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026A - 글루카곤 유도체 - Google Patents

글루카곤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026A
KR20160082026A KR1020140193691A KR20140193691A KR20160082026A KR 20160082026 A KR20160082026 A KR 20160082026A KR 1020140193691 A KR1020140193691 A KR 1020140193691A KR 20140193691 A KR20140193691 A KR 20140193691A KR 20160082026 A KR20160082026 A KR 2016008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sequence
peptide
lysine
glucag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477B1 (ko
Inventor
정성엽
박영진
이종석
최재혁
임창기
권세창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9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77B1/ko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CA2972001A priority patent/CA2972001A1/en
Priority to UAA201707894A priority patent/UA122967C2/uk
Priority to MX2017008715A priority patent/MX2017008715A/es
Priority to PCT/KR2015/014481 priority patent/WO2016108617A1/en
Priority to EA201791498A priority patent/EA036479B1/ru
Priority to AU2015372767A priority patent/AU2015372767B2/en
Priority to ARP150104341A priority patent/AR103323A1/es
Priority to CN201580071897.XA priority patent/CN107250155B/zh
Priority to TW104144429A priority patent/TWI696631B/zh
Priority to JP2017534915A priority patent/JP6758297B2/ja
Priority to EP15875711.2A priority patent/EP3240802B1/en
Priority to BR112017013845A priority patent/BR112017013845A2/pt
Priority to US15/539,238 priority patent/US10513550B2/en
Priority to SG11201705130XA priority patent/SG11201705130XA/en
Priority to SG10201906912VA priority patent/SG10201906912VA/en
Publication of KR2016008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026A/ko
Priority to IL253001A priority patent/IL253001B/en
Priority to ZA2017/04328A priority patent/ZA201704328B/en
Priority to PH12017501205A priority patent/PH12017501205A1/en
Priority to HK18105858.0A priority patent/HK1246323A1/zh
Priority to US16/684,110 priority patent/US11254724B2/en
Priority to US17/499,222 priority patent/US20220025012A1/en
Publication of KR10241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05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글루카곤 유도체 펩티드 및 상기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체는 글루카곤-유사 펩티드-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모두에 대해 천연 글루카곤에 비하여 우수한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효과적인 비만 치료제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글루카곤 유도체{Gluagon Derivatives}
본 발명은 글루카곤-유사 펩티드-1(glucagon-like peptide-1,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을 갖는 신규한 글루카곤 유도체 및 상기 글루카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최근 많은 변화가 있어 왔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은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과체중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국제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sation, 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10억 이상의 성인이 과체중이고, 그 중 적어도 300만 이상이 임상적으로 비만이며, 특히 유럽에서 매년 250,000명, 전 세계적으로는 매년 250만명 이상이 과체중과 관련되어 사망하였다(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rategy on Diet,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2004).
과체중 및 비만은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켜서 심장 질환, 당뇨, 관절염 등의 각종 질환의 발병 또는 악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과체중 및 비만은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청소년에서도 동맥경화, 고혈압, 고지혈증 또는 심장질환 등의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만은 전 세계적인 질병으로서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심각한 질병이지만 개인의 자구적인 노력에 의하여 극복될 수 있다고 믿어지고 있어, 비만 환자는 환자 자신의 자제력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비만은 의외로 치료가 용이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비만이 식욕조절 및 에너지 대사의 작용기작이 관련된 복잡한 질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하여는, 환자 자신의 노력뿐만 아니라 식욕조절 및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비정상적인 작용기작을 치료하는 방법이 동시에 수행되어야만 하므로, 상기 비정상적인 작용기작을 치료할 수 있는 의약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의 결과로서, 리모나반트(Rimonabant, Sanofi-Aventis), 시부트라민(Sibutramin, Abbott), 콘트라베(Contrave, Takeda), 오르리스타트(Orlistat, Roche) 등의 비만 치료제가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치명적인 부작용을 나타내거나 비만 치료효과가 미비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리모나반트는 중추신경장애 부작용을 나타내고, 시부트라민과 콘트라베는 심혈관 부작용을 나타내며, 오르리스타트는 1년 복용 시 약 4 kg의 체중감소 효력이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다고 보고되었다. 따라서, 현재 비만 환자에게 안전하게 처방될 수 있는 비만 치료제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처럼 종래 비만 치료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글루카곤 유도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루카곤은 약물 치료 또는 질병, 호르몬이나 효소 결핍 등의 원인으로 혈당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췌장에서 생산된다. 글루카곤은 간에서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글루코스를 방출하도록 신호하고, 혈당 수준을 정상 수준까지 높이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글루카곤은 혈당 상승효과 이외에 식욕억제 및 지방세포의 호르몬 민감성 리파제(hormone sensitive lipase)를 활성화시켜 지방 분해를 촉진하여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글루카곤의 유도체 중의 하나인 글루카곤-유사 펩티드-1(GLP-1)은 당뇨 환자의 고혈당증을 감소시키는 치료제로 개발 중인 물질이다. GLP-1은 인슐린 합성과 분비 촉진, 글루카곤의 분비 저해, 위공복 억제, 글루코오스 사용 증진과 더불어 음식물 섭취를 저해하는 기능을 가진다.
GLP-1과 대략 50%의 아미노산 상동성을 가지는 도마뱀 독액(lizard venom)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엑센딘-4(exendin-4) 또한 GLP-1 수용체를 활성화시켜 당뇨 환자의 고혈당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GLP-1 또는 엑센딘-4를 포함하는 비만 치료용 의약품은 구토와 메스꺼움의 부작용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에, 상기 GLP-1의 대안으로서, GLP-1과 글루카곤 두 펩티드의 수용체에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옥신토모듈린(oxyntomodulin)이 각광받고 있다. 상기 옥신토모듈린은 글루카곤의 전구체인 프리-글루카곤(pre-glucagon)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펩티드로서, GLP-1의 음식물 섭취 저해, 포만감 증진 효력과 글루카곤의 지방분해 기능을 보여 항-비만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옥신토모듈린 또는 이의 유도체는 생체 내에서 반감기가 짧은 반면 낮은 약효로 인해 매일 과량의 약물을 투여해야 하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 치료효과를 증진시키고 투여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글루카곤의 아미노산 서열이 일부 변형된 유도체를 개발하였고 상기 글루카곤 유도체가 글루카곤 및 GLP-1의 각 수용체에 대하여 모두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비만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신규한 펩티드를 제공한다.
