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003A - 자동차의 감속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003A
KR20160087003A KR1020150004011A KR20150004011A KR20160087003A KR 20160087003 A KR20160087003 A KR 20160087003A KR 1020150004011 A KR1020150004011 A KR 1020150004011A KR 20150004011 A KR20150004011 A KR 20150004011A KR 20160087003 A KR20160087003 A KR 2016008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worm
housing
worm wheel
wor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674B1 (ko
Inventor
권현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0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74B1/ko
Priority to US14/988,679 priority patent/US10054194B2/en
Priority to DE102016000023.6A priority patent/DE102016000023B4/de
Priority to CN201610017228.0A priority patent/CN105782402B/zh
Publication of KR2016008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02K7/1163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 H02K7/11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where at least two gears have non-parallel axes without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3Support of worm gea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감속기는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웜축베어링; 웜축베어링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부시; 하우징 내측에서 부시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부시를 웜축베어링에 밀착시키며 하우징과 웜축베어링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댐퍼; 댐퍼를 관통하여 부시를 웜휠방향으로 가압하는 유격보상기구;를 포함하여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정확하게 보조할 수 있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감속기{Reduc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웜축베어링의 제조 또는 조립상의 오차로 인한 과대 또는 과소 간극과, 웜휠의 마모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를 보상하고,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소를 보상하며, 웜휠이 갑자기 회전하거나 회전방향이 변함에 따른 웜축의 웜휠에 대한 저항력이 완충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정확하게 보조할 수 있는 자동차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100)는 웜(152)이 형성된 웜축(154)이 구비되고, 웜축(154)의 양단에는 웜축 베어링(157)이 각각 설치되어 웜축(154)을 지지하며, 웜축 베어링(157)이 웜축(154)의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볼트(110)가 댐핑 커플러(140)와 웜축 베어링(157) 사이에 체결되고, 플러그 볼트(110)는 플러그 너트(120)에 의해 고정된다.
웜축(154)은 댐핑 커플러(140)를 매개로 모터(146)와 연결되며 모터(146)의 구동에 의해 웜축(154)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웜축(154) 상에 형성된 웜(152)과 치물림될 수 있도록 웜(152)의 외경에는 웜휠(156)이 구비되며, 웜휠(156)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06)에 장착되어 모터(146)의 구동에 의한 웜축(154)의 회전력이 조향축(106)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기어 하우징(160)에는 웜(152), 웜휠(156) 등이 내주하고 기어 하우징(160)의 일측으로 웜축(15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6)가 구비되며, 기어 하우징(160)과 모터(146)는 모터 커버(130)에 의해 볼트(150)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감속기는 차량 운행조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한 웜축의 회전력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에 부가하여 조향축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운전 상태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하우징과 웜축베어링의 제조 또는 조립상의 오차로 인하여 하우징과의 과대 또는 과소 간극으로 인해 웜휠이 갑자기 회전하거나 회전방향이 바뀌면서 웜축의 웜휠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되면 하우징 내에서 웜축베어링이 부딪치게 되며, 래틀 소음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가 발생되며,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지 못해 운전자의 조향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과 웜축베어링의 제조 또는 조립시 오차가 생기더라도 하우징과의 과대 또는 과소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래틀 소음이 저감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키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웜축베어링; 웜축베어링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부시; 하우징 내측에서 부시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부시를 웜축베어링에 밀착시키며 하우징과 웜축베어링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댐퍼; 댐퍼를 관통하여 부시를 웜휠방향으로 가압하는 유격보상기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와 부시가 구비되어 하우징과 웜축베어링의 제조 또는 조립상의 오차로 인하여 하우징과의 과대 또는 과소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며, 웜휠이 갑자기 회전하거나 회전방향이 변함에 따른 웜축의 웜휠에 대한 저항력이 완충되고, 이에 따라 래틀 소음이 저감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감속기는, 웜휠(202)과 치합되는 웜축(204)의 모터축(208)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웜축베어링(210); 웜축베어링(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275)가 형성되는 부시(270); 하우징(230) 내측에서 부시(27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부시(270)를 웜축베어링(210)에 밀착시키며 하우징(230)과 웜축베어링(210)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댐퍼(250); 댐퍼(250)를 관통하여 부시(270)를 웜휠(202)방향으로 가압하는 유격보상기구(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자동차의 감속기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이외에도 웜축과 웜휠을 이용한 어떠한 감속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구비되는 자동차의 감속기로 설명한다.
