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659A -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659A
KR20130063659A KR1020110130146A KR20110130146A KR20130063659A KR 20130063659 A KR20130063659 A KR 20130063659A KR 1020110130146 A KR1020110130146 A KR 1020110130146A KR 20110130146 A KR20110130146 A KR 20110130146A KR 20130063659 A KR20130063659 A KR 2013006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vehicle
information
cluster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3659A/ko
Priority to US13/426,939 priority patent/US20130151068A1/en
Priority to CN2012100981592A priority patent/CN103144541A/zh
Publication of KR2013006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2Distributing information betwee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55Remote control arrangements
    • B60K2360/56Remote control arrangements using mobile devices
    • B60K2360/566Mobile devices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828Mounting or fastening exchangeable modules
    • B60K2360/834D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스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 자신에게 보다 최적화되고 유니크한 방식으로 클러스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 내 센서나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또는 차량 내 장치의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출력부와; 상기 정보 출력부와의 통신 수행 및 상태 정보 표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차량 내 위치에 거치하도록 구비되어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정보 출력부 간을 통신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vehicle using samrt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스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 자신에게 보다 최적화되고 유니크한 방식으로 클러스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는 주행과 관련된 운전 상태 정보와 엔진이나 안전장치, 편의장치 등 차량 내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클러스터(cluster)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에는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RPM 속도계, 주행 차속을 나타내는 차속계, 연료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 냉각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 그리고 구간거리계 및 적산계를 포함하는 트립 컴퓨터 등이 장착된다.
이와 더불어 클러스터에는 법규에 근거하여 설치되는 각종 경고등, 예컨대 브레이크 경고등, 시트벨트 경고등, 턴시그널 표시등이 설치되고, 그 밖에 도어 열림 경고등이나 ABS 경고등, TCS 경고등, 기타 차량 내 시스템의 작동상태와 경고상태를 표시하는 각종 인디케이터가 장착된다.
최근 자동차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첨단 편의장치의 증가로 인해 통상의 기본적인 정보 외에 클러스터 내에 나타내야 할 정보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단순히 다이얼(dial)식 계기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스터(10)에 LCD(13)를 추가로 설치하여 다양한 그래픽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LCD(13)를 통해서는 주로 차량의 편의장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나 기존의 트립 컴퓨터가 제공하던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LCD(13)에 많은 정보들을 최적의 레이아웃(layout)으로 표시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클러스터(10)에 LCD(13)를 추가로 장착할 경우 LCD 자체의 원가 및 설치비용이 크므로 클러스터 전체의 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더욱이, 클러스터 제어기(1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도록 LCD(13)의 구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LCD 컨트롤러(12)를 추가로 구비해야 하므로 원가를 더욱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LCD(12)를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가 차량 제조사에서 미리 정해 놓은 일정한 틀(소프트웨어적인 UI 화면구성이나 그래픽 등)에 따라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익숙해지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다양한 개성과 취향을 충족시키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오늘날 사람들의 개성과 취향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계속 새로운 것을 찾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그리고 개인에 보다 최적화되고 유니크(unique)한 나만의 것을 찾는 경향이 점차 강해지고 있음을 고려할 때, 종래와 같이 고정된 틀의 콘텐츠 제공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클러스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 자신에게 보다 최적화되고 유니크한 방식으로 클러스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내 센서나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또는 차량 내 장치의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출력부와; 상기 정보 출력부와의 통신 수행 및 상태 정보 표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차량 내 위치에 거치하도록 구비되어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정보 출력부 간을 통신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는 클러스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클러스터에 구비된 마운팅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 스마트 기기의 거치시 스마트 기기의 단자가 접촉하여 자동 접속되는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단자가 외부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대의 커넥터가 클러스터의 커넥터 및 케이블을 통해 정보 출력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출력부가 클러스터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스터에 구비되어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 기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동일하게 표시하는 LC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보 출력부로서 차량 실내 위치에 스마트 기기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클러스터의 상기 LCD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동일하게 표시하는 차량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보 출력부로서 차량 실내 위치에 스마트 기기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 스마트 기기의 거치시 스마트 기기의 단자가 접촉하여 자동 접속되는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단자가 외부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대의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를 차량에서 클러스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표시장치로 이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클러스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운전자 자신에게 보다 최적화되고 유니크한 방식으로 클러스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를 클러스터 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를 센터페시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클러스터에서 클러스터 제어기, LCD 컨트롤러, LCD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를 차량에서 클러스터의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표시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클러스터(10) 내에 스마트 기기(20)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실시예는 도킹(docking) 개념을 적용한 것으로, 운전석 전면의 클러스터(10)에 스마트 기기(20)가 도킹되는 도킹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 도킹 시스템과 스마트 기기(20)를 포함하는 보조적인 정보 제공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도킹 시스템은 운전석 전면의 클러스터(10)에 장착되어 스마트 기기(20)가 거치되는 구성부이면서 스마트 기기(20)와 정보 출력부(예, 클러스터 제어기)(11) 간을 커넥팅하는 거치대(14)를 포함한다.
