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943B1 - 자동차 조향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943B1
KR102517943B1 KR1020190111844A KR20190111844A KR102517943B1 KR 102517943 B1 KR102517943 B1 KR 102517943B1 KR 1020190111844 A KR1020190111844 A KR 1020190111844A KR 20190111844 A KR20190111844 A KR 20190111844A KR 102517943 B1 KR102517943 B1 KR 10251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lumn
steering column
telescopic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577A (ko
Inventor
허용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1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43B1/ko
Priority to PCT/KR2020/011898 priority patent/WO2021049821A1/ko
Priority to DE112020004248.0T priority patent/DE112020004248T5/de
Priority to US17/641,807 priority patent/US11999406B2/en
Priority to CN202080063840.6A priority patent/CN114364594B/zh
Publication of KR2021003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외주면 일측에 디스턴스 하우징이 구비되어 있는 어퍼 컬럼, 디스턴스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홈이 축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고정부재, 어퍼 컬럼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어드저스트 볼트가 관통하는 한쌍의 돌출단부가 구비되며, 돌출단부 한쪽에 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장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로워 컬럼, 장착홈에 결합되며 하측 단부에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컬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향컬럼에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조향컬럼의 컬랩스 하중 조절이 용이해지며 동시에 자동차의 종류별 충돌 특성에 맞추어 컬랩스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이 좋아지게 되고,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향컬럼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및 틸트(Tilt) 기능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및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차 조향컬럼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는 캡슐과 같은 충돌에너지 흡수 부품과, 테어링 플레이트나 벤딩 플레이트와 같은 충돌에너지 흡수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와 다수의 부품을 장착해야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 증가와 작업 공정의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슐의 파단에 의한 1차 하중 흡수 후 테어링 플레이트에 의한 2차 하중 흡수시 일정한 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테어링 그루브의 파단에 의한 충격 흡수방식은 제품 제작이 복잡하고, 변형이 수직으로 일어나 주변 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하중의 좌우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조향컬럼에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 충돌시 조향컬럼의 컬랩스 하중 조절이 용이해지며 동시에 자동차의 종류별 충돌 특성에 맞추어 컬랩스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이 좋아지게 되고,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은 외주면 일측에 디스턴스 하우징이 구비되어 있는 어퍼 컬럼, 디스턴스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홈이 축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고정부재, 어퍼 컬럼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어드저스트 볼트가 관통하는 한쌍의 돌출단부가 구비되며, 돌출단부 한쪽에 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장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로워 컬럼, 장착홈에 결합되며 하측 단부에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컬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 충돌시 조향컬럼의 컬랩스 하중 조절이 용이해지며 동시에 자동차의 종류별 충돌 특성에 맞추어 컬랩스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이 좋아지게 되고,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이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과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 중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이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은, 외주면 일측에 디스턴스 하우징(200)이 구비되어 있는 어퍼 컬럼(130),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홈(210a)이 축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 어퍼 컬럼(130)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슬릿(151a)이 형성되고 슬릿(151a)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어드저스트 볼트(109)가 관통하는 한쌍의 돌출단부(153)가 구비되며, 돌출단부(153) 한쪽에 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장착홈(155)이 구비되어 있는 로워 컬럼(150), 장착홈(155)에 결합되며 하측 단부에 걸림홈(210a)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67a)가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은 로워 컬럼(150)에 삽입 결합된 어퍼 컬럼(130)이 축방향으로 텔레스코프 운동이 가능한 자동차 조향컬럼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어퍼 컬럼(130)이 로워 컬럼(150)쪽으로 컬랩스되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어퍼 컬럼(130)은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시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01)을 감싸며 조향축(101)의 외측에 구비되어 자동차의 충돌시 로워 컬럼(150)쪽으로 슬라이딩되는 컬랩스 작동이 될 수 있도록 로워 컬럼(150)에 삽입된다.
어퍼 컬럼(130)이 내측에 삽입되는 로워 컬럼(150)은 어드저스트 볼트(109)가 관통되는 틸트슬릿(105a)가 구비된 플레이트 브라켓(105)과 마운팅 브라켓(107)에 의해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며, 로워 컬럼(150)의 하단부에는 모터(111)에 의해 조향축(101)의 조향력을 보조하는 조향보조장치(115)가 구비된다.
어퍼 컬럼(130)은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로워 컬럼(15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컬랩스 작동시 로워 컬럼(150)의 안쪽으로 축방향의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어퍼 컬럼(130)은 외주면 일측에 디스턴스 하우징(200)이 구비되어 있고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일측면에는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가 구비되는데,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에는 복수개의 걸림홈(210a)이 축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어퍼 컬럼(130)의 외주측에 결합되는 로워 컬럼(150)은, 외주면에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슬릿(151a)이 형성되고 슬릿(151a)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어드저스트 볼트(109)가 관통하는 한쌍의 돌출단부(153)가 구비되어 있다.