웜휠(202)은 웜축(204)과 치합되는데, 이러한 웜휠(202)은 조향휠(미도시)과 연결되는 조향축(206)에 결합된다.
웜축(204)은 모터(207)와 연결되어 모터(207)의 구동에 의해 웜축이 회전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웜축(204) 상에 형성된 웜(205)과 웜휠(202)이 치합되는데, 웜축(204)의 양단에는 웜축베어링(209,210)이 결합되고, 이러한 웜축베어링(209,210)은 하우징(23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웜축베어링(209,210) 중 웜축(204)의 모터축(208) 반대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웜축베어링(210)은 웜축(204)의 단부에 결합되는 내륜(213), 하우징(230) 내측면에 결합되는 외륜(211), 내륜(213)과 외륜(211) 사이에 결합되는 볼(215)로 이루어진다.
이때, 웜축베어링(2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부시(270)와 댐퍼(250)가 결합되어 하우징(230)과 웜축베어링(210) 사이의 과대 또는 과소 간극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을 저감시키며 웜휠(202)이 갑자기 회전하거나 회전방향이 바뀜에 따라 발생되는 웜축(204)의 웜휠(202)에 대한 저항력이 완충되어 웜휠(202)과 웜축(204)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한다.
부시(270)는 중공형상으로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275)가 형성되며 웜축베어링(2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때, 부시(270)는 내마모성과 저마찰성뿐만 아니라 소정의 휨과 강성을 구비하며 열에 의한 신축성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것이 요구되므로, 폴리 아세탈(POM), 폴리 아미드(PA),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 이미드(PI), 폴리 부틸렌 테레프 탈레이트(PBT)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엔지니어링 플리스틱계열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부시(270)는 조립시 절개부(275)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직경이 조절되므로 웜축베어링(210)의 제조 또는 조립상의 오차가 생기더라도 하우징(230)과 과대 또는 과소 간극이 발생되지 않는다.
더불어,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에 댐퍼(250)가 결합된다.
댐퍼(250)는 중공형상으로 하우징(230) 내측에서 부시(27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부시(270)를 웜축베어링(210)에 밀착시키며 하우징(230)과 웜축베어링(210) 사이를 탄성지지하여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 부시(270)와 웜축베어링(210) 사이의 과대 또는 과소 간극을 제거하며, 웜축(204)이 회전할 때 외부에서 충격이 전달되거나 웜휠(202)의 회전방향이 바뀜에 따라 발생되는 웜축(204)의 웜휠(202)에 대한 저항력을 완충한다.
이러한 댐퍼(250)는 조립시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에 압축되어 결합되는데, 압축된 후에도 일정한 강성이 유지되도록, 댐퍼(250)는 외주면과 내주면에 요홈 형상의 슬릿(251)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댐퍼(250)에 슬릿(251)이 형성되어, 댐퍼(250)가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에서 압축되기 용이해지며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에서 압축되더라도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외주면에 형성되는 슬릿(251)과 내주면에 형성되는 슬릿(25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슬릿(251)이 외주면과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 가며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압축된다.
이러한 댐퍼(250)가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에 결합되도록, 부시(27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요홈 형상의 그루브(271)가 형성되며, 하우징(230)의 내주면에는 요홈 형상의 결합홈(231)이 형성됨으로써 그루브(271)와 결합홈(231)에 댐퍼(250)가 결합되어 댐퍼(250)가 웜축(204)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부시(270)의 외주면 중 요홈 형상의 그루브(271)가 형성되지 않은 외주면은 하우징(23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된다.
