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364B1 -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364B1
KR102003364B1 KR1020180009837A KR20180009837A KR102003364B1 KR 102003364 B1 KR102003364 B1 KR 102003364B1 KR 1020180009837 A KR1020180009837 A KR 1020180009837A KR 20180009837 A KR20180009837 A KR 20180009837A KR 102003364 B1 KR102003364 B1 KR 10200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scopic
lock
tooth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영
정덕무
박무영
문환공
정세훈
정재원
손호철
Original Assignee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364B1/ko
Priority to PCT/KR2019/001004 priority patent/WO201914703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Abstract

잠금 부재가 직선 이동을 하면서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잠금 상태에서 잠금 스프링 부재를 통해 잠금 부재를 텔레스코픽 치 부재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텔레스코픽 치와 잠금 부재의 텔레스코픽 잠금 치의 산과 산이 중첩되어 불완전한 치 결합이 일어난 경우에도 충돌에 의한 틸트 발생 직후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텔레스코픽 치와 잠금 부재의 텔레스코픽 잠금 치의 치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정적인 에너지 흡수 기능이 담보된다.

Description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본 발명은 에너지 흡수 기능을 적용하여 충격 시 붕괴될 수 있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통상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틸트 거동과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틸트 거동은 스티어링 휠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며, 텔레스코픽 거동은 스티어링 칼럼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틸트 및 텔레스코픽 거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 유닛이 구비된다. 잠금 유닛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틸트 및 텔레스코픽 거동이 차단되어 스티어링 휠의 위치가 유지되며, 잠금 유닛이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 틸트 및 텔레스코픽 거동이 허용된다.
한편, 이러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차량 충돌과 같은 충격 발생 시에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붕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스티어링 칼럼에 충돌하는 경우 충격력에 의해 상부 자켓(inner jacket)이 아웃터 자켓(outer jacket) 내로 유입되면서 붕괴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스티어링 칼럼은 통상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collapsible steering column)이라고 불린다. 종래에 이와 같은 에너지 흡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부 자켓과 아웃터 자켓 사이에 톨러런스 링(tolerance ring)을 삽입하는 방법, 에너지 흡수 스트랩(energy absorbing strap)을 적용하는 방법, 잠금 유닛의 치(teeth)의 붕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소개된 바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8,375,822에 소개된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에 따르면, 상부 자켓에 연결된 에너지 흡수 스트랩과 아웃터 자켓에 연결된 잠금 부재가 잠금 유닛을 구성하는 잠금 레버의 회동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잠금 레버가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 잠금 부재와 에너지 흡수 스트랩의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상부 자켓과 에너지 흡수 스트랩이 아웃터 자켓에 대해 길이 방향의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해지며, 이와 달리 잠금 레버가 잠금 상태로 회동되는 경우 잠금 부재와 에너지 흡수 스트랩이 잠금 상태에 있게 되어 아웃터 자켓에 대한 상부 자켓의 길이 방향의 텔레스코픽 거동이 제한된다. 이때, 잠금 상태에서 차량 충돌 사고 등에 의해 상부 자켓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에너지 흡수 스트랩이 변형이 유발되면서 상부 자켓이 아웃터 자켓 내로 붕괴되며 유입된다. US8,375,822의 구조에 따르면 얇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지는 에너지 흡수 부재의 표면에 치가 형성되기 때문에, 잠금 부재의 치와 결합되는 에너지 흡수 스트랩의 치가 형성되는 부분의 강도 확보와 에너지 흡수 스트랩의 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의 원활한 변형 특성 확보가 서로 상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잠금 부재의 회동을 위해 여러 개의 회전력 전달 부재가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8,375,822 (등록일: 2013년02월19일) 미국 등록특허 US8,403,364 (등록일: 2013년03월26일) 미국 등록특허 US8,500,168 (등록일: 2013년08월06일) 미국 등록특허 US5,562,307 (등록일: 1999년10월08일) 영국 공개특허 GB2291840 (공개일: 1996년07월02일) 유럽 등록특허 EP0772541 (등록일: 1998년06월05일) 미국 등록특허 US5,595,399 (등록일: 1997년01월21일) 미국 등록특허 US6,623,036 (등록일: 2003년09월23일) 미국 공개특허 US2006/0181070 (공개일: 2006년08월17일) 미국 공개특허 US2007/0138781 (공개일: 2007년01월21일) 미국 공개특허 US2008/0023952 (공개일: 2008년01월31일) 미국 공개특허 US2016/0159387 (공개일: 2016년01월0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며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에너지 흡수 구조를 가지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에너지 흡수 구조의 작동을 위한 치의 불완전한 치합의 상태에서도 충돌 직후 에너지 흡수 기능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암을 구비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 쌍의 암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한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부 자켓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한 쌍의 암에 클램핑 힘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거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유닛,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연동하여 작동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텔레스코픽 치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 상기 텔레스코픽 치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잠금 치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선택적 치합을 통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상기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잠금 부재,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상기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가 상기 상부 자켓과 함께 텔레스코픽 거동을 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상기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의 충격 전달 시에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자켓의 상대 이동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상부 자켓에 고정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자켓의 상대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형태 변형에 의해 에너지 흡수가 발생하도록 하는 형태 변형부를 별도로 구비한다.
