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354A -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354A
KR20160085354A KR1020167016737A KR20167016737A KR20160085354A KR 20160085354 A KR20160085354 A KR 20160085354A KR 1020167016737 A KR1020167016737 A KR 1020167016737A KR 20167016737 A KR20167016737 A KR 20167016737A KR 20160085354 A KR20160085354 A KR 20160085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particles
based resin
resi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811B1 (ko
Inventor
히데히로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Publication of KR20160085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18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impregnating polymer particles with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06CO2, N2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44Micropores, i.e. average diameter being between 0,1 micrometer and 0,1 milli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04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foam pores
    • C08J2205/052Closed cells, i.e. more than 50% of the pores are clo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7/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intended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4Copolymers of propene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고온 환경에서의 부피 수축이 적고 반복 압축시의 회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그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수지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1)가, 이 1회째 가열에 이어서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한 후 추가적으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2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2)보다 1.5℃ 이상 높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프리수지 입자를 준비하는 공정, 프리수지 입자를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5~25℃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여 수지 입자를 제작하는 공정 및 수지 입자를 발포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Polyolefin resin particles, polyolefin resin foamed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olefin resin foamed particles}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발포시켜 제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축성이 있는 천으로 구성된 주머니 형상물에 미소한 발포 입자를 충전한 비즈 쿠션은 예를 들어 안는 베개, 요, 침대 매트, 이불, 안면(安眠)용 베개, 자동차 내장재, 풋 서포터, 구명조끼, 방한옷 및 가구 등의 다양한 물품에 응용되고 있다. 비즈 쿠션의 편안함은 천의 신축성 및 발포 입자의 입자지름에 의한 것이 확인되어 있고, 특히 발포 입자가 미소할수록 비즈 쿠션류의 편안함은 향상된다. 이러한 비즈 쿠션에 적용 가능한 발포 입자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 입자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포 입자는 미소하므로, 비즈 쿠션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미소한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1-7423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5-225227호 공보
그러나,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 입자를 사용한 비즈 쿠션에는 몇 가지 과제가 지적되었다. 그 중 하나가 발포 입자의 세틀링(settling, 주저앉음)이고, 다른 하나는 고온 환경 하에서 발포 입자의 부피 수축이다. 세틀링은 압축된 발포 입자가 찌그러진 상태가 되는 현상이다. 이는 비즈 쿠션에 하중이 걸려 발포 입자의 부피 변화가 반복 발생함으로써 일어난다. 특히,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취성이 높기 때문에,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 입자는 과도한 압축이나 장기간 반복 압축을 받은 경우에 기포막의 소성 변형이나 기포의 파열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세틀링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었다.
고온 환경에서 발포 입자의 부피 수축은 고온 환경 하에 발포 입자가 놓였을 때 발포 입자의 베이스 수지가 변형 수축되는 것 및 발포 입자의 기포 내의 기체가 발포 입자로부터 흩어져 없어지는 것 등에 의해 일어난다. 폴리스티렌계 수지는 그 유리 전이 온도가 100℃ 전후이기 때문에 폴리스티렌계 수지 발포 입자를 이용한 비즈 쿠션을 간호용 침대 매트로서 이용한 경우 등에는 스팀 살균이나 자비 소독 등에 의해 간호용 침대 매트를 세정하였을 때에 발포 입자의 부피 수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스티렌계 수지보다 연성이 우수하고 열변형 온도가 높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는 압축시의 회복성 및 고온에서의 치수 안정성 등이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단,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기포 구조와 그 압축 회복성은 상관이 있고, 발포 입자의 기포 수가 너무 적으면 충분한 압축 회복성을 얻을 수 없다. 여기서, 발포 입자의 입자지름이 작은 경우 발포 입자의 단면 기포 수를 많게 하고자 하면 자연히 기포 직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즉, 입자지름이 작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에 있어서 충분한 압축 회복성을 얻기 위해서는 그 기포를 극미세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발포는 극히 짧은 시간에 완료되기 때문에 발포 과정에서 기포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 특히 미세한 기포 구조를 얻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그 때문에 작은 입자지름이어도 미세한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는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고온 환경에서 부피 수축 및 세틀링이 발생하기 어려운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 및 그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면밀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발포시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로서, 이 수지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1)가, 이 1회째 가열에 이어서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한 후 나아가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2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2)보다 1.5℃ 이상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2]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를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2~25℃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3] 입자 중량이 2000μg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4]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입자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발포하여 이루어지고, 이 발포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이 2개의 융해 피크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6] 겉보기 밀도는 10~300g/L이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방향을 따라 발포 입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기포의 수가 10~50이며, 또한 평균 기포 직경이 100μm 이하이고, 독립 기포율이 70% 이상인, 상기 [5]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7] 발포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고, DSC 곡선의 2개의 융해 피크 중 고온측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는 고온측 융해 피크의 열량(ΔH) 및 저온측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m)와 이하의 식(1)의 관계를 갖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T≥Tm+19-0.27×ΔH……(1)
[8]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충전한 물품.