즉, 상기 거치대(14)는 스마트 기기(20)를 클러스터(10) 내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면서 지지하는 구성부인 동시에, 스마트 기기(20)와 정보 출력부(11) 간을 통신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구성부이다.
이러한 거치대(14)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10)에서 종래의 트립 컴퓨터가 위치해 있던 중앙위치의 마운팅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4)에는 스마트 기기(20)의 단자(21)가 접촉하여 자동 접속될 수 있는 단자(15)가 구비되는데, 상기 거치대(14)에서 단자(15)는 내부 케이블 또는 회로를 통해 외부 접속을 위한 커넥터(16)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대(14)의 커넥터(16)는 클러스터(10)의 커넥터(17) 및 이에 연결된 클러스터(10) 내부의 케이블을 통해 정보 출력부(11)로 연결된다.
상기 거치대(14)의 단자(15)는 스마트 기기(20)가 거치대(14)에 도킹될 경우 스마트 기기(20)의 단자(21)와 자동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고, 이에 간단히 스마트 기기(20)를 거치대(14)에 꽂기만 하면, 스마트 기기(20)가 정보 출력부(11)와 통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결국, 스마트 기기(20)가 거치대(14)에 거치되어 단자(21,15) 간 접속 및 통신 연결 가능한 상태, 즉 도킹 완료 상태가 되면, 스마트 기기(2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 출력부(11)에서 출력되는 정보들이 스마트 기기(20)에 전송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기기(20)로 전송된 정보들이 스마트 기기의 화면(즉, 스마트 기기의 표시장치)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제공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20)의 크기가 제조사나 모델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기 거치대(14)는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클러스터(10)에 거치대(14)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기기(20)의 크기에 맞는 거치대(14)(또는 전용 도킹 스테이션)를 클러스터(10)의 마운팅부에 직접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클러스터(10)의 마운팅부에 거치대(14)를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마운팅부의 홈에 거치대를 끼우는 단순 끼움방식, 홈에 거치대를 압입하는 압입방식, 또는 거치대를 별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마운팅부에 체결하여 마운팅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4)가 차량 내에서 스마트 기기(20)를 고정하는 장치이므로,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삽입된 스마트 기기(20)를 록킹하여 고정하는 록킹수단이 거치대(14)에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진동시 스마트 기기(20)의 흔들림 방지, 및 스마트 기기(20)로 전달되는 진동의 절연을 위해 상기 거치대(14)에서 스마트 기기(20)가 접합되는 부위에 스프링 등의 충격흡수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보 제공장치를 적용함에 있어서, RPM 속도계(12a), 차속계(12b), 연료계, 냉각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계에 대해서는 클러스터(10) 내에 종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이들을 통해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법규 기준을 만족하도록 설치해야 하는 각종 경고등 및 표시등(12c), 예컨대 브레이크 경고등, 시트벨트 경고등, 턴시그널 표시등의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클러스터(10) 내에 LED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제외한 클러스터(10) 내 종래의 LCD가 표시하던 상태 정보, 예컨대 구간거리계 및 적산계의 정보 등 트립 컴퓨터가 제공하던 주행 관련 정보나, 그 밖의 차량 내 각종 장치, 특히 편의장치의 작동상태나 경고상태 등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 출력부(11)가 수집한 뒤 전송하여 스마트 기기(20)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정보 출력부(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스터 제어기가 될 수 있으며, 이때 클러스터 제어기(11)가 차량 내 각종 센서나 스위치 등의 차량 상태 검출부, 편의장치 등 차량 내 각종 장치의 제어기로부터 클러스터(10)에 표시될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점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기기(10)에서 표시해야 할 상기한 상태 정보들에 대해 클러스터 제어기(11)가 데이터를 수집한 뒤 스마트 기기(20)로 전송하고, 이에 스마트 기기(20)가 클러스터 