한편, 하우징(230)의 내주면은 웜휠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직경이 큰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서 웜축베어링(210)이 웜휠(202)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웜축(204)과 웜휠(202)의 내구에 따라 웜휠(202)의 기어가 마모되는 경우 웜축(204)이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웜휠(202)의 흡습으로 인한 기어의 팽창시 웜축(204)이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웜축베어링(210)이 웜휠(202)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댐퍼(250)에 하우징(230)의 관통홀(233)과 연통되는 연통홀(253)이 형성되며, 연통홀(253)을 관통하여 부시(270)를 웜휠(202)방향으로 가압하는 유격보상기구(290)가 더 구비된다.
유격보상기구(290)는 하우징(230)에 형성되는 관통홀(233)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부시(270)를 웜휠(202)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95)와 관통홀(233)에 나사결합되어 탄성부재(295)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291)로 이루어진다.
조절부재(29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230)의 관통홀(233)에 나사결합되며, 외측에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홈(293)이 형성되어 공구가 조절부재(29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내측에 탄성부재(295)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수용홈(292)이 형성된다.
이때, 조절부재(291)는 외측에 공구홈(293)이 형성되어 렌치 등의 공구로 조절될 수도 있으나, 외주면 일측이 각진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패너 등의 공구로 조절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295)는 조절부재(291)의 수용홈(292)에 가이드되면서 조절부재(291)와 부시(270) 사이를 탄성지지하며, 조절부재(291)가 점차 삽입될수록 탄성부재(295)의 압축량이 커져 부시(27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95)의 탄성력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95)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절부재(291)와 탄성부재(295)로 이루어지는 유격보상기구(290)는 연통홀(253)을 관통하여 부시(270)를 웜휠(202)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가압부재(297)가 더 구비되어 부시(2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재(297)는 스틸과 같은 금속이나 전술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탄성부재(295)와 부시(270)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부재(295)의 탄성력을 전달받아 부시(270)를 웜휠(202)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295)의 탄성력으로 가압부재(297)가 부시(270), 웜축베어링(210) 및 웜축(204)을 탄성지지하며, 하우징(230) 내주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웜휠(202)의 기어치가 마모되거나 웜휠(202)이 팽창하여 기어치가 커지는 경우에 따라 웜축(204)이 웜휠(202)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절부재(291), 탄성부재(295), 가압부재(297)로 이루어지는 유격보상기구(290)의 유격보상 메카니즘에 대하여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후술한다.
먼저, 도 4의 (a)는 유격보상기구(290)가 없는 상태에서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230)의 내주면에 웜축(204), 웜축베어링(210), 부시(270), 및 댐퍼(25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립시 부시(270)는 하우징(230)에 절개부(275)의 길이가 좁아지는 상태로 압축되어 결합되므로, 유격보상기구(290)가 없는 상태의 절개부의 길이(475a)는 조립되기 전의 절개부(275)의 길이보다 좁아지게 되어 절개부의 길이(475a)가 넓어지려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어서, 도 4의 (b)는 유격보상기구(29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격보상기구(290)가 설치됨으로써, 조절부재(29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가압부재(297)가 부시(270)를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웜축(204)이 타원형상의 하우징(230)을 따라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하여 셋팅되면서 부시(270)의 절개부의 길이(475b)가 더 좁아지게 된다.
즉, 하우징(230)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웜축(104)이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맞닿은 하우징(230) 내주면의 곡률반경이 양측 웜휠(202)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어, 부시(270)가 오므라지므로 유격보상기구(290)가 부시(270)를 가압한 상태의 절개부의 길이(475b)는 유격보상기구(290)가 조립되기 전의 절개부의 길이(475a)보다 더 좁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의 (b)와 같이, 유격보상기구(290)가 부시(270)를 가압한 상태에서 웜휠(202)이 마모되거나, 웜휠(202)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204)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 4의 (c)와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래쉬를 보상한다.