상기 형태 변형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J자형 스트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형태 변형부는 상기 J자형 스트랩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관통하는 체결 핀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상기 상부 자켓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자켓과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 시에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J자형 스트랩의 양 측면에 형태 변형 과정에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단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치는 상기 상부 자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여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상기 틸트 볼트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는 캠 부재, 상기 하부 하우징에 체결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잠금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는 지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 쌍의 암을 관통하는 틸트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치가 형성되는 제1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상부 자켓의 외면을 마주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틸트 볼트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공간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암을 구비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 쌍의 암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한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부 자켓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한 쌍의 암에 클램핑 힘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거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유닛,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연동하여 작동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텔레스코픽 치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 상기 텔레스코픽 치와 치합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잠금 치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 및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및 치합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해제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캠 부재,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잠금 스프링 부재,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가 상기 상부 자켓과 함께 이동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형태 변형을 통한 에너지 흡수를 수행하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여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 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틸트 볼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틸트 볼트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는 지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 스프링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잠금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암을 구비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 쌍의 암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한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부 자켓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한 쌍의 암에 클램핑 힘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거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유닛,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연동하여 작동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텔레스코픽 치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 상기 텔레스코픽 치와 치합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잠금 치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 및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및 치합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해제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캠 부재,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잠금 스프링 부재,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와 상기 상부 자켓을 연결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치는 상기 상부 자켓의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 및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및 치합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가 상기 상부 자켓과 함께 이동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형태 변형을 통한 에너지 흡수를 수행하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상부 자켓에 고정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자켓의 상대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형태 변형에 의해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여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 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틸트 볼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틸트 볼트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는 지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잠금 스프링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잠금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스코픽 치 부재, 에너지 흡수 부재, 그리고 잠금 부재 등에 의해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 시에 에너지 흡수구조가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잠금 부재가 직선 이동을 하면서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잠금 상태에서 잠금 스프링 부재를 통해 잠금 부재를 텔레스코픽 치 부재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텔레스코픽 치와 잠금 부재의 텔레스코픽 잠금 치의 산과 산이 중첩되어 불완전한 치 결합이 일어난 경우에도 충돌에 의한 틸트 발생 직후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텔레스코픽 치와 잠금 부재의 텔레스코픽 잠금 치의 치합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정적인 에너지 흡수 기능이 담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잠금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보조 잠금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잠금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Ⅷ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Ⅸ-Ⅸ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Ⅸ-Ⅸ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에너지 흡수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Ⅱ-Ⅱ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칼럼(10), 하부 하우징(22) 그리고 마운팅 브라켓(mounting bracket) (20)을 포함한다.
스티어링 칼럼(10)은 상부 자켓(11), 그리고 상부 자켓(11) 내에 배치되는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를 포함한다.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티어링 칼럼(10)은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스티어링 샤프트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0)은 텔레스코픽 방향(15)으로 이동 가능하고 틸트 방향(16)으로 틸트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0)의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131, 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스티어링 샤프트(13)가 삽입되는 슬리브 부재(133), 리테이닝 링(13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20)은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암(arm)(201, 20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암(201, 202)은 그 사이로 상부 자켓(11)이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암(201, 202)은 외력(클램핑 힘)이 가해지는 경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은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된다.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기능이 구비되는 경우, 하부 하우징(22)은 마운팅 브라켓(20)에 대해 틸트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틸트 거동 시에 스티어링 칼럼(10)은 하부 하우징(22)과 함께 틸트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수용 공간(2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수용 공간(25)에 스티어링 칼럼(10), 구체적으로는 상부 자켓(1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티어링 칼럼(10)이 하부 하우징(22) 내에서 슬라이딩 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0)의 텔레스코픽 거동이 일어나고, 스티어링 칼럼(10)이 하부 하우징(22)과 함께 틸트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거동이 일어난다. 즉, 스티어링 칼럼(10)은 하부 하우징(22)에 대한 상대 이동을 통한 텔레스코픽 거동 및 하부 하우징(22)과 함께 일어나는 틸트 거동이 가능하도록 하부 하우징(22)에 삽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22)은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을 마주하도록 한 쌍의 레그(leg)(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가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의 내측면과 각각 접촉하는 상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3)은 일부가 제거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레그(23)가 오므라들 수 있다.
