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870B1 - 차량용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870B1
KR102328870B1 KR1020200042609A KR20200042609A KR102328870B1 KR 102328870 B1 KR102328870 B1 KR 102328870B1 KR 1020200042609 A KR1020200042609 A KR 1020200042609A KR 20200042609 A KR20200042609 A KR 20200042609A KR 102328870 B1 KR102328870 B1 KR 10232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inner tube
axial direction
block
stopp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208A (ko
Inventor
홍성종
홍진용
김범석
박문천
이정남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870B1/ko
Priority to CN202120478641.3U priority patent/CN216332259U/zh
Publication of KR2021012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조향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심각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를 감싸는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의 외주를 감싸고, 텔레 슬롯이 일단에서 개구되어 축방향으로 형성된 컬럼 하우징과, 상기 이너 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텔레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스토퍼 블록과, 상기 스토퍼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스토퍼 블록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된 상태일 때 상기 컬럼 하우징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이너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된 스토퍼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스토퍼 돌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상기 스토퍼 블록에서 분리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에 의해 밀려서 변형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인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를 감싸는 스티어링 컬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연동되는 스티어링 기어에 의해, 좌우측 타이로드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좌우측 차륜 휠에 설치된 너클을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차륜은 선단이 좌측을 향하거나 우측을 향하게 조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용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예를 들면, 앉은 키, 팔의 길이)에 맞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틸트(Tilt) 기능 및 텔레스코프(Telescope)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틸트 기능 및 상기 텔레스코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컬럼 하우징 및 이너 튜브로 구성하여,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를 감싸서 배치되고, 상기 컬럼 하우징은 상기 이너 튜브의 외주를 감싸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컬럼 하우징의 외측에는 마운팅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차체에 마운팅되어서 상기 조향장치를 차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컬럼 하우징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수평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컬럼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는 센터 베어링을 통해 상기 이너 튜브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킬 때 상기 스티어링 휠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틸트 기능은 상기 컬럼 하우징을 상기 수평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이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프 기능은 상기 이너 튜브를 상기 컬럼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시켜서, 상기 이너 튜브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를 감싼 채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을 축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다. 상기 텔레스코프 기능은 차량의 충돌시 상기 스티어링 휠 및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컬랩스(Collapse)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도 갖는다.
상기 차량용 조향장치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상기 텔레스코프 조작하기 위한 텔레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즉, 운전자는 상기 텔레 레버를 열림위치로 조작한 후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한 후에는 상기 텔레 레버를 잠금위치로 조작하여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8191호(2016.11.21.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텔레 레버에 대응하는 구성인 조정 레버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조향축을 감싸는 중공 형상의 이너 튜브와, 상기 이너 튜브가 삽입되는 일측단부에 조향축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중심으로 상기 슬롯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조향축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텔레스코프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디스턴스 플랜지를 포함하는 중공 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튜브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디스턴스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튜브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블록과, 상기 한 쌍의 디스턴스 플랜지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텔레스코프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틸트 홀이 형성되어 마운팅 브라켓에 결합되는 틸트 브라켓과, 상기 틸트 브라켓의 일측외면에 결합되는 조정 레버와,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프 홀 및 상기 틸트 홀을 관통하여 상기 조정 레버와 결합되는 고정 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이너 튜브에 고정된 상태로 한 쌍의 디스턴스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튜브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회전방지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의 조립 중 또는 이송 중에도 상기 아우터 튜브 및 상기 아우터 튜브와 결합된 틸트 브라켓 등의 부품이 자중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너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회전방지블록이 상기 슬롯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롯의 끝단에 위치한 상기 디스턴스 플랜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이너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조정 레버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자동차의 충돌 사고가 발생되어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회전방지블록이 상기 디스턴스 플랜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이너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에 부딪쳐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8191호(2016.11.21. 공고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조향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심각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 이너 튜브, 컬럼 하우징, 스토퍼 블록 및 스토퍼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 튜브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를 감싼다. 상기 컬럼 하우징은 상기 이너 튜브의 외주를 감싼다. 