먼저, 웜축(204)과 웜휠(202)의 내구에 따라 웜휠(202)의 기어가 마모되는 경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보상기구(290)의 탄성부재(295)의 탄성력으로, 웜축(204)이 타원형상의 하우징(230)을 따라 웜휠(202)방향으로 더 이동하게되고 이때, 하우징(230) 내주면의 곡률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어, 부시(270)의 절개부의 길이(475c)는 도 4의 (b)에서의 절개부의 길이(475b)보다 더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웜축(204)의 상하이동을 통해 웜축(204)과 웜휠(202) 사이의 백래쉬 과대를 보상하며 동시에 부시의 절개부의 길이(475c)가 넓어지려는 탄성력에 의해 댐퍼와 하우징이 밀착지지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되며, 웜축(204)의 웜휠(202)에 대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 웜휠(202)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경우는,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202)의 기어치가 팽창하여 웜휠(202)이 웜축(204)을 반대방향으로 으로 밀어 탄성부재(295)를 압축시키며, 동시에 웜축(204)이 타원형상의 하우징(230)을 따라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맞닿은 하우징(230) 내주면의 곡률반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므로 부시(270)의 절개부의 길이(475d)는 도 4의 (b)에서의 절개부의 길이(475b)보다 넓어지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시(270)는 탄성부재(295)의 탄성지지로 인해 하우징(230)의 타원형상 내주면을 따라 상하이동되면서 절개부(275)의 길이 변화가 이루어져 댐퍼(250)와 하우징(230)의 간극이 보상될수 있게 된다.
즉, 하우징(230)의 타원형상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부시의 절개부(275)의 길이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외측으로 벌어지는 탄성력으로 댐퍼(250)를 하우징(230)에 밀착 지지하며 진동과 소음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웜축(204)이 웜휠(202)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웜휠(202)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202)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204)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웜축(204)과 웜휠(202)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킨다.
단, 본 발명의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 내주면의 타원형상과 절개부의 길이 및 웜축의 웜휠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 등을 확대하여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이나 길이 및 이동거리는 실제로는 미세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유격보상기구(290)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유격보상기구(590)는 일측이 하우징(230)의 내주면을 지지하고 타측이 댐퍼(250)에 삽입되어 부시(27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는 일예로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유격보상기구(590)는 하우징(230)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81)와, 지지부(581)의 양단에서 벤딩되어 댐퍼(250)에 형성되는 삽입홀(555)을 관통하여 부시(270)를 탄성지지하는 절곡부(583)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581)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절곡부(583)는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에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되어 부시(270)를 웜축(204)과 웜휠(202)이 치합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웜휠(202)의 마모 및 흡습에 따른 백래쉬의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웜휠(202)에 대한 웜축(204)의 저항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게 된다.
즉, 유격보상기구(590)는 하우징(230)과 부시(270) 사이에 압축되어 조립되며, 웜축(204)과 웜휠(202)의 내구에 따라 웜휠(202)의 기어가 마모되는 경우 웜휠(202)의 기어와 웜(205) 사이에서 백래쉬 과대 문제가 발생되는데, 절곡부(583)와 지지부(581)가 멀어지려는 유격보상기구(590)의 탄성력으로 부시(270)를 가압하여 부시(270)의 절개부(275)의 길이가 좁아지면서 웜축(204)이 웜휠(20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웜휠(202)의 기어와 웜(205)이 안정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반대로, 웜휠(202)이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경우 웜휠(202)의 기어와 웜(205) 사이에서 백래쉬 과소 문제가 발생되는데, 절곡부(275)가 지지부(581)에 가까워지는 탄성변형이 일어나면서 유격보상기구(590)가 압축되어 부시(270)의 절개부(275)의 길이가 넓어지면서 웜축(204)이 웜휠(202)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웜휠(202)의 기어와 웜(205)의 백래쉬 과소를 보상하게 된다.