[9]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프리수지 입자를 준비하는 공정, 프리수지 입자를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5~25℃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여 수지 입자를 제작하는 공정 및 수지 입자를 발포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고온 환경에서의 부피 수축이 적고 반복 압축시의 회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그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한 수지 입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발포 입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의한 발포 입자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의한 수지 입자의 1회째 가열시의 DSC 곡선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한 수지 입자의 2회째 가열시의 DSC 곡선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의한 발포 입자의 DSC 곡선이다.
본 발명자는 특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발포시킴으로써 입자지름이 작은 발포 입자에서도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발포시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1)가 이 1회째 가열에 이어서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한 후 추가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2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2)보다 1.5℃ 이상 높아지는 결정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1)를 제1 온도(T1)라고 부르고, 이 1회째 가열에 이어서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한 후 추가적으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2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2)를 제2 온도(T2)라고 이하 부른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입자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이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주성분」이란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중에 50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중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이나 1-부텐, 이소부틸렌, 1-펜텐, 3-메틸 1-부텐, 1-헥센, 3,4-디메틸-1-부텐 및 3-메틸-1-헥센 등의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나아가 2원 공중합체뿐만 아니라 3원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
또, 상기 공중합체 중의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올레핀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의 비율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중에 함유된다. 또한, 이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성분 단위를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의 균형이 특히 우수한 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다른 열가소성 수지 성분 및 엘라스토머 성분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 성분 및 엘라스토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수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불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에틸렌-아크릴 고무, 염소화 폴리에틸렌 고무 및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융해 피크의 온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이 수지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1)가 이 1회째 가열에 이어서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한 후 추가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2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2)보다 1.5℃ 이상 높아지는 결정 구조를 가진다. 제1 온도(T1)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결정 구조(후술하는 등온 결정화에 의해 생성되는 결정 구조)의 융해에 유래하는 융해 온도이다. 한편, 제2 온도(T2)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갖는 결정 구조(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원래 갖는 결정 구조)의 융해에 유래하는 융해 온도이다. 후술하는 열처리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원래 갖는 결정 구조가 융해되고, 융해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등온 결정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결정 구조가 생성된다. 또, 제1 온도(T1) 및 제2 온도(T2)는 JIS K7121(1987)에 준거하여 구해지는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이고, 상기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가 복수 존재할 때에는 고온측 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정점 높이가 가장 높은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를 융점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에서는 제2 온도(T2)에 비해 제1 온도(T1)는 1.5℃ 이상 높고,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높다. 제1 온도(T1)와 제2 온도(T2)의 차이(T1-T2)의 상한은 거의 10℃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8℃이다. 이러한 결정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발포시킴으로써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열처리]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를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2~25℃ 높은 온도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5~22℃ 높은 온도로 열처리함으로써 제작된다. 이에 의해, 제1 온도(T1)가 제2 온도(T2)에 대해 1.5℃ 이상 높아지는 제1 온도(T1)의 융해 온도를 갖는 결정 구조를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에 발생시킬 수 있다. 또,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는 상술한 열처리를 하기 전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이다.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는 예를 들어 시판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펠렛을 사용하여 스트랜드 형상의 성형체를 제작하고, 그 성형체를 절단 또는 분쇄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가 원래 갖는 결정 구조를 가지며, 상술한 제2 온도(T2)의 융해 온도를 가진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입자 중량은 2000μ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μ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μg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입자 중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미소한 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가 상기 특정의 결정 구조를 가짐으로써 입자 중량이 작은 미소한 입자이어도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또, 입자 중량의 하한은 약 5×10- 4μg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2μ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μg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형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는 바람직하게는 1~1.3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의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가 1~1.3이면 대략 구형(예를 들어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가 1~1.3)의 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내의 기포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고 나아가 기포 직경을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발포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및 단직경]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는 바람직하게는 1~1.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1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가 1~1.3이면 비즈 쿠션 등에 사용한 경우 비즈 쿠션 내에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이동이 용이해지고, 인간의 체형 등에 맞추어 비즈 쿠션을 보다 적절히 변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비즈 쿠션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5~1.6m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3mm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이 상기 범위 내이면 비즈 쿠션에 사용한 경우 비즈 쿠션의 편안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충전한 천을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겉보기 밀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겉보기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0~300g/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00g/L이다.