컬럼 하우징에는 축방향으로 텔레 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텔레 슬롯은 상기 컬럼 하우징의 일단에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블록은 상기 이너 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텔레 슬롯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상기 스토퍼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스토퍼 블록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된 상태일 때 상기 컬럼 하우징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이너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스토퍼 돌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튜브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상기 스토퍼 블록에서 분리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에 의해 밀려서 변형된다.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는, 외측 플레이트부, 내측 플레이트부 및 벤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는 상기 스토퍼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블록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스토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부는 상기 이너 튜브의 내부에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 및 상기 내측 플레이트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상기 스토퍼 블록의 일단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는 리벳을 통해 상기 스토퍼 블록 및 상기 이너 튜브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블록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튜브에 형성된 다각형 홀로 삽입되는 다각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블록은 상기 벤딩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벤딩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의 일단부 양측에는 각각 볼트 체결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볼트 체결부에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튜브 중 상기 컬럼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에는 축방향으로 개구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벤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블록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이너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더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부에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부가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블록의 일단은 상기 벤딩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벤딩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볼록한 곡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돌기는 상기 텔레 슬롯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에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 돌기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 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이너 튜브가 최대 텔레인 위치보다 컬럼 하우징 내로 삽입되게 되면, 스토퍼 플레이트가 스토퍼 블록에서 분리된 후 상기 스토퍼 블록에 의해 밀려서 변형되면서 상기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부딪쳐서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아웃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아웃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텔레 스토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텔레 스토퍼의 저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차량 충돌 사고 전 텔레 스토퍼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차량 충돌 사고 후 텔레 스토퍼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아웃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아웃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의 텔레 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장치(100)는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조향장치(100)는 스티어링 컬럼(10) 및 스티어링 샤프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컬럼(10)은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컬럼(10)은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외주를 감쌀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40)는 스티어링 컬럼(10)을 축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스티어링 컬럼(10)은 컬럼 하우징(20) 및 이너 튜브(30)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럼 하우징(20)은 이너 튜브(3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고, 이너 튜브(30)는 컬럼 하우징(2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컬럼 하우징(20)은 이너 튜브(30)의 외주를 감쌀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40)는 이너 튜브(30)를 축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컬럼 하우징(20)의 양측에는 각각 지지돌기(20A)가 형성될 수 있다. 양측의 지지돌기(20A)는 각각 스프링(3)을 통해 마운팅 브라켓(5)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5A)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5)은 차체에 마운팅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5)은 컬럼 하우징(20)의 반경방향 양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5)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5) 각각은 각각의 스프링(3)을 통해 각각의 지지돌기(20A)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마운팅 브라켓(5)은 후술하는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와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컬럼 하우징(20)은 차체에 수평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축은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축일 수 있다. 차실 내에는 틸트 레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운전자는 상기 틸트 레버를 조작하여 컬럼 하우징(20)이 상기 수평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이 후에, 상기 운전자는 컬럼 하우징(20)을 상기 수평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너 튜브(30)는 컬럼 하우징(20)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튜브(30)는 축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양단이 개구될 수 있다. 