X1-X2-QGTFTSDYSKYL-X15-X16-X17-X18-X19-X20-X21-F-X23-X24-W-L-X27-X28-X29 (일반식 1)
X1은 히스티딘, 데스아미노-히스티딜(desamino-histidyl), 디메틸-히스티딜(N-dimethyl-histidyl), 베타-히드록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β-hydroxy imidazopropionyl), 4-이미다조아세틸(4-imidazoacetyl), 베타-카르복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β-carboxy imidazopropionyl) 또는 티로신이고;
X2는 알파-메틸-글루탐산(α-methyl-glutamic acid), Aib(aminoisobutyric acid), d-알라닌, 글리신, Sar(N-methylglycine), 세린 또는 d-세린이고;
X15는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고;
X16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세린,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7은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세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8은 시스테인, 알라닌, 아르기닌,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9는 알라닌, 아르기닌, 세린,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0은 리신, 히스티딘, 글루타민, 아르기닌,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1은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류신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3은 이소류신,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4는 아르기닌, 알라닌, 시스테인, 글루탐산, 리신, 글루타민,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7은 발린, 알라닌, 리신, 메티오닌,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8은 글루타민, 리신, 아스파라긴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9는 리신, 알라닌, 글리신, 트레오닌 또는 결실된 서열임(단,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과 동일한 경우는 제외).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는 천연 글루카곤의 일부 아미노산을 치환의 형태로 변형시켜서,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는 펩티드, 펩티드 유도체 또는 펩티드 모방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천연 글루카곤"은 서열 His-Ser-Gln-Gly-Thr-Phe-Thr-Ser-Asp-Tyr-Ser-Lys-Tyr-Leu-Asp-Ser-Arg-Arg-Ala-Gln-Asp-Phe-Val-Gln-Trp-Leu-Met-Asn-Thr(서열번호: 1)을 갖는 천연의 인간 글루카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천연 글루카곤의 유도체로서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펩티드를 제공하는데, 본원에 제공된 정의에서 X의 서열만이 기술된 위치에서 변이를 포함하여 천연 글루카곤과 상이한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1의 서열에서 아미노산은 통상의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1번부터 29번까지 연속적으로 넘버링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식 1의 서열에서 "위치"에 대한 언급은 천연의 인간 글루카곤 및 다른 분자 내의 위치에 대한 언급에서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펩티드"란 2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으로 연결된 형태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시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반을 통하여,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에 대한 통상의 1문자 및 3문자 코드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Aib(α-아미노이소부티르산), Sar(N-methylglycine), 알파-메틸-글루탐산(α-methyl-glutamic acid) 등과 같은 다른 아미노산에 대해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3문자 코드가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아미노산은 IUPAC-IUB 명명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약어로 기재하였다.
알라닌A 아르기닌R
아스파라긴N 아스파르트 산D
시스테인C 글루타민 산E
글루타민Q 글리신G
히스티딘H 아이소루이신I
루이신L 리신K
메티오닌M 페닐알라닌F
프롤린P 세린S
트레오닌T 트립토판W
타이로신Y 발린V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글루카곤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아미노산의 치환, 부가 결실 또는 번역 후 변형(예를 들어, 메틸화, 아실화, 유비퀴틴화, 분자 내 공유결합)이 도입되어, 글루카곤과 GLP-1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펩티드를 포괄한다.
상기 아미노산의 치환 또는 부가 시에는 인간 단백질에서 통상적으로 관찰되는 20개의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비정형 또는 비-자연적 발생 아미노산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정형 아미노산의 상업적 출처에는 Sigma-Aldrich, ChemPep, Genzyme Pharmaceuticals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아미노산이 포함된 펩티드와 정형적인 펩티드 서열은 상업화된 펩티드 합성 회사, 예를 들어 미국의 American Peptide Company나 Bachem, 또는 한국의 Anygen을 통해 합성 및 구매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글루카곤 수용체 및 GLP-1 수용체에 대한 활성을 높이기 위해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의 1번 아미노산인 히스티딘의 알파 카본을 결실시킨 4-이미다조아세틸(4-imidazoacetyl), N-말단 아미노기를 결실시킨 데스아미노-히스티딜(desamino-histidyl), N-말단 아미노기를 2개의 메틸 그룹으로 수식한 디메틸-히스티딜(N-dimethyl-histidyl), N-말단 아미노기를 히드록실 그룹으로 치환한 베타-히드록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β-hydroxy imidazopropionyl), N-말단 아미노기를 카르복실 그룹으로 치환한 베타-카르복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β-carboxy imidazopropionyl) 또는 티로신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GLP-1 수용체와 결합하는 부위를 소수성 결합과 이온 결합을 강화시키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하거나 또는 이들을 조합할 수 있다. 나아가, 글루카곤 서열의 일부 서열을 GLP-1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엑센딘-4의 아미노산 서열로 치환하여 GLP-1 수용체의 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글루카곤 서열의 일부 서열을 알파-헬릭스(-helix)를 강화시키는 서열로 치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의 10, 14, 16, 20, 24 및 28번째 아미노산이 알파 헬릭스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Tyr(4-Me), Phe, Phe(4-Me), Phe(4-Cl), Phe(4-CN), Phe(4-NO2), Phe(4-NH2), Phg, Pal, Nal, Ala(2-thienyl) 또는 Ala(benzothienyl)로 구성되는 아미노산 혹은 아미노산 유도체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의 종류 및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의 10과 14번, 12와 16번, 16과 20번, 20과 24번 및 24와 28번째 아미노산은 각각 링을 형성할 수 있는 글루탐산 또는 리신으로 치환되어 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삽입되는 링의 개수 역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펩티드는 글루카곤의 아미노산 서열을 GLP-1 수용체에 결합력을 갖는 서열로 치환하여 펩티드가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모두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는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X1이 히스티딘이고,
X2가 알파-메틸-글루탐산이고,
X15가 시스테인 또는 아스파르트산이고;
X16이 세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이고;
X17이 아르기닌, 리신, 글루탐산 또는 시스테인이고;
X18이 시스테인, 발린 또는 아르기닌이고;
X19가 알라닌 또는 발린이고;
X20이 글루타민, 리신 또는 히스티딘이고;
X21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또는 류신이고;
X23이 이소류신 또는 발린이고;
X24가 아르기닌, 글루탐산 또는 글루타민이고;
X27이 발린, 리신 또는 메티오닌이고;
X28이 글루타민, 리신 또는 아스파라긴이고;
X29가 리신, 글리신 또는 트레오닌인 것인 펩티드일 수 있다(단,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과 동일한 경우는 제외함).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티드는 서열번호: 2 내지 14로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펩티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표준 합성 방법, 재조합 발현 시스템, 또는 임의의 다른 당해 분야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글루카콘 유사체는, 예를 들어 하기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다수의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a) 펩티드를 고체상 또는 액체상 방법의 수단으로 단계적으로 또는 단편 조립에 의해 합성하고, 최종 펩티드 생성물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또는
(b)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핵산 작제물을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시키고, 발현 생성물을 숙주 세포 배양물로부터 회수하는 방법; 또는
(c) 펩티드를 인코딩하는 핵산 작제물의 무세포 시험관 내 발현을 수행하고, 발현 생성물을 회수하는 방법,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조합으로 펩티드의 단편을 수득하고, 이어서 단편을 연결시켜 펩티드를 수득하고, 당해 펩티드를 회수하는 방법.