[기포 구조]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방향을 따라 발포 입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기포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독립 기포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또한, 발포 입자의 평균 기포 직경은 1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의 수가 일정 수 이상이고 독립 기포율이 높으면 입자지름이 작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이어도 반복 압축시의 회복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가 구형인 경우(장직경과 단직경이 동일한 경우), 장직경 방향을 따라 발포 입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직선은 발포 입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직선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평균 기포 직경은 상기 최장직경을 상기 기포수로 나눗셈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 독립 기포율은 발포 입자 중의 전체 기포의 용적에 대한 독립 기포의 용적의 비율로서, ASTM-D2856-70에 기초하여 공기 비교식 비중계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융해 피크의 온도 및 열량]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는 그 발포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였을 때의 DSC 곡선에서 발포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원래 갖는 결정 구조에 유래하는 융해 피크(고유 피크)와, 고유 피크의 고온측에 위치하는 융해 피크(고온 피크)의 2가지 융해 피크를 나타내는 결정 구조를 가진다. 고온 피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발포시킬 때에 등온 결정화 조작을 행함으로써 형성된 결정에 유래한다. 구체적으로 등온 결정화 조작에서는 수지 입자를 밀폐 용기 내에서 분산 매체에 분산시켜 가열할 때에 수지 입자의 융점(이하, Tm이라고도 함)보다 15℃ 낮은 온도 이상, 수지 입자가 완전히 융해되는 융해 종료 온도(이하, Te라고도 함) 미만의 범위 내의 온도(이하, Ta라고도 함)에서 승온을 멈추고, 수지 입자를 분산시킨 분산 매체를 그 온도(Ta)에서 충분한 시간, 바람직하게는 10~60분 정도 유지한다. 이에 의해 상기 고온 피크를 갖는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Tm-5℃)~(Te+5℃)의 범위의 온도(이하, Tb라고도 함)로 조절하고, 그 온도에서 수지 입자를 분산 매체와 함께 용기 내로부터 저압 영역으로 방출하여 수지 입자를 발포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결정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이용하고, 이 수지 입자를 고온 피크가 형성되는 조건으로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얻는다. 이러한 발포 입자는 열처리에 의해 특정의 결정 구조를 형성시키지 않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발포시킨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보다 고온 피크의 위치가 보다 고온측이 된다. 이는 보다 순수한 결정 구조의 미크로 라멜라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기인한다고 추측된다. 그 결과, 작은 입자지름이어도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발포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경우, 이 2가지 융해 피크 중 고온 피크의 온도(T)는 고온 피크의 열량(ΔH) 및 고유 피크의 온도(Tm)와 이하의 식(1)의 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하는 결정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에서는 입자지름이 작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에서도 다수의 기포를 가지며 독립 기포율이 높은, 특히 양호한 미세 기포 구조를 갖는 발포 입자가 된다.
T≥Tm+19-0.27×ΔH……(1)
[물품]
본 발명의 물품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충전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에는 예를 들어 안는 베개, 요, 침대 매트, 이불, 안면용 베개, 자동차 내장재, 풋 서포터, 구명조끼, 방한옷 및 가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이들 물품에 응용함으로써 이들 물품의 사용시 편안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물품을 사용할 때에 발생하는 세틀링 및 고온 환경 하에서의 부피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프리수지 입자를 준비하는 공정(A), 프리수지 입자를 열처리하여 수지 입자를 제작하는 공정(B) 및 수지 입자를 발포시키는 공정(C)을 포함한다.
(공정(A))
공정(A)에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프리수지 입자를 준비한다. 준비할 프리수지 입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펠렛 및 소정의 첨가제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을 제작한다. 제작한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을 절단하고, 필요에 따라 절단한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을 더욱 분쇄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프리수지 입자를 제작한다. 절단한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의 분쇄에 사용하는 분쇄기로는 예를 들어 볼 밀, 비즈 밀, 콜로이드 밀, 코니컬 밀, 디스크 밀, 엣지 밀, 제분 밀, 해머 밀, 유발, 펠렛 밀, VSI 밀, 윌리 밀, 수차(분쇄기), 롤러 밀 및 제트 밀 등을 들 수 있다. 또, 절단한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을 분쇄하기 쉽게 하기 위해 분쇄 전에 절단한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을 액체 질소 등에 담그고 냉각해도 된다. 또한, 프리수지 입자의 크기를 특정 범위의 크기로 갖추기 위해 분급기를 이용하여 프리수지 입자를 분급해도 된다.
