘플#2, 1.84배인 샘플#3, 2.00배인 샘플#4 및 2.08배인 샘플#5의 구조를 FIB(focused Ion Beam)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때, 분석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샘플 별로, 크기가 2×2㎟인 발광부에서 등 간격으로 20포인트의 단면 형상을 확인하였다.
하기에서는 설계구조적으로 가장 유사한 헤이즈 60% 그룹에 속하는 샘플#1, 샘플#2, 샘플#5를 비교하기로 한다.
도 8는 샘플#1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으로, 포인트9 부분을 2개의 섹션으로 구분하고, 각 섹션 별로 단면 형상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두께/크기(㎚) | |
Al 전극 | 96~102 |
유기 발광층 | 475~485 |
ITO | 54~60 |
HRI+평탄층 | 1395 |
입자 산란체(지름) 중공(지름) |
max 323 max 185 |
기공 산란체 | 76~399 |
HRI 층 두께(평균값) | 994 |
평탄층 두께(평균값) | 401 |
도 9는 샘플#2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으로, 포인트9 부분을 2개의 섹션으로 구분하고, 각 섹션 별로 단면 형상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두께/크기(㎚) | |
Al 전극 | 96~102 |
유기 발광층 | 475~485 |
ITO | 54~60 |
HRI+평탄층 | 1192~1266 |
입자 산란체(지름) 중공(지름) |
max 378 max 238 |
기공 산란체 | 76~123 |
HRI 층 두께(평균값) | 710 |
평탄층 두께(평균값) | 519 |
도 10은 샘플#5의 포인트9에 대한 분석 사진으로, 포인트9 부분을 2개의 섹션으로 구분하고, 각 섹션 별로 단면 형상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두께/크기(㎚) | |
Al 전극 | 96~102 |
유기 발광층 | 475~485 |
ITO | 54~60 |
HRI+평탄층 | 1430~1541 |
입자 산란체(지름) | - |
기공 산란체 | 107~402 |
HRI 층 두께(평균값) | 1110 |
평탄층 두께(평균값) | 375 |
샘플#1, 샘플#2, 샘플#5 각각에 대한 전체적인 기공 산란체, 즉, 제1 광 산란체의 평균적인 면적 비율을 계산하기 위해, 샘플 별로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 또한 포인트9와 같은 방식으로 단면 형상을 측정하였다.
도 11은 샘플#1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으로,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평탄층+HRI 두께(㎚) | 기공 면적, 비율(μ㎡,%) | 입자 산란체 면적(μ㎡) | |
포인트6 | 1263 | 0.43, 7.6 | 0.02 |
포인트7 | 1340 | 0.13, 2.2 | - |
포인트8 | 1316 | 0.21, 3.6 | - |
포인트9 | 1375 | 0.49, 7.9 | 0.08 |
포인트10 | 1267 | 0.32, 5.6 | 0.25 |
포인트3 | 1273 | 0.15, 2.5 | 0.23 |
포인트13 | 1350 | 0.20, 3.3 | 0.13 |
포인트18 | 1541 | 0.59, 8.7 | 0.17 |
하기의 표 5는 상기 표 4의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평균값 | |
평탄층+HRI 두께(㎚) | 1338±85 |
기공 면적, 비율(μ㎡,%) | 0.30±0.16, 5.0±2.5 |
입자 산란체 면적(μ㎡) | 0.10±0.10 |
도 12는 샘플#2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으로,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평탄층+HRI 두께(㎚) | 기공 면적, 비율(μ㎡,%) | 입자 산란체 면적(μ㎡) | |
포인트6 | 1283 | 1.02, 17.3 | 0.19 |
포인트7 | 1395 | 0.67, 10.7 | 0.07 |
포인트8 | 1176 | 0.41, 7.8 | 0.58 |
포인트9 | 1187 | 0.04, 0.8 | 0.11 |
포인트10 | 1269 | 0.35, 6.2 | 0.33 |
포인트3 | 1434 | 0.77, 11.8 | 0.23 |
포인트13 | 1261 | 0.24, 4.0 | - |
포인트18 | 1368 | 0.58, 9.2 | - |
하기의 표 7은 상기 표 6의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평균값 | |
평탄층+HRI 두께(㎚) | 1283±97 |
기공 면적, 비율(μ㎡,%) | 0.50±0.29, 8.4±4.7 |
입자 산란체 면적(μ㎡) | 0.23±0.22 |
도 13은 샘플#5의 십자방향에 위치한 포인트들에 대한 분석 사진으로, 그 결과를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평탄층+HRI 두께(㎚) | 기공 면적, 비율(μ㎡,%) | 입자 산란체 면적(μ㎡) | |
포인트6 | 1318 | 0.79, 13.2 | 0.25 |
포인트7 | 1179 | 0.09, 1.6 | 0.18 |
포인트8 | 1287 | 0.55, 9.6 | 0.30 |
포인트9 | 1470 | 0.33, 5.0 | - |
포인트10 | 1232 | 0.37, 6.7 | 0.15 |
포인트3 | 1387 | 0.35, 5.6 | 0.24 |
포인트13 | 1281 | 0.56, 9.7 | 0.43 |
포인트18 | 1268 | 0.23, 4.0 | 0.20 |
하기의 표 9는 상기 표 8의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평균값 | |
평탄층+HRI 두께(㎚) | 1301±85 |
기공 면적, 비율(μ㎡,%) | 0.43±0.21, 7.2±3.6 |
입자 산란체 면적(μ㎡) | 0.23±0.12 |
하기의 표 10은 상기 표 8에서 평탄층을 제외한 HRI 두께 및 평탄층을 제외했을 때, 즉, HRI 면적 대비 각각의 포인트 별 기공 비율(기공의 면적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HRI 두께(㎚) | 기공 비율(%) | |
포인트6 | 878.7 | 19.8 |
포인트7 | 786.0 | 2.4 |
포인트8 | 858.0 | 14.4 |
포인트9 | 980.0 | 7.5 |
포인트10 | 821.3 | 10.1 |
포인트3 | 924.7 | 8.4 |
포인트13 | 854.0 | 14.6 |
포인트18 | 845.3 | 6.0 |