더불어, 웜휠(202)이 갑자기 회전하거나, 회전방향이 바뀌는 경우 웜축(204)은 이에 따라 저항력이 발생되는데, 유격보상기구(590)는 양측의 절곡부(583)가 웜축(204)과 웜휠(202)이 치합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두 곳에서 탄성지지함으로써 웜휠(202)에 대한 웜축(204)의 저항력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유격보상기구(590)가 두 곳에서 지지하는 구조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격보상기구(290) 또한 두 곳에 구비되어 웜축(204)을 두 곳에서 지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댐퍼와 부시가 구비되어 하우징과 웜축베어링의 제조 또는 조립상의 오차로 인하여 하우징과의 과대 또는 과소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며, 웜휠이 갑자기 회전하거나 회전방향이 변함에 따른 웜축의 웜휠에 대한 저항력이 완충되고, 이에 따라 래틀 소음이 저감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웜휠의 마모로 인하거나 웜휠의 흡습팽창으로 인한 웜축과의 백래쉬 과대 또는 과소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력을 정확하게 전달하며, 웜축과 웜휠 사이에서 동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정확한 조향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2: 웜휠 204: 웜축
205: 웜 206: 조향축
207: 모터 208: 모터축
209,210: 웜축베어링 211: 외륜
213: 내륜 215: 볼
230: 하우징 231: 결합홈
233: 관통홀 250: 댐퍼
251: 슬릿 253: 연통홀
555: 삽입홀 270: 부시
271: 그루브 275: 절개부
290: 유격보상기구 291: 조절부재
292: 수용홈 293: 공구홈
295: 탄성부재 297: 가압부재
475a, 475b, 475c, 475d: 절개부의 길이
581: 지지부 583: 절곡부

Claims (11)

  1. 웜휠과 치합되는 웜축의 모터축 결합부위 반대쪽 단부에 결합되는 웜축베어링;
    상기 웜축베어링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부시;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부시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댐퍼;
    상기 댐퍼를 관통하여 상기 부시를 웜휠방향으로 가압하는 유격보상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격보상기구가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격보상기구는 상기 댐퍼를 관통하여 상기 부시에 웜휠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관통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보상기구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부시 사이에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웜휠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외주면과 내주면에 요홈 형상의 슬릿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요홈 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에 상기 댐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요홈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상기 댐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웜축베어링이 상기 웜휠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보상기구는 상기 하우징 내주면과 상기 부시 외주면 사이에서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보상기구는 상기 하우징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벤딩되어 상기 부시를 탄성지지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하우징과 부시 사이에 탄성변형되면서 결합되어 상기 부시를 상기 웜축과 웜휠이 치합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는 상기 부시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감속기.
KR1020150004011A 2015-01-12 2015-01-12 자동차의 감속기 KR10228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11A KR102281674B1 (ko) 2015-01-12 2015-01-12 자동차의 감속기
US14/988,679 US10054194B2 (en) 2015-01-12 2016-01-05 Automobile reducer
DE102016000023.6A DE102016000023B4 (de) 2015-01-12 2016-01-05 Kraftfahrzeug-Reduziereinrichtung
CN201610017228.0A CN105782402B (zh) 2015-01-12 2016-01-12 汽车减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11A KR102281674B1 (ko) 2015-01-12 2015-01-12 자동차의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003A true KR20160087003A (ko) 2016-07-21
KR102281674B1 KR102281674B1 (ko) 2021-07-27

Family

ID=5623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011A KR102281674B1 (ko) 2015-01-12 2015-01-12 자동차의 감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54194B2 (ko)
KR (1) KR102281674B1 (ko)
CN (1) CN105782402B (ko)
DE (1) DE102016000023B4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629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90092715A (ko) * 2018-01-31 2019-08-08 위월드 주식회사 백래시 조절구조를 갖는 웜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팝업 안테나
