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629A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629A
KR20180089629A KR1020170014214A KR20170014214A KR20180089629A KR 20180089629 A KR20180089629 A KR 20180089629A KR 1020170014214 A KR1020170014214 A KR 1020170014214A KR 20170014214 A KR20170014214 A KR 20170014214A KR 20180089629 A KR20180089629 A KR 2018008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shaft
shaft bearing
support
worm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273B1 (ko
Inventor
김종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14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273B1/ko
Priority to US15/881,680 priority patent/US10378639B2/en
Priority to DE102018201372.1A priority patent/DE102018201372A1/de
Priority to CN201810101098.8A priority patent/CN108706045B/zh
Publication of KR2018008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62D5/0412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the axes of motor and steering column being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 F16C35/077Fixing them on the shaft or housing with interposition of an element between housing and outer race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18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 F16H57/0025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with gearing elements rigidly connected to a shaft, e.g. securing gears or pulleys by specially adapted splines, keys or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82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pplication in vehicles other than propelling, e.g.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2057/0213Support of worm gea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터축과 연결되는 일측단부와 반대쪽인 타측단부에 각각 제1웜축베어링과 제2웜축베어링이 결합되는 웜축, 제1웜축베어링과 제2웜축베어링 및 웜축이 내장되는 기어하우징, 제2웜축베어링과 기어하우징의 사이에 결합되며, 외주측에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와 내주측에 제2웜축베어링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제2웜축베어링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축과 웜휠의 마모에 의한 유격을 방지하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음과 백래쉬에 의한 래틀 노이즈를 줄이고, 웜휠의 흡습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웜축과 웜휠의 작동력 과대를 방지하고 유격변화와 노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정확하게 보조할 수 있게 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는 조향휠(102)로부터 양측 바퀴(126)까지 이어지는 조향 계통(130) 및 조향 계통(130)에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동력 기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향 계통(130)은 일측이 조향휠(102)에 연결되어 조향휠(102)과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한 쌍의 유니버설 조인트(104)를 매개로 피니언축(108)에 연결되는 조향축(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피니언축(108)은 랙-피니언 기구부(110)를 통해 랙바(112)에 연결되고, 랙바(112)의 양단은 타이로드(122)와 너클암(124)을 통해 차량의 바퀴(126)에 연결된다.
보조 동력 기구(140)는 운전자가 조향휠(102)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142), 토크 센서(142)로부터 전해지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제어 장치(144), 전자 제어 장치(144)로부터 전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6) 및 모터(146)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을 조향축(106)에 전달하기 위하여 웜(152) 및 웜휠(156)을 구비한 감속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휠(10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가 랙-피니언 기구부(110)를 거쳐서 랙바(112)에 전달되고, 발생된 토크에 따라 모터(146)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랙바(112)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즉, 조향휠(10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와 모터(146)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합쳐져서 랙바(112)를 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150)는 웜(152)이 형성된 웜축(254)이 구비되고 웜축(254)의 양단에는 웜축 베어링(257)이 각각 설치되어 웜축(254)을 지지하며, 웜축 베어링(257)이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볼트(210)가 댐핑 커플러(240)와 웜축 베어링(257) 사이에 체결되고, 플러그 볼트(210)는 플러그 너트(220)에 의해 고정된다.
웜축(254)은 모터(146)와 댐핑 커플러(240)를 매개로 연결되어 모터(146)의 구동에 의해 웜축(254)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웜축(254) 상에 형성된 웜(152)과 치물림될 수 있도록 웜(152)의 외경 일측에는 웜휠(156)이 구비되며, 웜휠(156)은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10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축(106)에 장착되어 모터(146)의 구동에 의한 웜축(254)의 회전력이 조향축(106)에 전달되는 구조이다.
기어하우징(260)에는 웜(152), 웜휠(156) 등이 내주하고 기어하우징(260)의 일측으로 웜축(25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6)가 구비되며, 기어하우징(260)과 모터(146)는 모터 커버(230)에 의해 볼트(250)로 결합된다.
