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734A -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734A
KR20150009734A KR20130084038A KR20130084038A KR20150009734A KR 20150009734 A KR20150009734 A KR 20150009734A KR 20130084038 A KR20130084038 A KR 20130084038A KR 20130084038 A KR20130084038 A KR 20130084038A KR 20150009734 A KR20150009734 A KR 20150009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욱
권윤영
윤홍
최은호
박준형
백일희
윤근상
이주영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734A/ko
Publication of KR20150009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전극/유기 발광층/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 소자층을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최대한 빨리 외부로 추출시켜 우수한 광추출 효율 구현이 가능한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되,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 뱅크(bank); 상기 제1 뱅크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뱅크의 표면 중 복수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복수 영역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측부와 접하며,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뱅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뱅크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뱅크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curved type)로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뱅크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OLED}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전극/유기 발광층/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 소자층을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최대한 빨리 외부로 추출시켜 우수한 광추출 효율 구현이 가능한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장치는 크게 유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장치와 무기물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하는 무기 발광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유기 발광장치를 이루는 유기발광소자는 전자주입전극(cathode)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와 정공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형성하고, 이 엑시톤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하는 자체 발광형 소자로서, 저전력 구동, 자체발광, 넓은 시야각, 높은 해상도와 천연색 실현, 빠른 응답 속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휴대용 정보기기, 카메라, 시계, 사무용기기, 자동차 등의 정보 표시 창,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또는 조명용 등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광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발광 효율을 높이거나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때, 광추출 효율은 유기발광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들의 굴절률에 의해 좌우된다. 일반적인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임계각 이상으로 출사될 때, 애노드인 투명전극층과 같이 굴절률이 높은 층과 기판유리와 같이 굴절률이 낮은 층 사이의 계면에서 전반사를 일으키게 되어, 광추출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유기발광소자의 전체적인 발광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발광소자는 발광량의 20%만 외부로 방출되고, 80% 정도의 빛은 기판유리와 애노드 및 정공 주입층, 전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등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도파관(wave guiding) 효과와 기판유리와 공기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전반사 효과로 손실된다. 즉, 내부 유기 발광층의 굴절률은 1.7~1.8이고, 애노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TO의 굴절률은 약 1.9이다. 이때, 두 층의 두께는 대략 200~400㎚로 매우 얇고, 기판유리의 굴절률은 1.5이므로, 유기발광소자 내에는 평면 도파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계산에 의하면, 상기 원인에 의한 내부 도파모드로 손실되는 빛의 비율이 약 45%에 이른다. 그리고 기판유리의 굴절률은 약 1.5이고, 외부 공기의 굴절률은 1.0이므로, 기판유리에서 외부로 빛이 빠져 나갈 때,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는 빛은 전반사를 일으켜 기판유리 내부에 고립되는데, 이렇게 고립된 빛의 비율은 약 35%에 이르기 때문에, 불과 발광량의 20% 정도만 외부로 방출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광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여러 방법이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는 기판유리와 발광체 사이에 중간 굴절률을 가진 평탄층을 도입하여,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방법, 기판 상에 투명한 폴리머 중에 백색의 미립자 또는 이 폴리머와 굴절률이 상위한 투명한 미립자를 분산시킨 격벽을 광도파로로 설치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을 도입함에도 불구하고, 유기발광소자는 이를 이루는 물질의 광 흡수 특성으로 인해 빛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한계가 존재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출되는 빛은 광추출 효율 향상을 위해 전방에 배치된 광추출층과 만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격벽의 경우,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모서리 부분과 접하는 부위에 전류가 집중되어 누설 전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89501호(2013.05.13.)