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066A -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066A
KR20160080066A KR1020150166499A KR20150166499A KR20160080066A KR 20160080066 A KR20160080066 A KR 20160080066A KR 1020150166499 A KR1020150166499 A KR 1020150166499A KR 20150166499 A KR20150166499 A KR 20150166499A KR 20160080066 A KR20160080066 A KR 2016008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vehicle
slot
hold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593B1 (ko
Inventor
정찬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40,38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001833A1/en
Priority to EP15875658.5A priority patent/EP3242816A4/en
Priority to PCT/KR2015/014382 priority patent/WO2016108564A1/en
Publication of KR2016008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593B1/ko
Priority to US16/200,066 priority patent/US1068039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8Interfacing with an on-board device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전면 개구를 갖는 홀딩 모듈과, 상기 홀딩 모듈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차량의 센터페시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어댑터 모듈은 상기 센터페시아 내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자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차량 진단 정보 등을 제공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운전자에게 내비게이션, 도난 경보, 긴급 구난(SOS), 원격 진단, 소모품 관리, 핸즈프리 이동통신, 생활정보 및 인터넷 접속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의 경우에도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유사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 거치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배치하고,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거나 차량의 마이크와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거치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장착하는 경우 운전 도중에 상기 거치대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거나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거치대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 진단 정보 등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운전 도정에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알림 기능에 의해 내비게이션 화면으로부터 다른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전환되는 경우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조작하는 경우 교통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운전 도중 차량 내에서 안전하게 휴대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전면 개구를 갖는 홀딩 모듈과, 상기 홀딩 모듈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차량의 센터페시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어댑터 모듈은 상기 센터페시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슬롯은 상기 홀딩 모듈의 측면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슬롯 내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상기 어댑터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슬롯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에 삽입 및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이젝트 부재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젝트 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젝트 부재를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록킹 부재에 의한 상기 이젝트 부재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슬롯 및 전면 개구를 갖는 전면 플레이트와, 상기 어댑터 모듈과 결합되는 후면 플레이트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미드 플레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제2 미드 플레이트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미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젝트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어댑터 모듈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차량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량 모드에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차량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홈 버튼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영역이 상기 홀딩 모듈의 전면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 전자기기를 수납하기 위한 홀딩 모듈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슬롯 및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전면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홈 버튼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및 인디케이터 영역은 상기 홀딩 모듈의 전면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어댑터 모듈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차량 모드가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도중 운전자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반 모드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교통 사고의 위험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기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딩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젝트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어댑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는 충분히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어지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요소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은 요소들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100)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10)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통해 차량과 연결된 휴대 전자기기(1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는 일반적인 사용 모드와는 다른 차량 모드가 탑재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모드는 내비게이션, 핸즈프리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통해 차량과 연결된 경우 운전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를 이용하여 차량의 운행 정보, 진단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를 수납하기 위한 홀딩 모듈(110)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모듈(200)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 모듈(200)은 상기 대시 보드의 중앙에 위치된 센터페시아(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터페시아(50)에는 상기 어댑터 모듈(150)이 삽입되는 개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 모듈(150)은 상기 홀딩 모듈(110)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센터페시아(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홀딩 모듈(110)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삽입되는 슬롯(112) 및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10)의 