웜축 베어링(257)은 내륜(280)과 외륜(270) 사이에 볼(258)이 결합되어 있어서, 기어하우징(260)의 끝단부에서 모터(150)와 연결된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는 차량 운행조건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한 웜축의 회전력이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의 회전력에 부가하여 조향축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 운전 상태를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웜과 웜휠이 내구가 진행되면 마모에 의해 발생되는 유격으로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노면으로부터 바퀴와 조향축을 타고 전달되는 충격음과 웜과 웜휠의 백래쉬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웜휠의 흡습 팽창으로 인해 웜축과 웜휠의 작동력 과대가 발생되고 유격변화와 노이즈가 커짐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축과 웜휠의 마모에 의한 유격을 방지하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음과 백래쉬에 의한 래틀 노이즈를 줄일 수 있게 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웜휠의 흡습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웜축과 웜휠의 작동력 과대를 방지하고 유격변화와 노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정확하게 보조할 수 있게 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터축과 연결되는 일측단부와 반대쪽인 타측단부에 각각 제1웜축베어링과 제2웜축베어링이 결합되는 웜축, 제1웜축베어링과 제2웜축베어링 및 웜축이 내장되는 기어하우징, 제2웜축베어링과 기어하우징의 사이에 결합되며, 외주측에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와 내주측에 제2웜축베어링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제2웜축베어링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축과 웜휠의 마모에 의한 유격을 방지하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음과 백래쉬에 의한 래틀 노이즈를 줄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웜휠의 흡습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웜축과 웜휠의 작동력 과대를 방지하고 유격변화와 노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정확하게 보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중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는, 모터축과 연결되는 일측단부와 반대쪽인 타측단부(254a)에 각각 제1웜축베어링(257a)과 제2웜축베어링(257b)이 결합되는 웜축(254), 제1웜축베어링(257a)과 제2웜축베어링(257b) 및 웜축(254)이 내장되는 기어하우징(260), 제2웜축베어링(257b)과 기어하우징(260)의 사이에 결합되며, 외주측에 기어하우징(26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310)와 내주측에 제2웜축베어링(257b)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320)가 구비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300), 기어하우징(260)에 결합되며 제1지지부재(300)를 관통하여 제2웜축베어링(257b)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290)를 포함한다.
감속기는 모터(146)의 구동력에 의해 웜축(254)과 웜휠(156)이 연동되면서 조향축(201)을 회전시켜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되는데, 모터(146)의 구동시 모터(146)의 축과 연동되는 웜축(254)의 일측단부와 반대쪽 타측단부에는 각각 제1웜축베어링(257a)과 제2웜축베어링(257b)이 체결되어 웜축(254)의 회전을 지지하며, 조향축(201)과 연동되는 웜휠(156)과 웜축(254)은 기어하우징(260)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하우징(260)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300)와 제2지지부재(290)가 제2웜축베어링(257b)을 지지하여 웜축(254)과 웜휠(156)의 유격을 보상하면서 충격과 래틀 노이즈를 흡수하게 되어 있다.
제1지지부재(300)는 제2웜축베어링(257b)과 기어하우징(260)의 사이에 결합되는 링형상으로, 외주측에 기어하우징(26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310)가 구비되고 내주측에 제2웜축베어링(257b)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3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재(300)는 외측지지부(3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그루브(313)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외측지지부(310)가 제1그루브(313)를 경계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300)가 기어하우징(260)에 결합시 경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때 제1그루브(313)의 빈 공간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조립될 수 있게 되며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경방향의 탄성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측지지부(310)의 외주면에 제2웜축베어링(257b)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290)가 관통되는 관통홀(311)이 구비되어 있다.
제1지지부재(300)의 내주측에 구비되는 내측지지부(320)는 제1그루브(313)가 형성된 위치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내측지지부(320)도 원주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노면으로부터 웜축(254)으로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나 모터(146)의 구동으로 전달되는 진동, 웜휠(156)의 흡습으로 인한 팽창으로 웜축(254)과 제2웜축베어링(257b)이 경방향으로 유동시 내측지지부(320)의 이격된 사이의 공간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제2웜축베어링(257b)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320)의 내주면과 제2웜축베어링(257b)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G2)이 구비되어 있어서, 평상시 즉, 노면으로부터의 전달 충격도 없고 웜휠(156)의 마모량과 흡습량도 표준 설계량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2웜축베어링(257b)과 간극(G2)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거나 웜휠(156)의 마모량과 흡습량이 표준 설계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 하중에 의해 제2웜축베어링(257b)의 경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지지부(320)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외측지지부(310)와 경방향의 간극(G1)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유동지지부(321a, 321b)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2웜축베어링(257b)의 경방향 유동시 유동지지부(321a, 321b)가 경방향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제2웜축베어링(257b)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유동지지부(321a, 321b)는 제2웜축베어링(257b)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G1)이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면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거나 웜휠(156)의 마모량과 흡습량이 표준 설계량을 초과하는 경우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 하중에 의해 제2웜축베어링(257b)의 경방향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지지부(320)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지지부(320)는 유동지지부(321a, 321b)와 연결되는 부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그루브(323)가 구비되어 있어서 유동지지부(321a, 321b)의 경방향 외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2그루브(323)는 원주형상 또는 아크형상의 단면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유동지지부(321a, 321b)의 경방향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탄성 변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더라도 제2그루브(323) 부위에 변형이나 파손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제2그루브(323)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지지부(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보았을때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방향과 원주방향으로 60°~ 120°사이에 위치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웜휠(156)로부터 웜축(254)으로 전달될 때 충격 흡수 방향으로의 유동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지지부(320)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지지부(320)는 유동지지부(321a, 321b)의 내주면에 제2웜축베어링(257b)에 접촉되며 지지되는 지지돌기(325)가 구비되어 제2웜축베어링(257b)을 밀착 지지하게 된다.