본 발명자들은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가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에 대해 천연 글루카곤에 비해 우월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2 참조). 또한, 생체 내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펩티드가 비만 동물 모델에서 사료 섭취 억제효과가 뛰어나 소량의 투여에도 현저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티드는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모두에서 cAMP 형성을 자극할 수 있는 이중 작용제로서 종래의 글루카곤보다 더 우수한 비만 치료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펩티드는 비만 및 관련 질환에 대하여 매력적인 치료적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중 작용제로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음식물 섭취에 있어서 GLP-1의 효과와 지방 대사에서 글루카곤의 효과를 조합하기 때문에, 이들은 과도한 지방 축적의 제거를 가속화하고 지속적인 체중감소를 유도하도록 상승적 방식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이중 작용제로서의 상승적 효과는 체중에 대한 이의 효과와는 완전히 독립적일 수 있는, 고 콜레스테롤 및 LDL과 같은 심혈관 위험 인자의 감소를 또한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티드는 체중 증가를 예방하거나, 체중 감소를 촉진하거나, 과체중을 감소시키거나, 병적 비만을 포함하는 비만(예컨대, 식욕, 섭식, 식품 섭취, 칼로리 섭취 및/또는 에너지 소비의 조절에 의해), 뿐만 아니라 비만 관련 염증, 비만 관련 쓸개 질환 및 비만 유도된 수면 무호흡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관련 질환 및 건강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또한 대사 증후군, 고혈압, 동맥경화 유발 이상지혈증, 죽상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관상 동맥 심질환, 뇌졸중 등과 같은 비만과 관련될 수 있는 상태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펩티드의 효과는 전술한 체중 관련 효과를 통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매개될 수 있거나 이와는 독립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루카곤 유도체의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당쇄 등을 비롯한 고분자의 수식이나 알부민, 트랜스페린, 지방산, 면역글로불린 등과의 융합 등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글루카곤 유도체를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측쇄는 생체 내에서 가용성 및/또는 반감기를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생체이용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분자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치료학적 단백질 및 펩티드의 소거(clearance)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분자는 수용성(양친매성 또는 친수성), 무-독성 및 약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이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PEG, PEG의 동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PEG의 모노메틸-치환된 중합체(mPEG)이거나, 폴리-라이신, 폴리-아스파르트산 및 폴리-글루탐산과 같은 폴리-아미노산이 포함된다.
이렇게 변형된 글루카곤 유도체가 천연 글루카곤보다 우월한 치료학적 효과를 나타내리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글루카곤 유도체의 변이체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해 사용된 용어 "상동성"이란 야생형(wild type) 아미노산 서열 및 야생형 핵산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과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동일할 수 있는 유전자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육안으로나 구입이 용이한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시판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2개 이상의 서열간의 상동성을 백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상동성(%)은 인접한 서열에 대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벡터에 삽입하여 이를 발현시킴으로써 상기 펩티드를 다량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재조합 발현의 경우,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적합한 벡터 내에 일반적으로 삽입되어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보유하는 클로닝 또는 재조합 벡터를 형성할 것이며, 이러한 벡터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재조합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목적 펩티드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조절 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목적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기서열을 함유하는 DNA 제조물을 의미한다. 상기 조절 서열은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한다. 재조합 벡터는 적당한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된 후,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되거나 기능할 수 있으며,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조합 벡터는 숙주세포 내에서 복제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벡터의 예로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pWE15, M13, MBL3, MBL4, IXII, ASHII, APII, t10, t11, Charon4A, 및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벡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된 발현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본 발명의 펩티드를 생산하기 위해 숙주세포를 형질전환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인, 이러한 형질전환 세포는 본 발명의 핵산 단편 및 벡터의 증식에 사용되거나, 본 발명의 펩티드의 재조합 생산에 사용된 배양된 세포 또는 세포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표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숙주세포 내에 도입하여 숙주세포 내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코딩하는 단백질이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형질전환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될 수 있기만 한다면, 숙주세포의 염색체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거나 염색체 외에 위치하거나 상관없이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표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 및 RNA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세포 내로 도입되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 도입되는 것이든 상관없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구조체인 발현 카세트(expression cassette)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로모터(promoter), 전사 종결신호, 리보좀 결합부위 및 번역 종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벡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그 자체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숙주세포에서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란 본 발명의 목적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전사를 개시 및 매개하도록 하는 프로모터 서열과 상기 유전자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숙주는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발현하도록 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숙주의 특정한 예로는 대장균(E. coli)과 같은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 세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같은 바실러스(Bacillus) 속 세균;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와 같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세균; 피키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와 같은 효모;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SF9)와 같은 곤충세포; 및 CHO, COS, BSC 등과 같은 동물세포가 있다.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펩티드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펩티드 또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펩티드 또는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조성물이 생체내 표적에 도달할 수 있는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강 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 내 투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로, 신체비만지수(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된다. 