디스플레이(20)를 노출시키는 전면 개구(11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슬롯(112)은 상기 홀딩 모듈(110)의 측면 부위를 관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0)의 가장자리 부위(22)는 상기 홀딩 모듈(110)의 전면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112) 내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 상기 어댑터 모듈(15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통신 단자(1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112) 내에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충분히 삽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 단자(154)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어댑터 모듈(150)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차량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어댑터 모듈(150)과 연결된 후 상기 어댑터 모듈(15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 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배터리가 상기 어댑터 모듈(150)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일반 모드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로부터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운전 도중 메지지 확인을 위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를 조작하는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홈 버튼(12) 및 상기 디스플레이(20)의 가장자리 부위(22)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영역(24)이 상기 홀딩 모듈(110)의 전면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운전 도중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24)을 터치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동작 모드가 상기 차량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 의도치 않은 실수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운전 도중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교통 사고가 미연에 충분히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딩 모듈(110)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볼륨 조절, 상기 디스플레이(20)의 ON/OFF 및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ON/OFF를 위한 전원 스위치(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전원 스위치(116)는 누름/회전형 버튼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원 스위치(11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원 스위치(116)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볼륨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어댑터 모듈(150)을 통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 연결된 차량의 스피커들(64)의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116)를 짧게 또는 길게 누름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20)의 ON/OFF 및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ON/OFF 및 재부팅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홀딩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젝트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홀딩 모듈(110)은 상기 슬롯(112) 및 전면 개구(114)가 형성된 전면 플레이트(120), 상기 어댑터 모듈(150)과 결합되는 후면 플레이트(122), 상기 전면 플레이트(120)와 후면 플레이트(12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미드 플레이트들(124, 126)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미드 플레이트(124, 126) 사이에는 상기 슬롯(112)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를 상기 슬롯(112)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유닛(12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젝트 유닛(128)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슬롯(112)에 삽입 및 배출되는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젝트 부재(130)와, 상기 이젝트 부재(1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젝트 부재(130)는 상기 슬롯(112)에 삽입되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일측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32)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슬롯(112)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젝트 부재(1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이젝트 유닛(128)은 상기 제2 미드 플레이트(12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미드 플레이트(124)에는 상기 이젝트 부재(1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124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미드 플레이트(124)의 전면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삽입되는 상기 슬롯(112)의 후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젝트 부재(130)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홀딩 모듈(11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단부(130A)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된 단부(130A)가 상기 제1 미드 플레이트(124)의 가이드 슬롯(124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부재(132)는 상기 이젝트 부재(130)와 상기 제2 미드 플레이트(12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32)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이젝트 부재(130)가 상기 슬롯(11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신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이젝트 부재(130)에 탄성 복원력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젝트 유닛(130)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슬롯(112)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젝트 부재(130)를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록킹 부재(1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삽입 및 배출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미드 플레이트(1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록킹 부재(134)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3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 부재(13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젝트 부재(130)의 잠금 및 해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젝트 유닛(128)은 상기 록킹 부재(134)에 의한 상기 이젝트 부재(13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부재(1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재(138)는 상기 록킹 부재(13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릴리스 부재(138)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탄성 부재(140),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릴리스 부재(138)의 일측 단부에는 운전자가 상기 릴리스 부재(138)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푸시 버튼(142)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 부재(140)는 상기 푸시 버튼(142)이 상기 홀딩 모듈(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릴리스 부재(138) 및 상기 푸시 버튼(142)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재(138)의 하부에는 상기 록킹 부재(134)에 하방으로 힘을 인가하기 위한 웨지(wedge) 부재(14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록킹 