(공정(B))
공정(B)에서는 준비한 프리수지 입자를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열처리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제작한다. 프리수지 입자를 물 등의 매체가 들어간 용기에 투입하고, 프리수지 입자를 매체 중에서 교반하면서 프리수지 입자를 열처리한다. 열처리 온도는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2~25℃ 높은 온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5~22℃ 높은 온도이다. 그리고, 상술한 열처리를 바람직하게는 1~12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60분간 실시한다. 공정(B)에 의해 제작된 수지 입자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가 된다.
(공정(C))
공정(C)에서 수지 입자를 발포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발포제와 수지 입자와 수성 매체와 분산제를 밀폐 용기 내에 투입한다. 다음으로 밀폐 용기 내에서 수지 입자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발포제를 수지 입자에 함침시킴과 동시에 상기 온도 범위에서 유지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등온 결정화시켜 고온 피크를 나타내는 결정 구조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발포제를 포함한 수지 입자를 수성 매체와 함께 저압 영역으로 방출함으로써 수지 입자를 발포시킨다.
발포 입자의 상기 고온 피크의 형성 및 고온 피크 열량의 대소는 주로 발포 입자를 제조할 때의 수지 입자에 대한 상기 온도 Ta와 이 온도 Ta에서의 유지 시간 및 상기 온도 Tb와 (Tm-15℃)~(Te+5℃)의 범위 내에서의 가열 속도에 의존한다. 발포 입자의 상기 고온 피크의 열량은 온도 Ta 또는 Tb가 상기 각각의 온도 범위 내에서 낮을수록, (Tm-15℃) 이상 Te 미만의 범위 내에서의 유지 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Tm-15℃) 이상 Te 미만의 범위 내에서의 가열 속도가 느릴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 상기 가열 속도는 통상 0.5~5℃/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한편, 발포 입자의 상기 고온 피크의 열량은 온도 Ta 또는 Tb가 상기 각각의 온도 범위 내에서 높을수록, (Tm-15℃) 이상 Te 미만의 범위 내에서의 유지 시간이 짧을수록, 그리고 (Tm-15℃) 이상 Te 미만의 범위 내에서의 가열 속도가 빠를수록, Te~(Te+5℃)의 범위 내에서의 가열 속도가 느릴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발포제로는 예를 들어 질소, 산소, 공기, 이산화탄소 및 물 등의 무기계 물리 발포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성 분산매로는 일반적으로 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수지 입자를 용해하지 않은 용매이면 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 이외의 분산매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탄올 및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산화 알루미늄 및 알루미노 규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밀폐 용기 내의 압력, 즉 용기 내 공간부의 압력(게이지압)은 예를 들어 0.6~6.0MPa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작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DSC)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에 대해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측정 장치는 열류속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티ㆍ에이ㆍ인스트루먼트사 제품, 형번: DSCQ1000)이었다.
수지 입자의 경우 약 1~3mg의 시료(수지 입자)를 측정 장치에 설치하고, JISK7121(1987)에 기초하여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1회째 가열)하고, 그 후 추가로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하고 추가적으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2회째 가열)하여 각각 DSC 곡선을 얻었다. 이 측정을 다른 시료를 이용하여 5회씩 행하였다. 이 때,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의 산술 평균값을 T1(℃)로 하고, 2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의 산술 평균값을 T2(℃)로 하였다.
발포 입자의 경우, 약 1~3mg의 시료(발포 입자)를 측정 장치에 설치하고,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측정하였다. 이 측정을 다른 시료를 이용하여 5회씩 행하였다. 이 때, 저온측 융해 피크(고유 피크)의 정점 온도의 산술 평균값을 Tm(℃)으로 하고, 고온측 융해 피크(고온 피크)의 정점 온도의 산술 평균값을 T(℃)로 하였다. 또한, 각 DSC 곡선에서 고온 피크의 융해 종료 온도에 상당하는 점과 80℃에 상당하는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이 직선으로부터 고유 피크의 온도(Tm) 및 고온 피크의 온도(T) 사이의 골짜기에 온도의 가로축에 수직인 직선을 긋고, 이 직선과 베이스라인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면적으로부터 고온측 융해 피크의 열량을 산출하고, 이들을 산술 평균하여 ΔH(J/g)로 하였다.