로워 컬럼(150)의 돌출단부(153) 중 한쪽에는 돌출단부(153)의 외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장착홈(155)이 구비되어 있어서,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의 걸림홈(210a)에 결합되는 걸림돌기(167a)가 하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가 장착홈(155)에 결합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프 작동시에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의 걸림돌기(167a)가 걸림홈(210a)에서 이탈되면서 축방향의 텔레스코프 이동이 이루어지고, 자동차의 충돌시에는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가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에 결합된 상태로 어퍼 컬럼(130)만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컬랩스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의 상단과 장착홈(155)의 내측면 사이에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를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61)가 구비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61)는 코일스프링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한 그 어떠한 구조의 탄성부재도 이용될 수 있다.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의 상단에는 탄성부재(161)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착돌기(165)가 형성되어 탄성부재(16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장착홈(155)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단부(153)의 상단에 장착홈(155)과 연통되는 연통홀(153a)이 형성되어 탄성부재(16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62)가 결합되며 탄성부재(16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홈(155)에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캠부재(157)가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의 측면으로 배치되며 결합될 수 있는데, 레버캠부재(157)의 관통홀(156)에는 부시(108)를 매개로 어드저스트 볼트(109)가 관통 결합되어 조정레버(103)의 회전시 레버캠부재(157)의 원주면(154)이 장착홈(155)에 지지되면서 조정레버(103)에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지지돌기(16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레버캠부재(157)의 일측에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의 지지돌기(163)를 지지하는 지지암(158)이 연장 형성되어 있어서, 레버캠부재(157)의 회전시 지지암(158)이 지지돌기(163)를 지지하며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를 상하로 작동시키게 된다.
즉, 텔레스코프 작동이 필요할 때에는 조정레버(103)를 회전시키면 캠부재(110)에 의해 플레이트 브라켓(105)의 조임력이 줄어들면서 조정레버(103)와 일체로 회전되는 레버캠부재(157)의 지지암(158)이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의 지지돌기(163)를 지지하며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돌기(167a)가 걸림홈(210a)에서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프 작동이 완료되어 조정레버(103)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탄성부재(161)에 의해 텔레스코프 이동부재(16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167a)가 걸림홈(210a)에 결합되는데, 이때 걸림돌기(167a)가 걸림홈(210a) 사이에 지지되는 경우 즉, 투쓰 온 투쓰(tooth on tooth)가 발생되어도 탄성부재(161)가 압축되면서 조정레버(103)의 잠김이 이루어지게 되고, 탄성부재(16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걸림돌기(167a)가 걸림홈(210a)으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일측면에는 압입홈(201)이 형성되어 있어서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가 압입 고정되거나,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일측면에 고정홀(203a)이 형성되고 텔레스코프 고정부재(210)의 후면에 고정돌기(212)가 형성되어 고정홀(203a)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컬럼(130)의 외주면에는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41)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디스턴스 하우징(200)과 디스턴스 브라켓(141)의 타측면에는 결합홀(194a, 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충돌시 일정 하중 이상에서 파단되는 파단볼트(194)가 결합홀(194a, 145)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텔레스코프 작동시에는 파단볼트(194)에 의해 디스턴스 하우징(200)과 디스턴스 브라켓(141) 및 어퍼 컬럼(130)이 일체로 고정되어 로워 컬럼(15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자동차의 충돌시 일정 하중 이상이 조향컬럼에 전달되면 어퍼 컬럼(13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하중으로 파단볼트(194)가 파단되어 어퍼 컬럼(130)과 디스턴스 브라켓(141)이 축방향의 컬랩스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디스턴스 브라켓(141)은 어퍼 컬럼(13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양측면의 단부(143a, 143b)가 절곡되어 어퍼 컬럼(130)의 외주면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용접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일단부는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단부에 지지되며 고정되고 타단부는 디스턴스 브라켓(141)의 하측 단부를 감싸며 벤딩되어 어퍼 컬럼(130)의 외주면과 디스턴스 브라켓(141)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벤딩부재(175)가 구비되어, 충돌시 파단볼트(194)가 파단되면 어퍼 컬럼(130)과 함께 컬랩스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41)이 제1벤딩부재(175)를 소성변형시키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제1벤딩부재(175)의 일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단부(175a)가 형성되어 있고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단부 상단에는 안착홈(203)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연장단부(175a)가 안착홈(203)에 삽입되며 결합되어 제1벤딩부재(175)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안착홈(203)에는 고정돌기(205)가 돌출 형성되고 제1벤딩부재(175)의 제1연장단부(175a)에는 고정돌기(205)가 결합되는 고정홈(175h)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벤딩부재(175)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시 제1벤딩부재(175)는 어퍼 컬럼(130)과 함께 컬랩스 이동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41)에 의해 벤딩부위(175d)가 펼쳐지는 소성변형이 이루어지면 자동차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일단부는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1벤딩부재(175)를 감싸며 벤딩되어 어퍼 컬럼(130)의 외주면과 제1벤딩부재(175)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벤딩부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벤딩부재(170)는 자동차의 충돌에너지 흡수량을 선택적으로 배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제1벤딩부재(175)와 함께 밀착되며 일단부가 디스턴스 하우징(200)에 지지되며 후술할 액츄에이터(190)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된다.