제어기(11)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스마트 기기(20)를 거치대(14)에 도킹하게 되면 스마트 기기(20)와 클러스터 제어기(11)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어, 클러스터 제어기(11)가 수집한 각종 정보들이 스마트 기기(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20)에서는 정보 표시 및 클러스터 제어기와의 통신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이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클러스터 제어기(11)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이 표시되며, 특히 사용자가 선택 또는 설정한 UI의 화면구성, 그래픽 형식에 맞추어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차량 제조사로부터 직접 또는 앱스토어를 통해 제공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20)에서 차량 제조사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한 뒤 정보가 표시되는 환경, 즉 UI의 화면구성이나 그래픽 형식을 미리 설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전자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수많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출시되고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능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사용자 지향적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탑재하여, 앱스토어 등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경우 기능의 변경이나 확장, 추가가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들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스마트 기기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여 이용하는 것이면서 간단히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자가 자신에 최적화된 화면구성과 그래픽 환경을 선택 및 설정한 후 원하는 형태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스마트 기기를 기존의 클러스터 내 LCD를 대체하는 보조 표시장치로 사용하는 정보 제공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익숙한 환경에서 클러스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사용자 자신이 직접 선택 및 설정한 화면구성과 독특하고 개성 있는 그래픽으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클러스터에서 고가의 LCD가 제공하던 각종 정보를 스마트 기기가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클러스터 내에는 종래의 LCD 및 LCD 컨트롤러가 모두 삭제할 수 있고, 이에 차량 제조사 입장에서는 비용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에서 스마트 기기를 센터페시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정보 제공장치에서 스마트 기기(20)는 클러스터 내 위치가 아닌 차량 내 다른 위치, 예컨대 센터페시아(40)에 설치되거나, 크래쉬 패드(50) 또는 콘솔 부분 등에 설치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20)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정보들을 표시하되, 표시되는 정보들을 클러스터(10) 내 LCD(13)를 통해서도 동일하게 출력하는 미러링(mirroring) 개념이 적용된다.
즉, 스마트 기기(20)가 자체 내장한 표시장치와 클러스터(10) 내 LCD(13) 상의 출력을 동기화하여 동일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 경우 클러스터(10)에서 종래의 LCD 컨트롤러가 삭제될 수 있다.
클러스터(10) 내 LCD(13)는 스마트 기기(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역할만 하므로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 없게 되며, 단지 스마트 기기(20)의 표시장치에 연동되어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러스터(10)의 LCD(13)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운전자가 선택 또는 설정한 UI의 화면구성, 그래픽 형식에 맞추어 정보들이 표시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마트 기기(20)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클러스터 정보들을 운전 중 운전자가 클러스터(10) 내 LCD(13)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자신이 설정한 스마트 기기(20)의 표시 내용과 동일한 정보를 클러스터(10) 내 LCD(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서, 스마트 기기(20)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22)가 센터페시아(40)나 크래쉬 패드(50), 콘솔 부분 등에 설치된다.