(SEM 관찰)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발포 입자를 관찰하고,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및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를 조사하였다. 하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대해 50개의 발포 입자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측정한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및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의 평균값을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발포 입자에서의 장직경 및 장직경과 단직경의 비(장직경/단직경)의 값으로 하였다. 또한,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방향을 따라 발포 입자를 대략 2등분으로 절단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발포 입자의 단면을 관찰하여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방향을 따라 발포 입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기포의 수를 조사하였다. 하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대해 50개의 발포 입자를 관찰하고, 측정한 기포 수의 평균값을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발포 입자에서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기포 수로 하였다.
(겉보기 밀도)
23℃, 상대습도 50%, 1atm의 조건 하에 2일 방치한 약 500㎤의 발포 입자군의 중량(g)을 측정하고, 23℃의 물을 300cc 넣은 1L의 메스 실린더 내에 그 발포 입자군을 금망(wire cloth)을 사용하여 가라앉히고, 수위의 상승분의 눈금으로부터 발포 입자군의 부피(V(㎤))를 구하고, 발포 입자군의 중량(W)을 부피(V)로 나눈 값(W/V)을 [g/L]로 단위 환산하여 발포 입자의 겉보기 밀도를 산출하였다.
발포 입자의 독립 기포율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하였다. 항온실 내에서 발포 입자를 23℃, 상대습도 50%, 1atm의 조건 하에서 2일 방치하여 상태 조절을 행하였다. 다음으로 이 항온실 내에서 ASTM-D2856-70에 기재되어 있는 순서 C에 준하여 도시바ㆍ베크만 주식회사 제품 공기 비교식 비중계 930을 이용하여 발포 입자의 진짜 부피(발포 입자를 구성하는 수지의 용적과 발포 입자 내의 독립 기포 부분의 기포 전체 용적의 합)의 값(Vx)을 측정하고, 하기의 (2)식에 의해 독립 기포율을 계산하고, N=5의 평균값을 발포 입자의 독립 기포율로 하였다.
독립 기포율(%)=(Vx-W/ρ)×100/(Va-W/ρ)…(2)
Vx: 상기 방법으로 측정되는 발포 입자의 진짜 부피(㎤)
Va: 발포 입자의 겉보기 부피(㎤)
W: 발포 입자 측정용 샘플의 중량(g)
ρ: 발포 입자를 구성하는 수지의 밀도(g/㎤)
(실온에서의 감촉 시험)
15질량%의 우레탄계 수지와 85질량%의 나일론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판덱스 포재를 사용하여 10cm×20cm 크기의 주머니형 봉제물(용량: 1L)을 제작하고, 그 안에 부피 용적이 약 1.5L인 발포 입자를 봉입하였다. 그리고, 발포 입자를 봉입한 주머니형 봉제물을 모니터에 닿게 하여 발포 입자를 봉입한 주머니형 봉제물의 감촉을 조사하였다.
(세틀링 시험)
개구 면적이 100㎠인 강성 용기에 평가할 발포 입자를 1L 투입하고, 선단부가 R5에서 필레트된 단면적(압압 면적)이 25㎠인 강체 지그를 발포 입자가 투입된 용기의 발포 입자 표선으로부터 50mm(겉보기량으로 50% 압축) 침입하도록 압압을 반복하였다. 압압 속도는 0.1Hz에서 1Hz로 조정하였다.
<평가>
good: 1000회 압압의 반복으로 부피 감량이 10% 미만이다.
poor: 100회 압압의 반복으로 부피 감량이 10% 미만이며, 1000회 압압의 반복으로 부피 감량이 10% 이상이다.
bad: 100회 압압의 반복으로 부피 감량이 10% 이상이다.