이렇게 지지돌기(325)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지지부(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축(254)의 축방향으로 보았을때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방향과 원주방향으로 60°~ 120°사이에 위치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웜휠(156)로부터 웜축(254)으로 전달될 때 충격 흡수 방향으로의 유동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즉, 제2지지부재(290)는 제2웜축베어링(257b)을 지지하는 로드(291)가 기어하우징(260)에 결합되는 조정플러그(295)에 결합된 탄성부재(293)의 탄성력으로 웜축(254)과 웜휠(156)의 유격을 보상하게 되는데,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방향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축(254)과 웜휠(156)의 유격보상 방향(W1)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감속기의 내구가 진행되면 웜휠(156)의 기어치가 마모되어 유격이 발생되어 유격 보상이 필요한데, 단순히 웜축(254)을 웜휠(156)쪽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웜기어치로부터 전달되는 반력과 반대방향으로 웜축(254)이 지지되도록, 웜축(254)과 수직인 평면상에서 웜축(254)의 중심과 웜휠(156)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축(Z)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축(W1)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각도는 웜축(254)과 웜휠(156)의 기어치 반력에 의한 내구 마모를 고려할때 25°~ 45°로 지지된다.
이와 관련된 웜축(254)과 웜휠(156)의 작동 반력과 유격보상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좌표계는, 웜축(254) 방향을 X축, 이와 수직이면서 웜축(254)의 중심과 웜휠(156)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을 Z축, X축 및 Z축과 수직인 방향을 Y축으로 설정할때, X축과 수직인 평면을 도시한 도 6에서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 방향인 W1축 방향이 유격보상 방향이 되며, 이 W1축과 60°~ 120°사이에 제2그루브(323)가 구비된 내측지지부(320)가 구비된다.
다만, 도 6에서는 제2그루브(323)가 구비된 내측지지부(320)의 위치를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 방향 W1축과 90°인 W2축에 위치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제2지지부재(290)에 의해 웜축(254)과 제2웜축베어링(257b)이 유격 보상 방향인 W1축 방향으로 유동될 때 이와 90°를 이루는 W2축상에 배치된 지지돌기(325)가 구비된 내측지지부(320)가 유격 보상 방향의 양측을 지지하게 되고, 노면으로부터 충격 하중이 웜휠(156)로부터 웜축(254)으로 전달될 때에는 내측지지부(320)의 제2그루브(323)로 인해 충격 흡수 방향으로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내구가 진행되어 웜휠(156)의 기어치 마모로 유격이 발생되어 유격 보상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 방향(W1)에 구비되는 간극(G2)만큼 유동이 이루어지면서 양측에서 지지돌기(325)가 구비된 내측지지부(320)가 제2웜축베어링(257b)의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웜휠(156)의 흡습으로 인한 유동과 노면의 충격으로 인한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제2지지부재(290)의 지지 방향(W1)과 90°인 방향(W2축)으로 하중이 전달되고 제2그루브(323)가 유동지지부(321a, 321b)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웜축(254)과 웜휠(156)의 작동력 과대를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지지돌기(325)는 둘이상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되어 제2지지부재(290)에 의한 유격 보상 유동이 이루어질 때 제2웜축베어링(257b)의 외주면의 지지 부위가 넓어지게 하여 지지력을 크게 하면서도 지지 부위의 마찰을 최소화하게 되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지지돌기(325) 3~4개가 구비되어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에 있어서, 웜과 웜휠의 마모에 의한 유격을 방지하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음과 백래쉬에 의한 래틀 노이즈를 줄이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웜휠의 흡습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웜축과 웜휠의 작동력 과대를 방지하고 유격변화와 노이즈를 최소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력을 정확하게 보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46: 모터 156: 웜휠
254: 웜축 257a: 제1웜축베어링
257b: 제2웜축베어링 290: 제2지지부재
300: 제1지지부재 310: 외측지지부
313: 제1그루브 320: 내측지지부
321a, 321b: 유동지지부
323: 제2그루브 325: 지지돌기

Claims (12)

  1. 모터축과 연결되는 일측단부와 반대쪽인 타측단부에 각각 제1웜축베어링과 제2웜축베어링이 결합되는 웜축;
    상기 제1웜축베어링과 제2웜축베어링 및 웜축이 내장되는 기어하우징;
    상기 제2웜축베어링과 상기 기어하우징의 사이에 결합되며, 외주측에 상기 기어하우징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와 내주측에 상기 제2웜축베어링을 지지하는 내측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제1지지부재;
    상기 기어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웜축베어링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외측지지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그루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제1그루브가 형성된 위치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웜축베어링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측지지부와 경방향의 간극이 구비되도록 유동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지지부는 상기 제2웜축베어링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지지부는 상기 유동지지부와 연결되는 부위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그루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는 원주형상 또는 아크형상의 단면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루브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지지부는, 상기 웜축의 축방향으로 보았을때 상기 제2지지부재의 지지방향과 원주방향으로 60°~ 120°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부 중에 적어도 하나의 내측지지부는 상기 유동지지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2웜축베어링에 접촉되며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내측지지부는, 상기 웜축의 축방향으로 보았을때 상기 제2지지부재의 지지방향과 원주방향으로 60°~ 120°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둘이상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0170014214A 2017-02-01 2017-02-01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635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14A KR102635273B1 (ko) 2017-02-01 2017-02-01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US15/881,680 US10378639B2 (en) 2017-02-01 2018-01-26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DE102018201372.1A DE102018201372A1 (de) 2017-02-01 2018-01-30 Untersetzer von elektrischer servolenkvorrichtung