컬럼 하우징(20)에는 텔레 레버(50)가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는 텔레 레버(50)를 회전시켜서 이너 튜브(30)를 컬럼 하우징(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이 후에 이너 튜브(30)를 컬럼 하우징(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상기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40)는 이너 샤프트(41) 및 아우터 샤프트(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샤프트(41)의 상단은 아우터 샤프트(42)의 하단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아우터 샤프트(42)는 이너 샤프트(41)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너 샤프트(41)는 아우터 샤프트(42)보다 외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샤프트(42)는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고, 이너 샤프트(41)는 스티어링 샤프트(40)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샤프트(42)의 상단부는 이너 튜브(3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이너 샤프트(41)의 하단부는 컬럼 하우징(2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샤프트(42)의 상단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은 차량을 조향하기 위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우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운전석으로부터 전방에 위치한 계기판 주변의 차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샤프트(41)의 하단부에는 댐핑 작용을 하는 디커플링 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커플링 유닛은 인터미디어트 샤프트(미도시)의 상단에 배치된 유니버셜 조인트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커플링 유닛은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부와, 상기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의 상단에 배치된 유닛버셜 조인트를 연결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킴에 따라 아우터 샤프트(42)가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이너 샤프트(41)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할 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너 샤프트(41)는 아우터 샤프트(42)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이너 튜브(30)의 내부에는 베어링 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스티어링 샤프트(40)를 회전 가능하게 이너 튜브(3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이너 튜브(30) 및 스티어링 샤프트(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이너 튜브(30) 및 아우터 샤프트(4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가 이너 튜브(30)를 컬럼 하우징(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컬럼 하우징(20)에는 텔레 슬롯(25)이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텔레 슬롯(25)은 컬럼 하우징(20)의 일단에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 튜브(30)의 하단부가 컬럼 하우징(20)의 상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이너 튜브(30)의 상단부가 컬럼 하우징(20)의 상단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텔레 슬롯(25)은 컬럼 하우징(20)의 상단에서 개구되게 형성된다. 다만, 이너 튜브(30)의 상단부가 컬럼 하우징(20)의 하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이너 튜브(30)의 하단부가 컬럼 하우징(20)의 하단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된다면, 텔레 슬롯(25)은 컬럼 하우징(20)의 하단에서 개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컬럼 하우징(20)에는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는 컬럼 하우징(2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텔레 슬롯(25)은 컬럼 하우징(20)의 상단에서 개구되어 형성되되,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 사이를 축방향으로 통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텔레 샤프트(55)는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를 관통할 수 있다. 텔레 샤프트(55)는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샤프트(55)는 이너 튜브(3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샤프트(55)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레버(50)는 텔레 샤프트(55)의 일단에 결합되어 텔레 슬롯(25)의 반경방향 폭을 조절함으로서, 컬럼 하우징(20)에 대한 이너 튜브(30)의 축방향 이동을 단속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하기 위해, 텔레 레버(50)를 열림 위치로 회전시키면, 텔레 슬롯(25)의 반경방향 폭이 넓어져서 컬럼 하우징(20)의 내주면이 이너 튜브(30)의 외주면에 느슨하게 접촉되어서, 이너 튜브(30)는 컬럼 하우징(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한 후에 텔레 레버(50)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키면, 텔레 슬롯(25)의 반경방향 폭이 좁아져서 컬럼 하우징(20)의 내주면이 이너 튜브(3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이너 튜브(30)는 컬럼 하우징(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게 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는, 컬럼 하우징(20)의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설치 브라켓부(23)와, 컬럼 하우징(20)의 상단부 외주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설치 브라켓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치 브라켓부(23) 및 제2 설치 브라켓부(24)는 컬럼 하우징(20)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샤프트(55)는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를 관통할 수 있고, 텔레 샤프트(55)의 양단은 각각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설치 브라켓부(23)의 외측으로 돌출된 텔레 샤프트(55)의 일단에는 제1 캠(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제1 설치 브라켓부(23)의 일단에 결합된 텔레 레버(50)에는 상기 제1 캠과 대향하는 내측면에 제2 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가 텔레 레버(50)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이 꽉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져서 텔레 슬롯(25)의 반경방향 폭이 좁아지게 되고, 컬럼 하우징(20)의 내주면은 이너 튜브(3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이너 튜브(30)를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가 텔레 레버(50)를 열림 위치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캠 및 상기 제2 캠이 서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가 원위치로 벌어져서 텔레 슬롯(25)의 반경방향 폭이 원위치로 넓어지게 되고, 컬럼 하우징(20)의 내주면은 이너 튜브(30)의 외주면에 느슨하게 접촉되어, 이너 튜브(30)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설치 브라켓부(24)의 외측에는 고정기어(56)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설치 브라켓부(24)의 외측으로 돌출된 텔레 샤프트(55)의 타단은 고정기어(56)를 관통하여 고정기어(56)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고정기어(56)의 외측으로 돌출된 텔레 샤프트(55)의 타단에는 가동기어(57)가 설치될 수 있다. 텔레 샤프트(55)의 타단은 가동기어(57)를 관통할 수 있고, 가동기어(57)를 관통한 텔레 샤프트(55)의 타단에는 너트(58)가 설치될 수 있다. 너트(58)는 가동기어(57)가 텔레 샤프트(55)의 타단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설치 브라켓부(23, 24), 고정기어(56) 및 가동기어(57) 각각에는 텔레 샤프트(55)가 관통하는 샤프트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기어(56) 및 가동기어(57)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고, 고정기어(56) 및 가동기어(57)의 대향면에는 각각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텔레 레버(50)가 잠금 위치일 때, 가동기어(57)에 형성된 기어치는 고정기어(56)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어 텔레 레버(50)의 잠금 상태가 풀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너 튜브(30)에는 텔레 스토퍼(60)가 결합될 수 있다. 텔레 스토퍼(60)는 이너 튜브(30)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스토퍼(60)는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된 상태일 때 컬럼 하우징(2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되어 이너 튜브(3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텔레 스토퍼(60)에는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된 상태일 때 컬럼 하우징(2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되어 이너 튜브(3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하는 동작 중, 이너 튜브(3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컬럼 하우징(20) 내부로 삽입시키는 동작을 텔레 인이라고 칭하고, 이너 튜브(3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컬럼 하우징(20)에서 인출시키는 동작을 텔레 아웃이라고 칭한다.