또는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거치대(22)가 센터페시아(40)에 구비되는 도어 개폐식 박스형 공간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어를 연 후 거치대에 자신의 스마트 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22)는 제1실시예의 거치대와 동일한 구성, 즉 스마트 기기(20)가 결합되면 거치대(22)의 단자(23)에 스마트 기기(20)의 단자(21)가 접촉하여 자동 접속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실시예의 거치대(22)는 시판 중인 공지의 거치대, 즉 차량 내에서 스마트 기기(20)를 센터페시아(40)나 크래쉬 패드 등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한 공지의 거치대가 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22)의 커넥터(24)에 연결된 케이블 또는 스마트 기기(20)의 단자에 직접 연결된 케이블을 인스트루먼트 패널(센터페시아 부분) 등에 별도 구비된 정보 출력부(18)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정보 출력부(18)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클러스터 제어기가 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센서나 스위치, 차량 내 장치의 제어기와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8)는 클러스터(10)의 LCD(13)에 케이블로 연결되어 스마트 기기(20)와 클러스터(10)의 LCD(13)를 연결하는 미러링용 인터페이스부인 동시에, 차량 내 각종 센서나 스위치 등의 상태 검출부의 신호, 편의장치 등 차량 내 각종 장치의 제어기로부터 전송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구성부이며, 상기 상태 정보 데이터를 스마트 기기(20)로 입력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8)는 차량 실내 위치에 구비되어 거치대(22) 또는 스마트 기기(20)에 연결된 케이블을 접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운전자가 스마트 기기(20)를 인터페이스부(18)에 연결하면 클러스터(10)의 LCD(13)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기기(20)가 케이블을 통해 차량 인터페이스부(18)에 통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면, 인터페이스부(18)를 통해 출력되는 상태 정보를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체 내장된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차량에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같이 차량용 단말기가 별도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차량용 단말기(30)를 상기 인터페이스부(18)에 연결하고, LCD(13)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단말기(30)에서도 스마트 기기(20)의 정보가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항시 휴대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상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제공장치로서, 사용자 자신에게 최적화되어 개인 친숙성이 강한 스마트 기기를 보조적인 정보 제공장치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LCD, LCD 컨트롤러의 삭제로 인한 원가 절감의 이점과 더불어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클러스터 11 : 클러스터 제어기
12 : LCD 컨트롤러 12a : RPM 속도계
12b : 차속계 12c : 경고등 및 표시등
13 : LCD 14 : 거치대
15 : 단자 16 : 단자
17 : 커넥터 18 : 인터페이스부
20 : 스마트 기기 21 : 단자
22 : 거치대 23 : 단자
24 : 커넥터 30 : 단말 시장치
40 : 센터페시아 50 : 크래쉬 패드

Claims (10)

  1. 차량 내 센서나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 검출부 또는 차량 내 장치의 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정보 출력부와;
    상기 정보 출력부와의 통신 수행 및 상태 정보 표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정보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스마트 기기와;
    상기 스마트 기기를 차량 내 위치에 거치하도록 구비되어 스마트 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정보 출력부 간을 통신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거치대;
    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클러스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클러스터에 구비된 마운팅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스마트 기기의 거치시 스마트 기기의 단자가 접촉하여 자동 접속되는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단자가 외부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대의 커넥터가 클러스터의 커넥터 및 케이블을 통해 정보 출력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가 클러스터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에 구비되어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 기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동일하게 표시하는 LC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정보 출력부로서 차량 실내 위치에 스마트 기기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클러스터의 상기 LCD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전송받아 동일하게 표시하는 차량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정보 출력부로서 차량 실내 위치에 스마트 기기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차량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 스마트 기기의 거치시 스마트 기기의 단자가 접촉하여 자동 접속되는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단자가 외부 접속을 위한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대의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KR1020110130146A 2011-12-07 2011-12-07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KR20130063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146A KR20130063659A (ko) 2011-12-07 2011-12-07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US13/426,939 US20130151068A1 (en) 2011-12-07 2012-03-22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vehicle using smart device
CN2012100981592A CN103144541A (zh) 2011-12-07 2012-04-05 使用智能装置的车用信息提供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146A KR20130063659A (ko) 2011-12-07 2011-12-07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659A true KR20130063659A (ko) 2013-06-17

Family

ID=4854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146A KR20130063659A (ko) 2011-12-07 2011-12-07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51068A1 (ko)
KR (1) KR20130063659A (ko)