(열 수축 시험)
10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 1L의 발포 입자를 가만히 놓고 부피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평가>
good: 200시간 후의 부피 변화가 10% 미만이다.
poor: 5시간 후의 부피 변화가 10% 미만이며, 200시간 후의 부피 변화가 10% 이상이다.
bad: 5시간 후의 부피 변화가 10% 이상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의 제작]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융점이 142℃이고 용융 질량 흐름률(MFR)이 5g/10min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펠렛과, 펠렛의 질량에 대해 500ppm의 붕산 아연을 200℃의 온도로 설정된 압출기(내직경 40mm)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하고, 용융 혼련물을 압출하여 직경 1.25mm의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그 스트랜드 형상 압출물을 길이/직경의 값이 2가 되는 길이(장직경 2.5mm)로 재단하여 미니 펠렛을 제작하였다. 미니 펠렛의 평균 질량은 1.0mg/개이었다.
미니 펠렛을 액체 질소에 노출한 후, 충분히 냉각되어 있는 분쇄기((주) 세이신 기업 제품, 상품명: 슬라이랄밀 SP-420)에 통과시켜 미니 펠렛을 분쇄하여 프리수지 입자를 얻었다. 분쇄 조건은 클리어런스가 0.5mm이고 회전수가 5000rpm이며 처리량이 7kg/시간이었다. 그 후, 580μm 분급의 체 위(이하, 「ON」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와 체 아래(「PAASS」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로 나누었다. 「ON」의 프리수지 입자의 평균 중량은 180μg이고, 「PASS」의 프리수지 입자의 평균 중량은 30μg이었다.
600g의 「ON」의 프리수지 입자, 3000cc의 물, 6g의 카올린, 0.6g의 계면활성제(다이이치 공업제약(주) 제품, 상품명: 네오겐 S20) 및 0.15g의 황산 알루미늄을 5L의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200rpm로 교반하면서 약 2.5℃/분의 가열 속도로 150℃까지 승온하고, 150℃에서 5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5℃ 승온 및 5분간 유지를 반복하여 온도가 165℃(융점보다 23℃ 높은 온도)가 되었을 때 165℃에서 1시간 유지하였다. 1시간 유지한 후 방랭(放冷)하여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물 온도가 60℃가 되었을 때 내용물을 취출하였다. 건조기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60℃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실시예 1에 의한 수지 입자를 얻었다.
다음으로 300g의 수지 입자, 3700cc의 물, 6g의 카올린, 0.6g의 계면활성제(다이이치 공업제약(주) 제품, 상품명: 네오겐 S20), 0.15g의 황산 알루미늄 및 50g의 발포제(드라이아이스)를 5L의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200rpm로 교반하면서 약 2.5℃/분의 가열 속도로 145℃(발포 온도보다 5℃ 낮은 온도)까지 승온하고, 145℃에서 15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150℃(발포 온도)까지 승온시키고, 150℃에서 15분간 유지하였다. 15분간 유지한 후, 오토클레이브의 일단을 해방하여 오토클레이브 내의 내용물을 대기 중에 방출하여 수지 입자를 발포시켜 실시예 1에 의한 발포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2)
「ON」의 프리수지 입자 대신에 「PASS」의 프리수지 입자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3)
「ON」의 프리수지 입자 대신에 「PASS」의 프리수지 입자를 사용한 점 및 발포 온도를 150℃에서 148℃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를 얻었다.
(비교예 1)
미니 펠렛을 그대로 수지 입자로서 사용하여 미니 펠렛을 발포시킨 점 및 발포 온도를 150℃에서 148℃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를 얻었다.
(비교예 2)
미니 펠렛을 그대로 수지 입자로서 사용하여 미니 펠렛을 발포시킨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를 얻었다.
(비교예 3)
「ON」의 프리수지 입자 대신에 「PASS」의 프리수지 입자를 사용한 점, 프리수지 입자를 그대로 수지 입자로서 사용한 점, 즉 프리수지 입자를 열처리하지 않은 점 및 발포 온도를 150℃에서 148℃로 변경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를 얻었다.
(비교예 4)
시판되는 발포성 폴리스티렌계 수지 입자((주)제이에스피 제품, 형번: JK550)를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얻었다.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수지 입자 중에서 실시예 1에 의한 수지 입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에 의한 발포 입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나타내고, 실시예 1에 의한 발포 입자 단면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3에 나타낸다. 나아가 실시예 1에 의한 수지 입자의 DSC 곡선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도 4는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였을 때의 DSC 곡선으로, 도면 중의 T1은 융해 피크의 온도이다. 또한, 도 5는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고,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한 후 추가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였을 때의 DSC 곡선이며 도면 중의 T2는 융해 피크의 온도이다.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한 발포 입자의 DSC 곡선 중에서 실시예 1에 의한 발포 입자의 DSC 곡선을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은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였을 때의 DSC 곡선이다. 도면 중의 T는 2가지 융해 피크 중 고온 피크의 온도이며, Tm은 고유 피크의 온도이다. 또한, DSC 곡선에서 고온 피크의 융해 종료 온도에 상당하는 점과 80℃에 상당하는 점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이 직선으로부터 고유 피크의 온도(Tm) 및 고온 피크의 온도(T) 사이의 골짜기(Th)에 온도의 가로축에 수직인 직선(L1)을 긋고, 이 직선(L1)과 베이스라인(L2)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면적으로부터 고온측 융해 피크의 열량을 산출하여 ΔH(J/g)로 하였다.