한편, 틸트 조작 중 하부 하우징(22)과 이에 지지된 스티어링 칼럼(10)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스프링 부재(24)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스프링 부재(24)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일 수 있으며, 양 단(241)은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에 각각 체결되고 중간 부분인 지지부(242)는 하부 하우징(22)과 스티어링 칼럼(10)의 결합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부 자켓(11)의 일측 단부는 하부 하우징(22)에 길이 방향(즉, 텔레스코픽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텔레스코픽 잠금 상태에서 붕괴를 유발할 수 있는 충격력이 스티어링 칼럼(10)에 가해지는 경우 상부 자켓(11)이 하부 하우징(22) 내로 밀려들어 가면서 붕괴가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 흡수가 일어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자켓(11)은 하부 하우징(22)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22)의 레그(23) 사이 및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는 텔레스코픽 거동을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잠금 유닛(locking device)(30)을 포함한다. 이때, 틸트 거동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잠금 유닛(30)에 의해 틸트 거동도 선택적으로 잠기거나 허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텔레스코픽 및 틸트 기능이 모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잠금 유닛(30)은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에 선택적으로 놓일 수 있으며, 잠금 상태에서는 텔레스코픽 및 틸트 거동이 차단되고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텔레스코픽 및 틸트 거동이 허용된다. 한편, 잠금 유닛(30)의 잠금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스티어링 칼럼(10)이 붕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잠금 유닛(30)은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에 클램핑 힘(clamping force)을 선택적으로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0)의 텔레스코픽 및 틸트 거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에 클램핑 힘이 가해지는 경우,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과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가 클램핑 힘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라들고, 그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과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 사이의 마찰 및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와 상부 자켓(11)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틸트 거동 및 텔레스코픽 거동이 차단된다.
잠금 유닛(30)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31), 그리고 이 레버(31)와 함께 회전하도록 레버(31)에 체결되는 틸트 볼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1)는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회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틸트 볼트(32)는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과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틸트 볼트(32)는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과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를 가로지르는 길이방향 축을 정의하며, 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틸트 볼트(32)는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거동 시에 스티어링 칼럼(10)과 함께 틸트된다. 이때 틸트 볼트(32)의 양측 단부는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일측 단부에는 레버(31)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나사산(321)에 고정 너트(33)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레버(31)의 회동에 의해 틸트 볼트(32)가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에는 관통공(211, 212)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의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31)이 각각 형성된다. 틸트 볼트(32)는 이들 관통공(211, 212, 231)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틸트 거동 시에 틸트 볼트(32)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운팅 브라켓(20)의 관통공(211, 2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잠금 유닛(30)은 서로 캠 결합되는 제1 캠 부재(34)와 제2 캠 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캠 부재(34)는 레버(31)의 베이스부(31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캠 부재(35)는 제1 캠 부재(34)와 마주하는 상태로 제1 캠 부재(34)와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틸트 볼트(32)와 제1 캠 부재(34)는 레버(31)의 회동 시에 베이스부(311)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틸트 볼트(32)는 제1 및 제2 캠 부재(34, 35)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제1 캠 부재(34)와 제2 캠 부재(35)는 서로 접촉하는 캠 면을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캠 부재(34)는 캠 면 구조에 의해 그 회전과 함께 제2 캠 부재(35)를 가압하면서 틸트 볼트(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2 캠 부재(35)는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1)을 향해 약간 밀리게 된다. 즉, 도 7에서 레버(31)가 잠금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제1 캠 부재(34)와 틸트 볼트(32)가 레버(31)와 함께 회전하고 제1 캠 부재(34)의 회전에 의해 제2 캠 부재(35)가 제1 캠 부재(34)에 의해 밀려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1)을 향해 밀리게 된다. 이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1, 202) 및 하부 하우징(22)의 레그(23)가 제2 캠 부재(35)의 클램핑 힘에 의해 가압되어 내측으로 오므라들게 되며, 그에 의해 하부 하우징(22)의 레그(23)와 상부 자켓(11)이 차례로 가압되어 텔레스코픽 거동 및 틸트 거동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잠금 상태에서 클램핑 힘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20)의 한 쌍의 암(201, 202)이 내측으로 오므라들어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에 가압되고 또한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가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하부 하우징(22)의 내면이 상부 자켓(11)의 외면에 가압되며, 이에 의해 하부 하우징(22) 내에서의 상부 자켓(11)의 이동이 차단되어 스티어링 칼럼(10)의 텔레스코픽 거동이 차단되며 하부 하우징(22)의 틸트 거동이 차단되어 스티어링 칼럼(10)의 틸트 거동이 차단된다.
한편, 잠금 유닛(30)의 잠금 상태에서의 틸트 잠금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보조 잠금 구조(40)가 적용된다. 보조 잠금 구조(40)는 틸트 볼트(32)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회전에 대응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틸트 볼트(32)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틸트 거동을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31)의 잠금 상태로의 회전에 의해, 제2 캠 부재(35)가 도 7에서 좌측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1)을 밀게 되는데, 이때 제2 캠 부재(35)에 힘을 가하는 제1 캠 부재(34) 및 그에 고정된 틸트 볼트(32)가 캠 면 구조에 의해 도 7에서 우측으로 축 방향을 따라 밀리게 된다. 보조 잠금 구조(40)는 이러한 틸트 볼트(32)의 축 방향 이동을 이용하여 틸트 볼트(32)의 반대 측에서 틸트 잠금 기능을 보완하도록 작용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잠금 구조(40)는 레버(31)에서 먼 쪽의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2)과 틸트 볼트(32)의 단부의 나사산(321)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33) 사이에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잠금 구조(40)는 지지 블록(41), 잠금 스프링 부재(42), 잠금 치 부재(43),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 그리고 고정 치(4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블록(41)과 고정 너트(33) 사이에는 베어링(45)이 개재될 수 있으며, 지지 블록(41)에 대한 틸트 볼트(32)의 원활한 회전이 베어링(4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틸트 볼트(32)가 암(202)의 장공(212) 내에서 틸트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47), 그리고 틸트 거동 시에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흡수 부재(4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들 부재(41, 42, 43, 44, 45, 47, 46)들에는 모두 관통공이 형성되며, 틸트 볼트(32)가 이들 관통공들을 통과하여 설치된다.