스토퍼부(70)가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 위치는 최대 텔레 인 위치일 수 있다. 즉,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상기 소정 구간 이동된 상태는 이너 튜브(30)가 최대 텔레 인 위치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컬럼 하우징(2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21, 22)는 텔레 슬롯(2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 22)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 22)는, 텔레 슬롯(25)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돌기(21)와, 텔레 슬롯(25)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돌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돌기(21, 22)가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 22)로 형성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될 때, 스토퍼 플레이트(90)는 일측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서는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 의해 밀려서 안정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텔레 스토퍼(60)에 형성된 스토퍼부(70)에는 컬럼 하우징(20)에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 22)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71, 7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 돌기(71, 72)는 스토퍼부(70) 중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 22)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스토퍼 돌기(71, 72)는, 제1 스토퍼 돌기(21)에 접촉되는 제3 스토퍼 돌기(71)와, 제2 스토퍼 돌기(22)에 접촉되는 제4 스토퍼 돌기(7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스토퍼부(70)가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텔레 스토퍼(6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텔레 스토퍼(60)가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텔레 스토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텔레 스토퍼의 저면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차량 충돌 사고 전 텔레 스토퍼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차량 충돌 사고 후 텔레 스토퍼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텔레 스토퍼(60)는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스토퍼 블록(80) 및 스토퍼 플레이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블록(80)은 이너 튜브(30)에 결합되어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텔레 슬롯(2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90)는 스토퍼 블록(80)에 결합되어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스토퍼 블록(80)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90)에는 스토퍼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스토퍼 플레이트(90)는 스토퍼부(70)가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된 후 스토퍼 블록(80)에 의해 밀려서 변형되면서, 차량 충돌 사고 시에 발생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충돌 사고 시에 발생된 상기 충격 에너지는 스토퍼 플레이트(90)를 변형시키는데 소모되기 때문에, 상기 스티어링 휠을 통해 운전자에게 최소로 전해질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90)는 길이방향의 어느 한 지점이 한번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 플레이트(90)는, 외측 플레이트부(91), 내측 플레이트부(92) 및 벤딩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플레이트부(91)는 스토퍼 블록(80)에 결합되어 스토퍼 블록(8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 플레이트부(91)에는 스토퍼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플레이트부(91)는 스토퍼 플레이트(90) 중 스토퍼 블록(80)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외측 플레이트부(91)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플레이트부(92)는 이너 튜브(30)의 내부에 외측 플레이트부(9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플레이트부(92)는 스토퍼 블록(80)의 내측면과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플레이트부(92)는 스토퍼 블록(80)의 내측면에서 아래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내측 플레이트부(92)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93)는 외측 플레이트부(91) 및 내측 플레이트부(92)를 연결할 수 있다. 벤딩부(93)는 스토퍼 블록(80)의 일단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토퍼 블록(80)의 일단부는 외측 플레이트부(91) 및 내측 플레이트부(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벤딩부(93)는 상기 텔레 인 방향으로 스토퍼 블록(8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스토퍼 블록(80)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벤딩부(93)는 스토퍼 블록(80)의 일단에 의해 밀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 플레이트(90)는 변형될 수 있다.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스토퍼부(70)가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측 플레이트부(91)는 스토퍼 블록(80)에 강성이 약한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 플레이트부(91)는 리벳(R1, R2)을 통해 스토퍼 블록(80) 및 이너 튜브(30)에 결합된다. 따라서,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스토퍼부(70)가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리벳(R1, R2)이 파손됨으로서 외측 플레이트부(91)는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외측 플레이트부(91), 스토퍼 블록(80) 및 이너 튜브(30)에는 각각 리벳(R1, R2)이 체결되는 체결홀(91G, 81, 31, 91H, 82, 32)이 형성될 수 있다.