도 11 내지 도 13 및 상기 표 4 내지 표 9에 나타나 있는 샘플#1, 샘플#2, 샘플#5의 측정값 및 이에 따른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광추출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샘플#2와 샘플#5의 기공 면적 비율이 샘플#1의 기공 면적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공 형태의 제1 광 산란체가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14는 상기와 같이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계산된 기공의 면적을 동일 면적의 원으로 환산했을 때, 기공의 반지름을 0부터 10㎚ 단위로 나열한 경우의 히스토그램을 보여준다. 히스토그램을 보면, 기공 반지름의 평균은 60㎚, 표준편차는 44.4㎚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110: 베이스 기판
120: 산란층 121: 상부층
122: 하부층 130: 제1 광 산란체
140: 제2 광 산란체 141: 코어
142: 쉘 150: 평탄층
151: 하이브리머 10: 유기발광소자
120: 산란층 121: 상부층
122: 하부층 130: 제1 광 산란체
140: 제2 광 산란체 141: 코어
142: 쉘 150: 평탄층
151: 하이브리머 10: 유기발광소자
Claims (24)
-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되고, TiO2로 이루어진 산란층;
상기 산란층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기공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1 광 산란체; 및
상기 산란층 상에 형성되는 평탄층;
을 포함하되,
상기 산란층 내부에는 상기 평탄층을 이루는 물질의 일부가 침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를 이루는 결정체의 크기는 3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결정체가 응집된 응집체의 크기는 0.3~6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결정체가 응집된 응집체의 크기는 0.035~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의 결정체들은 부정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iO2의 결정체들은 덴드라이트 형상 또는 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광 산란체는 부정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층을 이루는 물질의 일부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일 부분을 채우는 형태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입자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제2 광 산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 및 상기 평탄층의 총 면적 대비 상기 제1 광 산란체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1.6~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의 면적 대비 상기 제1 광 산란체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은 6~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을 이등분하여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구분할 때,
상기 하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상기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상기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 대비 2~6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의 면적 대비 상기 하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14~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의 면적 대비 상기 상부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광 산란체의 면적 비율은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을 이등분하여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구분할 때,
상기 다수의 제2 광 산란체는 상기 하부층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산란체는 SiO2, TiO2, ZnO 및 SnO2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후보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산란체는 단일 굴절률 또는 다중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8항에 있어서,
다중 굴절률을 갖는 상기 제2 광 산란체는,
코어, 및
상기 코어와 굴절률 차이를 가지며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중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층은 유무기 하이브리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두께 1.5㎜ 이하의 박판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을, 발광된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로 상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6740397.1A EP3249712B1 (en) | 2015-01-21 | 2016-01-20 |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
PCT/KR2016/000583 WO2016117924A1 (ko) | 2015-01-21 | 2016-01-20 | 유기발광장치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
US15/545,489 US10177343B2 (en) | 2015-01-21 | 2016-01-20 |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
CN201680006726.3A CN107210379B (zh) | 2015-01-21 | 2016-01-20 | 用于有机发光器件的光提取基底以及包括其的有机发光器件 |
JP2017538664A JP6760570B2 (ja) | 2015-01-21 | 2016-01-20 | 有機発光装置用光取り出し基板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09810 | 2015-01-21 | ||
KR1020150009810 | 2015-01-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0252A true KR20160090252A (ko) | 2016-07-29 |
KR101866243B1 KR101866243B1 (ko) | 2018-06-12 |
Family