잠금 치 부재(43)는 그 양 측면에 구비되는 이동 잠금 치(431)를 구비하며, 이동 잠금 치(431)에 체결될 수 있는 고정 치(48)는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2)의 지지면(213)에 구비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잠금 치(431)와 고정 치(48)는 틸트 볼트(32)의 틸트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치(48)과 이동 잠금 치(431)는 암(202)의 장공(2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잠금 구조(40)는 이동 잠금 치(431)와 고정 치(48)의 치합에 의해 보조 잠금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블록(41)은 틸트 볼트(32)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33)에 베어링(45)을 통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틸트 볼트(32)가 잠금 위치로 회전되면서 캠 부재(34, 35)의 작용에 의해 레버(31)가 위치하는 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 블록(41)은 틸트 볼트(32)의 이동에 대응하여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02)을 향해 밀리게 된다. 지지 블록(41)은 몸체부(411)와 네 개의 다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스프링 부재(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잠금 스프링 부재(42)는 잠금 치 부재(43)를 지지 블록(41)에 대해 잠금 방향, 즉 암(202)의 지지면(213)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잠금 스프링 부재(42)는 압축된 상태로 지지 블록(41)과 잠금 치 부재(43)에 각각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잠금 치 부재(43)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잠금 치 부재(43)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부(4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동 잠금 치(431)가 몸체부(432)의 양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잠금 스프링 부재(42)는 잠금 치 부재(43)의 몸체부(432)의 표면에 지지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는 잠금 치 부재(43)를 암(202)의 지지면(213)에 대해 잠금 해제 방향, 즉 암(202)의 지지면(2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는 잠금 치 부재(43)에 접촉하여 잠금 치 부재(43)를 지지하는 몸체부(441), 그리고 몸체부(441)에서 암(202)의 지지면(213)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탄성 다리(44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다리(442)는 네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암(202)의 지지면(213)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는 지지 부재(41)를 홀딩하기 위한 한 쌍의 홀딩 암(holding arm)(443)을 구비할 수 있다. 홀딩 암(443)은 몸체부(441)에서 지지 블록(41)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홀딩 암(443)의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부(444)가 지지 블록(41)의 걸림턱(413)에 체결될 수 있다. 홀딩 암(443)이 지지 블록(41)에 체결됨으로써, 지지 블록(41), 잠금 스프링 부재(42), 잠금 치 부재(43), 그리고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가 하나의 유닛으로 홀딩될 수 있다.
틸트 볼트(32)가 잠금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지지 블록(41)이 암(202)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그에 의해 잠금 스프링 부재(42)가 압축되면서 잠금 치 플레이트(43)가 암(202)의 지지면(213)을 향해 밀리게 되고, 이때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의 탄성 다리(442)가 찌그러지면서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의 몸체부(441)가 암(202)의 지지면(213)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틸트 볼트(32)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지지 블록(41)이 암(20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의해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의 탄성 다리(442)가 탄성 복원되면서 잠금 치 부재(43)가 암(202)의 지지면(2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 이동한다. 잠금 스프링 부재(42)와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44)의 탄성 계수는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암(202)의 지지면(213)에 구비되는 고정 치(213)는 이러한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에 대응하여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8의 (a)에 틸트 볼트(32)의 잠금 상태에 따른 보조 잠금 구조(40)의 잠금 상태, 즉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가 고정 치(213)에 치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b)에는 틸트 볼트(32)의 잠금 해제 상태에 따른 보조 잠금 구조(40)의 잠금 해제 상태, 즉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가 고정 치(213)에 치합되지 않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틸트 볼트(32)의 잠금 상태로의 회전에 의해 잠금 치 부재(43)가 암(202)의 지지면(213)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도,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의 산과 고정 치(213)의 산이 서로 만나면,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가 고정 치(213)와 치합되지 못하고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가 고정 치(213) 위에 올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런 상태에서도 잠금 스프링 부재(42)가 잠금 치 부재(43)를 탄성적으로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틸트 거동에 의해 틸트 볼트(43)의 약간의 회동이 있으면 잠금 치 부재(43)의 움직임이 유발되고 그에 의해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의 산과 고정 치(213)의 골이 서로 만나는 위치가 되면 잠금 스프링 부재(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잠금 치 부재(43)가 암(202)의 지지면(213)을 향해 이동하여 도 8의 (a)와 같은 잠금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잠금 치 부재(43)의 이동 잠금 치(431)와 고정 치(213)가 서로 치합되어 추가적인 틸트 거동이 차단된다.