리벳(R1, R2)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리벳(R1) 및 제2 리벳(R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91G, 81, 31, 91H, 82, 32)은, 외측 플레이트부(91)에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체결홀(91G) 및 제2 체결홀(91H)과, 스토퍼 블록(80)에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3 체결홀(81) 및 제4 체결홀(82)과, 이너 튜브(30)에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5 체결홀(31) 및 제6 체결홀(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벳(R1)은 외측 플레이트부(91), 스토퍼 블록(80) 및 이너 튜브(30)에 각각 형성된 제1 체결홀(91G), 제3 체결홀(81) 및 제5 체결홀(31)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제2 리벳(R2)은 외측 플레이트부(91), 스토퍼 블록(80) 및 이너 튜브(30)에 각각 형성된 제2 체결홀(91H), 제4 체결홀(82) 및 제6 체결홀(32)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스토퍼 블록(80)의 내측면에는 이너 튜브(30)에 형성된 다각형 홀(33, 34)로 삽입되는 다각형 돌기(83, 84)가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돌기(83, 84)는 제3 체결홀(81) 및 제4 체결홀(8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돌기(83, 84)는 스토퍼 블록(80)의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다각형 돌기(83) 및 제2 다각형 돌기(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각형 홀(33, 34)은 이너 튜브(30)에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다각형 홀(33) 및 제2 다각형 홀(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각형 돌기(83)는 제1 다각형 홀(33)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다각형 돌기(84)는 제2 다각형 홀(34)로 삽입될 수 있다.
다각형 돌기(83, 84)가 다각형 홀(33, 34)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리벳(R1, R2)이 파손되어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된 상태일 때,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토퍼 블록(80)은 이너 튜브(30)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스토퍼 플레이트(90)의 벤딩부(93)를 밀어서 스토퍼 플레이트(90)를 변형시킬 수 있다. 스토퍼 블록(80)이 스토퍼 플레이트(90)의 벤딩부(93)를 밀 때 스토퍼 블록(8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각형 돌기(83, 84)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다각형 홀(33, 34)은 다각형 돌기(83, 84)와 대응하는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다각형 돌기(83, 84) 및 다각형 홀(33, 34)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삼각형상, 오각형상 또는 육각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외측 플레이트부(91)의 일단부 양측에는 각각 볼트 체결부(91A, 91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볼트 체결부(91A, 91B)는, 외측 플레이트부(91)의 일단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제1 볼트 체결부(91A)와, 외측 플레이트부(91)의 일단부 타측에 돌출 형성된 제2 볼트 체결부(91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플레이트부(91)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사이드 벤딩부(91C) 및 제2 사이드 벤딩부(9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벤딩부(91C) 및 제2 사이드 벤딩부(91D)는, 외측 플레이트부(91)의 길이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 플레이트부(92)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1 볼트 체결부(91A)는 제1 사이드 벤딩부(91C)의 일단부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볼트 체결부(91B)는 제2 사이드 벤딩부(91D)의 일단부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70)는 볼트 체결부(91A, 91B)에 볼트(B1, B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볼트(B1, B2)는, 제1 볼트 체결부(91A)에 체결되는 제1 볼트(B1)와, 제2 볼트 체결부(91B)에 체결되는 제2 볼트(B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70)는 리벳(R1, R2)보다는 강성이 강한 체결부재인 볼트(B1, B2)를 통해 스토퍼 플레이트(9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 사고 시에 스토퍼부(70)가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리벳(R1, R2)은 파손될 수 있다.
스토퍼부(70)는 대략 사각형상의 플레이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70)에는 볼트(B1, B2)가 관통하는 볼트 체결홀(73, 74)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체결홀(73, 74)은, 제1 볼트(B1)가 관통하는 제1 볼트 체결홀(73)과, 제2 볼트(B2)가 관통하는 제2 볼트 체결홀(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트 체결홀(73) 및 제2 볼트 체결홀(74)은 이너 튜브(30)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트 체결부(91A)에는 제1 볼트 체결홀(73)과 대응하는 제3 볼트 체결홀(91E)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볼트 체결부(91B)에는 제2 볼트 체결홀(74)과 대응하는 제4 볼트 체결홀(91F)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볼트 체결홀(91E)은 제1 볼트 체결부(91A)의 외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4 볼트 체결홀(91F)은 제2 볼트 체결부(91B)의 외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트(B1)는 제1 볼트 체결홀(93) 및 제3 볼트 체결홀(91E)을 관통할 수 있고, 제2 볼트(B2)는 제2 볼트 체결홀(74) 및 제4 볼트 체결홀(91F)을 관통할 수 있다.