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전극/유기 발광층/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 소자층을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최대한 빨리 외부로 추출시켜 우수한 광추출 효율 구현이 가능한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되,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 뱅크(bank); 상기 제1 뱅크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뱅크의 표면 중 복수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복수 영역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측부와 접하며,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뱅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뱅크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뱅크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curved type)로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뱅크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뱅크의 굴절률이 상기 제2 뱅크의 굴절률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뱅크 상에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영역은 서로 단절되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뱅크 내부에는 광 산란 입자가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산란 입자는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보다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뱅크와 상기 유기 발광층 간의 계면에는 다수의 광 산란 입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된 표면에는 상기 광 산란 입자에 의해 유도된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기판과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해 상기 제2 전극 상부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연결층을 매개로 교번 배치되는 텐덤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로, 상기 제1 기판 측으로 발광된 빛을 방출하는 배면 발광형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조명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기판과 소자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표면이 곡면을 이루는 제1 뱅크로 인해 소자층이 볼록하게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최대한 빨리 외부로 추출시켜 우수한 광추출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애노드인 제1 전극의 측부에 형성되어 도파모드를 교란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2 뱅크의 일면, 즉, 유기 발광층과 접하는 면을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누설전류 방지, 즉,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뱅크 및 제2 뱅크 내부에 광 산란 입자를 분산시킴으로써, 광추출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적층 구조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광추출 효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0)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를 이룬다. 또한, 유기발광소자(100)는 조명용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100)는 제1 기판(110), 제1 뱅크(120), 제1 전극(130), 제2 뱅크(140), 유기 발광층(150) 제2 전극(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기판(110)은 유기 발광층(15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기판(110)은 유기 발광층(150)의 전방, 즉, 유기 발광층(15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제1 기판(110)은 제1 뱅크(120) 및 제2 뱅크(140) 그리고 제1 전극(130), 유기 발광층(150) 및 제2 전극(160)으로 이루어진 소자층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즉, 상기와 같은 소자층을 인캡슐레이션 시키기 위해, 제1 기판(110)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예컨대, 에폭시와 같은 씰링재를 매개로, 제2 전극(160) 상부에 이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기판(미도시)과 접합된다. 이때, 서로 대향되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미도시) 그리고 이들 테두리에 형성되는 씰링재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는 불활성 기체로 채워지거나 진공 분위기로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판(110)은 투명 기판으로, 광 투과율이 우수하고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것이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기판(110)으로는 열경화 또는 UV 경화가 가능한 유기필름인 고분자 계열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10)으로는 화학강화유리인 소다라임 유리(SiO2-CaO-Na2O)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유리(SiO2-Al2O3-Na2O)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는 조명용으로 적용되므로, 제1 기판(110)으로는 소다라임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기판(110)으로는 금속산화물이나 금속질화물로 이루어진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기판(110)으로 두께 1.5㎜ 이하의 박판 유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박판 유리는 퓨전(fusion) 공법 또는 플로팅(floating) 공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110)과 인캡슐레이션을 이루는 제2 기판(미도시)는 제1 기판(110)과 동일 또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뱅크(bank)(120)는 제1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뱅크(120)는 그 상면(도면 기준), 즉,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뱅크(120)의 형상에 의해 이의 상에 형성되는 소자층이 구부러진 형태(curved type)로 유도된다. 이러한 제1 뱅크(120)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뱅크(120)는 감광성 수지에 25㎚ 크기의 TiO2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뱅크(120)는 굴절률(n)이 대략 1.9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뱅크(120)는 이의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130)의 굴절률과 유사 또는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소자층으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전방인 소자층과 제1 기판(110) 사이에 위치되는 구조로, 유기발광소자(100)의 내부 광추출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전극(130)은 제1 뱅크(120) 상에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1 뱅크(120)의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룸에 따라, 제1 뱅크(120)의 형상이 제1 전극(130)에 유도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극(130)은 제1 뱅크(120)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전극(130)의 형상은 유기 발광층(150) 및 제2 전극(160)의 형상 또한 구부러진 형태로 유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극(130)은 광도파모드를 교란시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2 뱅크(140)의 형성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뱅크(120)의 표면 중 복수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30)은 제1 뱅크(120) 상에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130)에 의해 노출된 제1 뱅크(120)의 복수 영역은 서로 단절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1 전극(130)은 유기발광소자(100)의 애노드(anode)로서의 역할을 하는 투명전극으로, 유기 발광층(150)으로의 정공 주입이 잘 일어나도록 일함수(work function)가 큰 금속, 예컨대,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뱅크(140)는 패턴된 제1 전극(130)으로 인해 노출된 제1 뱅크(120)의 복수 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제2 뱅크(140)는 제1 전극(130)의 측부와 접하게 된다. 