비만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비만은 신체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질환으로 당뇨병 및 고지혈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고, 성기능 장애, 관절염,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 위험이 커지며 일부의 경우 암의 발생과도 연관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과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질환의 종류,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경로, 투여 방법, 투여횟수,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 등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담체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환약,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자의 신체 내 투여에 적합한 단위 투여형의 제제, 바람직하게는 펩티드 의약품의 투여에 유용한 제제 형태로 제형화시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투여 방법을 이용하여 경구, 또는 피부,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수막강내, 심실내, 폐, 경피, 피하, 복내내, 비강내, 소화관내, 국소, 설하, 질내 또는 직장 경로를 포함하는 비경구 투여 경로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펩티드는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팅 물질(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 등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과 횟수는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펩티드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하루에 환자 체중 1 kg당 약 0.0001 μg 내지 500 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펩티드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생체 내 지속성 및 역가가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의 투여 횟수 및 빈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비만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제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제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 렙틴(Leptin) 수용체 아고니스트, DPP-IV 저해제, Y5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MCH(Melanin-concentrating hormone)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Y2/3 수용체 아고니스트, MC3/4 수용체 아고니스트, 위/췌장 리파아제(gastric/pancreatic lipase) 저해제, 5HT2c 아고니스트, 3A 수용체 아고니스트, 아밀린(Amylin) 수용체 아고니스트, 그랠린(Ghrelin) 안타고니스트, 및/또는 그랠린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등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펩티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체는 비만이 의심되는 개체로서, 상기 비만 의심 개체는 비만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가축 등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을 의미하나, 본 발명의 펩티드로 치료 가능한 개체는 제한 없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비만 의심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상기 비만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펩티드는 천연 글루카곤에 비하여 GLP-1 및 글루카곤 수용체를 현저히 활성화시키므로, 소량의 투여에도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어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비만 치료제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험관 내 활성용 세포주의 생산
<1-1> GLP -1에 대해 cAMP 반응을 보이는 세포주의 생산
인간 GLP-1 수용체 유전자의 cDNA(OriGene Technologies, Inc. USA)에서 ORF(open reading frame)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형으로 하고, HindIII 절단부위와 EcoRI 절단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하기 서열번호: 15 및 16의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PCR 반응은 95℃에서 60초의 변성, 55℃에서 60초의 어닐링 및 68℃에서 30초의 신장 과정을 30회 반복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증폭된 PCR 산물을 1.0%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 영동한 후 405 bp 크기의 밴드를 용리하여 수득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 5'-CCCGGCCCCCGCGGCCGCTATTCGAAATAC-3'
역방향 프라이머: 5'-GAACGGTCCGGAGGACGTCGACTCTTAAGATAG-3'
상기 PCR 산물을 공지된 동물세포 발현벡터인 x0GC/dhfr(한국 등록특허 제10-0880509호, 이하 동일함)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벡터 x0GC/GLP1R를 제조하였다.
상기 재조합 벡터 x0GC/GLP1R를 10% FBS 함유 DMEM/F12 배지에서 배양한 중국 햄스터 난소(chinese hamster ovary) 세포주 CHO DG44 세포에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Invitrogene, USA)을 이용하여 형질전환하고, 1 mg/mL G418 및 10 nM 메토트렉세이트(methotraxate)를 포함하는 선별배지에서 선별 배양하였다. 이로부터 제한 희석법(limit dilution)을 이용하여 단일 클론 세포주를 선별하고, 이 중에서 GLP-1에 대해 우수한 농도의존적 cAMP 반응을 보이는 세포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1-2> 글루카곤에 대해 cAMP 반응을 보이는 세포주의 생산
인간 글루카곤 수용체 유전자의 cDNA(OriGene Technologies, Inc. USA)에서 ORF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형으로 하고, EcoRI 절단부위와 XhoI 절단부위를 각각 포함하는 하기 서열번호: 17 및 18의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였다.
이때, PCR 반응은 95℃에서 60초의 변성, 55℃에서 60초의 어닐링 및 68℃에서 30초의 신장 과정을 30회 반복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증폭된 PCR 산물을 1.0%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 영동한 후 435 bp 크기의 밴드를 용리하여 수득하였다.
정방향 프라이머: 5'-CAGCGACACCGACCGTCCCCCCGTACTTAAGGCC-3'
역방향 프라이머: 5'-CTAACCGACTCTCGGGGAAGACTGAGCTCGCC-3'
상기 PCR 산물을 공지된 동물세포 발현벡터인 x0GC/dhfr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벡터 x0GC/GCGR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재조합 벡터 x0GC/GCGR를 10% FBS 함유 DMEM/F12 배지에서 배양한 CHO DG44 세포에 리포펙타민을 이용하여 형질전환하고, 1 mg/mL G418 및 10 nM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는 선별배지에서 선별 배양하였다. 이로부터 제한 희석법으로 단일 클론 세포주를 선별하고, 이 중에서 글루카곤에 대해 우수한 농도의존적 cAMP 반응을 보이는 세포주를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실시예 2: 글루카곤 유도체의 합성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모두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글루카곤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의 천연 글루카곤의 아미노산 서열을 GLP-1 수용체에 결합력을 갖는 서열로 치환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글루카곤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 HSQGTFTSDYSKYLDSRRAQDFVQWLMNT
서열번호: 2 HXQGTFTSDYSKYLDEKCAKEFIQWLVNT
서열번호: 3 HXQGTFTSDYSKYLDEKCVKLFIQWLVNT
서열번호: 4 HXQGTFTSDYSKYLDEKCAKEFVEWLVNT
서열번호: 5 HXQGTFTSDYSKYLDEKCAHEFVEWLVNT
서열번호: 6 HXQGTFTSDYSKYLDSKCAHEFVEWLVNT
서열번호: 7 HXQGTFTSDYSKYLDSKCVHEFIEWLKNT
서열번호: 8 HXQGTFTSDYSKYLDSKCAHEFIEWLKNK
서열번호: 9 HXQGTFTSDYSKYLDSECAHEFIEWLKQG
서열번호: 10 HXQGTFTSDYSKYLDDKCAHEFVEWLVNT
서열번호: 11 HXQGTFTSDYSKYLDEECAKEFIRWLKKG
서열번호: 12 HXQGTFTSDYSKYLCEKRAKEFVQWLMNT
서열번호: 13 HXQGTFTSDYSKYLDECRAKEFVQWLMNT
서열번호: 14 HXQGTFTSDYSKYLDEKCAKEFVQWLMNT
상기 표 1에 기재된 서열번호: 2 내지 14의 서열에서 X로 표기된 아미노산은 비천연형 아미노산인 알파-메틸-글루탐산을 의미하며, 이들 서열에 포함된 리신 잔기와 글루탐산 잔기는 링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글루카곤 유도체의 시험관 내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합성된 글루카곤 유도체의 항비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1 및 1-2에서 제조한 형질전환 세포주를 이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세포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형질전환 세포주는 CHO에 인간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유전자를 각각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것으로서, GLP-1과 글루카곤의 활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합성된 글루카곤 유도체의 활성을 각각의 형질전환 세포주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형질전환 세포주를 1주일에 2회 또는 3회 계대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1×105개의 계대배양된 세포주를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를 KRB(Kreb's Ringer Bicarbonate)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1 mM IBMX(3-isobutyl-1-methylxanthine)를 포함하는 KRB 완충액 40 ml에 현탁시킨 다음, 5분간 상온에 정치하였다.