ID=5661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6062A KR101866243B1 (ko) | 2015-01-21 | 2016-01-18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177343B2 (ko) |
EP (1) | EP3249712B1 (ko) |
JP (1) | JP6760570B2 (ko) |
KR (1) | KR101866243B1 (ko) |
CN (1) | CN10721037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0841A (ko) * | 2018-05-15 | 2019-11-25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유기발광장치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82179B2 (en) * | 2002-11-15 | 2006-01-03 | University Display Corporation |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devices |
CN109817693B (zh) * | 2019-03-22 | 2020-12-04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
US11189757B2 (en) | 2019-12-12 | 2021-11-30 | Lumileds Llc | Light emitting diodes with reflective sidewalls comprising porous particles |
CN111769203A (zh) * | 2020-06-18 | 2020-10-13 | 南京邮电大学 | 一种聚合物平坦化处理的TiO2散射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8332B1 (ko) | 1994-08-15 | 2002-07-18 | 나루세 스스무 | 기재상에입자층을형성하는방법과,기재의요철면을평탄화하는방법및입자층이부설된기재 |
US20140131675A1 (en) * | 2012-11-13 | 2014-05-15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Light-extraction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
JP2014514716A (ja) * | 2011-04-12 | 2014-06-19 |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Oled素子のための内部光学的取り出し層 |
WO2014136723A1 (ja) * | 2013-03-08 | 2014-09-12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40110927A (ko) * | 2012-01-10 | 2014-09-17 |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코팅용 조성물, 다공질막, 광 산란막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03579B2 (ja) * | 1999-12-08 | 2004-03-08 | 日本電気株式会社 |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JP3899011B2 (ja) * | 2001-10-25 | 2007-03-28 | 松下電工株式会社 | 面発光体 |
JP4564773B2 (ja) * | 2004-04-07 | 2010-10-20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発光素子及びその表示装置 |
JP3990391B2 (ja) * | 2004-08-09 | 2007-10-10 | シャープ株式会社 |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2007059195A (ja) * | 2005-08-24 | 2007-03-08 | Fujifilm Holdings Corp | 上面発光型有機電界発光素子 |
JP2008063173A (ja) * | 2006-09-06 | 2008-03-21 | Mitsubishi Chemicals Corp | ルチル型酸化チタン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材料 |
US7834541B2 (en) * | 2006-10-05 | 2010-11-16 | Global Oled Technology Llc | OLED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
US7911133B2 (en) * | 2007-05-10 | 2011-03-22 | Global Oled Technology Llc |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output |
CN102471171B (zh) * | 2009-07-31 | 2014-02-12 | 京瓷株式会社 | 装载发光元件用陶瓷基体 |
KR20120024358A (ko) | 2010-09-06 | 2012-03-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유기전자소자용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WO2013008982A1 (ko) * | 2011-07-14 | 2013-01-17 | 엘티씨 (주) | 높은 광추출 성능을 갖는 무기 산란막 {inorganic scattering films having high light extraction performance} |
TWI473318B (zh) * | 2011-08-25 | 2015-02-11 | Ind Tech Res Inst | 光學膜以及發光裝置 |
CN104541187B (zh) * | 2012-04-05 | 2017-09-08 | 康宁股份有限公司 | 用于提供显示器组件的方法和设备 |
KR101359681B1 (ko) * | 2012-08-13 | 2014-02-07 |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 금속산화물 박막 기판,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및 유기발광소자 |
US9680075B2 (en) * | 2012-08-31 | 2017-06-13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Light-emitting device |
KR101765183B1 (ko) | 2013-02-27 | 2017-08-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발광장치용 광추출층 및 그 형성방법 |
US8932556B2 (en) * | 2013-03-15 | 2015-01-13 | Cristal Usa Inc. | Rutile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nd ordered acicular aggregates of same |