부재(134)는 상기 웨지 부재(144)가 밀착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릴리스 부재(138)가 운전자에 의해 상기 홀딩 모듈(1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웨지 부재(144)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134)가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이젝트 부재(1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록킹 부재(134)는 제3 탄성 부재(146),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에 의해 수평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상태로 유지된 록킹 부재(134)의 일측 단부는 상기 슬롯(112)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 이젝트 부재(1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릴리스 부재(138)의 웨지 부재(144)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134)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상기 이젝트 부재(1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이젝트 부재(130)는 상기 탄성 부재(132)에 의해 상기 슬롯(11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슬롯(112)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슬롯(112)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록킹 부재(134)는 상기 제3 탄성 부재(146)에 의해 반대 방향,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이젝트 부재(130)가 상기 록킹 부재(134)의 일측 단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딩 모듈(110)은 상기 슬롯(112)에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 부재(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래치 부재(148)는 상기 제2 미드 플레이트(126)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슬롯(112)에 충분히 삽입된 후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딩 모듈(11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미드 플레이트(124)에는 제2 개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 부재(148)는 상기 제2 개구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 모듈(150)은 대략 사각 박스 형태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딩 모듈(110)의 후면부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들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어댑터 모듈(150)의 후면부 또는 측면부에는 상기 차량과의 연결,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의 진단 시스템(OBD; 60), 전자 제어 장치(ECU; 62), 스피커들(64), 차량 마이크(66), 라디오 안테나(68), 공기조화 시스템(70), 후방 카메라(72), 핸들 볼륨 스위치(74), 차량 전원(76) 등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 단자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홀딩 모듈(110)과 상기 어댑터 모듈(150) 사이에는 열차단을 위한 단열 부재(102)가 개재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어댑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는 인터넷 서버(2)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 서버(2)로부터 내비게이션 데이터, 인터넷 방송 데이터, 음악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 모듈(150)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의 통신을 위한 프론트 보드(152)와, 시스템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코어 보드(160), 및 차량의 전원 및 제어 신호 처리를 위한 메인 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보드(152)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의 접속을 위한 통신 단자(154)와, 블루투스 통신부(156) 및 볼륨 엔코더(15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 보드(160)는 중앙 제어부(162), 메모리 장치(164), 비디오 코덱부(166) 및 오디오 코덱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보드(170)는 차량 제어부(172), FM/AM 튜너(174), 오디오 증폭부(176), 전원/볼륨 제어부(178) 및 전력 변환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자(154)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6)는 제2 휴대 전자기기(30)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단자(154)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 상기 어댑터 모듈(150) 사이에서 데이터 및 제어 신호의 전달 및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충전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단자(154)를 통해 태블릿 PC와 상기 어댑터 모듈(150)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6)는 스마트 폰과 상기 어댑터 모듈(150)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156)는 상기 스마트 폰과 차량 마이크(66)를 이용한 핸즈프리 이동통신 기능을 사용하거나 상기 스마트 폰에 저장된 동영상, 음악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태블릿 PC를 통해 재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볼륨 엔코더(158)는 상기 홀딩 모듈(110)의 전원 스위치(11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10) 및 상기 차량의 스피커들(64)의 볼륨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116)를 통한 상기 디스플레이(20)의 ON/OFF 신호 및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ON/OFF 신호를 중앙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162)는 명령어 및 데이터 처리, 데이터 송수신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장치(164)는 상기 어댑터 모듈(150)의 동작에 관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코덱부(166)는 후방 카메라(72)에 의해 획득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재생 가능하도록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 제어부(162)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중앙 제어부(162)는 상기 차량의 후진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를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는 상기 어댑터 모듈(150)을 통해 상기 차량의 블랙박스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코덱부(168)는 상기 중앙 제어부(162), 차량 마이크(66), FM/AM 튜너(174) 및 AUX(미도시) 등으로부터 음향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를 상기 차량의 스피커들(64)을 통해 재생 가능한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증폭부(176)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증폭부(176)는 상기 차량 스피커들(64)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차량 스피커들(64)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FM/AM 튜너(174)는 라디오 안테나(68)와 연결될 수 있으며 라디오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오디오 코덱부(168)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는 상기 인터넷 서버(2)로부터 라디오 방송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차량의 스피커들(64)을 통해 재생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제어부(172)는 상기 차량의 진단 시스템(OBD; 60) 및/또는 전자제어장치(ECU; 6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진단 정보 및 운행 정보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부(172)는 에어컨 및 히터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70)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차량 모드는 상기 차량의 진단 정보 및 운행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 시스템(70)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볼륨 제어부(178)는 상기 차량의 핸들 볼륨 