천연 글루카곤(서열번호: 1)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체들(대표적으로 서열번호: 12 내지 14의 펩티드)을 1000 nM부터 5배씩 0.02 nM까지 연속적으로 희석하고, 이를 40 ml씩 상기 세포에 첨가한 다음, 1시간 동안 37℃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 용해 완충액(cell lysis buffer)을 20 ml씩 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상기 세포 용해물을 cAMP 어세이 키트(cAMP assay kit, Molecular Device, USA)에 적용하여 cAMP 농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EC50 값을 산출한 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EC50(nM)
hGLP-IR hGCGR
GLP-1 0.36 >1,000
글루카곤 >1,000 1.48
서열번호: 12 0.96 1.38
서열번호: 13 0.27 0.23
서열번호: 14 0.17 0.3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열번호: 1의 천연 글루카곤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체가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모두에 대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글루카곤은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식욕 억제 및 포만감 증진, 지방세포 분해 촉진을 통해 비만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루카곤 유도체가 천연 글루카곤에 비해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 모두에 대해 높은 시험관 내 활성을 가지고 있는바, 기존 글루카곤보다 더 우수한 효력의 비만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0> HANMI PHARM. CO., LTD. <120> Gluagon Derivatives <130> PA141350-KR <160> 1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9 <212> PRT <213> human glucagon <400> 1 His Ser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Arg Arg Ala Gln Asp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2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2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Cys Ala Lys Glu Phe Ile Gln Trp Leu Val Asn Thr 20 25 <210> 3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3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Cys Val Lys Leu Phe Ile Gln Trp Leu Val Asn Thr 20 25 <210> 4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4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Cys Ala Lys Glu Phe Val Glu Trp Leu Val Asn Thr 20 25 <210> 5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5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Cys Ala His Glu Phe Val Glu Trp Leu Val Asn Thr 20 25 <210> 6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6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Lys Cys Ala His Glu Phe Val Glu Trp Leu Val Asn Thr 20 25 <210> 7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7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Lys Cys Val His Gl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Thr 20 25 <210> 8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8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Lys Cys Ala His Glu Phe Ile Glu Trp Leu Lys Asn Lys 20 25 <210> 9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9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Ser 1 5 10 15 Glu Cys Ala His Glu Phe Ile Glu Trp Leu Lys Gln Gly 20 25 <210> 10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0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Cys Ala Lys Glu Phe Ile Arg Trp Leu Lys Lys Gly 20 25 <210> 11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UNSURE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1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Glu Cys Ala Lys Glu Phe Ile Arg Trp Leu Lys Lys Gly 20 25 <210> 12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2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Cys Glu 1 5 10 15 L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13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3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Cys Arg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14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lucagon derivative <220> <221> VARIANT <222> (2) <223> Xaa is alpha-methyl-glutamic acid <400> 14 His Xaa Gln Gly Thr Phe Thr Ser Asp Tyr Ser Lys Tyr Leu Asp Glu 1 5 10 15 Lys Cys Ala Lys Glu Phe Val Gln Trp Leu Met Asn Thr 20 25 <210> 1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5 cccggccccc gcggccgcta ttcgaaatac 30 <210> 16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6 gaacggtccg gaggacgtcg actcttaaga tag 33 <210> 17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7 cagcgacacc gaccgtcccc ccgtacttaa ggcc 34 <210> 18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18 ctaaccgact ctcggggaag actgagctcg cc 32

Claims (13)

  1. 하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X1-X2-QGTFTSDYSKYL-X15-X16-X17-X18-X19-X20-X21-F-X23-X24-W-L-X27-X28-X29 (일반식 1)

    X1이 히스티딘, 데스아미노-히스티딜(desamino-histidyl), 디메틸-히스티딜(N-dimethyl-histidyl), 베타-히드록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β-hydroxy imidazopropionyl), 4-이미다조아세틸(4-imidazoacetyl), 베타-카르복시 이미다조프로피오닐(β-carboxy imidazopropionyl) 또는 티로신이고;
    X2가 알파-메틸-글루탐산(α-methyl-glutamic acid), Aib(aminoisobutyric acid), d-알라닌, 글리신, Sar(N-methylglycine), 세린 또는 d-세린이고;
    X15가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이고;
    X16이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세린,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7이 시스테인, 글루타민, 글루탐산, 리신, 아르기닌, 세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8이 시스테인, 알라닌, 아르기닌,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19가 알라닌, 아르기닌, 세린,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0이 리신, 히스티딘, 글루타민, 아르기닌,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1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류신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3이 이소류신, 발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4가 아르기닌, 알라닌, 시스테인, 글루탐산, 리신, 글루타민, 알파-메틸-글루탐산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7이 발린, 알라닌, 리신, 메티오닌, 글루타민, 아르기닌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8이 글루타민, 리신, 아스파라긴 또는 결실된 서열이고;
    X29가 리신, 알라닌, 글리신, 트레오닌 또는 결실된 서열임(단,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과 동일한 경우는 제외함).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X1이 히스티딘이고,
    X2가 알파-메틸-글루탐산(α-methyl-glutamic acid)이고,
    X15가 시스테인 또는 아스파르트산이고;
    X16이 세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이고;
    X17이 아르기닌, 리신, 글루탐산 또는 시스테인이고;
    X18이 시스테인, 발린 또는 아르기닌이고;
    X19가 알라닌 또는 발린이고;
    X20이 글루타민, 리신 또는 히스티딘이고;
    X21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또는 류신이고;
    X23이 이소류신 또는 발린이고;
    X24가 아르기닌, 글루탐산 또는 글루타민이고;
    X27이 발린, 리신 또는 메티오닌이고;
    X28이 글루타민, 리신 또는 아스파라긴이고;
    X29가 리신, 글리신 또는 트레오닌인 것인, 펩티드(단,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1과 동일한 경우는 제외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 수용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글루카곤 유도체인 것인, 펩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항비만 효과를 갖는 것인, 펩티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0, 14, 16, 20, 24 및 28번째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Tyr(4-Me), Phe, Phe(4-Me), Phe(4-Cl), Phe(4-CN), Phe(4-NO2), Phe(4-NH2), Phg, Pal, Nal, Ala(2-thienyl) 및 Ala(benzothienyl)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유도체로 치환되는 것인, 펩티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0과 14번, 12와 16번, 16과 20번, 20과 24번, 및 24와 28번째 아미노산 쌍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쌍이 각각 링을 형성할 수 있는 글루탐산 또는 리신으로 치환되는 것인, 펩티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10과 14번, 12와 16번, 16과 20번, 20과 24번, 및 24와 28번째 아미노산 쌍 중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쌍이 링을 형성한 것인, 펩티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가 서열번호: 2 내지 14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펩티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단독 또는 다른 비만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제제와 병용하여 투여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약학적 제제가 GLP-1 수용체 아고니스트, 렙틴(Leptin) 수용체 아고니스트, DPP-IV 저해제, Y5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MCH(Melanin-concentrating hormone)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Y2/3 수용체 아고니스트, MC3/4 수용체 아고니스트, 위/췌장 리파아제(gastric/pancreatic lipase) 저해제, 5HT2c 아고니스트, 3A 수용체 아고니스트, 아밀린(Amylin) 수용체 아고니스트, 그랠린(Ghrelin) 안타고니스트 및 그랠린 수용체 안타고니스트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40193691A 2014-12-30 2014-12-30 글루카곤 유도체 KR10241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691A KR102418477B1 (ko) 2014-12-30 2014-12-30 글루카곤 유도체
CN201580071897.XA CN107250155B (zh) 2014-12-30 2015-12-30 胰高血糖素衍生物
MX2017008715A MX2017008715A (es) 2014-12-30 2015-12-30 Derivados de glucagon.
