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944A -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944A
KR20100051944A KR1020080110768A KR20080110768A KR20100051944A KR 20100051944 A KR20100051944 A KR 20100051944A KR 1020080110768 A KR1020080110768 A KR 1020080110768A KR 20080110768 A KR20080110768 A KR 20080110768A KR 20100051944 A KR20100051944 A KR 20100051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racket
steering column
colum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11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1944A/ko
Publication of KR2010005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향컬럼의 조향축이 관통 결합되도록 컬럼 관통홀과 컬럼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향컬럼의 중심축과 수직인 축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힌지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 및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결합홀을 관통하여 롤코킹되는 힌지 버링홀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힌지 버링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부품수와 원가를 절감시키며, 틸트축이 조향컬럼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조향컬럼의 강성이 증대되고 틸팅 작동감이 좋아져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향장치, 조향컬럼, 틸트식 조향컬럼, 마운팅 브라켓, 힌지 브라켓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Hinge Mounting Bracket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향컬럼에 있어서, 힌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힌지 버링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부품수와 원가를 절감시키며, 틸트축이 조향컬럼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조향컬럼의 강성이 증대되고 틸팅 작동감이 좋아져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조향휠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조향력은 조향컬럼의 조향축을 통해 랙 피니언 기구에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양쪽 바퀴의 방향을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조향컬럼에 텔레스코 프(Telescope) 또는 틸트(Tilt)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데, 틸트 장치는 조향휠의 고정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고, 텔레스코픽 장치는 축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중공 관을 삽입하여 형성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충돌시 조향축 및 조향컬럼이 컬랩스(Collapse)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조향컬럼은 이러한 기능에 따라 텔레스코프식 또는 틸트식 조향컬럼으로 나누어 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텔레스코프식 조향컬럼에 틸트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하여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또는 기울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활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틸트식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틸트식 조향컬럼(100)은 조향축(101)을 둘러싸며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인너 튜브(103) 및 아우터 튜브(105), 조향컬럼(100)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마운팅 브라켓(107) 및 하부 마운팅 브라켓(160), 상부 마운팅 브라켓(107)과 일체로 형성되는 틸트 브라켓(130), 틸트 브라켓(130)과 조절볼트(140)로 결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향축(101)은 상단이 조향휠(170)에 연결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조향휠(170)을 조작함으로써 발생한 회전력을 하단의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에 전달한다.
인너 튜브(103)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향축(101)의 하단을 감싸며, 인너 튜브(103)의 하단 외주면에는 힌지 브라켓(163)이 고정되어 하부 마운팅 브라켓(160)과 힌지핀(165)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틸트 작동시 힌지 핀(165)을 축으로 조향컬럼(100)이 틸트 작동하게 되어 있다.
힌지 브라켓(163)과 연결된 하부 마운팅 브라켓(160)은 차체에 체결되어 조향컬럼(100)을 차체에 고정시키게 된다. 아우터 튜브(105)는 인너 튜브(103)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져서 아우터 튜브(105)가 인너 튜브(103)의 외주면을 따라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즉, 텔레스코프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아우터 튜브(105)는 조향축(101)의 중간부를 둘러싼다.
아우터 튜브(105)의 내주면과 인너 튜브(103)의 외주면 사이에는 텔레스코픽 부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텔레스코프 작동시 아우터 튜브(105) 및 인너 튜브(103)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한다.
상부 마운팅 브라켓(107)에는 틸트 브라켓(130)이 일체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캡슐(110)이 형성되어 아우터 튜브(105)를 차체에 고정시키며, 틸트 브라켓(130)의 측면에는 장공(1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틸트 레버(109) 조작에 따라 틸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디스턴스 브라켓(120)은 틸트 브라켓(130)과 조절볼트(140)에 의해 결합되는데, 디스턴스 브라켓(120)은 아우터 튜브(105)에 용접 고정되며 운전자의 틸트 작동시 아우터 튜브(105)를 상, 하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운전자가 틸트 작동을 위해 틸트 레버(109)를 풀게 되면, 조향컬럼 자체의 무게에 의해 힌지핀(165)을 축으로 조향컬럼(100)이 하부로 이동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틸트 스프링(155)이 상부 마운팅 브라켓(107)과 디스턴스 브라켓(120)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향컬럼(100)에 있어서, 인너 튜브(103)의 하단 외 주면에 고정된 힌지 브라켓(163)은 하부 마운팅 브라켓(160)과 힌지핀(165)으로 연결되어 틸트 작동시 힌지핀(165)을 축으로 조향컬럼(100)을 회전시키게 되어 있어서 부품수가 많고 조립 공수와 원가가 높아지며, 틸트 작동시 틸트축이 조향컬럼의 중심축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서 조향컬럼의 지지강도가 낮아지고 운전자가 느끼는 틸트 작동감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조향컬럼에 있어서, 힌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힌지 버링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부품수와 원가를 절감시키며, 틸트축이 조향컬럼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조향컬럼의 강성이 증대되고 틸팅 작동감이 좋아져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향컬럼의 조향축이 관통 결합되도록 컬럼 관통홀과 컬럼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향컬럼의 중심축과 수직인 축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힌지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 및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결합홀을 관통하여 롤코킹되는 힌지 버링홀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힌지 버링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부품수와 원가를 절감시키며, 틸트축이 조향컬럼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조향컬럼의 강성이 증대되고 틸팅 작동감이 좋아져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 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200)은, 조향컬럼의 조향축(101)이 관통 결합되도록 컬럼 관통홀(213)과 컬럼 체결홀(2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향컬럼의 중심축과 수직인 축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힌지 결합홀(219)이 구비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210); 및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21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결합홀(219)을 관통하여 롤코킹되는 힌지 버링홀(217)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 브라켓(210)은 조향컬럼의 조향축(101)이 관통 결합되는 컬럼 결합부(211)와, 컬럼 결합부(211)로부터 수직인 조향휠(170) 방향으로 벤딩되어 하부 브라켓(220)과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212)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조향컬럼의 중심축이 관통되는 컬럼 결합부(211)에 컬럼 관통홀(213)이 형성되어 있고, 조향컬럼과의 체결을 위한 컬럼 체결홀(21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향컬럼의 중심축과 수직인 축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브라켓 결합부(212)에는 힌지 결합홀(219)이 구비되어 있어서 후술할 하부 브라켓(220)과 결합되어 조향컬럼의 틸트 작동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부 브라켓(220)은 힌지 브라켓(210)과 결합되어 조향컬럼을 차체에 고정시키는데, 차체에 고정시킬때 충돌 에너지 흡수를 위해 조향컬럼의 컬랩스 방향과 반대방향이 개방된 슬롯형상의 마운팅홀(225)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하부 브라켓(220)에는 운전자가 틸트 레버(109) 작동시 힌지 브라켓(210)과 결합되어 있는 조향컬럼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홀(219)을 관통하는 힌지 버링홀(217)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 브라켓(220)은 힌지 버링홀(217)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 플렌지(223)와, 힌지 플렌지(223)와 수직으로 벤딩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홀(225)이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 플렌지(2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조향컬럼의 인너 튜브(103)와 결합되어 함께 틸트 작동되는 힌지 브라켓(210)의 힌지 결합홀(219)로 힌지 버링홀(217)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 마운팅 브라켓(200)은, 조향축(101)의 외측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너 튜브(103) 및 아우터 튜브(105)와, 조향컬럼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아우터 튜브(105)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310) 등과 결 합되어 자동차의 조향컬럼(300)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하부 브라켓(220)은 힌지 브라켓(210)과 이탈을 방지하며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홀(219)에 관통된 힌지 버링홀의 단부(227)가 롤코킹되어 힌지 브라켓(210)과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 결합홀(219)에 삽입된 힌지 버링홀(217)의 단부(227)가 롤코킹되어 힌지 브라켓(210)과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틸트 레버(109) 작동시 아우터 튜브(105), 인너 튜브(103), 조향축(101), 상부 브라켓(310) 및 힌지 브라켓(210) 등은 힌지 결합홀(219)을 틸트작동 축으로 하여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브라켓(310)의 틸트 장홀(305)을 따라 조절볼트(140)에 가이드 되면서 틸트 작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이 힌지 버링홀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부품수와 원가를 절감시키며, 틸트축이 조향컬럼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여 조향컬럼의 강성이 증대되고 틸팅 작동감이 좋아져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 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틸트식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A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 조향컬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210: 힌지 브라켓 211: 컬럼 결합부
212: 브라켓 결합부 217: 힌지 버링홀
219: 힌지 결합홀 220: 하부 브라켓
221: 마운팅 플렌지 223: 힌지 플렌지
300: 본 발명에 의한 힌지 마운팅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Claims (2)