스위치(7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스피커들(64)의 볼륨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볼륨 제어부(178)는 상기 중앙 제어부(162)를 통해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들(64)의 볼륨은 상기 디스플레이(2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볼륨 제어부(178)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전력 변환부(18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80)는 상기 차량의 전원(76)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의 전원 전압을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충전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휴대 전자기기(10)를 수납하기 위한 홀딩 모듈(110)과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와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모듈(110)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삽입되는 슬롯(112) 및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10)의 디스플레이(20)를 노출시키는 전면 개구(114)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홈 버튼(12) 및 상기 디스플레이(20)의 가장자리 부위(22)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영역(24)은 상기 홀딩 모듈(110)의 전면부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휴대 전자기기(10)가 상기 어댑터 모듈(15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차량 모드가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도중 운전자가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일반 모드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교통 사고의 위험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를 상기 차량의 텔레매틱스 단말기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량의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10)를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용도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휴대 전자기기(10)의 활용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 전자기기 12 : 홈 버튼
20 : 디스플레이 24 : 인디케이터 영역
30 : 제2 휴대 전자기기 50 : 센터페시아
100 : 인터페이스 장치 110 : 홀딩 모듈
112 : 슬롯 114 : 개구
116 : 전원 스위치 120 : 전면 플레이트
122 : 후면 플레이트 124 : 제1 미드 플레이트
126 : 제2 미드 플레이트 128 : 이젝트 유닛
130 : 이젝트 부재 132 : 탄성 부재
134 : 록킹 부재 138 : 릴리스 부재
142 : 푸시 버튼 144 : 웨지 부재
148 : 래치 부재 150 : 어댑터 모듈
152 : 프론트 보드 160 : 코어 보드
170 : 메인 보드

Claims (12)

  1.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전자기기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삽입된 휴대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를 노출시키는 전면 개구를 갖는 홀딩 모듈; 및
    상기 홀딩 모듈의 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차량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차량의 센터페시아 상에 배치되며 상기 어댑터 모듈은 상기 센터페시아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홀딩 모듈의 측면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슬롯 내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와 상기 어댑터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를 상기 슬롯으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이젝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에 삽입 및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이젝트 부재; 및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젝트 부재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젝트 부재를 고정시키는 록킹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록킹 부재에 의한 상기 이젝트 부재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모듈은,
    상기 슬롯 및 전면 개구를 갖는 전면 플레이트;
    상기 어댑터 모듈과 결합되는 후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 플레이트와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미드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이젝트 유닛은 상기 제2 미드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미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이젝트 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슬롯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가 상기 어댑터 모듈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차량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드에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알림 메시지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자기기의 홈 버튼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영역이 상기 홀딩 모듈의 전면부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50166499A 2014-12-29 2015-11-26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1835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40,385 US20180001833A1 (en) 2014-12-29 2015-12-29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EP15875658.5A EP3242816A4 (en) 2014-12-29 2015-12-29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PCT/KR2015/014382 WO2016108564A1 (en) 2014-12-29 2015-12-29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16/200,066 US10680396B2 (en) 2014-12-29 2018-11-26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583 2014-12-29
KR20140191583 2014-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66A true KR20160080066A (ko) 2016-07-07
KR101835593B1 KR101835593B1 (ko) 2018-03-08

Family

ID=564998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485A KR101835590B1 (ko) 2014-12-29 2015-11-26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50166499A KR101835593B1 (ko) 2014-12-29 2015-11-26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485A KR101835590B1 (ko) 2014-12-29 2015-11-26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439345B2 (ko)
EP (2) EP3242816A4 (ko)
KR (2) KR101835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96189A (zh) * 2015-07-14 2016-05-25 桂林通天开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医治疗仪
KR101733045B1 (ko) * 2016-10-19 2017-05-08 모트렉스(주) 차량용 스마트 어댑터
CN106740527B (zh) * 2016-12-12 2023-08-22 重庆奔梦汽摩配件有限公司 一种汽车暖风口用隔热手机托架
US10535360B1 (en) * 2017-05-25 2020-01-14 Tp Lab, Inc. Phone stand us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speakers
US10185371B1 (en) * 2017-07-20 2019-01-22 Lenovo (Singapore) Pte. Ltd. Orientable computing device
US10440633B1 (en) * 2019-02-15 2019-10-08 Tarkan Bastiyali Smart safe console system and method
USD937278S1 (en) * 2019-10-23 2021-11-30 Crestron Electronics, Inc. Mullion mount
USD907642S1 (en) * 2019-10-23 2021-01-12 Crestron Electronics, Inc. Mullion mount
US11263899B2 (en) * 2020-04-17 2022-03-01 Ekin Teknoloj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Retrofittable modular school bus safety apparatus