여기서, 제2 뱅크(140)는 제1 뱅크(120)와 마찬가지로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제2 뱅크(140)는 제1 뱅크(120)와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뱅크(120)보다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뱅크(140)는 굴절률이 대략 1.5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뱅크(140)가 제1 전극(130)의 측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면, 제1 전극(130)에서 발생되는 평면 도파로를 따라 이동하는 빛이 제2 뱅크(140)와 만나면서 굴절되어 제1 기판(110) 측으로 향하게 되어, 결국, 광추출 효율 증가, 즉,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뱅크(140)는 제1 뱅크(120)와 마찬가지로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의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150)과 제2 전극(160)의 형상을 구부러진 형태로 유도하게 된다.
유기 발광층(150)은 제1 전극(130) 및 제2 뱅크(140)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전극(130)이 제1 뱅크(120)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뱅크(140)의 표면이 곡면을 이룸에 따라, 제1 전극(130) 및 제2 뱅크(140)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150) 또한 이들의 형상이 유도되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기 발광층(150)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면, 이로부터 발광된 빛을 최대한 빨리 외부로 추출시킬 수 있게 되어, 우수한 광추출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3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150)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0)의 경우(a), 평판형의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경우(b)보다 발광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기 발광층(150)과 제2 뱅크(140) 간의 계면은 제2 뱅크(140)의 형상으로 인해 곡면을 이룸에 따라, 누설전류 방지, 즉,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150)은 제1 전극(130) 및 제2 뱅크(140)가 이루는 표면 상에 차례로 적층되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유기 발광층(150)의 상, 하에 형성되는 애노드인 제1 전극(130)과 캐소드인 제2 전극(160) 사이에 순방향 전압이 인가되면, 캐소드로부터 전자가 전자 주입층 및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애노드로부터 정공이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방출되는 빛의 밝기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비례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0)가 조명용 백색 유기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컨대, 발광층은 청색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고분자 발광층과 오렌지-적색 영역의 광을 방출하는 저분자 발광층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어 백색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층(150)은 텐덤(tandem)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유기 발광층(150)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유기 발광층(150)이 연결층(interconnecting layer)을 매개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160)은 유기 발광층(150) 상에 형성된다. 이때, 제2 전극(160)은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150)에 의해 마찬가지로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전극(160)은 유기발광소자(100)의 캐소드(cathode)로서의 역할을 하는 금속전극으로, 유기 발광층(150)으로의 전자 주입이 잘 일어나도록 일함수가 작은 Al, Al:Li 또는 Mg;Ag의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광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전극(160)은 제1 전극(130)과 미세 공동(micro-cavity)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 공동 구조가 형성되면, 유기 발광층(150)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미세 공동 내에서 보강간섭 및 공진 현상을 통해 발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기판(110) 측으로의 발광효율은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200)는 제1 기판(110), 제1 뱅크(220), 제1 전극(130), 제2 뱅크(240), 유기 발광층(150) 제2 전극(1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제1 뱅크 및 제2 뱅크에 광 산란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뱅크(220) 및 제2 뱅크(240) 내부에는 각각 광 산란 입자(221, 241)가 분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 산란 입자(221, 241)는 제1 뱅크(220) 및 제2 뱅크(240)를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다변화시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광 산란 입자(221, 241)가 제1 뱅크(220) 및 제2 뱅크(240) 모두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뱅크(220) 및 제2 뱅크(240) 중 어느 하나의 뱅크에만 광 산란 입자(221 또는 241)가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광 산란 입자(221, 241)는 제1 뱅크(220) 및 제2 뱅크(240)보다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뱅크(220)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광 산란 입자(221)는 평균 직경이 200㎚인 비드(bead) 형태의 TiO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뱅크(220)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광 산란 입자(221)와 제2 뱅크(240)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광 산란 입자(241)는 동일 또는 다른 크기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300)는 제1 기판(110), 제1 뱅크(120), 제1 전극(130), 제2 뱅크(340), 유기 발광층(350) 제2 전극(36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비교하여 광 산란 