가이드 부재(47)는 틸트 볼트(32)가 틸트 거동을 할 때 암(202)의 장공(212) 내의 정해진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47)는 양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471)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471)가 장공(212)의 측면(214)에 접촉하는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틸트 볼트(32)의 틸트 거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46)는 틸트 볼트(32)의 틸트 거동 시에 장공(212)의 상면 및 하면(215)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위해 장공(212)의 상면 및 하면(215)을 마주하는 부분에 충격 흡수부(46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잠금 유닛(3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작동에 연동하여 스티어링 칼럼(10)의 붕괴 시에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도록 하는 에너지 흡수 구조(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에너지 흡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에너지 흡수 구조(70)는 잠금 유닛(30)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상부 자켓(11)의 텔레스코픽 거동을 추가로 차단하도록 작용하며 가해지는 충격력에 대응하여 에너지 흡수를 일으키면서 상부 자켓(11)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한편, 에너지 흡수 구조(70)는 잠금 유닛(30)이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 상부 자켓(11)의 텔레스코픽 거동을 허용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에너지 흡수 구조(70)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 잠금 부재(73), 그리고 에너지 흡수 부재(75)를 포함한다.
잠금 부재(73)는 잠금 유닛(3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하여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작동한다.
에너지 흡수 부재(75)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가 상부 자켓(11)과 함께 텔레스코픽 거동을 하도록 작용하고,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의 충격 전달 시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 대한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상부 자켓(11)의 상대 이동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도록 작용한다.
도 3,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상부 자켓(11)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텔레스코픽 치(711)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텔레스코픽 치(711)를 통해서 잠금 부재(73)와의 선택적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에너지 흡수 부재(75)를 통해 상부 자켓(11)에 연결되며, 상부 자켓(11)과 함께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충격 시에는 상부 자켓(11)에 대해 텔레스코픽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텔레스코픽 치 부재(71)가 잠금 부재(73)와의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에너지 흡수 부재(75)와의 연결에 의해 상부 자켓(11)과 함께 텔레스코픽 방향으로 이동(즉, 텔레스코픽 거동)한다. 반면, 텔레스코픽 치 부재(71)가 잠금 부재(73)와의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상부 자켓(11)과 함께 이동하지 않으며 잠금 부재(73)와의 잠금에 의해 제 자리를 유지하고, 이런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상부 자켓(11)에 텔레스코픽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면 상부 자켓(11)이 정지해 있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 대해 상대 이동을 하게 되어 스티어링 칼럼(10)의 붕괴가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에너지 흡수 부재(75)의 변형에 의해 에너지 흡수가 일어난다.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상부 자켓(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부 자켓(11)의 표면에 밀착되는 제1 연장부(721), 제1 연장부(721)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상부 자켓(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연장부(722), 그리고 제1 및 제2 연장부(721, 722)의 양 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723, 7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 볼트(32)가 제1 연장부(721)와 제2 연장부(72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 치(711)는 제2 연장부(722)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부 자켓(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725)가 상부 자켓(11)에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725)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일측 단부를 잡아주며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와 상부 자켓(11)의 상대 이동 시에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725)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제1 연장부(721)의 양 측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10)의 붕괴 시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71)가 가이드 부재(725)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태로 상부 자켓(11)이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 대해 상대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725)는 상부 자켓(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충격 흡수 부재(726)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 구비된다. 충격 흡수 부재(726)는 고무와 같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텔레스코픽 거동 시에 틸트 볼트(32)와 충돌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잠금 부재(73)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텔레스코픽 치(711)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를 구비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잠금 부재(73)는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텔레스코픽 치(711)를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잠금 부재(73)는 잠금 유닛(30)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틸트 볼트(32)의 회전에 대응하여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을 향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9 내지 도 13에는 텔레스코픽 치(711)와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가 서로 치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잠금 부재(73)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서 멀어지는 방향(즉, 도 11에서 위 방향)으로 이동하면 텔레스코픽 치(711)와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의 치합이 해제된다. 다시 말해, 잠금 부재(73)는 텔레스코픽 치(711)와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의 치합 위치 및 치합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틸트 볼트(32)의 회전에 대응하는 잠금 부재(73)의 직선 이동은 캠 부재(7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캠 부재(76)가 틸트 볼트(32)와 함께 회전하도록 틸트 볼트(32)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캠 부재(76)가 틸트 볼트(32)에 형성된 평평한 체결부(322)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틸트 볼트(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슬리브 부재(761)가 캠 부재(76)와 틸트 볼트(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캠 부재(75)의 돌출된 부분이 잠금 부재(73)의 접촉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면 잠금 부재(73)의 직선 이동이 일어난다.