KR20220022331A (ko) 2020-08-18 2022-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연결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3797A (ja) * 1990-12-28 1992-08-21 Sony Corp 電子機器保持装置
JP3612632B2 (ja) * 1995-08-11 2005-01-1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用車載アダプタ
US5940502A (en) * 1996-12-11 1999-08-17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Phone holder
US6301534B1 (en) * 1998-05-19 2001-10-09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directional control by commanding lateral acceleration
US6636790B1 (en) * 2000-07-25 2003-10-21 Reynolds And Reynolds Holdings, Inc. Wireless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s
US6665524B1 (en) * 2000-10-06 2003-12-16 Pieter J. J. Niemann Cellular telephone holder
US6687587B2 (en) * 2001-12-21 2004-02-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ehicle control modules through telematics
US8406683B2 (en) * 2002-04-03 2013-03-26 General Motors Llc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vehicle data upload function at a plurality of mobile vehicles
DE10252689B4 (de) * 2002-11-13 2007-09-13 Caa Ag Fahrerinformationssystem
CN101150322A (zh) * 2003-03-26 2008-03-26 移动放送株式会社 广播接收系统
US20060105819A1 (en) * 2004-11-12 2006-05-18 Bryant Lia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ocking cradle on vechicle
ES2407469T3 (es) * 2005-01-24 2013-06-12 Core Wireless Licensing S.à.r.l. Soporte para teléfonos móviles
US7158092B2 (en) * 2005-01-31 2007-01-02 Vincent Shen Cellular phone holder
US8490937B2 (en) * 2005-04-15 2013-07-23 Seco Manufacturing Company, Inc. Mount system for handheld electrical device
US8953102B2 (en) * 2006-01-04 2015-02-10 Voxx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entertainment tablet unit and cradle
US20070262223A1 (en) * 2006-05-15 2007-11-15 Leland Wang Clamping device
KR20080045307A (ko) 2006-11-20 2008-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디오 부설 휴대용 단말장치 지지기구
US7407143B1 (en) * 2007-06-12 2008-08-05 Supa Technology Co., Ltd. Communication device holder for vehicles
ATE472224T1 (de) * 2007-08-16 2010-07-15 Bury Sp Zoo Halterung für ein mobiltelefon für ein fahrzeug
US7711468B1 (en) * 2008-01-07 2010-05-04 David Lev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ed of a moving vehicle
US7778023B1 (en) * 2008-09-19 2010-08-17 Victor Mohoney Docking system for MP3 players and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966076B1 (ko) 2008-10-28 2010-06-25 오준수 차량용 랙장치
KR100999532B1 (ko) 2009-04-30 2010-12-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내비게이션 거치대
US8635091B2 (en) * 2009-12-17 2014-01-21 Hartford Fir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vehicles to telematics-enabled portable devices
US8457692B2 (en) * 2010-10-07 2013-06-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device operation when driving
US20120248160A1 (en) * 2011-04-01 2012-10-04 Seimetz Carol J Hands-fre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20315850A1 (en) * 2011-06-08 2012-12-13 Delph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using intrabody transmission for controlling personal communications
US8638557B2 (en) * 2011-12-07 2014-01-28 Wen-Feng Tsai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130063659A (ko)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KR20130064272A (ko) 2011-12-08 201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기
JP2014094624A (ja) 2012-11-08 2014-05-22 Honda Motor Co Ltd 車両表示装置
US20140263931A1 (en) * 2013-03-13 2014-09-18 E-Lead Electronic Co., Ltd.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08456B2 (en) * 2013-06-27 2016-08-09 John Kenison Hart Universal mobile device holder
US9517731B2 (en) * 2014-12-10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holder
DE102015007108A1 (de) * 2015-04-28 2016-11-03 Leopold Kostal Gmbh & Co. Kg Bedien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Bediensystems
TWM522547U (zh) * 2016-01-04 2016-05-21 Chen Source Inc 平板式電子裝置之定位裝置
US9729186B1 (en) * 2016-08-29 2017-08-08 Allen Dill Mobile phon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06418A1 (en) 2018-01-04
KR101835590B1 (ko) 2018-03-08
EP3240709A1 (en) 2017-11-08
KR20160080065A (ko) 2016-07-07
EP3242816A4 (en) 2018-10-03
US20180001833A1 (en) 2018-01-04
US20190173247A1 (en) 2019-06-06
EP3240709A4 (en) 2018-10-03
KR101835593B1 (ko) 2018-03-08
US10439345B2 (en) 2019-10-08
EP3242816A1 (en) 2017-11-15
US10680396B2 (en)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593B1 (ko)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US20110053549A1 (en) Car stereo unit with removably coupl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50151422A1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in a vehicle
US8508075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US20140038527A1 (en) Car A/V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130005259A1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vehicula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JP2008139223A (ja) 車載用電子システム及び車載電子装置
US20140119566A1 (en) Playback device
WO2009125611A1 (ja) 電子機器
CN100578343C (zh) 投影装置
JP2009119916A (ja) 画面部収納型機器及び車載用情報機器
JP2008230331A (ja) 電子機器カバー
US20090170375A1 (en) Connector apparatus for video and audio signal transfer among multiple devic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WO2016108564A1 (en)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WO2016108557A1 (en)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JP5042642B2 (ja) 電子装置
CN217575062U (zh) 一种车载音乐播放系统及汽车
CN201994061U (zh) 车载多媒体设备及用于该多媒体设备的电子设备
JP2009248943A (ja) 車載用音響及び/又は映像機器
CN118042640A (zh) 音频数据的播放控制方法、系统、装置和电子设备
JP6496254B2 (ja) 再生データ出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2112353A (ja) リモコン装置
CN111754993A (zh) 车载装置的语音控制方法及语音控制系统
JP2008022094A (ja) 音声映像制御装置
TWM536179U (zh) 可攜式行動裝置之車用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