입자의 형성 위치 및 이에 의해 유도되는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광 산란 입자(341)가 제2 뱅크(340)와 유기 발광층(350) 간의 계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제2 전극(360)의 노출된 표면에는 광 산란 입자(341)에 의해 형상 유도된 요철(36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뱅크(340) 및 유기 발광층(350) 간의 계면에 형성되는 광 산란 입자(34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 산란 입자(도 4의 241) 즉, 제2 뱅크(도 4의 240)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광 산란 입자(도 4의 241)와 마찬가지로 발광된 광을 산란시켜, 유기발광소자(300)의 광추출 효율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100, 200, 300)가 우수한 광추출 효율을 구현하게 되면, 저 전류로도 유기발광소자(100, 200, 300)를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유기발광소자(100, 200, 3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를 채용한 조명의 휘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300: 유기발광소자 110: 제1 기판
120, 220: 제1 뱅크 130: 제1 전극
140, 240, 340: 제2 뱅크 150: 350: 유기 발광층
160, 360: 제2 전극 221, 241, 341: 광 산란 입자
361: 요철

Claims (13)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되,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1 뱅크(bank);
    상기 제1 뱅크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뱅크의 표면 중 복수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복수 영역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의 측부와 접하며, 노출된 표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뱅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뱅크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뱅크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curved type)로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뱅크에 의해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뱅크의 굴절률이 상기 제2 뱅크의 굴절률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뱅크 상에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 영역은 서로 단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뱅크 내부에는 광 산란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산란 입자는 상기 제1 뱅크 및 상기 제2 뱅크보다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큰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뱅크와 상기 유기 발광층 간의 계면에는 다수의 광 산란 입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노출된 표면에는 상기 광 산란 입자에 의해 유도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해 상기 제2 전극 상부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연결층을 매개로 교번 배치되는 텐덤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로,
    상기 제1 기판 측으로 발광된 빛을 방출하는 배면 발광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조명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30084038A 2013-07-17 2013-07-17 유기발광소자 KR20150009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038A KR20150009734A (ko) 2013-07-17 2013-07-17 유기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038A KR20150009734A (ko) 2013-07-17 2013-07-17 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734A true KR20150009734A (ko) 2015-01-27

Family

ID=5248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038A KR20150009734A (ko) 2013-07-17 2013-07-17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1785A (zh) * 2016-04-11 2017-11-07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3193135A (zh) * 2020-01-29 2021-07-30 夏普株式会社 发光器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1785A (zh) * 2016-04-11 2017-11-07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7331785B (zh) * 2016-04-11 2019-06-28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3193135A (zh) * 2020-01-29 2021-07-30 夏普株式会社 发光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31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695364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US2019013158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0825121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6592783B2 (ja) 有機発光素子
KR101866243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JP2014078499A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KR101632614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579457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470295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762642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597220B1 (ko) 조명용 유기발광장치
KR101567335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20150009734A (ko) 유기발광소자
US1027683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1608335B1 (ko) 유기발광소자
KR101577997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699275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22606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14648B2 (en) Light extraction substrate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08332B1 (ko)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용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
KR101542425B1 (ko) 대면적 유기발광 패널
JP2006085985A (ja) 有機el表示装置
KR101608300B1 (ko)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
KR101580596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제조방법,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