KR20210084950A (ko) * 2019-12-30 2021-07-08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WO2023282496A1 (ko) * 2021-07-09 2023-01-12 대원산업 주식회사 유격 보상 장치를 갖는 기어 박스와, 차동 동력 수평 수직 전환형 액츄에이터 모듈 및 유격 보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02825D0 (en) * 2015-02-19 2015-04-08 Trw Ltd Gearbox for electric assisted steering apparatus
KR102384166B1 (ko) * 2015-12-24 2022-04-08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GB201616486D0 (en) * 2016-09-28 2016-11-09 Trw Limited A gearbox assembly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2566335B1 (ko) 2016-10-10 2023-08-14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FR3067084B1 (fr) * 2017-05-31 2019-07-19 Jtekt Europe Bouchon d’etancheite pour carter de reducteur portant un chariot de compensation de jeu d’engrenement
DE102017209563A1 (de) * 2017-06-07 2018-12-13 Robert Bosch Gmbh Loslager, Lenkgetriebe und Lenksystem
DE102017218897A1 (de) * 2017-10-23 2019-04-25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CN108488369B (zh) * 2018-03-27 2021-01-0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间隙可调的转向管柱及汽车
CN108644352A (zh) * 2018-04-27 2018-10-1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转向器涡轮蜗杆间隙补偿机构
KR102033558B1 (ko) * 2018-05-18 2019-10-17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N108843741B (zh) * 2018-09-08 2024-02-13 江阴市华方新能源高科设备有限公司 一种带阻尼缓冲输出回转式减速器
DE102018123960A1 (de) * 2018-09-27 2020-04-02 Trw Automotive Gmbh Elektromotorisch unterstütztes Lenksyste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enksystemen
DE102018217459A1 (de) * 2018-10-12 2020-04-16 Robert Bosch Gmbh Lenkgetriebe und Le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217460A1 (de) * 2018-10-12 2020-04-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Vorbereitung eines Lenkgetriebes für eine anschließende Nutzung und Lenkgetriebe
KR20200098263A (ko) * 2019-02-12 2020-08-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 조향장치의 노이즈 저감 장치
KR102517943B1 (ko) * 2019-09-10 2023-04-04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동차 조향컬럼
CN115135892A (zh) * 2020-01-16 2022-09-30 圣戈班性能塑料万科有限公司 用于转向组件的轴承
CN113847391A (zh) * 2021-09-15 2021-12-28 浙江航驱汽车科技有限公司 用于汽车转向系统的蜗轮蜗杆间隙调节机构
CN113847416A (zh) * 2021-09-15 2021-12-28 浙江航驱汽车科技有限公司 用于汽车转向系统的蜗轮蜗杆间隙自动调节机构
CN113788065A (zh) * 2021-10-20 2021-12-14 枣庄科技职业学院 一种汽车助力装置
CN114475771A (zh) * 2022-01-20 2022-05-13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能够调节蜗轮蜗杆间隙的电动助力转向系统及汽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7642B1 (en) * 1999-07-15 2003-03-04 Koyo Seiko Co., Ltd. Power transmission coupling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20080088104A1 (en) * 2006-10-13 2008-04-17 Arlt George E Steering gear assembly having rack bushing
KR20110064013A (ko) * 2009-12-07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웜샤프트 지지댐퍼
KR101095978B1 (ko) * 2011-04-08 2011-12-1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03661576A (zh) * 2012-09-24 2014-03-26 日立汽车系统转向器株式会社 动力转向装置及动力转向装置用减速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5128C2 (sv) * 1995-10-10 1997-06-30 Alfa Laval Ab Dämpningsanordning
US8336412B1 (en) * 2000-07-11 2012-12-25 Koyo Seiko Co., Lt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3653611B2 (ja) * 2000-05-18 2005-06-02 光洋精工株式会社 電動式舵取装置
JP4657590B2 (ja) * 2002-08-28 2011-03-23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及びそれを具備した軸受機構
WO2004052712A1 (ja) * 2002-12-09 2004-06-24 Nsk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575090B2 (en) * 2003-04-18 2009-08-18 Jtekt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KR100571156B1 (ko) * 2004-10-11 2006-04-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형 베어링
JP4872372B2 (ja) * 2006-02-14 2012-02-0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TE517018T1 (de) * 2006-11-04 2011-08-15 Trw Ltd Schneckenantrieb für elektrische unterstützte lenk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bewegung der schneckenwellen in einem schneckenantrieb