한편, 잠금 부재(73)를 텔레스코픽 치 플레이트(71)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잠금 스프링 부재(77)가 구비된다. 잠금 스프링 부재(77)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지지 부재(78)에 대해 잠금 부재(7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잠금 부재(73)는 잠금 스프링 부재(77)의 안착을 위한 안착 홈(7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78)는 클립 형태로 오므라들었다가 복원될 수 있는 체결 다리(781)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78)의 체결 다리(781)가 하부 하우징(22)의 레그(23)에 형성된 체결 홈(232)에 삽입됨으로써 지지 부재(78)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78)는 지지 스프링 부재(24)의 지지부(242)에 의해 탄성적으로 눌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상태에서 잠금 스프링 부재(77)가 잠금 부재(73)를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를 향해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잠금 상태로 전환 시에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의 산 부분이 텔레스코픽 치(711)의 산 부분 위에 올려져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와 텔레스코픽 치(711)의 완전한 치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충돌 발생 직후에 잠금 스프링 부재(7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와 텔레스코픽 치(711)의 완전 치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충돌 발생 시에 에너지 흡수 부재(75)로 힘이 가해질 수 있어 안정적인 에너지 흡수 및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가능해진다.
에너지 흡수 부재(75)는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 시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에너지 흡수 부재(75)는 한편으로는 상부 자켓(11)에 고정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흡수 부재(75)는 상부 자켓(11)에 고정되는 부분과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는 부분을 별도로 구비한다. 즉, 에너지 흡수 부재(75)는 상부 자켓(11)에 고정되는 몸체부(751), 그리고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 체결되어 형태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도록 하는 형태 변형부(753)를 포함한다.
도 3, 도 10, 도11 등을 참조하면, 몸체부(751)는 상부 자켓(11)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7511), 그리고 측면 플레이트(7511)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횡단부(75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7511)가 상부 자켓(11)의 표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형태 변형부(753)는 횡단부(751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형태 변형부(753)는 몸체부(751)의 횡단부(7512)에 연결되는 J자형 스트랩일 수 있다. 이때, 형태 변형부(753)의 양 측면에는 충격 전달 시 형태 변형부(753)의 변형을 위한 파단선(754)이 형성된다. 파단선(754)은 감소된 두께를 가지는 함몰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형태 변형부(753)의 일단은 몸체부(751)의 횡단부(751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는 체결부(7531)가 구비된다. 체결부(7531)는 한 쌍의 구비되어 형태 변형부(753)의 단부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며, 한 쌍의 체결부(7531)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제1 연결부(723)가 한 쌍의 체결부(7531) 사이에 삽입되며, 제1 연결부(723)에 형성된 관통홀(727)과 체결부(7531)에 형성된 관통홀(7532)에 체결 핀(74)이 삽입된다. 이에 의해 형태 변형부(753)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가 연결된다.
한편, 에너지 흡수 부재(75)가 도난 방지 기능을 위한 회전 방향으로의 토크 부하로 작용할 때 회전 방향으로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강성 강화 부재 (79)가 구비될 수 있다. 강성 강화 부재(79)는 상부 자켓(11)의 표면 및 에너지 흡수 부재(75)의 몸체부(751)에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텔레스코픽 거동 및 충격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 시의 에너지 흡수가 가능해진다. 레버(31)가 잠금 해제 위치로 회동되는 경우, 캠 부재(76)가 틸트 볼트(32)와 함께 회전하면서 잠금 부재(73)를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러한 잠금 부재(73)의 이동에 의해 잠금 부재(73)의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텔레스코픽 치(711)의 치합이 해제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잠금 유닛(30)에 의한 클램핑 힘이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자켓(11)의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에너지 흡수 부재(75)를 통해 상부 자켓(1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상부 자켓(11)과 함께 이동된다.
한편, 레버(31)가 잠금 위치로 회동되는 경우, 캠 부재(76)가 틸트 볼트(32)와 함께 회전하면서 잠금 부재(73)가 잠금 스프링 부재(7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를 향해 밀리게 되고, 이러한 잠금 부재(73)의 이동에 의해 잠금 부재(73)의 텔레스코픽 잠금 치(731)와 텔레스코픽 치 부재(71)의 텔레스코픽 치(711)의 치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잠금 유닛(30)에 의한 클램핑 힘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 자켓(11)의 텔레스코픽 거동이 차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 스티어링 칼럼(10)에 일정 크기 이상이 충격력이 가해지면 스티어링 칼럼(10)의 붕괴가 이루어진다. 즉, 스티어링 칼럼(10)의 상부 자켓(11)이 마운팅 브라켓(20)의 암(21)과 하부 하우징(22)의 레그(23)에 눌려진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상부 자켓(11)이 하부 하우징(22) 내에서 붕괴된다. 이때,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치 결합에 의해 잠금 부재(73)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에너지 흡수 부재(75)를 통해 상부 자켓(1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텔레스코픽 치 부재(71)는 제 자리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에너지 흡수 부재(75)의 형태 변형부(753)의 형태 변형 및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상부 자켓(11)의 붕괴가 일어난다. 즉,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텔레스코픽 치 부재(71)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부 자켓(11)의 붕괴(도 11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에너지 흡수 부재(75)의 몸체부(751)가 상부 자켓(11)과 함께 이동하고 그에 의해 형태 변형부(753)의 양측의 파단선(754)이 찢어지면서 도 13의 점선 원 내에 표시된 상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격 에너지가 흡수되면서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이루어진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는 레버(31)의 회동에 대응하여 오므라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2)은 레그(23)가 보다 잘 오므라들 수 있도록 레그(23)를 구획하는 구획 슬롯(233)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구획 슬롯(23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잠금 유닛(30)의 클램핑 힘에 의해 보다 잘 오므라들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획 슬롯(233)이 형성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한 에너지 흡수 부재(75)의 변형력으로 인해 하부 하우징(22)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 슬롯(233)의 존재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하는 벤딩(bending)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벤딩 현상을 차단하기 위해, 구획 슬롯(233)을 채우는 끼움 부재(83)가 구비된다. 끼움 부재(83)는 하부 하우징(22)의 한 쌍의 레그(23)에 형성된 구획 슬롯(233)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부(831) 및 이를 연결해주는 연결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 슬롯(233)을 채우는 끼움 부재(83)가 구비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벤딩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전체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끼움 부재(8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84)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부재(84)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22)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234)에 체결되는 볼트(841)에 의해 하부 하우징(22)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84)는 끼움 부재(83)를 누르기 위한 이탈 방지부(8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탈 방지부(843)가 끼움 부재(83)에 구비되는 걸림 턱(833)을 누름으로써 끼움 부재(83)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84)와 하부 하우징(22) 사이에 충격 흡수 범퍼(85)가 개재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범퍼(85)는 텔레스코픽 아웃 방향으로의 작동 시에 충격 흡수 기능을 한다.