즉, 제2벤딩부재(170)의 일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단부(170a)가 형성되어 있고 제2연장단부(170a)에서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단부(170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곡단부(170c)를 디스턴스 하우징(200)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액츄에이터(19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벤딩부재(170)를 디스턴스 하우징(200)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절곡단부(170c)에는 액츄에이터(190)의 작동핀(193)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홀(193a)이 형성되어 있고,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측면에는 고정홀(192a)이 형성되어 고정부재로 액츄에이터(190)와 고정된다.
따라서, 자동차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센서에 의해 측정된 충격하중이 일정 이상 또는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서 전자제어장치가 송신하는 신호에 따라서 액츄에이터(190)의 작동핀(193)이 지지홀(193a)로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제2벤딩부재(170)의 충돌에너지 흡수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벤딩부재(170)가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지 않게 즉, 소성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만 이루어지도록 제2연장단부(170a)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이 개구된 슬릿(170b)의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는 분기단부(172)가 형성되고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상단에는 체결홀(180a)이 구비된 수용홈(207)이 형성되어 슬릿(170b)을 관통하는 텔레스코프 스토퍼(180)가 체결홀(180a)에 결합된다.
따라서, 충격하중이 일정 이상 또는 이하인 경우에 전자제어장치가 송신하는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190)의 작동핀(193)이 지지홀(193a)에서 이탈되고, 이로 인해 자동차의 충돌시 어퍼 컬럼(130)과 함께 컬랩스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41)이 제1벤딩부재(175)를 소성변형시키면서 컬랩스가 이루어지면 제2벤딩부재(170)의 분기단부(172)가 슬릿(170b)을 통해 텔레스코프 스토퍼(180)에서 이탈되어 제2벤딩부재(170)가 소성변형되지 않고 슬라이딩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충돌에너지 흡수 과정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였는데, 제1벤딩부재(175)와 제2벤딩부재(170)가 함께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경우를 순차적으로 도 12와 도 13에 도시하였고, 제2벤딩부재(170)는 슬라이딩만 이루어지고 제1벤딩부재(175)만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경우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2와 도 13을 도 5 내지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이 경우 액츄에이터(190)의 작동핀(193)이 제2벤딩부재(170)의 지지홀(193a)에 결합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 제2벤딩부재(170)의 일단부가 디스턴스 하우징(200)에 구속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컬럼 어퍼의 컬랩스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디스턴스 브라켓(141)에 의해 제1벤딩부재(175)와 제2벤딩부재(170)의 벤딩부위(175d, 170d)가 펼쳐지는 소성변형이 이루어지게 되어, 제2벤딩부재(170)의 벤딩부위(170d)에서 일단부의 끝까지의 길이 A가 A'로 늘어나게 되고, 제1벤딩부재(175)와 제2벤딩부재(170)의 자유단(175e, 170e)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 14를 도 5내지 도 11과 함께 참조하면, 이 경우 액츄에이터(190)의 작동핀(193)이 제2벤딩부재(170)의 지지홀(193a)에서 분리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 제2벤딩부재(170)의 분기단부(172)가 슬릿을 통해 텔레스코프 스토퍼(180)에서 이탈되면서 제2벤딩부재(170)는 소성변형되지 않고 슬라이딩만 이루어지게 되고, 제1벤딩부재(175)의 벤딩부위(175d)만 소성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벤딩부재(170)의 벤딩부위에서 일단부의 끝까지의 길이 A와 제2벤딩부재(170)의 자유단(170e)의 길이는 변화가 없고, 제1벤딩부재(175)의 자유단(175e)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한편, 텔레스코프 스토퍼(180)는 디스턴스 하우징(200)의 상단에는 구비된 체결홀(180a)에 압입 또는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에서 직경이 확대되어 텔레스코프 작동시 로워 컬럼(130)에 구비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작동홀(152)에 지지되는 머리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프 작동시 어퍼 컬럼(130)이 슬라이딩할 때 텔레스코프 스토퍼(180)가 텔레스코프 작동홀(152)에 지지되면서 텔레스코프 작동 거리가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스코프 스토퍼(180)의 머리부에는 링형상의 댐퍼(181)가 결합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텔레스코프 작동시에는 로워 컬럼(150)의 텔레스코프 작동홀(152)의 양측에 댐퍼(181)가 지지되면서 댐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어퍼 컬럼(130)은 디스턴스 브라켓(141)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평면부(134)가 형성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충돌시 제2벤딩부재(170)가 평면부에 밀착지지되며 마찰력을 발생시켜 충돌에너지 흡수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턴스 브라켓(141)은 제1벤딩부재(175)의 벤딩부위(175d)와 맞닿는 끝단부에 제1벤딩부재(175)를 밀착 지지하며 벤딩시키는 접촉부재(148)가 결합되어 충돌시 제1벤딩부재(175)와의 매끄러운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며, 접촉부재(148)의 끝단부는 매끄러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재(148)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틸 재질의 디스턴스 브라켓(14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디스턴스 브라켓(141)의 끝단에 압입홈(147)을 형성하고 접촉부재(148)의 끝단에 압입돌기(148a)를 형성하여 맞물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컬랩스 슬라이딩되는 부품과 고정되는 부품이 서로 방해받지 않고 매끄럽게 컬랩스 작동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 충돌시 조향컬럼의 컬랩스 하중 조절이 용이해지며 동시에 자동차의 종류별 충돌 특성에 맞추어 컬랩스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충돌 성능이 좋아지게 되고, 부품수 감소와 조립 공정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조향축 103: 조정레버