DE102008009107B4 (de) * 2008-02-14 2010-06-17 Jtekt Europe Mechanisches Untersetzungsgetriebe mit Schnecke und Schneckenrad
DE102008040235A1 (de) * 2008-07-08 2010-01-14 Zf Lenksysteme Gmbh Lenkgetriebe in einem Lenksystem eines Kraftfahrzeugs
US8905185B2 (en) * 2009-12-23 2014-12-09 Mando Corporatio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DE102010031425A1 (de) * 2010-07-16 2012-01-19 Zf Friedrichshafen Ag Schneckengetriebe, Mehrstufengetriebe und Verwendung
US8535251B1 (en) * 2011-04-04 2013-09-17 Subhakar Patthi Rao Mechanical device to assist in the external compression of the chest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1095979B1 (ko) * 2011-04-08 2011-12-1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50004011A (ko) 2013-07-02 2015-01-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정화된 다중 알파-나선 구조를 갖는 펩타이드와 금 나노입자의 복합 나노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1110B1 (ko) * 2014-06-11 2020-09-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베어링 부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7642B1 (en) * 1999-07-15 2003-03-04 Koyo Seiko Co., Ltd. Power transmission coupling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20080088104A1 (en) * 2006-10-13 2008-04-17 Arlt George E Steering gear assembly having rack bushing
KR20110064013A (ko) * 2009-12-07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웜샤프트 지지댐퍼
KR101095978B1 (ko) * 2011-04-08 2011-12-19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N103661576A (zh) * 2012-09-24 2014-03-26 日立汽车系统转向器株式会社 动力转向装置及动力转向装置用减速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629A (ko) * 2017-02-01 2018-08-09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90092715A (ko) * 2018-01-31 2019-08-08 위월드 주식회사 백래시 조절구조를 갖는 웜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팝업 안테나
KR20210084950A (ko) * 2019-12-30 2021-07-08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어 박스
WO2023282496A1 (ko) * 2021-07-09 2023-01-12 대원산업 주식회사 유격 보상 장치를 갖는 기어 박스와, 차동 동력 수평 수직 전환형 액츄에이터 모듈 및 유격 보상 장치
KR20230009614A (ko) * 2021-07-09 2023-01-17 대원산업 주식회사 유격 보상 장치를 갖는 기어 박스와, 차동 동력 수평 수직 전환형 액츄에이터 모듈 및 유격 보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1760A1 (en) 2016-07-14
CN105782402A (zh) 2016-07-20
KR102281674B1 (ko) 2021-07-27
CN105782402B (zh) 2019-02-01
US10054194B2 (en) 2018-08-21
DE102016000023A1 (de) 2016-07-14
DE102016000023B4 (de)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7003A (ko) 자동차의 감속기
JP444242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9010483B2 (en) Power steering device and backlash adjuster
US6763738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KR102281681B1 (ko) 자동차의 감속기
US7461571B2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EP1568569B1 (en) Extendable shaft for vehicle steering
US838186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101477907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N108372880B (zh) 电动助力转向设备的减速器
EP3279506B1 (en) Worm gear reducer
EP3572301B1 (en)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07750218B (zh) 一种用于电动助力转向装置的变速器
KR101204306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JP2007247734A (ja) ウォーム式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089629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2014030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50028887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200625649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085802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018361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626990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643774B1 (ko) 차량용 웜감속기
JP3898548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3007883A (ja) ウォーム減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