한편, 구획 슬롯(233)에 의해 구획된 하부 하우징(22)의 레그(23)의 복원을 위한 탄성 부재(86)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86)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곡선 형태의 선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86)는 그 양 단이 하부 하우징(22)의 레그(23)에 형성된 설치 홀(235)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스티어링 칼럼
11: 상부 자켓
20: 마운팅 브라켓
201, 202: 암(arm)
22: 하부 하우징
23: 레그(leg)
24: 지지 스프링 부재
30: 잠금 유닛
31: 레버
32: 틸트 볼트
33: 고정 너트
34, 35: 캠 부재
40: 보조 잠금 구조
41: 지지 블록
42: 잠금 스프링 부재
43: 잠금 치 부재
44: 잠금 해제 스프링 부재
46: 충격 흡수 부재
47: 가이드 부재
48: 고정 치
70: 에너지 흡수 구조
71: 텔레스코픽 치 부재
73: 잠금 부재
75: 에너지 흡수 부재
76: 캠 부재
77: 잠금 스프링 부재
78: 지지 부재
233: 구획 슬롯
83: 끼움 부재

Claims (16)

  1.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암을 구비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 쌍의 암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한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부 자켓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한 쌍의 암에 클램핑 힘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거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유닛,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연동하여 작동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텔레스코픽 치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
    상기 텔레스코픽 치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잠금 치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선택적 치합을 통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상기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잠금 부재,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상기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가 상기 상부 자켓과 함께 텔레스코픽 거동을 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상기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의 충격 전달 시에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자켓의 상대 이동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상부 자켓에 고정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자켓의 상대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형태 변형에 의해 에너지 흡수가 발생하도록 하는 형태 변형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는 상기 상부 자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을 하도록 구성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2. 제1항에서,
    상기 형태 변형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J자형 스트랩으로 이루어지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3. 제2항에서,
    상기 형태 변형부는 상기 J자형 스트랩의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를 관통하는 체결 핀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체결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4. 제3항에서,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상기 상부 자켓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 자켓과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의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 시에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5. 제2항에서,
    상기 J자형 스트랩의 양 측면에 형태 변형 과정에서 파단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단선이 구비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여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상기 틸트 볼트의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는 캠 부재,
    상기 하부 하우징에 체결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잠금 부재를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잠금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8. 제7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는 지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상기 잠금 부재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9. 제1항에서,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 쌍의 암을 관통하는 틸트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치가 형성되는 제1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상부 자켓의 외면을 마주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틸트 볼트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공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암을 구비하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한 쌍의 암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한 텔레스코픽 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부 자켓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상기 한 쌍의 암에 클램핑 힘을 선택적으로 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거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유닛,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연동하여 작동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하는 에너지 흡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텔레스코픽 치를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치 부재,
    상기 텔레스코픽 치와 치합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잠금 치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 및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및 치합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잠금 부재,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해제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캠 부재,
    상기 잠금 유닛의 잠금 상태로의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잠금 스프링 부재, 그리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와 상기 상부 자켓을 연결하는 에너지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치는 상기 상부 자켓의 텔레스코픽 거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직선 이동을 통해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 및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및 치합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해제 상태에서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가 상기 상부 자켓과 함께 이동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텔레스코픽 잠금 치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의 치합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형태 변형을 통한 에너지 흡수를 수행하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붕괴가 허용되도록 작용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14. 제13항에서,
    상기 에너지 흡수 부재는 상기 상부 자켓에 고정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텔레스코픽 치 부재에 대한 상기 상부 자켓의 상대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형태 변형에 의해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 변형부를 포함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15. 제13항에서,
    상기 잠금 유닛은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는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하여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틸트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틸트 볼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틸트 볼트에 체결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16. 제15항에서,