[평가 결과]
이상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 의한 수지 입자 및 발포 입자의 평가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또, 냉동 분쇄에서 「있음」은 냉각한 미니 펠렛의 분쇄를 실시하였음을 나타내고, 「없음」은 냉각한 미니 펠렛의 분쇄를 실시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실시예의 평가 결과와 비교예의 평가 결과의 대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입자를 발포시켜 제작한 발포 입자 및 본 발명의 발포 입자는 고온 환경에서의 부피 수축이 일어나기 어렵고 세틀링도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입자를 발포시켜 제작한 발포 입자 및 본 발명의 발포 입자에 의해 감촉이 양호한 비즈 쿠션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1

Claims (9)

  1. 발포시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얻기 위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로서, 이 수지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1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1)가, 이 1회째 가열에 이어서 10℃/분의 냉각 속도로 200℃에서 20℃까지 냉각한 후 추가로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에서의 2회째 가열시의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2)보다 1.5℃ 이상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를 폴리올레핀계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2~25℃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입자 중량이 2000μg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입자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발포하여 이루어지고, 이 발포 입자를 10℃/분의 가열 속도로 20℃에서 200℃까지 가열하여 얻어지는 DSC 곡선이 2개의 융해 피크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겉보기 밀도는 10~300g/L이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장직경 방향을 따라 발포 입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기포의 수가 10~50이며, 또한 평균 기포 직경이 100μm 이하이고, 독립 기포율이 7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발포 입자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고, DSC 곡선의 2개의 융해 피크 중 고온측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는 고온측 융해 피크의 열량(ΔH) 및 저온측 융해 피크의 정점 온도(Tm)와 이하의 식(1)의 관계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T≥Tm+19-0.27×ΔH……(1)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를 충전한 물품.
  9.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프리수지 입자를 준비하는 공정, 프리수지 입자를 프리수지 입자의 융점보다 12~25℃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여 수지 입자를 제작하는 공정 및 수지 입자를 발포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KR1020167016737A 2014-01-14 2015-01-13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KR101770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4184 2014-01-14
JP2014004184A JP5845292B2 (ja) 2014-01-14 2014-01-14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
PCT/JP2015/050694 WO2015108040A1 (ja) 2014-01-14 2015-01-13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354A true KR20160085354A (ko) 2016-07-15
KR101770811B1 KR101770811B1 (ko) 2017-08-23

Family

ID=5354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737A KR101770811B1 (ko) 2014-01-14 2015-01-13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50486B2 (ko)
EP (1) EP3095812B1 (ko)
JP (1) JP5845292B2 (ko)
KR (1) KR101770811B1 (ko)
CN (1) CN105899590B (ko)
WO (1) WO20151080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238A (ko) * 2017-05-18 2020-01-30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가교 발포 입자
KR20200026192A (ko) * 2017-07-03 2020-03-10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 입자
KR20210078809A (ko) * 2019-12-19 2021-06-29 코스파 주식회사 발포 비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2405B2 (ja) * 2015-09-30 2019-02-2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樹脂粒子、発泡性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JP6371821B2 (ja) * 2016-11-28 2018-08-08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発泡粒子及び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発泡粒子成形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227A (ja) 2004-01-13 2005-08-25 Jsp Corp 熱可塑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熱可塑性樹脂粒子、熱可塑性樹脂発泡粒子および熱可塑性樹脂発泡成形体
JP2011074239A (ja) 2009-09-30 2011-04-14 Sekisui Plastics Co Ltd クッション材用発泡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粒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8626A (ja) * 1982-03-30 1983-10-05 Japan Styrene Paper Co Ltd 球状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粒子の製造方法
US4704239A (en) * 1984-04-28 1987-11-03 Japan Styrene Paper Corp.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xpanded particles of a polymeric material