스토퍼부(70)에는 제1 볼트(B1) 및 제2 볼트(B2) 사이에 한 쌍의 절개홀(75, 76)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70)는 한 쌍의 절개홀(75, 76)에 의해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한 쌍의 절개홀(75, 76)은 텔레 슬롯(25)이 개구된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한 쌍의 절개홀(75, 76)은 이너 튜브(30)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절개홀(75) 및 제2 절개홀(7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블록(80)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가이더부(8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튜브(30)에는 가이더부(85)가 삽입되는 삽입홀(35, 도 3 및 도 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35)은 이너 튜브(30) 중 컬럼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에 축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더부(85)는 삽입홀(35)로 삽입되어 이너 튜브(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더부(85)에는 내측 플레이트부(92)가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슬롯(86)이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93)의 일부는 삽입홀(35)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홀(35)은 컬럼 하우징(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이너 튜브(30)의 끝단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된 후, 스토퍼 블록(80)의 일단이 벤딩부(93)를 축방향으로 밀면, 벤딩부(93)가 스토퍼 블록(80)에 의해 축방향으로 밀리면서, 스토퍼 플레이트(90)는 벤딩부(93)의 형상이 유지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벤딩부(93)가 스토퍼 블록(80)에 의해 밀릴 때 벤딩부(93)의 형상이 최대한 유지되면서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토퍼 블록(80)의 일단은 벤딩부(93)와 접촉되는 부분이 벤딩부(93)의 형상에 대응되어 볼록한 곡면부(87)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 블록(80)의 일단부 외측면에는 가이드부(85)로 통하는 한 쌍의 절개홀(88, 89)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 블록(80)은 한 쌍의 절개홀(88, 89)에 의해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한 쌍의 절개홀(88, 89)은 스토퍼 블록(80)의 일단부 외측면에서부터 내측면까지 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절개홀(88, 89)은 이너 튜브(30)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3 절개홀(88) 및 제4 절개홀(8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조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되기 전에는 도 1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퍼 플레이트(90)의 외측 플레이트부(91)는 리벳(R1, R2)을 통해 스토퍼 블록(80) 및 이너 튜브(3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되어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컬럼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되면,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퍼 플레이트(90)에 형성된 스토퍼부(70)가 컬럼 하우징(2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벳(R1, R2)이 파손되어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되고, 이 후에 스토퍼 플레이트(90)의 벤딩부(93)는 스토퍼 블록(80)의 일단에 형성된 곡면부(87)에 의해 밀려서 변형되면서, 상기 차량 충돌 사고 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 충돌 사고 시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이너 튜브(30)가 최대 텔레인 위치보다 컬럼 하우징(20) 내로 삽입되게 되면, 스토퍼 플레이트(90)가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된 후 스토퍼 블록(80)에 의해 밀려서 변형되면서 상기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에 부딪쳐서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 컬럼 하우징 23, 24 : 설치 브라켓부
25 : 텔레 슬롯 30 : 이너 튜브
33, 34 : 다각형 홀 40 : 스티어링 샤프트
50 : 텔레 레버 55 : 텔레 샤프트
60 : 텔레 스토퍼 70 : 스토퍼부
80 : 스토퍼 블록 83, 84 : 다각형 돌기
85 : 가이드부 86 : 가이드 슬롯
87 : 곡면부 90 : 스토퍼 플레이트
91 : 외측 플레이트부 92 : 내측 플레이트부
93 : 벤딩부 B1, B2 : 볼트
R1, R2 : 리벳

Claims (8)

  1. 스티어링 샤프트(40);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40)의 외주를 감싸는 이너 튜브(30);
    상기 이너 튜브(30)의 외주를 감싸고, 텔레 슬롯(25)이 일단에서 개구되어 축방향으로 형성된 컬럼 하우징(20);
    상기 이너 튜브(30)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텔레 슬롯(25)을 따라 이동되는 스토퍼 블록(80); 및
    상기 스토퍼 블록(80)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스토퍼 블록(80)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소정 구간 이동된 상태일 때 상기 컬럼 하우징(20)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되어 상기 이너 튜브(30)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70)가 형성된 스토퍼 플레이트(90)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90)는 상기 스토퍼부(70)가 상기 스토퍼 돌기(21, 2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튜브(30)가 축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상기 스토퍼 블록(80)에서 분리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80)에 의해 밀려서 변형되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90)는,
    상기 스토퍼 블록(80)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 블록(8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부(70)가 형성된 외측 플레이트부(91)와,