109: 어드저스트 볼트 130: 어퍼 컬럼
141: 디스턴스 브라켓 150: 로워 컬럼
153: 돌출단부 155: 장착홈
157: 레버캠부재 160: 텔레스코프 이동부재
170: 제2벤딩부재 175: 제1벤딩부재
200: 디스턴스 하우징 210: 텔레스코프 고정부재

Claims (20)

  1. 외주면 일측에 디스턴스 하우징이 구비되어 있는 어퍼 컬럼;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홈이 축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고정부재;
    상기 어퍼 컬럼의 외주측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돌출 형성되며 어드저스트 볼트가 관통하는 한쌍의 돌출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단부 한쪽에 측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장착홈이 구비되어 있는 로워 컬럼;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며 하측 단부에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이동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컬럼의 외주면에는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는 디스턴스 브라켓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과 디스턴스 브라켓의 타측면에 결합홀이 형성되어 파단볼트로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단부에 지지되며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단부를 감싸며 벤딩되어 상기 어퍼 컬럼의 외주면과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1벤딩부재가 구비되며,
    일단부는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벤딩부재를 감싸며 벤딩되어 상기 어퍼 컬럼의 외주면과 상기 제1벤딩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벤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프 이동부재의 상단과 상기 장착홈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텔레스코프 이동부재를 상기 텔레스코프 고정부재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프 이동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장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단부의 상단에는 상기 장착홈과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텔레스코프 이동부재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시키는 레버캠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레버캠부재는 상기 어드저스트 볼트가 관통 결합되어 조정레버의 회전시 연동되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프 이동부재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캠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는 지지암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일측면에 압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텔레스코프 고정부재가 압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텔레스코프 고정부재의 후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은 상기 어퍼 컬럼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구비되도록 양측면의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어퍼 컬럼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딩부재의 일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된 제1연장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단부 상단에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장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안착홈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벤딩부재의 제1연장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벤딩부재의 일단부에는 양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연장단부에서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측면으로 절곡되는 절곡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단부를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액츄에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이 개구된 슬릿의 양측으로 분리 형성되는 분기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턴스 하우징의 상단에는 체결홀이 구비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텔레스코프 스토퍼가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프 스토퍼는 상기 체결홀에 압입 또는 나사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직경이 확대되어 텔레스코프 작동시 상기 로워컬럼에 구비되어 있는 텔레스코프 작동홀에 지지되는 머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프 스토퍼의 머리부에는 링형상의 댐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컬럼은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대향되는 외주면에 평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은 상기 제1벤딩부재의 벤딩부위와 맞닿는 끝단부에 상기 제1벤딩부재를 밀착 지지하며 벤딩시키는 접촉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
KR1020190111844A 2019-09-10 2019-09-10 자동차 조향컬럼 KR10251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844A KR102517943B1 (ko) 2019-09-10 2019-09-10 자동차 조향컬럼
PCT/KR2020/011898 WO2021049821A1 (ko) 2019-09-10 2020-09-04 자동차 조향컬럼
DE112020004248.0T DE112020004248T5 (de) 2019-09-10 2020-09-04 Lenksäule für ein fahrzeug
US17/641,807 US11999406B2 (en) 2019-09-10 2020-09-04 Steering column for vehicle
CN202080063840.6A CN114364594B (zh) 2019-09-10 2020-09-04 汽车驾驶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844A KR102517943B1 (ko) 2019-09-10 2019-09-10 자동차 조향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577A KR20210030577A (ko) 2021-03-18