CN201810101098.8A CN108706045B (zh) 2017-02-01 2018-02-01 电动转向装置的减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14A KR102635273B1 (ko) 2017-02-01 2017-02-01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29A true KR20180089629A (ko) 2018-08-09
KR102635273B1 KR102635273B1 (ko) 2024-02-13

Family

ID=6284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14A KR102635273B1 (ko) 2017-02-01 2017-02-01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78639B2 (ko)
KR (1) KR102635273B1 (ko)
CN (1) CN108706045B (ko)
DE (1) DE102018201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16486D0 (en) * 2016-09-28 2016-11-09 Trw Limited A gearbox assembly for a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10136584B1 (en) * 2017-04-26 2018-11-27 George Larry Cours Dual reciprocating blade landscape saw with enhanced durability and performance
FR3067084B1 (fr) * 2017-05-31 2019-07-19 Jtekt Europe Bouchon d’etancheite pour carter de reducteur portant un chariot de compensation de jeu d’engrenement
JP6875962B2 (ja) * 2017-08-31 2021-05-26 Kyb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8124143A1 (de) * 2018-09-28 2020-04-02 Thyssenkrupp Ag Lagervorrichtung, Verstellvorrichtung, verstellbare Lenksäul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stellvorrichtung
DE102021112562A1 (de) * 2020-05-15 2021-11-18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Justierungsmechanismus für elektrisches servolenkungs-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086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491304B1 (ko) * 2013-08-27 2015-02-0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50046547A (ko) * 2013-10-22 2015-04-3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50059862A (ko) * 2013-11-25 2015-06-0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60087003A (ko) * 2015-01-12 2016-07-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6626A (ja) * 2007-05-29 2008-12-11 Oiles Ind Co Ltd ブッシュ軸受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のラックピニオン式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7055814A1 (de) * 2007-12-14 2009-06-18 Zf Lenksysteme Gmbh Radialbewegliches Loslager
DE102008009107B4 (de) * 2008-02-14 2010-06-17 Jtekt Europe Mechanisches Untersetzungsgetriebe mit Schnecke und Schneckenrad
JP5908380B2 (ja) * 2012-09-24 2016-04-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ステアリング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減速機
JP6313969B2 (ja) * 2013-12-25 2018-04-18 Kyb株式会社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151110B1 (ko) * 2014-06-11 2020-09-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베어링 부시
JP6108358B2 (ja) * 2014-07-23 2017-04-05 株式会社ショーワ ウォーム付勢構造体
KR20170014214A (ko) 2015-07-29 2017-02-08 (주) 이루팩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086A (ko) * 2011-04-06 2012-10-1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491304B1 (ko) * 2013-08-27 2015-02-06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50046547A (ko) * 2013-10-22 2015-04-3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50059862A (ko) * 2013-11-25 2015-06-03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60087003A (ko) * 2015-01-12 2016-07-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감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6720A1 (en) 2018-08-02
DE102018201372A1 (de) 2018-08-02
CN108706045B (zh) 2020-12-15
US10378639B2 (en) 2019-08-13
CN108706045A (zh) 2018-10-26
KR102635273B1 (ko)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629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281681B1 (ko) 자동차의 감속기
CN107031700B (zh) 转向装置
US838186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101204306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 장치
KR20080004175A (ko) 전동식 조향장치
KR20170076256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40140320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2014030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05766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200022735A (ko)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KR2018011838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110076112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56633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45254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81827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2369866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웜휠
KR101405738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10073004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70067249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1043632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42394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170003155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JP20192062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427474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