  1. 조향컬럼의 조향축이 관통 결합되도록 컬럼 관통홀과 컬럼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향컬럼의 중심축과 수직인 축상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힌지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 및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힌지 브라켓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 버링홀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힌지 브라켓과 이탈을 방지하며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결합홀에 관통된 힌지 버링홀의 단부가 롤코킹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KR1020080110768A 2008-11-10 2008-11-10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KR20100051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68A KR20100051944A (ko) 2008-11-10 2008-11-10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68A KR20100051944A (ko) 2008-11-10 2008-11-10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44A true KR20100051944A (ko) 2010-05-19

Family

ID=4227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768A KR20100051944A (ko) 2008-11-10 2008-11-10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19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534A (zh) * 2013-12-06 2014-03-12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客车转向柱固定支架及其制作方法
CN111376966A (zh) * 2018-12-28 2020-07-07 观致汽车有限公司 转向传动装置
KR20240040892A (ko) 2022-09-22 2024-03-29 주식회사 프라임모빌리티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5534A (zh) * 2013-12-06 2014-03-12 东风商用车有限公司 一种客车转向柱固定支架及其制作方法
CN111376966A (zh) * 2018-12-28 2020-07-07 观致汽车有限公司 转向传动装置
KR20240040892A (ko) 2022-09-22 2024-03-29 주식회사 프라임모빌리티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2232B1 (en) Electric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JP5193828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110100148A1 (en) Crash energy absorbing mounting bracket and steering column of vehicle having the same
CN113677588B (zh) 车辆转向柱
KR20100051944A (ko)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US20120006142A1 (en) Tilt hinge bracket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and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179756B1 (ko) 자동차의 틸트식 조향 컬럼
KR101345081B1 (ko) 충격 흡수 마운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1267712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328870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2575152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장치
KR101264965B1 (ko)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JP201903117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59394B1 (ko) 자동차의 틸트식 조향 컬럼
KR101124848B1 (ko) 틸트 링볼트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247041B1 (ko) 스토퍼를 구비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향장치
KR101316227B1 (ko) 충격 흡수 마운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0738406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102478918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589575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位置調節装置
KR20100027733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230060983A (ko) 차량용 조향 장치
KR101098154B1 (ko) 자동차의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KR100584450B1 (ko) 피봇-충격흡수 기구를 구비하는 조향 장치
KR20230067865A (ko) 차량용 조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