PCT/KR2015/014481 WO2016108617A1 (en) 2014-12-30 2015-12-30 Glucagon derivatives
EA201791498A EA036479B1 (ru) 2014-12-30 2015-12-30 Пептид, активирующий рецептор гпп-1 и рецептор глюкагона,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на его основе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AU2015372767A AU2015372767B2 (en) 2014-12-30 2015-12-30 Glucagon derivatives
ARP150104341A AR103323A1 (es) 2014-12-30 2015-12-30 Derivados de glucagón
UAA201707894A UA122967C2 (uk) 2014-12-30 2015-12-30 Похідна глюкагону
TW104144429A TWI696631B (zh) 2014-12-30 2015-12-30 升糖素衍生物
JP2017534915A JP6758297B2 (ja) 2014-12-30 2015-12-30 グルカゴン誘導体
CA2972001A CA2972001A1 (en) 2014-12-30 2015-12-30 Glucagon derivatives
BR112017013845A BR112017013845A2 (pt) 2014-12-30 2015-12-30 derivados de glucagon
SG10201906912VA SG10201906912VA (en) 2014-12-30 2015-12-30 Glucagon derivatives
SG11201705130XA SG11201705130XA (en) 2014-12-30 2015-12-30 Glucagon derivatives
US15/539,238 US10513550B2 (en) 2014-12-30 2015-12-30 Glucagon derivatives
EP15875711.2A EP3240802B1 (en) 2014-12-30 2015-12-30 Glucagon derivatives
IL253001A IL253001B (en) 2014-12-30 2017-06-19 History of glucagon
ZA2017/04328A ZA201704328B (en) 2014-12-30 2017-06-26 Glucagon derivatives
PH12017501205A PH12017501205A1 (en) 2014-12-30 2017-06-27 Glucagon derivatives
HK18105858.0A HK1246323A1 (zh) 2014-12-30 2018-05-07 胰高血糖素衍生物
US16/684,110 US11254724B2 (en) 2014-12-30 2019-11-14 Glucagon derivatives
US17/499,222 US20220025012A1 (en) 2014-12-30 2021-10-12 Glucagon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691A KR102418477B1 (ko) 2014-12-30 2014-12-30 글루카곤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026A true KR20160082026A (ko) 2016-07-08
KR102418477B1 KR102418477B1 (ko) 2022-07-08

Family

ID=5628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691A KR102418477B1 (ko) 2014-12-30 2014-12-30 글루카곤 유도체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3) US10513550B2 (ko)
EP (1) EP3240802B1 (ko)
JP (1) JP6758297B2 (ko)
KR (1) KR102418477B1 (ko)
CN (1) CN107250155B (ko)
AR (1) AR103323A1 (ko)
AU (1) AU2015372767B2 (ko)
BR (1) BR112017013845A2 (ko)
CA (1) CA2972001A1 (ko)
EA (1) EA036479B1 (ko)
HK (1) HK1246323A1 (ko)
IL (1) IL253001B (ko)
MX (1) MX2017008715A (ko)
PH (1) PH12017501205A1 (ko)
SG (2) SG10201906912VA (ko)
TW (1) TWI696631B (ko)
UA (1) UA122967C2 (ko)
WO (1) WO2016108617A1 (ko)
ZA (1) ZA2017043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705376SA (en) * 2014-12-30 2017-08-30 Hanmi Pharm Ind Co Ltd Glucagon derivative having improved stability
KR102005456B1 (ko) 2015-06-30 2019-07-30 한미약품 주식회사 신규 글루카곤 유도체 및 이의 지속형 결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TWI622596B (zh) 2015-10-26 2018-05-01 美國禮來大藥廠 升糖素受體促效劑
EP3398961B1 (en) 2015-12-31 2022-06-29 Hanmi Pharm. Co., Ltd. Triple activator activating glucagon, glp-1 and gip receptor
WO2024038067A1 (en) 2022-08-18 2024-02-22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ombination therapy comprising long acting glp-1/glucagon and npy2 receptor agonis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0535A2 (en) * 2006-02-22 2007-09-07 Merck & Co., Inc. Oxyntomodulin derivatives
WO2011075393A2 (en) * 2009-12-18 2011-06-2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lucagon/glp-1 receptor co-agonists
WO2012169798A2 (en) * 2011-06-10 2012-12-13 Hanmi Science Co., Ltd. Novel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871A (en) 1995-04-14 2000-08-01 Genentech, Inc. Polypeptides altered to contain an epitope from the Fc region of an IgG molecule for increased half-life
EP0904107B1 (en) 1996-03-18 2004-10-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Immunoglobin-like domains with increased half lives
JP3895109B2 (ja) 1998-03-06 2007-03-22 中外製薬株式会社 蛋白非添加製剤
US6660843B1 (en) 1998-10-23 2003-12-09 Amgen Inc. Modified peptides as therapeutic agents
US6677136B2 (en) 2000-05-03 2004-01-13 Amgen Inc. Glucagon antagonists
GB0121709D0 (en) 2001-09-07 2001-10-31 Imp College Innovations Ltd Food inhibition agent
US7217845B2 (en) 2002-11-25 2007-05-15 Sun Bio, Inc. Bifunctional polyethylene glycol derivatives
GB0300571D0 (en) 2003-01-10 2003-02-12 Imp College Innovations Ltd Modification of feeding behaviour
CA2513213C (en) 2003-01-22 2013-07-30 Human Genome Sciences, Inc. Albumin fusion proteins
US7772188B2 (en) 2003-01-28 2010-08-10 Ironwoo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US20050176108A1 (en) 2003-03-13 2005-08-11 Young-Min Kim Physiologically active polypeptide conjugate having prolonged in vivo half-life
WO2005035761A1 (en) 2003-10-16 2005-04-21 Compugen Ltd. Splice variants of preproglucagon, glucagon-like peptide-1 and oxyntomodulin