US6051617A (en) * 1996-08-07 2000-04-18 Jsp Corporation Foamed particles of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3582335B2 (ja) * 1997-12-15 2004-10-27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56133B2 (ja) * 1999-03-16 2004-08-1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TE315595T1 (de) * 1999-04-09 2006-02-15 Microbeads As Herstellung von polymerteilchen
JP3763725B2 (ja) 2000-06-07 2006-04-0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発泡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07473A (ja) 2001-04-09 2002-10-23 Grand Polymer Co Ltd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US6838488B2 (en) * 2001-06-11 2005-01-04 Jsp Corporation Production method of foamed polypropylene resin beads
JP4129951B2 (ja) * 2001-12-21 2008-08-0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プロピレン系表面改質樹脂粒子
TW200530297A (en) * 2004-01-13 2005-09-16 Jsp Corp Thermoplastic resin pellet, process for preparing thermoplastic resin pellets and expanded thermoplastic resin bead
JP2007015228A (ja) 2005-07-07 2007-01-25 Jsp Corp 熱可塑性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熱可塑性樹脂粒子及び熱可塑性樹脂発泡粒子、並びに熱可塑性樹脂発泡粒子成形体
CN101679664B (zh) 2007-06-22 2013-02-06 株式会社Jsp 聚丙烯系树脂发泡粒子和其成型体
JP5107692B2 (ja) * 2007-12-17 2012-12-26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及びその発泡粒子成形体
JP5652859B2 (ja) 2010-08-19 2015-01-14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複合積層体
JP5664143B2 (ja) * 2010-11-09 2015-02-04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発泡性複合熱可塑性樹脂粒子、複合熱可塑性樹脂発泡粒子、及び複合熱可塑性樹脂発泡粒子成形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5227A (ja) 2004-01-13 2005-08-25 Jsp Corp 熱可塑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熱可塑性樹脂粒子、熱可塑性樹脂発泡粒子および熱可塑性樹脂発泡成形体
JP2011074239A (ja) 2009-09-30 2011-04-14 Sekisui Plastics Co Ltd クッション材用発泡性ポリスチレン系樹脂粒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238A (ko) * 2017-05-18 2020-01-30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가교 발포 입자
KR20200026192A (ko) * 2017-07-03 2020-03-10 가부시키가이샤 제이에스피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 입자
KR20210078809A (ko) * 2019-12-19 2021-06-29 코스파 주식회사 발포 비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5812A4 (en) 2017-07-12
KR101770811B1 (ko) 2017-08-23
US20160333162A1 (en) 2016-11-17
CN105899590A (zh) 2016-08-24
JP2015131907A (ja) 2015-07-23
EP3095812B1 (en) 2019-03-06
US9650486B2 (en) 2017-05-16
EP3095812A1 (en) 2016-11-23
WO2015108040A1 (ja) 2015-07-23
JP5845292B2 (ja) 2016-01-20
CN105899590B (zh)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811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 입자의 제조 방법
JP6422957B2 (ja) 膨張したポリエステル発泡体ビーズを製造する方法
JP2019518859A (ja) ポリアミドセグメントを有す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から成る発泡粒子の製造方法
EP3255192B1 (en) Net-like structure having excellent low resilience characteristics
JP6227202B1 (ja) エステル系エラストマー発泡成形体、その用途及びエステル系エラストマー発泡粒子
KR102562308B1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 입자
JP2006298956A (ja) 改質ポリエチ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817034B2 (ja) 発泡粒子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44123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性粒子の製造方法及び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TWI740010B (zh) 發泡粒子成形體
JP2016190551A (ja) 車両用内装部材
JP3237992U (ja) クッション材及びクッション材用詰め物
JP4274463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
JP2020124873A (ja) 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6185208A (ja) シート部材及びシート
JP7445480B2 (ja) 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小粒子、予備発泡スチレン系樹脂小粒子、およびスチレン系樹脂発泡成形体
EP3889210B1 (en) Foam composition for vehicle seat cushion, foam for vehicle seat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9065272A (ja) ワックス含有発泡粒子、発泡成形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477532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粒子の融着成形体
JP2023148536A (ja) 発泡粒子及び発泡粒子成形体
JP2024506674A (ja) 高溶融強度ポリプロピレンを含む膨張ビーズ
JP2019065114A (ja) エステル系エラストマー発泡粒子、発泡成形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9065115A (ja) 高光沢発泡粒子、発泡成形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73949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6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10

Effective date: 2017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