KR20140132589A (ko) | 2013-05-08 | 2014-11-18 |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KR101468972B1 (ko) | 2013-06-04 | 2014-12-04 |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 광산란층이 형성된 기판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광산란층이 형성된 기판, 및 상기 광산란층이 형성된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CN104098132B (zh) * | 2014-07-30 | 2017-04-05 | 李建明 | 一种制备{100}晶面锐钛矿相TiO2纳米颗粒的方法 |
US9774010B2 (en) * | 2014-10-21 | 2017-09-2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Light reflective material and light-emitting device |
KR101642120B1 (ko) * | 2014-12-24 | 2016-07-22 |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2016
- 2016-01-18 KR KR1020160006062A patent/KR1018662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1-20 CN CN201680006726.3A patent/CN107210379B/zh active Active
- 2016-01-20 JP JP2017538664A patent/JP676057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1-20 US US15/545,489 patent/US10177343B2/en active Active
- 2016-01-20 EP EP16740397.1A patent/EP324971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8332B1 (ko) | 1994-08-15 | 2002-07-18 | 나루세 스스무 | 기재상에입자층을형성하는방법과,기재의요철면을평탄화하는방법및입자층이부설된기재 |
JP2014514716A (ja) * | 2011-04-12 | 2014-06-19 | アーケ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Oled素子のための内部光学的取り出し層 |
KR20140110927A (ko) * | 2012-01-10 | 2014-09-17 |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 코팅용 조성물, 다공질막, 광 산란막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US20140131675A1 (en) * | 2012-11-13 | 2014-05-15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Light-extraction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
WO2014136723A1 (ja) * | 2013-03-08 | 2014-09-12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0841A (ko) * | 2018-05-15 | 2019-11-25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유기발광장치용 광추출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US11653526B2 (en) | 2018-05-15 | 2023-05-16 | Corning Incorporated | Light extraction substrate of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49712B1 (en) | 2022-12-21 |
JP6760570B2 (ja) | 2020-09-23 |
EP3249712A1 (en) | 2017-11-29 |
EP3249712A4 (en) | 2018-09-26 |
US20170373280A1 (en) | 2017-12-28 |
US10177343B2 (en) | 2019-01-08 |
CN107210379A (zh) | 2017-09-26 |
CN107210379B (zh) | 2020-06-02 |
KR101866243B1 (ko) | 2018-06-12 |
JP2018506822A (ja) | 2018-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6243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TWI403209B (zh) | 具有改良光輸出之電致發光裝置 | |
WO2015127803A1 (zh) | 有机电致发光器件和显示装置 | |
US895757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 |
KR101642120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674066B1 (ko) | 유기발광소자 | |
Yu et al. | Molding hemispherical microlens arrays on flexible substrates for highly efficient invert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 | |
KR101579457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632614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762642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470295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567335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US11276841B2 (en) | Light extraction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mprising same | |
US10276834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 |
KR101488660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659331B1 (ko) |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999294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KR101699275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US20170352839A1 (en) | Light extracting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same | |
KR20150009734A (ko) | 유기발광소자 | |
US20160308167A1 (en) |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 |
KR101580596B1 (ko) |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 |
WO2016117924A1 (ko) | 유기발광장치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