KR101135244B1 (ko) 2007-11-29 2012-04-24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인슐린 분비 펩타이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비만 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US20090238838A1 (en) 2003-11-13 2009-09-24 Hanmi Pharm. Ind. Co. Ltd.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using an immunoglobulin fc
JP4870569B2 (ja) 2003-11-13 2012-02-08 ハンミ ホールディング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免疫グロブリン断片を用いた蛋白質結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263084B2 (en) 2003-11-13 2012-09-11 Hanmi Science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related disease comprising insulinotropic peptide conjugate
KR20070094909A (ko) 2004-12-02 2007-09-27 도만티스 리미티드 혈청 알부민 및 glp-1 또는 pyy를 표적으로 삼는이중특이성 도메인을 갖는 항체
WO2007022123A2 (en) 2005-08-11 2007-02-22 Amylin Pharmaceuticals, Inc. Hybrid polypeptides with selectable properties
WO2006086769A2 (en) 2005-02-11 2006-08-17 Amylin Pharmaceuticals, Inc. Gip analog and hybrid polypeptides with selectable properties
KR100754667B1 (ko) 2005-04-08 2007-09-03 한미약품 주식회사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로 개질된 면역글로불린 Fc 단편 및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K1891105T3 (da) 2005-06-13 2012-07-16 Imp Innovations Ltd Hidtil ukendte forbindelser og deres påvirkninger på spiseadfærd
GB0511986D0 (en) 2005-06-13 2005-07-20 Imp College Innovations Ltd Novel compounds and their effects on feeding behaviour
US20090297496A1 (en) 2005-09-08 2009-12-03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Lysosomal Acid Lipase Therapy for NAFLD and Related Diseases
EP2474318A1 (en) 2006-06-07 2012-07-11 Human Genome Sciences, Inc. Albumin fusion proteins
KR100880509B1 (ko) 2006-10-16 2009-01-28 한미약품 주식회사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한 신규한 벡터, 발현세포주 및 이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 방법
GB0624868D0 (en) 2006-12-13 2007-01-24 Imp Innovations Ltd Novel compounds and their effects on feeding behaviour
TWI428346B (zh) 2006-12-13 2014-03-01 Imp Innovations Ltd 新穎化合物及其等對進食行為影響
US20090098130A1 (en) 2007-01-05 2009-04-16 Bradshaw Curt W Glucagon-like protein-1 receptor (glp-1r) agonist compounds
JP2008169195A (ja) 2007-01-05 2008-07-24 Hanmi Pharmaceutical Co Ltd キャリア物質を用いたインスリン分泌ペプチド薬物結合体
KR20090119876A (ko) 2007-02-15 2009-11-20 인디애나 유니버시티 리서치 앤드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글루카곤/glp-1 수용체 공동-항진물질
JP2010533197A (ja) 2007-07-10 2010-10-21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GLP−1−Fc融合タンパク質配合物
CN101765372B (zh) 2007-07-27 2013-09-04 拜尔农作物科学股份公司 三元活性化合物结合物
CN101765976B (zh) 2007-08-07 2014-03-12 富士通株式会社 错误检测装置和错误校正/错误检测解码装置和方法
WO2009040034A2 (en) 2007-09-11 2009-04-02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a peptide as a therapeutic agent
ES2558155T3 (es) 2007-10-30 2016-02-02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Compuestos que muestran actividad antagonista de glucacón y agonista de GLP-1
EP2214700A4 (en) 2007-11-02 2012-08-22 Janssen Biotech Inc HALF-SYNTHETIC GLP-1 PEPTIDE FUSION CONSTRUCTS, METHOD AND USES
JP2011511778A (ja) 2008-01-30 2011-04-14 インディアナ ユニバーシティー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ステルに基づいたペプチドプロドラッグ
CN103641907A (zh) 2008-06-17 2014-03-19 印第安纳大学研究及科技有限公司 胰高血糖素/glp-1受体共激动剂
CN104447980A (zh) 2008-06-17 2015-03-25 印第安纳大学研究及科技有限公司 在生理pH缓冲液中具有增强的溶解性和稳定性的胰高血糖素类似物
WO2010013012A2 (en) 2008-08-01 2010-02-04 Lund University Bioscience Ab Novel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US8680263B2 (en) 2008-09-19 2014-03-25 Nektar Therapeutics Carbohydrate-based drug delivery polymers and conjugates thereof
WO2010033220A2 (en) 2008-09-19 2010-03-25 Nektar Therapeutics Modified therapeutics peptides,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use
CA2747155A1 (en) * 2008-12-15 2010-06-24 Zealand Pharma A/S Glucagon analogues
EP2376097A4 (en) 2008-12-19 2012-10-03 Univ Indiana Res & Tech Corp AMID-BASED PEPTIDE PRODRUGS OF THE GLUCAGON SUPERFAMILY
DK2393828T3 (en) 2009-02-03 2017-01-23 Amunix Operating Inc Extended recombinant polypeptid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WO2010096052A1 (en) 2009-02-19 2010-08-26 Merck Sharp & Dohme Corp. Oxyntomodulin analogs
BRPI1013626B8 (pt) 2009-03-20 2021-05-25 Hanmi Holdings Co Ltd método para preparar conjugado de polipeptídeo fisiologicamente ativo em sítio específico
MX347291B (es) 2009-03-20 2017-04-17 Amgen Inc Inmunoglobulinas portadoras y usos de las mismas.
MX2011013625A (es) 2009-06-16 2012-01-20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mpuestos glucagon activo de receptor de gip.