    상기 이너 튜브(30)의 내부에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9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내측 플레이트부(92)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91) 및 상기 내측 플레이트부(92)를 연결하고, 상기 스토퍼 블록(80)의 일단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벤딩부(93)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91)는 리벳(R1, R2)을 통해 상기 스토퍼 블록(80) 및 상기 이너 튜브(30)에 결합되는 차량용 조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블록(8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너 튜브(30)에 형성된 다각형 홀(33, 34)로 삽입되는 다각형 돌기(83, 84)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80)은 상기 벤딩부(93)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벤딩부(93)의 형상에 대응되어 볼록한 곡면부(87)로 형성되는 차량용 조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부(91)의 일단부 양측에는 각각 볼트 체결부(91A, 91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70)는 상기 볼트 체결부(91A, 91B)에 볼트(B1, B2)를 통해 체결되는 차량용 조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30) 중 상기 컬럼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되는 끝단에는 축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벤딩부(93)가 배치되는 삽입홀(35)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블록(80)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삽입홀(35)로 삽입되어 상기 이너 튜브(3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더부(85)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더부(85)에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부(92)가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슬롯(86)이 형성되는 차량용 조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블록(80)의 일단은 상기 벤딩부(93)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벤딩부(93)의 형상에 대응되어 볼록한 곡면부(87)로 형성되는 차량용 조향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돌기(21, 22)는 상기 텔레 슬롯(25)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 22)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70)에는 상기 한 쌍의 스토퍼 돌기(21, 22)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스토퍼 돌기(71, 72)가 형성되는 차량용 조향장치.
KR1020200042609A 2020-04-08 2020-04-08 차량용 조향장치 KR10232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09A KR102328870B1 (ko) 2020-04-08 2020-04-08 차량용 조향장치
CN202120478641.3U CN216332259U (zh) 2020-04-08 2021-03-05 车辆用转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609A KR102328870B1 (ko) 2020-04-08 2020-04-08 차량용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08A KR20210125208A (ko) 2021-10-18
KR102328870B1 true KR102328870B1 (ko) 2021-11-22

Family

ID=7827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609A KR102328870B1 (ko) 2020-04-08 2020-04-08 차량용 조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8870B1 (ko)
CN (1) CN21633225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918B1 (ko) * 2021-04-06 2022-12-20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
US11866093B2 (en) * 2021-12-30 2024-01-0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nergy absorption strap assembly with customizable control brack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821B1 (ko) 2014-04-28 2015-10-15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JP2015182613A (ja)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20314B1 (ko) 2015-09-22 2017-03-27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의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191B1 (ko) 2015-05-29 2016-11-21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KR101795442B1 (ko) * 2016-03-29 2017-11-09 남양공업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102076014B1 (ko) * 2018-03-30 2020-02-12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2613A (ja)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559821B1 (ko) 2014-04-28 2015-10-15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
KR101720314B1 (ko) 2015-09-22 2017-03-27 남양공업주식회사 틸트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컬럼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208A (ko) 2021-10-18
CN216332259U (zh)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844B1 (ko) 무릎 보호대 및 승무원 하지 보호 방법 및 무릎 보호대를구비한 자동차
KR102328870B1 (ko) 차량용 조향장치
EP0458456B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mounting mechanism
EP1520768A1 (en) Vehicle shock absorption type steering column device
KR101795442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102328869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2161282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045990B1 (ko) 자동차 조향컬럼
KR102478918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1179756B1 (ko) 자동차의 틸트식 조향 컬럼
KR101264965B1 (ko)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KR100795009B1 (ko) 충격 흡수 부재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28268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KR10261221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100051944A (ko)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KR101247041B1 (ko) 스토퍼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KR20230067865A (ko) 차량용 조향 장치
KR102517943B1 (ko) 자동차 조향컬럼
KR101230093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컬럼
JP3742278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48499B1 (ko) 조향 컬럼의 충격 흡수 장치
KR20230060983A (ko) 차량용 조향 장치
KR20230096260A (ko) 차량용 조향 장치
KR20230124170A (ko) 차량용 조향 장치
KR20230161001A (ko) 차량용 조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