CN (1) CN10314454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06B1 (ko) * 2013-08-29 2014-12-0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534741B1 (ko) * 2013-12-17 2015-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에 부착된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9294798B2 (en) 2013-12-24 2016-03-22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irror link of a multimedia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WO2016108557A1 (en) * 2014-12-29 2016-07-07 Renault-Samsung Motors Co., Ltd.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KR101986156B1 (ko) 2018-05-28 2019-06-05 주식회사 디젠 정보 표시 장치
KR102029267B1 (ko) 2018-05-28 2019-10-07 주식회사 디젠 정보 공유 장치
US10439345B2 (en) 2014-12-29 2019-10-08 Renault S.A.S.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KR20190135199A (ko)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디젠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되는 정보 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0323B2 (ja) * 2014-02-24 2018-09-19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1693938B1 (ko) * 2014-11-25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도킹 차량
US10742442B2 (en) * 2017-10-21 2020-08-11 Mordechai Teicher Cluster of smart devices operable in hub-based and hub-less modes
US10620798B2 (en) * 2017-10-21 2020-04-14 Mordechai Teicher Autonomously cooperating smart devices
US10703259B1 (en) * 2018-12-21 2020-07-0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component control assembly
CN113370788A (zh) * 2020-03-09 2021-09-10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状态信息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CN115202554B (zh) * 2022-06-10 2023-06-0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仪表与车机的互动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165A (ja) * 2000-06-29 2002-10-09 Denso Corp 車両情報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343431A (ja) * 2004-06-07 2005-12-15 Denso Corp 車両用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60277555A1 (en) * 2005-06-03 2006-12-07 Damian Howard Portable device interfacing
DE102006008420A1 (de) * 2006-02-23 2007-08-30 Leopold Kostal Gmbh & Co. Kg Gerätehalter zum Einbau in ein Kraftfahrzeug
JP2010111161A (ja) * 2008-11-04 2010-05-20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制御装置
JP2011037310A (ja) * 2009-08-06 2011-02-24 Tokyo R & D Co Ltd 携帯用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両への取付具
WO2012036323A1 (ko) * 2010-09-13 201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791835B2 (en) * 2011-10-03 2014-07-29 Wei Zhang Methods for road safety enhancement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206B1 (ko) * 2013-08-29 2014-12-05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534741B1 (ko) * 2013-12-17 2015-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에 부착된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9294798B2 (en) 2013-12-24 2016-03-22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irror link of a multimedia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WO2016108557A1 (en) * 2014-12-29 2016-07-07 Renault-Samsung Motors Co., Ltd.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US10439345B2 (en) 2014-12-29 2019-10-08 Renault S.A.S. Interface for conn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vehicle
KR101986156B1 (ko) 2018-05-28 2019-06-05 주식회사 디젠 정보 표시 장치
KR102029267B1 (ko) 2018-05-28 2019-10-07 주식회사 디젠 정보 공유 장치
KR20190135199A (ko)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디젠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되는 정보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1068A1 (en) 2013-06-13
CN103144541A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3659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EP2658135B1 (en)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car system
CN111216554A (zh) 借助移动设备控制车辆系统
KR102017245B1 (ko) 자동차 계기판 장치 및 자동차 계기판 제어 방법
CN110979008A (zh) 多处理器分布式双联屏仪表
EP3817349A1 (en) Portable vehicle touch screen device utilizing functions of smart phone
WO2010028141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and operating portable gps enabled devices in automobiles
US20120231738A1 (en) Enhancing vehicle infotainment systems by adding remote sensors from a portable device
WO2015156375A1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
US9533577B2 (en) System for operating an instrument cluster of a vehicle and a mobile electronic device which can be detachably held by a holder on the vehicle
KR100764112B1 (ko) 텔레메틱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텔레메틱스 서비스 서버
KR101316970B1 (ko) 자동차 전자제어유닛의 프로그램에 대한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854323B1 (ko) 차량 센서들을 이용한 핸드셋 센서들의 증강
CN105346391A (zh) 仪表板模块、仪表板整合系统与显示方法
WO2015125703A1 (ja) 車両情報取得装置
KR20030083142A (ko) 자동차용 계기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10804354U (zh) 用以映射手机功能的可携式车载触控荧幕装置
KR20090099951A (ko) 차량용 컴퓨터 룸미러
CN205326933U (zh) 一种后视镜
TW593021B (en) Computer system for an integrating with electronic apparatus of vehicle
KR20130086764A (ko) 차량용 스마트기기 활용 시스템
CN220147272U (zh) 一种车载智能网联终端设备
TWI564181B (zh) 可替換儀表板模組、儀表板整合系統與顯示方法
KR100644944B1 (ko) 텔레매틱스 장치와 무선통신 단말기를 무선통신 규격을사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어댑터
JP3194987U (ja) 車両搭載ディスプレイ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