AU2010272944B2 (en) 2009-07-13 2015-11-19 Zealand Pharma A/S Acylated glucagon analogues
EP2496249B1 (en) 2009-11-03 2016-03-09 Amylin Pharmaceuticals, LLC Glp-1 receptor agonist for use in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US20120269830A1 (en) 2009-12-07 2012-10-25 Lawrence Horowitz Conjugates with improve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R079345A1 (es) 2009-12-22 2012-01-18 Lilly Co Eli Analogo peptidico de oxintomodulina
AR079344A1 (es) 2009-12-22 2012-01-18 Lilly Co Eli Analogo peptidico de oxintomoduli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y uso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util para tratar diabetes no insulinodependiente y/u obesidad
CA2786934A1 (en) * 2010-01-20 2011-07-28 Zealand Pharma A/S Treatment of cardiac conditions
BR112012018585A2 (pt) 2010-01-27 2017-01-10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njungados e composições de glucagon antagonista-gip agonista para o tratamento de distúrbios metabólicos e de obesidade
BR112012024379A2 (pt) 2010-03-26 2017-01-10 Novo Nordisk As "peptídeos glucagon, seu uso, bem como composição farmacêutica"
AR081066A1 (es) 2010-04-02 2012-06-06 Hanmi Holdings Co Ltd Conjugado de insulina donde se usa un fragmento de inmunoglobulina
BR112012028707A2 (pt) 2010-05-13 2019-09-24 Univ Indiana Res & Tech Corp composto de glucagon da superfamília de peptídeos exibindo atividade do receptor g com proteína acoplada, pró farmaco, dímero ou multímro,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o compreendem e método de administração do mesmo.
JP2013540102A (ja) 2010-06-24 2013-10-31 インディアナ ユニバーシティー リサーチ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ミド結合を介して修飾されたグルカゴンスーパーファミリーのペプチドプロドラッグ
KR101337797B1 (ko) 2010-07-14 2013-12-06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지속형 인간 성장 호르몬 결합체 액상 제제
KR101382593B1 (ko) 2010-07-21 2014-04-10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신규한 지속형 글루카곤 결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83976B1 (ko) 2010-09-06 2014-04-10 파나소닉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1974077A (zh) 2010-09-15 2011-02-16 南京瑞年天平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新颖的多肽化合物
KR101303388B1 (ko) 2010-10-26 2013-09-03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지속형 인터페론 알파 결합체의 액상 제제
KR101767570B1 (ko) 2010-10-26 2017-08-14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항 비만 펩타이드의 지속형 결합체
CN102010473A (zh) 2010-11-10 2011-04-13 曹鹏 重组胃泌酸调节素融合蛋白及其制备和应用
AU2011348202A1 (en) 2010-12-22 2013-07-04 Marcadia Biotech, Inc. Methods f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and obesity with GIP and GLP-1 receptor-active glucagon-based peptides
EP2492749A1 (en) 2011-02-28 2012-08-29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hotoresis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forming photolithographic patterns
KR101161526B1 (ko) 2011-05-16 2012-07-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HUE042585T2 (hu) * 2011-06-17 2019-07-29 Hanmi Science Co Ltd Oxintomodulint és immunglobulin-fragmentumot tartalmazó konjugátum és alkalmazása
AU2012273365A1 (en) 2011-06-22 2014-01-16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lucagon/glp-1 receptor co-agonists
KR101665009B1 (ko) 2012-03-09 2016-10-11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MY167814A (en) 2012-04-19 2018-09-26 Opko Biologics Ltd Long-acting oxyntomodulin variant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CN104583232B (zh) * 2012-06-21 2018-04-13 印第安纳大学研究及科技有限公司 展现gip受体活性的胰高血糖素类似物
KR101968344B1 (ko) 2012-07-25 2019-04-12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조성물
KR101373563B1 (ko) 2012-07-25 2014-03-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Tof-mra를 이용한 혈류특성 및 mr-신호강도구배(전단율) 유도방법
WO2014049610A2 (en) * 2012-09-26 2014-04-03 Cadila Healthcare Limited Peptides as gip, glp-1 and glucagon receptors triple-agonist
KR101993393B1 (ko) 2012-11-06 2019-10-01 한미약품 주식회사 옥신토모듈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성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SG10201602801YA (en) 2012-11-06 2016-05-30 Hanmi Pharm Ind Co Ltd Liquid formulation of protein conjugate comprising the oxyntomodulin and an immunoglobulin fragment
MY174727A (en) * 2013-04-18 2020-05-11 Novo Nordisk As Stable, protracted glp-1/glucagon receptor co-agonists for medical use
JP6137046B2 (ja) 2014-05-09 2017-05-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単量体、高分子化合物、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0535A2 (en) * 2006-02-22 2007-09-07 Merck & Co., Inc. Oxyntomodulin derivatives
WO2011075393A2 (en) * 2009-12-18 2011-06-23 Indiana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Glucagon/glp-1 receptor co-agonists
WO2012169798A2 (en) * 2011-06-10 2012-12-13 Hanmi Science Co., Ltd. Novel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122967C2 (uk) 2021-01-27
EP3240802A1 (en) 2017-11-08
EP3240802B1 (en) 2021-07-21
IL253001A0 (en) 2017-08-31
EP3240802A4 (en) 2018-10-10
SG11201705130XA (en) 2017-07-28
US10513550B2 (en) 2019-12-24
CN107250155A (zh) 2017-10-13
EA036479B1 (ru) 2020-11-16
AU2015372767A1 (en) 2017-07-13
US20200140515A1 (en) 2020-05-07
BR112017013845A2 (pt) 2018-01-02
CN107250155B (zh) 2021-08-10
IL253001B (en) 2022-04-01
EA201791498A1 (ru) 2017-10-31
AU2015372767B2 (en) 2020-07-16
TWI696631B (zh) 2020-06-21
US11254724B2 (en) 2022-02-22
ZA201704328B (en) 2021-01-27
CA2972001A1 (en) 2016-07-07
TW201632546A (zh) 2016-09-16
US20180002395A1 (en) 2018-01-04
WO2016108617A1 (en) 2016-07-07
PH12017501205A1 (en) 2017-10-18
SG10201906912VA (en) 2019-09-27
AR103323A1 (es) 2017-05-03
JP2018505153A (ja) 2018-02-22
US20220025012A1 (en) 2022-01-27
MX2017008715A (es) 2017-11-17
JP6758297B2 (ja) 2020-09-23
KR102418477B1 (ko) 2022-07-08
HK1246323A1 (zh)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020B1 (ko) 안정성이 증가된 글루카곤 유도체
US10442848B2 (en)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US11254724B2 (en) Glucagon derivatives
NZ740049B2 (en) Novel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NZ755534B2 (en) Novel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NZ734808B2 (en) Novel oxyntomodulin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