    상기 에너지 흡수 구조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체결되는 지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스프링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잠금 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0180009837A 2018-01-26 2018-01-26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00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37A KR102003364B1 (ko) 2018-01-26 2018-01-26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PCT/KR2019/001004 WO2019147033A1 (ko) 2018-01-26 2019-01-24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837A KR102003364B1 (ko) 2018-01-26 2018-01-26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364B1 true KR102003364B1 (ko) 2019-07-24

Family

ID=6739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837A KR102003364B1 (ko) 2018-01-26 2018-01-26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3364B1 (ko)
WO (1) WO20191470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821A1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0472B2 (en) 2019-12-12 2022-06-28 Mahindra N.A. Tech Center Steering column tilt lock
CN111751126B (zh) * 2020-07-07 2021-11-23 武汉捷隆汽车电动转向系统有限公司 一种转向器管柱操作性能的检测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1840A (en) 1994-07-29 1996-02-07 Torrington Co Vehicle steering column reach adjustment and energy absorbing mechanism
US5595399A (en) 1994-01-06 1997-01-21 Nacam Energy-absorbing device with axial holding for automobile vehicle steering columns
US6623036B2 (en) 2001-01-11 2003-09-23 Fuji Kiko Co., Ltd.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US20060181070A1 (en) 2003-05-14 2006-08-17 Kenji Imamura Shock absorbing steering apparatus
US20070138781A1 (en) 2005-09-01 2007-06-21 Dominique Cuiller Steering column assembly
US20080023952A1 (en) 2006-07-31 2008-01-31 Manwaring Marvin V Adjustable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eering column
JP2011516323A (ja) * 2008-03-31 2011-05-26 ティッセンクルップ・プレス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US20120125139A1 (en) * 2010-11-23 2012-05-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column telescope lock
US8375822B2 (en) 2009-05-29 2013-02-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8403364B2 (en) 2008-06-04 2013-03-26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US8500168B2 (en) 2007-05-11 2013-08-06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Energy absorption position-keeping device in an automotive vehicle steering column
US20160159387A1 (en) 2013-07-31 2016-06-09 Jtekt Corporation Ste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930B1 (ko) * 2004-02-19 2006-06-22 남양공업주식회사 스티어링기구 에너지흡수장치
JP4449600B2 (ja) * 2004-06-28 2010-04-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28729B1 (ko) * 2005-07-05 2011-04-1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컬럼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399A (en) 1994-01-06 1997-01-21 Nacam Energy-absorbing device with axial holding for automobile vehicle steering columns
GB2291840A (en) 1994-07-29 1996-02-07 Torrington Co Vehicle steering column reach adjustment and energy absorbing mechanism
US5562307A (en) 1994-07-29 1996-10-08 The Torrington Company Vehicle steering column adjustment and energy absorbing mechanism
EP0772541B1 (en) 1994-07-29 1998-05-06 The Torrington Company Limited Vehicle steering column adjustment and energy absorbing mechanism
US6623036B2 (en) 2001-01-11 2003-09-23 Fuji Kiko Co., Ltd.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vehicle
US20060181070A1 (en) 2003-05-14 2006-08-17 Kenji Imamura Shock absorbing steering apparatus
US20070138781A1 (en) 2005-09-01 2007-06-21 Dominique Cuiller Steering column assembly
US20080023952A1 (en) 2006-07-31 2008-01-31 Manwaring Marvin V Adjustable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eering column
US8500168B2 (en) 2007-05-11 2013-08-06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Energy absorption position-keeping device in an automotive vehicle steering column
JP2011516323A (ja) * 2008-03-31 2011-05-26 ティッセンクルップ・プレス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US8403364B2 (en) 2008-06-04 2013-03-26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US8375822B2 (en) 2009-05-29 2013-02-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20120125139A1 (en) * 2010-11-23 2012-05-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column telescope lock
US20160159387A1 (en) 2013-07-31 2016-06-09 Jtekt Corporation Steer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821A1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
KR20210030577A (ko)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
CN114364594A (zh) * 2019-09-10 2022-04-15 株式会社万都 汽车驾驶杆
KR102517943B1 (ko) * 2019-09-10 2023-04-04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동차 조향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7033A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599B1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003364B1 (ko)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US9242667B2 (en) Steering device
US9540031B2 (en) Steering device
JP2003002211A (ja)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US9663134B2 (en) Steering system
JPH07232649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EP3000690A1 (en) Position adjusting-type steering device
US10752281B1 (en)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JP642907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7521550B (zh) 操舵装置
EP3342675A1 (en) Steering system
KR20180022289A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JP202218904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201183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200346680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200044375A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US7306259B2 (en) Lock for tilting and telescoping steering column
KR102079641B1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US10960916B2 (en)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190090975A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JP201606033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2189047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111090A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90059885A (ko) 컬랩서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