KR102517943B1 true KR102517943B1 (ko) 2023-04-04

Family

ID=7486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844A KR102517943B1 (ko) 2019-09-10 2019-09-10 자동차 조향컬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99406B2 (ko)
KR (1) KR102517943B1 (ko)
CN (1) CN114364594B (ko)
DE (1) DE112020004248T5 (ko)
WO (1) WO2021049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30669B1 (de) * 2022-06-30 2024-01-30 Thyssenkrupp Presta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096A (ja) 2006-05-30 2008-01-17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03364B1 (ko) * 2018-01-26 2019-07-24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441A (ja) 2005-08-29 2007-03-15 Fuji Kiko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7735868B2 (en) * 2007-02-09 2010-06-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JP5257368B2 (ja) 2010-01-07 2013-08-07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GB201403098D0 (en) * 2014-02-21 2014-04-09 Trw Ltd A telescopic shroud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DE112015002019T5 (de) * 2014-04-28 2017-02-23 Namyang Ind. Co. Ltd: Lenksäule
FR3029489B1 (fr) * 2014-12-09 2018-06-15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Mecanisme de colonne de direction ajustable en profondeur a butee escamotable
KR102281674B1 (ko) 2015-01-12 2021-07-2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DE102015209060B4 (de) 2015-05-18 2016-12-01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und Energieabsorptionseinrichtung
KR101853543B1 (ko) 2016-05-19 2018-04-30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JP6810889B2 (ja) 2016-07-05 2021-01-13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022289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CN109789890B (zh) 2016-09-27 2022-03-04 Nsk有限公司 溃缩转向柱组件
US10099715B2 (en) 2016-10-14 2018-10-1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ationary energy absorption strap control assembly for vehicle steering column
KR101955431B1 (ko) * 2016-12-19 2019-03-08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DE102017103753A1 (de) 2017-02-23 2018-08-23 Trw Automotive Gmbh Lenksäulenbaugruppe
DE102017213895A1 (de) 2017-08-09 2019-02-14 Thyssenkrupp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US10421477B2 (en) 2017-11-07 2019-09-24 Thyssenkrupp Presta Ag Energy-absorbing steering column assembly
DE102018128362A1 (de) 2017-11-28 2019-05-29 Mando Corporation Lenksäule für fahrzeuge
KR102045990B1 (ko) 2018-01-04 2019-11-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
WO2019182425A1 (ko) 2018-03-23 2019-09-26 주식회사 에스엘바이젠 신규 키메라 항원 수용체 암호화 유전자가 형질도입된 유전자 변형 nk 세포주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7096A (ja) 2006-05-30 2008-01-17 Nsk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03364B1 (ko) * 2018-01-26 2019-07-24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43059A1 (en) 2024-02-08
DE112020004248T5 (de) 2022-06-09
CN114364594B (zh) 2024-05-10
CN114364594A (zh) 2022-04-15
WO2021049821A1 (ko) 2021-03-18
KR20210030577A (ko) 2021-03-18
US11999406B2 (en) 202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566B1 (ko) 자동차 조향컬럼
JP5239253B2 (ja) フード跳ね上げ装置
KR102494624B1 (ko) 자동차 조향컬럼
KR100861844B1 (ko) 무릎 보호대 및 승무원 하지 보호 방법 및 무릎 보호대를구비한 자동차
US11312407B2 (en) Vehicle steering column
KR101115084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CN105377668A (zh) 转向装置
US10875568B2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2190492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EP1854699A2 (en) Tliting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having rotatable locking member
KR102339161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517943B1 (ko) 자동차 조향컬럼
KR101307648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328870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20120042086A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2575152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장치
KR101302771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CN216301209U (zh) 车辆用转向装置
KR101230093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KR101278848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569463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120124547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50117412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20045792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130105983A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조향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